KR100926814B1 - 난방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난방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814B1
KR100926814B1 KR1020070066586A KR20070066586A KR100926814B1 KR 100926814 B1 KR100926814 B1 KR 100926814B1 KR 1020070066586 A KR1020070066586 A KR 1020070066586A KR 20070066586 A KR20070066586 A KR 20070066586A KR 100926814 B1 KR100926814 B1 KR 100926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weight
sealant
heating element
combust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3692A (ko
Inventor
배종대
Original Assignee
배종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종대 filed Critical 배종대
Priority to KR1020070066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814B1/ko
Publication of KR20090003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3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8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05B3/34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 H05B3/342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flexible, e.g. heating nets or webs heaters used in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난방재는 불연재 총중량에 대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40 내지 60 중량%, 실란트 20 내지 30 중량% 및 이산화규소, 규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 2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지는 불연재;와, 발열물질을 유기용제와 실란트에 혼합한 혼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면직물에 입혀 제조되는 발열체;를 적층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본 발명의 난방재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에 실란트를 뿌린후 이산화규소 또는 규산나트륨을 뿌리고 나서 열풍을 가하면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형상화시켜 불연재를 제조하는 단계; 발열물질을 실란트와 유기 용제에 넣어 액상화한후 이 액상 물질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면직물에 입혀 발열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불연재와 상기 발열체를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난방재는 불연 기능과 난방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여 난방, 방화 및 차음 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두께가 얇아 바닥이나 벽체에 적은 공간을 차지하고 또한 가벼워 시공되는 건물에 큰 하중을 주지 않으므로 건물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도 있다.
난방재, 불연재, 발열체, 원적외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Description

난방재 및 그 제조방법{HEATING BOARD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 난방재의 일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난방재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난방재가 다수 연결되는 형태를 나타내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불연재 20 : 발열체
32, 42 : 전선 34a, 44a : 수커넥터
34b, 44b : 암커넥터
본 발명은 난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난연, 차음 등의 기능뿐만 아니라 발열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난방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벽면, 바닥 또는 천장 등에는 외부로의 열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열재가 사용되는데 그 예로는 석면, 석고보드, 스티로폼, 발포폴리스티렌, 발포우레탄 등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 단열재에 단순한 단열 효과뿐 만 아니라 화재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난연성이 요구되고 있다.
건축 내외장재의 난연성 재재는 불연재, 준불연재 및 난연재로 나뉘는데, 불연재는 화재시에 불연소되고, 원천적으로 유독 가스의 발생 억제력을 가지며, 두께 10% 이상의 균열이나 용융이 없고, 30초 이상의 잔염이 없는 조건을 가진 무기질계의 재료로서 콘크리트, 벽돌, 석면, 철강, 유리 등이 이에 속한다. 준불연재는 강한 화재시에 일부가 연소되어 유독 가스가 아닌 소량의 연기가 발생되며, 두께 10% 이상의 균열, 30초 이상의 잔염, 변형과 용융 등이 없는 조건을 가진 재료로서 주로 SiO2를 포함한 폴리에스테르 등의 유기화합물이 이에 속한다. 난연재는 연소가능한 유기질 재료를 화학약품으로 가공하여 연소시간 및 자기 소화성을 가지게 한 건축재료로서 난연합판, 난연섬유판, 난연플라스틱 등이 이에 속한다.
한편, 건축물에 난방을 제공하기 위하여는 건축물 바닥 등에 금속이나 플라스틱파이프를 깔고 그 위에 마감시공을 한 후 온수를 금속 또는 플라스틱파이프를 통해 순환시켜 그 방사열로 난방하는 방법이 보통 이용되고 있다. 또는 전열선을 불연 및 난연재의 합판이나 합성플라스틱판 또는 합성수지에 접합 또는 접착하여 이들을 난방재로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으로 건축물에 난방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바닥 등에 단열 및 흡음, 차음 소재를 먼저 설치한 후, 다시 난방재를 설치, 시공한 후에 그 위에 바닥재 및 마감재를 시공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심혈을 기울여 연구한 결과, 난연, 차음 등의 기능을 가진 불연재와 난방의 기능을 하는 발열체를 하나의 패널로 적용시켜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는 난방재를 개발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연, 흡음의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난방 기능을 행하는 난방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연, 흡음의 기능을 가짐과 동시에 난방 기능을 행하는 난방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난방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난방재는, 불연재와 발열체가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즉, 본 발명의 난방재는, 불연재 총중량에 대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terephthalate: 이하, PET) 섬유 40 내지 60 중량%, 실란트 20 내지 30 중량% 및 이산화규소, 규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 2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지는 불연재;와, 발열물질을 유기용제와 실란트에 혼합한 혼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면직물에 입혀 제조되는 발열체;를 적층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난방재를 이루는 불연재에 있어서, PET 섬유의 함량이 40 내지 60중량%가 바람직한데, PET 섬유의 함량이 4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불연재의 체적 대비 타 성분의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 불연재 고형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6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컴팩트한 팩킹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불연재에 있어서, 실란트의 함량이 20 내지 30 중량%가 바람직한데, 실란트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PET 섬유와 이산화규소 또는 규산나트륨의 결합이 미비한 문제점이 있고, 3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작업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불연재에 있어서, 이산화규소, 규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이면, 불연, 차음 기능이 미비하고, 3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작업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난방재를 이루는 발열체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은 혼합액 총중량에 대하여 발열물질 85 내지 94 중량%, 유기용제 5 내지 12 중량% 및 실란트 0.5 내지 4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체에 있어서, 발열물질의 함량은 혼합액 총중량에 대하여 85 내지 94 중량%가 바람직한데, 발열물질의 함량이 85중량% 미만이면 발열 효과가 미비하고 발열물질의 함량이 94 중량%를 초과하면 작업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난방재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를 이루는 구성 물질 중 발열물질은 카본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러나 발열물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발열물질이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발열체에 있어서, 유기용제의 함량은 발열체 총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2 중량%가 바람직한데, 유기용제의 함량이 5중량% 미만이면 발열물질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혼합액의 유동성이 적어 작업성이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고 유기용제의 함량이 12 중량%를 초과하면 혼합액이 너무 묽어 상기 필름 또는 면직물에 잘 입혀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난방재를 이루는 발열체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유기 용제는 시너(thinner) 또는 메틸알콜이다.
본 발명의 난방재에 있어서, 실란트는 인체에 무해한 무색, 무취인 유기실란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는 공업용 접착제 사용시 발생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 예로는 클로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chloropropyltri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또는 메틸트리스(메틸에틸케톡심)실란(Methyltris(methylethylketoxime)silane) 등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발열체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상기 혼합액에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은 토르말린과 게르마늄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것이다. 그러나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발열체 제조시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포함되어 제조될 때에는 혼합액 총중량%에 대하여 발열물질 60 내지 64 중량%, 원적외선 방사물질 25 내지 30 중량%, 유기용제 5 내지 12 중량% 및 실란트 0.5 내지 4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조성 범위 내에서 발열체의 발열 효과 및 원적외선 방사 효과가 최적이 된다.
또한, 상기 혼합액에 건축물 실내의 쾌적한 분위기를 위하여 상기 혼합액 총중량에 대하여 0.03 내지 2.0 중량%의 향료를 더 추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은 민트향과 피치스톤향(소나무향)이다.
본 발명의 난방재에서, 상기 발열체에 통상의 방법으로 전선이 부착될 수 있으며 이 전선에 전원이 공급되면 발열체에서 열이 발산되어 본 발명의 난방재는 난방 효과를 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난방재는 상기 불연재와 발열체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위에 상기 불연재가 더 적층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방재는, PET 섬유와 실란트 및 이산화규소 또는 규산나트륨으로 이루어지는 불연재(10)와, 발열물질이 입혀진 발열체(20)가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도 1과 도 2에는 발열체(20) 양면 모두에 불연재(10)가 적층되어 있는 난방재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난방재는 발열체에 전선이 포함되도록 되어 있는데, 길이방향으로 발열체의 일단 내에 (+)(-)전선(32, 42)이 각각 내재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전선에 전기 코드가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면 발열체에서 열이 방출되어 난방 효과를 내게 된다.
도 1의 난방재는 발열체의 길이방향 일단에 전선(32, 42)이 포함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발열체 일면 일부에 전선이 부착되는 등 어떠한 형태로든 발열체와 전선이 부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난방재에서 전열선 직경은 0.5mm ~ 2mm가 바람직하다. 전열선은 사용 용도에 따라 직류(Direct Current)와 교류(Alternating Current) 모두 이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며, 축전지 또는 전기 단자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인입단자를 만든다. 본 발명의 난방재는 50~200W, 3~200V의 전원에서 사용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난방재는 태양전지와 연결되어 태양열을 이용하여 난방을 할 수도 있다.
도 3에 본 발명의 난방재가 다수 연결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발열체 하부에 부착된 전선(32, 42)은 양단에 각각 암수 커넥터가 형성된다. 즉, 전선(32)의 일단에는 수커넥터(34a)가 타단에는 암커넥터(34b)가 형성되고, 또 다른 전선(42)의 일단에는 수커넥터(44a)가 타단에는 암커넥터(44b)가 형성된다. 이처럼 커넥터가 형성되어 있는 난방재는 (+)(-) 전선에 맞추어 수커넥터와 암커넥터를 각각 연결한다. 이때 최초의 난방재에 전원을 인가하면 커넥터로 연결된 각 난방재들은 전류를 받아 발열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난방재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난방재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에 실란트를 뿌린후 이산화규소 또는 규산나트륨을 뿌리고 나서 열풍을 가하면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형상화시켜 불연재를 제조하는 단계; 발열물질을 실란트와 유기 용제에 넣어 액상화한후 이 액상 물질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면직물에 입 혀 발열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불연재와 상기 발열체를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우선 PET 섬유(fiber)를 웹(web) 상태에서 빗어서(comb) 카딩(carding)하여 베이스판 위에 적층시킨다. 이어 상기 섬유에 실란트를 분무 등의 방법으로 뿌린후 이산화규소 또는 규산나트륨 또한 분무 등의 방법으로 뿌린 후 열풍을 가하면서 마이크로파(microwave)를 조사하여 형상화시켜 불연재를 제조한다.
상기 불연재 제조시에 실란트를 분무 장치로 분사할 경우, 분무장치의 노즐은 0.1~1mm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열풍의 온도는 120 내지 180℃가 바람직하고, 마이크로파는 30초 내지 5분 동안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마이크로파를 사용하는 이유는 불연재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PET 섬유를 녹이지 않으면서 불연재 내부까지 열이 침투하여 내외부 전체적으로 고른 불연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불연재 제조시 마이크로파를 30초 미만으로 조사하게 되면 고형의 불연재가 잘 형성되지 않으며 5분을 초과할 경우에는 불연재의 경도가 높아져 갈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120 내지 180℃의 열풍을 가하면서 마이크로파를 30초 내지 5분 동안 조사하면 불연재는 80 내지 120℃로 가열된다. 열풍 및 마이크로파 조사에 의한 불연재의 가열온도가 80℃ 미만일 경우에는 불연재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120℃를 초과할 경우에는 섬유가 녹아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불연재는 PET 섬유 사이사이에 이산화규소 또는 규산나트륨이 침착되면서 실란트에 의해 접착 고형화되어 컴팩트한 팩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컴팩트한 팩킹으로 본 발명의 난방재를 이루는 불연재는 강도 뿐만 아니라 화기에도 강한 특성을 갖게 된다.
불연재가 일정 형상으로 만들어지면 그 위에 다시 PET 섬유를 깔고 실란트 분무와 이산화규소 또는 규산나트륨 분무 등의 앞에서 이루어진 과정을 동일하게 행하여 제 2 불연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다층의 불연재층을 가진 불연재를 제조할 수 있다.
이어, 발열체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실란트를 유기용제에 넣어 섞은후 여기에 발열물질을 넣어 미립 액상화한다. 이 미립 액상물질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면직물에 분무 또는 도포 등의 방법으로 입힌후에 건조시켜 발열체를 제조한다.
이때 유기 용제로는 시너(thinner) 또는 메틸알콜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상기 발열체 필름막 건조시에는 80~140℃의 열풍을 이용하여 발열체 100m 기준으로 분당 10~20m 속도로 건조시킨다.
발열체 제조시, 발열물질로는 카본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발열체 제조시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더 추가되어 제조될 수 있다. 원적외선 방사물질로는 토르말린 또는 게르마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발열물질과 원적외선 방사물질은 분말이 바람직하게 사용되며 특히 0.01 미크론 내지 5 미크론의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한 입자들의 크기가 0.01 미크론 미만일 경우에는 발열체 제조시 입자가 날려 작업에 어려운 점이 있고, 5 미크론을 초과할 경우에는 전기 쇼트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고 저항이 많아져 열소비량이 많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난방재 제조방법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실란트는 유기실란트가 바람직게 사용되며, 그 예로는 클로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chloropropyltriethoxysilane),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N-(2-aminoethyl)-3-aminopropyl-trimethoxysilane) 또는 메틸트리스(메틸에틸케톡심)실란(Methyltris(methylethylketoxime)silane) 등이다.
본 발명의 난방재는 상기에서 제조된 불연재와 발열체를 통상의 방법으로 적층시켜 제조된다. 즉, 상기 불연재와 발열체를 접착제에 의해 접착시키거나 나사 등을 이용하여 결합시켜 적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난방재 제조방법에서 불연재와 발열체를 적층시킨 후 상기 발열체 위에 하나의 불연재를 더 적층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난방재와 난방재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실시예 1> 불연재 제조
카딩한 PET 섬유 500g을 베이스판 위에 깔고 0.5mm의 노즐을 갖는 분무장치로 클로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250g을 분사하고 이산화규소 250g을 분사하였다. 이어 130℃의 5m3/min의 열풍을 가하면서 마이크로파를 2분간 조사하여 불연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발열체 제조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0g을 110g 시너에 넣고 혼합하였다. 이 혼합액에 0.1미크론 ~ 1미크론 카본 860g을 넣고 교반하여 입자를 미립액상화하였다. 이 미립액상 물질을 두께 1mm의 PET 필름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발열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발열체 제조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0g을 110g 시너에 넣고 혼합하였다. 이 혼합액에 0.1미크론 ~ 1미크론 카본 600g과 0.01미크론 ~ 1미크론 토르말린 260g을 넣고 교반하여 입자를 미립액상화하였다. 이 미립액상 물질을 두께 1mm의 PET 필름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발열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난방재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불연재 위에 전자파 차폐용 도료를 도포하였다. 약 1시간 방치후 불연재 위에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 메틸트리스(메틸에틸케톡심)실란을 도포하였다. 이어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발열체를 적층한후 압력 50kg/㎤의 압력롤러를 통과시키고 120~200℃, 10M3/min의 열풍을 20분간 가하여 건조시킨후 발열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난방재 제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불연재 위에 대전방지용 도료를 도포하였다. 약 1시간 방치후 불연재 위에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 메틸트리스(메틸에틸케톡심)실란을 도포하였다. 이어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발열체를 적층한후 발열체 위에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과 메틸트리스(메틸에틸케톡심)실란을 도포하였다. 이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또 하나의 불연재를 적층한 후 압력 50kg/㎤의 압력롤러를 통과시키고 120~200℃, 10M3/min의 열풍을 20분간 가하여 건조시킨후 발열체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불연시험
한국건자재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실시예 4에서 제조된 난방재의 열방출시험과 가스유해성시험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결과 시험방법
1 2 3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6-476호 (KS F ISO 5660-1:2003)
준불연 재료 열방출 시험 총방출열량(MJ/m2) 2.5 3.0 7.3
열방출율이 연속으로 200kW/m를 초과하는 시간(초) 0 0 0
시험체를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융 (심재가 전부 용융, 소멸) 없음 없음 없음
가스 유해성 시험 행동정지시간 (분 : 초) 13:30 12:05 -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6-476호 (KS F2271:2006)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방재는 건설교통부 고시 제2006-476호의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한 결과 준불연재료의 기준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열전도시험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의뢰하여 실시예 4에서 제조된 난방재의 열전도시험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방법 : KS L 9016:2005(보온재의 열전도율 측정방법 - 평판 열류계법)
시험환경 : 온도 23.4~23.9℃, 상대습도 : (50.9~51.0)% RH
시험항목 단위 시험결과 비고
열전도율 W/(mㆍK) 0.071 밀도 : 466.9 kg/m3 두께 : 9.4mm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방재는 높은 열전도율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3> 흡음시험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의뢰하여 실시예 4에서 제조된 난방재의 흡음시험을 행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방법 : KS F 2805:2004(잔향실험 흡음률 측정방법)
시험환경 : 온도 15.8℃, 상대습도 : 47.1% RH
주파수[Hz] 흡음계수 주파수[Hz] 흡음계수
100 0.00 800 0.26
125 0.01 1000 0.35
160 0.01 1250 0.49
200 0.03 1600 0.58
250 0.05 2000 0.67
315 0.05 2500 0.71
400 0.09 3150 0.69
500 0.13 4000 0.54
630 0.18 5000 0.37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방재는 높은 흡음율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난방재는 건축물 시공시에 실내 벽체, 천정재 또는 바닥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건축물 건축 이 외 즉, 지하철 차량 내외부 심재, 대형 중기 설비, 유통창고 등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예가 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하기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방재는 발열 기능을 수행하여 난방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방화와 차음 효과도 뛰어나다. 또한 건식의 패널로 기존의 습식으로 이루어지던 시공법에서 벗어나 건식 방법으로 시공이 이루어져 시공이 간단, 공기가 단축됨에 따라 경제적이고 현장이 청결한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난방재는 두께가 얇아 바닥이나 벽체에 적은 공간을 차지하여 넓은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또한 가벼워 시공되는 건물에 큰 하중을 주지 않으므로 건물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도 있다.

Claims (9)

  1. 불연재 총중량에 대하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40 내지 60 중량%, 실란트 20 내지 30 중량% 및 이산화규소, 규산나트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 20 내지 30 중량%로 이루어지는 불연재;와,
    발열물질을 유기용제 및 실란트에 혼합한 혼합액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면직물에 입혀 제조되는 발열체;를 적층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은 혼합액 총중량에 대하여 발열물질 85 내지 94 중량%, 유기용제 5 내지 12 중량% 및 실란트 0.5 내지 4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물질은 카본이고, 유기 용제는 시너 또는 메틸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에 원적외선 방사물질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 방사물질은 토르말린과 게르마늄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에 전선이 부착되어 전원을 공급하면 열을 발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재.
  7. 청구항 1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 위에 상기 불연재가 더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재.
  8.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에 실란트를 뿌린후 이산화규소 또는 규산나트륨을 뿌리고 나서 열풍을 가하면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여 형상화시켜 불연재를 제조하는 단계;
    발열물질을 실란트와 유기 용제에 넣어 액상화한후 이 액상 물질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면직물에 입혀 발열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불연재와 상기 발열체를 적층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재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불연재 제조단계에서, 120 내지 180℃의 열풍을 가하고, 마이크로파를 30초 내지 5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재 제조방법.
KR1020070066586A 2007-07-03 2007-07-03 난방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26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586A KR100926814B1 (ko) 2007-07-03 2007-07-03 난방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586A KR100926814B1 (ko) 2007-07-03 2007-07-03 난방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692A KR20090003692A (ko) 2009-01-12
KR100926814B1 true KR100926814B1 (ko) 2009-11-12

Family

ID=40486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586A KR100926814B1 (ko) 2007-07-03 2007-07-03 난방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8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84039A (zh) * 2012-12-19 2014-06-25 盛磊 一种新型的发热地板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695B1 (ko) * 2012-11-19 2015-01-15 이찰리 흑연 및 규산 나트륨 가열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266B1 (ko) * 1996-05-31 1998-12-15 이남용 난방용 판넬의 제조방법
KR20010094501A (ko) * 2000-03-31 2001-11-01 김정욱 흑연 발열재를 이용한 저항체 제조방법
KR200367948Y1 (ko) 2004-08-27 2004-11-17 김두식 일체형 난방패널
KR200419697Y1 (ko) 2006-04-10 2006-06-22 강재성 난방필름용 방염단열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3266B1 (ko) * 1996-05-31 1998-12-15 이남용 난방용 판넬의 제조방법
KR20010094501A (ko) * 2000-03-31 2001-11-01 김정욱 흑연 발열재를 이용한 저항체 제조방법
KR200367948Y1 (ko) 2004-08-27 2004-11-17 김두식 일체형 난방패널
KR200419697Y1 (ko) 2006-04-10 2006-06-22 강재성 난방필름용 방염단열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84039A (zh) * 2012-12-19 2014-06-25 盛磊 一种新型的发热地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3692A (ko)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288467A1 (en) Moldable fire resistant composites
KR101372797B1 (ko) 시공성이 우수한 불연성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KR101957642B1 (ko)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한 준불연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926814B1 (ko) 난방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06608A (ko) 난연성과 차열성을 가진 샌드위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999686B1 (ko) 건축 내장 마감용 불연성 발열보드
KR20100060833A (ko) 난연성제가 주입된 스치로폼과 불연 단열재가 결합된 판넬
KR100687484B1 (ko) 폴리에스터 난연판재 및 그 제조방법
CN101200380A (zh) 隧道轻质无机防火复合材料
CN106930493B (zh) 防火保温装饰板及其制作方法
KR101532274B1 (ko) 스티로폼 코팅용 난연재 조성물 및 이러한 조성물로 코팅된 스티로폼 및 이의 제조방법
US7744783B2 (en) Method of making non-flammable thermal insulatiion foam and products made by the method
KR102415013B1 (ko) 건축물의 내외장재용 준불연단열보드
CN206205203U (zh) 一种保温隔音防火墙体结构
JP4015144B2 (ja) 不燃断熱フォーム材を用いる断熱構造
KR102172941B1 (ko) 경화층과 연화층이 일체화된 하이브리드 무기질 내화단열보드
CN204919862U (zh) 一种建筑保温防火墙体
KR101751000B1 (ko) 무기단열재용 습기방지코팅제 조성물, 열전도도 안정성이 우수한 무기단열재 이의 제조방법
KR101287380B1 (ko) 불연성이 우수한 투습방수성 열반사 단열재
KR20190056138A (ko) 저분진 실리카 에어로겔 블랭킷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5695B1 (ko) 흑연 및 규산 나트륨 가열 장치
KR20150056218A (ko) 불연성 로이단열재
KR101333165B1 (ko) 변압기용 불연성 부싱 및 그 제조방법
KR101470212B1 (ko) 불연 단열시트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258690B1 (ko) 내열 및 불연 특성을 갖는 불연소재, 그 제조 방법, 이를 포함하는 건축 내장재, 보온재, 흡음재 및 단열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