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677B1 - Unit charge pump - Google Patents

Unit charge pu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677B1
KR100926677B1 KR1020070081760A KR20070081760A KR100926677B1 KR 100926677 B1 KR100926677 B1 KR 100926677B1 KR 1020070081760 A KR1020070081760 A KR 1020070081760A KR 20070081760 A KR20070081760 A KR 20070081760A KR 100926677 B1 KR100926677 B1 KR 100926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node
charge transfer
transfer transistor
bo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7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17195A (en
Inventor
김영희
임규호
Original Assignee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81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677B1/en
Publication of KR20090017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19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6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0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 H02M3/0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resistors or capacitors, e.g. potential divider using capacitor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by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e.g. charge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04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7/041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 H03K17/04106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without feedback from the output circuit to the control circuit in field-effect transistor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기 동작 시 부스트랩 노드의 전압 값들을 동일한 전압준위를 가지게 하고, 대기모드 진입 시 부스트랩 노드에 과전압을 방지하는 단위전하펌프에 대하여 개시한다. 상기 단위전하펌프는,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프리차지 제어부, 벌크바이어스공급부, 펌핑 전하 저장부 및 부스트랩 노드 과전압 방지부를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unit charge pump which makes the voltage values of the boost node have the same voltage level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and prevents the overvoltage to the boost node when entering the standby mode. The unit charge pump may include a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 precharge control unit, a bulk bias supply unit, a pumping charge storage unit, and a boost strap nod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do.

크로스 커플드, 전하펌프, 부스트랩 노드 과전압, 프리차지 제어 Cross Coupled, Charge Pump, Boost Node Overvoltage, Precharge Control

Description

단위전하펌프{Unit Charge Pump} Unit Charge Pump

본 발명은 단위전하펌프(Unit Charge Pump)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하 펌핑 초기에 부스트랩 노드가 대칭적으로 동작하며 대기모드 진입 시 부스트랩 단자에 과전압이 걸리지 않도록 하는 단위전하펌프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charge pu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unit charge pump in which a boost node operates symmetrically at an initial stage of charge pumping and prevents an overvoltage from being applied to a boost terminal when entering a standby mode.

휴대폰 단말기, 디지털 카메라(DSC) 및 휴대용 모바일 기기 등에 사용되는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소형화와 경량화를 통해 제품 경쟁력을 높여야 하는 기술 분야에 속한다. 특히 휴대폰 단말기나 MP3 재생기의 경우 그 크기나 두께가 현저히 작아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소형화 및 낮은 가격을 이룰 수 있는 SoC(System on a Chip) 기술개발은 경쟁이 아주 치열한 상태다. 현재 소형 디스플레이 장치로 QQVGA(128RGB × 160) 급의 TFT-LCD(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BACKGROUND Small display devices used in cellular phones, digital cameras (DSCs), and portable mobile devices are among the technical fields that need to increase product competitiveness through miniaturization and light weigh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mobile phone terminal or an MP3 player,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mobile phone is significantly reduced, so the development of SoC (System on a Chip) technology that can achieve miniaturization and low price is very competitive. QQVGA (128RGB × 160) TFT-LCD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is mainly used as a small display device.

표 1은 TFT-LCD 패널에 사용되는 구동전압을 나타낸다. Table 1 shows the driving voltages used for the TFT-LCD panel.

구 분division 용도Usage DDVDHDDVDH Source Line PowerSource Line Power VGHVGH Gate Line High VoltageGate Line High Voltage VGLVGL Gate Line Low VoltageGate Line Low Voltage

표1을 참조하면, TFT-LCD 패널을 구동하는데 사용하는 전압원은 입력 전원전압(VCI)보다 높은 양의 고전압(Positive High Voltage)인 소스라인전압(DDVDH), 게이트라인 하이전압(VGH) 및 접지전압(GND)보다 낮은 음의 저전압(Negative Low Voltage)인 게이트라인 로우전압(VGL)과 같이 부스트 된 전압(Boosted Voltage)이 있다.[M. Hirata et al., "New Plus- and Minus-Voltage Generator for TFT-LCD Panels," Proceedings of the 2nd IEEE Asia-Pacific Conference on ASIC, pp. 17-20, Aug. 2000.] 여기서 소스라인전압(DDVDH)은 TFT-LCD 픽셀의 소스라인(Source Line)의 구동전압으로 사용되고, 게이트라인 하이전압(VGH)과 게이트라인 로우전압(VGL)은 게이트라인(Gate Line)의 구동전압으로 사용된다. Referring to Table 1, the voltage sources used to drive the TFT-LCD panel are the source line voltage (DDVDH), the gate line high voltage (VGH), and ground, which are positive high voltages higher than the input power supply voltage (VCI). There is a boosted voltage such as the gate line low voltage VGL, which is a negative low voltage lower than the voltage GND. [M. Hirata et al., "New Plus- and Minus-Voltage Generator for TFT-LCD Panels," Proceedings of the 2nd IEEE Asia-Pacific Conference on ASIC, pp. 17-20, Aug. 2000.] Here, the source line voltage DDVDH is used as the driving voltage of the source line of the TFT-LCD pixel, and the gate line high voltage VGH and the gate line low voltage VGL are the gate line. Used as the driving voltage of.

TFT-LCD 구동 IC(Integrated Circuit)에서 게이트라인 및 소스라인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는 DC-DC 변환기로는, 인덕터를 사용하는 PWM(Pulse Width Modulation)방식과 스위치-커패시터 회로(Switched Capacitor Circuit)로 구현한 전하 펌프(Charge Pump)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스위치들과 복수 개의 커패시터들을 조합한 스위치-커패시터 회로에 의한 전하펌프 방식은 구동 IC 모듈의 소형화 등에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스위치-커패시터에 의한 전하펌프 방식에서 외장형 펌핑 커패시터(External Pumping Capacitor)를 사용하는 경우, 펌핑 스테이지(Pumping Stage)마다 외부에 펌핑 커패시터와 전하 저장 커패시터(Charge Reservoir Capacitor)를 사용해야 하므로 TFT-LCD 모듈의 소형화에 어려움이 있다[E. Bayer et al., "A High Efficiency Single-Cell Cascaded Charge Pump Topology," Proc. IEEE Power Electronics Specialists Conference, vol. 1, pp. 290-295, Aug. 2001.].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내장형 펌핑 커패시터(Internal Pumping Capacitor)를 사용한 전하펌프 방식이 연구되고 있다. As a DC-DC converter that supplies the voltage required to drive the gate line and the source line in a TFT-LCD integrated circuit, a pulse width modulation (PWM) method using an inductor and a switched capacitor circuit It can be implemented by the charge pump (Charge Pump) method. The charge pump method by a switch-capacitor circuit combining a plurality of switches and a plurality of capacitors has advantages such as miniaturization of a driving IC module. However, in case of using an external pumping capacitor in a switch-capacitor charge pump method, a pumping capacitor and a charge storage capacitor must be used externally for each pumping stage, thus the TFT-LCD module Has difficulty in miniaturization [E. Bayer et al., “A High Efficiency Single-Cell Cascaded Charge Pump Topology,” Proc. IEEE Power Electronics Specialists Conference, vol. 1, pp. 290-295, Aug. 2001.]. Recently, a charge pump method using an internal pumping capacitor has been studied to solve this disadvantage.

내장형 펌핑 커패시터를 사용한 전하펌프로는, 크로스-커플드(Cross-Coupled) 전하펌프회로가 주로 사용되어진다. [P. Favrat et al., "A high-efficiency CMOS voltage doubler," IEEE JSSC, vol. 33, pp. 410-416, Mar. 1998.] As a charge pump using a built-in pumping capacitor, a cross-coupled charge pump circuit is mainly used. [P. Favrat et al., "A high-efficiency CMOS voltage doubler," IEEE JSSC, vol. 33, pp. 410-416, Mar. 1998.]

도 1은 종래의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 회로도의 일예이다. 1 i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two-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circuit diagram.

도 1을 참조하면,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100)는, PMOS 크로스-커플드 전하전달스위치(MP1, MP2)를 사용하여 전하 전달시 문턱전압 손실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PMOS 크로스-커플드 전하전달스위치(MP1, MP2)에는 기생하는 PNP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가 존재하고, 이 BJT가 부스트랩(Boostrap) 단자(N1, N2)의 전하 펌핑(Charge Pumping)으로 인해 활성 영역(Active Region)에서 동작하므로 펌핑 된 전하가 기판으로 빠져나가는 전하소실(charge loss) 문제가 생긴다. 또한 고전압을 위해 펌핑 스테이지의 수를 증가 시킬 때마다 NMOS 전하전달스위치(MN1 및 MN2)의 바디효과(Body Effect)로 인해 문턱전압(VTH)이 증가하여 펌핑 전류가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cross-coupled unit charge pump 100 removes the threshold voltage loss during charge transfer using the PMOS cross-coupled charge transfer switches MP1 and MP2. However, parasitic PNP 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s) exist in the PMOS cross-coupled charge transfer switches (MP1, MP2), and these BJTs are charge pumping at the boost trap terminals (N1, N2). Because of its operation in the active region, there is a charge loss problem in which the pumped charges escape to the substrate. In addition, each time the number of pumping stages is increased for the high voltage, the threshold voltage V TH is increased due to the body effect of the NMOS charge transfer switches MN1 and MN2, thereby reducing the pumping current.

여기서 2 페이즈(Two Phase)라 함은 2개의 클럭신호(CLK1, CLK2)가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는(Non Overlap) 것을 의미한다. 즉, 2개의 클럭신호 중 하나의 클럭신호가 인에이블이 되는 시간구간 과 나머지 하나의 클럭신호가 인에이블 되는 시간구간이 서로 중복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Here, two phases means that two clock signals CLK1 and CLK2 do not overlap each other (Non Overlap). That is, it means that the time period when one clock signal of the two clock signals is enabled and the time period when the other clock signal is enabled do not overlap each other.

도 2는 종래의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 회로도의 다른 일예이다. 2 is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two-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circuit diagram.

도 2를 참조하면, 2 페이즈(Phase)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 회로(200)는, 크로스-커플드 NMOS 전하전달스위치(MN1, MN2), 크로스-커플드 PMOS 전하 전달 스위치(MP1, MP2), 벌크 포텐셜 바이어스 회로(210, 220, 230, 240)로 사용되는 모스트랜지스터들(MN3, MN4, MN5, MN6, MP3, MP4, MP5와 MP6)과 전하 펌핑 커패시터(C1, C2)로 구성된다.[S. I. Cho et al., "A Boosted Voltage Generator for Low-Voltage DRAMs," Current Applied Physics, vol. 3, pp. 501-505, Dec. 2003.] Referring to FIG. 2, the two-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circuit 200 includes cross-coupled NMOS charge transfer switches MN1 and MN2 and cross-coupled PMOS charge transfer switches MP1 and MP2. And MOS transistors MN3, MN4, MN5, MN6, MP3, MP4, MP5 and MP6 used as the bulk potential bias circuits 210, 220, 230, and 240, and the charge pumping capacitors C1 and C2. [S. I. Cho et al., "A Boosted Voltage Generator for Low-Voltage DRAMs," Current Applied Physics, vol. 3, pp. 501-505, Dec. 2003.]

PMOS 벌크 포텐셜 바이어스 회로(230, 240; MP3 내지 MP6)를 사용하여 출력단자(VOUT)에 연결된 PMOS 크로스-커플드 전하전달스위치(MP1, MP2)의 바디 전압을 부스트랩 단자(N1, N2)의 전압과 출력단자(VOUT)의 전압 중에서 높은 전압을 가지게 하여 전하손실 문제를 해결하고, NMOS 벌크 포텐션 바이어스 회로(210, 220; MN3 내지 MN6)를 사용하여 입력단자(VIN)에 연결된 크로스-커플드 전하전달스위치(MN1, MN2)의 바디 전압을 입력단자(VIN)의 전압과 부스트랩 단자(N1, N2)의 전압 중에서 낮은 전압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므로 바디효과에 따른 문턱전압의 증가를 방지하고 있다. The body voltages of the PMOS cross-coupled charge transfer switches MP1 and MP2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VOUT using the PMOS bulk potential bias circuits 230 and 240 (MP3 to MP6) are connected to the boost strap terminals N1 and N2. Solving the charge loss problem by having a higher voltage between the voltage and the output terminal (VOUT), and cross-coupled to the input terminal (VIN) using NMOS bulk potential bias circuits 210 and 220 (MN3 to MN6). The body voltage of each charge transfer switch (MN1, MN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voltage between the voltage of the input terminal (VIN) and the voltage of the boost strap terminals (N1, N2), thereby preventing an increase in the threshold voltage due to the body effect. hav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2 페이즈(Phase)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 회로(100, 200)의 동작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Operation of the two 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circuits 100 and 200 shown in FIGS. 1 and 2 is generally known and will not be described in detail here.

도 3은 시간의 변화에 따른 부스트랩 단자(N1, N2)의 전압 파형을 나타낸다. 3 shows voltage waveforms of the boost straps N1 and N2 with time.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2-페이즈 크로스-커플드 단위전하펌프 회로(200)의 경우, 초기 동작 시 시간의 변화에 따른 부스트랩 노드(N1, N2)의 전압 값들이 동일한 전압준위를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펌핑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Referring to FIG. 3, in the conventional two-phase cross-coupled unit charge pump circuit 200 shown in FIG. 2, voltage values of the boost strap nodes N1 and N2 according to a change in time during an initial operation may be obtained. Since they do not have the same voltage level, the pumping efficiency is lowered.

또한 대기모드(Stand-by Mode) 진입 시 부스트랩 노드(N1, N2)의 펌핑 된 전하가 제대로 방전하지 못하고 고전압을 유지하게 되어 부스트랩 노드(N1, N2)에 연결된 트랜지스터들의 신뢰도에도 문제를 발생시킨다. In addition, when the stand-by mode is entered, the pumped charges of the boost nodes N1 and N2 do not discharge properly and maintain a high voltage, thereby causing a problem in the reliability of transistors connected to the boost nodes N1 and N2. Let's do i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초기 동작 시 부스트랩 노드의 전압 값들을 동일한 전압준위를 가지게 하고, 대기모드 진입 시 부스트랩 노드에 과전압을 방지하는 단위전하펌프를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nit charge pump to make the voltage values of the boost strap node have the same voltage level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and to prevent overvoltage at the boost strap node when entering the standby mode.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단위전하펌프는,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프리차지 제어부, 벌크바이어스공급부, 펌 핑 전하 저장부 및 부스트랩 노드 과전압 방지부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nit charge pump includes a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 precharge control unit, a bulk bias supply unit, and a pump. Ping charge storage and boost strap node overvoltage protection.

상기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는 입력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제1부스트랩 노드로 스위칭한다. 상기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는 상기 입력전압을 제2부스트랩 노드로 스위칭한다. 상기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부스트랩 노드의 전압을 출력단자로 스위칭한다. 상기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부스트랩 노드의 전압을 상기 출력단자로 스위칭한다. 상기 프리차지 제어부는 상기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프리차지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벌크바이어스공급부는 상기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의 벌크에 제1벌크바이어스를 공급하고 상기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의 벌크에 제2벌크바이어스를 공급한다. 상기 펌핑 전하 저장부는 복수 개의 제어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와 상기 제1부스트랩 노드 및 상기 제2부스트랩 노드에 펌핑 되는 전하를 저장한다. 상기 부스트랩 노드 과전압 방지부는 일 단자가 상기 제1부스트랩 노드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2부스트랩 노드에 연결된다. 상기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크로스 커플링 된다. The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switches an input voltage applied from an input terminal to a first boost strap node. The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switches the input voltage to a second boost strap node.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switches the voltage of the first boost strap node to an output terminal.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switches the voltage of the second boost strap node to the output terminal. The precharge control unit applies a precharge control signal to gates of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nd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The bulk bias supply unit supplies a first bulk bias to the bulk of the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nd a second bulk bias to the bulk of the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The pumping charge storage unit stores charges pumped in the gate terminals of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nd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the first boost node and the second boost node in response to a plurality of control clock signals. . The boost strap node overvoltage prevention unit has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boost strap node and the 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boost strap node. Gates of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nd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re cross coupled.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단위전하펌프는,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벌크바이어스공급부, 펌핑 전하 저장부, 부스트랩 노드 프리차지부 및 부스트랩 노드 과전압 방지부를 구비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nit charge pump includes a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 bulk bias supply unit, and a pumping charge storage unit. And a boost node precharge unit and a boost nod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상기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는 입력단자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전압을 제1부스트랩 노드로 스위칭한다. 상기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는 상기 입력전압을 제2부스트랩 노드로 스위칭한다. 상기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부스트랩 노드의 전압을 출력단자로 스위칭한다. 상기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부스트랩 노드의 전압을 상기 출력단자로 스위칭한다. 상기 벌크바이어스공급부는 상기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상기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상기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의 벌크에 각각 제1벌크바이어스, 제2벌크바이어스, 제3벌크바이어스 및 제4벌크바이어스를 각각 공급한다. 상기 펌핑 전하 저장부는 복수 개의 제어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부스트랩 노드 및 상기 제2부스트랩 노드에 펌핑 되는 전하를 저장한다. 상기 부스트랩 노드 프리차지부는 일 단자가 상기 제1부스트랩 노드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부스트랩 노드에 연결된다. 상기 부스트랩 노드 과전압 방지부는 일 단자가 상기 제1부스트랩 노드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2부스트랩 노드에 연결된다. 상기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크로스 커플링 되고, 상기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크로스 커플링 된다. The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switches an input voltage applied from an input terminal to a first boost strap node. The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switches the input voltage to a second boost strap node.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switches the voltage of the first boost strap node to an output terminal.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switches the voltage of the second boost strap node to the output terminal. The bulk bias supply unit includes a first bulk bias, a second bulk bias, and a third bulk bias to bulk of the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the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nd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respectively. And a fourth bulk bias, respectively. The pumping charge storage unit stores charges pumped to the first boosting node and the second boosting node in response to a plurality of control clock signals. The boost node precharge unit has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boost strap node and the 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boost strap node. The boost strap node overvoltage prevention unit has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boost strap node and the 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boost strap node. Gates of the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nd the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re cross coupled, and gates of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nd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re cross coupled.

본 발명에 따른 단위전하펌프는 초기 동작 시 부스트랩 단자가 (VIN-VTN)전압으로 프리차지 하도록 하여 전하 펌핑 시 부스트랩 단자가 서로 대칭적으로 동작 하며, 대기모드 진입 시 부스트랩 단자의 전압이 출력단자의 전압보다 |VTP|이상 높아질 경우 PMOS 다이오드를 통해 출력단자로 방전하도록 하여 각 트랜지스터에 높은 전압이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소자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In the unit charg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ost strap terminals are precharged with the voltage (VIN-V TN ) during initial operation so that the boost strap terminals operate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during charge pumping. When | V TP | is higher than the output terminal voltage, the output terminal is discharged through the PMOS diode so that the high voltage is not applied to each transisto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형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의 회로도이다. 4 is a circuit diagram of a first type two 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제1형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400)는, 프리차지 제어부(410, 420), PMOS 전하전달스위치(MP1, MP2), 크로스 커플드 NMOS 전하전달스위치(MN1, MN2), 벌크바이어스공급부(430, 440), 부스트랩 노드 과전압 방지부(450), 복수 개의 전하 펌핑 커패시터(C0 ~ C3) 및 복수 개의 인버터(I0~I3)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type two 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400 includes precharge controllers 410 and 420, PMOS charge transfer switches MP1 and MP2, and cross coupled NMOS charge transfer switches MN1. , MN2, bulk bias supply units 430 and 440, boost nod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450, a plurality of charge pumping capacitors C0 to C3, and a plurality of inverters I0 to I3.

PMOS 전하전달스위치(MP1, MP2)는, 제1노드(N0)의 전압(VN0) 즉 제1프리차지 제어신호(VN0)에 응답하여 일 단자에 연결된 입력단자(IN)의 전압(0V)을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된 제1부스트랩 노드(N1)에 전달하는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1) 및 제4노드(N3)의 전압(VN3) 즉 제2프리차지 제어신호(VN3)에 응답하여 일 단자에 연결된 입력단자(IN)의 전압(0V)을 제2부스트랩 노드(N2)에 전달하는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2)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 터(MP1) 및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2)의 벌크(Bulk)에는 입력단자(IN)에 인가되는 접지전압(0V)이 인가된다. The PMOS charge transfer switches MP1 and MP2 receive the voltage VN0 of the first node N0, that is, the voltage 0V of the input terminal IN connected to one terminal in response to the first precharge control signal VN0. In response to the voltage VN3 of the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1 and the fourth node N3, that is, the second precharge control signal VN3 transferred to the first boost node N1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The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2 transfers the voltage 0V of the input terminal IN connected to the terminal to the second boost strap node N2. The ground voltage 0V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IN is applied to the bulk of the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1 and the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2.

프리차지 제어부(410, 420)는, 제1부스트랩 노드(N1) 및 제2부스트랩 노드(N2)를 일정한 초기 전압준위 즉 접지전압(0V) 또는 다른 입력전압(VCI)으로 각각 프리차지 시키도록 하는 제1프리차지 제어회로(410) 및 2프리차지 제어회로(420)를 구비한다. The precharge control unit 410 or 420 precharges the first boosting node N1 and the second boosting node N2 to a predetermined initial voltage level, that is, a ground voltage (0V) or another input voltage (VCI), respectively. And a first precharge control circuit 410 and a second precharge control circuit 420.

제1프리차지 제어회로(410)는 일 단자, 게이트 단자 및 벌크가 상기 입력단자(IN)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로 상기 제1프리차지 제어신호(VNO)를 생성하는 제3PMOS 프리차지 트랜지스터(MP3) 및 일 단자 및 벌크에 상기 입력단자(IN)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제2프리차지 제어신호(VN3)가 인가되며 다른 일 단자로 상기 제1프리차지 제어신호(VN0)를 생성하는 제4PMOS 프리차지 트랜지스터(MP4)를 구비한다. The first precharge control circuit 410 includes a third PMOS precharge transistor having one terminal, a gate terminal, and a bulk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and generating the first precharge control signal VNO to the other terminal. MP3) and one terminal and bulk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the second precharge control signal VN3 is applied to a gate, and the other terminal generates the first precharge control signal VN0. A 4 PMOS precharge transistor MP4 is provided.

제2프리차지 제어회로(420)는 일 단자 및 벌크에 상기 입력단자(IN)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상기 제1프리차지 제어신호(VN0)가 인가되며 다른 일 단자로 상기 제2프리차지 제어신호(VN3)를 생성하는 제5PMOS 프리차지 트랜지스터(MP5) 및 일 단자, 게이트 단자 및 벌크에 상기 입력단자(IN)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로 상기 제2프리차지 제어신호(VN3)를 생성하는 제6PMOS 프리차지 트랜지스터(MP6)를 구비한다. The second precharge control circuit 420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at one terminal and bulk, the first precharge control signal VN0 is applied to a gate, and the second precharge control signal to the other terminal. A fifth PMOS precharge transistor MP5 for generating VN3 and a second precharge control signal VN3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at one terminal, a gate terminal, and a bulk, and generating the second precharge control signal VN3 at another terminal; A 6 PMOS precharge transistor MP6 is provided.

프리차지 제어부(410, 420)는 2개의 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들(MP1, MP2)의 게이트에 인가되는 제1프리차지 제어신호(VN0) 및 제2프리차지 제어신호(VN3)의 전압준위를 조절함으로서, 제1부스트랩 노드(N1) 및 제2부스트랩 노드(N2)의 전압준위를 2개의 전압준위(-VCI, 0)중 하나의 전압준위를 서로 나누어 가지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1부스트랩 노드(N1)의 전압준위가 -VCI[V]이면 제2부스트랩 노드(N2)의 전압노드가 0[V]가 되도록 한다. The precharge controllers 410 and 420 adjust the voltage levels of the first precharge control signal VN0 and the second precharge control signal VN3 applied to the gates of the two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s MP1 and MP2. As a result, the voltage levels of the first and second bootstrap nodes N1 and N2 may be divided by one of two voltage levels (-VCI, 0). For example, when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boost node N1 is -VCI [V], the voltage node of the second boost strap node N2 is 0 [V].

크로스 커플드 NMOS 전하전달스위치(MN1, MN2)는, 게이트단자에 인가되는 제2부스트랩 노드(N2)의 전압준위(VN2)에 따라 일 단자에 연결된 제1부스트랩 노드(N1)의 전압(VN1)을 출력단자(OUT)에 전달하는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1) 및 게이트단자에 인가되는 제1부스트랩 노드(N1)의 전압준위(VN1)에 따라 일 단자에 연결된 제2부스트랩 노드(N2)의 전압(VN2)을 출력단자(OUT)에 전달하는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2)를 구비한다. The cross-coupled NMOS charge transfer switches MN1 and MN2 may have voltages of the first boost strap node N1 connected to one terminal according to the voltage level VN2 of the second boost strap node N2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A second boost node connected to one terminal according to the voltage level VN1 of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1 for transmitting VN1 to the output terminal OUT and the first boost node N1 applied to the gate terminal. A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2 is provided to transfer the voltage VN2 of N2 to the output terminal OUT.

벌크바이어스공급부(430, 440)는,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1)의 벌크에 바이어스(Bias)를 공급하는 제1벌크 바이어스 회로(430) 및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2)의 벌크에 바이어스를 공급하는 제2벌크 바이어스 회로(440)를 구비한다. The bulk bias supply units 430 and 440 may bias the bulk of the first bulk bias circuit 430 and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2 that supply a bias to the bulk of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1. A second bulk bias circuit 440 is provided.

제1벌크 바이어스 회로(430)는 일 단자가 제1부스트랩 노드(N1)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에 출력단자(OUT)가 연결된 제3NMOS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N3) 및 일 단자가 출력단자(OUT)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와 벌크가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1)의 벌크 및 제3바이어스 트랜지스터(MN3)의 다른 단자와 벌크에 공통으로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가 제1부스트랩 노드(N1)에 연결된 제4NMOS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N4)를 구비한다. The first bulk bias circuit 430 includes a third NMOS bias transistor MN3 and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boost strap node N1 and an output terminal OUT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and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a bulk of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1 and a second terminal of the third bias transistor MN3 and a bulk, and a gat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boost node N1. 4NMOS bias transistor MN4 is provided.

제2벌크 바이어스 회로(440)는 일 단자가 제2부스트랩 노드(N2)에 연결되고 게이트 단자에 출력단자(OUT)가 연결된 제5NMOS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N5) 및 일 단자가 출력단자(OUT)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와 벌크가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2)의 벌크 및 제5NMOS 트랜지스터(MN5)의 다른 일 단자와 벌크에 공통으로 연결되며 게이트 단자가 제2부스트랩 노드(N2)에 연결된 제6NMOS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N6)를 구비한다. The second bulk bias circuit 440 includes a fifth NMOS bias transistor MN5 hav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boost strap node N2 and an output terminal OUT connected to the gate terminal, and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The other terminal and the bulk are connected in common to the bulk of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2 and the other terminal and the bulk of the fifth NMOS transistor MN5, and the gat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ost node N2. A 6NMOS bias transistor MN6 is provided.

제1전하 펌핑 커패시터(C0)는 일 단자가 제1제어클럭신호(CLK0)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I0)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는 제1노드(N0)에 연결된다. 제2전하 펌핑 커패시터(C1)는 일 단자가 제2제어클럭신호(CLK1)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I1)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는 제1부스트랩 노드(N1)에 연결된다. 제3전하 펌핑 커패시터(C2)는 일 단자가 제3제어클럭신호(CLK2)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제3인버터(I2)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는 제2부스트랩 노드(N2)에 연결된다. 제4전하 펌핑 커패시터(C3)는 일 단자가 제4제어클럭신호(CLK3)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제4인버터(I3)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는 제4노드(N3)에 연결된다. The first charge pumping capacitor C0 has one terminal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inverter I0 inverting the phase of the first control clock signal CLK0 and the 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node N0. . The second charge pumping capacitor C1 has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inverter I1 which inverts the phase of the second control clock signal CLK1 and the 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boost node N1. Connected. The third charge pumping capacitor C2 has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hird inverter I2 which inverts the phase of the third control clock signal CLK2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third boost strap node N2. Connected. The fourth charge pumping capacitor C3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ourth inverter I3 which has one terminal inverting the phase of the fourth control clock signal CLK3 and the oth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ourth node N3. .

부스트랩 노드 과전압 방지부(450)는 일 단자가 제1부스트랩 노드(N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 및 게이트 단자가 출력단자(OUT)에 연결되며 벌크가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1)의 벌크에 공통으로 연결된 제7NMOS 트랜지스터(MN7) 및 일 단자가 제2부스트랩 노드(N2)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 및 게이트 단자가 출력단자(OUT)에 연결되며 벌크가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2)의 벌크에 공통으 로 연결된 제8NMOS 트랜지스터(MN8)를 구비한다. The boost nod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450 has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boost node N1, the other terminal and the gate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and the bulk of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1. The seventh NMOS transistor MN7 and one terminal commonly connected to the bulk are connected to the second boost strap node N2, the other one terminal and the gate terminal ar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and the bulk is connected to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2. Eighth NMOS transistor (MN8) commonly connected to the bulk of).

부스트랩 노드 과전압 방지부(450)는 제1형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400)가 대기모드(Standby Mode)로 진입할 때 2개의 부스트랩 노드(N1, N2)가 출력단자(OUT)의 전압준위(VOUT)보다 |VTN|이상 높아질 경우, 부스트랩 노드(N1, N2)에 인가되는 고전압을 출력단자(OUT)를 통해 방전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부스트랩 노드(N1, N2)와 연결된 복수 개의 트랜지스터들에 높은 전압이 걸리지 않게 되어 소자들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VTP는 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1, MN2)의 문턱전압(Threshold Voltage) 값을 의미한다. The boost strap nod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450 includes two boost strap nodes N1 and N2 when the first type two-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400 enters a standby mode. When the voltage level VOUT is higher than | V TN |, the high voltage applied to the boost nodes N1 and N2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put terminal OUT. As a result, high voltages are not applied to the plurality of transistors connected to the boost nodes N1 and N2, thereby ensuring reliability of the devices. Here, V TP refers to the threshold voltage values of the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s MN1 and MN2.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형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의 내부 단자들의 정상상태(steady-state)에서의 파형도이다. FIG. 5 is a waveform diagram in steady-state of internal terminals of the first type two 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illustrated in FIG. 4.

도 5를 참조하면, 4개의 제어클럭신호(CLK0, CLK1, CLK2, CLK3) 중 제1제어클럭신호(CLK0)와 제2제어클럭신호(CLK1), 제3제어클럭신호(CLK2)와 제4제어클럭신호(CLK3)는 각각 서로 중첩되지 않으며, 접지전압(0V)과 공급전압(VCI)의 전압준위 사이를 천이한다. 제1제어클럭신호(CLK0)와 제3제어클럭신호(CLK2), 제2제어클럭신호(CLK1)와 제4제어클럭신호(CLK3)는 위상이 동일하다. 제1제어클럭신호(CLK0) 및 제2제어클럭신호(CLK1)는 t3 이외의 시간구간에서는 서로 중첩되지 않으며, 제3제어클럭신호(CLK2) 및 제4제어클럭신호(CLK3)는 t2 이외의 시간구간에서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다. 제1제어클럭신호(CLK0)와 제2제어클럭신호(CLK1) 및 제3제어클럭신호(CLK2)와 제4제어클럭신호(CLK3)의 위상은 서로 180ㅀ 차이가 난다. Referring to FIG. 5, a first control clock signal CLK0, a second control clock signal CLK1, a third control clock signal CLK2, and a fourth of the four control clock signals CLK0, CLK1, CLK2, and CLK3. The control clock signals CLK3 do not overlap each other, but transition between the voltage level of the ground voltage 0V and the supply voltage VCI. The first control clock signal CLK0, the third control clock signal CLK2, the second control clock signal CLK1, and the fourth control clock signal CLK3 have the same phase. The first control clock signal CLK0 and the second control clock signal CLK1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a time interval other than t3, and the third control clock signal CLK2 and the fourth control clock signal CLK3 do not overlap each other. In time intervals,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The phases of the first control clock signal CLK0, the second control clock signal CLK1, the third control clock signal CLK2, and the fourth control clock signal CLK3 are 180 ° different from each other.

표 2는 도 5에 도시된 정상상태에서의 파형의 전압준위를 정리한 것이다. Table 2 summarizes the voltage levels of the waveforms in the steady state shown in FIG.

node namenode name node voltagenode voltage t4t4 t1t1 CLK0CLK0 VCIVCI 0V0 V CLK1CLK1 0V0 V 0V0 V CLK2CLK2 VCIVCI VCIVCI CLK3CLK3 0V0 V VCIVCI VN0VN0 0V0 V -VCI-VCI VN3VN3 -VCI-VCI 0V0 V VN1VN1 -VCI-VCI 0V0 V VN2VN2 0V0 V -VCI-VCI

4개의 제어클럭신호들(CLK0, CLK1, CLK2, CLK3)의 전압준위에 따라 4개의 노드들(N0 ~ N3)의 전압도 결정되는데, 각각 접지전압(0V) 및 공급전원(VCI)의 음의 전압준위(-VCI) 중 하나의 전압준위를 가진다. The voltages of the four nodes N0 to N3 are also determined according to the voltage levels of the four control clock signals CLK0, CLK1, CLK2, and CLK3. The negative voltages of the ground voltage (0V) and the power supply (VCI) are respectively determined. It has one of the voltage levels (-VCI).

표 2를 참조하면, 첫 번째 단위전하펌프의 2개의 노드(N1, N2)의 전압(VN1, VN2)은 프리차지 제어회로(410, 420), 펌핑 커패시터(C1, C2) 및 4개의 제어클럭신호(CLK0 ~ CLK3)들에 의해 입력전압(0V)과 공급전압(VCI)의 음의 전압준위(-VCI) 사이에서 스윙한다. Referring to Table 2, the voltages VN1 and VN2 of the two nodes N1 and N2 of the first unit charge pump are precharge control circuits 410 and 420, pumping capacitors C1 and C2 and four control clocks. The signals CLK0 to CLK3 swing between the input voltage 0V and the negative voltage level -VCI of the supply voltage VCI.

도 5에 도시된 첫 번째 t4의 구간동안 제1제어클럭신호(CLK0) 및 제3제어클럭신호(CLK2)가 VCI[V]의 전압준위를 가지므로 제1노드(N0) 및 제2부스트랩 노드(N2)는 0V의 전압준위를 가지게 되고, 제2제어클럭신호(CLK1) 및 제4제어클럭신호(CLK3)가 0V의 전압준위를 가지므로 제1부스트랩 노드(N1) 및 제4노드(N3)는 -VCI의 전압준위를 가진다. Since the first control clock signal CLK0 and the third control clock signal CLK2 have a voltage level of VCI [V] during the first t4 period shown in FIG. 5, the first node N0 and the second boost strap. The node N2 has a voltage level of 0V, and the first control node N1 and the fourth node because the second control clock signal CLK1 and the fourth control clock signal CLK3 have a voltage level of 0V. (N3) has a voltage level of -VCI.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1)의 게이트에 연결된 제1노드(N0)의 전압준위가 0V이고 일 단자에 연결된 입력전압(IN)의 전압준위가 0V이므로, 이 구간에서는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1)는 턴 오프 된다. 반대로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2)의 게이트에 연결된 제4노드(N3)의 전압준위는 -VCI이고 일 단자에 연결된 입력전압(IN)의 전압준위는 0V이므로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2)는 턴 온 된다. Since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node N0 connected to the gate of the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1 is 0V and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voltage IN connected to one terminal is 0V, the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1 is in this period. ) Is turned off. On the contrary, since the voltage level of the fourth node N3 connected to the gate of the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2 is -VCI and the voltage level of the input voltage IN connected to one terminal is 0V, the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2 is It is turned on.

제1부스트랩 노드(N1)의 전압이 -VCI이고 제2부스트랩 노드(N2)의 전압이 0V이므로,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2)는 턴 오프 되고,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1)는 턴 온 되어, 제1부스트랩 노드(N1)의 전압 -VCI가 출력단자(OUT)로 전달된다. Since the voltage of the first bootstrap node N1 is -VCI and the voltage of the second bootstrap node N2 is 0V,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2 is turned off and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1 is turned off. When turned on, the voltage -VCI of the first boost strap node N1 is transferr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도 5에 도시된 두 번째 t1의 시간구간동안 4개의 제어클럭신호들(CLK0 ~ CLK3)의 전압준위는 첫 번째 t4의 구간동안 가졌던 전압준위와 반대의 전압준위를 가진다. t1 구간에서의 제어클럭신호들의 위상은 상술한 t4 구간에서의 제어클럭신호들의 위상과 반대인 점을 제외하고는 모든 트랜지스터들이 동일한 원리에 의해 동작하므로, 이하에서는 t1 구간에서의 트랜지스터들의 동작의 결과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The voltage levels of the four control clock signals CLK0 to CLK3 during the second t1 time period shown in FIG. 5 have a voltage level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t4. Since all the transistors operate on the same principle except that the phases of the control clock signals in the t1 section are opposite to the phases of the control clock signals in the t4 section, 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transistors in the t1 section. Explain only about.

도 5를 참조하면, 제1부스트랩 노드(N1)는 0V의 전압준위를 가지고 제2부스트랩 노드(N2)는 -VCI의 전압준위를 가진다. 이 때 -VCI로 펌핑된 제2부스트랩 노드(N2)의 전압(-VCI)이 턴 온 된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2)를 경유하여 출력단자(OUT)로 전달된다. Referring to FIG. 5, the first bootstrap node N1 has a voltage level of 0V and the second bootstrap node N2 has a voltage level of -VCI. At this time, the voltage (-VCI) of the second boost strap node N2 pumped with -VCI is transferr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via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2 turned on.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클럭신호 한 사이클 동안 2번의 전하 펌핑이 일어나고, 0[V]와 VCI[V]로 스위칭하는 클럭 신호를 사용하므로 출력단자(OUT)의 전압(VOUT)은 계속하여 부스팅 된 -VCI의 전압준위를 유지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wo charge pumpings occur during one cycle of the control clock signal, and the voltage VOUT of the output terminal OUT is continuously boosted by using a clock signal that switches between 0 [V] and VCI [V]. Maintains the voltage level of the VCI.

한편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1)가 턴 오프 된 이후 제2전하 펌핑 커패시터(C1)에 의해 전하 펌핑이 일어나고,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2)가 턴 오프 된 이후에는 제3전하 펌핑 커패시터(C2)에 의해 전하 펌핑이 일어나므로 펌핑 된 양전하가 프리차징 트랜지스터인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1)와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2)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펌핑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charge pumping occurs by the second charge pumping capacitor C1 after the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1 is turned off, and after the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2 is turned off, the third charge pumping capacitor C2 is turned off. Since charge pumping occurs, the pumped positive charge may be prevented from escaping through the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1 and the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2 which are precharging transistors, thereby increasing the pumping current.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형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 회로도이다. 6 is a circuit diagram of a second type two 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제2형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600)는, 크로스 커플드 NMOS 전하전달스위치(MN1, MN2), 크로스 커플드 PMOS 전하전달스위치(MP1, MP2), 벌크바이어스공급부(610 ~ 640), 복수 개의 전하 펌핑 커패시터(C1, C2), 부스트랩 노드 프리차지부(650) 및 부스트랩 노드 과전압 방지부(660)를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second type 2 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600 includes cross coupled NMOS charge transfer switches MN1 and MN2, cross coupled PMOS charge transfer switches MP1 and MP2, and a bulk bias. A supply unit 610 to 640, a plurality of charge pumping capacitors C1 and C2, a boost node precharge unit 650, and a boost nod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660 are provided.

크로스 커플드 PMOS 전하전달스위치는 2개의 전하전달 트랜지스터들(MP1, MP2)을 구비한다.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1)는 게이트에 인가되는 제2부스트랩 노드(N2)의 전압준위(VN2)에 따라 일 단자에 연결된 입력신호(IN)의 전압준위(VIN)를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된 제1부스트랩 노드(N1)로 스위칭한다.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2)는 게이트에 인가되는 제1부스트랩 노드(N1)의 전압준위(VN1)에 따라 일 단자에 연결된 입력신호(IN)의 전압준위(VIN)를 다른 일 단자에 연결된 제2부스트랩 노드(N2)로 스위칭하는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2)를 구비한다. The cross coupled PMOS charge transfer switch has two charge transfer transistors MP1 and MP2. The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1 connects the voltage level VIN of the input signal IN connected to one terminal to the other terminal according to the voltage level VN2 of the second boost strap node N2 applied to the gate. Switch to the first bootstrap node N1. The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2 connects the voltage level VIN of the input signal IN connected to one terminal to the other terminal according to the voltage level VN1 of the first boosting node N1 applied to the gate.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2 switches to the second boost strap node N2.

크로스 커플드 NMOS 전하전달스위치는, 2개의 전하전달 트랜지스터들(MN1, MN2)을 구비한다.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1)는 게이트에 인가되는 제2부스트랩 노드(N2)의 전압준위(VN2)에 따라 일 단자에 연결된 제1부스트랩 노드(N1)의 전압준위(VN1)를 출력단자(OUT)로 스위칭한다.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2)는 게이트에 인가되는 제1부스트랩 노드(N1)의 전압준위(VN1)에 따라 일 단자에 연결된 제2부스트랩 노드(N2)의 전압준위(VN2)를 출력단자(OUT)로 스위칭한다. The cross coupled NMOS charge transfer switch has two charge transfer transistors MN1 and MN2.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1 outputs the voltage level VN1 of the first boost node N1 connected to one terminal according to the voltage level VN2 of the second boost node N2 applied to the gate. Switch to (OUT).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2 outputs the voltage level VN2 of the second boost strap node N2 connected to one terminal according to the voltage level VN1 of the first boost strap node N1 applied to the gate. Switch to (OUT).

벌크바이어스공급부(610 ~ 640)는, 크로스 커플드 PMOS 전하전달스위치(MP1, MP2) 및 크로스 커플드 NMOS 전하전달스위치(MN1, MN2)로 사용되는 트랜지스터들(MP1, MP2, MN1, MN2)의 벌크에 각각 바이어스를 공급한다. The bulk bias supply unit 610 to 640 may include the transistors MP1, MP2, MN1, and MN2 used as the cross coupled PMOS charge transfer switches MP1 and MP2 and the cross coupled NMOS charge transfer switches MN1 and MN2. The bias is supplied to the bulk respectively.

제1벌크 바이어스 회로(610)는 일 단자가 입력단자(IN)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제1부스트랩 노드(N1)의 전압(VN1)이 인가되는 제3PMOS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P3) 및 일 단자가 제1부스트랩 노드(N1)가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와 벌크, 제3PMOS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P3)의 다른 일 단자와 벌크 그리고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1)의 벌크가 공통으로 연결되며 게이트에 입력전압(VIN)이 인가되는 제4PMOS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P4)를 구비한다. In the first bulk bias circuit 610, a third PMOS bias transistor MP3 and one terminal of which one terminal is connected to an input terminal IN and a voltage VN1 of the first boosting node N1 is applied to a gate thereof are formed. The first boost node N1 is connected, the other terminal and the bulk, the other terminal and the bulk of the third PMOS bias transistor MP3, and the bulk of the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1 are connected in common, and the input voltage ( And a fourth PMOS bias transistor MP4 to which VIN is applied.

제2벌크 바이어스 회로(620)는 일 단자가 입력단자(IN)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제2부스트랩 노드(N2)의 전압(VN2)이 인가되는 제5PMOS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P5) 및 일 단자가 제2부스트랩 노드(N2)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와 벌크, 제5PMOS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P5)의 다른 일 단자와 벌크 그리고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2)의 벌크가 공통으로 연결되며 게이트에 입력전압(VIN)이 인가되는 제6PMOS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P6)를 구비한다. The second bulk bias circuit 620 includes a fifth PMOS bias transistor MP5 and one terminal of which on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and a voltage VN2 of the second boost strap node N2 is applied to the gate. The other terminal and the bulk, the other terminal and the bulk of the fifth PMOS bias transistor (MP5) and the bulk of the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2) are commonly connected and the input voltage ( And a sixth PMOS bias transistor MP6 to which VIN is applied.

제3벌크 바이어스 회로(630)는 일 단자가 제1부스트랩 노드(N1)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출력전압(VOUT)이 인가되는 제3NMOS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N3) 및 일 단자가 출력단자(OUT)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와 벌크, 제3NMOS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N3)의 다른 일 단자와 벌크 그리고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1)의 벌크가 공통으로 연결되며 게이트에 제1부스트랩 노드(N1)의 전압(VN1)이 인가되는 제4NMOS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N4)를 구비한다. The third bulk bias circuit 630 has a third NMOS bias transistor MN3 and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boost strap node N1 and an output voltage VOUT applied to a gate thereof, and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The other terminal and the bulk, the other terminal and the bulk of the third NMOS bias transistor MN3 and the bulk of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1 are connected in common and the voltage of the first boost node N1 to the gate ( And a fourth NMOS bias transistor MN4 to which VN1 is applied.

제4벌크 바이어스 회로(640)는 일 단자가 제2부스트랩 노드(N2)에 연결되고 게이트에 출력전압(VOUT)이 인가되는 제5NMOS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N5) 및 일 단자가 출력단자(OUT)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와 벌크, 제5NMOS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N5)의 다른 일 단자와 벌크 그리고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2)의 벌크가 공통으로 연결되며 게이트에 제2부스트랩 노드(N2)의 전압(VN2)이 인가되는 제6NMOS 바이어스 트랜지스터(MN6)를 구비한다. The fourth bulk bias circuit 640 has a fifth NMOS bias transistor MN5 hav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boost strap node N2 and an output voltage VOUT applied to a gate thereof, and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The other terminal and the bulk, the other terminal and the bulk of the fifth NMOS bias transistor (MN5) and the bulk of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2) are commonly connected and the voltage of the second boost node (N2) to the gate ( VN2) includes a sixth NMOS bias transistor MN6.

제1전하 펌핑 커패시터(C1)는 제1제어클럭신호(CLK1)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I1)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1부스트랩 노드(N1)에 연결되며, 제2전하 펌핑 커패시터(C2)는 제2제어클럭신호(CLK2)의 위상을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I2)의 출력단자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부스트랩 노드(N2)에 연결된다. The first charge pumping capacitor C1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inverter I1 for inverting the phase of the first control clock signal CLK1 and the oth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rst boost node N1. The second charge pumping capacitor C2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inverter I2 which inverts the phase of the second control clock signal CLK2, and the other terminal thereof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ost node N2.

부스트랩 노드 프리차지부(650)는 일 단자가 제1부스트랩 노드(N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 및 게이트 단자에 입력단자(IN)가 연결되며 벌크가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1)의 벌크에 공통으로 연결된 제1프리차지 트랜지스터(MN7) 및 일 단자가 제2부스트랩 노드(N2)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 및 게이트 단자에 입력단자(IN)가 연결되며 벌크가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2)의 벌크에 공통으로 연결되 제2프리차지 트랜지스터(MN8)를 구비한다. The boost node precharge unit 650 has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boost node N1, an input terminal IN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 and the gate terminal, and a bulk of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1. The first precharge transistor MN7 and one terminal commonly connected to the bulk are connected to the second boost strap node N2, the input terminal IN is connected to the other one terminal and the gate terminal, and the bulk is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 second precharge transistor MN8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bulk of the MN2.

부스트랩 노드 과전압 방지부(660)는 일 단자가 제1부스트랩 노드(N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 및 게이트 단자가 출력단자(OUT)에 연결되며 벌크가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1)의 벌크에 공통으로 연결된 제1과전압방지 트랜지스터(MN7) 및 일 단자가 제2부스트랩 노드(N2)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 및 게이트 단자가 출력단자(OUT)에 연결되며 벌크가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2)의 벌크에 공통으로 연결된 제2과전압방지 트랜지스터(MN8)를 구비한다. The boost nod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660 has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boost node N1, the other terminal and the gate terminal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and the bulk of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1. The first overvoltage protection transistor MN7 and one terminal commonly connected to the bulk are connected to the second boost strap node N2, the other one terminal and the gate terminal ar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and the bulk is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The second overvoltage prevention transistor MN8 is commonly connected to the bulk of the MN2.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형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의 내부 노드들의 정상상태에서의 파형도이다. FIG. 7 is a waveform diagram in a steady state of internal nodes of the second type two 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illustrated in FIG. 6.

도 7을 참조하면, 처음 t4의 시간구간동안 제1제어클럭신호(CLK1)와 제2제어클럭신호(CLK2)는 각각 0V[V]와 VCI[V]의 전압준위를 가진다. 이 때 제1부스트랩 노드(N1)와 제2부스트랩 노드(N2)의 전압준위는 각각 (VIN-VCI) 및 VIN이 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first control clock signal CLK1 and the second control clock signal CLK2 have voltage levels of 0 V [V] and VCI [V], respectively, during the first time period t4. At this time, the voltage levels of the first and second strap nodes N1 and N2 are VIN-VCI and VIN, respectively.

따라서 여기서 VIN이 0[V]일 때, 입력단자(IN)에 연결된 일 단자에는 0V가 인가되는데 게이트에 VCI가 인가되기 때문에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1)는 턴 오프 되고, 입력단자(IN)에 연결된 일 단자에는 0V가 인가되지만 게이트에 VIN-VCI[V] 즉 -VCI[V]가 인가되는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2)는 턴 온 된다. 제2전하 펌핑 커패시터(C2)의 일 단자에 인가되는 제2제어클럭신호(CLK2)가 VCI[V]이므로, 입력단자(IN)로부터 인가되는 0[V] 전압에 대응되는 전하는 제2전하 펌핑 커패시터(C2)의 다른 일 단자를 이루는 제2부스트랩 노드(N2)의 전압을 0[V]로 프리차지 시킨다. Therefore, when VIN is 0 [V], 0V is applied to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but since VCI is applied to the gate, the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1 is turned off and the input terminal IN is turned on. 0V is applied to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2 to which VIN-VCI [V], that is, -VCI [V] is applied to the gate. Since the second control clock signal CLK2 applied to one terminal of the second charge pumping capacitor C2 is VCI [V], the charge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0 [V] applied from the input terminal IN is pumped on the second charge. The voltage of the second boost strap node N2 constituting the other terminal of the capacitor C2 is precharged to 0 [V].

제1제어클럭신호(CLK1)의 전압준위가 0[V]가 됨에 따라 제1부스트랩 노드(N1)는 -VCI[V] 전압으로 부스팅 된다. 일 단자가 -VCI의 전압준위를 가지고 게이트에 0[V]가 인가되는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1)는 턴 온 되고, 일 단자가 0[V]의 전압준위를 가지고 게이트에 -VCI가 인가되는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2)는 턴 오프 된다. 따라서 제1부스트랩 노드(N1)의 -VCI 전압은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1)를 경유하여 출력단자(OUT)로 전달된다. As the voltage level of the first control clock signal CLK1 becomes 0 [V], the first boost strap node N1 is boosted to the voltage of -VCI [V].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1 whose one terminal has a voltage level of -VCI and 0 [V] is applied to the gate is turned on, and one terminal has a voltage level of 0 [V] and -VCI is applied to the gate.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2 is turned off. Therefore, the -VCI voltage of the first boost node N1 is transferr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via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1.

두 번째 t1로 표시된 시간 구간동안에는, 제1부스트랩 노드(N1)는 0[V]의 전압준위를 가지고 제2부스트랩 노드(N2)는 VIN-VCI[V] 즉, -VCI의 전압준위를 가지게 되면,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1)는 턴 오프 되고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2)가 턴 온 된다. 따라서 제2부스트랩 노드(N2)의 펌핑 된 전하가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2)를 통해 출력단자(OUT)에 전달된다. During the time interval indicated by the second t1, the first boost strap N ... has a voltage level of 0 [V] and the second boost node N2 has a VIN-VCI [V], that is, a -VCIì ~~ voltage level. In this case,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1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2 is turned on. Therefore, the pumped charge of the second boost strap node N2 is transferr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through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2.

상기의 동작은 도 4에 도시된 단위전하펌프의 동작을 설명한 것을 참조하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above operation can be easily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of the unit charge pump illustrated in FIG. 4,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부스트랩 노드 과전압 방지부(660)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단위전하펌프의 부스트랩 노드 과전압 방지부(450)에 대한 설명에서 이미 언급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부스트랩 노드 프리차지부(650)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Since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boost nod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660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boost nod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450 of the unit charge pump illustrated in FIG. 4, the boost node precharge unit 650 will be described below. ) Operation and effects will be described.

단위전하펌프(600) 회로의 초기 동작 시, 제1부스트랩 노드(N1) 및 제2부스트랩 노드(N2)는 부스트랩 노드 프리차지부(650)에 의해 (VIN+VTP)[V]로 프리차지 된다. 여기서 VTP는 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1, MP2)의 문턱전압을 의미한다. 부스트랩 노드 프리차지부(650)를 구성하는 2개의 프리차지 모스트랜지스터(MP7, MP8)의 일 단자 및 게이트 단자가 입력전압(VIN)이 인가되는 입력단자(IN)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2개의 프리차지 모스트랜지스터(MP7, MP8)의 다른 일 단자에 각각 연결된 제1부스트랩 노드(N1) 및 제2부스트랩 노드(N2)가 각각 (VIN+VTP)[V] 프리차지 되고 일정한 짧은 순간이 지나면, 상기 2노드의 전압 값이 서로 대칭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unit charge pump 600 circuit, the first boost node N1 and the second boost node N2 are (VIN + V TP ) [V] by the boost node precharge unit 650. Precharged to Here, V TP means threshold voltages of the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s MP1 and MP2. Since one terminal and the gate terminal of the two precharge MOS transistors MP7 and MP8 constituting the boost node precharge unit 650 ar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to which the input voltage VIN is applied, The first boost strap node N1 and the second boost strap node N2 connected to the other terminals of the precharge morph transistors MP7 and MP8 are respectively precharged (VIN + V TP ) [V] and have a constant short moment. After this, the voltage values of the two nodes operate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여기서 2개의 제어클럭신호(CLK1, CLK2)는 비 중첩(non-overlap)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중첩되더라도 상관없다. Here, the two control clock signals CLK1 and CLK2 generally use non-overlap signals, but they may be overlapped.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2형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의 부스트랩 노드의 전압을 나타낸다. FIG. 8 shows the voltage of the boost strap node of the second type two 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형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의 경우 내장시킨 부스트랩 노드 프리차지부(650)의 작용에 의해 제1부스트랩 노드(N1) 및 제2부스트랩 노드(N2)의 전압의 서로 대칭적으로 천이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in the case of the second type two-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bootstrap node N1 and the second portion are formed by the action of the boost node precharge unit 650 embedded therein. It can be seen that the voltages of the strap nodes N2 shift symmetrically with each other.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2형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의 대기 모드 시 부스트랩 노드의 전압을 나타낸다. FIG. 9 illustrates the voltage of the boost strap node in the standby mode of the second type two 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도 9를 참조하면, 단위전하펌프가 정상상태에서 대기 모드 진입 시, 종래(Conventional)의 크로스 커플드 전하 펌프는 일정 시간(약 0.3 ms) 동안 출력단과 펌핑 노드 사이에 고전압이 걸려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제2형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Proposed)는 |VTN| 정도의 전압차로 펌핑 노드의 전압(N1, N2)이 출력전압(VOUT)을 따라가는 것을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9, when the unit charge pump enters the standby mode in a normal state, a conventional cross-coupled charge pump has a high voltage appli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 and the pumping node for a predetermined time (about 0.3 ms). Type 2 two-phase cross-coupled unit charge pump (Proposed) according to | V TN | It can be seen that the voltages N1 and N2 of the pumping node follow the output voltage VOUT with the voltage difference of the degree.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In the above descrip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way of example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apparent that any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it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의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 회로도의 일예이다. 1 i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two-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circuit diagram.

도 2는 종래의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 회로도의 다른 일예이다. 2 is another example of a conventional two-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circuit diagram.

도 3은 시간의 변화에 따른 부스트랩 단자(N1, N2)의 전압 파형을 나타낸다. 3 shows voltage waveforms of the boost straps N1 and N2 with tim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형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 회로도이다. 4 is a circuit diagram of a first type two 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형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의 내부 단자들의 정상상태(steady-state)에서의 파형도이다. FIG. 5 is a waveform diagram in steady-state of internal terminals of the first type two 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illustrated in FIG. 4.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형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 회로도이다. 6 is a circuit diagram of a second type two 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형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의 내부 노드들의 정상상태에서의 파형도이다. FIG. 7 is a waveform diagram in a steady state of internal nodes of the second type two 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illustrated in FIG. 6.

도 8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2형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의 부스트랩 노드의 전압을 나타낸다. FIG. 8 shows the voltage of the boost strap node of the second type two 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도 9는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2형 2 페이즈 크로스 커플드 단위전하펌프의 대기 모드 시 부스트랩 노드의 전압을 나타낸다. FIG. 9 illustrates the voltage of the boost strap node in the standby mode of the second type two phase cross coupled unit charge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6.

Claims (8)

입력단자(IN)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전압(VIN)을 제1부스트랩 노드(N1)로 스위칭하는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1); A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1 for switching the input voltage VIN applied from the input terminal IN to the first boost node N1; 상기 입력전압(VIN)을 제2부스트랩 노드(N2)로 스위칭하는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2); A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2) for switching the input voltage (VIN) to a second boost strap node (N2); 상기 제1부스트랩 노드의 전압을 출력단자(OUT)로 스위칭하는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1); A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1) for switching the voltage of the first boost strap node to an output terminal (OUT); 상기 제2부스트랩 노드의 전압을 상기 출력단자(OUT)로 스위칭하는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2); A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2) for switching the voltage of the second boost strap node to the output terminal (OUT); 상기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프리차지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프리차지 제어부(410, 420); A precharge control unit (410, 420) for applying a precharge control signal to the gates of the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nd the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상기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의 벌크에 제1벌크바이어스를 공급하고 상기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의 벌크에 제2벌크바이어스를 공급하는 벌크바이어스공급부(430, 440); A bulk bias supply unit (430, 440) for supplying a first bulk bias to the bulk of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nd a second bulk bias to the bulk of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복수 개의 제어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단자와 상기 제1부스트랩 노드 및 상기 제2부스트랩 노드에 펌핑 되는 전하를 저장하는 펌핑 전하 저장부(C0 ~ C3); 및 A pumping charge storage unit configured to store charges pumped to the gate terminals of the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nd the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the first boost node and the second boost node in response to a plurality of control clock signals ( C0 to C3); And 일 단자가 상기 제1부스트랩 노드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2부스트랩 노드에 연결된 부스트랩 노드 과전압 방지부(450)를 구비하며, A boost strap nod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450 hav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bootstrap node and the 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bootstrap node; 상기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크로스 커플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전하펌프. The unit charge pump of claim 1, wherein the gates of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nd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re cross-coupl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 제어부(410, 420)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recharge control unit (410, 420), 상기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제1프리차지 제어신호(VN0)를 인가하는 제1프리차지 제어회로(410); 및 A first precharge control circuit 410 for applying a first precharge control signal VN0 to a gate of the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nd 상기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제2프리차지 제어신호(VN3)를 인가하는 제2프리차지 제어회로(420)를 구비하며, A second precharge control circuit 420 for applying a second precharge control signal VN3 to the gate of the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상기 제1프리차지 제어회로(410)는, The first precharge control circuit 410, 일 단자, 게이트 단자 및 벌크에 상기 입력전압이 인가되고 다른 일 단자로 상기 제1프리차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3PMOS 프리차지 트랜지스터(MP3); 및 A third PMOS precharge transistor (MP3) for applying the input voltage to one terminal, the gate terminal, and the bulk and generating the first precharge control signal to the other terminal; And 일 단자 및 벌크에 상기 입력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상기 제2프리차지 제어신호가 인가되며 다른 일 단자로 상기 제1프리차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4PMOS 프리차지 트랜지스터(MP4)를 구비하며, A fourth PMOS precharge transistor (MP4) configured to apply the input voltage to one terminal and the bulk, the second precharge control signal to a gate, and generate the first precharge control signal to the other terminal; 상기 제2프리차지 제어회로(420)는, The second precharge control circuit 420, 일 단자 및 벌크에 상기 입력전압이 인가되고 게이트에 상기 제1프리차지 제어신호가 인가되며 다른 일 단자로 상기 제2프리차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5PMOS 프리차지 트랜지스터(MP5); 및 A fifth PMOS precharge transistor (MP5) for applying the input voltage to one terminal and the bulk, the first precharge control signal to a gate, and generating the second precharge control signal to the other terminal; And 일 단자, 게이트 단자 및 벌크에 상기 입력전압이 인가되고 다른 일 단자로 상기 제2프리차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6PMOS 프리차지 트랜지스터(MP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전하펌프. And a sixth PMOS precharge transistor (MP6) for applying the input voltage to one terminal, the gate terminal, and the bulk and generating the second precharge control signal to the other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트랩 노드 과전압 방지부(450)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oost nod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450, 일 단자가 상기 제1부스트랩 노드(N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 및 게이트가 상기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벌크에 상기 제1벌크바이어스가 인가되는 제1NMOS 과전압방지 트랜지스터(MN7); 및 A first NMOS overvoltage protection transistor (MN7) hav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boost node (N1), the other terminal and gat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and the first bulk bias applied to a bulk; And 일 단자가 상기 제2부스트랩 노드(N2)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 및 게이트가 상기 출력단자에 연결되며 벌크에 상기 제2벌크바이어스가 인가되는 제2NMOS 과전압방지 트랜지스터(MN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전하펌프. And a second NMOS overvoltage protection transistor MN8 hav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boost strap node N2, the other terminal and gat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and the second bulk bias applied to a bulk. Unit charge pump. 제1항에 있어서, 펌핑 전하 저장부(C0 ~ C3)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pumped charge storage unit (C0 ~ C3), 일 단자에 제1제어클럭신호(CLK0)가 인가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제1펌핑 커패시터(C0); A first pumping capacitor C0 having a first control clock signal CLK0 applied to one terminal and the other terminal connected to a gate of the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일 단자에 제2제어클럭신호(CLK1)가 인가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1부스트랩 노드에 연결된 제2펌핑 커패시터(C1); A second pumping capacitor C1 having a second control clock signal CLK1 applied to one terminal and the 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boost strap node; 일 단자에 제3제어클럭신호(CLK2)가 인가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2부스트랩 노드에 연결된 제3펌핑 커패시터(C2); 및 A third pumping capacitor C2 having a third control clock signal CLK2 applied to one terminal and the 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boost strap node; And 일 단자에 제4제어클럭신호(CLK3)가 인가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연결된 제4펌핑 커패시터(C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전하펌프. And a fourth pumping capacitor (C3) having a fourth control clock signal (CLK3) applied to one terminal and the other terminal connected to a gate of the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입력단자(IN)로부터 인가되는 입력전압(VIN)을 제1부스트랩 노드(N1)로 스위칭하는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1); A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1 for switching the input voltage VIN applied from the input terminal IN to the first boost node N1; 상기 입력전압(VIN)을 제2부스트랩 노드(N2)로 스위칭하는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P2); A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P2) for switching the input voltage (VIN) to a second boost strap node (N2); 상기 제1부스트랩 노드의 전압을 출력단자(OUT)로 스위칭하는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1); A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1) for switching the voltage of the first boost strap node to an output terminal (OUT); 상기 제2부스트랩 노드의 전압을 상기 출력단자(OUT)로 스위칭하는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MN2); A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MN2) for switching the voltage of the second boost strap node to the output terminal (OUT); 상기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상기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상기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의 벌크에 각각 제1벌크바이어스, 제2벌크바이어스, 제3벌크바이어스 및 제4벌크바이어스를 각각 공급하는 벌크바이어스공급부(610 ~ 640); A first bulk bias, a second bulk bias, a third bulk bias, and a fourth bulk bias for the bulk of the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the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nd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respectively. Bulk bias supply unit for supplying each (610 ~ 640); 복수 개의 제어클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부스트랩 노드 및 상기 제2부스트랩 노드에 펌핑 되는 전하를 저장하는 펌핑 전하 저장부(C1, C2); A pumping charge storage unit (C1, C2) for storing charges pumped to the first boosting node and the second boosting node in response to a plurality of control clock signals; 일 단자가 상기 제1부스트랩 노드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제2부스트랩 노드에 연결된 부스트랩 노드 프리차지부(650); 및 A boost node precharge unit (650) hav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boost strap node and the other terminal connected to a second boost strap node; And 일 단자가 상기 제1부스트랩 노드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2부스트랩 노드에 연결된 부스트랩 노드 과전압 방지부(660)를 구비하며, A boost strap nod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660 hav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bootstrap node and the 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bootstrap node; 상기 제1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P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크로스 커플링 되고, 상기 제1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NMOS 전하전달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도 크로스 커플링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전하펌프. The gate of the first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nd the second P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is cross-coupled, the unit charge pump, characterized in that the gate of the first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and the second NMOS charge transfer transistor is also cross-coupl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트랩 노드 프리차지부(650)는,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oost node precharge unit 650, 일 단자가 상기 제1부스트랩 노드(N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 및 게이트가 상기 입력단자(IN)에 연결되며 벌크에 상기 제1벌크바이어스가 인가되는 제1PMOS 프리차지 트랜지스터(MP7); 및 A first PMOS precharge transistor (MP7) hav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boost strap node (N1), the other terminal and gat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IN), and the first bulk bias applied to a bulk; And 일 단자가 상기 제2부스트랩 노드(N2)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 및 게이트가 상기 입력단자에 연결되며 벌크에 상기 제2벌크바이어스가 인가되는 제2PMOS 프리차지 트랜지스터(MP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전하펌프. And a second PMOS precharge transistor MP8 to which on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second boost strap node N2, the other terminal and gate ar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and the second bulk bias is applied to the bulk. Unit charge pump.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트랩 노드 과전압 방지부(660)는,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oost node overvoltage protection unit 660, 일 단자가 상기 제1부스트랩 노드(N1)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 및 게이트가 상기 출력단자(OUT)에 연결되며 벌크에 상기 제3벌크바이어스가 인가되는 제1NMOS 과전압방지 트랜지스터(MN7); 및 A first NMOS overvoltage prevention transistor (MN7) hav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boost strap node (N1), the other terminal and gate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UT), and the third bulk bias applied to a bulk; And 일 단자가 상기 제2부스트랩 노드(N2)에 연결되고 다른 일 단자 및 게이트가 상기 입력단자에 연결되며 벌크에 상기 제4벌크바이어스가 인가되는 제2NMOS 과전압방지 트랜지스터(MN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전하펌프. And a second NMOS overvoltage protection transistor MN8 having one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boost strap node N2, the other terminal and gate connected to the input terminal, and the fourth bulk bias applied to the bulk. Unit charge pum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 전하 저장부(C1, C2)는,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umped charge storage unit (C1, C2), 일 단자에 제1제어클럭신호(CLK1)가 인가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1부스트랩 노드(N1)에 연결된 제1펌핑 커패시터(C1); 및 A first pumping capacitor C1 having a first control clock signal CLK1 applied to one terminal and the 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boost strap node N1; And 일 단자에 제2제어클럭신호(CLK2)가 인가되고 다른 일 단자가 상기 제2부스트랩 노드(N2)에 연결된 제2펌핑 커패시터(C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위전하펌프. And a second pumping capacitor (C2) having a second control clock signal (CLK2) applied to one terminal and the other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boost strap node (N2).
KR1020070081760A 2007-08-14 2007-08-14 Unit charge pump KR1009266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760A KR100926677B1 (en) 2007-08-14 2007-08-14 Unit charge pu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760A KR100926677B1 (en) 2007-08-14 2007-08-14 Unit charge pump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195A KR20090017195A (en) 2009-02-18
KR100926677B1 true KR100926677B1 (en) 2009-11-17

Family

ID=40686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760A KR100926677B1 (en) 2007-08-14 2007-08-14 Unit charge pum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67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629B1 (en) * 2019-10-04 2021-07-23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Cell control circuit of embeded flash memo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1325B1 (en) 2001-01-18 2002-12-31 Cypress Semiconductor Corp. Low voltage supply higher efficiency cross-coupled high voltage charge pumps
US6864718B2 (en) 2003-02-20 2005-03-0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Charge pump level converter (CPLC) for dual voltage system in very low power application
US7002399B2 (en) 2002-03-29 2006-02-21 Stmicroelectronics, S.R.L. Basic stage for a charge pump circuit
JP2006230192A (en) 2005-02-17 2006-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rge pump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1325B1 (en) 2001-01-18 2002-12-31 Cypress Semiconductor Corp. Low voltage supply higher efficiency cross-coupled high voltage charge pumps
US7002399B2 (en) 2002-03-29 2006-02-21 Stmicroelectronics, S.R.L. Basic stage for a charge pump circuit
US6864718B2 (en) 2003-02-20 2005-03-08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Charge pump level converter (CPLC) for dual voltage system in very low power application
JP2006230192A (en) 2005-02-17 2006-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harge pump circuit for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195A (en)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02233B2 (en) Voltage multiplier with improved efficiency
US7208996B2 (en) Charge pump circuit
US6952129B2 (en) Four-phase dual pumping circuit
US7382176B2 (en) Charge pump circuit
US7116156B2 (en) Charge pump circuit
US20050093614A1 (en) Multi stage voltage pump circuit
US20060290410A1 (en) Efficient charge pump for a wide range of supply voltages
US6912159B2 (en) Boosting circuit and non-volatile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containing the same
JP2815293B2 (en) High efficiency n-channel charge pump
US7724073B2 (en) Charge pump circuit
US20100283533A1 (en) Charge pump circuit and method
US8421522B2 (en) High voltage generator and method of generating high voltage
US6605985B2 (en) High-efficiency power charge pump supplying high DC output currents
KR100883791B1 (en) High voltage generator and low voltage generator for driving gate line
JPH07271322A (en) Voltage conversion circuit
KR100909837B1 (en) Unit charge pump
KR100926677B1 (en) Unit charge pump
KR20090071860A (en) Vpp generator for low voltage dram with cross coupled charge pump
ITRM960898A1 (en) HIGH CURRENT CMOS CHARGE PUMP, IN PARTICULAR FOR FLASH EEPROM MEMORIES
JPH1141917A (en) Electronic apparatus
Lim et al. Charge pump design for TFT-LCD driver IC using stack-MIM capacitor
US6631081B2 (en) Capacitive high voltage generator
KR100452636B1 (en) Clock generator for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hich improves pumping efficiency by increasing switching width of clock
KR100986099B1 (en) Charge pump with bulk potential biasing circuit
JP2005018677A (en) Power supply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