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229B1 - 차세대 망에서 망요소의 형상정보 자동 수집방법 및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차세대 망에서 망요소의 형상정보 자동 수집방법 및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229B1
KR100926229B1 KR1020030009283A KR20030009283A KR100926229B1 KR 100926229 B1 KR100926229 B1 KR 100926229B1 KR 1020030009283 A KR1020030009283 A KR 1020030009283A KR 20030009283 A KR20030009283 A KR 20030009283A KR 100926229 B1 KR100926229 B1 KR 100926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element
shape information
soft switch
interlock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9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3631A (ko
Inventor
정문조
홍미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30009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229B1/ko
Publication of KR20040073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3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세대 망(NGN : Next Generation Network)을 구성하는 소프트스위치가 그 연동 망요소의 형상정보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수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스위치와 연동 망요소간 형상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상기 소프트스위치와 상기 연동 망요소에 각각 자신의 형상정보(시스템 국사번호, 가용포트수, 물리포트번호, 논리포트번호, 시스템종류, IP 주소)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소프트스위치가 상기 연동 망요소의 종류 및 IP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연동 망요소 정보 저장단계와; 상기 소프트스위치는 자신의 형상정보와, 상기 연동 망요소의 형상정보 요청메시지를 상기 연동 망요소에게 송신하는 요청메시지 송신단계와; 상기 소프트스위치는 상기 연동 망요소로부터 상기 형상정보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연동 망요소의 형상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망요소 형상정보 저장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소프트스위치와 상기 연동 망요소가 상기 연동 망요소에 대한 형상정보를 공유한다.
Figure R1020030009283
액세스게이트웨이, 액세스노드, NGN, 차세대 망, 형상정보

Description

차세대 망에서 망요소의 형상정보 자동 수집방법 및 기록매체{ Automatic topology data gathering method for network element in NGN }
도 1은 일반적인 망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망 형상정보 입력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
도 3은 일반적인 차세대 망의 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망요소의 형상정보 자동 수집기능을 구비한 소프트스위치와 임의의 망요소의 기능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스위치의 형상정보 자동 수집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0 : 소프트스위치 311 : 소프트스위치관리시스템
312 : 연동시스템데이터베이스 313 : 자동수집프로그램구동장치
314 : 메시지송신부 315 : 메시지수신부
316 : SSW 형상정보관리부 320 : 액세스게이트웨이
321 : 액세스게이트웨이관리시스템 330 : 망중개게이트웨이
331 : 망중개게이트웨이관리시스템 340 : 시그널링게이트웨이
341 : 시그널링게이트웨이관리시스템 350 : 트렁크게이트웨이
351 : 트렁크게이트웨이관리시스템 360 : 전달망라우터
361 : 전달망라우터관리시스템
본 발명은 차세대 망(NGN : Next Generation Network)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세대 망을 구성하는 소프트스위치가 그 연동 망요소의 형상정보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수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음성, 데이터,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각각 별도의 망이 존재한다. 각각의 망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각각의 시스템은 자신의 시스템 정보와 자신과 연동된 시스템의 형상정보 및 망 연결정보를 입력하여야 한다. 망요소가 많을수록 그리고 망요소간의 구성이 복잡할수록 시스템 상호간 입력해 주어야 할 데이터는 많아지는데, 현재까지는 시스템 운용자가 수동으로 망요소의 형상정보를 입력하였다. 입력 자료는 망 구성도를 기반으로 하여 각각의 형상정보를 결정한 후 시스템 운용자에게 제공되고, 시스템 운용자는 이를 기반으로 시스템 운용 터미널을 통해 시스템에 입력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망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5종류의 시스템(A, B, C, D, E)(110, 120, 130, 140, 150)간 물리적 및 논리적인 연결을 가정한다. 각 시스템은 각각 해당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시스템(111, 121, 131, 141, 151)과 연동되어 망을 구성한다. 각 시스템(A, B, C, D, E)은 동일 국사 또는 타 국사에 수용되며 국사별 고유한 코드를 가진다. 여기서, 시스템 A(110), 시스템 B(120), 시스템 C(130), 시스템 D(140) 및 시스템 E(150)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시스템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시스템일 수도 있다. 각 시스템은 망에 필요한 기능요소에 따라 고유한 시스템 종류 및 시스템 번호를 가지며, 각각의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시스템(111, 121, 131, 141, 151)이 각각 존재한다.
망을 구성하는 요소는 시스템과 타 시스템을 연결하는 링크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시스템간을 연결하는 링크의 물리적 정보를 입력해 주어야만 시스템간 메시지들이 해당 물리적 링크를 통해 전달된다. 도 1에서, 시스템 A(110)와 시스템 B(120)간의 연결링크인 링크 a-b(link a-b)는 시스템 A(110)의 물리적 포트 P1과 시스템 B(120)의 물리적 포트 P1간을 연결한다. 또한, 시스템 A(110)의 물리적 포트 P2는 시스템 D(140)의 물리적 포트 P1과 링크 a-d(Link a-d)로 연결된다. 망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각 시스템(A, B, C, D, E)의 관리시스템을 통해 해당 각 시스템의 형상정보와, 해당 시스템과 연동된 시스템에 대한 형상정보(시스템 국사번호, 시스템 종류, 물리적 연결정보, 여유 물리링크정보)를 입력해 주어야 한다.
예컨대, 시스템 B가 자신의 형상정보와 자신과 연동된 시스템의 형상정보를 구성하는 방법을 도 2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시스템 B 관리시스템(121)은 시스템 B(120)와 연결되어 있는 연동시스템을 파악한다(S21). 이때, 시스템 B(120)의 연동시스템은 시스템 A(110), 시스템 C(130), 시스템 D(140), 및 시스템 E(150)임을 알 수 있다.
다음, 각 연동시스템별 위치 코드 즉, 시스템 A, C, D, E의 국사번호를 확인한다(S22). 그리고, 각 연동시스템에 연결된 물리링크 정보를 조사한다(S23). 즉, 시스템 A(110)와는 링크 a-b로 연결되며 연결 물리적 포트는 P1이고, 시스템 C(130)와는 링크 b-c로 연결되며 연결 물리적 포트는 P4이고, 시스템 D(140)와는 링크 b-d로 연결되며 연결 물리적 포트는 P2이고, 시스템 E(150)와는 링크 b-e로 연결되며 연결 물리적 포트는 P3이다.
다음, 각 연동시스템의 정보를 파악하는데, 각 시스템은 그 역할에 따라 로컬교환기, 라우터, ATM 스위치, 이더넷 스위치 등이 될 수 있는데, 해당 연동시스템의 종류를 판별하고, 각 연동시스템에 가용 여유링크 형상정보를 파악한다(S24). 각 연동시스템에 대한 형상정보를 수집한 후 운용관리시스템에 등록한다 (S25). 이때, 운용관리시스템에 등록해야 할 내용에는, 자체 시스템(시스템 B) 형상정보와, 연동시스템에 관한 정보와, 각 연동시스템별 형상정보(연동시스템의 국사번호, 시스템 종류, 물리적 연결 정보, 여유 링크번호 등)가 포함된다. 상술한 형상정보 구성방법은 각 시스템별로 동일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한편, 현재까지 각각 개별적으로 존재하던 망들을 통합하고, 음성, 비디오, 팩스, 데이터 등의 트래픽을 같은 링크를 통해 전송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차세대 망(NGN : Next Generation Network)이 제안되고 있다. 이 차세대 망은 PSTN망, 케이블망, 무선망, IP망 등의 별도의 망을 통합하는 망이다. 이들 망에 대한 통합 및 기능 계층분류를 목적으로 차세대 망에 대한 구조와 망요소들이 정의되고 있다.
도 3은 차세대 망(NGN)의 망 구성도이다. 차세대 망은 호 제어를 담당하는 소프트스위치(SSW : Soft Switch)(310) 및 관리시스템(SSEMS : 311), 각종 가입자단말을 수용하여 소프트스위치(310)와의 연결을 위한 프로토콜 처리 및 미디어 변환 등을 담당하는 액세스게이트웨이(AGW : Access Gateway)(320) 및 관리시스템(321), IP단말을 수용하여 IP할당, 인증 등을 수행하는 망중개게이트웨이(NMGW : Network Mediation Gateway)(330) 및 관리시스템(331), 기존의 공중회선교환망과 연동을 위한 시그널링게이트웨이(SGW : Signaling Gateway)(340), 트렁크게이트웨이(TGW : Trunk Gateway)(350) 및 그 관리시스템(SGW-EMS : 341, TGW-EMS : 351), 이들 망요소간 통신 신호 및 정보 스트림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망라우터(360) 및 관리시스템(361)으로 이루어진다.
종래 기술에 따른 망 형상정보 입력방법을 차세대 망에 적용할 경우, 각각의 망요소(소프트스위치(SSW : 310), 액세스게이트웨이(AGW : 320), 망중개게이트웨이(NMGW : 330), 시그널링게이트웨이(SGW : 340), 트렁크게이트웨이(TGW : 350), 전달망라우터(360))는 각기 자체 시스템에 관한 형상정보(시스템 국사번호, 포트 수, 연동시스템 종류, 시스템 종류, IP주소 등)를 등록해야 한다. 또한, 연동되는 시스템에 대한 정보(SSW 국사번호, 연결된 물리적 논리적 포트 번호, 시스템 종류, IP주소)에 대해 각각 시스템에서 입력해야 한다.
6개의 시스템이 연결되었다고 가정하면, 각 시스템마다 자체 시스템의 형상정보 등록과 연동시스템의 형상정보 등록을 해야 하므로 모두 12 그룹의 입력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각 그룹의 입력 작업은 운용자가 수작업으로 진행하는 것이므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소프트스위치의 작업 내용과 각 게이트웨이나 라우터의 작업 내용이 상이한 경우에는 시스템이 연동되지 않을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프트스위치가 다른 망요소의 형상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자신의 형상정보를 다른 망요소에게 전송함으로써, 각 망요소가 타 시스템의 형상정보를 자동으로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차세대 망에서 망요소의 형상정보 자동 수집방법 및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망에서, 소프트스위치와 연동 망요소간 형상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은, 상기 소프트스위치와 상기 연동 망요소에 각각 자신의 형상정보(시스템 국사번호, 가용포트수, 물리포트번호, 논리포트번호, 시스템종류, IP 주소)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소프트스위치가 상기 연동 망요소의 종류 및 IP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연동 망요소 정보 저장단계와; 상기 소프트스위치는 자신의 형상정보와, 상기 연동 망요소의 형상정보 요청메시지를 상기 연동 망요소에게 송신하는 요청메시지 송신단계와; 상기 소프트스위치는 상기 연동 망요소로부터 상기 형상정보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연동 망요소의 형상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망요소 형상정보 저장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소프트스위치와 상기 연동 망요소가 상기 연동 망요소에 대한 형상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소프트스위치에 상술한 바와 같은 연동 망요소의 형상정보 자동 수집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차세대 망에서 망요소의 형상정보 자동 수집방법 및 기록매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스위치는 연동되는 망요소에 형상정보를 질의하는 기능과, 응답된 내용을 중심으로 망요소의 형상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시스템 연동시 정보로 활용하는 기능과, 호 처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시 연동시스템으로부터 무응답인 경우 형상정보를 감시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소프트스위치 제어를 받는 다른 망요소들은 소프트스위치의 질의에 응답하는 기능과 소프트스위치로부터 수신된 형상정보를 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망요소의 형상정보 자동 수집기능을 구비한 소프트스위치와 임의의 망요소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에서 소프트스위치와 연동하는 망요소로는 차세대 망의 어떠한 망요소가 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게이트웨이라고 한정하여 설명한다.
소프트스위치는 운용자가 망을 구축시 연동되는 망요소의 IP 주소를 저장하 는 연동시스템데이터베이스(312)와, 형상정보 자동수집에 대한 프로그램을 실행 및 제어하는 자동수집프로그램구동장치(313)와, 자동수집프로그램구동장치(313)의 제어를 받아 연동되는 망요소의 IP 주소로 형상정보 요청(REQUEST)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송신부(314)와, 메시지송신부(314)가 송신한 형상정보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RESPONSE)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수신부(315)와, 메시지수신부(315)를 통해 수집된 연동 망요소의 형상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SSW 형상정보관리부(316)를 구비한다.
차세대 망의 다른 망요소(각종 게이트웨이 및 전달망라우터)(400)는 소프트스위치(310)로부터 형상정보 요청(REQUEST)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수신부(401)와, 수신된 형상정보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RESPONSE)메시지를 송신하는 메시지송신부(402)와, 형상정보를 관리하고 있다가 상기 메시지수신부(401)로부터 형상정보가 요청되면 자신의 형상정보를 메시지송신부(402)를 통해 소프트스위치에게 전송하고 상기 소프트스위치의 형상정보는 저장 관리하는 GW 형상정보관리부(403)를 구비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스위치의 형상정보 자동 수집방법을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다.
먼저, 소프트스위치 운용자는 소프트스위치관리시스템(311)을 이용하여 연동시스템데이터베이스(312)에 소프트스위치와 연동하는 망요소에 관한 정보(IP주소)를 입력한다(S501). 그리고, 소프트스위치의 형상정보를 입력하는데(S502), 이 형상정보에는 국사번호, 포트수, 물리포트번호, 논리포트번호, 시스템 종류, IP 주소 정보가 포함된다. 이 소프트스위치 형상정보는 SSW 형상정보관리부(316)를 통해 연동시스템데이터베이스(312)에 저장된다(S503). 이때, 소프트스위치와 연동되는 각각의 연동 망요소(400)도 자체 형상정보를 자신의 GW 형상정보관리부(403)에게 입력한다.
다음, 소프트스위치의 자동수집프로그램구동장치(313)는 형상정보 자동 프로그램을 구동하는데(S504), 먼저 연동시스템데이터베이스(312)에게 연동 망요소에 대한 정보를 요구한다(S505). 그러면, 연동시스템데이터베이스(312)는 연동 망요소에 대한 IP 정보를 자동수집프로그램구동장치(313)에게 제공한다(S506).
다음, 자동수집프로그램구동장치(313)는 메시지송신부(314)에게 해당 연동 망요소의 IP주소로 형상정보 수집을 위한 요청(REQUEST)메시지를 송신할 것을 요구한다(S507). 그러면, 메시지송신부(314)는 해당 연동 망요소(400)의 IP 주소로 형상정보 요청(REQUEST)메시지를 전송하는데(S508), 이 형상정보 요청메시지 내에는 소프트스위치의 형상정보(국사번호, 가용포트수, 물리포트번호, 논리포트번호, 시스템 종류, 및 IP주소)가 포함되어 전송되고, 해당 망요소의 형상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파라미터(국사번호, 가용포트수, 물리포트번호, 논리포트번호, 시스템 종류, 및 IP주소)가 포함되어 전송된다.
이러한 형상정보 요청메시지는 연동 망요소(400)의 메시지수신부(401)로 전송되며, 이 메시지수신부(401)는 이 형상정보 요청메시지를 수신하고 검토한 후 GW 형상정보관리부(403)에게 그 응답을 요구한다. 그러면 GW 형상정보관리부(403)는 수신된 소프트스위치의 형상정보를 기록 관리하고, 자신의 형상정보를 파악하여 메 시지송신부(403)에게 전송한다. 메시지송신부(403)는 소프트스위치(310)로부터 전송된 형상정보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를 생성하여 소프트스위치의 메시지수신부(315)에게 전송한다. 이 형상정보 응답메시지에는 해당 연동 망요소의 형상정보(국사번호, 가용포트수, 물리포트번호, 논리포트번호, 시스템 종류, IP 주소)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전송된다.
소프트스위치의 메시지수신부(315)는 해당 연동 망요소(400)로부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면(S509), 해당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연동 망요소의 형상정보 파라미터를 자동수집프로그램구동장치(313)에게 전송한다(S510). 자동수집프로그램구동장치(313)는 SSW 형상정보관리부(315)에게 수신된 연동 망요소의 형상정보를 저장할 것을 요구하고(S511), 그러면 SSW 형상정보관리부(316)는 연동 망요소의 형상정보를 연동시스템데이터베이스(312)에 기록 관리하며(S512), 이 정보는 호 처리를 위한 형상정보로 활용된다.
아울러, 자동수집프로그램구동장치(313)는 아직 수집되지 않은 다른 연동 망요소에 대해서도 위와 동일한 과정을 반복 수행하여, 모든 연동 망요소에 대한 형상정보를 수집한다.
상술한 소프트스위치의 망 형상정보 수집방법은 망 구축시뿐만 아니라 망 운용 중에도 수행 가능하며, 망 형상정보가 상이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태 불일치 현상을 감시하여 데이터 정보를 일치시킬 수 있다.
위에서 양호한 실시예에 근거하여 이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이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다. 이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에게는 이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함이 자명할 것이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될 것이며, 위와 같은 변화예나 변경예 또는 조절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세대 망을 구축시 망 형상정보를 입력할 때 수작업이 아니라 소프트스위치의 제어 하에 자동으로 입력하기 때문에 형상정보 입력 절차가 단순화되고 정확한 형상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소프트스위치와 다수의 연동 망요소로 이루어진 차세대 망에서, 상기 소프트스위치와 연동 망요소간 형상정보를 수집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스위치와 상기 연동 망요소에 각각 자신의 형상정보(시스템 국사번호, 가용포트수, 물리포트번호, 논리포트번호, 시스템종류, IP 주소)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소프트스위치는 상기 연동 망요소의 종류 및 IP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연동 망요소 정보 저장단계와;
    상기 소프트스위치는 자신의 형상정보와, 상기 연동 망요소의 형상정보 요청메시지를 상기 연동 망요소에게 송신하는 요청메시지 송신단계와;
    상기 소프트스위치는 상기 연동 망요소로부터 상기 형상정보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연동 망요소의 형상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망요소 형상정보 저장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소프트스위치와 상기 연동 망요소가 상기 연동 망요소에 대한 형상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망에서 망요소의 형상정보 자동 수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스위치로부터 형상정보 요청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연동 망요소는, 상기 소프트스위치의 형상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자신의 형상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자신의 형상정보를 포함한 응답메시지를 상기 소프트스위치 에게 전송하여, 상기 소프트스위치와 상기 연동 망요소가 상기 소프트스위치에 대한 형상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망에서 망요소의 형상정보 자동 수집방법.
  3. 각각 자신의 형상정보(시스템 국사번호, 가용포트수, 물리포트번호, 논리포트번호, 시스템종류, IP 주소)가 저장된 소프트스위치와 다수의 연동 망요소로 이루어진 차세대 망에서,
    상기 소프트스위치에 탑재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연동 망요소의 종류 및 IP 주소 정보를 저장하는 망요소 정보 저장단계와;
    상기 소프트스위치의 형상정보와, 상기 연동 망요소의 형상정보 요청메시지를 상기 연동 망요소에게 송신하는 요청메시지 송신단계와;
    상기 연동 망요소로부터 상기 형상정보 요청메시지에 대한 응답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 응답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연동 망요소의 형상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망요소 형상정보 저장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소프트스위치와 상기 연동 망요소가 상기 연동 망요소에 대한 형상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30009283A 2003-02-14 2003-02-14 차세대 망에서 망요소의 형상정보 자동 수집방법 및기록매체 KR100926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283A KR100926229B1 (ko) 2003-02-14 2003-02-14 차세대 망에서 망요소의 형상정보 자동 수집방법 및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9283A KR100926229B1 (ko) 2003-02-14 2003-02-14 차세대 망에서 망요소의 형상정보 자동 수집방법 및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631A KR20040073631A (ko) 2004-08-21
KR100926229B1 true KR100926229B1 (ko) 2009-11-09

Family

ID=3736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9283A KR100926229B1 (ko) 2003-02-14 2003-02-14 차세대 망에서 망요소의 형상정보 자동 수집방법 및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2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739A (ko) * 2000-06-21 2000-09-05 김성우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JP2001154955A (ja) 1999-11-26 2001-06-08 Nec Eng Ltd オブジェクトマッピング方式
JP2001223694A (ja) 2000-02-07 2001-08-17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
KR20020078758A (ko) * 2001-04-10 2002-10-19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Mib 네임 서버를 이용한 망 관리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4955A (ja) 1999-11-26 2001-06-08 Nec Eng Ltd オブジェクトマッピング方式
JP2001223694A (ja) 2000-02-07 2001-08-17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監視システム
KR20000054739A (ko) * 2000-06-21 2000-09-05 김성우 이질적인 통신망의 통합 성능관리장치
KR20020078758A (ko) * 2001-04-10 2002-10-19 현대네트웍스 주식회사 Mib 네임 서버를 이용한 망 관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3631A (ko) 200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0916A (en) Signaling network having common signaling node for protocol conversion
CN100579034C (zh) 上报设备信息的方法、获取设备信息的系统和设备
RU2009136529A (ru) Способ регистрации в сети, мобильная станция и сервер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абонентской информацией
US7000248B2 (en) Virtual network and virtual network connection system
JP2002077213A (ja) 加入者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
EP2494769B1 (en) Communications system
US201000402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number portability call among various telephone networks
KR100926229B1 (ko) 차세대 망에서 망요소의 형상정보 자동 수집방법 및기록매체
JPS6324742A (ja) パケツト交換輻輳抑止方式
CN101965005B (zh) 分布式接入网关系统
US20230308346A1 (en) Method for configuring a terminal device
JPH04278751A (ja) 通信制御方式
CN107113230B (zh) 确定通用路由封装gre隧道标识的方法、设备和系统
CA2340293A1 (en) Terminal-to-terminal communication connection control method using ip transfer network
CN113645117B (zh) 基于IPSec协议的多通道智能选路方法及系统
CN100544300C (zh) 实现信令网互通的方法
KR100511747B1 (ko) 신호 게이트웨이 시스템에서의 신호망 제원 운용 방법
CN101136845A (zh) 多协议路由配置装置及方法
CN101193153A (zh) 一种实现控制计费的方法、系统及装置
JP3001456B2 (ja) 交換機におけるプロトコル固有パラメータ吸収方式
CN101277344A (zh) 电话交换设备和电话系统
CN1889397B (zh) 一种智能光网络中的业务路径建立方法
JP2510280B2 (ja) アクセス情報パスの管理方式
JP3559545B2 (ja) トラヒック情報取得方法、トラヒック情報取得システム、データ量計測制御装置及び交換装置
US20050114546A1 (en) Method for establishing virtual intranet over internet based on a digital closed network constructed from a telephone exchange and a key telephone system and the virtual intranet structur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