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084B1 - 더블유 피 씨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 - Google Patents

더블유 피 씨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084B1
KR100926084B1 KR1020090066347A KR20090066347A KR100926084B1 KR 100926084 B1 KR100926084 B1 KR 100926084B1 KR 1020090066347 A KR1020090066347 A KR 1020090066347A KR 20090066347 A KR20090066347 A KR 20090066347A KR 100926084 B1 KR100926084 B1 KR 100926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oundproof
wpc
hollow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철
Original Assignee
최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철 filed Critical 최광철
Priority to KR1020090066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6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1Plank-lik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1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in the form of a fine jet, e.g. for use in wind-screen wash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2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specially adapted for sustaining vegetation or for accommodating plants ; Embankment-type or crib-type noise barriers; Retaining walls specially adapted to absorb or reflec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54Slab-like translucent elements
    • E04C2/543Hollow multi-walled panels with integrated we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76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은 외부벽과 내부에 복수의 격벽을 포함하되, 외부벽과 복수개의 격벽은 복수개의 중공 방음실을 형성하며, 방음벽 상부에 형성된 중공 방음실의 일부가 노출되며, 노출된 중공 방음실의 격벽에는 복수개의 끼움 돌기가 형성되며, 파이프 또는 파이프 외주면에 설치되는 커버의 노출된 중공 방음실에 수납되는 부분에 복수개의 끼움 돌기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제1 끼움홈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끼움 돌기 중 적어도의 일부가 대응되는 제1 끼움홈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을 함으로써, 노출된 중공 방음실에 파이프 및 파이프에 결합된 노즐이 수납되어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며, 또한, 노즐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노출된 중공 방음실을 밀폐하기 위하여, 제2 끼움홈이 복수개의 끼움 돌기의 적어도 나머지 일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패킹 플레이트에서, 복수개의 끼움 돌기의 적어도 나머지 일부에 대응되는 제2 끼움홈이 삽입되어 끼움 결합을 함으로써, 패킹 플레이트가 파이프의 전면에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WPC, 안개분출, 방음벽, 격벽, 중공 방음실, 노즐

Description

더블유 피 씨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Sound Proof Wall of Spraying by using WPC}
본 발명은 방음벽, 특히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산업과 기술이 발전하면서 환경문제가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소음 문제는 최근에 관심과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는 환경문제 중의 하나이다.
소음 문제 중에서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도로에서의 자동차 운행에 따른 소음을 들 수 있다. 도로변 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는 밤낮으로 발생하는 자동차 운행에 따른 소음 공해로 인하여, 삶의 질이 떨어지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자동차 운행에 따른 소음 공해를 저감하기 위하여 도로변에 방음벽이 설치되어야 한다. 방음벽으로 알루미늄 재질의 방음벽이 사용되어 왔으나, 비용이 지나치게 많이 들며, 방음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폴리카보네이트나 아 크릴계 재료를 이용한 방음벽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재질의 방음벽은 방음 기능을 효율적으로 달성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기존의 방음벽은 소음을 비산하도록 설계되기만 할 뿐, 소음이나 진동이 방음벽을 통과하는 문제점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기존의 방음벽은 재질의 질감이 그대로 노출되어 자연친화적 미관을 제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도로변의 주민들이나 자동차 운행자들에게 무미건조함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WPC 재질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이며 주위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음벽 내부에 복수개의 중공 방음실을 형성하여 소음이나 진동의 방음벽 통과를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는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공 방음실의 일부에 파이프 및 노즐을 설치하여, 방음벽 하단에 위치하는 화분이나 화단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즐을 통하여 수분을 분무하여 안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WPC(Wood Plastic Composite) 재질로 이루어지는 안개분출용 방음벽에 있어서, 외부벽과 내부에 복수개의 격벽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벽과 복수의 격벽은 복수개의 중공 방음실을 형성하며, 방음벽 상부에 형성된 중공 방음실의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중공 방음실의 상기 격벽에는 복수개의 끼움 돌기가 형성되며, 파이프 또는 파이프 외주면에 설치되는 커버의 상기 노출된 중공 방음실에 수납되는 부분에 상기 복수개의 끼움 돌기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제1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끼움 돌기 중 적어도의 일부가 대응되는 상기 제1 끼움홈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을 함으로써, 상기 노출된 중공 방음실에 상기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에 결합된 노즐이 수납되어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노즐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노출된 중공 방음실을 밀폐하기 위하여, 제2 끼움홈이 상기 복수의 끼움 돌기의 적어도 나머지 일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패킹 플레이트에서, 상기 복수의 끼움 돌기의 적어도 나머지 일부에 대응되는 제2 끼움홈이 삽입되어 끼움 결합을 함으로써, 상기 패킹 플레이트가 상기 파이프의 전면에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은 상기 외부벽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노즐은 상기 방음벽 하단에 화분이나 화단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 방음벽만으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방음벽의 내부는 외부벽과 복수개의 격벽에 의하여 복수개의 중공 방음실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중공 방음실은 상기 방음벽이 설치되는 방향에 수직으로 3중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WPC 재질을 이용하여 친환경적이며 주위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음벽 내부에 복수개의 중공 방음실을 형성하여 소음이나 진동의 방음벽 통과를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는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여, 중공 방음실의 일부에 파이프 및 노즐을 설치하여, 방음벽 하단에 위치하는 화분이나 화단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즐을 통하여 수분을 분무하여 안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PC를 이 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의 분해 단면도 및“A” 부위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의 단면도 및 “B” 부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100)은 WPC(Wood Plastic Composite) 재질로 구현된다.
상기 WPC는 천연목분(톱밥)에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 친환경 고분자 수지를 섞어 압축, 성형한 것으로 천연목재의 질감을 유지하면서 내구성 및 내수성 등을 갖춘 반영구적 신소재이다. 특히 WPC는 천연목재나 방부목에 비해 수분의 침투에 강하고 변색이나 뒤틀림이 없어 사후관리가 편리한 장점을 지닌다.
상기 WPC 재질로 구현되는 방음벽(100)의 외부벽(110)에는 나무 무늬가 부여되어, 자연친화적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WPC 재질을 이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이며 주위 환경과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방음벽(100)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100)의 내부는 복수개의 격벽(1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벽(110)과 복수개의 격벽(115)에 의하여 복수개의 중공 방음실(116)이 정의된다.
바람직하게는 방음벽(100)이 설치되는 방향에 수직으로 적어도 3중의 중공 방음실(118)이 정의된다.
상기 방음벽(100) 내부에 외부벽(110)과 복수개의 격벽(115)에 의하여 정의되는 복수개의 중공 방음실을 형성함으로써, 소음이나 진동이 방음벽(100)을 통과할 때, 복수개의 중공 방음실에서 이를 흡수하기 때문에, 소음 공해를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한, 방음벽(100) 상부에 형성된 중공 방음실의 일부는 노출되며, 노출된 중공 방음실에 방음벽(100) 하단에 위치하는 화분이나 화단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즐을 통하여 수분을 분무하여 안개 효과를 연출할 수 있도록 파이프(130) 및 노즐(120)이 수납되어 설치된다.
상기 노즐(120)은 파이프(130)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로 설치되며, 파이프(130)를 통하여 공급되는 물을 분사한다.
또한, 노출된 중공 방음실의 복수개의 격벽(115)에는 파이프(130) 및 노즐(120)이 수납되어 설치될 수 있도록 복수의 끼움 돌기(117)가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130)의 외부에는 커버(131)가 설치되며, 노출된 중공 방음실에 수납되는 커버(131) 부분에는 복수개의 끼움 돌기(117)에 대응되는 제1 끼움 홈(127)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파이프(130)의 외부에 커버(131)가 설치되지 않으며, 파이프(130)가 노출된 중공 방음실에 수납되는 부분에 복수개의 끼움 돌기(117)에 대응되는 제1 끼움 홈(127)이 파이프(130)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끼움 돌기(117)의 일부가 대응되는 제1 끼움 홈(127)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을 함으로써 파이프(130) 및 파이프(130)에 설치된 노즐(120)이 방음벽(100)의 노출된 중공 방음실에 수납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노즐(120)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노출된 중공 방음실을 밀폐하 기 위하여, 패킹 플레이트(125)가 파이프(130)의 전면에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패킹 플레이트(125)에는 제2 끼움 홈(133)이 복수의 끼움 돌기(117)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끼움 돌기(117)의 나머지 일부가 대응되는 패킹 플레이트(125)에 형성된 제2 끼움 홈(133)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을 함으로써 패킹 플레이트(125)가 파이프(130)의 전면에서 노즐(120)을 제외하도록 설치되어, 노출된 중공 방음실을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120)은 방음벽(100)의 외부벽(110)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이로써 방음벽(100) 하단에 위치하는 화분이나 화단에 수분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분을 분무하여 안개 효과를 효율적으로 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음벽(100) 하단에 화분이나 화단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외부벽(110)에 노즐(120)은 설치되지 않고 상기 방음벽(100)만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100)은 두 개의 수직 기둥(140)에 의하여 지지되며, 지지 대(150)의 상부에 플랜지부(155)를 개재하여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수단(157)을 이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대(150)의 하부 일측에는 화단 안착부(151)가 형성되며, 화단 안착부(151)에 화단(160)이 안착된다. 방음벽(100)의 상부의 중공 방음실에 설치되는 파이프 및 노즐을 통하여, 파이프를 통하여 물이 공급되며 공급되는 물은 노즐을 통하여 분사됨으로써, 방음벽(100) 하단에 위치하는 화분이나 화단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노즐을 통하여 수분을 분무하여 안개 효과를 연출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의 분해 단면도 및 “A” 부위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의 단면도 및 “B” 부위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이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방음벽 110 : 외부벽
115 : 복수개의 격벽 116 : 복수개의 중공 방음실
117 : 복수개의 끼움돌기 118 : 3중의 중공 방음실
120 : 노즐 125 : 패킹 플레이트
127 : 제1 끼움 홈 130 : 파이프
131 : 커버 133 : 제2 끼움 홈
140 : 수직기둥 150 : 지지대
151 : 화단 안착부 155 : 플랜지부
157 : 고정수단 160 : 화단

Claims (5)

  1. WPC(Wood Plastic Composite) 재질로 이루어지는 방음벽에 있어서,
    외부벽과 내부에 복수개의 격벽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벽과 복수개의 격벽은 복수개의 중공 방음실을 형성하며,
    방음벽 상부에 형성된 중공 방음실의 일부가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중공 방음실의 상기 격벽에는 복수개의 끼움 돌기가 형성되며, 파이프 또는 파이프 외주면에 설치되는 커버의 상기 노출된 중공 방음실에 수납되는 부분에 상기 복수개의 끼움 돌기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되는 제1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끼움 돌기 중 적어도의 일부가 대응되는 상기 제1 끼움홈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을 함으로써, 상기 노출된 중공 방음실에 상기 파이프 및 상기 파이프에 결합된 노즐이 수납되어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노즐이 설치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노출된 중공 방음실을 밀폐하기 위하여, 제2 끼움홈이 상기 복수개의 끼움 돌기의 적어도 나머지 일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된 패킹 플레이트에서, 상기 복수개의 끼움 돌기의 적어도 나머지 일부에 대응되는 제2 끼움홈이 삽입되어 끼움 결합을 함으로써, 상기 패킹 플레이트가 상기 파이프의 전면에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외부벽에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방음벽 하단에 화분이나 화단을 설치하지 않을 경우 방음벽만으로 설치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벽의 내부는 외부벽과 복수개의 격벽에 의하여 복수개의 중공 방음실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방음실은 상기 방음벽이 설치되는 방향에 수직으로 3중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여 특징으로 하는 WPC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
KR1020090066347A 2009-07-21 2009-07-21 더블유 피 씨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 KR100926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347A KR100926084B1 (ko) 2009-07-21 2009-07-21 더블유 피 씨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347A KR100926084B1 (ko) 2009-07-21 2009-07-21 더블유 피 씨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6084B1 true KR100926084B1 (ko) 2009-11-12

Family

ID=4156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347A KR100926084B1 (ko) 2009-07-21 2009-07-21 더블유 피 씨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60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69748A (zh) * 2015-12-08 2016-03-02 柳州汉西鸣建材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积水导排功能的声屏障单元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024Y1 (ko) 2000-03-27 2000-09-01 최유창 인공목재 차량 방음벽
JP2001349100A (ja) 2000-06-12 2001-12-21 Tatsuno Corp 防火塀
KR100466410B1 (ko) 2004-07-13 2005-01-13 정낙경 방음벽용 수지 방음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5024Y1 (ko) 2000-03-27 2000-09-01 최유창 인공목재 차량 방음벽
JP2001349100A (ja) 2000-06-12 2001-12-21 Tatsuno Corp 防火塀
KR100466410B1 (ko) 2004-07-13 2005-01-13 정낙경 방음벽용 수지 방음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69748A (zh) * 2015-12-08 2016-03-02 柳州汉西鸣建材发展有限公司 一种具有积水导排功能的声屏障单元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217B1 (ko) 흡음형 방음 패널
US20100243369A1 (en) Highway noise barrier
KR101836367B1 (ko) 소음 제거 성능이 향상된 흡음형 방음판 및 그것이 적용된 방음벽
KR101388799B1 (ko) 지주가림판과 블록식 프레임을 구비한 투명방음벽
KR102512257B1 (ko) 조류 충돌 방지용 투명 방음판
KR100926084B1 (ko) 더블유 피 씨를 이용한 안개분출용 방음벽
KR101220584B1 (ko) 조립식 흡음블록을 갖는 방음판
KR20090015672A (ko) 탈부착 식 방음판넬 구조
KR200407577Y1 (ko) 바닥 분수대
KR101153962B1 (ko) 조립식 지하 이중벽
KR200441451Y1 (ko) 목재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
CN211396782U (zh) 一种模块化卫生间
KR101018338B1 (ko) 목재형 문양 방음판
KR100912529B1 (ko)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
KR200333023Y1 (ko) 방음판넬의 구조
KR101263206B1 (ko) 소음 차단용 지주 방음덮개
KR20090011141A (ko) 방음판넬
KR200234764Y1 (ko) 소음방지용 방음패널의 전면치장부재
KR200313285Y1 (ko) 목재를 이용한 도심 도로용 방음 판넬
KR101493285B1 (ko) 유지보수 패널형 방음판 설치구조
CN212984872U (zh) 一种新型建筑施工用环保围挡
KR20040012097A (ko) 목재 또는 고강도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한 퍼즐식 방음판
KR101130580B1 (ko) 다목적 건축용 방음패널
KR200220430Y1 (ko) 다공질 콘크리트 방음패널
KR100663727B1 (ko) 친환경적인 단지 조성용 방음벽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