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529B1 -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 - Google Patents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529B1
KR100912529B1 KR1020090030970A KR20090030970A KR100912529B1 KR 100912529 B1 KR100912529 B1 KR 100912529B1 KR 1020090030970 A KR1020090030970 A KR 1020090030970A KR 20090030970 A KR20090030970 A KR 20090030970A KR 100912529 B1 KR100912529 B1 KR 1009125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wall
pattern
glyph
block
patter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프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프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프랜
Priority to KR1020090030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5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5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5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9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porous surfaces, e.g. concrete with porous fi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1Plank-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404Sound-absorbing elements block-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이는 소음의 차단 기능을 문양이 새겨진 블록을 통해 수행함과 동시에 이에 의해 심미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측을 따라 안착홈(11)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메인프레임(10)과; 모서리 외측은 라운딩처리되고 그 모서리 내측에는 관통홀(21a)이 형성된 테두리(21)와, 테두리(21) 내측 공간에 형성되는 문양부(22)로 구성되어, 메인프레임(10)의 안착홈(1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문양블록(20)과; 복수개의 문양블록(20)이 밀착되어 배치됨에 따라 이의 모서리 외측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체결볼트(31)와, 체결볼트(31)의 끝단과 결합되는 반구형 너트(32)와, 반구형 너트(32)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문양블록(20)의 일면과 밀착되는 접시형 캡(33)과, 접시형 캡(33)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문양블록(20)의 관통홀(21a)에 삽입되는 돌출리브(34)로 구성되는 고정부(30)와; 체결볼트(31)의 헤드에 슬라이딩방식에 따라 설치되는 끼움홈(41)이 일측에 형성된 버팀부(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방음벽을 구성하기 위한 문양블록을 견고히 고정시킴과 함께 미적인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문양, 블록, 방음벽, 흡음재, 요철부

Description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SOUNDPROOF WALL HAVING PATTERN BLOCK FIX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문양이 새겨진 복수개의 블록을 적층하여 이를 견고히 체결함으로써 방음벽을 형성하기 위한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또는 단지 주변과 같은 소음공해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는 장소에는 그 주위에 방음벽이 설치되어 그러한 소음이 차단되도록 하는데, 이러한 방음벽의 종류로는 소음을 반사시켜 방음벽의 외측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반사용 방음벽이나, 소음을 자체적으로 흡수하여 소멸시키는 흡음용 방음벽이나, 소음간의 간섭원리를 적용하여 그 원리를 통해 소음을 소멸시키는 소음간섭용 방음벽 등의 다양한 방음벽이 존재한다.
그러나 기존의 방음벽은 콘크리트, 금속재, 플라스틱 등을 주재료로 하여 방 음벽이 형성되는 이유로 그 재질 자체가 환경 친화적이지 못하거나, 단위 블록의 결합으로 형성된 방음벽에서는 이 블록간의 체결구조가 견고하지 못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방음벽의 소음 차단을 위한 구성요소로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가공이 가능한 블록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인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블록에 새겨진 입체적 문양을 통해 보는 이에게 심미적 효과와 소음의 소멸 기능을 기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블록간의 체결구조가 견고한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을 따라 안착홈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메인프레임과; 모서리 외측은 라운딩처리되고 그 모서리 내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테두리와, 상기 테두리 내측 공간에 형성되는 문양부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의 안착홈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문양블록과; 복수개의 상기 문양블록이 밀착되어 배치됨에 따라 이의 모서리 외측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끝단과 결합되는 반구형 너트와, 상기 반구형 너트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문양블록의 일면과 밀착되는 접시형 캡과, 상기 접시형 캡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문양블록의 관통홀에 삽입되는 돌출리브로 구성되는 고정부와; 상기 체결볼트의 헤드에 슬라이딩방식에 따라 설치되는 끼움홈이 일측에 형성된 버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시형 캡의 타측면에는 제1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문양블록의 테두리에는 그 제1 요철부에 맞물리는 제2 요철부가 형성되며, 상기 접시형 캡의 제1 요철부와 상기 테두리의 제2 요철부 사이에는 고무패드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으로 상기 메인프레임의 안착홈에 길이방향으로 칸막이가 설치됨에 따라 형성된 전방의 제1 안착홈에는 복수개의 상기 문양블록이 설치되고 후방의 제2 안착홈에는 흡음재 및 방음판이 끼움설치되며, 상기 문양블록, 흡음재 및 방음판은 상기 고정부 및 버팀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문양블록의 후방에는 이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된 삽입홈이 구비되고 그 삽입홈에는 상기 버팀부의 일부 또는 전체가 삽입가능하며, 복수개의 상기 문양블록 외주면에는 제3 요철부가 서로간에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은 수직 또는 수평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목재가 연속적으로 배치된 목재프레임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목재프레임은 지주에 고정되며, 상기 목재프레임 상측으로는 투명패널이 적층되고 이 투명패널 양측은 지주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은 황토, 목분, 숯분말과 같은 재료로도 압출성형이 가능한 문양블록을 통해 방음벽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환경 친화적인 방음벽의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문양블록 제작 시에 형성되는 문양부에서는 시각적으로 아름다움을 느끼도록 하고, 소음이 이러한 문양부로 유입됨에 따라 회절 및 간섭원리로 인해 소멸되거나 문양블록 후방으로 배치되는 흡음재로 흡수될 수 있으며, 고정부를 통해 복수개의 문양블록이 서로간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흡음재 및 방음판을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은 기본적으로 그 자체가 콘크리트에 매설되거나 H형 지주에 끼움설치되는 사각형상의 메인프레임(10)과, 메인프레임(10)의 내측 공간에 상하좌우로 복수개가 배치되는 문양블록(20)과, 복수개의 문양블록(20)을 서로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30)와, 문양블록(20)을 사이에 두고 고정부(30)와 체결되는 버팀부(40)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이의 내측을 따라 안착홈(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안착홈(11)에 복수개의 문양블록(20)의 상하좌우측 일부가 끼움가능하게 되는데, 이러한 메인프레임(10)은 그 양측이 H형 지주에 끼움설치되거나 하측 일부가 콘크리트에 매설되어 직립될 수 있고 재질로는 플라스틱 합성수지, 금속, 목재 등 다양한 것들이 사용될 수 있는 바, 각각의 재질에 따라 나사, 용접, 볼트 등에 의해 사각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으로 안착홈(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칸막이(12)를 설치함으로써 그 안착홈(11)을 문양블록(20)이 설치되는 제1 안착홈(13)과 흡음재(50) 및 방음판(60)의 일부가 끼움되는 제2 안착홈(14)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문양블록(20)은 그 재질을 플라스틱 합성수지로도 할 수 있으나 친환경 소재인 황토, 목분, 숯분말 등으로 하여 제작되어 안착홈(11)에 설치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짐으로써 복수개가 메인프레임(10)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문양블록(20)은 모서리 외측이 라운딩처리되고 그 모서리 내측에 관통홀(21a)이 형성된 테두리(21)와 이 테두리(21) 내측 공간에 형성되는 문양부(22)로 구성되는데, 4개의 문양블록(20)이 도면에서와 같이 하측에 2개 상측에 2개로 서로간에 밀착되어 배치될 시에 문양블록(20)의 모서리 외측에 일정한 형상의 구멍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구멍으로 이하 기술되는 고정부(30)의 체결볼트(31)가 삽입될 수 있고 관통홀(21a)로는 고정부(30)의 돌출리브(34)가 설치되며 문양부(22)는 꽃무늬, 빗살무늬, 나뭇잎 등등의 다양한 형상이 입체적으로 압출성형 방식에 따라 형성될 수 있어 이러한 입체적 형상을 통해 소음을 회절 및 간섭시킬 수 있다. 문양블록(20)이 소음차단을 위한 단일 요소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의 후면이 밀폐된 형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상기된 바와 같이 칸막이(12)를 통해 제2 안착홈(14)에 흡음재(50) 및 방음판(60)이 설치될 수 있는 경우에는 개방된 형태를 가져도 문제가 없을 것이다. 문양블록(20)의 설치 시 평탄하지 못하거나 문양블록(20)간에 이격된 부분은 문양블록(20)과 유사한 색상의 도료가 혼합된 채움재를 통해 마감처리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30)는 복수개가 밀착배치되는 문양블록(20)을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기술된 바와 같이 라운딩처리된 복수개 문양블록(20)이 배치됨에 따라 형성된 모서리 외측 구멍에 삽입되는 체결볼트(31)와, 체결볼트(31)의 일측 끝단과 나선결합되는 반구형 너트(32)와, 반구형 너트(32)의 외주연을 따라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문양블록(20)의 테두리(21)에 밀착되는 접시형 캡(33)과, 접시형 캡(33)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문양블록(20)의 관통홀(21a)에 삽입되는 돌출리브(34)로 구성되는데, 체결볼트(31)는 회전에 의해 공구로 움직임이 고정된 반구형 너트(32)에 그 끝단이 고정되고 체결볼트(31)의 헤드를 포함한 상부는 문양블록(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가짐으로써 버팀부(40)와 결합된다. 접시형 캡(33)은 문양블록(20)의 테두리(21)와 밀착되는 부분에 제1 요철부(33a)가 형성되어 있고 그 테두리(21)에도 제1 요철부(33a)와 맞물리는 제2 요철부(21b)가 형성되어 있어 이러한 제1 및 제2 요철부(33a, 21b)를 통해 문양블록(20) 및 고정부(30)가 서로간에 긴밀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그 사이에 고무패드(35)를 삽입함으로써 문양블록(20) 및 고정부(30)간의 미끌어짐 현상을 억제하고 고정부(30)의 배치상태를 수평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테두리(21)에 형성된 관통홀(21a)에는 돌출리브(34)가 끼움설치되어 고정부(3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관통홀(21a)의 깊이를 돌출리브(34)의 길이보다 더 깊도록 하여 접시형 캡(33)이 충분히 테두리(21)에 밀착되도록 한다. 고정부(30)는 그 전체가 압출성형되거나 반구형 너트(32)에 돌출리브(34)가 형성된 접시형 캡(32)을 용접 고정함으로써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버팀부(40)는 문양블록(20)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볼트(31)의 헤드를 포함한 상부와 체결됨으로써 문양블록(20)을 사이에 두고 고정부(30)와 체결됨에 따라 문양블록(20)을 견고히 지지하게 되는데, 수평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체결볼트(31)의 헤드가 슬라이딩방식에 따라 도면에서와 같이 버팀부(40)에 형성된 끼움홈(4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소정 개수의 체결볼트(31), 예로써 한 쌍의 체결볼트(31)에 대하여 설치가능한 길이를 갖는 버팀부(40)나 일방향을 따라 배치된 전체 체결볼트(31)에 대해 설치되는 버팀부(40)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으로 메인프레임(10)의 제2 안착홈(14)을 통해 흡음재(50) 및 방음판(60)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흡음재(50) 및 방음판(60) 각각에 체결볼트(31)가 삽입되는 홀을 형성하여 고정부(30) 및 버팀부(40)에 의해 문양블록(20)과 함께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체결볼트(31)의 헤드를 포함한 상부가 방음판(60) 외측으로 돌출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또한 상기 문양블록(20)의 크기가 충분히 큰 경우에는 이의 상하부 후방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버팀부(40)의 일부 또는 전체가 삽입가능한 삽입홈(23)을 형성함으로써 복수개의 문양블록(2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버팀부(40)가 외측으로 돌출됨에 따른 부수적인 피해, 예로써 방음벽 시공 시 작업자의 버팀부(40)와의 충돌로 인한 신체적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삽입홈(23)이 형성된 문양블록(20)을 사용하는 경우 체결볼트(31)는 문양블록(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크기를 가져야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복수개의 상기 문양블록(20) 외주면에 제3 요철부(24)를 서로간에 맞물리도록 형성함으로써 문양블록(20) 자체가 상호 이동되지 않도록 밀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3 요철부(24)는 문양블록(20) 양측 또는 상하측에 형성되어 밀착된 복수개의 문양블록(20)이 어느 한쪽으로 돌출되지 않고 수평 및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3 요철부(24)의 요부 및 철부가 적절히 형성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도 6은 메인프레임, 목재프레임 및 투명패널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더욱이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수직 또는 수평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목재가 연속적으로 배치된 목재프레임(70)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 목재프레임(70)은 지주(80)에 나사로 고정되거나 지주(80)의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에 목재프레임(70) 일부가 끼움되도록 이의 양측에 돌출부가 구비되는 한편으로, 메인프레임(10)이 설치되도록 중앙부의 사각홀을 형성하는 목재의 내측면을 따라 고정홈이 구비되어 이 고정홈을 따라 메인프레임(10)의 일부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목재프레임(70) 위로 투명패널(90)을 설치하기 위해 그 목재프레임(70) 상면에는 투명패널의 하부가 끼움되는 지지홈이 형성되고, 투명패널 상하면에는 각각 상호간에 결합되는 오목부 및 볼록부가 형성됨에 따라 복수개의 투명패 널(90)이 서로 적층되고 볼록부는 또한 목재프레임(70)에 형성된 지지홈에 끼움가능하며, 이 투명패널의 양측 또한 지주(80)의 수직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에 끼움설치될 수 있으며, 적층된 투명패널 최상단에는 이의 보호를 위한 캡(100)이 오목부의 공간을 활용하여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을 도시한 도면.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의 고정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흡음재 및 방음판을 사용한 본 발명에 따른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메인프레임, 목재프레임 및 투명패널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Claims (8)

  1. 내측을 따라 안착홈(11)이 형성된 사각형상의 메인프레임(10)과;
    모서리 외측은 라운딩처리되고 그 모서리 내측에는 관통홀(21a)이 형성된 테두리(21)와, 상기 테두리(21) 내측 공간에 형성되는 문양부(22)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안착홈(11)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문양블록(20)과;
    복수개의 상기 문양블록(20)이 밀착되어 배치됨에 따라 이의 모서리 외측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체결볼트(31)와, 상기 체결볼트(31)의 끝단과 결합되는 반구형 너트(32)와, 상기 반구형 너트(32)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문양블록(20)의 일면과 밀착되는 접시형 캡(33)과, 상기 접시형 캡(33)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문양블록(20)의 관통홀(21a)에 삽입되는 돌출리브(34)로 구성되는 고정부(30)와;
    상기 체결볼트(31)의 헤드에 슬라이딩방식에 따라 설치되는 끼움홈(41)이 일측에 형성된 버팀부(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시형 캡(33)의 타측면에는 제1 요철부(33a)가 형성되고, 상기 문양블록(20)의 테두리(21)에는 그 제1 요철부(33a)에 맞물리는 제2 요철부(21b)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접시형 캡(33)의 제1 요철부(33a)와 상기 테두리(21)의 제2 요철부(21b) 사이에는 고무패드(35)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의 안착홈(11)에 길이방향으로 칸막이(12)가 설치됨에 따라 형성된 전방의 제1 안착홈(13)에는 복수개의 상기 문양블록(20)이 설치되고 후방의 제2 안착홈(14)에는 흡음재(50) 및 방음판(60)이 끼움설치되며, 상기 문양블록(20), 흡음재(50) 및 방음판(60)은 상기 고정부(30) 및 버팀부(4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문양블록(20)의 후방에는 이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형성된 삽입홈(23)이 구비되고, 그 삽입홈(23)에는 상기 버팀부(40)의 일부 또는 전체가 삽입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
  6. 청구항 5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문양블록(20) 외주면에는 제3 요철부(24)가 서로간에 맞물리 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0)은 수직 또는 수평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목재가 연속적으로 배치된 목재프레임(70)의 중앙부에 설치되며, 상기 목재프레임(70)은 지주(8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목재프레임(70) 상측으로는 투명패널(90)이 적층되고, 이 투명패널(90) 양측은 지주(8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
KR1020090030970A 2009-04-09 2009-04-09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 KR1009125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970A KR100912529B1 (ko) 2009-04-09 2009-04-09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970A KR100912529B1 (ko) 2009-04-09 2009-04-09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529B1 true KR100912529B1 (ko) 2009-08-18

Family

ID=41209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970A KR100912529B1 (ko) 2009-04-09 2009-04-09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52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856B1 (ko) 2011-06-30 2011-12-12 케이솔 주식회사 목재 방음판
KR101429255B1 (ko) 2014-05-08 2014-08-12 (주)신행건설 변형 흡수형 투명 방음패널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투명방음벽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425A (ja) * 1992-07-16 1994-02-08 Tsutsunaka Plast Ind Co Ltd 防音壁の施工方法
KR200313301Y1 (ko) 2003-02-07 2003-05-14 이근식 방음판 고정장치
KR100436182B1 (ko) 2001-09-04 2004-06-16 (주)석탑엔지니어링 방음벽
KR200434105Y1 (ko) 2006-09-21 2006-12-15 정혁수 투명판넬이 장착되는 방음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425A (ja) * 1992-07-16 1994-02-08 Tsutsunaka Plast Ind Co Ltd 防音壁の施工方法
KR100436182B1 (ko) 2001-09-04 2004-06-16 (주)석탑엔지니어링 방음벽
KR200313301Y1 (ko) 2003-02-07 2003-05-14 이근식 방음판 고정장치
KR200434105Y1 (ko) 2006-09-21 2006-12-15 정혁수 투명판넬이 장착되는 방음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1856B1 (ko) 2011-06-30 2011-12-12 케이솔 주식회사 목재 방음판
KR101429255B1 (ko) 2014-05-08 2014-08-12 (주)신행건설 변형 흡수형 투명 방음패널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투명방음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265B1 (ko) 방음벽
JP3187449U (ja) 高床式フロアボード
CN104781483B (zh) 墙壁面板安装系统
KR100912529B1 (ko) 문양블록 고정식 방음벽
KR100729345B1 (ko) 원통형 방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20080112647A (ko) 흡음능력을 높인 투명방음벽
KR200458049Y1 (ko) 패턴변경이 용이한 건축용 판넬
KR101163383B1 (ko) 조립식 방음벽
KR101579686B1 (ko) 프레임 결합블록
KR101344906B1 (ko) 가구의 모서리 연결구
KR200430910Y1 (ko) 방음벽용 가변형 지주 가림판
KR100870468B1 (ko) 차량의 충격 흡수를 위한 조립식 생태 방음벽
KR200441451Y1 (ko) 목재 방음벽의 프레임 구조
KR100818025B1 (ko) 흡음형 방음판 구조물
KR101492412B1 (ko) 건축용 샌드위치패널 구조체
KR200333023Y1 (ko) 방음판넬의 구조
KR101263206B1 (ko) 소음 차단용 지주 방음덮개
KR101244154B1 (ko) 조립식 방음벽용 합성목재 방음패널 설치구조
KR200405934Y1 (ko) 방음벽용 투명 방음패널
KR200200166Y1 (ko) 천장장식판
CN204456725U (zh) 具备吸音功能的发泡吊顶板
KR200234764Y1 (ko) 소음방지용 방음패널의 전면치장부재
KR200363692Y1 (ko) 방음판넬
KR200346215Y1 (ko) 슬릿형 방음판
CN210105610U (zh) 一种抗渗风外挂式窗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