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792B1 - 영상생성방법,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생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영상생성방법,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생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792B1
KR100925792B1 KR1020090051581A KR20090051581A KR100925792B1 KR 100925792 B1 KR100925792 B1 KR 100925792B1 KR 1020090051581 A KR1020090051581 A KR 1020090051581A KR 20090051581 A KR20090051581 A KR 20090051581A KR 100925792 B1 KR100925792 B1 KR 100925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e values
image
origin
converted
poi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1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이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클립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클립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클립스
Priority to KR1020090051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7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20Processor architectures; Processor configuration, e.g. pipel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20Drawing from basic elements, e.g. lines or circles
    • G06T11/203Drawing of straight lines or cur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08Volume rend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06Topological mapping of higher dimensional structures onto lower dimensiona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영상생성방법,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생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개시된다. 본 영상생성방법에 따르면, 좌표값들을 입력받는 단계, 기설정된 지점의 좌표값 변환하고, 기설정된 지점에 대해 변환된 좌표값을 기초로 나머지 지점들의 좌표값들을 변환하며, 이를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한다. 이에 의해, 보다 사실감있고 현장감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3차원 영상을 활용한 컨텐츠에 대한 흥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Quadratic 알고리즘, Spherical 알고리즘

Description

영상생성방법,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생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IMAGE GENERATING METHO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IMAGE GENERATING PROGRAM}
본 발명은 영상생성방법,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생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된 좌표값을 변환하여 변환된 좌표값에 따른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생성방법,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생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이르러, 처리장치와 저장장치의 비약적 발전과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의 진전에 따라 3차원 영상을 이용한 게임 컨텐츠가 다수 보급되고 있다. 3차원 영상을 이용한 게임은 현실감이나 현장감이 우수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높은 흥취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3차원 영상을 이용한 게임들은 게임 내에 존재하는 캐릭터들을 3차원적으로 표현하거나 맵에 존재하는 건물 등에 대해 3차원적으로 표현하는 것에 그치고 있어, 현실감이나 현장감에서 다소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따라, 보다 우수한 현실감과 현장감을 가진 게임 컨텐츠로서 사용자에 게 어필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현장감 있는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영상생성방법,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생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생성방법은, 3차원 좌표상에서 복수의 지점들에 대한 좌표값들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지점들 중 기설정된 지점의 좌표값 변환하고, 상기 기설정된 지점에 대해 변환된 좌표값을 기초로 나머지 지점들의 좌표값들을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지점들에 대해 변환된 좌표값들을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변환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지점의 좌표값이 원점으로 변환되고, 상기 나머지 지점들의 좌표값들이 상기 변경된 원점에 대응되는 좌표값들로 변환되도록, 좌표의 원점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곡률 파라미터 또는 반지름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원점변환된 좌표에서의 좌표값들을 재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재변환된 좌표값들을, 원점변환 이전의 좌표에서의 좌표값들로 역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점변환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지점의 좌표값이 원점으로 변 환되면, 상기 원점으로 변환된 지점에 대한 원점변환 이전의 좌표값을 기초로 하여, 하기 식에 따라 나머지 지점들의 좌표값들이 상기 원점에 대응되는 좌표값들로 변환되도록 할 수 있다.
Figure 112009035155956-pat00001
Figure 112009035155956-pat00002
(여기서, tx는 기설정된 지점에서의 원점변환 이전의 x축 좌표값, ty는 기설정된 지점에서의 원점변환 이전의 y축 좌표값, tz는 기설정된 지점에서의 원점변환 이전의 z축 좌표값, p는 나머지 지점들에서의 원점변환 이전의 좌표값, 그리고, d는 원점변환된 좌표값)
또한, 상기 재변환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곡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지점들을 서로 연결한 선들이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곡률을 갖도록 하며, 상기 원점변환된 복수의 지점들의 좌표값들을 재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점변환된 복수의 지점들의 좌표값들은 하기 식에 따라 재변환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5155956-pat00003
Figure 112009035155956-pat00004
Figure 112009035155956-pat00005
(여기서, dx는 원점변환된 x축 좌표값, dy는 원점변환된 y축 좌표값, dz는 원점변환된 z축 좌표값, ex는 재변환된 x축 좌표값, ey는 재변환된 y축 좌표값, ez는 재변환된 z축 좌표값, g1, g2는 일반 곡률 파라미터, g3는 x축 곡률 파라미터, 그리고, g4는 y축 곡률 파라미터)
또한, 상기 재변환단계는, 반지름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지점들을 서로 연결한 면이 기설정된 반지름을 가지는 구면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되도록 상기 원점변환된 복수의 지점들의 좌표값들을 재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점변환된 복수의 지점들의 좌표값들은 하기 식에 따라 재변환될 수 있다.
Figure 112009035155956-pat00006
Figure 112009035155956-pat00007
Figure 112009035155956-pat00008
Figure 112009035155956-pat00009
Figure 112009035155956-pat00010
Figure 112009035155956-pat00011
(여기서, dx는 원점변환된 x축 좌표값, dy는 원점변환된 y축 좌표값, dz는 원점환된 z축 좌표값, ex는 재변환된 x축 좌표값, ey는 재변환된 y축 좌표값, ez는 재변환된 z축 좌표값, 그리고, gr은 구면체의 반지름 파라미터)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생성방법은, 상기 생성된 영상을 렌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생성방법은, 상기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단계는, 상기 복수의 지점들 중 다른 지점의 좌표값을 기초로 상기 변환단계를 반복수행함으로써, 상기 영상이 다른 지점을 기초로 한 영상으로 변환되도록 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영상이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는, 3차원 좌표상에서 복수의 지점들에 대한 좌표값들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복수의 지점들 중 기설정된 지점의 좌표값 변환하고, 상기 기설정된 지점에 대해 변환된 좌표값을 기초로 나머지 지점들의 좌표값들을 변환하며, 상기 복수의 지점 들에 대해 변환된 좌표값들을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기설정된 지점의 좌표값이 원점으로 변환되고, 상기 나머지 지점들의 좌표값들이 상기 변경된 원점에 대응되는 좌표값들로 변환되도록, 좌표의 원점변환을 수행하고, 곡률 파라미터 또는 반지름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원점변환된 좌표에서의 좌표값들을 재변환하며, 상기 재변환된 좌표값들을, 원점변환 이전의 좌표에서의 좌표값들로 역변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3차원 좌표상에서 복수의 지점들에 대한 좌표값들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지점들 중 기설정된 지점의 좌표값 변환하고, 상기 기설정된 지점에 대해 변환된 좌표값을 기초로 나머지 지점들의 좌표값들을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지점들에 대해 변환된 좌표값들을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영상을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보다 사실감있고 현장감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3차원 영상을 활용한 컨텐츠에 대한 흥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영상처리장치(100)는 3차원 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100)는 영상 입력부(110), 영상 처리부(120), 영상 출력부(130), 사용자 입력부(140), 제어부(150) 및 저장부(160)를 구비한다.
영상 입력부(110)는 영상처리장치(100)와 유무선으로 연결가능한 외부 장치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영상 처리부(120)로 전달한다. 영상의 수신이란, 영상의 3차원 좌표값을 수신하는 것을 의미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을 구성하는 복수의 지점들에 대한 3차원 좌표값을 수신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상 처리부(120)는, 영상 입력부(110) 또는 후술할 저장부(16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에 대한 재생처리, 색처리, 영상변환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출력가능한 형태로 된 영상을 생성한다. 특히, 영상 처리부(120)는, 영상 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된 3차원 좌표상에서 복수의 지점들에 대한 좌표값들을 변환한다. 여기서, 입력된 3차원 좌표는 영상처리 이전의 영상을 구성하는 지점들의 좌표이고, 변환된 좌표는 영상처리가 완료된 영상을 구성하는 지점들의 좌표이다.
구체적으로, 영상 처리부(120)는, 입력된 복수의 지점들 중 미리 설정된 지점의 좌표값을 변환하고, 변환된 좌표값을 기초로 나머지 지점들의 좌표값들을 변환하여, 입력된 영상에 대해 영상처리된 영상을 생성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영상 처리부(120)는, 좌표값이 변환되어 생성된 영상을 영상 출력부(130)로 전달한다.
영상 출력부(130)는, 영상 처리부(120)로부터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아, 입력된 조작명령을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제어부(150)는, 사용자 입력부(140)의 조작에 따라, 영상처리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입력된 영상에 대한 신호처리 및 출력가능한 형태로의 변환을 수행하여 변환된 영상을 생성하고, 변환된 영상이 영상 출력부(130)를 통해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후술할 저장부(160)에 저장된 데이터를 독출하여 독출된 데이터에 따른 영상이 생성되도록 한다.
저장부(160)는, 영상처리장치(100)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 정보 및 영상 입력부(110)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입력된 영상의 좌표값들을 변환하여 새로운 3차원 영상을 생성한다고 전술한 바 있다.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2e를 참조하여, 입력된 영상을 변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2차원 영상이 입력되어, 게임 컨텐츠 내에서 3차원 맵으로 사용되기 위해 3차원 영상으로 변환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맵 형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도 2a와 같이 평면상의 2차원 영상이 입력되면, 영상 처리부(120)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원 영상에서 복수의 지점들에 대한 좌표값들을 추출한다. 좌표값들의 추출은, 2차원 영상에 대해 X축 방향으로 다수 개의 프레임 와이어를 생성하고, Y축 방향으로 다수 개의 프레임 와이어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물론, 이상에서 설명한 변환 이전의 영상은 평면 형태로 된 것을 의미하며, 2차원 좌표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정된 영상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변환 이전의 영상에 대한 지점들의 좌표값들은 Z값들을 가질 수 있으며, 최종적인 영상의 모양만이 평면 형태로 된 것일 뿐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변환 이전의 영상을 2차원 영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다. 따라서, 변환 이전의 영상이 3차원 영상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영상 처리부(120)는, 복수의 지점들에 대한 좌표값들을 설정한다. 좌표값의 설정은 가장 좌측 하단을 지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0,0)으로 설정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c는 특정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복수의 서브-폴리곤들의 지점들에 대한 좌표가 설정된 모습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에 따르면 화면의 중앙 부분에 (10,10)의 좌표가 위치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z축의 좌표가 생략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모든 지점의 좌표에서 z값이 동일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좌표값이 설정되면, 영상 처리부(120)는 설정된 좌표값들 중 중심에 위치하는 지점의 좌표값을 원점으로 변환하고, 나머지 지점들의 좌표값도 변환된 원점에 대응되는 좌표값들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중심에 위치하는 지점의 X,Y 좌표가 (10,10)인 경우, 영상 처리부(120)는 이러한 (10,10)의 좌표를 (0,0)의 좌표로 변환하고, 나머지 지점 중 하나인 (20, 10)도 변환된 원점의 좌표에 대응되도록 (10,0)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변환은 하기의 식에 의해 수행된다.
Figure 112009035155956-pat00012
Figure 112009035155956-pat00013
(여기서, tx는 기설정된 지점에서의 원점변환 이전의 x축 좌표값, ty는 기설정된 지점에서의 원점변환 이전의 y축 좌표값, tz는 기설정된 지점에서의 원점변환 이전의 z축 좌표값, p는 나머지 지점들에서의 원점변환 이전의 좌표값, 그리고, d는 원점변환된 좌표값)
이와 같이, 복수의 지점들의 좌표가 원점변환된 좌표로 되면, 영상 처리부(120)는, 원점변환된 좌표에서의 좌표값들을 재변환한다. 좌표값들의 재변환은, 곡률 파라미터 또는 반지름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Quadratic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방법과 Spherical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방법이 있다.
Quadratic 알고리즘은 변환된 지점들을 서로 연결한 선들에 대해 X축 방향으로의 곡률을 적용하고, Y축 방향으로의 곡률을 적용하는 알고리즘이다. X축 방향으로의 곡률과 Y축 방향으로의 곡률은 서로 다르게 설정되며, 구체적인 곡률의 수치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X축 방향으로의 곡률과 Y축 방향으로의 곡률이 설정되면, 영상 처리부(120)는 원점좌표를 기준으로 이미 변환된 좌표값들을 재변환한다.
Quadratic 알고리즘에 따른 재변환은 하기의 식에 의해 수행되며, Quadratic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생성된 영상이 도 2d에 도시되어 있다.
Figure 112009035155956-pat00014
Figure 112009035155956-pat00015
Figure 112009035155956-pat00016
(여기서, dx는 원점변환된 x축 좌표값, dy는 원점변환된 y축 좌표값, dz는 원점변환된 z축 좌표값, ex는 재변환된 x축 좌표값, ey는 재변환된 y축 좌표값, ez는 재변환된 z축 좌표값, g1, g2는 일반 곡률 파라미터, g3는 x축 곡률 파라미터, 그리 고, g4는 y축 곡률 파라미터)
한편, Spherical 알고리즘은, 원점변환된 복수의 지점들을 서로 연결한 선이 어느 방향으로도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하기 위해, 즉, 원점변환된 복수의 지점들을 서로 연결한 면이 기설정된 반지름을 가지는 구면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되도록 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반지름이 설정되면, 영상 처리부(120)는 원점좌표를 기준으로 이미 변환된 지점들의 좌표를 재변환한다.
Spherical 알고리즘에 따른 재변환은 하기의 식에 의해 수행되며, Spherical 알고리즘이 적용되어 생성된 영상이 도 2e에 도시되어 있다.
Figure 112009035155956-pat00017
Figure 112009035155956-pat00018
Figure 112009035155956-pat00019
Figure 112009035155956-pat00020
Figure 112009035155956-pat00021
Figure 112009035155956-pat00022
(여기서, dx는 원점변환된 x축 좌표값, dy는 원점변환된 y축 좌표값, dz는 원점환된 z축 좌표값, ex는 재변환된 x축 좌표값, ey는 재변환된 y축 좌표값, ez는 재변환된 z축 좌표값, 그리고, gr은 구면체의 반지름 파라미터)
이후, 영상 처리부(120)는 Quadratic 알고리즘 또는 Spherical 알고리즘을 통해 재변환된 좌표들을 다시 역변환한다. 즉, 영상 처리부(120)는, 재변환된 좌표값들을 원점변환 이전의 좌표에서의 좌표값들로 역변환한다.
역변환 과정은 하기의 식에 의해 수행된다.
Figure 112009035155956-pat00023
(여기서, p'는 역변환된 좌표, 그리고, ex는 재변환된 좌표)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은, 입력된 영상을 이용해 3차원 맵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3차원 맵 영상이 생성된 후, 영상 처리부(120)는 생성된 3차원 맵에 렌더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이미 렌더링이 수행된 영상을 입력받아 상기와 같은 변환, 재변환 및 역변환과정을 수행하여 3차원 맵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은, 입력된 영상을 이용해 3차원 맵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 때문에, 3차원 맵 영상이 생성된 후, 영상 처리부(120)는 생성된 3차원 맵에 부가적인 좌표보간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이미 부가적인 좌표보간이 수행된 영상을 입력받아 상기와 같은 변환, 재변환 및 역변환과정을 수행하여 3차원 맵 영상을 생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렌더링과 부가적인 좌표보간이 수행된 맵 영상을 입력받아, 입력된 맵 영상의 좌표들을 추출하여, 추출된 좌표값들을 기초로 3차원 맵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b 또는 도 2c에 대응되는 지점들의 좌표를 그대로 사용하여 도시하였으며,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좌표값들은 렌더링과 좌표보간이 수행된 상태의 각 지점들의 좌표값은 아니다.
도 3a는 렌더링과 부가적인 좌표보간이 수행되어 입력된 맵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Quadratic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좌표들을 재변환하고 역변환한 경우의 3차원 맵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c는 Spherical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좌표들을 재변환하고 역변환 경우의 3차원 맵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도, 현장감있고 현실감있는 맵 화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영상처리장치(100)는 복수의 지점들에 대한 좌표값들을 입력받는다(S410). 이러한 좌표값들은 온라인 게임에 사용되는 맵 영상을 구성하는 지점들에 대한 좌표값일 수 있다. 좌표값들은, 예를 들어, 최좌측 최하단의 지점의 좌표 를 (0,0)으로 설정하고 그 오른쪽 지점의 좌표를 (1,0)으로 설정하는 등의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이후, 영상처리장치(100)는 기준 지점을 원점으로 변환하고(S420), 기준 지점 이외의 나머지 지점들의 좌표값들을 원점에 대응되도록 변환한다(S430). 여기서, 기준 지점은 화면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지점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나머지 지점들은 화면에서 중앙에 위치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한 좌표들로 변환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준 지점의 좌표를 원점으로 변환하는 이유는, Quadratic 알고리즘이나 Spherical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좌표를 재변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좌표의 재변환을 통해, 입력된 좌표값들은 3차원 맵 영상에서의 좌표값들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Quadratic 알고리즘이나 Spherical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좌표가 재변환되면, 기준 지점의 좌표를 원점으로 변환한 상태에 대해 역변환을 하여 원래의 좌표를 기준으로 다시 변환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재변환을 위해, 영상처리장치(100)는 Quadratic 알고리즘을 사용할 것인지 Spherical 알고리즘을 사용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440, S460).
Quadratic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경우(S440-Y), 영상처리장치(100)는 기설정된 X축 곡률 파라미터와 Y축 곡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변환된 좌표를 재변환하게 된다(S450). 또한, Spherical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경우(S460-Y), 영상처리장치(100)는 기설정된 반지름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변환된 좌표를 재변환하게 된다(S470).
재변환이 완료되면, 영상처리장치(100)는 원점 변환 이전의 좌표값들로 역변환을 하며(S480), 이에 의해, 입력된 영상의 좌표가 3차원 맵 영상에서의 좌표로 변환되게 된다.
또한, 영상처리장치(100)는 3차원 맵 영상에 대해 렌더링을 수행한다(S490). 이에 의해, 3차원 맵이 완성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렌더링은 3차원 맵 영상이 생성된 후에 수행될 수 있으며, 렌더링이 수행된 상태의 영상을 입력받아, 입력된 영상에 대해 변환-재변환-역변환 과정을 통해 3차원 맵 영상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다.
렌더링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좌표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부가적인 좌표변환은 좌표들의 값을 일정 부분씩 조정하여, 3차원 맵이 보다 현실감있도록 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영상처리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맵에 대한 회전 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0). 회전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S500-Y), 영상처리장치(100)는 기준 지점을 재설정하여, S420 단계부터 S490 단계를 반복한다. 예를 들어, 화면의 중심인 기준 지점에 특정 캐릭터가 위치하고 있는데, 사용자로부터 캐릭터를 좌측으로 이동하라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 캐릭터는 고정된 채 맵을 우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게임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처리장치(100)는 화면의 중심이 현재의 기준 지점보다 좌측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해 기준 지점을 재설정하고, 재설정된 기준 지점에 따라 변환-재변환-역변환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에 의해, 보다 사실감있고 현장감있는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3차원 영 상을 활용한 컨텐츠에 대한 흥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처리장치의 블록도,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맵 형성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렌더링과 부가적인 좌표보간이 수행된 맵 영상을 입력받아, 입력된 맵 영상의 좌표들을 추출하여, 추출된 좌표값들을 기초로 3차원 맵 영상을 생성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영상 생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영상 입력부 120 : 영상 처리부
130 : 영상 출력부 140 : 사용자 입력부
150 : 제어부 160 : 저장부

Claims (13)

  1. 3차원 좌표상에서 복수의 지점들에 대한 좌표값들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지점들 중 기설정된 지점의 좌표값을 변환하고, 상기 기설정된 지점에 대해 변환된 좌표값을 기초로 나머지 지점들의 좌표값들을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지점들에 대해 변환된 좌표값들을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지점의 좌표값이 원점으로 변환되고, 상기 나머지 지점들의 좌표값들이 상기 변경된 원점에 대응되는 좌표값들로 변환되도록, 좌표의 원점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곡률 파라미터 또는 반지름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원점변환된 좌표에서의 좌표값들을 재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재변환된 좌표값들을, 원점변환 이전의 좌표에서의 좌표값들로 역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생성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점변환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지점의 좌표값이 원점으로 변환되면, 상기 원점으로 변환된 지점에 대한 원점변환 이전의 좌표값을 기초로 하여, 하기 식에 따라 나머지 지점들의 좌표값들을 상기 원점에 대응되는 좌표값들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생성방법.
    Figure 112009055473164-pat00024
    Figure 112009055473164-pat00025
    (여기서, tx는 기설정된 지점에서의 원점변환 이전의 x축 좌표값, ty는 기설정된 지점에서의 원점변환 이전의 y축 좌표값, tz는 기설정된 지점에서의 원점변환 이전의 z축 좌표값, p는 나머지 지점들에서의 원점변환 이전의 좌표값, 그리고, d는 원점변환된 좌표값)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변환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곡률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지점들을 서로 연결한 선들이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곡률을 갖도록 하며, 상기 원점변환된 복수의 지점들의 좌표값들을 재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생성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원점변환된 복수의 지점들의 좌표값들은 하기 식에 따라 재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생성방법.
    Figure 112009035155956-pat00026
    Figure 112009035155956-pat00027
    Figure 112009035155956-pat00028
    (여기서, dx는 원점변환된 x축 좌표값, dy는 원점변환된 y축 좌표값, dz는 원점변환된 z축 좌표값, ex는 재변환된 x축 좌표값, ey는 재변환된 y축 좌표값, ez는 재변환된 z축 좌표값, g1, g2는 일반 곡률 파라미터, g3는 x축 곡률 파라미터, 그리고, g4는 y축 곡률 파라미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변환단계는,
    반지름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지점들을 서로 연결한 면이 기설정된 반지름을 가지는 구면체의 일부 또는 전부가 되도록 상기 원점변환된 복수의 지점들의 좌표값들을 재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생성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원점변환된 복수의 지점들의 좌표값들은 하기 식에 따라 재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생성방법.
    Figure 112009035155956-pat00029
    Figure 112009035155956-pat00030
    Figure 112009035155956-pat00031
    Figure 112009035155956-pat00032
    Figure 112009035155956-pat00033
    Figure 112009035155956-pat00034
    (여기서, dx는 원점변환된 x축 좌표값, dy는 원점변환된 y축 좌표값, dz는 원점환된 z축 좌표값, ex는 재변환된 x축 좌표값, ey는 재변환된 y축 좌표값, ez는 재 변환된 z축 좌표값, 그리고, gr은 구면체의 반지름 파라미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영상을 렌더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생성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화면에 표시된 영상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생성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단계는,
    상기 복수의 지점들 중 다른 지점의 좌표값을 기초로 상기 변환단계를 반복수행함으로써, 상기 영상이 다른 지점을 기초로 한 영상으로 변환되도록 하여, 상기 화면에 표시된 영상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생성방법.
  11. 3차원 좌표상에서 복수의 지점들에 대한 좌표값들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복수의 지점들 중 기설정된 지점의 좌표값 변환하고, 상기 기설정된 지점에 대해 변환된 좌표값을 기초로 나머지 지점들의 좌표값들을 변환하며, 상기 복수의 지점들에 대해 변환된 좌표값들을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처리부는,
    상기 기설정된 지점의 좌표값이 원점으로 변환되고, 상기 나머지 지점들의 좌표값들이 상기 변경된 원점에 대응되는 좌표값들로 변환되도록, 좌표의 원점변환을 수행하고, 곡률 파라미터 또는 반지름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원점변환된 좌표에서의 좌표값들을 재변환하며, 상기 재변환된 좌표값들을, 원점변환 이전의 좌표에서의 좌표값들로 역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장치.
  12. 삭제
  13. 3차원 좌표상에서 복수의 지점들에 대한 좌표값들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복수의 지점들 중 기설정된 지점의 좌표값 변환하고, 상기 기설정된 지점에 대해 변환된 좌표값을 기초로 나머지 지점들의 좌표값들을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지점들에 대해 변환된 좌표값들을 이용하여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변환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지점의 좌표값이 원점으로 변환되고, 상기 나머지 지점들의 좌표값들이 상기 변경된 원점에 대응되는 좌표값들로 변환되도록, 좌표의 원점변환을 수행하는 단계;
    곡률 파라미터 또는 반지름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원점변환된 좌표에서의 좌표값들을 재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재변환된 좌표값들을, 원점변환 이전의 좌표에서의 좌표값들로 역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입력단계, 상기 변환 단계 및 상기 생성 단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90051581A 2009-06-10 2009-06-10 영상생성방법,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생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0925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581A KR100925792B1 (ko) 2009-06-10 2009-06-10 영상생성방법,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생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1581A KR100925792B1 (ko) 2009-06-10 2009-06-10 영상생성방법,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생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5792B1 true KR100925792B1 (ko) 2009-11-11

Family

ID=41561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1581A KR100925792B1 (ko) 2009-06-10 2009-06-10 영상생성방법,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생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7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541A (ko) * 2002-07-12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프로세싱 장치
KR20060029916A (ko) * 2004-10-04 2006-04-0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541A (ko) * 2002-07-12 2004-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프로세싱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프로세싱 장치
KR20060029916A (ko) * 2004-10-04 2006-04-0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281656B (zh) 用于将纹理映射到三维对象模型的方法和装置
EP3953796B1 (en) Hybrid rendering
CN110058685B (zh) 虚拟对象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288665B (zh) 图像融合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JP5568610B2 (ja) 拡張現実システム、映像合成装置、映像合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4004444A (ja) 3次元顔再構成モデルトレーニング、3次元顔イメージ生成方法及び装置
JP2000011204A (ja) 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WO2023273789A1 (zh) 游戏画面的显示方法和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20110089649A (ko) 병렬 연산 처리 방법 및 장치
CN112381929A (zh) 一种三维电力设备模型建模方法
KR100925792B1 (ko) 영상생성방법,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생성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WO2016092588A1 (ja) 描画装置、および描画方法
CN112435316B (zh) 一种游戏中的防穿模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01209823A (ja) ビデオゲームにおける三次元オブジェクト変形方法及びビデオゲーム装置、並びにビデオゲーム用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CN107784132A (zh) 基于体感技术的cad制图系统
JP4203754B2 (ja) 画像符号化装置
JP2022024189A (ja) 学習用データ作成方法、学習用データ作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111729322A (zh) 模型的描边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WO2023179091A1 (zh) 三维模型渲染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JP2010204782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構造
KR100603040B1 (ko) 화상처리 방법 및 화상처리 장치
KR20220042438A (ko) 2-d 이미지의 실시간 볼륨 시각화
JP4339390B1 (ja) コンピュータを用いた動画表示装置,表示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記録媒体
KR20230013339A (ko) 애니메이팅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20180139438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program, stereoscopic image display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