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928B1 -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 - Google Patents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3928B1
KR100923928B1 KR1020070108630A KR20070108630A KR100923928B1 KR 100923928 B1 KR100923928 B1 KR 100923928B1 KR 1020070108630 A KR1020070108630 A KR 1020070108630A KR 20070108630 A KR20070108630 A KR 20070108630A KR 100923928 B1 KR100923928 B1 KR 100923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micro strip
strip transmission
horizontal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8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3023A (ko
Inventor
박홍준
이경호
Original Assignee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08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928B1/ko
Priority to PCT/KR2008/000464 priority patent/WO2009057856A1/en
Priority to US12/682,771 priority patent/US8384489B2/en
Publication of KR20090043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0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3/02Waveguides; Transmission lines of the waveguide type with two longitudinal conductors
    • H01P3/08Microstrips; Strip lines
    • H01P3/081Microstripl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16Reduction of cross-talk, noise 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37High frequency adapt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218Conductive traces
    • H05K2201/09236Parallel layou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218Conductive traces
    • H05K2201/09263Mean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신단 누화 잡음을 감소시키는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행한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을 각각 서펜타인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인접한 전송선 사이의 용량성 커플링을 증가시켜 전송선의 수신단 누화 잡음을 감소시키는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에 의하면 평행한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을 각각 서펜타인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인접한 전송선 사이의 용량성 커플링을 증가시켜 전송선의 수신단 누화잡음(Far-end Crosstalk)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수신단, 누화 잡음,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서펜타인

Description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A MICRO-STRIP TRANSMISSION LINE STRUCTURE OF A SERPENTINE TYPE}
본 발명은 수신단 누화 잡음을 감소시키는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행한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을 각각 서펜타인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인접한 전송선 사이의 용량성 커플링을 증가시켜 전송선의 수신단 누화잡음(Far-end Crosstalk)을 감소시키는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
누화잡음은 이웃하는 신호 라인들에 의한 전자기적 간섭에 의하여 발생하는 잡음이다.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긴 2개의 신호라인을 통하여 고주파수 신호를 전송할 때, 하나의 신호 라인 또는 2개의 신호라인 모두에서 전송되는 신호들이 상호 간섭하게 된다. 이러한 상호 간섭에 의하여 발생하는 상기 누화잡음에 의하여 신호의 전송손실이 커지게 된다.
2개의 신호 라인 사이에는 상호 커패시턴스(Mutual Capacitance)에 의한 용량성 커플링(Capacitive Coupling)과 상호 인덕턴스(Mutual Inductance)에 의한 유도성 커플링(Inductive Coupling)이 존재하게 되는데 수신단의 누화잡음은 상호 커 패시턴스에 의한 용량성 커플링과 상호 인덕턴스에 의한 유도성 커플링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다.
도 1은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전송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두개의 평행한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이 도시되어 있다. 각 전송선의 끝은 전송선 특성 임피던스와 같은 값의 저항으로 종결(termination)되어있다.
두 개의 전송선 중에서 한 쪽(송신단)에 신호를 인가하는 전송선을 어그레서 라인(Aggressor line)(10)이라 하고, 신호를 인가하지 않는 전송선을 빅팀 라인(Victim line)(20)이라고 한다. 상기 빅팀 라인(20)의 수신단 누화잡음(VFEXT)은 다음과 같이 식(1)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7160338-pat00001
여기서, TD는 전송선을 지나는 전송시간, Cm은 단위 길이당 상호 커패시턴스, CT는 단위 길이당 자체 커패시턴스와 상호 커패시턴스의 합, Lm은 단위 길이당 상호 인덕턴스, LS는 단위 길이당 자체 인덕턴스이다. Va(t)는 어그레서 라인 송신단에 인가된 전압이다.
스트립 라인(Strip line)처럼 균일한 매질 속에 위치한 전송선의 경우, 용량성 커플링과 유도성 커플링의 양이 서로 같게 되어 이상적으로는 수신단 누화잡음 이 0 이 된다.
하지만, 인쇄회로기판 위에 만들어지는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의 경우에는 유도성 커플링이 용량성 커플링보다 커서 수신단 누화잡음이 음의 값을 가지게 된다. 스트립 라인 전송선은 수신단 누화잡음은 제거할 수 있지만,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 비해 인쇄회로기판의 층을 많이 사용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두 개의 평행한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에 각각 서로 독립적인 신호를 인가할 때, 두 개의 인가된 신호들이 시간에 대해 서로 같은 방향으로 변하는 경우를 이븐 모드(Even mode)라 하고, 두 개의 인가된 신호들이 시간에 대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변하는 경우를 오드 모드(Odd mode)라고 한다.
도 2는 이븐 모드와 오드 모드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인가된 신호가 시간에 대해 증가하는 경우 수신단의 누화잡음은 음의 펄스(negative pulse)의 형태가 되므로, 이븐 모드에서는 수신단의 누화잡음이 시간에 대한 신호의 변화를 지연시키게 되고, 오드 모드에서는 시간에 대한 신호의 변화를 더 빠르게 한다.
즉, 이븐 모드의 경우에는 신호전송시간이 약간 길어지게 되고, 오드 모드의 경우에는 신호전송시간이 약간 짧아지게 된다. 이 이븐-오드 모드 전송시간의 차이는 식(2)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7077160338-pat00002
기서, l은 전송선의 길이, TDEVEN 은 이븐-모드 전송시간, TDODD 은 오드-모드 전송시간, Cm은 단위 길이당 상호 커패시턴스, CT는 단위 길이당 자체 커패시턴스와 상호 커패시턴스의 합, Lm은 단위 길이당 상호 인덕턴스, LS는 단위 길이당 자체 인덕턴스이다.
도 3은 이븐 모드와 오드 모드에서의 누화 잡음의 영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평행한 두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송신단에 서로 랜덤(random)한 데이터 신호를 인가한 경우, 이븐 모드와 오드 모드의 신호 도달시간의 차이로 인해 수신단에서 데이터 신호가 상승하는 시각이 달라지는 타이밍 지터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에서 발생하는 이러한 누화잡음 효과를 줄이는 방법으로 신호선들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거나 가드 트레이스(Guard Trace)를 사용하여 왔다. 상기 가드 트레이스는 인접한 두 신호선들 사이에 평행한 트레이스를 추가하여 두 신호선들 사이의 커플링을 줄이는 구조를 말한다. 그런데, 이 두 방법 모두 인쇄회로기판에서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평행한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을 각각 서펜타인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인접한 전송선 사이의 용량성 커플링을 증가시켜 전송선의 수신단 누화잡음(Far-end Crosstalk)을 감소시키는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에 의하면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은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펜타인 구조를 구비하되, 상기 단위 서펜타인 구조는,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일 단자가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길이방향의 일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길이방향에 수평인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길이 방향의 일 측면이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다른 일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일 단자가 상기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길이 방향의 다른 일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길이방향에 수평인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상기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상기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이 교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에 의하면 평행한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을 각각 서펜타인 형태를 갖도록 함으로써 인접한 전송선 사이의 용량성 커플링을 증가시켜 전송선의 수신단 누화잡음(Far-end Crosstalk)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면적이 제한되어 있는 고속 시스템에서 가드 트레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두 신호선 사이를 멀리 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수신단 누화잡음을 줄임으로써 인쇄회로 기판의 면적을 줄이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에 의하면 상호 인덕턴스는 변화시키지 않고 상호 커패시터만 증가시킴으로써 이븐-오드 모드 전송시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타이밍 지터를 줄임으로써, 신호전송속도를 증가시킬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의 단위 서펜타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위 서펜타인 구조(400)는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10),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20),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30) 및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40)을 구비한다.
평행한 직선구조인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와 달리, 구불구불한서펜타인(Serpentine) 구조를 사용하게되면 인접 신호선 간의 상호 커패시턴스가 증가된다. 서펜타인 구조에서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 성분은 전류 진행 방향과 수직이므로 상호 커패시턴스는 증가하지만 상호 인덕턴스는 별로 증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위 서펜타인 구조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은 상호 인덕턴스는 별로 증가되지 않으면서 상호 커패시턴스는 크게 증가되어 수신단의 누화잡음과 누화로 인한 타이밍 지터를 감소시키게 된다.
이때 단위 서펜타인 구조의 길이(D)가 짧을수록, 즉 많이 구불구불하게 할수 록 용량성 커플링은 더 커지게 된다. 그러나 단위 서펜타인 구조의 길이(D)를 짧게 하여 너무 많이 구불구불하게 하면 용량성 커플링이 유도성 커플링보다 오히려 더 커지게 된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을 구비한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는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1) 및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1)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2)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1) 및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2)은 다수의 단위 서펜타인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단위 서펜타인 구조는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11, 412),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21, 422),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31, 432) 및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41, 4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11, 412)은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1) 및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2)의 길이방향에 수직이고, 소정의 길이(S2)와 폭(W2)을 가지며 단면이 직사각형의 형태이다.
상기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21, 422)은 일 단자가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11, 412)의 길이방향의 일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1) 및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2)의 길이방향 에 수평이다. 또한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21, 422)은 소정의 길이와 폭(W1)을 가지며 단면이 직사각형의 형태이다.
상기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31, 432)은 길이 방향의 일 측면이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21, 422)의 다른 일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1) 및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2)의 길이방향에 수직이다. 또한 상기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31, 432)은 소정의 길이(S2)와 폭(W2)을 가지며 단면이 직사각형의 형태이다.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41, 442)은 일 단자가 상기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31, 432)의 길이 방향의 다른 일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1) 및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2)의 길이방향에 수평이다. 또한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41, 442)은 소정의 길이와 폭(W1)을 가지며 단면이 직사각형의 형태이다.
또한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11, 412), 상기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21, 422), 상기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31, 432) 및 상기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41, 442)은 서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1)상의 상기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21)은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2)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1)상의 상기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41)은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2)에서 가장 먼 곳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2)상의 상기 제1수평 마이크로 스 트립 전송선(422)은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1)에서 가장 먼 곳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2)상의 상기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42)은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1)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21, 422)과 상기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41, 442)은 그 폭(W1)이 동일하고,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11, 412)과 상기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31, 432)도 그 폭(W2)이 동일하다.
한편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11, 412)과 상기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31, 432)은 그 길이가 동일하다.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2) 상의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12) 및 상기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32)은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2)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1) 상의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11) 및 상기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31)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11)의 폭(W2) 이내의 범위에 배치된다.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2) 상의 상기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42)은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2)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1) 상의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41)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11)의 폭(W2) 이내의 범 위에 배치된다.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11, 412) 및 상기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31, 432)의 폭(W2)은 상기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31, 432) 및 상기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41, 442)의 폭(W1)의 0.1배 내지 5배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11, 412) 및 상기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31, 432)의 길이(S2)는 상기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21, 422) 및 상기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41, 442)의 폭(W1)의 1배 내지 7배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1) 상의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11)과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2) 상의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12) 사이의 간격(S1)은 상기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21, 422) 및 상기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41, 442)의 폭(W1)의 0.0001배 내지 5배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에 의하면 상기 단위 서펜타인 구조의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D)를 조절하여 상호 커패시턴스와 상호 인덕턴스의 차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수신단 누화잡음을 감소시킬수 있게 된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 개 이상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을 구비한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는 3개 이상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401, 402, 40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단위 서펜타인 구조의 길이(D)에 따른 용량성 커플링 비율(KC=Cm/CT)과 유도성 커플링 비율(KL=Lm/LS)의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그래프는 필드 솔버(field solver)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통해서 구한 LS, Lm, CT, Cm을 이용하여 용량성 커플링과 유도성 커플링의 차이를 계산한 것이며, 필드 솔버로는 Ansoft사의 HFSS를 이용하였다.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폭(W1, W2)은 14mil이고, 두 전송선의 간격(S1)은 모두 19mil이다. 2층 인쇄기판을 가정하였고 유전체와 구리의 두께는 각각 8mil과 0.7mil이다.
단위 서펜타인 구조의 길이(D)가 짧을수록 용량성 커플링이 커진다. 단위 서펜타인 구조의 길이(D)가 80mil일 때, 용량성 커플링과 유도성 커플링이 거의 같아지고, 80mil 보다 더 작아지면 오히려 용량성 커플링이 더 커진다.
도 6은 단위 서펜타인 구조의 길이(D)를 달리 했을 때 수신단 누화잡음 전압파형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그래프는 필드 솔버로 구한 LS, Lm, CT, Cm값들을 이용하여 스파이스(SPICE)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구한 결과이다.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길이는 8inch였고, 모든 전송선의 양 끝단은 전송선 특성 임피던스 값과 같은 50종단저항으로 터미네이션시켰다.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어그레서 라인)에 0.4V, 50ps 상승시간을 가지는 전압을 인가하고,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빅팀 라인)의 끝에서 수신단 누화잡음 전압 파형을 측정하였으며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의 경우가 수신단 누화잡음 전압이 작았다.
특히 단위 서펜타인 구조의 길이(D)가 80mil이 되는 경우에는 수신단 누화잡음을 거의 없앨 수 있었다. 하지만, 너무 많이 구불구불하게 하여 단위 서펜타인 구조의 길이(D)가 56mil인 경우는 용량성 커플링이 유도성 커플링보다 커져서 양(+)의 수신단 누화잡음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도 7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 전송선의 아이 다이어그램(Eye diagram)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의 아이 다이어그램이다.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에 대해 SPICE시뮬레이션으로 이븐-오드 모드 전송시간 차이로 인한 타이밍 지터를 구한 것이다.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어그레서 라인)과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빅팀 라인)의 송신단에 각각 27-1 PRBS(Pseudo Random Binary Sequence) 패턴과 215-1 PRBS 패턴을 인가하고,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빅팀 라인)의 수신단에서 파형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의 아이 다이어그램에서의 타이밍 지터가 5.88ps로 종래기술의 49.6ps에 비해 훨씬 작아졌음을 알 수 있다.
도 8은 이븐-오드 모드 전송시간의 차이에 의한 타이밍 지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에서 타이밍 지터가 크게 줄어들었고, 수신단 누화잡음 전압 파형과 마찬가지로 단위 서펜타인 구조의 길이(D)가 80mil일 때 최소가 되고, 단위 서펜타인 구조의 길이(D)가 80mil 보다 작아질 때는 오히려 늘어나는 현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이는 용량성 커플링이 너무 많이 증가하여 유도성 커플링에 비해 커졌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종래의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 전송선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이븐 모드와 오드 모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이븐 모드와 오드 모드에서의 누화잡음의 영향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의 단위 서펜타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을 구비한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 개 이상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을 구비한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단위 서펜타인 구조의 길이(D)에 따른 용량성 커플링 비율(KC)과 유도성 커플링 비율(KL)의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단위 서펜타인 구조의 길이(D)를 달리 했을 때 수신단 누화잡음 전압파형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 전송선의 아이 다이어그램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의 아이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이븐-오드 모드 전송시간의 차이에 의한 타이밍 지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14)

  1. 삭제
  2.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은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펜타인 구조를 구비하되,
    상기 단위 서펜타인 구조는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일 단자가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길이방향의 일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길이방향에 수평인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길이 방향의 일 측면이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다른 일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일 단자가 상기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길이 방향의 다른 일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길이방향에 수평인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을 구비하고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상기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상기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이 교대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상의 상기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은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상의 상기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은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에서 가장 먼 곳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상의 상기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은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에서 가장 먼 곳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상의 상기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은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은 그 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은 그 폭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은 그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상의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은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상의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폭 이내의 범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상의 상기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은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상의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폭 이내의 범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폭은 상기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폭의 0.1배 내지 5배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길이는 상기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폭의 1배 내지 7배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상의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과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상의 상기 제1수직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사이의 간격은 상기 제1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수평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폭의 0.0001배 내지 5배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서펜타인 구조의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의 길이방향으로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호 커패시턴스와 상호 인덕턴스의 차이를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및 상기 제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과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단위 서펜타인 구조를 갖는 제3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은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
KR1020070108630A 2007-10-29 2007-10-29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 KR100923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630A KR100923928B1 (ko) 2007-10-29 2007-10-29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
PCT/KR2008/000464 WO2009057856A1 (en) 2007-10-29 2008-01-25 A micro-strip transmission line structure of a serpentine type
US12/682,771 US8384489B2 (en) 2007-10-29 2008-01-25 Serpentine micro-strip lines configured in an aggressor/victim type transmission lin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8630A KR100923928B1 (ko) 2007-10-29 2007-10-29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023A KR20090043023A (ko) 2009-05-06
KR100923928B1 true KR100923928B1 (ko) 2009-10-28

Family

ID=4059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8630A KR100923928B1 (ko) 2007-10-29 2007-10-29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84489B2 (ko)
KR (1) KR100923928B1 (ko)
WO (1) WO20090578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1327A (ja) * 2009-11-09 2011-05-19 Canon Inc 信号伝送路
WO2013101127A1 (en) * 2011-12-29 2013-07-04 Intel Corporation Mitigation of far-end crosstalk induced by routing and out-of-plane interconnects
JP5904856B2 (ja) * 2012-04-23 2016-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リント配線板、半導体パッケージ及びプリント回路板
US20140177150A1 (en) * 2012-12-21 2014-06-26 Olufemi B. Oluwafemi Crosstalk cancelation in striplines
US9930771B2 (en) * 2015-12-16 2018-03-27 Dell Products, Lp Aperiodic routing to mitigate floquet mode resonances
US10044085B2 (en) 2016-04-14 2018-08-07 Wisconsin Alumni Research Foundation Stretchable transmission lines and circuits for microwave and millimeter wave frequency wearable electronics
TWI614769B (zh) * 2016-06-27 2018-02-11 中原大學 蛇行傳輸線結構
WO2018063416A1 (en) * 2016-10-01 2018-04-05 Intel Corporation Mutual inductance suppressor for crosstalk immunity enhancement
US11955436B2 (en) * 2019-04-24 2024-04-09 Intel Corporation Self-equalized and self-crosstalk-compensated 3D transmission line architecture with array of periodic bumps for high-speed single-ended signal transmiss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6786A (ja) 2002-11-29 2004-07-02 Murata Mfg Co Ltd 伝送線路型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KR20060009375A (ko) * 2003-05-30 2006-01-31 인텔 코오퍼레이션 디지털 전송 시스템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형 전자기커플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5585A (en) * 1964-11-25 1967-10-03 Donald A Hildebrand Phase shifting stripline directional coupling networks
GB1589519A (en) * 1976-11-19 1981-05-13 Solartron Electronic Group Printed circuits
US7397320B1 (en) * 2001-05-16 2008-07-08 Cadence Design Systems, Inc. Non-uniform transmission line for reducing cross-talk from an aggressor transmission line
US7132906B2 (en) * 2003-06-25 2006-11-07 Werlatone, Inc. Coupler having an uncoupled section
WO2006106767A1 (ja) * 2005-03-30 2006-10-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伝送線路対及び伝送線路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6786A (ja) 2002-11-29 2004-07-02 Murata Mfg Co Ltd 伝送線路型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KR20060009375A (ko) * 2003-05-30 2006-01-31 인텔 코오퍼레이션 디지털 전송 시스템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소형 전자기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07700A1 (en) 2010-08-19
KR20090043023A (ko) 2009-05-06
WO2009057856A1 (en) 2009-05-07
US8384489B2 (en) 201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928B1 (ko) 서펜타인 형태의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 구조
KR100893936B1 (ko) 수신단 누화잡음을 줄이는 수직 돌기가 형성된 마이크로스트립 전송선을 갖는 채널
KR100744535B1 (ko) 누화 간섭을 감소시키는 가드 트레이스 패턴 및 상기 가드트레이스 패턴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
US7446624B2 (en) Transmission line and wiring forming method
TWI407461B (zh) 共模雜訊濾波電路、共模雜訊濾波元件及共模雜訊濾波結構
US7705690B2 (en) Serpentine guard trace for reducing crosstalk of micro-strip line on printed circuit board
JP6588524B2 (ja) 電気コネクタにおける遠端クロストークを低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8378223B1 (en) Delay line structure
JP2011176151A (ja) プリント基板
US20050168956A1 (en) Printed wiring board for controlling signal transmission using paired inductance and capacitance
JP5728208B2 (ja) 印刷回路基板及びその配線方法
CN102238810A (zh) 印刷电路板及其布线方法
JP2008130976A (ja) プリント配線基板
TWI487434B (zh) 佈設了差分對之印刷電路板
JP4210248B2 (ja) 集積回路の並走配線
US7504587B2 (en) Parallel wiring and integrated circuit
US20130127559A1 (en) Suppression of far-end crosstalk and timing jitter by using rectangular resonators
Balakrishnan et al. Crosstalk and EMI reduction using enhanced guard trace technique
EP2874474A2 (en) Crosstalk reduction in signal lines by crosstalk introduction
JP2009055284A (ja) 波形等化回路
TWI501711B (zh) 印刷電路板及其佈線方法
TWI484693B (zh) 數位電子元件
KR100943300B1 (ko) 수신 단 누화잡음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터브를 구비한메모리 모듈 커넥터 구조
TWI442843B (zh) 軟性電路板
TWI452950B (zh) 印刷電路板及其佈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