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2150B1 - 금형조립체 - Google Patents

금형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2150B1
KR100922150B1 KR1020070141894A KR20070141894A KR100922150B1 KR 100922150 B1 KR100922150 B1 KR 100922150B1 KR 1020070141894 A KR1020070141894 A KR 1020070141894A KR 20070141894 A KR20070141894 A KR 20070141894A KR 100922150 B1 KR100922150 B1 KR 100922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re
plate
movable
inn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3832A (ko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41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2150B1/ko
Publication of KR20090073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2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2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07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by flexible movement of undercut portions of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2045/4492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preventing damage or deformation of undercut articles during ej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고정측에는 제1형상코어(22)가 구비되고, 상기 제1형상코어(22)와 협력하여 제품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코어(4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외측코어(43)에 관통되게 설치되어 제품(P)의 홀형상을 형성하며, 홀형상 내부에 언더컷을 형성하는 내측코어(36)가 구비된다. 상기 내측코어(36)는 상기 제품(P)을 취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제품의 취출시에 상기 외측코어(43)로 부터 제품(P)을 1차로 분리시킨다. 상기 외측코어(43)의 선단 내면에는 요입부(44)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코어(36)와의 사이에 상기 제품(P)이 외측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공간(Y)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제품(P)이 밀핀(38)에 의해 상기 내측코어(36)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데, 이때 상기 제품(P)이 상기 공간(Y)에서 외측으로 탄성변형가능하므로 언더컷(P') 부분이 손상되지 않고 부드럽게 취출될 수 있다.
금형조립체, 내측코어, 언더컷

Description

금형조립체{Mold assembly}
본 발명은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언더컷이 형성되는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성형기의 고정측에는 고정측판(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측판(1)에는 제1형판(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형판(2)에는 제1메인코어(3)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메인코어(3)는 후술할 제2메인코어(9)와 협력하여 제품(M)의 형상에 대응되는 공간을 만들게 된다.
상기 성형기의 가동측에는 가동측판(4)이 구비된다. 상기 가동측판(4)은 구동원에 의해 상기 고정측판(1)과 상대이동하게 된다. 상기 고정측판(1)에는 스페이서블록(6)의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블록(6) 사이에 해당하는 공간에는 밀판(5)이 구비된다. 상기 밀판(5)은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이동하면서 밀핀(E)을 제품(M) 방향으로 밀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페이서블록(6)에는 받침판(7)이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7)에는 제2형판(8)이 구비된다. 상기 제2형판(8)은 상기 제1형판(2)과 선택적으로 밀착되는 것 으로, 그 내부에는 상기 제1메인코어(3)와 대응되는 제2메인코어(9)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품(M)에는 언더컷(M')이 형성된다. 상기 언더컷(M')은 상기 제품(M)의 저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측 및 가동측의 상대이동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어느 정도 돌출되어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언더컷(M')은 상기 고정측과 가동측의 상대이동방향에 대해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상기 제1 및 제2형판(2,8)이 서로 분리되는 과정에서 제2메인코어(9)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지 못하고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품(M)이 파손되거나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밀판(5)에 연결된 별도의 경사밀핀(미도시)이 상기 언더컷(M')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밀핀은 상기 고정측과 가동측이 분리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이동하여 상기 언더컷(M')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사밀핀은 상기 제2형판(8)으로부터 밀판(5)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되어야 하므로 그 길이가 매우 길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금형조립체가 작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밀핀이 부러지거나 혹은 쉽게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언더컷이 형성된 제품을 코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성형기의 고정측판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제품의 외관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형상코어가 구비되는 제1형판과; 상기 성형기의 가동측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형판과 선택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제1형상코어와 협력하여 상기 제품의 외관을 성형하는 외측코어가 구비되는 제2형판과; 상기 외측코어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품을 취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품의 홀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제품의 홀형상에 언더컷을 형성하기 위해 외면에 성형홈이 형성되는 내측코어와; 상기 제품을 취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품이 상기 내측코어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제품을 미는 밀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측코어의 선단 내면에 요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코어와의 사이에 상기 제품이 외측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공간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가동측판에 상기 고정측판을 향해 이동가능하도록 코어가동판이 구비되고, 상기 코어가동판에 상기 내측코어가 연결되어 상기 코어가동판이 상기 가동측판에 구비되는 가압부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내측코어가 상기 제품을 상기 외 측코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가동판에 상기 고정측판을 향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밀핀이 연결되는 밀판이 구비되고, 상기 밀핀은 1차로 상기 코어가동판의 이동에 의해 상기 내측코어와 함께 상기 고정측판을 향해 이동하고, 2차로 상기 밀판의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측판을 향해 더 이동하여 상기 제품을 상기 내측코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취출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코어는 상기 밀핀을 관통하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품이 취출되는 과정에서, 1차로 제품의 언더컷을 성형하기 위한 내측코어가 밀핀과 함께 제품을 밀어 외측코어로부터 제품을 분리시키고, 2차로 밀핀이 제품을 밀어 내측코어로부터 제품을 분리시킨다. 이때 제품이 이미 외측코어로부터 벗어난 상태이므로, 제품이 외측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어 제품 분리시에 언더컷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금형조립체의 고정측에는 고정측판(10)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측판(10)에는 제1형판(15)이 구비된다. 상기 제1형판(15)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형 판(39)에 대응되는 판상으로 제2형판(39)과 선택적으로 밀착된다.
상기 제1형판(15)에는 제1메인코어(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메인코어(20) 내부에는 제1형상코어(22)가 구비된다. 상기 제1형상코어(22)는 제품(P)의 형상 일부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제2형상코어(43)와 협력하여 제품(P)의 형상에 대응되는 공간인 캐비티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형상코어(22)는 상기 제1메인코어(20)에 별개물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제1메인코어(2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금형조립체의 가동측에는 가동측판(30)이 구비된다. 상기 가동측판(30)은 상기 고정측판(10)의 타측에 해당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상기 고정측판(10)과 상대이동하게 된다. 상기 가동측판(30)에는 스페이서블록(31)이 설치되고, 상기 스페이서블록(31)에 의해 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가동측판(30)의 일측에는 안착홀(32)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홀(32)에 가압부(33)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가압부(33)는 후술할 코어가동판(35)을 상기 제2형판(39)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간(S)에는 코어가동판(35)이 구비된다. 상기 코어가동판(35)은 상기 가압부(33)에 의해 상기 고정측판(10)을 향하여 소정 거리 이동된다. 상기 코어가동판(35)에는 내측코어(36)가 연결된다. 상기 내측코어(36)는 후술할 외측코어(43)와 협력하여 제품(P)의 홀형상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상기 내측코어(36)의 선단에는 제품(P)의 내부에 언더컷(P')을 형성하기 위한 성형홈(36')이 형성된다.
상기 내측코어(36)는 상기 코어가동판(35)을 따라 상기 제품(P)을 1차취출하 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내측코어(36)는 도 2와 같이 제1형판(15)과 제2형판(39)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그 일단은 상기 코어가동판(35)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품(P)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측코어(36)는 후술할 밀핀(38)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또한, 상기 공간(S)에는 밀판(37)이 상기 코어가동판(35)에 안착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밀판(33)은 상밀판과 하밀판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기 밀판(37)은 제품(P)의 1차취출시에 상기 코어가동판(37)에 의해 지지되어 코어가동판(37)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다가, 2차취출시에는 상기 밀판(37)이 별도의 로드봉(미도시)에 의해 이동되면서 제품(P)을 상기 내측코어(36)로 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밀판(37)에는 밀핀(38)이 연결된다. 상기 밀핀(38)은 상기 밀판(37)을 따라 제품(P)방향으로 이동하여 제품(P)을 취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밀핀(38)의 일단은 상기 밀판(37)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품(P)의 일측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스페이서블록(31)에는 제2형판(39)이 구비된다. 상기 제2형판(39)은 상기 제1형판(15)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제1형판(15)과 선택적으로 밀착되면서 상기 제품(P)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2형판(39)의 내부에는 제2메인코어(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메인코어(40)는 상기 제1메인코어(20)와 함께 상기 제품(P) 외관에 대응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메인코어(40)의 내부에는 제품(P)의 외측을 형성하는 외측코어(43) 가 구비된다. 상기 외측코어(43)의 내부에는 상기 내측코어(36)가 관통되게 설치된다.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품(P)의 외면에 대응되는 상기 외측코어(43)에는 선단에 요입부(44)가 형성된다. 이러한 요입부(44)에 의해 상기 제품(P)이 미세하게 두꺼워진다. 상기 요입부(44)는 상기 내측코어(36)와 밀핀(38)이 상기 제품(P)을 소정 거리 이동시켰을 때 언더컷(P')이 형성된 제품(P)의 선단이 외측으로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공간(Y)(도 4참고)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요부구성으로부터 제품이 취출되는 과정이 동작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제품(P)이 완성되어 취출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제1 및 제2형판(15,39)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 내부로 용융된 수지가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수지가 고화되면 제품(P)형상이 완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동측판(30)이 구동원에 의해 상기 고정측판(1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형판(15,39)은 서로 분리되고 상기 캐비티 내부의 제품(P)은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상기 가압부(33)의 가압에 의해 코어가동판(37)이 상기 고정측을 향해 상승된다. 상기 코어가동판(37)에는 내측코어(36)가 연결되어 있으 므로 내측코어(36)도 함께 이동된다. 또한, 상기 코어가동판(37)의 이동에 따라 밀판(37)도 함께 이동한다. 즉, 제품(P)이 내측코어(36)와 밀핀(38)에 의해 외측코어(43)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제품(P)의 하단이 상기 외측코어(43)의 요입부(44)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요입부(44)에 의해 상기 내측코어(36)와 외측코어(43) 사이에는 언더컷(P')이 형성된 제품(P)의 하단이 탄성변형가능하도록 공간(Y)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밀판(37)이 별도의 구동원에 의해 상기 고정측을 향해 상승된다. 그러면 도 5와 같이 상기 밀판(37)에 연결된 밀핀(38)의 선단이 상기 제품(P)을 돌출시켜 제품(P)이 상기 제2메인코어(40)로 부터 완전히 취출된다. 이때, 상기 제품(P)의 언더컷(P')이 형성된 부분이 상기 요입부(44)에 의해 외부로 탄성변형될 수 있어 상기 밀핀(38)이 상기 제품(P)을 돌출시켜 상기 내측코어(36)로부터 제품(P)을 부드럽게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코어(43)의 내면에 요입부(44)를 형성하고, 내측코어(36)와 밀핀(38)이 제품(P)을 요입부(44)까지 밀어 올려 제품(P)이 외측으로 탄성변형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고, 상기 외측코어(43)의 내면에 요입부(44)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상기 코어가동판(37)에 의해 상기 내측코어(36)와 밀핀(38)이 상기 제품(P)을 외측코어(43)로 부터 완전히 분리될 때까 지 밀어, 제품(P)이 외측으로 탄성변형되는 것이 방해받지 않도록 된 상태에서, 밀핀(38)이 더 이동하여 제품(P)을 내측코어(36)로부터 완전히 취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금형조립체의 요부구성으로부터 제품이 취출되는 과정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고정측판 15: 제1형판
20: 제1메인코어 22: 제1형상코어
30: 가동측판 33: 가압부
35: 코어가동판 36: 내측코어
37: 밀판 38: 밀핀
39: 제2형판 40: 제2메인코어
43: 외측코어 44: 요입부
P: 제품 P': 언더컷

Claims (5)

  1. 삭제
  2. 성형기의 고정측판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제품의 외관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형상코어가 구비되는 제1형판과;
    상기 성형기의 가동측판에 설치되어 상기 제1형판과 선택적으로 밀착되고 상기 제1형상코어와 협력하여 상기 제품의 외관을 성형하는 외측코어가 구비되는 제2형판과;
    상기 외측코어의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품을 취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품의 홀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제품의 홀형상에 언더컷을 형성하기 위해 외면에 성형홈이 형성되는 내측코어와;
    상기 제품을 취출시키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품이 상기 내측코어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제품을 미는 밀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측코어의 선단 내면에 요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측코어와의 사이에 상기 제품이 외측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공간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판에 상기 고정측판을 향해 이동가능하도록 코어가동판이 구비되고,
    상기 코어가동판에 상기 내측코어가 연결되어 상기 코어가동판이 상기 가동측판에 구비되는 가압부에 의해 이동함에 따라 상기 내측코어가 상기 제품을 상기 외측코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분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가동판에 상기 고정측판을 향해 이동가능하며 상기 밀핀이 연결되는 밀판이 구비되고,
    상기 밀핀은 1차로 상기 코어가동판의 이동에 의해 상기 내측코어와 함께 상기 고정측판을 향해 이동하고, 2차로 상기 밀판의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측판을 향해 더 이동하여 상기 제품을 상기 내측코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취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코어는 상기 밀핀을 관통하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조립체.
KR1020070141894A 2007-12-31 2007-12-31 금형조립체 KR100922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894A KR100922150B1 (ko) 2007-12-31 2007-12-31 금형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894A KR100922150B1 (ko) 2007-12-31 2007-12-31 금형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832A KR20090073832A (ko) 2009-07-03
KR100922150B1 true KR100922150B1 (ko) 2009-10-21

Family

ID=41330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894A KR100922150B1 (ko) 2007-12-31 2007-12-31 금형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21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624A (ko) * 1994-10-28 1996-05-22 김주용 유동 코어를 이용한 언더컷 처리금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624A (ko) * 1994-10-28 1996-05-22 김주용 유동 코어를 이용한 언더컷 처리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832A (ko) 200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195B1 (ko) 사출성형금형의 언더컷용 슬라이드 구동구조
KR100933545B1 (ko) 금형조립체
KR100922150B1 (ko) 금형조립체
JP5114803B2 (ja) アンダーカット処理機構
CN111070594B (zh) 一种注塑模具
KR20130001735U (ko) 사출 금형의 언더컷 처리용 이중 슬라이드 장치
KR100814930B1 (ko) 금형조립체
KR100787196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100752745B1 (ko) 인서트 천 사출금형 장치
KR100988790B1 (ko) 슬라이드코어 어셈블리
KR100922153B1 (ko) 금형조립체
KR20090051645A (ko) 금형조립체
KR100988328B1 (ko) 사출금형의 밀핀장치
KR100846850B1 (ko) 금형조립체의 취출장치
JP2006248055A (ja) 射出成形金型の2段突き出し機構
KR100823340B1 (ko) 금형조립체의 내측 언더컷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200445760Y1 (ko) 사출금형의 언더컷 취출장치
KR100922151B1 (ko) 금형조립체
KR100846857B1 (ko) 금형조립체
JP6515619B2 (ja) 枠体付窓ガラスの製造方法
CN203831734U (zh) 汽车杂品箱注塑模具侧面滑块的复合角度脱模机构
KR100846856B1 (ko) 금형조립체
KR101975772B1 (ko) 성형품의 변형 방지를 위한 상측 이젝팅 구조를 갖는 다이캐스팅 금형
KR100874974B1 (ko) 금형조립체
JP2021094791A (ja) 射出成形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