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577B1 - 당뇨양말 - Google Patents

당뇨양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577B1
KR100921577B1 KR1020070130188A KR20070130188A KR100921577B1 KR 100921577 B1 KR100921577 B1 KR 100921577B1 KR 1020070130188 A KR1020070130188 A KR 1020070130188A KR 20070130188 A KR20070130188 A KR 20070130188A KR 100921577 B1 KR100921577 B1 KR 100921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s
diabetic
band
present
a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2756A (ko
Inventor
정장기
Original Assignee
(주)토리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리다 filed Critical (주)토리다
Priority to KR1020070130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577B1/ko
Publication of KR20090062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1/00Hosiery; Panti-hos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4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antimicrobial or antibac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500/00Materials for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500/10Knit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ocks And Pantyhos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당뇨양말은, 첫째, 착용 시에 혈액순환을 방해하지 않고, 둘째, 흘러내리지 않아 착용감이 우수하며, 셋째, 항균 등의 청결성이 우수하여 피부 또는 피부상처를 보호할 수 있고, 넷째, 발가락부의 연결부위에 피부자극 또는 상처를 줄 수 있는 부위(올, 실자국 등)가 최소화되어 있으며, 다섯째, 장시간 착용시에도 상술한 효과들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당뇨양말은 장시간 착용 시에도 흘러내림 및 밴드자국이 없어 착용감이 우수하고 혈액순환장해가 없기 때문에, 당뇨환자의 발관리 및 발보호에 효과적이다.
당뇨양말, 당뇨, 항균섬유, 밴드

Description

당뇨양말 {SOCKS FOR DIABETICS}
본 발명은 당뇨환자를 위한 기능성 양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장시간 착용 시에도 흘러내림 및 밴드자국이 없어 착용감이 우수하고 혈액순환장해가 없는 당뇨양말 또는 항균성 당뇨양말에 관한 것이다.
선진국에서는 하지 절단의 40%이상이 당뇨관련 발 질환으로 행해지고 있고, 우리나라도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당뇨환자 자체 및 그에 따른 발 질환이 점증하고 있다. 당뇨 족부 질환은 한번 낫더라도 흔하게 재발하며 한번 발생하면 오랜 치료경과 등으로 육체적, 경제적 피해가 매우 커서 평상시의 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우선적으로, 당뇨병 환자들은 발이 쉽게 건조해지고 피부가 거칠어져서 균열이 날 뿐만 아니라 상처도 입기 쉽다. 상처가 난 경우에는, 신경합병증으로 감각이 둔해져 상처의 조기발견이 어려우며, 세균 저항력이 약해져 상처가 덧나거나 세균합병증이 생기기 쉽다. 게다가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혈액순환이 나빠 세균감염 없이도 괴사에 빠질 수 있으며 근육 및 관절의 정상 기능을 소실하여 발이 뒤틀리는 족부 변형이 점차로 진행되기도 한다. 이러한 족부변형은 뼈가 돌출된 곳에 궤양을 일으켜 오랜 동안 낫지 않고 환자를 지치게 한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들은 발 관리에 더욱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다음과 같은 특별한 발관리 및 보호 요령이 강조되고 있다. 첫째, 항상 발을 깨끗이 씻어 청결을 유지한다. 둘째, 세척시 너무 물에 오래 담그지 말고 씻은 후에는 물기가 없도록 보송보송하게 닦는다. 셋째, 가능하면 항상 양말을 착용하여 피부 건조 및 상처를 예방한다. 넷째, 양말은 매일 갈아 신어 청결하게 하고 구멍이 나면 즉시 버린다. 다섯째, 양말은 바닥이 두툼해야 하고 다리나 발목이 조이는 양말은 혈액순환장애를 일으키므로 좋지 않다. 여섯째, 면양말이나 당뇨양말을 사용하여 과도한 땀에 의한 마찰을 줄인다.
이처럼 당뇨환자들에게는 발보호를 위해 양말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런 당뇨환자들을 위한 양말로서, 얇고 부드러운 면이나 모혼방으로 제조되고, 밴드가 너무 조이거나 솔기나 박음선이 없고, 쿠션이 있고 발과 다리에 압력을 줄일 수 있는 양말이 권장되고 있다.
당뇨환자들의 발보호를 위해, 각종 기능들을 구비한 기능성 양말들이 제안 및 개발되어 있다.
예를들면,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10-2003-0004155호(출원일 2003년 1월 21일)에는, 양말이 흘러내리지 않게 해주는 밴드부를, 스판기능이 있는 실이나 압축성이 강한 고무와 같은 소재를 사용하지 않고 와이셔츠와 같은 구조로 만든 양말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양말은 압축성이 강한 고무로 인한 밴드부에 의한 조임이 크게 줄어들어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양말이 흘러내리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단추자국으로 인한 피부자극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3-0020415호 (출원일 2003년 6월 27일)에는, 첫째, 발가락부, 발등부 및 뒤꿈치부는 탄성을 주기위한 보풀로 이루어진 파일로 직조되고 발목부는 올이 넓게 형성된 무지천으로 직조되며, 둘째, 상기 발목부는 위로 올라갈수록 넓어지는 역삼각형으로 성형되며, 셋째, 그리고 상기 파일과 무지천의 표면은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무기광물질과 피부를 보호하는 키토산이 혼합되어 도포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 환자용 양말이 기재되어 있으며, 전술한 구성으로 인해, 발목부분의 혈행이 순조롭고 탈취력과 향균력이 있다고 되어 있다.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6-0016898호 (출원일 2006년 6월 22일)에는, 은코팅사 또는 다른 섬유와 은코팅사를 혼방한 은방적사를 발바닥부에 돌기형상의 편직하여 제조한 다기능양말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출원에는 양말의 형상이 발목부가 잘 늘어나도록 편직하여 통풍성을 증가시키고 혈액순환이 잘되도록 한다는 기재는 있지만, 이를 위한 구성은 기재되어 있지 않다.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6-0019520호 (출원일 2006년 7월 20일)에는, 밴드부위는 신축성이 없는 폴리에스테르와 면으로 형성되고, 발목부위는 폴리에스테르로 된 메쉬구조로 편직되고, 발등부위는 스판과 면이 조합된 직물로 이루어지고, 발바닥부위는 면사를 2올 더 보강한 타올식 편직으로 이루어지고, 발뒤꿈치부위와 발가락부위는 두겹의 직물로 되어 있는, 당뇨환자용 기능성 양말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6-002550호 (출원일 2006년 9월 22일)에는, 엄지발가락과 뒷꿈치가 들어갈 공간을 마련하고 발목에서 종아리로 향할수록 점진적으 로 그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제직된 종아리부로 구성된 당뇨양말이 개시되어 있다. 이 양말은 착용감이 우수하고 혈액순환이 원활하다고 되어 있으나, 밴드부의 존재는 여전히 혈행과 피부자극에 문제점을 주고 있다.
이처럼, 당뇨환자들을 위한 여러 가지 기능성 양말들이 제안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개발되어 시판 중인 것들도 있지만, 만족스러운 당뇨양말은 아직 제안되어 있지 않다. 당뇨환자들의 발보호를 위해 혈액순환 및 피부보호에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착용감도 우수한 당뇨양말의 개발은 여전히 요망되고 있다.
당뇨병 환자들의 발관리 및 발보호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당뇨양말은, 첫째, 착용 시에 혈액순환을 방해하지 않고, 둘째, 흘러내리지 않고, 셋째, 착용감이 우수하며, 넷째, 항균 등의 청결성이 우수하여 피부 또는 피부상처를 보호할 수 있어야 하고, 다섯째, 피부자극을 줄 수 있는 부위(올, 실작국 등)이 없어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조건들을 모두 만족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착용 시에도 상술한 효과들을 유지할 수 있는 당뇨양말을 개발하기 위하여 심도있게 연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첫째, 밴드부에 탄성있는 신축사, 예를들면 고무 또는 스판사를 아주 작은 비율로 포함시키고, 둘째, 발목부에서 종아리부를 거쳐 밴드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구조를 가지며, 셋째, 항균입자들이 내부에 포함된 항균섬유 로 만들어지고, 넷째, 양말의 구성부분의 연결을 올이나 연결자국이 없게 연결한 당뇨양말을 제조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밴드부, 발목부, 발등부, 발가락부, 측면부, 뒤꿈치부 및 발바닥부로 구성된 당뇨양말에 있어서,
- 밴드부는 탄성있는 고무 또는 스판사를 2~12회전하도록 포함하고,
- 발목부와 밴드부는 각각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폭이 동일 또는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당뇨양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당뇨양말의 각 부위는 일체형으로 제조되거나, 올이 없게 연결되거나, 몸체 제조 침수의 40~60% 침수로 연결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발가락부가 다른 부위와 몸체 제조 침수의 40~60% 침수로 봉조 연결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변법에 따르면, 당뇨양말은 전체 또는 일부가 항균섬유로 제조되어 항균성 당뇨양말이 제공된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양말의 일반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1은 밴드부, 2는 발목부, 3은 발등부, 4는 발가락부, 5는 측면부, 6은 발뒤꿈치부, 7은 발바닥부를 나타낸다.
도 2는 일반적인 양말의 밴드부 및 발목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일반적인 양말은 발목부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폭이 넓어지다가 밴드부에 가까이 가면 탄성고무 또는 탄성사를 넣어 제조한 밴드부로 인해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말의 밴드부 및 발목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진이 다. 본 발명에 따른 양말은 발목부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폭이 넓어지며, 밴드부에 접근해서도 폭이 줄어들지 않고 동일하거나 또다시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말의 발가락부와 발등부의 핸드링킹(hand linking)의 일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당뇨증상이 있는 발에 있어서 혈액순환은 매우 중요하며, 기존 양말들의 밴드부에 의한 혈액순환방해는 당뇨증상이 있는 발에 매우 악영향을 끼친다. 이 때문에 밴드부가 없는 당뇨양말이 제안되기도 하였지만, 그럴 경우 착용시에 흘러내림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발목부 또는 발바닥부의 양말의 겹침현상은 불편함을 줄 뿐만 아니라 때로는 피부에 상처나 자국을 주어 발보호에 역작용을 주기도 한다.
이 때문에 단추 등을 사용하여 흘러내림을 방지하려는 시도도 있었지만, 흘러내림을 완전히 방지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첫째 밴드부에 탄성있는 고무 또는 스판사와 같은 신축사를 2~12회전하도록 포함시키고, 둘째, 발목부와 밴드부는 각각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폭이 동일하거나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는 당뇨양말이 제공된다.
기존의 양말은, 밴드부의 탄성있는 고무 또는 스판사와 같은 신축사를 보통 57~60회전하도록 포함한다. 때문에 장시간 착용시에 밴드부와 접하는 부분에 자국을 남기는 경우가 많아 일부 당뇨양말에서는 밴드부 자체를 없애거나 고무 또는 스판사를 사용않고 밴드부를 형성시키는 것이 제안되기도 했다. 이런 경우에는 양말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없어 착용감이 불편하거나 장시간 착용시에 발바닥이나 발목부위에 양말의 겹칩현상으로 인해 오히려 발보호에 좋지않은 효과를 준다.
본 발명에서는, 밴드부에 탄성있는 고무 또는 스판사와 같은 신축사를 기존의 양말의 약 1~20%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약 2~15%의 양으로, 구체적으로는 약 3~10%의 양으로 포함시켜, 밴드부에 의한 피부조임과 흘러내림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밴드부의 탄성있는 고무 또는 스판사와 같은 신축사를 기존의 양말에 비해 현저히 줄인 것은 외관에 문제가 없으면서 밴드부의 조임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인 양말에서는 보통 55~65회전을 하도록 신축사가 혼입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당뇨양말에서는 약 2~12회전으로 혼입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회전 수치는 약 3~10회전이고, 특별하게는 약 4~6회전이다. 이러한 회전 수치는 고무 또는 스판사의 탄성에 따라 상기 범위 바깥으로도 적절히 조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당뇨양말은 발목부와 밴드부에서 각각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넓어지거나 동일한 형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발목부에서 종아리에서 밴드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넓어지며, 밴드부는 접경부의 폭에 맞추어 형성시킨다. 또 다르게는, 발목부에서 밴드부로 점진적으로 폭이 넓어지는 테이프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뜨르면, 본 발명의 당뇨양말은 발목부가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밴드부가 발목부와의 접경부에서의 폭과 동일 또는 유사한 폭을 갖도록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당뇨양말은 상술한 구성 및 형상을 가짐으로써, 흘러내림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종아리에 자국이 날 정도의 압박이 없어 혈액순환도 방해받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당뇨양말은 장시간, 예를 들어 몇 시간 이상 착용하였을 때에도 종아리에 양말밴드 자국이 새겨지지 않거나, 새겨지는 경우에도 기존의 양말에 비해 극히 미미할 정도의 자국밖에는 새겨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항균섬유를 사용하는 이유는 당뇨양말의 청결을 유지하고 피부보호를 위한 것이다. 당뇨병 증상의 발은 건조하고 균열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이를 보호하는 양말에 세균이 있는 경우에는 쉽게 감염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발에서 나오는 땀과 열기 등을 흡수한 양말에는 세균이 자라기 쉽다. 따라서 당뇨양말에는 항균섬유의 사용이 필수적이다.
항균섬유의 종류는 섬유가 항균성을 나타내기만 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항균제로는 천연항균제, 유기항균제, 무기항균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항균제는 항균섬유의 내부에 포함되거나 외부에 코팅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국특허출원 10-2006-0080128호 또는 한국실용신안출원 20-2006-0022789에 기재된 항균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건강, 지속성 및 안정성의 이유로, 은나노입자를 내부에 포함하는 항균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항균섬유의 사용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제조된 양말이 충분히 항균성을 나타낼 수 있는 비율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말의 각 부위는 일체형으로 연결되거나 올이 없게 연결된다. 양말의 밴드부, 발목부, 발등부, 발가락부, 측면부, 뒤꿈치부 및 발바닥부에서 발가락부를 제외한 다른 부위는 일체형으로 연속적으로 제조하지만, 발가락부는 별도로 제조한 후에 다른 부위와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발가락부와 다른 부위를 연결할 때 볼록부분이 생기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연결함으로써 양말의 착용시에 피부에 줄 수 있는 자극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발가락부와 다른 부위를 볼록부분이 없도록 연결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코와 코를 하나하나씩 손으로 봉제하는 핸드링킹(hand linking)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핸드링킹방식으로 연결된 발가락부는 어떤 종류의 신발을 신어도 매끈하고 발배김 현상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양말의 일부분을 별도로 제조한 다음 다른 부위와 연결하는 경우에는, 보통 몸체의 제조에 사용한 침수(코수)의 절반정도의 침수, 예를 들면 30~70%, 바람직하게는 40~60%의 침수로 연결한다. 예를 들어, 양말의 발가락부와 다른 부위들의 몸체를 200침수로 제조한 경우에, 60~140 침수, 바람직하게는 80~120 침수로 발가락부위와 다른 부위들을 연결한다. 양말의 몸체를 150 침수로 제조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45~105 침수, 바람직하게는 60~90 침수로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양말 몸체의 절반정도의 침수로 연결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 침수의 비율은 필요에 따라 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변법에 따르면, 당뇨양말 본체의 조직을 촘촘한 플레인 조직을 갖게 함으로써, 수분 유지, 피부 보호, 흘러내림 방지 등의 효과를 더욱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변법에 따르면, 발목부분을 1x1 리브(Rib) 조직으로 제조하여 흘러내림과 미끄러움을 방지하고 쾌적하고 편안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착용 시에 혈액순환을 방해하지 않고, 둘째, 흘러내리지 않아 착용감이 우수하며, 셋째, 항균 등의 청결성이 우수하여 피부 또는 피부상처를 보호할 수 있고, 넷째, 발가락부의 연결부위에 피부자극 또는 상처를 줄 수 있는 부위(올, 실자국 등)가 최소화되어 있으며, 다섯째, 장시간 착용시에도 상술한 효과들을 유지할 수 있는 당뇨양말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당뇨양말은 장시간 착용 시에도 흘러내림 및 밴드자국이 없어 착용감이 우수하고 혈액순환장해가 없기 때문에, 당뇨환자의 발관리 및 발보호에 효과적이다.
이하에 본 발명은 실시예를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하루의 대부분을 회사에서 보내게 되는 비즈니스맨을 위해 혈액순환이 원활하도록 도와주며, 정장차림에도 어울리는 디자인을 갖는 신사용 당뇨양말이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통상적으로 보통 양말의 제조에 사용되는 방식 및 기계를 이용하였다. 은나노입자-함유 항균섬유 [(주)실빅스 제조]를 200침 세침으로 사용하고, 밴드부에는 고무사를 3~4회전하도록 포함시켰으며, 발가락부위는 별도로 제조하여 본체와 약 100침(코)으로 봉조 연결하여 항균성 당뇨 양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항균성 당뇨양말은 착용자의 종아리 부분에 조임이 없으면서도 흘러내리지 않고 발가락 윗부분에 닿는 감촉에 걸리적거리는 불편이 없고 울퉁불퉁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자 또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는 변형 또는 개조된 방식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장시간 착용시에도 흘러내림과 밴드자국이 없어 착용감이 우수하고 혈액순환을 방해하지 않는, 당뇨환자의 발관리 및 발보호에 효과적인 우수한 당뇨양말이 제공된다.
도 1은 양말의 일반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1은 밴드부, 2는 발목부, 3은 발등부, 4는 발가락부, 5는 측면부, 6은 발뒤꿈치부, 7은 발바닥부를 나타낸다.
도 2는 일반적인 양말의 밴드부 및 발목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양말의 밴드부 및 발목부의 형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Claims (5)

  1. 밴드부, 발목부, 발등부, 발가락부, 측면부, 뒤꿈치부 및 발바닥부로 구성된 당뇨양말에 있어서,
    - 밴드부는 탄성있는 고무 또는 스판사를 2~12회전하도록 포함하고,
    - 발목부와 밴드부는 각각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폭이 동일하거나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 발가락부는 양말의 다른 부분과 몸체 제조 침수의 40~60%의 침수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양말.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밴드부는 탄성있는 고무 또는 스판사를 3~8회전하도록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양말.
  3.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발목부는 아래에서 위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지며, 전술한 밴드부는 발목부와의 접경부에서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갖도록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양말.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전술한 당뇨양말은 항균섬유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성 당뇨양말.
KR1020070130188A 2007-12-13 2007-12-13 당뇨양말 KR100921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188A KR100921577B1 (ko) 2007-12-13 2007-12-13 당뇨양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0188A KR100921577B1 (ko) 2007-12-13 2007-12-13 당뇨양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756A KR20090062756A (ko) 2009-06-17
KR100921577B1 true KR100921577B1 (ko) 2009-10-12

Family

ID=40991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0188A KR100921577B1 (ko) 2007-12-13 2007-12-13 당뇨양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57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479A (ko) 2020-10-28 2022-05-06 (주)비엠시스 당뇨 양말에 구비되는 인솔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9549A (ko) * 1990-05-15 1991-12-19 이기원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논 슬립(non slip)양말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328552Y1 (ko) 2003-06-27 2003-09-29 황옥순 당뇨 환자용 양말
KR200428928Y1 (ko) * 2006-06-22 2006-10-16 (주)에스엘존 은이 함유된 다기능 양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9549A (ko) * 1990-05-15 1991-12-19 이기원 흘러내림이 방지되는 논 슬립(non slip)양말과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328552Y1 (ko) 2003-06-27 2003-09-29 황옥순 당뇨 환자용 양말
KR200428928Y1 (ko) * 2006-06-22 2006-10-16 (주)에스엘존 은이 함유된 다기능 양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6479A (ko) 2020-10-28 2022-05-06 (주)비엠시스 당뇨 양말에 구비되는 인솔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756A (ko) 2009-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33711A1 (en) Sock, especially athletic sock
US20070283483A1 (en) Therapeutic sock for diabetics
JP5031311B2 (ja) フート・ウェア及びソックス
JP2007517145A (ja) 機能性の圧迫靴下
US20120159692A1 (en) Fabrics, compression garments and compression garment systems
KR20130027127A (ko) 당뇨 환자용 양말
KR200346573Y1 (ko) 기능성 압박 양말
CA2827750C (en) Graduated compression garments
CA2558157A1 (en) Sock, especially athletic sock
KR100921577B1 (ko) 당뇨양말
KR200271214Y1 (ko) 기능성 압박 양말
KR20120014647A (ko) 당뇨병 환자용 양말
JP2004270122A (ja) インナーソックス
JP3739343B2 (ja) 靴下
US20170175310A1 (en) Fabrics, compression garments and compression garment systems
JP5375159B2 (ja) ストッキング
JP3180174U (ja) 部分的に乾燥防止加工を施した靴下・手袋及びこれに類する繊維製品
KR20220095003A (ko) 발목 압박양말
KR20170090068A (ko) 양말
JP7338115B2 (ja) 下半身用衣類
JP6945926B2 (ja) 下半身用衣類
CN215455464U (zh) 多功能芦荟保健袜
JP3122471U (ja) 靴下
CN219270187U (zh) 银纤维功能袜
CN214594191U (zh) 一种保暖抗菌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