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105B1 - 차량용 조이스틱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이스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105B1
KR100921105B1 KR1020040105988A KR20040105988A KR100921105B1 KR 100921105 B1 KR100921105 B1 KR 100921105B1 KR 1020040105988 A KR1020040105988 A KR 1020040105988A KR 20040105988 A KR20040105988 A KR 20040105988A KR 100921105 B1 KR100921105 B1 KR 100921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ystick
stopper
vehicle
guide
guid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8058A (ko
Inventor
김상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5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1105B1/ko
Publication of KR20060068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8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6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58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navigation system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사용되는 조이스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조이스틱을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조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한 조작시에 조이스틱을 사용자가 조작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안내해주는 가이드 구조체가 설치되고, 특히 모니터의 특정 화면 단계에서 DIS의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일부 무효한 방향에 대하여 조이스틱의 조작을 구속해주는 조작방향 제한수단이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조이스틱을 조작할 수 있고, 주행 중 조작시 주의력 분산에 의한 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는 차량용 조이스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조이스틱, 가이드 구조체, 조작방향 제한수단

Description

차량용 조이스틱 장치{Joy stick device for vehicle}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조이스틱 장치에서 가이드 구조체가 설치된 조이스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조이스틱 장치에서 각각 조작방향 제한수단의 작동 전 상태와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조이스틱 장치에서 스토퍼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DIS 컨트롤러 10 : 조이스틱
20 : 가이드 구조체 22 : 링형부
24 : 안내블럭 30 : 조작방향 제한수단
32 : 스토퍼 34 : 스토퍼 구동부
36 : 구동 컨트롤러 37 : 회동레버
38 : 솔레노이드 기구 38a : 솔레노이드
본 발명은 차량에 사용되는 조이스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조이스틱을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조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한 조작시에 조이스틱을 사용자가 조작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안내해주는 가이드 구조체가 설치되고, 특히 모니터의 특정 화면 단계에서 DIS의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일부 무효한 방향에 대하여 조이스틱의 조작을 구속해주는 조작방향 제한수단이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조이스틱을 조작할 수 있고, 주행 중 조작시 주의력 분산에 의한 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는 차량용 조이스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자동차에는 운전자와 승객의 편의를 위하여 AV(Audio/Video), 네비게이션(Navigation), DVD(Digital Versatile Disk), 텔레매틱스(telematics) 등과 같은 각종 편의장치들이 설치되고 있으며, 자동차의 사용이 점차 늘어감에 따라 새로운 기능을 갖춘 편의장치들이 계속해서 추가 개발되어 장착되고 있다.
그리고, 자동차에 설치된 각종 편의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화면을 제공하거나 각 장치의 작동상태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LCD 등 모니터 등이 설치되고 있으며, 운전자로 하여금 화면상에 제공된 각종 메뉴를 선택 조작할 수 있도록 모니터 화면을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하거나, 버튼 또는 조이스틱 장치와 같은 각종 조작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한편, 차량에서 사용되고 있는 조이스틱 장치는 DIS(Driver Information System)의 조작수단 중 하나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 DIS는 멀티미디어, 즉 AV 기능 및 텔레매틱스 기능, 에어컨, 차량의 환경설정, 자기진단 등 운전자에게 필요한 많은 기능을 운전자에게 제시함과 동시에 운전자가 오디오 뿐만 아니라 차량 내의 네트워킹된 제품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상기한 조이스틱을 적용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조이스틱을 8방향 또는 4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 화면상의 커서 또는 포커스(예, 선택된 메뉴의 음영처리)를 원하는 메뉴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와 같이 차량에서는 화면상의 메뉴를 보통 8가지 또는 4가지의 서브 메뉴로 구성하는 경우가 주류이며,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메뉴가 4가지인지 8가지인지를 판단하여 조이스틱을 움직이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 적용된 차량의 조이스틱 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손목 등을 이용하여 조이스틱을 지정된 방향으로 비교적 정확하게 움직여 주어야만 화면상의 커서 또는 포커스가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이스틱을 정확히 조작하지 못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며, 특히 운전 중에는 운전자가 조이스틱을 조작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화면상의 커서 또는 포커스를 움직이기란 더욱 힘들다.
이 경우 심하면 주행 중 주의력 분산으로 사고를 야기할 수도 있게 된다.
현재 차량에 따라서는 보다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각 화면 단계에서 조 이스틱을 움직여야 할 상황이 화면상에 표시되도록 하고 있기도 하며, 이 시스템의 경우 DIS가 모니터 화면상으로 현 단계에서 조이스틱을 4방향으로 조작해야 하는지 또는 8방향으로 조작해야 하는지를 알리기 위한 정보(예를 들면, 4방향 조작인 경우 화면상에 십자가 형태의 도형을 표시)를 제공하고 있는 바, 사용자는 이를 보고 조이스틱을 조작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시스템의 경우에서도 DIS가 각 화면 단계에서 상기와 같이 조이스틱을 4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지 또는 8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지를 판단하여 4방향 또는 8방향이라는 정보만 줄 뿐, 사용자는 손가락이나 손목을 움직여 조이스틱을 지정된 방향으로 물리적으로 움직여야 하며, 이때 조이스틱을 정확히 움직이는데 드는 노력을 경감시켜 주지는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조이스틱을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조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한 조작시에 조이스틱을 사용자가 조작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안내해주는 가이드 구조체가 설치되고, 특히 모니터의 특정 화면 단계에서 DIS의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일부 무효한 방향에 대하여 조이스틱의 조작을 구속해주는 조작방향 제한수단이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조이스틱을 조작할 수 있고, 주행 중 조작시 주의력 분산에 의한 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는 차량용 조이스틱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조이스틱 장치에 있어서,
조이스틱이 중앙부분을 통과하도록 하여 조이스틱 장치 내부의 조이스틱 회동중심 바로 상측으로 사용자 조작시에 조이스틱을 해당 조작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구조체가 설치되되, 이 가이드 구조체가 조이스틱이 통과하게 되는 링형부와, 이 링형부 상측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안내블럭이 일체화된 구조로 되어, 조이스틱이 조작시에 각 안내블럭이 위치하는 방향으로는 간섭 발생되면서 상기 안내블럭 사이의 공간으로만 안내됨과 동시에 조작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각 안내블럭은 삼각형의 기둥형상을 가지면서 뾰족한 모서리부분이 중앙의 조이스틱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구조체에서 차량에 설치된 DIS의 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현재의 모니터 화면 단계에서 조이스틱의 유효 조작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무효한 방향에 대하여 조이스틱의 조작을 구속하는 조작방향 제한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방향 제한수단은,
무효한 방향의 안내블럭 사이 공간에서 하측의 스프링 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된 상태로 가이드 구조체의 링형부 상측으로 돌출 작동되어 그 방향으로의 조이 스틱 움직임을 구속하는 각 스토퍼와, 상기 각 스토퍼를 상승/하강 구동하기 위한 스토퍼 구동부와, 상기 DIS의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스토퍼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 구동부는,
일단이 해당 스토퍼에 연결되고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서 스토퍼를 돌출 작동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밀어주는 회동레버와, 상기 구동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으면서 솔레노이드 돌출 작동시에 솔레노이드 선단이 상기 회동레버의 타단을 밀어 회동시키도록 된 솔레노이드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a와 도 1b는 본 발명의 조이스틱 장치에서 가이드 구조체가 설치된 조이스틱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1a와 도 1b는 각각 가이드 구조체에 의해 조이스틱이 안내되면서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한 도 2a와 도 2b는 본 발명의 조이스틱 장치에서 각각 조작방향 제한수단의 작동 전 상태와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 2a는 4방향으로만 조작될 수 있도록 조작방향 제한수단(30)의 스토퍼(32)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8방향으로의 조작이 모두 가능하도록 스토퍼(32)가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한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의 조이스틱 장치에서 스토퍼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의 구성도로서, 각각의 작동상태에 따라 구분하여 나타내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조이스틱 장치에는 사용자가 조이스틱(10)을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조작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한 조작시에 조이스틱(10)을 해당 조작방향으로 정확히 안내해주는 가이드 구조체(20)가 설치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가 조이스틱(10)을 정확하면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구조체(20)는 전체적으로 링의 형상을 가지는데, 조이스틱(10)이 중앙부분을 통과하도록 하여 조이스틱 장치 내부에 고정 장착되며, 조이스틱(10)의 회동중심 바로 상측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구조체(20)는 중앙부분으로 조이스틱(10)이 통과하게 되는 링형부(22)와, 이 링형부(22)의 상측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돌출불럭이 일체화된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조이스틱(10)의 조작시에 안내블럭(24)의 사이 공간으로 조이스틱(10)이 안내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각 안내블럭(24)의 바람직한 형상으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삼각형의 기둥형상을 가지는 안내블럭(24)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뾰족한 각 모서리부분(24a)이 중앙의 조이스틱(10)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안내블럭(24)의 수로서, 조이스틱(10)이 8방향으로 조작됨을 고려하여 총 8개의 안내블럭(24)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8개의 안내블럭(24)이 설치되는 경우 이웃한 두 안내블럭(24)의 사이 공간, 즉 조이스틱(10)이 안내블럭(24)에 의해 안내될 수 있는 조작공간은 8개의 공간이 된다.
도시한 예의 안내블럭(24) 갯수는 차량에 설치되는 통상의 조이스틱(10)이 8방향으로 조작되는 것을 전제로 하는 바, 조이스틱(10)이 조작되는 필요한 방향의 수에 따라 안내블럭(24)의 크기와 수를 적절히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이스틱 장치에서 조이스틱(10)의 조작방향으로 최대 6방향이 충분하다면 크기가 증대된 6개의 안내블럭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구조체(20)가 설치되는 경우 사용자가 조작방향을 선택하여 그 방향으로 간단히 조이스틱(10)을 움직여 주기만 하면 조이스틱(10)이 가이드 구조체(20)의 안내블럭(24) 사이로 회동되면서 지정된 방향으로 정확히 조이스틱(10)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즉, 조이스틱(10)이 이웃한 두 안내블럭(24) 사이 공간으로 이동 후 두 안내블럭(24)에 의해 안내되면서 정해진 방향으로 보다 정확히 움직일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보다 정확하면서 편리한 조작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물론, 안내블럭(24)이 위치하는 방향으로는 간섭 발생으로 조이스틱(10)이 조작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이스틱 장치는 4방향 조작시의 조이스틱 유효 조작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무효한 방향에 대하여 조이스틱(10)의 조작을 차단하는 조작방향 제한수단(30)을 포함한다.
상기 조작방향 제한수단(30)은 조이스틱(10)의 8방향 조작 가능한 상태에서 4방향 조작 가능한 상태로 전환시켜 주는 구성으로서, 무효한 4방향의 안내블럭(24) 사이 공간에서 가이드 구조체(20)의 링형부(22) 상방으로 돌출 작동되어 그 방향으로의 조이스틱 조작을 구속하는 각 스토퍼(32)와, 상기 각 스토퍼(32)를 상승/하강 구동하기 위한 스토퍼 구동부(34)와, DIS의 컨트롤러(1)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스토퍼 구동부(34)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별도 구동 컨트롤러(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각 스토퍼(32)는 도 2a와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4방향 조작시의 규정된 조작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무효한 방향에 해당하는 두 안내블럭(24) 사이 공간에 설치되며, 상방 돌출된 상태에서 조이스틱(10)의 회동을 구속하도록 되어 있다.
도 2a의 상태를 보면 스토퍼(32)가 상승한 상태이기 때문에 조이스틱(10) 조작시에 스토퍼(32)와의 간섭 발생으로 스토퍼(3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는 조이스틱(10)이 조작될 수 없는 바, 조이스틱(10)이 총 4방향으로만 조작 가능하게 된다.
반면, 도 2b의 상태를 보면 스토퍼(32)가 하강한 상태이기 때문에 스토퍼(32)가 설치된 방향에서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조이스틱(10)은 모든 안내블럭(24) 사이 공간으로 조작될 수 있는 바, 조이스틱(10)이 8방향 모두로 조작 가능하게 된다.
도시한 바의 실시예는 4방향 또는 8방향 조작이 이루어지는 조이스틱 장치를 보여주는 바, 안내블럭(24) 사이의 8개 공간 중 중간 중간의 4개 공간에 스토퍼(32)가 동작할 수 있도록 설치 되어 있으며, 물론 스토퍼(32)의 갯수는 조이스틱 (10)이 최대 조작 가능한 방향의 수, 즉 안내블럭의 갯수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스토퍼(32)는 하측의 스프링 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며, 이 스프링 부재는 스토퍼(32)가 리턴될 수 있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조이스틱 장치 내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각 스토퍼 구동부(34)는 도 3a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단이 해당 스토퍼(32)에 연결되어 스토퍼(32)를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면서 힌지(37a)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스토퍼(32)를 돌출 작동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밀어주는 회동레버(37)와, 상기 구동 컨트롤러(36)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으면서 솔레노이드(38a)의 돌출 작동으로 상기 회동레버(37)의 타단을 밀어 회동시키는 솔레노이드 기구(38)를 포함한다.
상기 솔레노이드 기구(38)는 구동 컨트롤러(36)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38a)가 돌출/삽입 작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특히 돌출 작동시에 솔레노이드(38a)의 선단이 회동레버(37)의 타단을 밀어 회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 구동부(34)는 각 스토퍼(32)마다 하나씩 설치됨이 마땅하다.
또한, 구동 컨트롤러(36)는 솔레노이드 기구(38)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로서, DIS의 컨트롤러(1)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솔레노이드 기구(38)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 즉 솔레노이드 기구(38)를 돌출/삽입 작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DIS의 컨트롤러(1)는 모니터를 통해 출력된 현재의 화면 단계에서 조이 스틱(10)을 4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지 또는 8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발생 및 출력시켜 구동 컨트롤러(36)로 입력시키는 바, 예를 들면 4방향시에는 하이신호를, 8방향시에는 로우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하이/로우신호의 출력 설정은 설계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예, 4방향시 로우신호, 8방향시 하이신호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음).
이하,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먼저, DIS가 온(ON)된 후 사용자가 화면을 조작하는 상태가 되었을 때 그 화면 단계가 8방향 조작시일 경우 스토퍼(32)는 동작되지 않으며, 이 경우 조이스틱(10)은 안내블럭(24) 사이의 8개 공간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조작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가이드 구조체(20)의 안내블럭(24)은 조이스틱(10)을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갈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한편, DIS의 컨트롤러(1)가 조작하고자 하는 화면의 메뉴가 4가지인 경우, 즉 조이스틱(10)이 4방향으로만 조작되어야 하는 경우를 판단하게 되면, 하이신호를 발생 및 출력하여 구동 컨트롤러(36)에 입력하게 되며, 이 신호를 입력받은 구동 컨트롤러(36)는 솔레노이드(38a)의 돌출 작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어 구동 컨트롤러(36)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 기구(38)에 전원이 공급되면 솔레노이드(38a)가 돌출 작동되면서 회동레버(37)의 단부를 하방으로 눌러주게 되는 바, 이에 회동레버(37)는 도면상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 며, 이때 회동레버(37)는 스프링력을 이기고 반대쪽의 스토퍼(32)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와 같이 스토퍼(32)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가이드 구조체(20)의 링형부(22)에서 상방으로 돌출 작동되는 바, 이때 스토퍼(32)는 무효한 방향에서 가이드 구조체(20)의 링형부(22) 상방으로 돌출 작동되며, 결국 조이스틱(10)은 무효한 4방향에서 스토퍼(32)에 의해 조작이 구속된 상태로 나머지 4방향으로만 조작이 가능해진다.
물론, 나머지 4방향으로는 가이드 구조체(20)의 안내블럭(24)이 조이스틱(10)을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갈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후, 조이스틱(10)이 8방향으로 조작되어야 하는 경우 내지 4방향으로만 조작될 필요가 없는 경우를 DIS의 컨트롤러(1)가 판단한 경우에는 구동 컨트롤러(36)는 DIS 컨트롤러(1)로부터 로우신호를 입력받게 되며, 이때 구동 컨트롤러(36)는 솔레노이드 기구(38)를 오프시키는 바, 솔레노이드(38a)가 삽입 작동되면서 레버를 누르고 있던 힘이 제거되고, 스토퍼(32)는 스프링력과 중력에 의해 다시 하방으로 리턴 이동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조이스틱(10)은 다시 8방향 조작이 가능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종래에는 조이스틱(10)을 조작하는데 구속감이 없어 특정 방향으로 조작하여야 할 때 정확한 방향으로 조작이 쉽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조이스틱 장치에서는 조이스틱(10)을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조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이드 구조체(20)가 설치되고, 특히 모니터의 특정 화면 단계에서 DIS의 컨트롤러(1)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일부 무효한 방향에 대하여 조이스틱(10)의 조작을 구속해주는 조작방향 제한수단(30)이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조이스틱(10)을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이스틱 장치에 의하면, 조이스틱을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히 조작할 수 있도록 해주는 가이드 구조체가 설치되고, 특히 모니터의 특정 화면 단계에서 DIS의 컨트롤러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일부 무효한 방향에 대하여 조이스틱의 조작을 구속해주는 조작방향 제한수단이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고 편리하게 조이스틱을 조작할 수 있고, 주행 중 주의력 분산에 의한 사고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Claims (5)

  1. 차량에 설치되는 조이스틱 장치에 있어서,
    조이스틱이 중앙부분을 통과하도록 하여 조이스틱 장치 내부의 조이스틱 회동중심 바로 상측으로 사용자 조작시에 조이스틱을 해당 조작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구조체가 설치되되, 이 가이드 구조체가 조이스틱이 통과하게 되는 링형부와, 이 링형부 상측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돌출되게 설치된 복수개의 안내블럭이 일체화된 구조로 되어, 조이스틱이 조작시에 각 안내블럭이 위치하는 방향으로는 간섭 발생되면서 상기 안내블럭 사이의 공간으로만 안내됨과 동시에 조작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이스틱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안내블럭은 삼각형의 기둥형상을 가지면서 뾰족한 모서리부분이 중앙의 조이스틱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이스틱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구조체에서 차량에 설치된 DIS의 컨트롤러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현재의 모니터 화면 단계에서 조이스틱의 유효 조작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무효한 방향에 대하여 조이스틱의 조작을 구속하는 조작방향 제한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이스틱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작방향 제한수단은,
    무효한 방향의 안내블럭 사이 공간에서 하측의 스프링 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된 상태로 가이드 구조체의 링형부 상측으로 돌출 작동되어 그 방향으로의 조이스틱 움직임을 구속하는 각 스토퍼와, 상기 각 스토퍼를 상승/하강 구동하기 위한 스토퍼 구동부와, 상기 DIS의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스토퍼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구동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이스틱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 구동부는,
    일단이 해당 스토퍼에 연결되고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서 스토퍼를 돌출 작동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밀어주는 회동레버와, 상기 구동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작동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으면서 솔레노이드 돌출 작동시에 솔레노이드 선단이 상기 회동레버의 타단을 밀어 회동시키도록 된 솔레노이드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이스틱 장치.
KR1020040105988A 2004-12-15 2004-12-15 차량용 조이스틱 장치 KR100921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988A KR100921105B1 (ko) 2004-12-15 2004-12-15 차량용 조이스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988A KR100921105B1 (ko) 2004-12-15 2004-12-15 차량용 조이스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058A KR20060068058A (ko) 2006-06-21
KR100921105B1 true KR100921105B1 (ko) 2009-10-08

Family

ID=3716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988A KR100921105B1 (ko) 2004-12-15 2004-12-15 차량용 조이스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11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506B1 (ko) * 2007-12-21 2009-12-09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작 정보 입력 장치 및 이를 사용한 동작 정보 입력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8988Y1 (ko) * 2002-09-27 2002-12-31 김원혁 진동모터가 내설된 게임기용 조이스틱
KR20030044833A (ko) * 2001-11-29 2003-06-09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조작장치 및 방법
KR200391972Y1 (ko) * 2005-05-10 2005-08-09 경신공업 주식회사 자동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후사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833A (ko) * 2001-11-29 2003-06-09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차량조작장치 및 방법
KR200298988Y1 (ko) * 2002-09-27 2002-12-31 김원혁 진동모터가 내설된 게임기용 조이스틱
KR200391972Y1 (ko) * 2005-05-10 2005-08-09 경신공업 주식회사 자동 각도 조정이 가능한 자동차용 후사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8058A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3667B1 (en) Car-mounted input device
JP4628199B2 (ja) 表示装置
US8102384B2 (en) Interface device
US20080148187A1 (en) Remotely operated input system
US8022938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screens
KR101664038B1 (ko) 차량의 집중 조작 시스템
EP1251419B1 (en) Manual input device
US8302022B2 (en) In-vehicle display apparatus
JP2005178463A (ja) 車載用マン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3130673A (ja) 車内コンピュータ装置および車内コンピュータ装置用のカーソルの制御方法
WO2007013441A1 (ja) 車両用操作装置
US20190322176A1 (en) Input device for vehicle and input method
US6710707B2 (en) Vehicle-mounted input device
KR100921105B1 (ko) 차량용 조이스틱 장치
JP3872275B2 (ja) 画面操作装置
JP5102684B2 (ja) 操作装置
US9488988B2 (en) Push operation mechanism having tactile feedback
JP4347903B2 (ja) 入力制御装置及び入力制御方法
JPH07257231A (ja) 車両用機器の操作系選択装置
JP5129716B2 (ja) 操作感触付与型入力装置
WO2016185891A1 (ja) 触覚呈示装置
JP2003308760A (ja) 車載機器操作入力装置
JP2009301082A (ja) 操作感触付与型入力装置
JP5924243B2 (ja) 操作選択装置
JP2019133273A (ja) 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