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640B1 -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 - Google Patents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640B1
KR100920640B1 KR1020070137665A KR20070137665A KR100920640B1 KR 100920640 B1 KR100920640 B1 KR 100920640B1 KR 1020070137665 A KR1020070137665 A KR 1020070137665A KR 20070137665 A KR20070137665 A KR 20070137665A KR 100920640 B1 KR100920640 B1 KR 100920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winding shape
wire
wire coil
wir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7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9854A (ko
Inventor
이영민
제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70137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640B1/ko
Publication of KR20090069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98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51/00Measuring, gauging, indicating, counting, or mar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production or manipulation of material in accordance with subclasses B21B - B21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65H43/08Photoelectric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2Inspecting the exterior surface of cylindrical bodies or wi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는 상단 빔과 하단 빔을 구비한 씨 후크를 이용하여 선재 코일을 상기 하단 빔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선재 코일을 이송할 때 상기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재 코일이 이송될 때 상기 씨 후크의 상단 빔과 하단 빔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선재 코일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가로 지지부; 상기 가로 지지부에 설치되어 하부의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을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가로 지지부 및 상기 센서부를 지지하는 세로 지지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상기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으로부터 권취 형상의 등급을 판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씨 후크, 코일

Description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APPARATUS FOR MEASURING WINDING SHAPE OF WIRE COIL}
본 발명은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판정하여 기준 미달시 자동 리턴시키는 선재 코일의 권취 형성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에서 선재 생산시 소재의 압연공정 및 권취공정이 수행되는데, 통상 소재의 압연 및 권취공정을 통하여 대략 5.5-42 mm 직경의 선재코일로 생산되고, 이와 같이 생산된 선재코일은 운송장치를 통하여 생산장소에서 적재, 보관 및 출하장소로의 운송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산, 출하되는 선재 코일은, 균일한 권취 형상 및 코일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과 코일 높이가 불균일하게 되는 경우에는, 후공정인 결속 작업시 결속 밴드가 파단되어 창고적치 및 출하이송시 코일 표면에 흠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그 불균일성으로 인해 부피가 증가하여 적재 면적을 많이 차지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선재 코일이 제조된 후에는 권취형상과 코일 높이 등이 검사되는데, 종래 기술에 따르면, 작업자가 줄자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육안 및 수작업으로 선재 코일을 판정하였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선재 코일(20)을 이송 중인 씨(C) 후크(10)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권취가 완료된 선재 코일(20)은 씨 후크(10)를 통해 이송된다. 이때, 작업자는 씨 후크(10)에 의해 이송되는 선재 코일(20)의 형상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그 코일 길이(d)를 수작업으로 측정하였다. 이러한 육안 검사나 수작업에 의한 측정은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 곤란하며, 권취 형상의 측정이 개인에 의존하기 때문에 개인별 오차가 많이 발생할 수 있어 측정 결과의 신뢰성 및 객관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측정된 결과가 선재 코일의 생산에 직접적으로 반영되기가 어려워 불량 선재코일이 대량으로 생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을 자동으로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단 빔과 하단 빔을 구비한 씨 후크를 이용하여 선재 코일을 상기 하단 빔으로 지지하면서 상기 선재 코일을 이송할 때 상기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을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재 코일이 이송될 때 상기 씨 후크의 상단 빔과 하단 빔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선재 코일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가로 지지부; 상기 가로 지지부에 설치되어 하부의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을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가로 지지부 및 상기 센서부를 지지하는 세로 지지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상기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으로부터 권취 형상의 등급을 판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는, 상기 가로 지지부를 상기 세로 지지부의 축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센서부를 상기 가로 지지부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센서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로 지지부는 상기 선재 코일의 고열로 인한 상기 센서부의 센서 트러블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선재 코일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퍼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세로 지지부는 2개 이상의 기둥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는 레이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센서를 통해 상기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을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이저 센서는 상기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을 10초 이내에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의 표면은 단열처리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씨 후크는 상기 선재 코일에 대한 상기 제어부의 판정 결과에 대응하는 장소로 상기 선재 코일을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판정 결과 및 상기 센서부의 권취 형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씨 후크는 상기 선재 코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재 코일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상기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으로부터 권취 형상의 등급을 판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속하게 측정된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으로부터 판단된 선재 코일의 불량, 양호 여부로부터 불량품을 리턴 처리함으로써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신속하게 측정된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을 선재 코일의 생산에 신속하게 피드백할 수 있어 선재 코일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대량 불량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구성은 유사한 도면 부호에 의해 참조된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100)를 선재 코일(20) 및 상기 선재 코일(20)을 이송 중인 씨 후크(10)와 함께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100), 씨 후크(10) 및 선재 코일(20)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100)는 가로 지지부(110), 센서부(120), 세로 지지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선재 코일(20)이 씨 후크(10)를 통해 이송될 때, 씨 후크(10)의 상단 빔(11)과 이송 중인 선재 코일(20)을 지지하는 하단 빔(12) 사이에 상기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100)의 가로 지지부(110)가 위치하여 상기 선재 코일(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가로 지지부(110)에는 센서부(120)가 설치되며, 상기 센서부(120)는 아래에 놓인 상기 선재 코일(20)을 향하며, 상기 선재 코일(20)의 권취 형상을 검출한다. 이러한 센서부(120)는 레이저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아래에 놓인 상기 선재 코일(20)의 형상을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센서부(120)는 상기 가로 지지부(110)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가로 지지부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기 센서부(120)의 이동 운동은 센서 이동 수단(150)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서 이동 수단(150)은 상기 가로 지지부(110)에 부착된 모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120)의 표면은 아래에 놓인 선재의 고열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단열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가로 지지부(110)와 상기 센서부(120)는 세로 지지부(130)에 의해 지지되며, 특히, 상기 가로 지지부(110)의 일단이 상기 세로 지지부(130)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ㄱ'자 형상을 이룬다. 이 때, 상기 세로 지지부(130)의 타단은 지면 또는 바닥 구조물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세로 지지부(130)는 상기 가로 지지부(110)가 외팔보 형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가로 지지부(110)를 더욱 단단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기둥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로 지지부(110)는 상기 선재 코일(20)의 고열로 인하여 상기 센서부(120)의 센서 트러블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선재 코일(20)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퍼지(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에어퍼지는 상기 선재 코일(20)의 고열이 상기 센서부(12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주변 공기에 포함된 분진이 상기 센서부(120)에 부착되지 않도록 하여 센서 트러블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100)은 상기 가로 지지부(110)를 상기 세로 지지부(130)의 축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1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회전 수단(170)은 씨 후크 트러블 발생시 상기 가로 지지부(110)가 상기 씨 후크의 이동 영역 외부로 피신시켜 상기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100)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센서부(120)에서 검출된 상기 선재 코일(20)의 권취 형상은 제어부(140)로 전송되며,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선재 코일(20)에 대한 권취 형상을 기설정된 권취 형상과 비교하여 상기 선재 코일(20)의 양호, 불량 등의 등급을 판정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씨 후크(10)의 리더기(30)로부터 씨 후크(10)가 이송 중인 선재 코일(20)의 정보(예를 들면, 선재 코일의 두께, 목표 코일 높이 등)를 전송받아 이 정보를 기초로 선재 코일(20)의 권취 형상을 판단하여 등급을 판정할 수 있다.
선재 코일(20)의 등급 판정이 완료되면, 제어부(140)는 상기 판정된 등급에 따라 상기 선재 코일(20)을 적재 장소로 보내거나 또는 보수 작업장 등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씨 후크에 대응하는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100)는 상기 제어부(140)로부터의 판정 결과 및 상기 센서부(120)로부터의 권취 형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1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160)를 통해 작업자는 선재 코일(20)의 권취 판정 결과 및 권취 형상을 보면서 선재 코일 생산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송 중인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재 코일 권취 향상 측정 장치에 의하여 신속하게 측정되고 이에 따른 등급 판정 또한 신속하게 이루어져, 이를 토대로 현재의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을 즉시 생산 현장으로 피드백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재 코일의 대량 불량 발생을 신속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100)의 동작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생산된 선재 코일(20)은 일정 길이 또는 일정 무게를 갖도록 코일 단위로 절단되어 씨 후크(10)를 통해 적재 장소로 이동한다. 이 때, 선재 코일(20)에 대한 정보가 씨 후크(10)의 리더기(30)에서 전송되며, 또한 상기 선재 코일(20)이 이송될 장소도 상기 리더기(30)에 전송된다.
상기 선재 코일(20)을 이송시키는 상기 씨 후크(10)가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100)가 있는 지점(측정 지점)에 도착하면, 기설정된 위치에 기설정된 시간 동안 정지한다. 통상, 씨 후크(10)로 이송 중인 선재 코일(20)은 여전히 고온을 유지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100)에 대한 열로 인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절한 시간 동안만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100)에 의한 측정 지점에 머무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상기 센서부(120)가 레이저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 레이저 센서의 특성상 대략 10초 이내에 권취 형상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씨 후크(10)는 측정 지점에 대략 12초 이내에 정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100)의 가로 지지부(110)는 상기 씨 후크(10)가 측정 지점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씨 후크(10)가 측정 지점에 접근할 때 씨후크의 상부 빔(11) 과 하부 빔(12) 사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미리 위치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가로 지지부(110)는 상기 씨 후크(10)의 이동 경로의 바깥쪽에 위치할 수도 있다. 상기 가로 지지부(110)가 상기 씨 후크(10)의 이동 경로의 바깥쪽에 위치할 때, 상기 씨 후크(10)가 측정지점에 도달하여 정지하면, 상기 가로 지지부(110)는 회전 수단(170)에 의해 세로 지지부(130)를 중심으로 상기 씨 후크(10)의 상부 빔(11)과 하부 빔(12) 사이에 위치하도록 회전된다.
특히, 씨 후크(10)에 트러블이 발생한 경우에 가로 지지부(110)가 상기 씨 후크(10)의 이동 경로에 있는 경우에는 가로 지지부(110)가 파손될 위험이 있으므로, 상기 씨 후크(10)의 트러블 발생시, 가로 지지부(110)를 상기 씨 후크(10)의 이동 경로의 바깥쪽으로 이동시켜 상기 가로 지지부(110)를 씨 후크 트러블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씨 후크(10)에는 트러블 발생을 알릴 수 있는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 수단은 상기 트러블 발생 사실을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100)의 제어부(140)에 전송하고, 제어부(140)는 이에 따라 상기 가로 지지부(110)를 회전 수단(170)으로 회전시켜 씨 후크(10)의 이동 경로의 바깥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로 지지부(110)가 씨 후크(10)의 상부 빔(11)과 하부 빔(12) 사이에 있게 되면, 상기 센서부(120)는 센서 이동 수단(150)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가로 지지부(11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씨 후크(10)로 이송되는 선재 코일(20)의 권취 형상을 측정한다. 일례로, 센서부(120)가 선재 코일(20)의 권취 형상을 측정할 때, 센서 이동 수단(150)은 상기 센서부(120)를 초기 위치(예를 들어, 가로 지지부(110)의 일단)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 센서 이동 수단(150)은 상기 센서부(120)를 최종위치(예를 들어, 가로 지지부(110)의 타단)으로 이동시키고, 이 때, 상기 센서부(120)는 이동하면서 상기 선재 코일(20)의 권취 형상을 측정한다.
측정되는 권취 형상은 선재 코일(20)의 울퉁불퉁한 정도 및 선재 코일(20)의 코일 길이(d)가 될 수 있다. 선재 코일(20)의 울퉁불퉁한 정도는 센서부(120)로부터 씨 후크(10)에 의해 지지된 선재 코일(20)까지의 거리를 센서부(120)를 가로 지지부(110)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정해질 수 있다. 그리고 선재 코일(20)의 코일 길이(d)는 센서부(120)가 초기 위치에서 최종 위치로 이동하면서 가장 먼저 선재 코일(20)이 검출된 지점과 가장 마지막으로 선재 코일(20)이 검출된 지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써 획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상기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은 제어부(140)로 전송된다. 제어부(140)는 센서부(120)로부터 전송된 권취 형상의 분석하여 등급을 판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선재 코일(20)에 대한 권취 형상을 기설정된 권취 형상과 비교하여 상기 선재 코일(20)의 양호, 불량 등의 등급을 판정한다. 이 때, 제어부(140)는 씨 후크(10)의 리더기(30)로부터 선재 코일(20)의 정보를 전송받아 이 정보를 기초로 선재 코일(20)의 권취 형상을 판단하여 등급을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등급은 양호, 불량 - 수선 필요, 불량 처리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또한, 양호인 경우에도, 여러 등급(예를 들어, 3등급)으로 분류할 수 있다. 양호 등급에 해당하는 선재 코일은 대응하는 적재 장소로 이 송되며, 불량 - 수선 필요 등급에 대하여는 작업자의 수선 작업을 위하여 수선 작업장 등으로 이송되며, 불량 처리에 해당하는 선재 코일은 폐기 처분을 위한 장소로 이송된다.
또한, 작업자는 상기 권취 형상 및 판정 등급을 모니터 등의 표시장치를 통해 볼 수 있으며, 표시된 권취 형상 및 판정 등급을 기초로 상기 선재 코일의 생산 조건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권취 형상 및 판정 등급을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파악하여 현재 권취 상태를 선재 코일의 생산에 즉시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과정을 도 4의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다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100)를 이용한 선재 코일의 등급 판정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선재 코일의 권취 및 집적 조건이 조정(S410)된 후, 그 조건에 따라 선재 코일이 생산된 후, 선재 코일은 씨 후크를 통해 이송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100)에 의해 권취 형상이 측정된다(S420). 그 다음, 제어부()는 측정된 권취 형상을 이용하여 상기 선재 코일의 등급을 산정한다(S430). 등급을 판단하여(S450) 합격인 경우에는 적재 장소로 이송(S450)하고 불합격인 경우 재결속을 위하여 선재 코일(S460)이 수선을 위한 장소로 리턴된다(460).
한편, 작업자는 상기 권취 형상 및 판정 등급을 선공정에 피드백하여 단계 S410에서 권취 및 집적 조건을 조정할 수 있다.
도 5의 (a)는 종래 기술에 따라 생산된 선재 코일을 도시하며,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생산된 선재 코일을 도시한다. 도 5의 (a) 및 (b)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산된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이 종래에 비하여 크게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며, 이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속한다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선재 코일을 이송 중인 씨 후크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를 선재 코일 및 상기 선재 코일을 이송 중인 씨 후크와 함께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 씨 후크 및 선재 코일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를 이용한 선재 코일의 등급 판정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생산된 코일을 종래 기술에 따라 생산된 코일과 함께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씨 후크 11: 상부 빔
12: 하부 빔 20: 선재 코일
30: 리더기 100: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
110: 가로 지지부 120: 센서부
130: 세로 지지부 140: 제어부
150: 센서 이동 수단 160: 표시 장치
170: 회전 수단

Claims (11)

  1. 상단빔과 하단 빔을 구비하며 선재코일을 상기 하단빔으로 지지하면서 이송하는 씨 후크;
    상기 선재 코일이 이송될 때 상기 씨 후크의 상단 빔과 하단 빔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선재 코일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된 가로 지지부;
    상기 가로 지지부에 설치되어 하부의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을 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가로 지지부 및 상기 센서부를 지지하는 세로 지지부; 및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상기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으로부터 권취 형상의 등급을 판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씨 후크는 상기 선재 코일에 대한 상기 제어부의 판정 결과에 대응하는 장소로 상기 선재 코일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지지부를 상기 세로 지지부의 축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를 상기 가로 지지부의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센서 이동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코일 권취 측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지지부는 상기 선재 코일의 고열로 인한 상기 센서부의 센서 트러블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선재 코일 방향으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퍼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 지지부는 2개 이상의 기둥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레이저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센서를 통해 상기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센서는 상기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을 10초 이내에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의 표면은 단열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판정 결과 및 상기 센서부의 권취 형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씨 후크는 상기 선재 코일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재 코일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상기 센서부에서 검출된 상기 선재 코일의 권취 형상으로부터 권취 형상의 등급을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
KR1020070137665A 2007-12-26 2007-12-26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 KR100920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665A KR100920640B1 (ko) 2007-12-26 2007-12-26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7665A KR100920640B1 (ko) 2007-12-26 2007-12-26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854A KR20090069854A (ko) 2009-07-01
KR100920640B1 true KR100920640B1 (ko) 2009-10-08

Family

ID=41321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7665A KR100920640B1 (ko) 2007-12-26 2007-12-26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6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7481B (zh) * 2014-09-24 2016-02-10 河南科技大学 一种移动式皮带内钢丝绳芯用探伤装置
KR102045652B1 (ko) 2017-12-26 2019-11-15 주식회사 포스코 인공지능 기반 열연 런아웃 테이블 열유속계수 결정 장치
KR102020498B1 (ko) * 2018-04-25 2019-09-10 주식회사 포스코 이송후크 변형 경보시스템
KR102123664B1 (ko) * 2018-10-08 2020-06-17 주식회사 포스코 마찰음 측정을 통한 선재 결속흠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KR102179302B1 (ko) * 2018-11-20 2020-11-16 주식회사 포스코 선재 코일 모니터링 장치 및 그 모니터링 방법
CN114488465A (zh) * 2022-03-02 2022-05-13 桂林航天电子有限公司 一种线圈绕制专用视觉放大观察装置和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7762A (ja) * 1983-02-10 1984-08-24 Sumitomo Metal Ind Ltd オツシレ−シヨンマ−ク測定装置
JPH05203420A (ja) * 1992-01-28 1993-08-10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イル径計測装置
JPH0894314A (ja) * 1994-09-26 1996-04-12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式変位センサー
JPH08231097A (ja) * 1995-02-23 1996-09-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薄板巻き取りコイルの巻き乱れ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2005279762A (ja) * 2004-03-30 2005-10-13 Jfe Steel Kk コイル外径計測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47762A (ja) * 1983-02-10 1984-08-24 Sumitomo Metal Ind Ltd オツシレ−シヨンマ−ク測定装置
JPH05203420A (ja) * 1992-01-28 1993-08-10 Mitsubishi Heavy Ind Ltd コイル径計測装置
JPH0894314A (ja) * 1994-09-26 1996-04-12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式変位センサー
JPH08231097A (ja) * 1995-02-23 1996-09-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薄板巻き取りコイルの巻き乱れ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2005279762A (ja) * 2004-03-30 2005-10-13 Jfe Steel Kk コイル外径計測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9854A (ko) 200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640B1 (ko) 선재 코일 권취 형상 측정 장치
US20160339519A1 (en) In-process monitoring of powder bed additive manufacturing
JP5468269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ビレットの生産システム
KR101622444B1 (ko) 조강재의 형상 검사 장치 및 조강재의 형상 검사 방법
CN102535279A (zh) 一种钢轨焊接接头数控精磨质量控制方法
US86565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cored wire
KR102380626B1 (ko) 필름 에지 측정장치
AU2017313433B2 (en) A belt rip detection system
KR102309570B1 (ko) 이송위치 정밀도가 개선된 와이어드럼 구동방식의 빌렛 표면 연마 장치
JP2012139725A (ja) スポット溶接自動検査装置
CN104251885A (zh) 焊管焊缝与超声波探伤小车位置偏差的调整方法
KR101867704B1 (ko) 초음파 탐상 장치
EP1447645B1 (en) Method and device to control the straightness and torsion of long products
KR101858813B1 (ko) 밴딩 머신의 용접 팁 자동 교환장치
JP5217620B2 (ja) ロール診断方法
KR101736616B1 (ko) 코일 이송 장치
CN105136656B (zh) 一种焊片电容的生产线及其检测装置
KR102354545B1 (ko) 코일 시편 채취 및 검사 장치
KR101998994B1 (ko) 소재 진행위치 실측장치
KR102297178B1 (ko) 냉연강판 심용접 초음파 검사장치
CN112985670B (zh) 一种半导体设备的张力自动监控系统
JP3094100U (ja) 中空円筒状物体の検査装置
KR101413023B1 (ko) 나사 모재 검사 장치 및 그의 검사 방법
KR100786512B1 (ko) 코일의 두께 및 폭실적 저장장치 및 그 저장정보를 이용한코일 분할방법
KR101998999B1 (ko) 코일 내주면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