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622B1 - 압연롤 쵸크의 간격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압연롤 쵸크의 간격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622B1
KR100920622B1 KR1020020078735A KR20020078735A KR100920622B1 KR 100920622 B1 KR100920622 B1 KR 100920622B1 KR 1020020078735 A KR1020020078735 A KR 1020020078735A KR 20020078735 A KR20020078735 A KR 20020078735A KR 100920622 B1 KR100920622 B1 KR 1009206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mill
rolling
roll choke
roll
mill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0938A (ko
Inventor
정병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20078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622B1/ko
Publication of KR20040050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6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6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02Rolling stand frames or housings; Roll mountings ; Roll ch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B21B31/16Adjusting or positioning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etal Rolling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 압연기에서 압연기 하우징과 압연 롤 쵸크의 간격을 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압연기 하우징의 외면에 고정된 유압 액튜에이터에 의해서 경사면이 형성된 밀대가 압연기 하우징으로 부터 롤 쵸크측으로 향하여 배치된 이동판을 밀어서 압연기 하우징과 압연 롤 쵸크의 간격을 조정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이동판과 고정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이동판의 경사면이 밀대의 경사면에 항상 접촉하도록 탄력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압연 롤 쵸크의 간격 조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압연기 하우징의 좁은 공간내에서도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장치비가 적게 드는 이점이 있고, 장치가 간단하여 정비에 용이하다. 또한, 압연롤의 간격을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압연롤의 진동을 방지하여 각 부품의 수명을 연장하고, 압연시의 진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압연 제품의 사행을 방지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강판 압연기, 압연기 하우징, 압연 롤 쵸크, 간격 조정장치, 압연 제품사행

Description

압연롤 쵸크의 간격조정장치{AN APPARATUS FOR ADJUSTING A GAP BETWEEN ROLL CHOCKS AND ROLL HOUSING}
제 1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압연롤 쵸크의 간격조정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압연기의 평면도, b)도는 종단면도;
제 2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압연롤 쵸크의 간격조정장치가 압연기 하우징과 압연롤 쵸크의 사이에 장착된 구조를 도시한 상세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쵸크의 간격조정장치가 2단 압연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쵸크의 간격조정장치가 2단 압연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쵸크의 간격조정장치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 설명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쵸크의 간격조정장치가 4단 압연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롤 쵸크의 간격조정장치가 4단 압연기에 장착되어 동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액츄에이터 12.... 로드
14.... 밀대 20.... 내측 공간
22.... 경사면 24.... 돌출부
26.... 고정판 28.... 볼트
35.... 이동판 37.... 경사면
40.... 고정판 42.... 볼트
50.... 탄성수단 100.... 압연 롤 쵸크 간격 조정장치
103... 압연롤 105.... 압연 롤 쵸크
110... 유압 액츄에이터 115.... 압연기 하우징
120... 실린더 로드 122... 이동판
124... 나사 126.... 이동공간
130... 경사판
본 발명은 강판 압연기에서 압연기 하우징과 압연 롤 쵸크의 간격을 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연 중 롤 쵸크와 하우징간의 사이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함으로서 압연롤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압연제품의 사행으로 인해 발생하는 캠버(Camber)를 방지하고, 각 부품의 마모 및 수명단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압연 롤 쵸크(Chock)의 간격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롤 쵸크(10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연롤(103)의 양단에 장착되어 그 양단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서, 압연롤(103)의 조립은 압연기 하우징(Housing)(115)의 내벽에 상기 롤 쵸크(105)를 장착하고, 그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여 고정하고 있으며, 압연롤(103)의 조립 및 해제를 위해서는 압연기 하우징(115)과 롤 쵸크(105)와의 사이에서 어느 정도의 간격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와 같이, 압연롤을 압연기에 조립 및 해체를 위해 설정한 압연 롤 쵸크와 압연기하우징과의 간격은 압연 중에 압연 롤 쵸크가 압연기내에서 좌우로 흔들리는 진동현상으로 나타나고, 이러한 압연롤의 진동현상은 그 사이에서 압연되어지는 압연재의 사행을 유발시킨다.
또한, 압연롤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롤 쵸크와 압연기 하우징과의 충격 현상은 롤 쵸크에 구비된 라이너(Liner)의 마모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주변 장치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되어 왔다.
종래에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1-0100515호의 "압연 롤 쵸크의 간격 조정장치"에서 압연 롤 쵸크와 압연기 하우징 사이에 각각 유압 액튜에이터로 이루어진 압연 롤 쵸크 간격 조정장치(100)를 설치하여 압연 롤 쵸크의 간격을 조정하려고 하였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압연 롤 쵸크 간격 조정장치(100)를 나타낸 도1을 보면, 롤 쵸크(105)의 간격을 조정하는 유압 액츄에이터(110)들이 양쪽 롤 쵸크(105)의 양면에서 압연기 하우징(115)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서, 2단 압연롤(103)에 총 4개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압연 롤 쵸크 간격 조정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상세도에서와 같이, 롤 쵸크(105)와 압연기 하우징(115)의 사이에 배치된 유압 액츄에이터(110)를 작동시키면 그 양측으로 실린더 로드(120)가 빠져 나와 이동판(122)들을 상하로 밀어내고, 상기 이동판(122)들은 나사(124)에 의해 제한 받는 이동공간(126)내에서 이동됨으로써 압연기 하우징(115)에 부착되어 있는 경사판(130)의 경사면을 따라 움직이므로 결국에는 압연 롤 쵸크(105)와 압연기 하우징(115)의 사이 간격이 없어져서 압연 중에 압연롤 쵸크(105)에 장착된 압연롤(103)의 진동이 제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압연 롤 쵸크 간격 조정장치(100)는 1대의 압연기에서 압연 롤 쵸크(105)의 양쪽 좌,우 양면에 각각 1개씩 총 4개가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압연 롤 쵸크 간격 조정장치(100)의 구조가 복잡하여 정비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압연 롤 쵸크와 압연기 하우징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간단한 구조를 갖춤으로서 정비가 용이하고, 롤 쵸크의 일측에 구비되어 롤 갭의 조정이 간편함으로서 롤 쵸크와 압연기 하우징의 사이 간격을 효과적으로 조정하여 압연롤의 진동을 방지하는 압연 롤 쵸크의 간격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판 압연기에서 압연기 하우징과 압연 롤 쵸크의 간격을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연기 하우징의 외면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내측 공간으로 로드가 연장하는 유압 액츄에이터;
상기 로드에 일체로 연결되어 내측 공간을 따라서 전,후진하고, 일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돌출부가 복수개 형성된 밀대;
상기 밀대의 복수개의 경사면에 각각 대응하여 서로 마주한 경사면이 복수개 대향 배치되고, 그 반대측면은 압연기 하우징으로 부터 롤 쵸크측으로 향하여 배치된 이동판;
상기 이동판을 압연기 하우징의 내측 공간측에 유지하도록 상기 이동판의 테두리를 따라서 압연기 하우징에 볼트 조립되는 고정판;및
상기 이동판과 고정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동판의 각 경사면이 밀대의 각 경사면에 항상 접촉하도록 탄력지지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롤 쵸크의 간격 조정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 롤 쵸크의 간격 조정장치(1)는 압연기 하우징(115)과 압연 롤 쵸크(105)의 사이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서, 도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연기 하우징(115)의 한쪽 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압연기 하우징(115)의 일측에 마련된 액츄에이터(10)를 작동시킴으로써 액츄에이터(10)의 로드(12)와 연결된 밀대(14)를 롤 쵸크(105)측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액츄에이터(10)는 유압실린더 또는 공기압 실린더 또는 전동식 실린더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10)는 압연기 하우징(115)의 외면에 고정되는 바, 이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115)의 양측 외면에서 각각 고정되며, 상기 하우징(115)에는 하우징(115)의 내측을 향한 수평방향으로 내측 공간(20)이 형성되어 유압 액츄에이터(10)의 로드(12)가 연장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로드(12)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밀대(14)가 연결되며, 이는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10)의 동작에 의해서 내측 공간(20)을 따라서 전,후진하고, 일측면에는 복수의 경사면(22)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밀대(14)에는 경사면(22)이 부착된 돌출부(24)를 구비하고, 상기 밀대(14)가 압연기 하우징(115)내에서 외부로 밀려나오지 못하도록 고정판(26)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판(26)은 볼트(28)를 이용하여 압연기 하우징(115)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10)에 의한 밀대(14)의 전,후방향, 즉 X,Y 방향으로의 이동범위는 3~10mm가 적당하다.
한편, 상기 밀대(14)를 압연기 하우징(115)에서 해체할 경우에는 볼트(28)를 해체하고 고정판(26)을 제거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밀대(14)의 경사면(22)에 대응하여 이동판(35)이 배치되는 바, 상기 이동판(35)은 복수의 경사면(37)이 밀대(14)의 경사면(22)에 대향 배치되고, 그 반대 측면은 압연기 하우징(115)으로 부터 롤 쵸크(105)측으로 향하여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밀대(14)의 경사면(22)에는 이에 대향하는 경사면(37)이 부착된 이동판(35)을 장착하고, 이동판(35)의 경사면(37)은 밀대(14)의 경사면(22)과 접하도록 하며, 이동판(35)은 압연기 하우징(115)으로 부터 롤 쵸크(105)측으로 향한 방향, 즉 A,B 방향으로만 이동이 가능하게 하며, 밀대(14)의 진행방향, 즉 X,Y방향으로는 전혀 변위가 없도록 한다.
상기 밀대(14)및 이동판(35)에 형성된 경사면(22)(37)의 경사각(θ)은 30~40도가 적당하다.
상기 이동판(35)은 압연기 하우징(115)의 내벽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판(40)에 의해서 설치되는 바, 상기 고정판(40)은 이동판(35)을 압연기 하우징(115)의 내측 공간측에 유지하도록 상기 이동판(35)의 테두리를 따라서 압연기 하우징(115)에 볼트(42) 조립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이동판(35)이 A,B 방향으로 이동될 때 이동판(35)이 흔들리지 않도록 이동판(35)과 고정판(40)의 사이에 탄성수단(50)이 설치되며, 상기 탄성수단(50)은 상기 이동판(35)과 고정판(40)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하여 상기 이동판(35)의 경사면(37)이 밀대(14)의 경사면(22)에 항상 접촉하도록 탄력지지된다.
한편, 상기 이동판(35)을 해체할 경우에는 볼트(42)를 빼어 낸 후, 고정판(40)을 제거하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0)를 작동시키면 밀대(14)는 X,Y 방향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밀대(14)의 X,Y 방향 동작에 의해 밀대(14)의 경사면(22)과 접한 이동판(35)의 경사면(37)에는 미끄럼 마찰이 발생하고, 이때 발생한 미끄럼 마찰에 의해 이동판(35)은 밀대(14)의 경사면(22)을 따라 A,B방향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이동판(35)은 밀대(14)의 진행방향인 X,Y방향으로의 변위가 스토퍼(20a) 에 의해서 방지되어 있으므로, 경사면(22)(37)들에 의해서 A,B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이동판(35)에 접해 있는 압연 롤 쵸크(10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판(35)에 의해서 밀려져서 반대편 압연기 하우징(115)의 내벽에 밀착되어 압연 롤 쵸크(105)와 압연기 하우징(115) 사이의 간격이 조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압연롤(103)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롤 쵸크(105)가 압연기의 하우징(115)내에 조립이 완료되면, 액츄에이터(10)를 작동시켜서 액츄에이터(10)에 부착된 밀대(14)를 X 방향으로 동작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판(35)의 경사면(37)은 밀대(14)의 경사면(22)을 따라 이동되어, 결국 이동판(35)이 B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판(35)이 B 방향으로 이동하면 이동판(35)에 접해있는 압연 롤 쵸크(105)는 반대편으로 밀려서 압연 롤 쵸크(105)와 압연기 하우징(105)의 내벽 사이의 간격이 없어지게 된다.
반면에, 압연롤(103)과 롤 쵸크(105)를 압연기에서 인출할 경우에는 액츄에이터(10)를 작동시켜서 밀대(14)를 Y 방향으로 동작시키면, 경사면(22)에 접해 있는 이동판(35)은 탄성수단(50)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해서 A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러한 복귀 동작에 의해 압연기 하우징(115)의 내벽과 압연 롤 쵸크(105)와의 간격이 벌어져서 압연롤(103)과 롤 쵸크(105)를 압연기에서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도 3및 4에 관련하여 2단 압연기에 대해서 본 발명이 적용된 구조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도 6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에 작업롤(103')들과 백업롤(103)들이 배치된 4단 압연 기에 대해서도 적용가능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하 백업롤(103)들에 대해서는 유압 액츄에이터(10)가 압연기 하우징(115)에 마련되고, 밀대(14)에 의해서 좌우로 이동하는 이동판(35)이 백업롤 쵸크(105)들의 일측방을 타측방측으로 밀어서 백업롤 쵸크(105)와 압연기 하우징(115)과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음은 상기 2단 압연기의 구조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4단 압연기의 경우에는 상기 작업롤(103')에 대해서 백업롤(103) 쵸크(105)가 압연기 하우징(115)의 기능을 대신하게 된다. 즉, 백업롤 쵸크(105)에 대한 작업롤 쵸크(105')의 사이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작업롤 쵸크(105')를 이동시키기 위한 유압 액튜에이터(10)를 백업롤 쵸크(105)의 외면에 각각 장착하고, 상기 백업롤 쵸크(105)의 내측으로 내측 공간(20)을 형성하여 각각 밀대(14)와 이동판(35)들을 장착하며, 상기 밀대(14)와 이동판(35)들이 경사면(22)(37)에 의해서 방향 전환되어 이동판(35)이 백업롤 쵸크(105)내에서 작업롤 쵸크(105')를 일측으로 밀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업롤 쵸크(105)의 내측에 장착되는 작업롤 쵸크(105')와 백업롤 쵸크(105)와의 사이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4단 압연기에도 적용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압 액츄에이터(10)와 밀대(14)및 이동판(35)들을 압연기 하우징(115)의 내벽 한쪽에 부착함으로서, 압연기 하우징(115)의 좁은 공간내에서도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장치비가 적게 드는 이점이 있고, 장치가 간단하여 정비에 용이하다.
또한, 압연롤(103)의 간격을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압연롤의 진동을 방지하여 각 부품의 수명을 연장하고, 압연시의 진동에 의해서 발생하는 압연 제품의 사행을 방지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강판 압연기에서 압연기 하우징(115)과 압연 롤 쵸크(105)의 간격을 조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연기 하우징(115)의 외면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115)의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내측 공간(20)으로 로드(12)가 연장하는 유압 액츄에이터(10);
    상기 로드(12)에 일체로 연결되어 내측 공간(20)을 따라서 전,후진하고, 일측면에 경사면(22)이 형성된 돌출부(24)가 복수개 형성된 밀대(14);
    상기 밀대(14)의 복수개의 경사면(22)에 각각 대응하여 서로 마주한 경사면(37)이 복수개 대향 배치되고, 그 반대측면은 압연기 하우징(115)으로 부터 롤 쵸크(105)측으로 향하여 배치된 이동판(35);
    상기 이동판(35)을 압연기 하우징(115)의 내측 공간(20)측에 유지하도록 상기 이동판(35)의 테두리를 따라서 압연기 하우징(115)에 볼트(42) 조립되는 고정판(40);및
    상기 이동판(35)과 고정판(40)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이동판(35)의 각 경사면(37)이 밀대(14)의 각 경사면(22)에 항상 접촉하도록 탄력지지하는 탄성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롤 쵸크의 간격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50)은 상기 이동판(35)과 고정판(40)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롤 쵸크의 간격 조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액튜에이터(10)는 4단 압연기의 경우, 백업롤 쵸크(105)에 대한 작업롤 쵸크(105')의 사이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백업롤 쵸크(105)의 외면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백업롤 쵸크(105)의 내측으로 공간(20)을 형성하여 각각 밀대(14)와 이동판(35)들을 장착하며, 상기 밀대(14)와 이동판(35)들이 경사면(22)(37)에 의해서 방향 전환되어 이동판(35)이 백업롤 쵸크(105)내에서 작업롤 쵸크(105')을 일측으로 밀어 간격을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롤 쵸크의 간격 조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35)은 밀대(14)의 진행방향인 X,Y방향으로의 변위가 스토퍼(20a)에 의해서 방지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 롤 쵸크의 간격 조정장치.
KR1020020078735A 2002-12-11 2002-12-11 압연롤 쵸크의 간격조정장치 KR1009206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735A KR100920622B1 (ko) 2002-12-11 2002-12-11 압연롤 쵸크의 간격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735A KR100920622B1 (ko) 2002-12-11 2002-12-11 압연롤 쵸크의 간격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938A KR20040050938A (ko) 2004-06-18
KR100920622B1 true KR100920622B1 (ko) 2009-10-08

Family

ID=3734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735A KR100920622B1 (ko) 2002-12-11 2002-12-11 압연롤 쵸크의 간격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06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34138B (zh) * 2017-06-30 2018-09-18 攀钢集团工程技术有限公司 轧机牌坊找正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5430A (ja) * 1995-11-29 1997-06-17 Daido Steel Co Ltd 圧延用出口ガイドの間隔調整装置
JP3072618B2 (ja) * 1993-03-26 2000-07-3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圧延ロールの軸方向位置調整装置のロールチョックへの装着方法
KR20010100515A (ko) * 2000-05-03 2001-11-14 이구택 압연롤 쵸크의 간격 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2618B2 (ja) * 1993-03-26 2000-07-3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圧延ロールの軸方向位置調整装置のロールチョックへの装着方法
JPH09155430A (ja) * 1995-11-29 1997-06-17 Daido Steel Co Ltd 圧延用出口ガイドの間隔調整装置
KR20010100515A (ko) * 2000-05-03 2001-11-14 이구택 압연롤 쵸크의 간격 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938A (ko) 200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8529B2 (ja) 連続鋳造される材料のストランドを案内する方法
ZA200501240B (en) Cylinder stipper
CN102149475B (zh) 用于辊式破碎机的轴承装置
US20040031664A1 (en) Stripping device for the return run area of conveyor belts
JPS6187036A (ja) 摺動可能なブレードを備えた地ならし機械
SK145995A3 (en) Device for supporting a side wall for continuous casting strip
KR100920622B1 (ko) 압연롤 쵸크의 간격조정장치
US20170014890A1 (en) Tool slide
JP4796276B2 (ja) 圧延装置
JP5018316B2 (ja)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鋳片案内装置
US3364715A (en) Crown control for rolling mill
KR101990209B1 (ko) 농산물 분쇄기
US20020023473A1 (en) Rolling mill and rolling method
CA2687261C (en) Cam apparatus
KR100860764B1 (ko) 프레스상의 미끄럼 부재용 베어링 시스템
RU2402394C2 (ru) Устройство изгиба валков
KR200447829Y1 (ko) 압연기의 사이드가이드 라이너 구조
US4181266A (en) Pneumatically assisted maintaining and setting systems for the jaw-plate of a jaw crusher
US5010948A (en) Device for continuously casting liquid metal between two rolls
RU223753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гулируемого воздействия на силы трения между направляющими и упорными поверхностями опорных подушек валков, установленных в проемах стоек прокатных клетей
CA2298331C (en) Apparatus for relieving the load on adjusting rods of a crusher
JP2972098B2 (ja) 水平振動鋳型の短辺自立機構
CN112041135A (zh) 旋转切割设备和运行旋转切割设备的方法
CN102380509A (zh) 轧辊除水装置
KR100504356B1 (ko) 판 또는 스트립 압연용 압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