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970B1 - 오,폐수 처리장치에서의 협잡물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장치에서의 협잡물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970B1
KR100919970B1 KR1020090056793A KR20090056793A KR100919970B1 KR 100919970 B1 KR100919970 B1 KR 100919970B1 KR 1020090056793 A KR1020090056793 A KR 1020090056793A KR 20090056793 A KR20090056793 A KR 20090056793A KR 100919970 B1 KR100919970 B1 KR 100919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ewage
sludge
screen box
a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래
Original Assignee
지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6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장치에서의 협잡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가 집수되는 집수조 내부에 일체로 협잡물제거장치를 형성한 후, 오,폐수 처리시 상기 협잡물제거장치가 협잡물을 수집 제거하고 협잡물이 제거된 오,폐수가 다음 단계로 이송되게 하므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오,폐수가 정화처리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협잡물제거장치는 집수조 내부 바닥면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T"자형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단에 안착 고정되고 내부로 오수가 통과할 때 협잡물을 수집하며 한쪽면에 개폐구가 형성되는 바스켓 타입의 스크린박스와, 일단은 상기 스크린박스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드럼에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에서 협잡물이 스크린박스 내부에 가득차면 상기한 스크린박스를 상승시킨 후 개폐구를 통하여 협잡물이 제거되게 하는 전동인양기와, 상기 스크린박스 좌우측에 형성되고 스크린박스를 상하 안내하는 인양대로 구성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Figure R1020090056793
협잡물제거장치, 드럼스크린, 전기발전장치, 침전조

Description

오,폐수 처리장치에서의 협잡물제거장치{Wast 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장치에서의 협잡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폐수가 집수되는 집수조 내부에 일체로 협잡물제거장치를 형성한 후, 오,폐수 처리시 상기 협잡물제거장치가 협잡물을 수집 제거하고 협잡물이 제거된 오,폐수가 다음 단계로 이송되게 하므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오,폐수가 정화처리될 수 있도록 한 오,폐수 처리장치에서의 협잡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환경 오염의 심각성은 인간의 생존을 위협할 정도에 이르렀으며, 특히 가정하수, 공장폐수, 축산폐수 등으로 인한 지하수, 하천 및 바닥의 오염은 물론 토양 오염도 날로 심각해져 가고 있어 사회문제화 되고 있으며,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개발과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오,폐수를 정화하기 위한 처리공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미생물을 이용한 활성오니공법과 첩촉산화공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1999년 8월 9일 개정된 오수, 분료 및 축산폐수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법 개정 이후에 설치되는 오수처리장치의 경우에 방류수 BOD (생물학적 산소요구량), SS(부유물질)가 10PPM이하로 처리하여 야 하나 법 개정 이전에 설치된 오수처리장치에 대해서는 2002년 1월 1일 부터 60PPM으로 강화된 방류수 수질기준이 적용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법 개정 이전에 설치된 오,폐수처리장치는 처리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처리시설이 변경 또는 보수되어야 하며 개정이후에 설치된 오수처리장치라 하더라도 오수 배출량 및 농도가 증가하면 용량 확정을 위한 신규시설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실시되고 있는 방법으로는 기존 시설중 폭기조의 용량을 확장하는 방법, 폭기조 내에 미생물접촉재를 설치하는 방법, 오존산화 등 고도처리기술을 생물학 처리시설의 후단부에 설치하는 방법 및 기존시설을 폐기하고 신규 오,폐수처리장치를 설치하는 방법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오,폐수처리장치들은 단지 오수에 함유된 슬러지를 분리하고, 슬러지와 분리된 오수는 일정한 과정을 거치면서 필터링 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오수에 함유된 협잡물과 유기물인 인 등은 제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오,폐수가 집수되는 집수조 내부에 일체로 협잡물제거장치를 형성한 후, 오,폐수 처리시 상기 협잡물제거장치가 협잡물을 수집 제거하고 협잡물이 제거된 오,폐수가 다음 단계로 이송되게 하므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오,폐수가 정화처리될 수 있도록 한 오,폐수 처리장치에서의 협잡물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협잡물제거장치는 집수조 내부 바닥면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T"자형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 상단에 안착 고정되고 내부로 오수가 통과할 때 협잡물을 수집하며 한쪽면에 개폐구가 형성되는 바스켓 타입의 스크린박스와, 일단은 상기 스크린박스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구동모터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드럼에 와이어가 연결된 상태에서 협잡물이 스크린박스 내부에 가득차면 상기한 스크린박스를 상승시킨 후 개폐구를 통하여 협잡물이 제거되게 하는 전동인양기와, 상기 스크린박스 좌우측에 형성되고 스크린박스를 상하 안내하는 인양대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오,폐수가 집수되는 집수조 내부에 일체로 협잡물제거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오,폐수 처리시 오수에 함유되어 있는 협잡물이 협잡물제거장치에 의해 수집되고, 수집된 협잡물은 전동인양기를 통하여 외부에서 제거된 후, 오,폐수가 다음 단계로 이송되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으로 오,폐수 정화 처리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구성도 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제거장치의 요부 확대 구성도 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박스의 사시도 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발전장치의 구성도 이며,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발전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5에서와 같이 오,폐수 처리장치는 크게 협잡물제거장치(20), 드럼스크린(50), 계측조(51), 폭기조(70), 전기발전장치(80), 제1탈리액 분리조(90), 제2탈리액 분리조(93)로 나뉘어진다.
협잡물제거장치(20)는 집수조(10)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집수조(10)로 오수가 유입되면 오수에 함유된 협잡물 및 슬러지중 협잡물은 수집 제거한 후 오수와 슬러지를 침전조(30)에 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협잡물제거장치(20)는 집수조(10) 내부 바닥면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T"자형의 받침대(21)와, 상기 받침대(21) 상단에 안착 고정되고 내부로 오수가 통과할 때 협잡물을 수집하며 한쪽면에 개폐구(23)가 형성되는 바스켓 타입 의 스크린박스(22)와, 일단은 상기 스크린박스(22)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구동모터(24)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드럼(25)에 와이어(26)가 연결된 상태에서 협잡물이 스크린박스(22) 내부에 가득차면 상기한 스크린박스(22)를 상승시킨 후 개폐구(23)를 통하여 협잡물이 제거되게 하는 전동인양기(26)와, 상기 스크린박스(22) 좌우측에 형성되고 스크린박스(22)를 상하 안내하는 인양대(27)로 구성된다.
드럼스크린(50)은 유량조정조(40)와 혐기조(60) 사이에 형성되는데, 상기한 드럼스크린(50)은 침전조(30)에서 제거하지 못한 미세 슬러지를 제거하고, 침전조(30)는 오수에 함유된 일부 슬러지가 침전되게 하며, 유량조정조(40)는 침전조(30)를 통과한 유입 오수의 유량이 조절하여 드럼스크린(50)에 보내도록 구성된다.
계측조(51)는 드럼스크린(50)을 통과하면서 미세 슬러지가 제거된 오수가 유입되면 적정 유량만을 혐기조(60)와 무산소조(61)로 보내며, 폭기조(70)는 무산소조(61)를 거치면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오수가 유입되면 내부에 설치된 미생물담체(71)를 이용하여 오수의 유기물을 산화 응집시키도록 구성된다.
전기발전장치(80)는 폭기조 내에 설치되고 폭기시 폭기조 내에서 발생된 기포와 수류에 의해 움직이면서 전기를 발전하며 발전된 전기는 주변 장치들의 에너지로 재이용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기발전장치(80)는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터빈축(81)과, 상기 터빈축(81) 상하단에 각각 위치하고 내부 고정판(82a)과 외부 고정판(82b)으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의 터빈(82)과, 상기 내부 고정판(82a)과 외부 고정판(82b) 사이에 다수 형성되고 폭기조(70)에서 발생된 기포의 부상과 수류의 힘을 이용하여 터빈축(81)이 회전되게 하는 터빈날개(83)와, 상기 터빈축(81) 상단에 형성된 구동기어(84)와 기어 또는 V벨트로 연결되고 터빈축(81)의 회전운동시 전력을 생산 발전시키는 발전기(85)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전기발전장치(80)는 터빈축(81)의 회전운동을 발전기(85)로 생산 발전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황에 따라 터빈축(81) 상단에 형성된 구동기어(84)는 기어 또는 V벨트 등을 통하여 유량조정조(40), 혐기조(60), 무산소조(61) 내부에 각각 형성된 교반기(86)와 연결한 후, 터빈축(81) 회전시 구동기어(84)와 연결된 교반기(86)가 작동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반기(86)는 유량조정조(40), 혐기조(60), 무산소조(61) 바닥에 슬러지가 쌓여 부패하지 않도록 하고, 미생물 농도를 균등하게 교반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터빈축(81) 하단에는 스크레파(87)가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데, 상기 터빈축(81) 회전시 스크래파(87)도 함께 회전하면서 폭기조(70) 바닥면에서 슬러지가 쌓여 부패되지 않도록 하여 폭기조내 2차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수질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후 상기 폭기조(70)를 통과한 오수가 유입되면 오수에 함유된 슬러지와 물성분을 분리하고 분리된 물성분만 미생물여과조(91)로 보내는 제1탈리액 분리조(90)와; 상기 미생물여과조(91)의 황토세라믹 담체(92)를 통과한 오수의 미제거된 잔류 슬러지를 침전 분리시킨 후 소독 처리된 처리수만을 소독방류조(94)를 통 하여 외부로 방류되게 하는 제2탈리액 분리조(93)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집수조(10) 내부로 오수가 유입되면 오수에 함유된 협잡물 및 슬러지중 협잡물은 협잡물제거장치(20)가 수집 제거하고 협잡물이 제거된 오수와 슬러지만 침전조(30)로 유입된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집수조(10) 내부 바닥면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T"자형의 받침대(21) 상단에 스크린박스(22)가 안착 고정되어 있고, 이 스크린박스(22)는 전동인양기(26)의 와이어(26)와 연결된 상태에서 집수조(10)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집수조(10) 내부로 오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수가 스크린박스(22)를 통과할 때 협잡물은 상기 스크린박스(22) 내부로 수집된다.
협잡물 수집이 완료되면 전동이양기(26)의 구동모터(24)를 작동시켜 와이어(26)를 드럼(25)에 감기게 하면 상기 협잡물이 수집된 스크린박스(22)는 받침대(21)상에서 상부로 상승하게 되고, 상승되는 스크린박스(22)는 인양대(27)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부로 이동된 후에는 스크린박스(22)의 개폐구(23)를 개방한 후 협잡물을 제거하면 되는 것이다.
협잡물이 제거된 오수는 침전조(30)로 유입되면서 오수에 함유된 슬러지는 침전되고 물성분은 부상된다. 침전조(30)를 거친 오수는 유량조정조(40)에서 유량이 조절된 상태로 드럼스크린(50)에 유입되는데, 이때 드럼스크린(50)은 침전조(30)에서 제거하지 못한 미세 슬러지를 제거하게 된다.
드럼스크린(50)을 통과하면서 미세 슬러지가 제거된 오수가 계측조(51)로 유 입되면 계측조(51)는 적정 유량만을 혐기조(60)와 무산소조(61)로 보내어 오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이 제거되게 한다.
무산소조(61)를 거치면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오수가 유입되면 폭기조(70)의 내부에 설치된 미생물 담체(71)를 거치는 과정에서 오수의 유기물이 산화 응집되고, 산화 응집된 오수는 제1탈리액 분리조(90)를 통과하면서 오수에 함유된 슬러지와 물성분이 분리된다.
한편, 폭기조(70) 내에 설치된 전기발전장치(80)는 폭기조(70) 내에서 발생된 기포와 수류에 의해 움직이면서 전기를 발전하며 발전된 전기는 주변 장치들의 에너지로 재이용된다.
즉, 폭기시 폭기조(70)내에서는 기포가 상부로 부상하게 되고, 기포가 부상하는 과정에서 수류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기포와 수류가 터빈날개(83) 사이를 통과하면서 터빈(82)과 터빈축(81)이 회전함에 따라 구동기어(84)가 회전하고, 회전하는 구동기어(84)와 연결된 발전기(85)는 전력을 생산 발전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발전된 전기에너지는 오,폐수 처리장치를 가동시 사용되는 에너지로 재이용되거나 또는 주변 기기들의 에너지로 재이용되는 것이다.
제1탈리액 분리조(90)를 통과한 오수는 미생물여과조(91)의 황토세라믹 담체(92)를 거치면서 미제거된 잔류 미생물이 제거되어 제2탈리액 분리조(93)로 보내진다. 그러면 이 제2탈리액 분리조(93)는 오수의 미제거된 잔류 슬러지를 침전 분리시키고, 소독방류조(94)는 소독 처리하여 정화된 오수를 외부로 방류시키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제거장치의 요부 확대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박스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발전장치의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발전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집수조 20 ; 협잡물제거장치 21 ; 받침대
22 ; 스크린박스 23 ; 개폐구 24 ; 구동모터
25 ; 드럼 26 ; 와이어 27 ; 인양대
30 ; 침전조 40 ; 유량조정조 50 ; 드럼스크린
51 ; 계측조 60 ; 혐기조 61 ; 무산소조
70 ; 폭기조 71 ; 미생물 담체 80 ; 전기발전장치
90 ; 제1탈리액 분리조 91 ; 미생물여과조 92 ; 황토세라믹 담체
93 ; 제2탈리액 분리조 94 ; 소독방류조

Claims (1)

  1. 집수조(10)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집수조(10)로 오수가 유입되면 오수에 함유된 협잡물 및 슬러지중 협잡물은 수집 제거한 후 오수와 슬러지를 침전조(30)에 보내는 협잡물제거장치(10)와; 오수에 함유된 일부 슬러지가 상기 침전조(30)에 침전되고 오수가 유량조정조(40)를 거치면서 유입 오수의 유량이 조절된 상태로 유입되면 침전조(30)에서 제거하지 못한 미세 슬러지를 제거하는 드럼스크린(50)과; 상기 드럼스크린(50)을 통과하면서 미세 슬러지가 제거된 오수가 유입되면 적정 유량만을 혐기조(60)와 무산소조(61)로 보내는 계측조(51)와; 상기 무산소조(61)를 거치면서 오염물질이 제거된 오수가 유입되면 내부에 설치된 미생물담체(71)를 이용하여 오수의 유기물을 산화 응집시키는 폭기조(70)와; 상기 폭기조(70) 내에 설치되고 폭기시 폭기조(70) 내에서 발생된 기포와 수류에 의해 움직이면서 전기를 발전하며 발전된 전기는 주변 장치들의 에너지로 재이용하는 전기발전장치(80)와; 상기 폭기조(70)를 통과한 오수가 유입되면 오수에 함유된 슬러지와 물성분을 분리하고 분리된 물성분만 미생물여과조(91)로 보내는 제1탈리액 분리조(90)와; 상기 미생물여과조(91)의 황토세라믹 담체(92)를 통과한 오수의 미제거된 잔류 슬러지를 침전 분리시킨 후 소독 처리된 처리수만을 소독방류조(94)하여 외부로 방류되게 하는 제2탈리액 분리조(93)로 이루어진 오,폐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제거장치(20)는 집수조(10) 내부 바닥면에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T"자형의 받침대(21)와, 상기 받침대(21) 상단에 안착 고정되고 내부로 오수가 통과할 때 협잡물을 수집하며 한쪽면에 개폐구(23)가 형성되는 바스켓 타입의 스크린박스(22)와, 일단은 상기 스크린박스(22) 상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구동모터(24)에 의해 정역 회전하는 드럼(25)에 와이어(26)가 연결된 상태에서 협잡물이 스크린박스(22) 내부에 가득차면 상기한 스크린박스(22)를 상승시킨 후 개폐구(23)를 통하여 협잡물이 제거되게 하는 전동인양기(26)와, 상기 스크린박스(22) 좌우측에 형성되고 스크린박스(22)를 상하 안내하는 인양대(2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에서의 협잡물제거장치.
KR1020090056793A 2009-06-25 2009-06-25 오,폐수 처리장치에서의 협잡물제거장치 KR100919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793A KR100919970B1 (ko) 2009-06-25 2009-06-25 오,폐수 처리장치에서의 협잡물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793A KR100919970B1 (ko) 2009-06-25 2009-06-25 오,폐수 처리장치에서의 협잡물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9970B1 true KR100919970B1 (ko) 2009-10-05

Family

ID=41571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793A KR100919970B1 (ko) 2009-06-25 2009-06-25 오,폐수 처리장치에서의 협잡물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97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205B1 (ko) 2010-02-09 2011-12-12 (주) 에코데이 충격 에너지 회수가 가능한 수처리 장치
KR101555024B1 (ko) * 2015-01-06 2015-09-23 (주)선일 엔바이로 에스비알 공법에 의한 고도처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
CN105920893A (zh) * 2016-06-15 2016-09-07 安徽省绿巨人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生活废水净化装置
CN109972330A (zh) * 2019-04-30 2019-07-05 新建特阔漂整(南通)有限公司 一种多层炼漂生产线
CN110055702A (zh) * 2019-04-30 2019-07-26 新建特阔漂整(南通)有限公司 一种炼漂生产线污水处理系统
KR102474756B1 (ko) * 2022-07-05 2022-12-06 정관 여과수단 및 세척수단을 갖는 물 정수장치
CN115521005A (zh) * 2022-06-24 2022-12-27 成红梅 一种脱硫废水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791A (ko) * 2000-06-30 2002-01-10 김승희 스컴/협잡물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2791A (ko) * 2000-06-30 2002-01-10 김승희 스컴/협잡물제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3205B1 (ko) 2010-02-09 2011-12-12 (주) 에코데이 충격 에너지 회수가 가능한 수처리 장치
KR101555024B1 (ko) * 2015-01-06 2015-09-23 (주)선일 엔바이로 에스비알 공법에 의한 고도처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장치
CN105920893A (zh) * 2016-06-15 2016-09-07 安徽省绿巨人环境技术有限公司 一种生活废水净化装置
CN109972330A (zh) * 2019-04-30 2019-07-05 新建特阔漂整(南通)有限公司 一种多层炼漂生产线
CN110055702A (zh) * 2019-04-30 2019-07-26 新建特阔漂整(南通)有限公司 一种炼漂生产线污水处理系统
CN115521005A (zh) * 2022-06-24 2022-12-27 成红梅 一种脱硫废水处理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474756B1 (ko) * 2022-07-05 2022-12-06 정관 여과수단 및 세척수단을 갖는 물 정수장치
WO2024010303A1 (ko) * 2022-07-05 2024-01-11 정관 여과수단 및 세척수단을 갖는 물 정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970B1 (ko) 오,폐수 처리장치에서의 협잡물제거장치
KR100927161B1 (ko) 오,폐수 처리장치에서의 전기발전장치
US6916427B2 (en) Electrochemical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KR20050093725A (ko) 산화 가압 부상장치
WO2010008197A2 (ko)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호소 수질정화장치
CN109485205B (zh) 一种移动式有机废水处理设备
JP2004268005A (ja) 排水処理装置
CN106630399A (zh) 一种电催化氧化mbr联用工艺处理含油污水的方法
KR20120020331A (ko) 하,폐수 처리장치에 설치 사용되는 전기발전장치
CN210113259U (zh) 一种洗车废水处理装置
KR101090736B1 (ko) 오,폐수 처리장치
CN107840495A (zh) 一种原油电脱盐废水的处理方法
CN103086478B (zh) 一种臭氧与电化学协同氧化含油废水处理方法
KR20080037761A (ko) 전기응집을 이용한 축산폐수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
KR100619094B1 (ko) 하,폐수 처리장치
CN114212853B (zh) 用于含乳化油废水破乳的气浮池、包含其的废水处理系统、及方法
JP3931279B2 (ja) 浮遊物質含有海水の浄化装置
KR100435002B1 (ko) 전해부상방법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운전방법
KR100914188B1 (ko) 소수력발전을 포함하는 중수 처리 시스템
CN208883678U (zh) 高效环保发动机废水成套处理设备
JP4549000B2 (ja) 浮遊物質含有海水の浄化装置
CN217628003U (zh) 一种电泳涂装废水收集处理装置
CN111252952A (zh) 一种处理微污染水的曝气混凝装置
KR200161832Y1 (ko) 오폐수처리장치
KR20010026445A (ko) 분자 분해방식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