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515B1 - 광파이버 및 전송 시스템 및 파장 다중 전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파이버 및 전송 시스템 및 파장 다중 전송 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515B1
KR100919515B1 KR1020077009306A KR20077009306A KR100919515B1 KR 100919515 B1 KR100919515 B1 KR 100919515B1 KR 1020077009306 A KR1020077009306 A KR 1020077009306A KR 20077009306 A KR20077009306 A KR 20077009306A KR 100919515 B1 KR100919515 B1 KR 100919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optical fiber
layer
refractive index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9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54745A (ko
Inventor
쇼이치로 마츠오
쇼지 다니가와
구니하루 히메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070054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4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05Highest refractive index not on central axis
    • G02B6/03611Highest index adjacent to central axis region, e.g. annular core, coaxial ring, centreline depression affecting waveguid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28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with core or cladding having graded refractive index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16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 G02B6/03622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2 layers only
    • G02B6/03627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2 layers only arranged -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16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 G02B6/03622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2 layers only
    • G02B6/03633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2 layers only arranged -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16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 G02B6/03638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3 layers only
    • G02B6/03644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3 layers only arranged - +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2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 G02B6/036Optical fibres with cladding with or without a coating core or cladding comprising multiple layers
    • G02B6/03616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 G02B6/03638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3 layers only
    • G02B6/0365Optical fibr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different refractive index layers around the central core segment, i.e. around the innermost high index core layer, and their relativ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having 3 layers only arranged - - +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광파이버는 중심의 코어와 당해 코어의 외주에 있는 클래드를 가지고, 상기 코어는 게르마늄과 불소가 첨가된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한 층의 공첨가층과 게르마늄이 첨가된 석영 유리 또는 게르마늄과 상기 공첨가층보다 소량의 불소가 첨가된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한 층의 저농도 공첨가층을 갖는다.

Description

광파이버 및 전송 시스템 및 파장 다중 전송 시스템{Optical fiber, transmission system and multiple wavelength transmission system}
본 발명은 유도 브릴루앙 산란(이하, SBS이라고 함)의 발생을 억제하고, 보다 고파워의 신호로 전송이 가능한 광파이버에 관한 것이다. 또한 이 광파이버를 사용한 전송 시스템 및 파장 다중 전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4년 10월 2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4-308359호, 2005년 3월 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5-55669호 및 2005년 7월 19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05-208687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근년, 광파이버를 각 가정에 연선(延線)하고 이를 사용하여 각종의 정보를 주고 받고 하는 파이버 투더홈(Fiber To The Home: 이하, FTTH라고 함) 서비스가 개시되어 있다.
각가지 정보를 전송하는 FTTH의 하나의 형태로서 방송 신호와, 기타의 통신 신호를 각각 다른 방식으로 한 개의 광파이버를 이용하여 동시에 전송하는 시스템이 있다(ITU-T Recommendation G.652). 일반적으로 이 시스템에 있어서 방송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 또는 베이스밴드 신호인 것이 많다.
전송 매체인 광파이버의 관점에서 본 당해 시스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FTTH는 일반적으로 더블스타형의 PON(Passive Optical Network)이고, 분배 손실이 크다(일반적으로 최대 32분기가 상정되어 있음).
· 아날로그 신호 또는 베이스밴드 신호를 전송하기 때문에, 수신기에서의 CNR(Carrier Noise Ratio)를 크게 할 필요가 있고, 필요로 하는 수광부에서의 최저 신호 광파워가 통신으로 사용되는 디지털 전송에 비해 크다.
이에 따라 이 시스템에 있어서는 신호 입력부에서의 필요 신호 광파워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신호광의 전송 중의 감쇠나 분배 손실을 생각하면, 보다 장거리의 선로나 보다 다분기의 선로에 있어서는 보다 고파워가 필요하게 된다. 당연히 신호는 가급적으로 원거리까지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일시에 많은 가입자에게 동시에 분배할 수 있는 것이 각가지 관점(건설 비용, 보수관리성, 시스템 설계 등)에서 이점이 있다.
그렇지만 광파이버를 사용하는 광전송에 있어서는 비선형 현상의 일종인 SBS(유도 브릴루앙 산란)에 의해 광파이버에 있는 파워 이상의 광을 입사시키려고 해도 어느 일정 광량(이하, SBS 문턱 파워라고 함)까지밖에 입사할 수 없으며 나머지는 후방 산란광이 되어 입사광 쪽으로 되돌아오게 되어 버리는 현상이 일어나 입력부에서의 신호 광파워에 제한을 부여하게 되는 경우가 있어서 문제가 되어 있었다(예컨대, A. R. Charaplyvy, J. Lightwave Technol., vol. 8, pp.1548-1557(1990) 참조(비특허 문헌 1)).
종래, SBS 억제를 실현하는 방법으로서는 길이 방향에 광학 특성이나 도판트 농도, 잔류 응력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보고되어 있다(예컨대, 미국 특허 제5,267,339호 공보(특허 문헌 1) 및 K. Shiraki et al., J. Lightwave Technol., vol. 14, pp. 50-57(1996)(비특허 문헌 2) 참조).
그렇지만 특허 문헌 1 및 비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SBS 억제 방법으로서는 필연적으로 광파이버 길이 방향의 광학 특성도 변화해 버리기 때문에, 실용상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광파이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 시험제작한 광파이버에서의 내측 코어직경/외측 코어직경 비율 및 내측 코어 Ge농도와 문턱 파워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A는 제2 실시예에서의 종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Ge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B는 제2 실시예에서의 종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F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C는 제2 실시예에서의 종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4A∼4C의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A는 제2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Ge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B는 제2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와 F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C는 제2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도 6A∼6C의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A는 제3 실시예에서의 종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Ge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B는 제3 실시예에서의 종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F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C는 제3 실시예에서의 종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8A∼8C의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A는 제3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Ge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B는 제3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F농도 분포를 나타낸다 그래프이다.
도 10C는 제3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도 10A∼10C의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A는 제4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Ge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B는 제4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F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C는 제4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도 12A∼12C의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A는 제5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Ge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B는 제5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F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C는 제5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도 14A∼14C의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A는 제6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Ge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B는 제6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F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C는 제6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도 16A∼16C의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A는 제7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Ge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B는 제7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F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C는 제7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18A∼18C의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A는 제8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Ge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B는 제8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F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C는 제8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도 20A∼20C의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2A는 제9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Ge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2B는 제9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F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2C는 제9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3은 도 22A∼22C의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4A는 제10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Ge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4B는 제10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F농도 분포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4C는 제10 실시예에서의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5는 도 24A∼24C의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광파이버를 이용하여 구성한 광전송 시스템(파장 다중 전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광파이버
2…내측 코어
3…외측 코어
4…클래드
10…광전송 시스템(파장 다중 전송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지고, SBS 문턱 파워를 종래의 광파이버와 비교하여 보다 높일 수 있는 광파이버와 이를 이용한 전송 시스템 및 파장 다중 전송 시스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중심의 코어와 당해 코어의 외주에 있는 클래드를 가지고, 코어는 게르마늄과 불소가 첨가된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한 층의 공첨가층과, 게르마늄이 첨가된 석영 유리 또는 게르마늄과 불소가 첨가되고 불소의 첨가량이 상기 공첨가층보다 소량인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한 층의 저농도 공첨가층을 가지는 광파이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에 있어서 코어가 중심 근방에 위치하는 내측 코어와 당해 내측 코어의 외주에 마련된 외측 코어에 의해 구성되며, 내측 코어가 게르마늄과 불소가 첨가된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공첨가층에 의해 구성되고, 외측 코어가 게르마늄을 첨가한 석영 유리 또는 게르마늄과 불소가 첨가되고 불소의 첨가량이 상기 내측 코어보다 소량인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저농도 공첨가층에 의해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에 있어서 클래드가 첨가물을 첨가하지 않는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에 있어서 클래드의 일부에 불소가 첨가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에 있어서 클래드는 코어 외주에 마련된 내측 클래드와 당해 내측 클래드의 외주에 마련된 외측 클래드로 이루어지고, 내측 클래드의 굴절률을 nc1, 외측 클래드의 굴절률을 nc2로 할 때, nc1<nc2 인 관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에 있어서 클래드는 코어 외주에 마련된 내측 클래드와 당해 내측 클래드의 외주에 마련된 트렌치층과, 당해 트렌치층의 바깥쪽에 마련된 외측 클래드로 이루어지고, 내측 클래드의 굴절률을 nc1, 트렌치층의 굴절률을 nc2, 외측 클래드의 굴절률을 nc3로 할 때, nc2<nc1 또한 nc2<nc3 인 관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에 있어서 내측 코어의 게르마늄 농도가 산화 게르마늄 환산으로 4∼15질량%의 범위 내이며, 불소의 농도가 0.2∼5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에 있어서 내측 코어직경과 외측 코어직경의 비율이 0.10∼0.85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에 있어서 내측 코어직경과 외측 코어직경의 비율이 0.25∼0.70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에 있어서 내측 코어와 외측 코어의 광학 굴절률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에 있어서 내측 코어와 외측 코어의 클래드에 대한 비굴절률차의 평균치가 0.30%∼0.60%의 범위 내이며, 외측 코어직경이 직경으로 6.0∼10.5μm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에 있어서 코어가 중심 근방에 위치하는 제1 코어와 당해 제1 코어의 외주에 마련된 제2 코어와 당해 제2 코어의 외주에 마련된 제3 코어에 의해 구성되고, 제1 코어와 제3 코어가 게르마늄과 불소가 첨가된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공첨가층에 의해 구성되며, 제2 코어가 게르마늄을 첨가한 석영 유리 또는 게르마늄과 불소가 첨가되고 불소의 첨가량이 상기 내측 코어보다 소량인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저농도 공첨가층에 의해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에 있어서 제1 코어의 불소 농도를 nf1질량%, 제2 코어의 불소 농도를 nf2질량%, 제3 코어의 불소 농도를 nf3질량%로 할 때, nf1>nf2 또한 nf3>nf2의 관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광파이버에 있어서 nf1과 nf3이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광파이버에 있어서 nf1<nf3의 관계로 해도 된다.
상기 광파이버에 있어서 nf1>nf3의 관계로 해도 된다.
본 발명의 광파이버에 있어서 광학 특성이 ITU-T Recommendation G.652의 규정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본 발명에 관련된 광파이버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 전송 및/또는 베이스밴드 전송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본 발명에 관련된 광파이버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 전송 및/또는 베이스밴드 전송과 함께 데이터 전송 및/또는 음성 전송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파장 다중 전송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광파이버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광파이버(1)는 게르마늄과 불소를 첨가한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내측 코어(2)와, 당해 내측 코어(2)의 외주에 마련되고, 게르마늄을 첨가한 석영 유리 또는 게르마늄과 불소가 첨가되고 불소의 첨가량이 상기 내측 코어(2)보다 소량인 불소를 첨가한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외측 코어(3)와, 당해 외측 코어(3)의 외주에 마련된 클래드(4)로 이루어져 있다. 본 구조로 함으로써 광파이버에서의 전송에서 문제가 되는 SBS의 발생을 억제하고, SBS 문턱 파워를 높여 보다 고파워의 신호로 전송할 수 있다.
내측 코어(2)의 게르마늄 농도는 산화 게르마늄 환산으로 4∼15질량%의 범위 내이고, 또한 불소의 농도는 0.2∼5질량%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코어(2)의 게르마늄 및 불소의 농도가 상기 범위보다 높으면, 레일리 산란이 증가하여 광파이버(1)의 전송 손실이 커져 버려 실용상 문제가 된다. 한편, 내측 코어(2)의 게르마늄 및 불소의 농도가 상기 범위보다 낮으면, SBS 문턱 파워의 증대 효과가 불충분하게 되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또한 내측 코어직경과 외측 코어직경의 비율은 0.10∼0.85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코어직경과 외측 코어직경의 비율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표준의 싱글모드 광파이버(이하, 표준 SM 광파이버라고 함)에 대해 약 1.5배의 SBS 문턱 파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내측 코어직경과 외측 코어직경의 비율은 0.25∼0.70의 범위 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코어직경과 외측 코어직경의 비율을 상기 범위 내로 함으로써 SBS 문턱 파워를 표준 SM 광파이버에 대해 약 2배까지 높일 수 있다.
또한 내측 코어(2)와 외측 코어(3)의 광학 굴절률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코어(2)와 외측 코어(3)의 광학 굴절률이 다르면, 광파이버에서의 도파로 분산(구조 분산이라고도 말함)이 장파장 쪽으로 시프트하게 되어 광학 특성을 소망하는 범위로 제어하는 것이 어렵게 될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광학 굴절률이 실질적으로 같다는 것은 각각의 굴절률의 차이가 비굴절률차(Δ)에서 약 0.07% 이하인 것을 상정하고 있다. 다만, 내측 코어(2)와 외측 코어(3)는 각각 제조 불균등 등에 기인하는 굴절률의 경 방향의 불균일을 가지고 있으므로, 각각 내측 코어(2)와 외측 코어(3)의 평균적인 굴절률로 비교하는 것이 적당하다는 것을 부기해 둔다. 그리고 여기서 소망하는 범위란, 예컨대 ITU-T Recommendation G.652의 규정을 만족하는 범위이다. G.652가 규정하는 특성 중 적어도 파장 분산 특성이 동등하다는 것은 전송 선로의 설계를 행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외의 경우에서도 기존 각종 광파이버의 광학 특성에서 본 발명에 의한 구조를 채용한 것에 의해 광학 특성에 큰 엇갈림이 생기지 않으면 된다.
또한 ITU-T Recommendation G.652의 규정을 만족하는 광학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내측 코어(2)와 외측 코어(3)을 포함한 전체로서의 코어부의 광학 굴절률의 평균치가 클래드(4)에 대한 비굴절률차로서 각각 0.30∼0.40%의 범위 내, 외측 코어직경이 직경으로 7.5∼11μm의 범위 내인 것이 필요하다.
전술한 본 발명 구조를 구비하고, 또한 ITU-T Recommendation G.652의 규정을 만족하는 광학 특성을 가진 광파이버는 기존에 설치된 전송로를 구성하는 광파이버와, 높은 SBS 문턱 파워를 가진다는 본 발명의 특징 이외의 광학 특성을 공유하기 때문에, 종래의 광파이버와 같은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3A∼3F는 본 발명에 관련된 광파이버의 경 방향 굴절률 분포를 예시하는 도면이지만, 본 발명은 본 예시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A에 도시하는 굴절률 분포를 갖는 광파이버는 스텝형 굴절률 분포를 갖는 굴절률이 가장 높은 내측 코어(2)와, 당해 내측 코어(2)의 외주에 마련되고, 내측 코어(2)보다 약간 굴절률이 낮은 외측 코어(3)와, 외측 코어(3)의 외주에 마련된 석영 유리 등으로 이루어진 클래드(4)로 이루어져 있다.
도 3B에 도시하는 굴절률 분포를 갖는 광파이버는 스텝형 굴절률 분포를 갖는 내측 코어(2)와, 당해 내측 코어(2)의 외주에 마련되고, 내측 코어(2)보다 약간 굴절률이 높은 외측 코어(3)와, 외측 코어(3)의 외주에 마련된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클래드(4)로 이루어져 있다.
도 3C에 도시하는 굴절률 분포를 갖는 광파이버는 중심을 향해 점차 굴절률이 높아지는 굴절률 분포를 갖는 내측 코어(2)와, 당해 내측 코어(2)의 외주에 마련된 외측 코어(3)와, 외측 코어(3)의 외주에 마련된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클래드(4)로 이루어져 있다.
도 3D에 도시하는 굴절률 분포를 갖는 광파이버는 중심보다 외주 근방부의 굴절률이 높은 내측 코어(2)와, 당해 내측 코어(2)의 외주에 마련되고, 외주 근방부의 굴절률이 높은 내측 코어(3)와, 외측 코어(3)의 외주에 마련된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클래드(4)로 이루어져 있다.
도 3E에 도시하는 굴절률 분포를 갖는 광파이버는 중심부의 굴절률이 낮은 대략 요(凹)자형의 굴절률 분포를 갖는 내측 코어(2)와, 당해 내측 코어(2)의 외주에 마련되고, 외주부의 굴절률이 점차 저하하는 듯한 굴절률 분포를 갖는 외측 코어(3)와, 외측 코어(3)의 외주에 마련된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클래드(4)로 이루어져 있다.
도 3F에 도시하는 굴절률 분포를 갖는 광파이버는 중앙부에 쐐기 형상 저굴절율부를 갖는 내측 코어(2)와, 당해 내측 코어(2)의 외주에 마련되고, 내측 코어(2)보다 굴절률이 높으며, 외주를 향해 점차 저하하는 굴절률 분포를 갖는 외측 코어(3)와, 외측 코어(3)의 외주에 마련된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클래드(4)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본 발명에 관련된 광파이버를 사용한 전송 시스템도 제공한다.
전술한 본 발명에 관련된 광파이버를 사용하는 이점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다 고파워의 신호광을 도입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비교적 고파워가 필요한 아날로그 전송이나 베이스밴드 전송을 본 발명의 광파이버를 이용하여 행함으로써 보다 다분기·장거리의 전송이 가능하게 되어 큰 혜택을 누릴 수 있다. 특히, 전송 거리로서 15km 이상 및/또는 분기수가 32분기 이상인 것과 같은 시스템의 경우, 가장 큰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광파이버를 사용하여 전술한 아날로그 전송이나 베이스밴드 전송에 더하여 기타의 전송도 동시에 행하는 파장 다중 전송을 할 수 있다. 파장 다중 전송으로서는 ITU-T G.983.3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FTTH의 한 형태로서 또는 CWDM 등이 생각된다. 특히, 전송 거리로서 15km 이상 및/또는 분기수가 32분기 이상인 것과 같은 시스템의 경우, 가장 큰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물론, 전송 시스템으로서 이들 용도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일반적인 공중 데이터 통신뿐 아니라 디지털 장거리 무중계 전송 시스템이나 ITS(고도 교통 시스템), 센서 용도, 원격 레이저 절단 시스템 등에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련된 광파이버를 시험제작했다. 표 1∼표 3의 No.2∼No.25에 시작한 광파이버의 실시예를 그 구조, 광학 특성과 함께 나타낸다. 또한 표 1 중의 No.1에 비교예로서 표준 SM 광파이버(ITU-T Recommendation G.652 준거)도 같이 나타낸다. 그리고 표 1∼표 3 중 “Ge농도”는 내측 코어 또는 외측 코어에 첨가한 게르마늄 농도(산화 게르마늄 환산)를 나타내고, 또한 “F농도”는 내측 코어 또는 외측 코어에 첨가한 불소의 농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No.2∼No.25의 각 실시예의 광파이버에 있어서 “상대 브릴루앙 게인”은 비교예의 광파이버로 측정한 SBS 광강도를 1로 한 경우의 각 실시예의 광파이버에 측정한 SBS 광강도의 상대치이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대 문턱 파워”는 비교예의 광파이버로 측정한 SBS 문턱 파워를 1로 한 경우의 각 실시예의 광파이버에서 측정한 SBS 문턱 파워의 상대치이다.
[표 1]
단위 1 2 3 4 5 6 7 8 9 10
비교예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내측 코어 Ge농도 질량% 3.2 4.3 4.1 4.7 5.0 4.1 5.1 6.2 6.0 6.0
내측 코어 F농도 질량% 0 0.2 0.2 0.3 0.5 0.2 0.5 0.9 0.8 0.8
내측 코어 반지름 μm - 1.6 2.8 1.4 2.0 2.2 2.4 1.0 1.4 2.2
내측 코어 비굴절률 % 0.33 0.34 0.31 0.35 0.34 0.32 0.34 0.33 0.33 0.34
외측 코어 Ge농도 질량% 3.2 3.2 3.2 3.3 3.2 3.2 3.2 3.2 3.2 3.1
외측 코어 F농도 질량% 0 0 0 0 0 0 0 0 0 0
외측 코어 반지름 μm 4.3 4.5 4.5 4.1 4.4 4.4 4.5 4.4 4.6 5.0
외측 코어 비굴절률 % 0.33 0.33 0.33 0.34 0.33 0.32 0.32 0.33 0.33 0.30
내측 코어직경/외측 코어직경 - - 0.36 0.62 0.34 0.46 0.50 0.53 0.22 0.30 0.44
상대 브릴루앙 게인 - 1 0.66 0.67 0.55 0.41 0.53 0.48 0.61 0.55 0.44
상대 문턱 파워 - 1 1.5 1.5 1.8 2.4 1.9 2.1 1.6 1.8 2.3
광학 특성(참고치/발췌)
전송 손실@1,310nm dB/km 0.332 0.328 0.327 0.331 0.331 0.333 0.322 0.327 0.331 0.329
모드 필드경@1,310nm μm 9.45 9.28 9.43 9.21 9.41 9.43 9.52 9.40 9.44 9.65
영분산 파장 nm 1,321 1,316 1,309 1,315 1,309 1,310 1,308 1,307 1,312 1,302
케이블 컷오프 파장 μm 1.24 1.22 1.26 1.25 1.23 1.23 1.24 1.21 1.23 1.26
[표 2]
단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내측 코어 Ge농도 질량% 6.7 7.2 8.3 9.2 8.6 8.3 10.3 10.0 9.9 12.0
내측 코어 F농도 질량% 1.0 1.2 1.5 1.7 1.7 1.5 2.2 2.0 2.0 2.6
내측 코어 반지름 μm 2.9 2.2 3.1 1.6 2.2 1.0 1.6 3.3 2.5 1.0
내측 코어 비굴절률 % 0.34 0.33 0.33 0.36 0.31 0.34 0.31 0.35 0.33 0.34
외측 코어 Ge농도 질량% 3.4 3.2 3.3 3.3 3.3 3.3 3.3 3.3 3.3 3.3
외측 코어 F농도 질량% 0 0 0 0 0 0 0 0 0 0
외측 코어 반지름 μm 4.1 4.5 4.4 4.4 4.5 4.3 4.4 4.5 4.4 4.3
외측 코어 비굴절률 % 0.35 0.33 0.34 0.33 0.33 0.33 0.34 0.33 0.33 0.34
내측 코어직경/외측 코어직경 - 0.71 0.49 0.70 0.36 0.49 0.23 0.36 0.73 0.56 0.23
상대 브릴루앙 게인 - 0.64 0.35 0.53 0.42 0.37 0.51 0.44 0.50 0.47 0.47
상대 문턱 파워 - 1.6 2.9 1.9 2.4 2.7 2.0 2.3 2.0 2.1 2.1
광학 특성(참고치/발췌)
전송 손실@1,310nm dB/km 0.333 0.335 0.336 0.337 0.333 0.326 0.336 0.345 0.342 0.355
모드 필드경@1,310nm μm 9.09 9.41 9.43 9.35 9.42 9.33 9.42 9.28 9.43 9.41
영분산 파장 nm 1,316 1,310 1,307 1,312 1,305 1,311 1,306 1,314 1,310 1,308
케이블 컷오프 파장 μm 1.25 1.23 1.25 1.23 1.25 1.21 1.23 1.18 1.22 1.23
[표 3]
단위 21 22 23 24 25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실시예
내측 코어 Ge농도 질량% 13.2 6.5 7.3 8.4 7.7
내측 코어 F농도 질량% 3.2 1.0 1.1 1.5 1.4
내측 코어 반지름 μm 3.0 2.1 1.8 2.4 2.1
내측 코어 비굴절률 % 0.29 0.31 0.35 0.33 0.30
외측 코어 Ge농도 질량% 3.3 3.4 3.4 3.8 4.4
외측 코어 F농도 질량% 0 0.01 0.05 0.13 0.3
외측 코어 반지름 μm 4.5 4.4 4.5 4.3 4.4
외측 코어 비굴절률 % 0.33 0.34 0.32 0.33 0.33
내측 코어직경/외측 코어직경 - 0.67 0.48 0.40 0.56 0.48
상대 브릴루앙 게인 - 0.45 0.39 0.48 0.44 0.50
상대 문턱 파워 - 2.2 2.6 2.1 2.3 2.0
광학 특성(참고치/발췌)
전송 손실@1,310nm dB/km 0.359 0.325 0.329 0.335 0.340
모드 필드경@1,310nm μm 9.44 9.32 9.44 9.38 9.51
영분산 파장 nm 1,303 1,311 1,308 1,310 1,301
케이블 컷오프 파장 μm 1.19 1.25 1.23 1.24 1.27
표 1∼표 3의 결과로부터 No.2∼No.25에 나타낸 실시예의 광파이버는 게르마늄과 불소를 포함하는 내측 코어와, 게르마늄만 포함하거나 게르마늄과 소량의 불소를 포함하는 외측 코어를 구비한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 비교예의 표준 SM 광파이버와 비교하여 SBS의 발생이 억제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높은 SBS 문턱 파워가 얻어지며, 비교예의 표준 SM 광파이버와 비교하여 보다 고파워의 신호광을 전송할 수 있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서 시험제작한 광파이버 중에서 발견한 내측 코어직경/외측 코어직경 비율 및 내측 코어 Ge농도와 문턱 파워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로부터 대략 상기 파라미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소망하는 문턱 파워가 얻어져 있다는 것을 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는 파장 1,310nm에서의 MFD가 8.6μm 정도의 SM 광파이버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광파이버는 ITU-T Recommendation G.652를 만족하는 범위에서 굴곡 손실을 저감한 광파이버로서 상품화가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광파이버를 종래의 방법으로 설계했을 때의 도판트(Ge, F)의 농도 분포 및 비굴절률차를 도 4A∼C 및 표 4에 나타낸다.
[표 4]
반지름(μm) Ge농도[질랑%] F농도[질량%] 비굴절률차[%]
중심 코어 4.256 4.21 0.15 0.37
내측 클래드 10.64 0.00 0.15 -0.05
외측 클래드 62.5 0.00 0.00 0.00
이와 같은 굴절률 분포에 의해 이하와 같은 광학 특성을 나타내는 광파이버를 얻을 수 있다.
파이버 컷오프: 1.26μm
파장 1,310nm에서의 MFD: 8.59μm
파장 1,550nm에서의 MFD: 9.56μm
영분산 파장: 1,305.8nm
파장 1,550nm에서의 파장 분산: 17.1ps/nm/km
파장 1,550nm에서의 분산 슬로프: 0.057ps//km
굴곡 직경 30mm, 파장 1,310nm에서의 굴곡 손실: <0.01dB/m
굴곡 직경 30mm, 파장 1,550nm에서의 굴곡 손실: 1.89×dB/m
도 4A∼4C의 굴절률 분포에 근거한 광파이버는 실시예 1, 비교예로서 나타낸 일반적인 SM 광파이버에 비해 MFD를 작게 함으로써 굴곡 손실을 개선하고 있다. 그렇지만 소MFD화에 의해 SBS 문턱 파워가 악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도 5는 도 4A∼4C의 굴절률 분포로부터 얻어지는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비교예의 광파이버의 브릴루앙 게인의 최대치를 1로 하여 규격화를 행했다. 상대 브릴루앙 게인의 최대치는 1.18이 되고, SBS 문턱 파워는 0.7dB 낮아졌다.
도 6A∼6C 및 표 5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근거한 광파이버의 실시예 26을 나타낸다.
[표 5]
반지름(μm) Ge농도[질랑%] F농도[질량%] 비굴절률차[%]
내측 코어 2.128 10.31 2.00 0.37
외측 코어 4.256 4.21 0.15 0.37
내측 클래드 10.64 0.00 0.15 -0.05
외측 클래드 62.5 0.00 0.00 0.00
종래 방법에 근거한 예에 비해 내측 코어부의 Ge, F농도가 커져 있지만, 비굴절률차(Δ)는 동일하게 되어 있고, MFD나 파장 분산이란 광학 특성은 도 4A∼C의 굴절률 분포와 동일하게 된다.
도 7은 도 6A∼6C의 굴절률 분포의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1, 비교예의 광파이버를 기준으로 했다. 상대 브릴루앙 게인의 최대치는 0.55가 되고, SBS 문턱 파워는 2.6dB 개선되었다.
본 실시예에 근거한 광파이버는 ITU-T Recommendation G.652를 만족하는 광학 특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낮은 굴곡 손실, 높은 SBS 문턱 파워를 구비한 광파이버로서 FTTH용 광파이버로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는 또한 굴곡 특성을 개선한 광파이버에 관한 것이다.
도 8A∼8C에 종래 방법에 근거한 낮은 굴곡 손실 광파이버의 예를 나타낸다. 본 광파이버는 표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농도 분포 및 굴절률 분포를 갖는다.
[표 6]
반지름(μm) Ge농도[질랑%] F농도[질량%] 비굴절률차[%]
중심 코어 3.47 5.21 0.15 0.47
내측 클래드 6.94 0.00 0.15 -0.05
트렌치 12.15 0.00 0.76 -0.25
외측 클래드 62.50 0.00 0.00 0.00
이와 같은 굴절률 분포에 의해 이하와 같은 광학 특성을 나타내는 광파이버를 얻을 수 있다.
파이버 컷오프: 1.26μm
파장 1,310nm에서의 MFD: 7.36μm
파장 1,550nm에서의 MFD: 8.19μm
영분산 파장: 1,319.2nm
파장 1,550nm에서의 파장 분산: 17.4ps/nm/km
파장 1,550nm에서의 분산 슬로프: 0.060ps//km
굴곡 직경 30mm, 파장 1,310nm에서의 굴곡 손실: <0.01dB/m
굴곡 직경 30mm, 파장 1,550nm에서의 굴곡 손실: <0.01dB/m
굴곡 직경 15mm, 파장 1,310nm에서의 굴곡 손실: <0.01dB/m
굴곡 직경 15mm, 파장 1,550nm에서의 굴곡 손실: 0.29dB/m
파장 1,310nm에서의 MFD는 7.36μm으로 약간 작지만, 굴곡 손실은 개선되어 직경 15mm에 감아도 거의 손실 증가가 생기지 않는다. 그렇지만 MFD가 작아짐에 따라 SBS 문턱 파워는 악화된다. 도 9에 본 예의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5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1, 비교예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상대 브릴루앙 게인의 최대치는 1.7이고, SBS 문턱 파워는 2.3dB 낮아졌다.
도 10A∼10C 및 표 7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근거한 광파이버의 실시예 27을 나타낸다.
[표 7]
반지름(μm) Ge농도[질랑%] F농도[질량%] 비굴절률차[%]
내측 코어 1.74 11.32 2.00 0.47
외측 코어 3.47 5.21 0.15 0.47
내측 클래드 6.94 0.00 0.15 -0.05
트렌치 12.15 0.00 0.76 -0.25
외측 클래드 62.50 0.00 0.00 0.00
종래 방법에 근거한 예에 비해 내부 코어의 Ge, F농도가 커져 있지만, 비굴절율차(Δ)는 같아서 MFD나 파장 분산이란 광학 특성은 도 8A∼8C의 굴절률 분포와 동일하게 된다.
도 11은 도 10A∼10C의 굴절률 분포의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와 마찬가지로 실시예 1, 비교예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상대 브릴루앙 게인의 최대치는 0.67이 되고, SBS 문턱 파워는 1.7dB 개선되었다.
본 실시예에 근거한 광파이버는 ITU-T Recommendation G.652와 같은 파장 분산 특성을 나타내고서 낮은 굴곡 손실, 높은 SBS 문턱 파워를 구비한 광파이버로서 FTTH용의 광파이버로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는 코어가 중심 근방의 제1 공첨가층(제1층), 제1 공첨가층의 외주에 위치하는 비공첨가층(제2층) 및 비공첨가층의 외주에 위치하는 제2 공첨가층(제3층)으로 구성된 광파이버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와 도판트 분포를 도 12A∼12C에 나타낸다. 각층의 직경, 광학적 비굴절률차, Ge 및 F농도를 이하에 나타낸다.
제1층 반지름(r1): 1.66μm
제2층 반지름(r2): 3.33μm
제3층 반지름(r3): 4.43μm
제1층 Ge농도(nG1): 5.0질량%, 제1층 F농도(nF1): 0·45질량%
제2층 Ge농도(nG2): 3·5질량%, 제2층 F농도(nF2): 0.00질량%
제3층 Ge농도(nG3): 5.0질량%, 제3층 F농도(nF3): 0.45질량%
비굴절률차(Δ): 0.35%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은 각각의 Ge농도와 F농도가 비굴절률차(Δ)가 같은 0.35%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굴절률 분포에 의해 이하와 같은 광학 특성을 나타내는 광파이버를 얻을 수 있다.
파이버 컷오프: 1,292nm
케이블 컷오프: 1,240nm
파장 1,310nm에서의 MFD: 9.21μm
파장 1,550nm에서의 MFD: 10.30μm
영분산 파장: 1,307.2nm
파장 1,550nm에서의 파장 분산: 17.38ps/nm/km
파장 1,550nm에서의 분산 슬로프: 0.060ps//km
굴곡 직경 30mm, 파장 1,310nm에서의 굴곡 손실: 0.13dB/m
굴곡 직경 30mm, 파장 1,550nm에서의 굴곡 손실: 3.73dB/m
본 실시예의 광파이버는 실시예 1 및 비교예로서 나타낸 일반적인 광파이버와 거의 동등한 MFD를 가지고 있다.
도 13은 도 12A∼12C의 굴절률 분포로부터 얻어지는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비교예의 광파이버의 브릴루앙 게인의 최대치를 1로 하여 규격화를 행했다. 상대 브릴루앙 게인의 최대치는 0.46이 되고, SBS 문턱 파워는 4.3dB 낮아졌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은 것으로부터 10,760MHz, 10,840MHz, 10,950MHz, 11,060MHz, 11,180MHz의 주파수 시프트에 있어서 각각 0.46, 0.32, 0.20, 0.07, 0.02의 상대 게인을 가지는 피크가 존재한다.
[제5 실시예]
제5 실시예는 코어가 중심 근방의 제1 공첨가층(제1층), 제1 공첨가층의 외주에 위치하는 비공첨가층(제2층) 및 비공첨가층의 외주에 위치하는 제2 공첨가층(제3층)으로 구성된 광파이버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와 도판트 분포를 도 14A∼14C에 나타낸다. 각층의 지름, 광학적 비굴절률차, Ge 및 F농도를 이하에 나타낸다.
제1층 반지름(r1): 1.11μm
제2층 반지름(r2): 3.33μm
제3층 반지름(r3): 4.43μm
제1층 Ge농도(nG1): 5.0질량%, 제1층 F농도(nF1): 0.45질량%
제2층 Ge농도(nG2): 3.5질량%, 제2층 F농도(nF2): 0.00질량%
제3층 Ge농도(nG3): 5·0질량%, 제3층 F농도(nF3): 0.45질량%
비굴절률차(Δ): 0.35%.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은 각각의 Ge농도와 F농도가 비굴절률차(Δ)가 같은 0.35%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얻어지는 광학 특성은 실시예 4와 같다.
도 15는 도 14A∼14C의 굴절률 분포로부터 얻어지는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비교예의 광파이버의 브릴루앙 게인의 최대치를 1로 하여 규격화를 행했다. 상대 브릴루앙 게인의 최대치는 0.67이 되고, SBS 문턱 파워는 2.4dB 낮아졌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은 것으로부터 10,800MHz, 10,840MHz, 11,030MHz, 11,200MHz의 주파수 시프트에 있어서 각각 0.45, 0.44, 0.67, 0.02의 상대 게인을 가지는 피크가 존재한다.
[제6 실시예]
제6 실시예는 코어가 중심 근방의 제1 공첨가층(제1층), 제1 공첨가층의 외주에 위치하는 비공첨가층(제2층) 및 비공첨가층의 외주에 위치하는 제2 공첨가층(제3층)으로 구성된 광파이버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와 도판트 분포를 도 16A∼16C에 나타낸다. 각층의 지름, 광학적 비굴절률차, Ge 및 F농도를 이하에 나타낸다.
제1층 반지름(r1): 2.22μm
제2층 반지름(r2): 3.33μm
제3층 반지름(r3): 4.43μm
제1층 Ge농도(nG1): 5.0질량%, 제1층 F농도(nF1): 0.45질량%
제2층 Ge농도(nG2): 3.5질량%, 제2층 F농도(nF2): 0.00질량%
제3층 Ge농도(nG3): 5.0질량%, 제3층 F농도(nF3): 0.45질량%
비굴절률차(Δ): 0.35%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은 각각의 Ge농도와 F농도가 비굴절률차(Δ)가 같은 0.35%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얻어지는 광학 특성은 실시예 4와 같다.
도 17은 도 16A∼16C의 굴절률 분포로부터 얻어지는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비교예의 광파이버의 브릴루앙 게인의 최대치를 1로 하여 규격화를 행했다. 상대 브릴루앙 게인의 최대치는 0.66이 되고, SBS 문턱 파워는 2.9dB 낮아졌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은 것으로부터 10,740MHz, 10,830MHz, 11,050MHz의 주파수 시프트에 있어서 각각 0.62, 0.66, 0.07의 상대 게인을 가지는 피크가 존재한다.
[제7 실시예]
제7 실시예는 코어가 중심 근방의 제1 공첨가층(제1층), 제1 공첨가층의 외주에 위치하는 비공첨가층(제2층) 및 비공첨가층의 외주에 위치하는 제2 공첨가층(제3층)으로 구성된 광파이버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와 도판트 분포를 도 18A∼18C에 나타낸다. 각층의 지름, 광학적 비굴절률차, Ge 및 F농도를 이하에 나타낸다.
제1층 반지름(r1): 1.66μm
제2층 반지름(r2): 3.33μm
제3층 반지름(r3): 4.43μm
제1층 Ge농도(nG1): 5.0질량%, 제1층 F농도(nF1): 0.45질량%
제2층 Ge농도(nG2): 3.5질량%, 제2층 F농도(nF2): 0.00질량%
제3층 Ge농도(nG3): 5.0질량%, 제3층 F농도(nF3): 0.45질량%
비굴절률차(Δ): 0.35%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은 각각의 Ge농도와 F농도가 비굴절률차(Δ)가 같은 0.35%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얻어지는 광학 특성은 실시예 4와 같다.
도 19는 도 18A∼18C의 굴절률 분포로부터 얻어지는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비교예의 광파이버의 브릴루앙 게인의 최대치를 1로 하여 규격화를 행했다. 상대 브릴루앙 게인의 최대치는 0.44가 되고, SBS 문턱 파워는 3.9dB 낮아졌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은 것으로부터 10,670MHz, 10,760MHz, 11,950MHz, 11,000MHz, 11,140MHz의 주파수 시프트에 있어서 각각 0.25, 0.44, 0.26, 0.03, 0.07의 상대 게인을 가지는 피크가 존재한다.
[제8 실시예]
제8 실시예는 코어가 중심 근방의 제1 공첨가층(제1층), 제1 공첨가층의 외주에 위치하는 비공첨가층(제2층) 및 비공첨가층의 외주에 위치하는 제2 공첨가층(제3층)으로 구성된 광파이버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와 도판트 분포를 도 20A∼20C에 나타낸다. 각층의 지름, 광학적 비굴절률차, Ge 및 F농도를 이하에 나타낸다.
제1층 반지름(r1): 1.66μm
제2층 반지름(r2): 3.33μm
제3층 반지름(r3): 4.43μm
제1층 Ge농도(nG1): 5.0질량%, 제1층 F농도(nF1): 0.45질량%
제2층 Ge농도(nG2): 3.5질량%, 제2층 F농도(nF2): 0.00질량%
제3층 Ge농도(nG3): 5.5질량%, 제3층 F농도(nF3): 0.60질량%
비굴절률차(Δ): 0.35%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은 각각의 Ge농도와 F농도가 비굴절률차(Δ)가 같은 0.35%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얻어지는 광학 특성은 실시예 4와 동일하다.
도 21은 도 20A∼20C의 굴절률 분포로부터 얻어지는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비교예의 광파이버의 브릴루앙 게인의 최대치를 1로 하여 규격화를 행했다. 상대 브릴루앙 게인의 최대치는 0·69가 되고, SBS 문턱 파워는 2.9dB 낮아졌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은 것으로부터 10,760MHz, 10,950MHz, 11,040MHz, 11,160MHz의 주파수 시프트에 있어서 각각 0.69, 0.24, 0.06, 0.04의 상대 게인을 가지는 피크가 존재한다.
[제9 실시예]
제9 실시예는 코어가 중심 근방의 제1 공첨가층(제1층), 제1 공첨가층의 외주에 위치하는 비공첨가층(제2층) 및 비공첨가층의 외주에 위치하는 제2 공첨가층(제3층)으로 구성된 광파이버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와 도판트 분포를 도 22A∼22C에 나타낸다. 각층의 지름, 광학적 비굴절률차, Ge 및 F농도를 이하에 나타낸다.
제1층 반지름(r1): 1.66μm
제2층 반지름(r2): 3.33μm
제3층 반지름(r3): 4.43μm
제1층 Ge농도(nG1): 5.0질량%, 제1층 F농도(nF1): 0.45질량%
제2층 Ge농도(nG2): 3.5질량%, 제2층 F농도(nF2): 0.00질량%
제3층 Ge농도(nG3): 7.0질량%, 제3층 F농도(nF3): 1.05질량%
비굴절률차(Δ): 0.35%.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은 각각의 Ge농도와 F농도가 비굴절률차(Δ)가 같은 0.35%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얻어지는 광학 특성은 실시예 4와 같다.
도 23은 도 22A∼22C의 굴절률 분포로부터 얻어지는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비교예의 광파이버의 브릴루앙 게인의 최대치를 1로 하여 규격화를 행했다. 상대 브릴루앙 게인의 최대치는 0.44가 되고, SBS 문턱 파워는 4.0dB 낮아졌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은 것으로부터 10,760MHz, 10,900MHz, 10,960MHz, 11,120MHz의 주파수 시프트에 있어서 각각 0.44, 0.24, 0.18, 0.13의 상대 게인을 가지는 피크가 존재한다.
[제10 실시예]
제10 실시예는 코어가 중심 근방의 제1 공첨가층(제1층), 제1 공첨가층의 외주에 위치하는 비공첨가층(제2층) 및 비공첨가층의 외주에 위치하는 제2 공첨가층(제3층)으로 구성된 광파이버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광파이버의 굴절률 분포와 도판트 분포를 도 24A∼24C에 나타낸다. 각층의 지름, 광학적 비굴절률차, Ge 및 F농도를 이하에 나타낸다.
제1층 반지름(r1): 1.66μm
제2층 반지름(r2): 3.33μm
제3층 반지름(r3): 4.43μm
제1층 Ge농도(nG1): 7.0질량%, 제1층 F농도(nF1): 1.05질량%
제2층 Ge농도(nG2): 3.5질량%, 제2층 F농도(nF2): 0.00질량%
제3층 Ge농도(nG3): 7.0질량%, 제3층 F농도(nF3): 1.05질량%
비굴절률차(Δ): 0.35%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은 각각의 Ge농도와 F농도가 비굴절률차(Δ)가 같은 0.35%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얻어지는 광학 특성은 실시예 4와 동일하다.
도 25는 도 24A∼24C의 굴절률 분포로부터 얻어지는 광파이버의 상대 브릴루앙 게인 스펙트럼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비교예의 광파이버의 브릴루앙 게인의 최대치를 1로 하여 규격화를 행했다. 상대 브릴루앙 게인의 최대치는 0.34가 되고, SBS 문턱 파워는 4.7dB 낮아졌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은 것으로부터 10,420MHz, 10,520MHz, 10,660MHz, 10,900MHz, 11,010MHz의 주파수 시프트에 있어서 각각 0.34, 0.21, 0.09, 0.05, 0.21의 상대 게인을 가지는 피크가 존재한다.
도 26에 본 발명에 의한 광파이버(1)을 사용한 PON 구성에 의한 광전송 시스템(파장 다중 전송 시스템)(10)을 도시한다. 광전송 시스템(10)은 ITU-T G.983.3의 규정에 준거하여 파장 1.31μm과 파장 1.49μm로 데이터 신호의 전송을 행하며, 파장 1.55μm로 영상 신호의 전송을 행한다. 도 26은 데이터 전송 예로서 인터넷이나 스토리밍에 의한 디지털 영상 배송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적절한 장치를 추가함으로써 음성 신호의 전송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1.55μm 파장대의 영상 전송에는 일반적인 방송파를 그대로 아날로그 신호의 형태로 전반(傳搬)시키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는 가입자 쪽의 방송계 수신부에 있어서 본래의 방송파의 신호로 복조(復調)하는 것이 가능하고, 종래의 TV 수상기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6의 시스템에서는 한 개의 광파이버(1)로 데이터 신호와 아날로그 신호(영상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신호용의 광파이버와 아날로그 신호의 광파이버를 각각 이용해도 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는 본 발명의 광파이버를 사용함으로써 전송 거리의 연장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기타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설명에 의해 한정되는 게 아니라 첨부된 클레임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SBS의 발생을 억제하고, 보다 고파워의 신호로 전송이 가능한 광파이버와, 이를 사용한 다분기·장거리의 전송이 가능한 전송 시스템 및 파장 다중 전송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1)

  1. 중심의 코어와 당해 코어의 외주에 있는 클래드를 가지고,
    상기 코어는 게르마늄과 불소가 첨가된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한 층의 공첨가층(共添加層)과, 게르마늄이 첨가된 석영 유리 또는 게르마늄과 불소가 첨가되고 상기 불소의 첨가량이 상기 공첨가층보다 소량인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한 층의 저농도 공첨가층을 가지고,
    상기 코어의 중심 근방에 위치하는 제1 코어가 게르마늄과 불소가 첨가된 공첨가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광파이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가 중심 근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코어인 내측 코어와 당해 내측 코어의 외주에 마련된 외측 코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외측 코어가 게르마늄을 첨가한 석영 유리 또는 게르마늄과 불소가 첨가되고 상기 불소의 첨가량이 상기 내측 코어보다 소량인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저농도 공첨가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광파이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드가 첨가물을 첨가하지 않는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드의 일부에 불소가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드는 상기 코어 외주에 마련된 내측 클래드와 당해 내측 클래드의 외주에 마련된 외측 클래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측 클래드의 굴절률을 nc1, 상기 외측 클래드의 굴절률을 nc2로 할 때, nc1<nc2 인 관계를 가지는 광파이버.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클래드는 상기 코어 외주에 마련된 내측 클래드와 당해 내측 클래드의 외주에 마련된 트렌치층과, 당해 트렌치층의 바깥쪽에 마련된 외측 클래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 클래드의 굴절률을 nc1, 상기 트렌치층의 굴절률을 nc2, 상기 외측 클래드의 굴절률을 nc3로 할 때, nc2<nc1 또한 nc2<nc3 인 관계를 가지는 광파이버.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코어의 상기 게르마늄 농도가 산화 게르마늄 환산으로 4∼15질량%의 범위 내이고, 상기 불소의 농도가 0.2∼5질량%의 범위 내인 광파이버.
  8. 제2항에 있어서,
    내측 코어직경과 외측 코어직경의 비율이 0.10∼0.85의 범위 내인 광파이버.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코어직경과 상기 외측 코어직경의 비율이 0.25∼0.70의 범위 내인 광파이버.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코어와 상기 외측 코어의 굴절률의 차이가 비굴절률차로 0.07% 이하인 광파이버.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코어와 상기 외측 코어의 상기 클래드에 대한 비굴절률차의 평균치가 0.30%∼0.60%의 범위 내이고, 외측 코어직경이 직경 6.0∼10.5μm의 범위 내인 광파이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가 중심 근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 코어와 당해 제1 코어의 외주에 마련된 제2 코어와 당해 제2 코어의 외주에 마련된 제3 코어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3 코어가 게르마늄과 불소가 첨가된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공첨가층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제2 코어가 게르마늄을 첨가한 석영 유리 또는 게르마늄과 불소가 첨가되고 상기 불소의 첨가량이 상기 제1 코어보다 소량인 석영 유리로 이루어지는 저농도 공첨가층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광파이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의 불소 농도를 nf1질량%, 상기 제2 코어의 불소 농도를 nf2질량%, 상기 제3 코어의 불소 농로를 nf3질량%로 할 때, nf1>nf2 또한 nf3>nf2의 관계인 광파이버.
  14. 제13항에 있어서,
    nf1과 nf3이 동등한 광파이버.
  15. 제13항에 있어서,
    nf1<nf3의 관계인 광파이버.
  16. 제13항에 있어서,
    nf1>nf3의 관계인 광파이버.
  17. 제1항에 있어서,
    광학 특성이 ITU-T Recommendation G.652의 규정을 만족하는 광파이버.
  18. 제1항에 기재된 광파이버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 전송 또는 베이스밴드 전송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전송 시스템.
  19. 제1항에 기재된 광파이버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신호 전송 및/또는 베이스밴드 전송과 더불어서 데이터 전송 및/또는 음성 전송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파장 다중 전송 시스템.
  2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코어와 상기 외측 코어의 굴절률이 동등한 광파이버.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코어와, 제2 코어와, 제3 코어의 굴절률이 동등한 광파이버.
KR1020077009306A 2004-10-22 2005-10-24 광파이버 및 전송 시스템 및 파장 다중 전송 시스템 KR100919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08359 2004-10-22
JP2004308359 2004-10-22
JP2005055669 2005-03-01
JPJP-P-2005-00055669 2005-03-01
JP2005208687 2005-07-19
JPJP-P-2005-00208687 2005-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4745A KR20070054745A (ko) 2007-05-29
KR100919515B1 true KR100919515B1 (ko) 2009-09-28

Family

ID=36203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9306A KR100919515B1 (ko) 2004-10-22 2005-10-24 광파이버 및 전송 시스템 및 파장 다중 전송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606460B2 (ko)
EP (1) EP1806599A4 (ko)
JP (1) JP4286863B2 (ko)
KR (1) KR100919515B1 (ko)
WO (1) WO20060436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764633A1 (en) * 2005-09-09 2007-03-21 Draka Comteq B.V. Optical fiber with reduced stimulated brillouin scattering
JP5534671B2 (ja) * 2006-06-30 2014-07-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
US7315677B1 (en) * 2006-09-14 2008-01-01 Corning Incorporated Dual dopant dual alpha multimode optical fiber
EP1930753B1 (en) * 2006-12-04 2015-02-18 Draka Comteq B.V. Optical fiber with high Brillouin threshold power and low bending losses
AU2009260538B2 (en) 2008-05-28 2015-01-15 Adc Telecommunications, Inc. Fiber optic cable
CN101598834B (zh) * 2009-06-26 2011-01-19 长飞光纤光缆有限公司 一种单模光纤及其制造方法
US8385701B2 (en) * 2009-09-11 2013-02-26 Corning Incorporated Low bend loss optical fiber
US8542969B2 (en) * 2010-02-26 2013-09-24 Corning Incorporated Low bend loss optical fiber
JP5214821B2 (ja) * 2010-03-30 2013-06-19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及び、これを用いたレーザ装置
US9739966B2 (en) 2011-02-14 2017-08-22 Commscope Technologies Llc Fiber optic cable with electrical conductors
US8873917B2 (en) 2011-05-20 2014-10-28 Corning Incorporated Low bend loss optical fiber
KR102038955B1 (ko) * 2011-08-19 2019-10-31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굽힘 손실이 낮은 광 섬유
JP2013068747A (ja) * 2011-09-21 2013-04-1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伝送路
US9316802B2 (en) 2012-08-24 2016-04-19 Commscope Technologies Llc Optical fiber cable having reinforcing layer of tape heat-bonded to jacket
US9188736B2 (en) 2013-04-08 2015-11-17 Corning Incorporated Low bend loss optical fiber
CN103869410B (zh) * 2014-01-26 2015-12-30 烽火通信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兼容性的小弯曲半径单模光纤
US9658394B2 (en) * 2014-06-24 2017-05-23 Corning Incorporated Low attenuation fiber with viscosity matched core and inner clad
US9586853B2 (en) 2014-07-09 2017-03-07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making optical fibers in a reducing atmosphere
US9650281B2 (en) 2014-07-09 2017-05-16 Corning Incorporated Optical fiber with reducing hydrogen sensitivity
EP3173831A4 (en) * 2015-05-27 2018-03-21 Fujikura Ltd. Optical fib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5279B1 (en) * 1997-11-06 2001-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ngle mode optical fiber having multi-step core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3449B1 (ko) 1986-06-11 1990-05-19 스미도모덴기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분산 시프트싱글모우드 광파이버 및 그 제조방법
JPS62292647A (ja) * 1986-06-11 1987-12-19 Sumitomo Electric Ind Ltd 分散シフトシングルモ−ド光フアイバの製造方法
JPS63281106A (ja) * 1987-05-14 1988-11-17 Fujikura Ltd 分散フラット型光フアイバ
JP2584151B2 (ja) * 1991-06-11 1997-02-19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
JP2959877B2 (ja) * 1991-06-24 1999-10-0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製造方法
JP2800960B2 (ja) * 1992-04-28 1998-09-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粘性整合方法および粘性整合光ファイバ
US5509101A (en) * 1994-07-11 1996-04-16 Corning Incorporated Radiation resistant optical waveguide fiber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948629A (ja) * 1995-08-01 1997-02-1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ファイ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86948B2 (ja) * 1996-02-08 2003-03-1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
KR20010021886A (ko) * 1997-07-15 2001-03-15 알프레드 엘. 미첼슨 광섬유 내에서 자극받은 브릴로인 산란의 억제방법
CA2368327A1 (en) * 2000-02-25 2001-08-30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Low-dispersion optical fiber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low-dispersion optical fiber
JP3764040B2 (ja) * 2000-10-03 2006-04-05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
JP3774159B2 (ja) * 2001-04-03 2006-05-10 株式会社フジクラ 分散補償光ファイバの接続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5279B1 (en) * 1997-11-06 2001-03-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ingle mode optical fiber having multi-step core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86863B2 (ja) 2009-07-01
EP1806599A4 (en) 2010-09-22
US20070189699A1 (en) 2007-08-16
WO2006043698A1 (ja) 2006-04-27
KR20070054745A (ko) 2007-05-29
JPWO2006043698A1 (ja) 2008-05-22
EP1806599A1 (en) 2007-07-11
US7606460B2 (en) 2009-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515B1 (ko) 광파이버 및 전송 시스템 및 파장 다중 전송 시스템
KR100642035B1 (ko) 광 파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광 전송 시스템
EP0851245B1 (en) Dispersion-shifted fiber
US7526168B2 (en) Optical fiber, transmission system, and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CN108700703B (zh) 模分复用所用的少模光纤
JP3893877B2 (ja) 分散補償ファイバ
EP2362252B1 (en) Optical fiber and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same
EP1477831A1 (en) Super-large-effective-area (SLA) optical fiber and communication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AU769369B2 (en) Dispersion compensating fiber
US11280958B2 (en) Optical fiber, colored optical fiber,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AU1173299A (en) Dispersion-shifted optical fiber
EP1610160A1 (en) Chromatic dispersion compensating optical fibre
EP1391759A2 (en) Optical fiber
CN100498393C (zh) 光纤和传输系统以及波分复用传输系统
JP2004226964A (ja) 広帯域分散制御光ファイバ
US6754421B2 (en) Optical fiber and optical transmission line using the optical fiber
RU2356077C2 (ru) Оптическое волокно и система связи, и система мультиплексирования с разделением по длине волны
US6778748B2 (en) Optical fiber, dispersion compensator using the same,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CA2327128A1 (en) Optical fiber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EP0989420A1 (en) Wavelength-multiplexing optical transmission channel and optical fiber used therefor
US6795608B2 (en) Optical communication link
US7046889B2 (en) Dispersion-shifted fiber
KR102041275B1 (ko) 광통신 시스템
JP2007010727A (ja) 分散制御ファイバ及び光伝送路
Okuno et al. Negative dispersion-flattened fiber for full-spectrum signal transmission in metropolitan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