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용 토글래스(Toggle Less) 캐리어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용 토글래스(Toggle Less) 캐리어는, 캐리어본체(100)와, 제1 및 제2래치부재(210,220)와, 구동유닛(300)을 구비한다.
상기 캐리어본체(100)는 테스트할 반도체 패키지가 수용될 관통부(101)를 그 중앙부분에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관통부(101)가 2개가 마련된 듀얼 캐리어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자 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관통부(101)는 대략 4각 틀 형태로 캐리어본체(100)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캐리어본체(100)의 하부에는 관통부(101)를 통해 이동된 반도체 패키지가 안착되는 포켓부재(110)가 결합핀(120)에 의해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포켓부재(110)의 중앙부분에는 상하로 관통된 포켓부(111)가 형성되며, 포켓부(111)의 내측면에는 반도체 패키지가 안착되는 안착리브(112)가 형성된다. 상기 포켓부재(110)는 결합핀(120)이 관통형성되는 장공(113)이 형성된 돌출리브(114)를 가진다. 상기 돌출리브(114)가 캐리어본체(100)의 하측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도록 포켓부재(11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결합핀(120)을 캐리어본체(100)의 측면의 핀홀(103)에 끼워 넣음으로써, 포켓부재(110)를 캐리어본체(100의 하부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캐리어본체(100)에는 캐리어본체(100)의 상면(104)으로부터 인입되고, 관통부(101)와도 연결되도록 제1 및 제2토글수용홈(105,106)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토글수용홈(105,106)은 관통부(101)를 사이에 두고 좌우(x축) 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되며, y축 방향으로는 관통부(101)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관통부(101)의 x축 방향으로 마주하는 제1내벽들(101a)에는 한 쌍의 축공(107)이 인입형성된다. 상기 축공(107)은 한 쌍이 토글수용홈(105,106)을 사이에 두고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래치부재(210,220)는 관통부(101) 내부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관통부(101)를 통해 포켓부재(110)에 안착된 반도체 패키지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도 3,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래치부재(210,220) 각각은 한 쌍의 회동축(211,221)과, 회동축들(211,221) 각각에서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들(212,222)과, 연장부들(212)(222)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부(213,223)와, 간섭부(214,224) 및 접촉부(215,225)를 구비한다.
상기 회동축(211,221)은 상기 관통부(101)의 제1내벽(101a)에 형성된 축공(107)에 삽입되며, 제1 및 제2래치부재(210,220)의 회동 중심이 된다.
상기 연장부(212,222)는 회동축(211,221)의 회동중심을 기준으로 직교하는 방향 즉, y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내벽(101a)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장부(212,222)의 끝단은 연결부(213,22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상기 간섭부(214,224)는 연결부(213,223)의 중앙부분에서 연결부(213,223)와 직교하며, 상기 관통부(101)의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간섭부(214,224)는 래치부재들(210,220)의 회동위치에 따라서 관통부(101)의 제2내벽들(101b)로부터 이격되어 돌출되는 위치(도 6b의 상태)와, 제2내벽(101b)에 밀착되는 위치(도 6c의 상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됨으로써, 테스트할 반도체 패키지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접촉부(215,225)는 회동축(211,221)과 나란하게 서로 이웃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접촉부(215,225)는 후술할 제1 및 제2토글부재(310,320)에 간섭되도록 x축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접촉부(215,225)는 연장부(212,222)의 자유단부에서 제1내벽(101a)쪽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래치부재(210,220)는 x축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지며,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유닛(300)은 제1 및 제2래치부재(210,220) 각각의 양단부 각각을 동시에 간섭하여 제1 및 제2래치부재(210,220)를 편부하 없이 동시에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2, 도 6a, 도 6b 및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유닛(300)은 제1 및 제2토글부재(310,320)와, 누름부재(330)와, 압축스프링(340) 및 제1 및 제2탄성부재(350,360)를 구비한다.
상기 제1토글부재(310)는 캐리어본체(100)의 제1토글수용홈(105)에 승강 가능하게 수용되며, 하강시 상기 제1 및 제2래치부재(210,220)의 일단을 간섭하여 회동시킨다. 상기 제2토글부재(320)는 x축 방향으로 관통부(101)를 사이에 두고 제1토글부재(310)와 대칭되게 마련되며, 제2토글수용홈(106)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제2토글부재(320)도 하강시 제1 및 제2래치부재(210,220)의 타단을 간섭하여 회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토글부재(310,320)는 제1 및 제2래치부재(210,220)의 네 접촉부들(215,225)를 동시에 간섭하도록 설치된다. 도 2 및 도 6a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좌측의 누름부재(330)는 눌린 상태로 도시하였고, 우측의 누름부재(330)는 눌려지지 않은 상태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동시에 승강되는 것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토글부재(310,320)는 중앙부분에서 y축 방향으로 나란하게 양측으로 분기되어 상기 접촉부들(215,225)을 동시에 접촉하여 하강시키기 위한 한 쌍의 제1접촉부(311,321)를 가진다.
또한, 제1 및 제2토글부재(310,320)는 상승시 제1 및 제2래치부재들(210,220)의 접촉부들(215,225)을 동시에 접촉하여 상승시키기 위한 한 쌍의 제2접촉부(312,32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촉부들(312,322)은 제1접촉부들(311,321)의 하부(z축 방향으로)에 위치되며 서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접촉부들(311,321)(312,322) 사이에는 상기 접촉부들(215,225)이 끼워지는 홈(313,323)이 형성됨으로써, 제1 및 제2래치부재들(210,220)은 제1 및 제2토글부재(310,320)와 연동되어 함께 동작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토글부재(310,320)는 그 하부면으로부터 소정깊이로 스프링수용홈(316,326)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수용홈(316,326)에는 제1 및 제2탄성부재(350)(36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 및 제2탄성부재(350)(360)는 스프링수용홈(315,325)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토글수용홈(105,106)의 바닥에 지지됨으로써, 제1 및 제2토글부재(310,3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상기 누름부재(330)는 캐리어본체(100)의 상부를 덮도록 설치되며, 상기 압축스프링(34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압축스프링(340)은 한 쌍이 누름부재(330)의 대각선상의 양측을 각각 지지하도록 캐리어본체(100)와 누름부재(330)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누름부재(330)가 하강되면, 상기 제1 및 제2토글부재(310,320)가 누름부재(330)에 눌려서 하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누름부재(33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압축스프링(3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승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는, 캐리어본체(100)의 관통부(101)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양단 각각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및 제2래치부재(210,220)의 양단 각각을 동시에 간섭하여 회동시키도록 제1 및 제2토글부재(310,320)가 관통부(101)를 사이에 두고 대칭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제1 및 제2래치부재(210,220) 각각의 단부들을 동시에 간섭하여 회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래치부재들(210,220)에 편부하가 발생되지 않고 안정되게 회동될 수 있게 된다. 래치부재들(210,220)이 안정된 자세로 회동됨으로써, 편부하로 인한 오동작이나 동작불능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토글부재(310,320)가 제1 및 제2탄성부재(350,36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되, 상기 탄성부재(350,360)는 압축스프링으로 구성됨으로 인하여 토글부재들(310,320)에는 편심이나 토션력이 작용하지 않고, 상하 방향으로 안정되게 승강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토글부재(310,320)의 승강시 제1 및 제2래치부재(210,220)의 단부들과 동일한 힘으로 접촉될 수 있게 된다.
즉, 도 6a,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글부재(310)가 제1 및 제2래치부재(210,220) 사이의 중심에 위치된 상태로, 승강시 래치부재들(210,220)을 동시에 접촉하여 연동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래치부재들(210,220)의 안정된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패키지용 캐리어는, 제1 및 제2래치부재(210,22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탄성부재로서 제1 및 제2토션스프링(450,460)을 포함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제1 및 제2탄성부재(450,460)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관통부(101)의 제1내벽(101a) 쪽에 마련되어 제1 및 제2래치부재(210,220)의 일단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부재들(210,220)은 토글부재들(310,320)에 눌려서 회동되면서 제1 및 제2토션스프링들(450,460) 각각이 도 8b와 같이 압축되고, 토글부재(310,320)에 누르는 힘이 해제시, 토션스프링들(450,460)의 토션복원력에 의해 토글부재들(310,320)과 래치부재들(210,220)이 도 8a와 같은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도, 한 쌍의 래치부재(210,220)가 제1 및 제1토글부재(310,320)에 의해 동시에 눌려서 동작됨으로써, 편부하에 의한 오동작이나 동작불능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