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249B1 -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 - Google Patents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249B1
KR100918249B1 KR1020080026407A KR20080026407A KR100918249B1 KR 100918249 B1 KR100918249 B1 KR 100918249B1 KR 1020080026407 A KR1020080026407 A KR 1020080026407A KR 20080026407 A KR20080026407 A KR 20080026407A KR 100918249 B1 KR100918249 B1 KR 100918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tadium
test
elastic memb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국
정명진
강기원
Original Assignee
오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국 filed Critical 오성국
Priority to KR1020080026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2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2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repeated or pulsating fo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05Repeated or cycl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는, 추를 낙하하여 경기장바닥의 충격특성을 측정하는 테스트유닛과, 테스트유닛을 경기장내의 측정위치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과, 테스트유닛 및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경기장바닥의 충격특성의 정확하게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경기장바닥, 충격특성

Description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 {APPARATUS FOR TESTING SPORTS FIELD SURFACE}
본 발명은 경기장바닥의 충격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테스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축구, 야구, 테니스 등을 포함한 실질적으로 모든 스포츠를 위한 인조경기장의 바닥은 합성수지 내지 인조잔디 등을 사용하여 시공하고 있는데, 안정성 등의 목적상 경기장바닥의 탄성이나 경도 등의 특성에 대한 기준이 각 스포츠별의 공인기관에 의하여 정해져 있고, 인조경기장의 시공 후에는 경기장바닥이 이러한 기준에 적합한 지에 대한 테스트가 수행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는 경기장바닥과 거의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10)와, 지지플레이트(10)의 둘레에 설치되어 지지플레이트(10)를 경기장바닥에 고정시키는 지지바(20)와, 지지플레이트(10)에 고정되어 경기장바닥과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바(30)와, 가이드바(30)에 안내되어 승하강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추(40)와, 가이드바(30)에 지지되는 핸들(50)과, 핸들(50)과 축(51)을 통하여 연결되어 추(40)를 탈착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홀더(60)와, 추(40)의 직하방에서 지지플레이트(10)에 고정되는 탄성부재(70) 와, 탄성부재(70)와 연결되고 경기장바닥에 접촉되도록 배치되어 추(40)의 충격력을 측정하는 로드셀(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성부재(70)는 대략 통형상의 가이드튜브(71)와, 가이드튜브(71)의 내부에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72) 및 하부플레이트(73)와, 상부플레이트(72)와 하부플레이트(73)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7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테스트장치에서는 경기장의 한 위치에서 홀더(60)에 추(40)를 부착시키고, 핸들(50)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홀더(60) 및 추(40)를 소정의 높이로 들어올린 후, 홀더(60)를 작동하여 추(40)를 낙하시킨다. 그리고, 낙하된 추(40)가 탄성부재(70)의 상부플레이트(72)에 충돌하면 그 충격력이 스프링(74)과 하부플레이트(73)를 통하여 로드셀(80)로 전달된다. 로드셀(80)에서는 전달된 충격력과 비례하는 전기적인 신호가 출력되며, 그 결과값으로부터 추(40)의 충격력을 감지한다. 아울러, 낙하된 후 스프링(74)에 의하여 반발하는 추(40)의 높이를 측정한다. 그리고, 경기장내의 각 위치에서 측정된 결과의 평균값을 구하는 방법으로 경기장바닥의 탄성이나 경도 등의 충격특성을 측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시험요원이 수레 등을 이용하여 테스트장치를 경기장의 각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경기장바닥의 충격특성을 측정하기 때문에 경기장의 전체를 측정하는 데에 장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테스트장치를 경기장의 미리 설정된 측정위치에 위치시키는 데에 그 정확도가 다소 저하되므로 시험방법 및 기준을 표준화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테스트장치는 추(40), 홀더(60) 및 이들을 지지하는 가이드바(30)와 지지플레이트(10) 등 비교적 무거운 부품으로 구성되는데, 이와 같이 중량이 큰 테스트장치를 인력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테스트장치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산업재해 등의 위험이 존재하며, 인건비 등에 소요되는 비용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경기장의 전체를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경기장바닥의 충격특성을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모터를 장착하여 구동바퀴를 구동하고 방향센서와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자동으로 제어함으로써, 경기장바닥의 충격특성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는, 추를 낙하하여 경기장바닥의 충격특성을 측정하는 테스트유닛과, 테스트유닛이 지지되고 테스트유닛을 경기장내의 미리 설정된 측정위치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과, 테스트유닛 및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유닛은, 테스트유닛이 지지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에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바퀴와, 구동바퀴에 연결되어 구동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지지부재의 현재의 위치 및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방향센서와, 지지부재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구동바퀴는 지지부재의 진행방향으로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제1구 동바퀴 및 제2구동바퀴로 구성되고, 구동모터는 제1구동바퀴 및 제2구동바퀴에 각각 연결되는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테스트장치의 원활한 방향전환에 바람직하다.
한편, 구동모터는 구동바퀴에 내장되는 휠인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의 테스트유닛은 추를 탈착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홀더와, 홀더를 승하강시키는 홀더이동장치와, 추의 직하방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추가 낙하하여 탄성부재에 충돌한 후 반발하는 과정에서 경기장바닥의 특성을 측정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감지장치는 탄성부재와 연결되고 경기장바닥과 접촉되어 낙하하는 추의 충격력을 측정하는 충격감지센서 또는 탄성부재에 충돌한 후 반발하여 상승하는 추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를 승하강시키는 탄성부재승하강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이 테스트장치의 원활한 이동 및 탄성부재의 파손 내지 손상을 방지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는 경기장바닥의 충격특성을 측정하는 테스트유닛을 지정된 경로를 따라 무인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산업재해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는 방향센서 및 거리센서를 이용하여 테스트장치의 이동방향 및 이동거리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측정위치에서 지속적인 시험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는, 경기장내의 미리 설정된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는 이동유닛(100)과, 이동유닛(100)에 탑재되어 경기장의 바닥의 충격특성을 측정하는 테스트유닛(200)과, 이동유닛(100) 및 테스트유닛(200)을 제어하는 제어유닛(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동유닛(100)은 테스트유닛(200)이 지지되는 지지부재(110)와, 지지부재(110)에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구동바퀴(121) 및 제2구동바퀴(122)와, 지지부재(110)의 제1구동바퀴(121) 및 제2구동바퀴(122)가 설치되는 측의 반대측에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바퀴(130)와, 제1구동바퀴(121) 및 제2구동바퀴(122)와 연결되어 제1구동바퀴(121) 및 제2구동바퀴(122)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40)와, 지지부재(110)에 구비되어 지지부재(110)의 현재의 위치 및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방향센서(150)와, 제1구동바퀴(121) 및 제2구동바퀴(122) 또는 구동모터(140)에 연결되어 지지부재(110)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160)와, 지지부재(110)에 구비되어 이동유닛(100), 테스트유닛(200) 및 제어유닛(30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구동바퀴(121) 및 제2구동바퀴(122)는 지지부재(110)에 이동유닛(100)의 진행방향으로의 전방측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구동모터(140)와 연결되어 구동모터(140)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된다. 종동바퀴(130)는 이동유닛(100)의 진행방향으로의 후방측에 구비되어, 지지부재(110)를 경기장바닥에 균형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이동유닛(100)의 진행방향으로의 전방측에 두 개의 구동바퀴(121)(122)를 구비하고, 후방측에는 하나의 종동바퀴(130)를 구비하는 것이 이동유닛(100)의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데에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3개 이상의 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모터(140)는 제1구동바퀴(121)에 연결되는 제1구동모터(141)와, 제2구동바퀴(122)에 연결되는 제2구동모터(14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140)는 제1구동바퀴(121) 및 제2구동바퀴(122)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이동유닛(100)의 진행방향의 조절에 바람직하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구동모터(140)가 하나로 구비되고, 구동모터(140)의 구동력을 제1구동바퀴(121) 및 제2구동바퀴(122)에 나누어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가 구비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구동모터(141)와 제2구동모터(142)는 각각 제1구동바퀴(121) 및 제2구동바퀴(122)에 내장되어 제1구동바퀴(121) 및 제2구동바퀴(122)를 직접적으로 구동하는 휠인모터의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모터(140)가 휠인모터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구동모터와 구동바퀴와의 사이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링크 등의 동력전달기구가 구비되는 경우에 비하여 구동모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제1구동바퀴(121)와 제2구동바퀴(122)와의 사이에 충분한 여유 공간을 마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방향센서(150)는 지지부재(110)의 상측에 설치되며, 방향센서(150)로는 테스트장치의 현재의 위치 및 이동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디지털컴퍼스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방향센서(150)로 GPS장치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거리센서(160)는 제1구동바퀴(121) 및 제2구동바퀴(122) 또는 제1구동모터(141) 및 제2구동모터(142)에 각각 연결되는 제1거리센서(161) 및 제2거리센서(162)로 구성되며, 제1거리센서(161) 및 제2거리센서(162)는 제1구동바퀴(121) 및 제2구동바퀴(122) 또는 제1구동모터(141) 및 제2구동모터(142)의 회전수를 감지하는 엔코더로 구성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70)는 일반적인 코드의 연결에 의하여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지지부재(110)의 상부에 고정되는 배터리로 구성되는 것이 이동유닛(100)의 자유로운 이동에 바람직하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유닛(200)은 지지부재(110)에 고정되어 경기장바닥과 거의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바(210)와, 가이드바(210)에 승하강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추(220)와, 추(220)를 탈착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홀더(230)와, 홀더(230)를 자동으로 승하강시키는 홀더이동장치(240)와, 추(220)의 직하방에서 지지부재(110)에 고정되는 탄성부재(250)와, 추(220)가 낙하하여 탄성부재(250)에 충돌하고 반발하는 과정에서 경기장바닥의 특성을 측정하는 감지장치(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추(220)는 가이드바(210)에 안내되어 승하강되며, 추(220)의 하측면에는 탄 성부재(250)에 직접 충돌하는 충돌편(221)이 구비된다.
홀더(230)는 전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이 추(220)의 탈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홀더(230)에 전원이 연결되면 자력이 발생되어 추(220)가 홀더(230)에 부착되며, 반대로 홀더(230)에 전원이 차단되면 추(220)가 홀더(230)로부터 이탈된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추(220)를 부착하거나 탈착하는 다양한 기구적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홀더이동장치(240)는 홀더(230)에 고정되고 외주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축(241)과,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축(241)이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고 가이드바(210)에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기어(242)와, 가이드바(210)에 지지되는 홀더승하강모터(243)와, 홀더승하강모터(243)의 회전축과 연결되고 제1기어(242)와 치합되는 제2기어(2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홀더승강모터(243)의 회전력이 제2기어(244)를 통하여 제1기어(242)로 전달되면, 제1기어(242)가 회전되면서 제1기어(242)에 삽입된 축(241) 및 축(241)이 결합된 홀더(230)가 승강하거나 하강하게 된다.
한편, 홀더이동장치(24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시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홀더(230)와 연결되는 로프와 이 로프를 통하여 홀더(230)를 승하강시키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구조 또는 홀더(230)를 복수의 링크를 이용하여 직접적으로 승하강시키는 구조 등 다양한 기구적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탄성부재(250)는 대략 통형상의 가이드튜브(251)와, 가이드튜브(251)의 내부에 슬라이드가 가능하게 배치되는 상부플레이트(252) 및 하부플레이트(253)와, 상 부플레이트(252)와 하부플레이트(253)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25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탄성부재(250)는 낙하되는 추(220)가 충돌하는 경우 추(220)를 다시 상승시키는 반발력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추(220)의 낙하되는 하중에 비례하여 반발력을 작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갖는 탄성체가 적용될 수 있다.
감지장치(290)는 탄성부재(250)와 연결되고 경기장바닥에 접촉되어 낙하되는 추(220)의 충격력을 측정하는 충격감지센서(291)와, 탄성부재(250)에 충돌한 후 반발하여 상승하는 추(220)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29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충격감지센서(291)는 추(220)의 낙하에 의한 충격력과 비례하는 전기적인 신호를 출력하는 로드셀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탄성부재(250)를 승하강시키는 탄성부재승하강장치(2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승하강장치(280)는 탄성부재(250)의 가이드튜브(251)의 외주면상에 구비되는 랙기어(281)와, 랙기어(281)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282)와, 지지부재(110)에 지지되어 피니언기어(282)를 회전시키는 탄성부재승하강모터(28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지지부재(110)에는 탄성부재(250)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탄성부재승하강모터(283)의 구동력에 의하여 피니언기어(282)가 회전되면 피 니언기어(282)와 치합되는 랙기어(281) 및 랙기어(281)가 고정된 가이드튜브(251)가 승하강되며, 이에 따라, 탄성부재(250)의 높이가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에 탄성부재승하강장치(280)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탄성부재(250)의 높이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이동유닛(100)의 이동 시 탄성부재(250)의 하단에 부착된 충격감지센서(291)가 경기장바닥과의 마찰에 의하여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탄성부재승하강장치(28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된 바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탄성부재(250)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기구적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유닛(300)은 입력부(301)에 입력된 테스트장치의 기준위치와 기준방위각에 관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이동유닛(100)을 제어하여 테스트장치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과 아울러 테스트장치가 설정된 측정위치에 도달한 경우에 테스트유닛(200)을 제어하여 경기장바닥의 충격특성을 측정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의 동작은 아래와 같다.
이하,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이동유닛(1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어유닛(300)은 입력부(301)에 미리 입력된 테스트장치의 기준위치 및 기준방위각과, 방향센서(150)와 거리센서(160)에서 감지된 테스트장치의 현재의 위치 및 방향을 기준으로 구동모터(140)를 제어하며, 이에 따라, 테스트장치가 경기장내의 소정의 측정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그리고, 제어유닛(300)은 입력부(301)에 미리 입력된 테스트장치의 측정위치와 방향센서(150)에서 감지된 현재의 위치를 비교하여, 테스트장치가 측정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테스트장치가 측정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구동모터(140)를 정지하고, 테스트유닛(200)을 제어하여 경기장바닥의 충격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테스트장치가 측정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유닛(300)은 테스트장치의 현재의 진행방향이 측정위치를 향하는지를 판단하고, 현재의 방향이 측정위치를 향하는 경우에는 제1구동모터(141)와 제2구동모터(142)를 동기식으로 제어하여 테스트장치를 측정위치에 도달되도록 한다.
또한, 테스트장치의 현재의 위치가 측정위치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로서, 테스트장치의 현재의 방향이 측정위치를 향하지 않는 경우에는, 먼저, 제어유닛(300)은 제1구동모터(141)와 제2구동모터(142)를 비동기식으로 제어하여 테스트장치가 측정위치를 향하도록 한 후, 제1구동모터(141)와 제2구동모터(142)를 동기식으로 제어하여 테스트장치를 측정위치에 도달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센서(150)에서 측정된 방향값이 기준방향에 대하여 양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 제2구동모터(142)의 회전속도를 제1구동모터(141)의 회전속도에 비하여 커지도록 제어하여 이동방향이 기준방향에 부합하도록 제어하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센서(150)에서 측정된 방향값이 기준방향에 대하여 음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 제1구동모터(141)의 회전속도를 제2구동모터(142)의 회전속도에 비하여 커지도록 제어하여 이동방향이 기준방향에 부합하도록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통하여 테스트장치가 경기장내의 측정위치에 도달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방향의 조절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테스트장치가 경기장내의 측정위치에 도달하면, 경기장바닥의 충격특성을 테스트하기 위한 단계가 수행되는데,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테스트유닛(2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테스트장치가 경기장내의 소정의 측정위치에 도달하면, 제어유닛(300)의 제어에 의하여, 탄성부재(250)가 탄성부재승하강장치(280)의 동작에 의하여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탄성부재(250)의 하측에 연결된 충격감지센서(291)가 경기장바닥에 접촉된다.
그리고, 홀더(230)에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홀더(230)에 전자력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던 추(220)가 가이드바(210)에 안내되어 낙하되며, 이에 따라, 추(220)의 충돌편(221)이 탄성부재(250)에 충돌된다.
그리고, 추(220)는 탄성부재(250)의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상측으로 반발하며, 이와 동시에, 추(220)의 낙하에 의한 충격력이 탄성부재(250)를 통하여 충격감지센서(291)로 전달되어 그 충격력이 측정된다. 이와 동시에, 반발하는 추(220)의 높이가 높이감지센서(292)에서 측정되며, 이와 같이, 충격감지센서(291) 및 높이감지센서(292)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제어유닛(300)으로 전달되어 기록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경기장의 하나의 측정위치에서 경기장바닥의 충격특성의 측정이 완료된 후에는, 홀더(230)가 홀더이동장치(240)에 의하여 하강하여 추(220)와 접촉되며, 홀더(230)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추(220)가 홀더(230)에 부착된다. 그리고, 홀더(230)가 홀더이동장치(240)에 의하여 승강하며, 이에 따라, 추(220)가 다음 테스트를 위한 소정의 높이로 승강된다.
그리고, 탄성부재(250)가 탄성부재승하강장치(280)의 동작에 의하여 승강하며, 이에 따라, 충격감지센서(291)가 경기장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승강한다.
그리고, 테스트장치가 이동유닛(100)의 동작에 의하여 경기장내의 다른 측정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제어유닛(300)은 경기장내의 모든 측정위치에서 경기장바닥의 충격특성의 측정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경기장내에 다른 측정위치에서의 측정을 요하는 경우에는 이동유닛(100)을 제어하여 테스트장치를 경기장내의 다른 측정위치로 이동시키며, 경기장내의 모든 측정위치에서의 측정을 완료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이동유닛(100)을 제어하여 테스트장치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고 경기장바닥의 충격특성을 측정하기 위한 동작을 종료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는, 테스트장치의 이동 및 경기장바닥의 충격특성의 측정이 전자동으로 수행되므로, 테스트장치를 경기장내의 소정의 측정위치로 위치시키는 과정 및 경기장바닥의 충격특성을 측정하는 과정을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는 전자동으로 경기장바닥의 충격특성을 측정하므로, 테스트를 위한 별도의 인력이 요구되지 않아 산업재해 등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고,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 응용이 가능하며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와 도면은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목적은 아니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만이 아니라 청구범위와 균등한 범위를 포함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가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테스트장치의 이동유닛이 제어유닛과 연결되는 상태가 도시된 블럭도이다.
도 4는 도 2의 테스트장치의 제1구동바퀴, 제2구동바퀴 및 구동모터가 분리되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테스트장치의 테스트유닛이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테스트장치의 탄성부재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테스트장치의 테스트유닛이 제어유닛과 연결되는 상태가 도시된 블럭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의 이동유닛의 동작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의 방향조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의 테스트유닛의 동작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이동유닛 121, 122: 구동바퀴
130: 종동바퀴 140: 구동모터
150: 방향센서 160: 거리센서
200: 테스트유닛 220: 추
230: 홀더 240: 홀더이동장치
250: 탄성부재 280: 탄성부재승하강장치
290: 감지장치 300: 제어유닛

Claims (7)

  1. 추를 낙하하여 경기장바닥의 충격특성을 측정하는 테스트유닛;
    상기 테스트유닛을 경기장내의 측정위치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테스트유닛이 지지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바퀴와, 상기 구동바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바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지지부재의 현재의 위치 및 이동방향을 감지하는 방향센서와, 상기 지지부재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거리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바퀴는 상기 지지부재의 진행방향으로의 전방측에 구비되는 제1구동바퀴 및 제2구동바퀴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제1구동바퀴 및 상기 제2구동바퀴에 각각 연결되는 제1구동모터 및 제2구동모터로 구성되는 이동유닛; 및
    상기 테스트유닛 및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구동바퀴에 내장되는 휠인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유닛은,
    상기 추를 탈착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홀더;
    상기 홀더를 승하강시키는 홀더이동장치;
    상기 추의 직하방에 구비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추가 낙하하여 상기 탄성부재에 충돌한 후 반발하는 과정에서 경기장바닥의 특성을 측정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고 경기장바닥과 접촉되어 낙하하는 상기 추의 충격력을 측정하는 충격감지센서 또는 상기 탄성부재에 충돌한 후 반발하여 상승하는 상기 추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를 승하강시키는 탄성부재승하강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
  6. 추를 낙하하여 경기장바닥의 충격특성을 측정하도록, 상기 추를 탈착이 가능하게 고정하는 홀더와, 상기 홀더를 승하강시키는 홀더이동장치와, 상기 추의 직하방에 구비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추가 낙하하여 상기 탄성부재에 충돌한 후 반발하는 과정에서 경기장바닥의 특성을 측정하는 감지장치를 포함하는 테스트유닛;
    상기 테스트유닛을 경기장내의 측정위치로 자동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유닛;
    상기 테스트유닛 및 상기 이동유닛을 제어하는 제어유닛; 및
    상기 탄성부재를 승하강시키는 탄성부재승하강장치를 포함하는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장치는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고 경기장바닥과 접촉되어 낙하하는 상기 추의 충격력을 측정하는 충격감지센서 또는 상기 탄성부재에 충돌한 후 반발하여 상승하는 상기 추의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
KR1020080026407A 2008-03-21 2008-03-21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 KR100918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407A KR100918249B1 (ko) 2008-03-21 2008-03-21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407A KR100918249B1 (ko) 2008-03-21 2008-03-21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8249B1 true KR100918249B1 (ko) 2009-09-21

Family

ID=41355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407A KR100918249B1 (ko) 2008-03-21 2008-03-21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824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066A (ja) * 1994-07-13 1996-01-30 Tamagawa Seiki Co Ltd 外壁診断方法及び装置
KR200430010Y1 (ko) * 2006-05-23 2006-11-02 민병덕 경기장 바닥 충격 측정용 디지털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066A (ja) * 1994-07-13 1996-01-30 Tamagawa Seiki Co Ltd 外壁診断方法及び装置
KR200430010Y1 (ko) * 2006-05-23 2006-11-02 민병덕 경기장 바닥 충격 측정용 디지털 시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706451B (zh) 一种锤击电梯门强度测试仪
RU2656412C2 (ru) Дефлектометр с падающим грузом
CN110405725A (zh) 一种用于立式金属罐容量检定的爬壁机器人
KR200468360Y1 (ko) 태양광 판 충격시험장치
CN203561488U (zh) 重力冲击测试仪
CN104888440A (zh) 高尔夫自动练球系统
CN107376283A (zh) 一种张力篮球投篮技能形成器
CN103149102B (zh) 轮椅车冲击强度测试装置
KR100918249B1 (ko) 경기장바닥의 테스트장치
CN117740296A (zh) 一种边坡落石抗冲击试验设备
CN203083799U (zh) 落球冲击试验装置
KR101631745B1 (ko)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
KR100623159B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KR200414507Y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CN207636074U (zh) 一种自防护全站仪
CN214276951U (zh) 一种用于建筑工程质量检测的垂直度检测装置
CN205506583U (zh) 塑胶材料性能测试仪
CN210863416U (zh) 塑胶跑道冲击吸收与垂直变形检测装置
CN108147138A (zh) 轮胎码垛定位辅助装置
KR102266849B1 (ko) 로봇-인간 동적 충돌 안정성 평가 시험장치
CN211955073U (zh) 塑胶跑道弹性检测装置
CN211926730U (zh) 一种用于检测塑胶跑道的垂直变形检测仪
KR100917390B1 (ko)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
CN211368314U (zh) 一种道路测绘工程用路面检测装置
CN210604962U (zh) 雷达天线智能移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