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390B1 -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390B1
KR100917390B1 KR1020070141782A KR20070141782A KR100917390B1 KR 100917390 B1 KR100917390 B1 KR 100917390B1 KR 1020070141782 A KR1020070141782 A KR 1020070141782A KR 20070141782 A KR20070141782 A KR 20070141782A KR 100917390 B1 KR100917390 B1 KR 100917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er
artificial turf
impact performance
motor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1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3748A (ko
Inventor
오성국
Original Assignee
오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국 filed Critical 오성국
Priority to KR1020070141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390B1/ko
Publication of KR20090073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40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 G01N3/52Investigating hardness or rebound hardness by measuring extent of rebound of a striking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1000)는 세 개의 다리부(110)(140)(140')를 가지며 각각의 다리부(110)(140)(140')는 휠(118)(148)(148')을 가진다. 상기 다리부(110)(140)(140')의 상면에는 측정부(200)와 연산제어부(400)가 설치된다.
Figure R1020070141782
인조잔디구장, 무인측정

Description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Unmanned measuring apparatus for impact performance of artificial turf ground}
본 발명은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인조잔디구장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하중 감쇄율, 에너지흡수율 및 수직변형량의 충격성능을 자동으로 측정하고 이를 저장,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조잔디구장은 잔디를 대용하여 합성섬유 등을 사용하여 인공적으로 잔디를 조경한 구장을 말하는데, 이러한 인조잔디구장과 관련되어 그 충격성능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즉 인조잔디구장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미치는 충격을 가상하여, 그 충격을 측정하여 인조잔디구장을 평가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충격의 측정은 측정자를 배제하고 완전자동으로 이루어지며, 그 측정된 결과를 자동으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할 것인데, 본 발명은 이러한 요청을 만족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을 측정자를 배제하고 완전자동으로 측정하고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모터와 연결된 휠이 장착된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는 측정부로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되는 정역회전모터와, 상기 정역회전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웨이트부재와, 상기 웨이트부재를 잡아주거나 놓아주는 것으로서 상기 리프터의 하단에 연결된 클리핑부재와, 상기 웨이트부재의 하단에 설치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웨이트부재에 설치된 가속도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측정부와; 상기 바닥부재의 상면에 설치되는 제어부로서, 상기 측정부의 모터 및 클리핑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리프터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클리핑부재의 클리핑을 풀어 상기 웨이트부재를 낙하하도록 하며, 낙하 후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리프터를 하강시켜 상기 클리핑부재가 상기 웨이트부재를 클리핑하도록 하며 이후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리프터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프터제어수단과, 상기 낙하된 웨이트부재의 가속도계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연산하여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을 측정하는 충격성능측정수단과, 상기 리프터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리프터가 초기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휠과 연결된 모터를 제어하여 인조잔디구장의 측정위치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는 위치센서와 상기 휠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이동거리감지센서를 더욱 가져, 상기 제어부의 이동제어수단은 상기 위치센서 및 이동거리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값에 따라 미리 결정된 위치경로를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측정부는 상기 리프터의 상하한계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센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리프터제어수단은 상기 모터의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면 한계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클리핑부재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리프터는 그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정역회전모터와 스크류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제어부의 충격성능측정수단은 상기 가속도계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연산하여 가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적분하여 속도 및 변위를 연산하며 이들로부터 인조잔디구장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하중 감쇄율, 에너지흡수율 및 수직변형량의 충격성능을 연산하여 측정한다.
본 발명은 측정자를 배제하고 완전자동으로 정확하게 하중 감쇄율, 에너지흡수율 및 수직변형량의 충격성능을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를 제공한다.
특별히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인조잔디구장의 사용자를 가상하는 스프링부재와 연결된 웨이트부재를 제공하고 이의 낙하로부터 가속도를 측정하여 충격성능을 측정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그 이동성이 부여되며 사용자의 지면에 대한 충격을 가상하여 그 충격성능을 측정하는 특징을 가진다.
나아가서,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웨이트부재의 낙하 후 가속도의 변화의 피크치의 시작과 끝점을 잡아 정확한 충격성능의 측정이 가능해진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1000)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의 (a)는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1000)의 평면을 보이는 것으로서 삼 방향으로 뻗은 3개의 다리부(110)(140)(140')가 제공된다. 각각의 다리부(110)(140)(140')에는 휠(118)(148)(148')이 설치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1000)는 이동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뒤편의 다리부(140)(140')의 휠(148)(148')에는 모터(미도시)가 설치되며 또한 그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엔코더 또는 홀센서와 같은 센서가 설치된다. 이들 다리부(110)(140)(140')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바닥부재를 형성하며, 이러한 바닥부재에 휠(148)(148')이 설치되고 이들 휠(148)(148')에 모터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뒤편의 다리부(140)(140')를 거쳐서 마운트부(401)가 설치되고 그 상부에 연산제어부(4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측정부(200)가 제공되어 인조잔디구장(900)에 대하여 웨이트(250)를 낙하하여 인조잔디구장과 충돌시의 가속도를 측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정부(200)는 상기 삼방향의 다리부(110)(140)(140')가 모이는 부분에 설치되고 있으며 상기 측정부(200)의 상면에 위치센서(80)가 설치되고 있다. 후술하듯 상기 위치센서(80)는 상기 연산제어부(400)로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구장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1000)의 위치를 감지하여 알려줘 위치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1000)의 정면을 보이는 것으로서, 특별히, 상기 측정부(200)의 구성을 보인다.
상기 측정부(200)는 수직방향으로 뻗어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210)이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210)의 상부에는 수평부재(203)가 제공되고 여기에 정역회전모터(208)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10)의 상기 수평부재(203)의 하부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10)을 따라 상하로 이송가능한 이동수평부재(205)가 설치되고 여기에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리프터(lifter)(218)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208)의 축과 상기 리프터(218)는 연결스크류(2081)을 통하여 연결된다. 즉 상기 모터(208)의 축과 연결된 연결스크류(2081)가 상기 리프터(218)의 내부의 암나사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208)의 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리프터(218)는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수평부재(205)에는 컨트롤 박스(204)가 설치되어 상기 리프터(218)의 상하방향이동을 위한 제어인터페이스장치들이 내장된다.
상기 리프터(218)의 하단에는 웨이트부재(250)를 잡아주며 또한 놓아주는 클리핑(clipping) 부재로서 전자석(220)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클리핑 부재는 반드시 전자석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웨이트부재(250)를, 후술하듯, 리프터(218)의 초기위치에서 잡고 있다 놓아주어 낙하가 가능하게 하며, 상기 웨이트부재(250)의 낙하후 상기 리프터(218)가 하강하면, 다시 상기 웨이트부재(250)를 잡아 리프터(218)와 함께 그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면 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10)의 하측에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송되는 웨이트부재(250)가 설치되며, 이때, 상기 웨이트부재(250)를 관통하여 연결부재(255)가 설치되는데, 상기 연결부재(255)의 상부에는 상기 전자석(220)에 자기력이 형성되면 이와 부착되는 부착부재(253)가 설치되고, 그 하부에는 탄성스프링(259)이 설치되어있다.
상기 탄성스프링(259)은 상기 인조잔디구장(900)에 미치는 사용자를 간략화하여 모델링한 것이다. 즉 사용자가 인조잔디구장에 충격을 가할 때 사용자는 탄성을 가지는 존재로서 이를 탄성스프링으로서 가상하여 대체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측정부(200)는 단순히 웨이트(250)의 인조잔디구장지면에 대한 충격시의 충격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에게 미치는 충격을 가상하여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연결부재(255)에는 가속도계(258)가 설치된다.
특별히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상기 리프터(218)의 상하한계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리미트 센서(limit sensor)(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다른 경우, 후술하는 것과 같이, 상하한계위치에서 전압 또는 전류의 증가를 상하한계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리프터(218)의 상방한계위치는 초기 리프터의 위치를 말하며, 하방한계위치는 웨이트부재(250)가 낙하한후 낙하된 웨이트부재(250)를 클리핑하기 위하여 상기 리프터(218)가 하강한 최저위치를 말한다.
도 1의 (c)는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1000)의 배면을 보이는 것으로서, 상기 마운트부(401)의 상면에 각각 입출력단자가 설치된 제어판넬(410)(430)(440)이 설치된 것이 보이며 이들 제어판넬은 모니터를 가지는 컴퓨터(480)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컴퓨터(480)는 상기 제어판넬(410)(430)(440)과 연결된 요소들로부터 값을 읽고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판넬(410) 상기 위치센서(80) 및 상기 휠(148)(148')의 모터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컴퓨터(480)는 상기 위치센서(80)의 감지에 따라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휠(148)(148')의 모터를 제어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구장의 무인측정장치(1000)가 정해진 위치로 이송하도록 한다.
상기 위치센서(80)는 디지털 컴퍼스(digital compass) 또는 지자계센서와 같은 것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480)는 상기 휠(148)(148')의 모터의 회전수를 각각 조정하여 조향이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480)에는, 도 5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인조잔디구장(900)에서 미리 결정된 측정지점의 위치(M1, M2,... Mi... Mn)를 따라 상기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1000)가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휠(148)(148')과 연결된 모터를 제어하도록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즉 측정지점의 위치를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하여, 상기 측정위치간의 거리 및 방향에 따라 지점과 지점사이에서 이동거리 및 방향이 프로그램되어 내장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판넬(430)은 상기 측정부(200)의 모터(208)와 전자석(220)과 연결되어, 상기 컴퓨터(480)는 이들을 제어하여 초기 상기 전자석(220)에 부착된 웨이트부재(250)의 부착을 끊어 상기 웨이트부재(250)가 낙하할 수 있도록 하며, 이후 상기 리프트(218)가 하방으로 이송하여 상기 웨이트부재(250)를 클리핑(clipping)한 후 원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리미트센서가 설치되는 경우, 이들과 연결되어, 상기 리프터(218)가 상하한계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경우, 상기 컴퓨터(480)는 상기 모터(208)의 전류값이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 상하한계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상기 리프터(218)가 하방으로 낙하한 상기 웨이트부재(250)를 클리핑하기 위하여 하방이송하여 상기 웨이트부재(250)의 부착부재(253)와 접하는 경우 더 이상의 모터의 회전은 전류의 증가를 일으키며, 이러한 경우 하방한계위치에 도달하여 클리핑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상방한계위치에 도달한 것은 상기 연결스크류(2081)의 나사산의 끝단까지 상기 리프터(218)가 도달한 후 더 이상의 모터(208)의 회전은 전류의 증가를 일으키고. 이러한 경우 상방한계위치에 도달하여 원위치로 복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판넬(440)은 상기 측정부(200)의 웨이트(250)에 설치된 가속도계(258)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컴퓨터(480)는 상기 가속도계(258)로부터 측정된 신호에 따라 낙하 후 인조잔디구장(900)과 충돌한 웨이트의 가속도의 변화량을 연산하고 이 값을 기초로 인조잔디구장(900)의 하중 감쇄율, 에너지흡수율 및 수직변형량의 충격성능을 연산한다.
상기 컴퓨터(480)는 이렇게 연산된 인조잔디구장(900)의 충격성능을 각각의 지점에 따라 저장하고 이를 베이스 스테이션(600)으로 송신하여 취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컴퓨터(480)는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부를 가진다.
상기 제어판넬(410)(430)(440)은 개별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컴퓨터(480)에 대응하여 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부를 가지는 제어부로서 상기 연산제어부(40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마운트부(401)의 상면에는 또한 배터리(미도시)가 장착되어 상기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10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1000)의 컴퓨터(480)의 제어동작을 보이는 순서도이다.
먼저 상기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1000)는 인조잔디구장의 초 기측정위치(도 5의 M1)에 있으며 이때 상기 리프터(218)는 상방한계위치로서 초기위치에 머물고 있다. 이때 상기 전자석(220)은 상기 웨이트부재(250)의 부착부재(253)와 부착되어 클리핑되어 있다. 이 상태를 도 3의 (a)가 보인다.
이러한 초기상태에서, 상기 컴퓨터(480)는 상기 전자석(220)을 제어하여 그 자기력을 제거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리프터(218)가 상기 웨이트부재(250)에 대한 클리핑이 오프(OFF)되고, 상기 웨이트부재(250)은 하방으로 낙하를 한다. (단계 S201)
상기 웨이트부재(250)가 낙하하여 인조잔디구장(900)과 충돌한 경우를 도 3의 (b)가 보인다.
이렇게 상기 웨이트부재(250)가 낙하하여 인조잔디구장(900)과 충돌을 이루면 그 가속도를 상기 가속도계(258)는 감지하여 상기 제어판넬(240)을 통하여 상기 컴퓨터(480)로 전송한다. 그러면 상기 컴퓨터(480)는 이를 인식하여 가속도의 변화량을 측정하고 이로부터 충격특성을 연산하고, 이를 저장하며, 또한 이를 외부의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송신한다. (단계 S202)
도 4는 상기 컴퓨터(480)가 상기 가속도계(258)로부터 감지한 가속도로부터 충격성능을 연산하는 과정을 보인다.
상기 컴퓨터(480)는 측정된 신호를 증폭하여 가속도를 측정하고, 이후, 가속도의 변화량을 적분하여 속도를 연산하게 된다. 다음, 속도를 적분하여 그 변위를 연산하게 된다.
이 경우 가속도의 변화량은 바로 힘의 변화량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로부터 하중감쇄율(Force Reduction)을 연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속도의 변화량은 웨이트부재(250)의 운동에너지의 변화량을 동반하는 것으로서 이로부터 에너지흡수율(Energy Restitution)을 연산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서, 변위는 바로 인조잔디구장(900)의 수직변형량(Vertical Deformation)을 의미하게 되는 것이다.
특별히 가속도의 변화에서 피크치의 변화가 있는 t1과 t2구간이 각각 충돌의 시작과 끝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이에 상응한 값으로서 전술한 하중 감쇄율, 에너지흡수율 및 수직변형량을 측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컴퓨터(480)는 상기 웨이트부재(250)의 낙하후 충돌로부터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을 측정하고 이를 저장하며 또한 그 무선송신부를 통하여 외부의 베이스 스테이션(600)으로 송신한다.
다음, 상기 컴퓨터(480)는 상기 모터(208)를 제어하여 상기 리프터(218)를 하강하도록 한다. (단계 S203)
다음, 상기 컴퓨터(480)는 상기 리프터(218)가 최하방위치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204)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최하방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센서를 통하여 최하방위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다른 경우, 상기 리프터(218)의 전자석(220)이 상기 웨이트부재(250)의 부착부재(253)에 접하여 모터(208)의 전류가 증가하는 경우 최하방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최하방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컴퓨터(480)는 상기 전자 석(220)을 제어하여 상기 웨이트부재(250)를 클리핑하도록 한다. (단계 S205) 이러한 상태가 도 3의 (c)에서 보인다.
다음, 상기 컴퓨터(480)는 상기 모터(208)를 제어하여 상기 리프터(218)를 상부로 승강시킨다. (단계 S206)
다음, 상기 컴퓨터(480)는 상기 리프터(218)가 초기위치로 복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207)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최상방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센서를 통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다른 경우, 상기 연결스크류(2081)의 나사산의 끝단까지 상기 리프터(218)가 도달한 후 더 이상의 모터(208)의 회전은 전류의 증가를 일으키고. 이러한 경우 상방한계위치에 도달하여 원위치로 복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초기 위치로 복구된 상태가 도 3의 (d)에서 보인다.
이렇게 초기위치로 복귀한 것이 판단되면, 상기 컴퓨터(480)는 상기 휠(148)(148')에 연결된 모터를 제어하여 프로그램 된 이동경로에 따라 다음 측정지점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1000)를 이동시킨다. (단계 S208)
이와 같은 방식으로 초기측정지점 M1으로부터 마지막 측정지점인 Mn까지 측정을 이루면 전체 인조잔디구장(900)의 측정을 완료한 것이 되며,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1000)는 임무를 완료하고 작동은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을 측정자가 전혀 개 입하지 않고 무인으로 자동으로 인조잔디구장의 전지역을 이동하며 측정하게 된다.
특별히 본 발명에 따를 경우, 인조잔디구장의 사용자를 가상하는 스프링부재와 연결된 웨이트부재를 제공하고 이의 낙하로부터 가속도를 측정하여 충격성능을 측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인조잔디구장(900)의 지면에 센서를 설치하여 이로부터 값을 얻지 않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1000)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성을 부여하게 된다.
또한 단순히 웨이트의 낙하충격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웨이트에 부착된 스프링이 인조잔디구장의 지면과 충돌 할 때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이것은 사용자의 지면에 대한 충격을 가상하여 그 충격성능을 측정하는 것이다.
나아가서, 본 발명은 웨이트부재의 낙하 후 가속도의 변화량으로 하중 감쇄율, 에너지흡수율 및 수직변형량의 충격성능을 측정하는 것인데, 이 경우, 가속도의 피크치의 시작과 끝점을 잡아 정확한 충격성능의 측정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게 된다.
이로서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그 권리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의 컴퓨터의 제어를 보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의 측정부의 작동을 보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의 컴퓨터의 충격성능 연산방식을 보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가 인조잔디구장에 측정위치를 따라 측정을 행하는 것을 보이는 도면.

Claims (7)

  1. (a) 모터와 연결된 휠이 장착된 바닥부재와;
    (b) 상기 바닥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에 설치되는 정역회전모터와, 상기 정역회전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리프터와, 상기 리프터의 하측에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그 하단에는 스프링부재가 결합된 웨이트부재와, 상기 웨이트부재를 잡아주거나 놓아주는 것으로서 상기 리프터의 하단에 설치된 클리핑부재와, 그리고 상기 웨이트부재에 설치된 가속도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측정부와; 이때 상기 웨이트부재가 낙하하면 그 하단에 결합된 스프링부재가 인조잔디구장과 충돌을 이루며;
    (c) 상기 측정부의 모터 및 클리핑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리프터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클리핑부재의 클리핑을 풀어 상기 웨이트부재를 낙하하도록 하며 상기 웨이트부재의 낙하 후 상기 정역회전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리프터를 하강시켜 상기 클리핑부재가 상기 웨이트부재를 클리핑하도록 하며 이후 상기 정역회전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리프터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프터제어수단과, 상기 낙하된 웨이트부재의 가속도계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연산하여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을 측정하는 충격성능측정수단과, 상기 리프터제어수단에 의하여 상기 리프터가 초기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휠과 연결된 모터를 제어하여 인조잔디구장의 측정위치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는 위치센서와 상기 휠의 이동거리를 감지하는 이동거리감지센서를 더욱 가져, 상기 제어부의 이동제어수단은 상기 위치센서 및 이동거리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값에 따라 미리 결정된 위치경로를 따라 상기 모터를 제어하여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리프터의 상하한계위치를 감지하는 리미트센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제어수단은 상기 모터의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면 한계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핑부재는 전자석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
  6. 제5에 있어서,
    상기 리프터는 그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정역회전모터와 스크류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충격성능측정수단은 상기 가속도계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연산하여 가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적분하여 속도 및 변위를 연산하며 이들로부터 인조잔디구장에 가해지는 충격에 대하여 하중 감쇄율, 에너지흡수율 및 수직변형량의 충격성능을 연산하여 측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
KR1020070141782A 2007-12-31 2007-12-31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 KR100917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782A KR100917390B1 (ko) 2007-12-31 2007-12-31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1782A KR100917390B1 (ko) 2007-12-31 2007-12-31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748A KR20090073748A (ko) 2009-07-03
KR100917390B1 true KR100917390B1 (ko) 2009-09-17

Family

ID=41330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1782A KR100917390B1 (ko) 2007-12-31 2007-12-31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3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127A (ko) 2022-03-23 2023-10-05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충격 흡수성 측정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224A (ko) * 2001-05-18 2002-11-27 김기봉 탄성파 탐사기법을 이용한 터널 콘크리트 라이닝 국부정밀안전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30010Y1 (ko) * 2006-05-23 2006-11-02 민병덕 경기장 바닥 충격 측정용 디지털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224A (ko) * 2001-05-18 2002-11-27 김기봉 탄성파 탐사기법을 이용한 터널 콘크리트 라이닝 국부정밀안전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30010Y1 (ko) * 2006-05-23 2006-11-02 민병덕 경기장 바닥 충격 측정용 디지털 시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8127A (ko) 2022-03-23 2023-10-05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충격 흡수성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748A (ko) 200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960B1 (ko) 잠수헬멧 충격시험기
US7795547B2 (en) Method of weight determination of a load carried by a lifter of a lifting device and weighing device
CN110786971B (zh) 假体部件或外骨骼部件以及操作它们的方法
US10859998B2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nomous activation of an optical forklift alignment apparatus using sensors
CN106840353B (zh) 一种电子台秤及其称重方法
CN107491702A (zh) 一种基于智能终端的防摔方法及防摔系统
JP6473913B2 (ja) 自動簡易動的コーン貫入試験機
CN105193197B (zh) 一种检测饮水量的智能水杯
WO2009130528A1 (en) Lift truck
KR100917390B1 (ko)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무인측정장치
CN106137057A (zh) 清洁机器人及机器人防碰撞方法
CN205748359U (zh) 一种土壤深松断面快速测取装置
WO2017186247A1 (en) Method of weight determination of a load carried by a lifter of a lifting device and weighing device
CN104215229A (zh) Rtk设备调节方法、系统及rtk测量方法
CN105841752A (zh) 一种精确测量过水断面流量的多功能测量装置及其方法
CN103630458A (zh) 一种回弹值标准装置
CN108652532B (zh) 智能清洁设备
KR200445998Y1 (ko) 인조잔디구장의 충격성능 측정 장치
CN106441055B (zh) 位置检测装置
KR100773423B1 (ko) 골프스윙 분석장치
JP5326385B2 (ja) 走行境界検出装置及び走行境界検出方法
KR102209753B1 (ko) 구조물의 기울기 변화량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기울기 변화량을 측정하는 방법
KR20160026093A (ko) 퍼팅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211783415U (zh) 一种规划用地水平度测量装置
KR101679952B1 (ko) 지면정보 획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