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1745B1 -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1745B1
KR101631745B1 KR1020140051820A KR20140051820A KR101631745B1 KR 101631745 B1 KR101631745 B1 KR 101631745B1 KR 1020140051820 A KR1020140051820 A KR 1020140051820A KR 20140051820 A KR20140051820 A KR 20140051820A KR 101631745 B1 KR101631745 B1 KR 101631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m
rotor
piston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4798A (ko
Inventor
김철중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1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745B1/ko
Publication of KR20150124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4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01Type of application of the stress
    • G01N2203/001Impuls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9Hammer or pendul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전방에 포판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 상에 수평이동가능하며, 상기 포판과의 상대거리가 조절되어 고정되는 수평 지지대; 상기 수평 지지대에 기립되어 지지되는 수직 지지대; 상기 수직 지지대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이동가능하며, 상기 포판과의 상대높이가 조절되어 고정되는 작동 몸체; 상기 포판의 상부에 일정 경사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측이 돌출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피스톤조립체; 및 상기 작동 몸체의 일측에 지지되는 구동부와, 일단이 상기 작동 몸체의 타측에 회전지지되며 타단에 상기 피스톤의 상측을 타격할 수 있는 해머가 설치되는 회동바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동바를 승강시킨후 자유낙하시키는 캠부로 구성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캠을 활용하여 구동력을 회동바에 연속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연속타격시 인력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포판에 대한 해머의 타격각 설정이 용이하여 시험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 {DURABILITY TEST APPARATUS OF BASE PLATE FOR GUN}
본 발명은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로 추(2)를 일정 높이까지 들어올린 후, 모터(1)를 정지시키고 클러치 레버(도시 생략)로 구속을 풀어 추(2)를 자유 낙하시킴으로써 포판(3)에 조립된 충격피스톤(4)을 타격하여 포판(3)의 내구성을 시험한다.
이때, 상기 포판(3)의 시험규격에 의해 충격피스톤(4)과 포판(3)이 이루는 각은 수직이 아닌 45˚ 내지 60˚로 유지시켜 타격해야 한다.
그런데, 충격피스톤(4)과 포판(3)을 시험에 규정된 각도에서 타격하기 위해서는 인력으로 포판(3)을 일정각도에 맞춰 땅(G)에 묻어야 하므로 인력소모가 크고 각도설정이 정확하지 않다. 또한 추(2)가 충격피스톤(4)을 타격할 때마다 충격피스톤(4)이 움직일 수 있어 타격시 마다 충격피스톤(4)을 추(2)와 수직이 될 수 있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재 타격을 위해서는 실험자가 모터(1)를 온/오프(ON/OFF)시킨 후, 클러치 레버를 직접 작동시켜야 하므로 인력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인력소모를 줄이며, 포판에 대한 해머의 타격각 설정이 용이한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는,
전방에 포판(Z)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레일(110);
상기 레일(110) 상에 수평이동가능하며, 상기 포판(Z)과의 상대거리가 조절되어 고정되는 수평 지지대(120);
상기 수평 지지대(120)에 기립되어 지지되는 수직 지지대(130);
상기 수직 지지대(130)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이동가능하며, 상기 포판(Z)과의 상대높이가 조절되어 고정되는 작동 몸체(140);
상기 포판(Z)의 상부에 일정 경사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151)와, 상기 가이드(151)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측이 돌출되는 피스톤(152)을 포함하는 피스톤조립체(150); 및
상기 작동 몸체(140)의 일측에 지지되는 구동부(161)와, 일단이 상기 작동 몸체(140)의 타측에 회전지지되며 타단에 상기 피스톤(152)의 상측을 타격할 수 있는 해머(H)가 설치되는 회동바(162)와, 상기 구동부(161)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동바(162)를 승강시킨후 자유낙하시키는 캠부(163)로 구성되는 액츄에이터(160);
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1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 레일(110)의 상단에 상기 수평 지지대(120)의 휠(121)이 안착되며, 각 레일(110)의 길이방향으로는 결합공(110a)이 형성되어 어느 하나에 상기 수평 지지대(120)의 양단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 지지대(130)는,
'ㄷ'자 형상으로 상기 수평 지지대(120)의 중간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지지대(120)와 일체로 수평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 몸체(140)는,
상기 구동부(161)가 지지되는 수평 상태의 지지플레이트(141)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41)의 일측으로 기립 연장되는 제1지지편(142)과, 상기 지지플레이트(141)의 타측으로 기립 연장되는 제2지지편(143)과, 상기 제2지지편(143)에 지지되되 한 쌍의 구획부(144a)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브라켓(14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스톤조립체(150)는,
상기 지지브라켓(144)의 어느 하나의 구획부(144a)에 일단이 회동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가이드(151)에 일체로 결합되는 지지바(15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츄에이터(160)의 회동바(162)는,
그 일단이 상기 지지브라켓(144)의 다른 하나의 구획부(144a)에 일단이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161)의 주축(S)에 지지되며, 그 일측면에 걸림턱을 갖는 스토퍼(162-1)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동바(162)와 상기 지지바(153)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캠부(163)는,
일면 중간부가 상기 지지브라켓(144)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주축(S)의 타단과 결합되어 연동되는 일정 길이의 회전자(163-1)와, 원주면에 만곡진 홈부(163-2a)를 형성하되 일측으로 상기 회전자(163-1)의 타면 중간부를 지지하며 타측이 상기 제1지지편(142)의 일면에 고정설치되는 캠(163-2)와, 상기 회전자(163-1)의 타면 좌우측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자(163-1)의 회전과 연동되며 상기 캠(163-2)의 원주면을 따라 작동되어 상기 회동바(162)를 승강시킨후 자유낙하시키는 작동로드(16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로드(163-3)는,
상기 회전자(163-1)의 타면 좌우측 중 적어도 한 곳에 고정설치되며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내외부가 연통되는 슬롯홀(163-3-1a)이 형성되는 실린더(163-3-1)와, 상기 실린더(163-3-1)의 내부에 삽입되되 일단 원주면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롯홀(163-3-1a)을 관통하는 돌출부(163-3-2a)가 구비되고 타단이 실린더(163-3-1)의 외부로 연장되는 플런저(163-3-2)와, 상기 실린더(163-3-1)의 내부와 상기 플런저(163-3-2)의 일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163-3-2)를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163-3-3)과, 일측이 상기 회전자(163-1)의 양단 중 적어도 한 곳에 힌지 결합되고 중간부가 상기 실린더(163-3-1)의 원주면에 지지설치되며 타측에 상기 캠(163-2)의 홈부(163-2a)를 따라 구름가능한 롤러(R)가 설치되어 중간부를 통해 상기 플런저(163-3-2)의 돌출부(163-3-2a)를 이동시킬 수 있는 레버(163-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캠부(163)는,
상기 제1지지편(142)의 타면에 상기 캠(163-2)과 연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캠(163-2)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는 각도인덱스(16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에 의하면, 캠을 활용하여 구동력을 회동바에 연속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연속타격시 인력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포판에 대한 해머의 타격각 설정이 용이하여 시험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부분 확대도,
도 4는 도 3의 'B-B' 선단면도,
도 5는 도 2의 요부 확대도로서, 캠부가 회동바를 상향 회동시키는 상태를 보인 도면 및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회동바가 설정된 높이까지 회동되어 해머가 낙하되기 직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는,
전방에 포판(Z)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레일(110);
상기 레일(110) 상에 수평이동가능하며, 상기 포판(Z)과의 상대거리가 조절되어 고정되는 수평 지지대(120);
상기 수평 지지대(120)에 기립되어 지지되는 수직 지지대(130);
상기 수직 지지대(130)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이동가능하며, 상기 포판(Z)과의 상대높이가 조절되어 고정되는 작동 몸체(140);
상기 포판(Z)의 상부에 일정 경사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151)와, 상기 가이드(151)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측이 돌출되는 피스톤(152)을 포함하는 피스톤조립체(150); 및
상기 작동 몸체(140)의 일측에 지지되는 구동부(161)와, 일단이 상기 작동 몸체(140)의 타측에 회전지지되며 타단에 상기 피스톤(152)의 상측을 타격할 수 있는 해머(H)가 설치되는 회동바(162)와, 상기 구동부(161)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동바(162)를 승강시킨후 자유낙하시키는 캠부(163)로 구성되는 액츄에이터(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레일(1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 레일(110)의 상단에 상기 수평 지지대(120)의 휠(121)이 안착되어 상기 수평 지지대(120)가 슬라이드 될 수 있으며, 각 레일(110)의 길이방향으로는 결합공(110a)이 형성되어 어느 하나에 상기 수평 지지대(120)의 양단이 핀(P) 결합된다.
또한, 상기 수직 지지대(130)는 'ㄷ'자 형상으로 상기 수평 지지대(120)의 대략 중간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지지대(120)와 일체로 수평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작동 몸체(140) 역시 상기 수직 지지대(130) 상에 핀(도시 생략) 결합되며, 슬라이드 식으로 설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작동 몸체(140)는 상기 구동부(161)가 지지되는 수평 상태의 지지플레이트(141)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41)의 일측으로 기립 연장되는 제1지지편(142)과, 상기 지지플레이트(141)의 타측으로 기립 연장되는 제2지지편(143)과, 상기 제2지지편(143)에 지지되되 한 쌍의 구획부(144a)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브라켓(144)으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조립체(150)는 상기 지지브라켓(144)의 어느 하나의 구획부(144a)에 일단이 배치되어 후술할 주축(S)에 의해 회동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가이드(151)에 일체로 결합되는 지지바(153)를 더 포함한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한 액츄에이터(160)에 대해서 살펴본다.
먼저, 상기 구동부(161)는 상기 지지플레이트(141)에 지지설치되는 모터(161-1)와, 상기 모터(161-1)의 일측에 설치되는 감속기어부(161-2)와, 상기 감속기어부(161-2)와 연결되며 주축(S)이 설치되는 주축기어부(161-3)로 나뉜다. 이때, 상기 주축(S)은 그 일단이 상기 주축기어부(161-3)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161-1)의 동력이 전달되고, 중간부가 상기 지지브라켓(144)의 구획부(144a)들을 관통하며, 타단이 상기 지지브라켓(144)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회동바(162)는 그 일단이 상기 지지브라켓(144)의 다른 하나의 구획부(144a)에 일단이 배치되어 상기 주축(S)에 의해 회동지지된다. 다만 상기 주축(S)의 회전시 연동되지 않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회동바(162)의 일측면에는 걸림턱을 갖는 스토퍼(162-1)가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바(162)와 상기 지지바(153)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해머(H)의 회동반경에 상기 피스톤(152)의 상측이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캠부(163)는 일면 중간부가 상기 지지브라켓(144)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주축(S)의 타단과 결합되어 연동(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일정 길이의 회전자(163-1)와, 원주면에 만곡진 홈부(163-2a)를 형성하되 일측으로 상기 회전자(163-1)의 타면 중간부를 지지하며 타측이 상기 제1지지편(142)의 일면에 고정설치되는 캠(163-2)와, 상기 회전자(163-1)의 타면 좌우측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자(163-1)의 회전과 연동되며 상기 캠(163-2)의 원주면을 따라 작동되어 상기 회동바(162)를 승강시킨후 자유낙하시키는 작동로드(16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로드(163-3)는 상기 회전자(163-1)의 타면 좌우측 중 적어도 한 곳에 고정설치되며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내외부가 연통되는 슬롯홀(163-3-1a)이 형성되는 실린더(163-3-1)와, 상기 실린더(163-3-1)의 내부에 삽입되되 일단 원주면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롯홀(163-3-1a)을 관통하는 돌출부(163-3-2a)가 구비되고 타단이 실린더(163-3-1)의 외부로 연장되는 플런저(163-3-2)와, 상기 실린더(163-3-1)의 내부와 상기 플런저(163-3-2)의 일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163-3-2)를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163-3-3)과, 일측이 상기 회전자(163-1)의 양단 중 적어도 한 곳에 힌지 결합되고 중간부가 상기 실린더(163-3-1)의 원주면에 지지설치되며 타측에 상기 캠(163-2)의 홈부(163-2a)를 따라 구름가능한 롤러(R)가 설치되어 중간부를 통해 상기 플런저(163-3-2)의 돌출부(163-3-2a)를 이동시킬 수 있는 레버(163-3-4)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상기 작동로드(163-3)는 상기 회전자(163-1)의 타면 좌우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어 피스톤(152)에 대한 해머(H)의 타격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캠부(163)는 상기 제1지지편(142)의 타면에 상기 캠(163-2)과 연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캠(163-2)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는 각도인덱스(16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의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레일(110)의 적당한 지점에 포판(Z)을 위치시킨 후, 수평 지지대(120)를 레일(110) 상에서 수평이동시켜 포판(Z)과의 상대거리를 조절하여 레일(110)에 수평 지지대(120)를 고정시킨다. 또한, 수평 지지대(120) 상에서 수직 지지대(130)를 상하 조절하여 피스톤조립체(150)를 포판(Z)의 상측에 시험규격에 맞는 각도로 배치시킨다.
이후, 모터(161-1)를 작동(반시계 방향)시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축(S)으로 동력이 전달되고, 주축(S)과 연동되는 회전자(163-1)가 반시계 방향(화살표 참조)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회전자(163-1)의 우측편에 설치된 플런저(163-3-2)가 회동바(162)의 일측면에 설치된 스토퍼(162-1)의 걸림턱을 구속하여 회동바(162)를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아울러, 회전자(163-1)에 힌지 결합된 레버(163-3-4)가 롤러(R)의 구름운동에 따라 회동됨으로써 레버(163-3-4)의 중간부가 코일스프링(163-3-3)의 탄성력을 이기고 플런저(163-3-2)의 돌출부(163-3-2a)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코일스프링(163-3-3)은 실린더(163-3-1) 내부에서 압축된 상태가 된다.
한편, 캠(163-2)의 홈부(163-2a)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롤러(R)가 캠(163-2)의 홈부(163-2a) 최상부 지점(O)을 지나게 되면 플런저(163-3-2)의 타단이 걸림턱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된다. 따라서, 스토퍼(162-1)는 플런저(163-3-2)로부터 구속 해제가 된다.
이에 따라서, 해머(H)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화살표 방향으로 회동하여 자유 낙하하게 되고, 피스톤(152)의 상측을 타격하게 된다.
이때, 해머(H)가 피스톤(152)의 상측에 접촉된 상태에서 모터(161-1)의 구동력이 회전자(163-1)로 계속 전달되면 롤러(R)가 다시 홈부(163-2a)에 다다라 구름하게 되며, 이때 발생된 코일스프링(163-3-3)의 복원력에 의해 플런저(163-3-2)의 타단이 실린더(163-3-1)의 외부로 다시 돌출된다.
회전자(163-1)의 좌측편에 설치된 작동로드(163-3)가 다시 회동바(162)의 일측면에 설치된 스토퍼(162-1)의 걸림턱에 걸려 회동바(162)를 화살표 방향으로 들어올린다.
반복적으로 회전자(163-1)에 힌지 결합된 레버(163-3-4)가 롤러(R)의 구름운동에 따라 회동됨과 동시에, 레버(163-3-4)의 중간부(163-3-4)가 플런저(163-3-2)의 돌출부(163-3-2a)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코일스프링(163-3-3)은 실린더(163-3-1) 내부에서 압축된다.
또한, 캠(163-2)의 홈부(163-2a)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롤러(R)가 캠(163-2)의 홈부(163-2a) 최상부 지점을 지나게 되면 플런저(163-3-2)의 타단이 걸림턱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어 스토퍼(162-1)가 플런저(163-3-2)로부터 구속 해제됨으로써 해머(H)는 자중에 의해 자유 낙하하게 되고, 피스톤(152)의 상측을 또 다시 타격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에 의하면, 캠을 활용하여 구동력을 회동바에 연속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연속타격시 인력소모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아울러, 포판에 대한 해머의 타격각 설정이 용이하여 시험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0)

  1. 전방에 포판(Z)이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레일(110);
    상기 레일(110) 상에 수평이동가능하며, 상기 포판(Z)과의 상대거리가 조절되어 고정되는 수평 지지대(120);
    상기 수평 지지대(120)에 기립되어 지지되는 수직 지지대(130);
    상기 수직 지지대(130)의 높이 방향으로 상하이동가능하며, 상기 포판(Z)과의 상대높이가 조절되어 고정되는 작동 몸체(140);
    상기 포판(Z)의 상부에 일정 경사각으로 배치되는 가이드(151)와, 상기 가이드(151)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측이 돌출되는 피스톤(152)을 포함하는 피스톤조립체(150); 및
    상기 작동 몸체(140)의 일측에 지지되는 구동부(161)와, 일단이 상기 작동 몸체(140)의 타측에 회전지지되며 타단에 상기 피스톤(152)의 상측을 타격할 수 있는 해머(H)가 설치되는 회동바(162)와, 상기 구동부(161)의 구동에 따라 상기 회동바(162)를 승강시킨후 자유낙하시키는 캠부(163)로 구성되는 액츄에이터(160);
    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몸체(140)는,
    상기 구동부(161)가 지지되는 수평 상태의 지지플레이트(141)와, 상기 지지플레이트(141)의 일측으로 기립 연장되는 제1지지편(142)과, 상기 지지플레이트(141)의 타측으로 기립 연장되는 제2지지편(143)과, 상기 제2지지편(143)에 지지되되 한 쌍의 구획부(144a)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브라켓(144)으로 구성되며,
    상기 캠부(163)는,
    일면 중간부가 상기 지지브라켓(144)의 외측으로 돌출된 구동부(161)의 주축(S)의 타단과 결합되어 연동되는 일정 길이의 회전자(163-1)와, 원주면에 만곡진 홈부(163-2a)를 형성하되 일측으로 상기 회전자(163-1)의 타면 중간부를 지지하며 타측이 상기 제1지지편(142)의 일면에 고정설치되는 캠(163-2)과, 상기 회전자(163-1)의 타면 좌우측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자(163-1)의 회전과 연동되며 상기 캠(163-2)의 원주면을 따라 작동되어 상기 회동바(162)를 승강시킨후 자유낙하시키는 작동로드(16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110)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 레일(110)의 상단에 상기 수평 지지대(120)의 휠(121)이 안착되며, 각 레일(110)의 길이방향으로는 결합공(110a)이 형성되어 어느 하나에 상기 수평 지지대(120)의 양단이 고정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지지대(130)는,
    'ㄷ'자 형상으로 상기 수평 지지대(120)의 중간부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지지대(120)와 일체로 수평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조립체(150)는,
    상기 지지브라켓(144)의 어느 하나의 구획부(144a)에 일단이 회동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가이드(151)에 일체로 결합되는 지지바(15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160)의 회동바(162)는,
    그 일단이 상기 지지브라켓(144)의 다른 하나의 구획부(144a)에 일단이 배치되어 상기 구동부(161)의 주축(S)에 지지되며, 그 일측면에 걸림턱을 갖는 스토퍼(162-1)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162)와 상기 지지바(153)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163-3)는,
    상기 회전자(163-1)의 타면 좌우측 중 적어도 한 곳에 고정설치되며 외주면 길이방향으로 내외부가 연통되는 슬롯홀(163-3-1a)이 형성되는 실린더(163-3-1)와, 상기 실린더(163-3-1)의 내부에 삽입되되 일단 원주면에 반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롯홀(163-3-1a)을 관통하는 돌출부(163-3-2a)가 구비되고 타단이 실린더(163-3-1)의 외부로 연장되는 플런저(163-3-2)와, 상기 실린더(163-3-1)의 내부와 상기 플런저(163-3-2)의 일단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플런저(163-3-2)를 탄성지지하는 코일스프링(163-3-3)과, 일측이 상기 회전자(163-1)의 양단 중 적어도 한 곳에 힌지 결합되고 중간부가 상기 실린더(163-3-1)의 원주면에 지지설치되며 타측에 상기 캠(163-2)의 홈부(163-2a)를 따라 구름가능한 롤러(R)가 설치되어 중간부를 통해 상기 플런저(163-3-2)의 돌출부(163-3-2a)를 이동시킬 수 있는 레버(163-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163)는,
    상기 제1지지편(142)의 타면에 상기 캠(163-2)과 연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캠(163-2)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는 각도인덱스(163-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
KR1020140051820A 2014-04-29 2014-04-29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 KR101631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820A KR101631745B1 (ko) 2014-04-29 2014-04-29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820A KR101631745B1 (ko) 2014-04-29 2014-04-29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798A KR20150124798A (ko) 2015-11-06
KR101631745B1 true KR101631745B1 (ko) 2016-06-17

Family

ID=54601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820A KR101631745B1 (ko) 2014-04-29 2014-04-29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50024B (zh) * 2017-03-20 2019-04-16 南京理工大学 一种距离可调的小尺寸试件碰撞实验装置
CN110296805B (zh) * 2019-07-23 2020-12-04 中国船舶科学研究中心(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0二研究所) 偏心轮式水平向冲击谱测量装置及其安装和测量方法
CN110823726A (zh) * 2019-11-22 2020-02-21 赖锦涛 一种瓷砖抗裂性能测试设备
CN115597814B (zh) * 2022-12-14 2023-04-07 山东工程职业技术大学 一种体育器材冲击实验连续测试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885B1 (ko) * 2000-05-26 2003-04-18 한국전력공사 임의의 충격각도 및 충격점 조정이 가능한 진자식충격시험기
JP2003240691A (ja) 2002-02-18 2003-08-27 Jfe Steel Kk 金属材料の衝撃捩り試験方法及び試験機
KR200452509Y1 (ko) * 2010-09-17 2011-03-03 대경테크 주식회사 유리 충격 시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3492A (ja) * 1997-03-10 1998-09-25 Isuzu Motors Ltd 自動衝撃加振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885B1 (ko) * 2000-05-26 2003-04-18 한국전력공사 임의의 충격각도 및 충격점 조정이 가능한 진자식충격시험기
JP2003240691A (ja) 2002-02-18 2003-08-27 Jfe Steel Kk 金属材料の衝撃捩り試験方法及び試験機
KR200452509Y1 (ko) * 2010-09-17 2011-03-03 대경테크 주식회사 유리 충격 시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4798A (ko) 2015-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745B1 (ko)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
JP6571769B2 (ja) テニス練習装置
CN202189560U (zh) X光机五轴伺服机构
CN104319651B (zh) 一种元器件安装板自动移动式开关柜
CN109458532B (zh) 建筑施工用测绘仪器保护装置
CN102998099A (zh) 转轴耐久测试仪
CN209231500U (zh) 一种适用于恶劣天气的测风雷达下腔
CN104332852B (zh) 一种可快捷安装和维修元器件的开关柜
CN104332850B (zh) 一种低压开关柜
CN208872608U (zh) 一种落锤冲击试验机
CN107063566B (zh) 一种便携式手动操作摆锤压力发生器
CN108842767B (zh) 一种打桩机倾斜调节装置
CN206132370U (zh) 一种电梯按钮质量检测的模拟装置
CN104319653B (zh) 一种高稳定性内部活动式开关柜
CN104565688B (zh) 可升降式行走支架
US11466390B2 (en) Lift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same
CN208872491U (zh) 一种防护门产品强度检测设备
CN202793758U (zh) 转轴耐久测试仪
CN208537322U (zh) 一种落锤冲击实验装置
CN205685573U (zh) 一种动力头可升降的移动式石材切边机
CN215048466U (zh) 一种升降平台横向扩展结构
CN110441178A (zh) 动态变形模量测试仪校准装置及其自动提锤与释放装置
CN105806728B (zh) 砂浆强度检测仪校准装置
CN206652208U (zh) 一种排球扣球训练专用设备
CN208274902U (zh) 一种折叠式跑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