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166B1 - 강의 촬영 장치 및 강의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강의 촬영 장치 및 강의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166B1
KR100917166B1 KR1020080001872A KR20080001872A KR100917166B1 KR 100917166 B1 KR100917166 B1 KR 100917166B1 KR 1020080001872 A KR1020080001872 A KR 1020080001872A KR 20080001872 A KR20080001872 A KR 20080001872A KR 100917166 B1 KR100917166 B1 KR 100917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ctor
shooting
camera
information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1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112A (ko
Inventor
장영진
Original Assignee
유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로원 filed Critical 유로원
Priority to KR1020080001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166B1/ko
Publication of KR20090076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1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1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8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 G09B5/1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providing for individual presentation of information to a plurality of student stations all student stations being capable of presenting the same information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의 촬영 장치 및 강의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의 촬영 장치는 소정 영역 내에서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카메라,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촬영 범위 모드를 가지며 촬영 범위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강사 촬영 카메라, 메모리부, 그리고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강사의 과거 위치 정보와 위치 추적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강사의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 또는 촬영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강사의 움직임에 따라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면서 최적화된 영상 크기로 강사를 무인으로 자동 촬영할 수 있다.
위치 추적 카메라, 강사 촬영 카메라, 메모리부, 제어부, 디지털 비디오 코더, 영상 표시부, 외부 입력부

Description

강의 촬영 장치 및 강의 촬영 방법{LETURE SHOOTING DEVICE AND LETURE SHOOTING METHOD}
본 발명은 강의 촬영 장치 및 강의 촬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인으로 강의실 내의 강사의 강의 내용을 촬영하여 녹화할 수 있는 강의 촬영 장치 및 강의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다양한 교육용 컨텐츠들이 제공되고 있으며, 교육용 컨텐츠로는 강사의 강의 내용의 육성을 녹음한 교육용 음성 컨텐츠, 강사의 강의 내용의 영상을 녹음한 교육용 영상 컨텐츠 등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강사의 강의 내용의 영상을 녹화한 교육용 영상 컨텐츠는 최근 인터넷이 발달되고 인터넷 사용자가 늘면서 서버를 통해 사용자에게 교육용 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이 발달되고 있다.
영상 컨텐츠의 제작을 위해서는 강사의 강의 내용의 영상을 녹화하기 위하여 강사가 강의를 실시하는 강의실 내에 카메라를 설치하고 카메라의 조작이 능숙한 카메라 촬영 기사가 강사의 움직임에 따라 강사를 줌 인(zoom in) 또는 줌 아웃(zoom out)하고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강사를 촬영하여 강의 내용의 영상 을 녹화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강의 촬영 방법은 강사의 강의 내용을 촬영하기 위해 카메라의 조작이 능숙한 촬영 기사를 반드시 필요로 하였고, 강사의 움직임에 따라 촬영 기사가 카메라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촬영하여야 하므로 강의 내용을 촬영하는 촬영 기사는 매우 분주하게 카메라를 수동으로 조작하면서 촬영하여야만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강사의 움직임에 따라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면서 최적화된 영상 크기로 강사를 무인으로 자동 촬영할 수 있는 강의 촬영 장치 및 강의 촬영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 촬영 장치는 소정 영역 내에서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카메라,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촬영 범위 모드를 가지며 촬영 범위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강사 촬영 카메라, 메모리부,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강사의 과거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추적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강사의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 또는 촬영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추적 카메라 및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가 촬영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그리고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 중 강사의 위치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강사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 또는 촬영 범위의 위치를 변경 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제1 메모리, 상기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 또는 촬영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제2 메모리, 그리고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되는 디지털 데이터 중 강사의 형상 및 색상 정보가 저장되는 제3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는 사람의 형상 및 색상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4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의 촬영 장치는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가 촬영하고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제1 표시부, 그리고 상기 위치 추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의 촬영 장치는 상기 위치 추적 카메라 및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에 외부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외부 신호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된 강사의 위치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강사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제 1 오차 범위 이내에서 소정 시간 지속되고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가 줌 인(zoom in) 가능 모드이면 줌 인 되도록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를 제어하며, 상기 강사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상기 제1 오차 범위보다 큰 제2 오차 범위 이내이면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의 변경 없이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의 위치가 제1 속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를 제어하며, 상기 강사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상기 제2 오차 범위보다 큰 제3 오차 범위 이내이면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의 변경 없이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의 위치가 상기 제1 속도보다 빠른 제2 속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를 제어하며, 상기 강사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상기 제3 오차 범위보다 크고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가 줌 아웃(zomm out) 가능 모드 이면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줌 아웃하고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의 촬영 위치가 상기 제1 속도 또는 상기 제2 속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 촬영 방법은 소정 영역 내에서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카메라에 의해 입력되는 강사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강사의 위치 정보를 통해 과거 강사의 위치 정보와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촬영 범위 모드를 가지며 촬영 범위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 또는 촬영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강사의 위치 정보를 통해 과거 강사의 위치 정보와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과거 강사의 위치 정보와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소정 범위 이내인지 여부 및 상기 소정 범위가 소정 시간 지속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 또는 촬영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오차가 상기 제1 오차 범위 이내이며 소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에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가 줌 인(zoom in) 가능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줌 인 가능 모드인 경우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줌 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 또는 촬영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오차가 상기 제1 오차 범위보다 큰 제2 오차 범위 이내이면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의 변경 없이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의 위치를 제1 속도로 변경하며, 상기 오차가 상기 제2 오차 범위보다 큰 제3 오차 범위 이내이면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의 변경 없이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의 위치를 상기 제1 속도보다 빠른 제2 속도로 변경하며, 상기 오차가 상기 제3 오차 범위보다 크면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가 줌 아웃(zomm out) 가능 모드인지를 판단한 후 줌 아웃이 가능하면 상기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줌 아웃하고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상기 제1 속도 또는 상기 제2 속도로 변경할 수 있다.
소정 영역 내에서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카메라에 의해 입력되 는 강사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 이전에 강사의 형상 및 색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강사의 형상 및 색상 정보와 상기 위치 추적 카메라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상호 비교 분석하여 상기 위치 추적 카메라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 중에 상기 저장된 강사의 형상 및 색상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사의 형상 및 색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이전에 사람의 형상 및 색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사람의 형상 및 색상 정보와 상기 위치 추적 카메라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상호 비교 분석하여 상기 위치 추적 카메라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 중에 상기 저장된 사람의 형상 및 색상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의 촬영 장치 및 강의 촬영 방법에 의하면, 강사의 움직임에 따라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면서 최적화된 영상 크기로 강사를 무인으로 자동 촬영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 촬영 장치 및 강의 촬영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 촬영 장치를 도 1 및 도 2를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 촬영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 촬영 장치의 영상 표시부의 화면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 촬영 장치(1)는 도 1과 같이 위치 추적 카메라(10), 강사 촬영 카메라(20), 메모리부(30), 제어부(40), 영상 표시부(50), 외부 입력부(60)를 포함한다.
위치 추적 카메라(10)는 강의실 내에 설치되며, 강의실 내에 설치되어 촬영의 대상이 되는 칠판 등과 마주하는 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소정 영역 즉, 강사가 위치한 강의실 내의 전방 전체를 촬영하며 소정 영역 내에서 강사의 위치를 추적한다.
강사 촬영 카메라(20)는 강의실 내에서 위치 추적 카메라(10)라 설치된 벽면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강사의 움직임 등을 고려하여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촬영 범위를 강사를 촬영할 수 있으며, 강사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촬영 범위의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는 도2에도시된 바와 같이 강사가 위치한 강의실 전방의 칠판의 제1 특정 영역 및 강사의 상반신 전체와 하반신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 내에서 강사를 촬영하는 제1 촬영 범위 모드(a), 칠판의 제1 특정 영역 보다 작은 제2 특정 영역 및 강사의 상반신 전체를 포함하는 영역 내에서 강사를 촬영하는 제2 촬영 범위 모드(b), 강사의 얼굴 영역만을 촬영하는 제3 촬영 범위 모드(c)등 세 가지 서로 다른 모드를 포함하도록 설정되었다.
제어부(40)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 데이터 처리부(42)를 포함한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는 위치 추적 카메라(10) 및 강사 촬영 카메라(20)가 촬영한 영상의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하여 저장하며, 디지털 데이터로 저장된 영상 정보를 데이터 처리부(42)로 전송한다. 또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는 저장된 영상 정보를 제1 표시부(51) 및 제2 표시부(52)로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부(42)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 중 강사의 위치 정보와 메모리부(30)에 저장되어 있는 강사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위치 정보의 변화가 있는 경우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를 메모리부(30)에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42)는 메모리부(30)에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와 메모리부(30)에 저장된 과거 강사의 위치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 모드 또는 촬영 범위의 위치를 변경한다.
즉, 데이터 처리부(42)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에 저장된 강사의 위치 정보와 제1 메모리(31)에 저장되어 있는 강사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제1 오차 범위 이내에서 소정 시간 지속되고,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 모드가 줌 인(zoom in) 가능 모드이면 제2 메모리(32)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줌 인 되도록 강사 촬영 카메라(20)를 제어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42)는 강사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제1 오차 범위보다 큰 제2 오차 범위 이내이면 제2 메모리(32)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 모드의 변경 없이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의 위치가 제1 속도로 변경되도록 강사 촬영 카메라(20)를 제어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42)는 강사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제2 오차 범위보다 큰 제3 오차 범위 이내이면 제2 메모리(32)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 모드의 변경 없이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의 위치가 제1 속도보다 빠른 제2 속도로 변경되도록 강사 촬영 카메라를 제어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42)는 강사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제3 오차 범위보다 크고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 모드가 줌 아웃(zomm out) 가능 모드 이면 제2 메모리(32)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를 줌 아웃하고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의 촬영 위치가 제1 속도 또는 제2 속도로 변경되도록 강사 촬영 카메라(20)를 제어한다.
또한 데이터 처리부(42)는 강사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제3 오차 범위 보다 크고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 모드가 줌 아웃 가능 모드가 아닐 경우 제2 메모리(32)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의 변경 없이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의 촬영 위치가 제1 속도로 변경되도록 강사 촬영 카메라(20)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오차 범위는 제1 메모리(31)에 저장된 과거 강사 위치 정보와 현재 강사 위치 정보의 비교 오차가 ±5% 이내이며, 제2 오차 범위는 제1 메모리(31)에 저장된 과거 강사 위치 정보와 현재 강사 위치 정보의 비교 오차가 ±5% 초과~±10% 이내이며, 제3 오차 범위는 ±10% 초과~±15% 이내인 경우로 설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해 적합한 범위 내에서 변경 가능한 수치 범위이다. 또한 제1 속도는 저속이며, 제2 속도는 제2 속도보다 빠른 고속이다.
메모리부(30)는 제어부(40)의 데이터 처리부(42)와 서로 신호 전달이 가능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1 메모리(31), 제2 메모리(32), 제3 메모리(33), 제4 메모리(34)를 포함한다.
제1 메모리(31)는 위치 추적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되어 제어부(40)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 중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로부터 전송되는 강사의 위치 정보가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어 저장된다.
제2 메모리(32)는 제1 메모리(31)에 업데이트되어 저장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 모드 또는 촬영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제3 메모리(33)는 제어부(40)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에 저장되는 디지털 데이터 중에서 추출된 강사의 형상 및 색상 정보가 저장된다.
제4 메모리(34)는 일반적인 데이터 분석을 통한 사람의 형상 및 얼굴색 등에 관한 색상 정보가 미리 저장된다.
영상 표시부(50)는 강사 촬영 카메라(20)가 촬영하고 있는 영상을 표시하며, 제1 표시부(51), 제2 표시부(52)를 포함한다.
제1 표시부(51)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 받아 강사 촬영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프로젝션 티비(Projection TV)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표시부(51)는 강의실 내에 구비되거나, 제2 표시부(51)와 함께 강의실 외부에도 구비될 수도 있다.
제2 표시부(52)는 일반적인 모니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위치 추적 카메라(10)가 촬영하는 강사 감시 영상이 실시간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모니터에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제어부(40)는 비디오 어댑터(video adapter)(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여기서 제2 표시부(52)는 제1 표시부(51)를 편의상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입력부(60)는 위치 추적 카메라(10) 및 강사 촬영 카메라(20)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40)에 외부 제어 신호를 입력하며, 도 2와 같이 제2 표시부(52)에 표시되는 강사 감시 영상 표시 화면의 우측 및 하측에 위치한 다양한 선택 메뉴 바 들로 구성된 설정 메뉴로 구성될 수 있다.
설정 메뉴는 터치식으로 선택되어 제어부(40)에 제어 신호를 입력하거나, 무선 리모콘으로 선택되어 제어부(40)에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선택 메뉴 바에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강의 촬영 장치의 자동 및 수동 제어를 위한 자동/수동 설정 바, 강의 촬영 장치의 리셋을 위한 강의 초기 설정 바, 영상 화면을 미세 설정할 수 있는 영상 설정 바, 및 촬영 범위 모드 선택을 위한 모드 설명 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사 촬영 장치(1)를 이용하여 실제 강의실 내에서 강사를 촬영하는 강의 촬영 방법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 촬영 장치(1)의 강의 촬영 방법은 먼저 사람의 형상 및 색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10)에서 시작된다.
즉, 강의 촬영 영상을 제어 및 감시하는 감시자가 제4 메모리(34)에 통상적인 사람의 얼굴, 몸 등의 형상 데이터 및 얼굴이나 머리카락 등의 색상 데이터를 수집 분석 종합하여 얻은 평균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리 설정한 사람의 형상 및 색상 정보를 저장한다.
다음으로 제4 메모리(34) 저장된 사람의 형상 및 색상 정보와 위치 추적 카 메라(10)에 의해 데이터 처리부(42)로 입력되는 초기 영상 정보를 상호 비교 분석하여(S120), 초기 영상 정보 중에 제4 메모리(34)에 저장된 사람의 형상 및 색상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30).
즉,위치 추적 카메라(10)가 촬영한 영상의 아날로그 데이터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로 입력되고,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는 입력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 처리부(42)로 전송한다.
데이터 처리부(42)는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제4 메모리(34)에 저장된 정보와 비교 분석하여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 중 제4 메모리(34)에 저장된 정보와 동일한 사람의 형상 및 색상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제4 메모리(34)에 저장된 정보와 동일한 사람의 형상 및 색상 정보란 완전 동일한 것이 아니라 일정 범위의 오차 내인 경우를 포함하는 정보를 말한다.
판단 결과, 위치 추적 카메라(10)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 중에 제4 메모리(34)에 저장된 사람의 형상 및 색상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있는 경우, 이를 촬영할 대상인 강사로 인식하여 강사의 형상 및 색상 정보를 제3 메모리(33)에 저장한다(S140).
즉 위치 추적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의 아날로그 데이터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데이터 처리부(42)로 입력되며, 데이터 처리부(42)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 중 제4 메모리(34)에 저장된 사람의 형상 및 색상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있는 경우, 이를 촬영할 대상인 강사로 인식하여 강사의 형상 및 색상 정보를 제3 메모 리(33)에 저장한다.
이후 데이터 처리부(42)는 제3 메모리(33)에 저장된 강사의 형상 및 색상 정보와 위치 추적 카메라(10)에 의해 데이터 처리부(42)로 실시간으로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상호 비교 분석하여(S150),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정보 중에 저장된 강사의 형상 및 색상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60).
즉, 데이터 처리부(42)는 위치 추적 카메라(10)에 의해 촬영되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와 제3 메모리(33)에 초기 저장된 강사 정보를 비교하여,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 중 제3 메모리(33)에 초기 저장된 강사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 처리부(42)는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를 비디오 어뎁터(43)로 전송하고, 비디오 어뎁터(43)는 영상 신호를 생성하여 제2 표시부(52)로 전송한다. 또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는 제1 표시부(51)로 전송되어 제1 표시부(51)에 영상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감시자는 제1 표시부(51) 및 제2 표시부(52)에 표시되는 영상을 실시간 감시하며 강의 촬영 단계를 확인 및 제어할 수 있다.
판단(S160) 결과 위치 추적 카메라(10)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 중 제3 메모리(33)에 저장된 강사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있다면, 데이터 처리부(42)로 입력되는 강사의 위치 정보를 제1 메모리(31)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S170).
즉, 데이터 처리부(42)는 위치 추적 카메라(10)에 의해 입력된 디지털 데이 터 중 제3 메모리(33)에 저장된 강사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있으면,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 중 현재 강사의 특정 신체 부위를 기준으로 수평 및 수평 방향의위치 좌표 값을 실시간 업데이트하여 제1 메모리(31)에 지속적으로 저장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부(42)에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는 비디오 어뎁터(43)에 의해 제2 표시부(52)에 영상으로 표시된다.
이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강사의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과거 강사의 위치 정보와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다(S180).
즉 데이터 처리부(42)는 제1 메모리(31)에 실시간 업데이트되어 저장된 과거 강사의 위치 정보인 강사 위치 좌표값과 위치 추적 카메라(10)에 의해 다시 데이터 처리부(42)에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디지털 데이터 중에서 현재 강사 위치 좌표값을 상호 비교한다.
비교를 통해 먼저 과거 강사의 위치 정보와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제1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90).
즉, 데이터 처리부(42)는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 중 현재 강사 위치 좌표값과 제1 메모리(31)에 실시간 업데이트되어 저장된 과거 강사 위치 좌표값과의 오차 범위가 제1 오차 범위 즉, ±5%이내 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제1 오차 범위 이내이면, 제1 오차 범위가 소정 시간 이상 동안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00).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 시간은 3초로 설정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한 수치임은 물론이다.
판단 결과 제1 오차 범위가 소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 강사 촬영 카메라(20) 의 현재 촬영 범위 모드가 줌 인(zoom in) 가능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210).
판단 결과 줌 인 가능 모드인 경우,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를 줌 인한다(S220).
즉, 데이터 처리부(42)는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 모드 또는 촬영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제2 메모리(32)를 읽어와 강사 촬영 카메라(20)가 줌 인 가능하도록 제어하고, 이에 따라 강사 촬영 카메라(20)는 카메라 방향 이동 없이 줌 인 되어서 강사를 더욱 확대하여 촬영하게 된다.
그리고 강의 촬영 카메라(20)가 줌 인되어 강사를 촬영하는 영상은 제1 표시부(51)에 표시된다.
한편 판단 결과 줌 인 가능 모드가 아닌 경우, 강사 촬영 카메라(20)는 방향 이동 없이 현재 줌 상태를 유지한다(S230).
한편, 이러한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강사 촬영 카메라(20)가 촬영하는 영상 신호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제1 표시부(51)에 실제 촬영 영상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 데이터 처리부(42), 비디오 어뎁터(43)를 통해 영상 신호가 제2 표시부(52)로 전달되어 제2 표시부(52)에 위치 추적 카메라(10)가 추적하여 촬영하는 강사의 위치 추적 영상이 표시되게 된다.
그러나, 과거 강사의 위치 정보와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제1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 결과(S190),
비교 오차 범위가 제1 오차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제2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40).
즉, 데이터 처리부(42)는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 중에서 추출된 현재 강사 위치 좌표값이 제1 메모리(31)에 업데이트되어 저장된 과거 강사 위치 좌표값과 비교하여 오차 범위가 제1 오차 범위 보다 큰 제2 오차 범위 즉, 비교 오차 범위가 ±5% 초과 ~ ±10%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제2 오차 범위 이내이면,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 모드의 변경 없이 제1 메모리(31)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의 위치를 제1 속도로 변경한다(S250).
즉, 데이터 처리부(42)는 제2 메모리(32)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서 강사 촬영 카메라(20)가 촬영하고 있는 촬영 범위 모드의 변경 없이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 위치가 저속인 제1 속도로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강사 촬영 카메라(20)는 현재 촬영 범위 모드를 유지하면서 강사가 이동된 위치를 향하여 방향이 이동되어 강사를 추적하면서 촬영을 계속하게 된다.
그리고 강사 촬영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은 디지털 비디오레코더(41)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화되어 제1 표시부(51)에 표시된다.
또한 위치 추적 카메라(10)는 지속적으로 강의실 전체를 촬영하며 강사의 움직임을 감시하며, 그 촬영되는 감시 영상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 데이터 처리부(42), 비디오 어뎁터(43)를 통해 제2 표시부(52)로 입력되어 감시 촬영 영상이 실시간으로 제2 표시부(52)에 표시된다.
여기서, 촬영 범위 모드는 제1 촬영 범위 모드(a), 제2 촬영 범위 모드(b), 제3 촬영 범위 모드(c)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오차 범위가 제2 오차 범위보다 큰 경우 데이터 처리부(42)는 오차 범위가 제3 오차 범위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60).
즉, 데이터 처리부(42)는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 중 현재 강사 위치 좌표값과 제1 메모리(31)에 저장된 과거 강사 위치 좌표값의 오차 범위가 제2 오차 범위 보다 큰 제3 오차 범위 이내인지 즉, 비교 오차 범위가 ±10 초과 ~ ±15% 이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제3 오차 범위 이내이면,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 모드의 변경 없이 제1 메모리(31)에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의 위치를 제1 속도보다 빠른 제2 속도로 변경한다(S270).
이때, 데이터 처리부(42)는 제2 메모리(32)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서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 모드의 변경 없이 제1 메모리(31)에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의 위치가 저속의 제1 속도보다 빠른 고속의 제2 속도로 변경되도록 강사 촬영 카메라(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강사 촬영 카메라(20)는 현재 촬영 범위 모드를 유지하면서 이동된 강사 위치를 향하여 고속으로 방향이 이동되어 강사를 촬영한다.
그리고 강사 촬영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 더(41)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제1 표시부(51)에 표시된다.
또한 위치 추적 카메라(10)는 지속적으로 강의실 전체를 촬영하며 강사의 움직임을 감시하며, 그 촬영되는 감시 영상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 데이터 처리부(42), 비디오 어뎁터(43)를 통해 제2 표시부(52)로 입력되어 감시 촬영 영상이 실시간으로 제2 표시부(52)에 표시된다.
여기서, 촬영 범위 모드는 제1 촬영 범위 모드(a), 제2 촬영 범위 모드(b), 제3 촬영 범위 모드(c)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오차 범위가 제3 오차 범위 즉, ±15% 보다 크면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 모드가 줌 아웃(zomm out) 가능 모드인지여부를 판단한다(S280).
즉, 데이터 처리부(42)는 입력된 디지털 데이터 중 현재 강사 위치 좌표값과 제1 메모리(31)에 저장된 과거 강사 위치 좌표값과 비교하여 강사 촬영 카메라(20)가 줌 아웃 가능한 촬영 범위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줌 아웃이 가능하면,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를 줌 아웃하고 제1 메모리(31)에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위치를 저속의 제1 속도 또는 고속의 제2 속도로 변경한다(S290). 이때, 촬영 범위 모드는 제1 촬영 범위 모드(a), 제2 촬영 범위 모드(b), 제3 촬영 범위 모드(c)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므로, 제2 속도는 촬영범위 모드가 가장 줌인 된 제3 촬영 범위 모드(c)인 경우일 때 적용되며, 제1 속도는 촬영 범위 모드가 제1 내지 제2 촬영 범위 모드(a, b)일 때 적용되도록 설정된 속도일 수 있다.
즉, 데이터 처리부(42)는 제2 메모리(32)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서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를 줌 아웃하고 제1 메모리(31)에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의 촬영 위치가 제1 속도 또는 제2 속도로 변경되도록 강사 촬영 카메라(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강사 촬영 카메라(20)는 줌 아웃된 후 이동된 강사 위치를 향하여 저속 또는 고속으로 위치가 변경되어 강사를 촬영한다.
그리고 강사 촬영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제1 표시부(51)에 표시된다.
또한 위치 추적 카메라(10)는 지속적으로 강의실 전체를 촬영하며 강사의 움직임을 감시하며, 그 촬영되는 감시 영상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 데이터 처리부(42), 비디오 어뎁터(43)를 통해 제2 표시부(52)로 입력되어 감시 촬영 영상이 실시간으로 제2 표시부(52)에 표시된다.
그러나,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 모드가 줌 아웃(zomm out) 가능 모드인지여부의 판단결과(S280),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줌 아웃이 가능하지 않다면,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의 변경 없이 현재 촬영 모드를 유지하면서 제1 메모리(31)에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위치를 저속의 제1 속도로 변경한다(S300). 이때, 촬영 범위 모드는 제1 촬영 범위 모드(a) 내지 제2 촬영 범위 모드(b)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데이터 처리부(42)는 제2 메모리(32)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서 강 사 촬영 카메라(20)의 현재 촬영 범위를 유지하면서 제1 메모리(31)에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범위의 촬영 위치가 제1 속도로 변경되도록 강사 촬영 카메라(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강사 촬영 카메라(20)는 이동된 강사 위치를 향하여 저속으로 위치가 변경되어 강사를 촬영한다.
그리고 강사 촬영 카메라(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어 제1 표시부(51)에 표시된다.
또한 위치 추적 카메라(10)는 지속적으로 강의실 전체를 촬영하며 강사의 움직임을 감시하며, 그 촬영되는 감시 영상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41), 데이터 처리부(42), 비디오 어뎁터(43)를 통해 제2 표시부(52)로 입력되어 감시 촬영 영상이 실시간으로 제2 표시부(52)에 표시된다.
상술한 단계들은 외부 입력부(60)를 통한 초기 설정에 따라 자동으로 촬영되며, 필요에 따라 수동 모드로 전환하여 상술한 단계들을 실행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술한 단계들 각각에서 강사 촬영 카메라(20)의 촬영 모드 변경 및 촬영 위치 변경에 따라 촬영되는 영상은 제1 표시부(51)에 실시간으로 전송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 촬영 장치 및 그 촬영 방법은 강의실 내에서 강의를 실시하는 강사의 움직임에 따라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면서 최적화된 영상 크기로 이동하는 강사를 무인으로 자동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단계들 중 소정 영역 내에서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카메라(10)에 의해 입력되는 강사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 트하여 저장하는 단계(S170) 이전에, 강사의 형상 및 색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40), 및 저장된 강사의 형상 및 색상 정보와 위치 추적 카메라(10)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상호 비교 분석하여(S150), 위치 추적 카메라(10)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 중에 저장된 강사의 형상 및 색상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60)는 생략될 수 있다.
또는, 강사의 형상 및 색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40) 이전에 사람의 형상 및 색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110), 및 저장된 사람의 형상 및 색상 정보와 위치 추적 카메라(10)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상호 비교 분석하여(S120), 위치 추적 카메라(10)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 중에 저장된 사람의 형상 및 색상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소정 영역 내에서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카메라에 의해 입력되는 강사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S170) 이전의 단계들 모두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 촬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 촬영 장치의 제2 표시부의 화면 구성 및 외부 입력부의 한 형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강의 촬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위치 추적 카메라 20 : 강사 촬영 카메라
30 : 메모리부 31 : 제1 메모리
32 : 제2 메모리 33 : 제3 메모리
34 : 제4 메모리 40 : 제어부
41 :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42 : 데이터 처리부
43 : 비디오 어뎁터 50 : 영상 표시부
51 : 제1 표시부 52 : 제2 표시부
60 : 외부 입력부

Claims (13)

  1. 소정 영역 내에서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카메라,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촬영 범위 모드를 가지며 촬영 범위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강사 촬영 카메라,
    메모리부,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강사의 과거 위치 정보와 상기 위치 추적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강사의 현재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 또는 촬영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위치 추적 카메라 및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가 촬영한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전환하여 저장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그리고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된 디지털 데이터 중 강사의 위치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강사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며, 상기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 또는 촬영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가 저장되는 제1 메모리,
    상기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 또는 촬영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제2 메모리,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되는 디지털 데이터 중 강사의 형상 및 색상 정보가 저장되는 제3 메모리, 그리고
    사람의 형상 및 색상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4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처리부는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저장된 강사의 위치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는 강사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제 1 오차 범위 이내에서 소정 시간 지속되고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가 줌 인(zoom in) 가능 모드이면 줌 인 되도록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를 제어하며,
    상기 강사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상기 제1 오차 범위보다 큰 제2 오차 범위 이내이면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의 변경 없이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의 위치가 제1 속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를 제어하며,
    상기 강사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상기 제2 오차 범위보다 큰 제3 오차 범위 이내이면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의 변경 없이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의 위치가 상기 제1 속도보다 빠른 제2 속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를 제어하며,
    상기 강사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상기 제3 오차 범위보다 크고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가 줌 아웃(zomm out) 가능 모드 이면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줌 아웃하고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의 촬영 위치가 상기 제1 속도 또는 상기 제2 속도로 변경되도록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를 제어하는
    강의 촬영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서,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가 촬영하고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강의 촬영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영상 표시부는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제1 표시부, 그리고
    상기 위치 추적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제2 표시부를 포함하는 강의 촬영 장치.
  7. 제1항에서,
    상기 위치 추적 카메라 및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어부에 외부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외부 신호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강의 촬영 장치.
  8. 삭제
  9. 소정 영역 내에서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카메라에 의해 입력되는 강사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강사의 위치 정보를 통해 과거 강사의 위치 정보와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를 바탕으로 상기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촬영 범위 모드를 가지며 촬영 범위의 위치 변경이 가능한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 또는 촬영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실시간으로 업데이트되는 강사의 위치 정보를 통해 과거 강사의 위치 정보와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는
    과거 강사의 위치 정보와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소정 범위 이내인지 여부 및 상기 소정 범위가 소정 시간 지속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 또는 촬영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오차가 상기 제1 오차 범위 이내이며 소정 시간 지속되는 경우에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가 줌 인(zoom in) 가능 모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줌 인 가능 모드인 경우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줌 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강의 촬영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서,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 또는 촬영 범위의 위치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오차가 상기 제1 오차 범위보다 큰 제2 오차 범위 이내이면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의 변경 없이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의 위치를 제1 속도로 변경하며,
    상기 오차가 상기 제2 오차 범위보다 큰 제3 오차 범위 이내이면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의 변경 없이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의 위치를 상기 제1 속도보다 빠른 제2 속도로 변경하며,
    상기 오차가 상기 제3 오차 범위보다 크면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 모드가 줌 아웃(zomm out) 가능 모드인지를 판단한 후 줌 아웃이 가능하면 상기 촬영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줌 아웃하고 업데이트된 현재 강사의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강사 촬영 카메라의 촬영 위치를 상기 제1 속도 또는 상기 제2 속도로 변경하는
    강의 촬영 방법.
  12. 제11항에서,
    소정 영역 내에서 강사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 추적 카메라에 의해 입력되는 강사의 위치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단계 이전에
    강사의 형상 및 색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강사의 형상 및 색상 정보와 상기 위치 추적 카메라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상호 비교 분석하여 상기 위치 추적 카메라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 중에 상기 저장된 강사의 형상 및 색상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있는지 여 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강의 촬영 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강사의 형상 및 색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이전에
    사람의 형상 및 색상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사람의 형상 및 색상 정보와 상기 위치 추적 카메라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상호 비교 분석하여 상기 위치 추적 카메라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 정보 중에 상기 저장된 사람의 형상 및 색상 정보와 동일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강의 촬영 방법.
KR1020080001872A 2008-01-07 2008-01-07 강의 촬영 장치 및 강의 촬영 방법 KR1009171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872A KR100917166B1 (ko) 2008-01-07 2008-01-07 강의 촬영 장치 및 강의 촬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1872A KR100917166B1 (ko) 2008-01-07 2008-01-07 강의 촬영 장치 및 강의 촬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112A KR20090076112A (ko) 2009-07-13
KR100917166B1 true KR100917166B1 (ko) 2009-09-15

Family

ID=41333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1872A KR100917166B1 (ko) 2008-01-07 2008-01-07 강의 촬영 장치 및 강의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1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394B1 (ko) * 2015-05-29 2016-07-18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자 자동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9983B1 (ko) * 2018-01-23 2019-10-08 유혜인 강사 추적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9779A (ja) * 2003-03-06 2004-10-14 Chuo Electronics Co Ltd 移動体撮像方法、移動体撮像システム
KR20040107954A (ko) * 2003-06-16 2004-12-23 (주)지온소프트 자동 강사 추적시스템 및 추적 방법
JP2005033570A (ja) 2003-07-04 2005-02-03 Chuo Electronics Co Ltd 移動体画像提供方法、移動体画像提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9779A (ja) * 2003-03-06 2004-10-14 Chuo Electronics Co Ltd 移動体撮像方法、移動体撮像システム
KR20040107954A (ko) * 2003-06-16 2004-12-23 (주)지온소프트 자동 강사 추적시스템 및 추적 방법
JP2005033570A (ja) 2003-07-04 2005-02-03 Chuo Electronics Co Ltd 移動体画像提供方法、移動体画像提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112A (ko) 2009-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31525B2 (en)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080284900A1 (en) Digital camera
US20100188560A1 (en) Imaging apparatus
JP2011091571A (ja) 動画像作成装置及び動画像作成方法
JP3962871B2 (ja) 電子カメラ及び電子ズーム方法
JP2005141151A (ja) プロジェクタおよびプロジェクタの機能設定方法
JP2012227737A (ja) カメラ装置の自動追尾制御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自動追尾カメラシステム
JP5235188B2 (ja) 画像撮影装置
KR102575196B1 (ko) 촬영 방법, 촬영 장치, 전자기기 및 저장매체
JP4924228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51429A (ja) 動画撮影装置及びズーム調整方法
KR10169026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8192094A1 (zh) 场景展示方法及装置
JP2014017665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5876991B2 (ja) 撮影機器、撮影方法及び再生方法
KR100917166B1 (ko) 강의 촬영 장치 및 강의 촬영 방법
CN103002207B (zh) 摄影设备
JP5785038B2 (ja) 撮影機器
JP6957131B2 (ja) 情報端末装置、撮像装置、画像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情報処理方法
JP5733956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動画記録装置並びに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KR20090059514A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5965037B2 (ja) 撮影機器
JP2008065851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記録媒体
JP5942002B2 (ja) 撮影機器および撮影機器の制御方法
JP2004207843A (ja) 画像撮影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