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853B1 -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853B1
KR100916853B1 KR1020070086776A KR20070086776A KR100916853B1 KR 100916853 B1 KR100916853 B1 KR 100916853B1 KR 1020070086776 A KR1020070086776 A KR 1020070086776A KR 20070086776 A KR20070086776 A KR 20070086776A KR 100916853 B1 KR100916853 B1 KR 100916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display
display servic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6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1889A (ko
Inventor
하희진
김민
최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70086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853B1/ko
Publication of KR20090021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1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60Semi-automatic systems, i.e. in which the numerical selection of the outgoing line is under the control of an operator
    • H04M3/64Arrangements for signalling the number or class of the calling line to the op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은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에 따라 발신자 정보가 다르게 설정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부, 가입자 관리부에 등록되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된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서비스 요청 수신부, 서비스 요청 수신부에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을 판단하는 서비스 조건 판단부, 서비스 조건 판단부에 판단 결과,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서비스 조건에 해당하는 발신자 정보를 호출(Paging) 메시지에 삽입하는 발신자 정보 삽입부, 발신자 정보가 삽입된 호출(Paging)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및 가입자 정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Description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ALLER INFORMATION DISPLAY SERVICE}
본 발명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 본 발명은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에 따라 발신자 정보가 다르게 설정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신자 번호 표시(Caller Identification Display: CID) 서비스로 알려져 있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는 가입자 착신 단말에 대한 호의 착신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표시창에 표시해 줌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지기 전에 미리 발신자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이동통신 부가서비스이다.
기존의 발신자 번호 표시(CID)서비스는 발신자의 정보를 통화 개시 전에 수신자의 단말 또는 전용 표시 장치에 제공하여, 익명을 이용한 통화 폭력, 음란 통화 등 통신 사생활 침해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발신자 번호 표시 서비스는 발신자의 단말 번호가 통화 전 또는 통화 중에 액정화면에 표시되어 통화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으며, 폭력 및 장난 통화 등 통화 폭력으로부터 보호 받을 수 있고, 부재중에 걸려온 통화의 발신자의 정보와 시간이 표시되어 부재중 수신 내역을 모두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화면에 표시된 발신 번호로 자동 통화가 가능하고, 통화 중에도 새로운 통화가 수신되면 확인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에 의해서 통화 이용의 편리성 증대, 단말의 지능화로 데이터 서비스 제공 가능, 불법 폭력 및 장난 통화의 감소로 건전한 통신 문화 형성, 단말 보급 활성화, 통신 기기 제조업체 고용 창출 및 활성화 도모 및 텔레마케팅 등에 활용이 가능함으로 관련 시장의 급성장 등의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는 단지 착신 단말에 발신 단말의 사용자가 설정한 발신자 번호가 표시될 뿐이어서, 발신 단말이 소속된 법인 업무를 수행하는 법인 소속 단말기인 경우, 업무 수행을 위한 발신자의 소속 정보 등이 제공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발신 번호 표시 서비스는 발신 단말뿐 만 아니라 착신 단말의 비의존적으로 서비스되어 착신 단말이 누구든 동일하게 설정된 발신자 정보가 표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발신자 정보를 통화 연결 중 착신 단말에 표시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이 법인 소속 단말기인 경우, 소속 및 직위 정보를 발신자 정보로 착신 단말에 표시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부, 상기 가입자 관리부에 등록되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된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서비스 요청 수신부, 상기 서비스 요청 수신부에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을 판단하는 서비스 조건 판단부, 상기 서비스 조건 판단부에 판단 결과,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서비스 조건에 해당하는 발신자 정보를 호출(Paging) 메시지에 삽입하는 발신자 정보 삽입부, 상기 발신자 정보가 삽입된 호출(Paging)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및 상기 가입자 정보, 상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된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이 확인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서비스 조건에 해당하는 발신자 정보를 호출(Paging) 메시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자 정보가 삽입된 호출(Paging)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은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에 따라 발신자 정보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에 따라 착신 단말에 표시되는 발신자 정보가 다르게 설정되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자가 다양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이 법인 소속 단말기인 경우, 소속 및 직위 정보가 착신 단말에 발신자 정보로 표시되어 업무적으로 협의를 해야 하는 경우, 업무를 위한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법인 소속 단말기를 사용하는 임직원이 별도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가입하지 않아도, 업무를 위한 통화에서 소속 및 직위 정보가 착신 단말에 발신자 정보로 표시되어 원활한 업무 협조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 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은 발신 단말(100), 인터넷과 접속이 가능한 정보 통신 기기(110),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 지능망(Wireless Intelligent Network : WIN,300), 고객정보관리장치(600),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 HLR, 400), 발신측 교환기(Originated Mobile Switching Center : O_MSC, 200), 착신측 교환기(Terminated Mobile Switching Center : T_MSC, 220) 및 착신 단말(120)를 포함한다.
발신 단말(100)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등의 지능망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이나, 3GPP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PDA, 스마트 폰 등 다양한 통신 기기가 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통화 서비스와 함께, 문자 메시지, 인터넷 접속 등이 가능한 단말기일 수 있다.
인터넷과 접속이 가능한 정보 통신 기기(110)는 이동 단말 이외에 일반적인 컴퓨터 노트북 등 인터넷과 유,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정보 통신 기기 이거나 상기 정보 통신 기기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발신 단말(100) 또는 정보 통신 기기(110)를 통하여 접속한 가입자들의 가입 정보 및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에 따른 발신자 표시 정보를 저장하고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착신 단말(120)로 해당하는 발신자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지능망(Wireless Intelligent Network : WIN, 300)은 발신 단말(100)로 발신 단말이 가입되어 있는 지능망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능망이라 함은 교환기의 소프트웨어 변경 없이 신규 서비스 개발의 적용이 가능하도록 개발 환경을 구축하여 사업자가 직접 고유의 서비스를 개발하여 고객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망을 말한다. 이러한 지능망을 통해 서비스의 수정, 보완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가 되며,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망의 운용이 가능하게 된다.
지능망(300)은 발신자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와 연동하여 서비스 가입자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능망(300)은 서비스 교환 시스템(Service Switching Point: SSP) 및 서비스 제어기(Service Control Point: SCP)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교환 시스템(SSP)은 서비스 가입자와 지능망을 연결시켜주는 특수 교환 시스템으로서 서비스 가입자의 호 중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인지하여 서비스 제어기(SCP)로 통지하는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서비스 제어기(SCP)는 지능망 서비스를 위한 핵심 기능을 수행하는 요소로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멀티미디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의 가입자 데이터가 집중되어 있는 데이터 시스템으로 되어 있으며, 주 기능은 서비스 교환 시스템(SSP)으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이를 분석하여 실질적인 착신 번호를 번역하거나 또는 호의 적정성 여부를 확인하여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홈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HLR, 400)는 이동 통신 서비스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이동 단말의 발신, 위치 등록, 착신 등의 거의 모든 가입자 데이터를 교환기의 VLR에 제공해주는 역할을 하며 착신 단말로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라우팅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홈 위치 등록기(400)는 지능망(300)을 통하여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와 연동되어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고객정보 관리 장치(Wireless Information System Environment: WISE, 600)는 이동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 고객만족을 위하여 CS(Customer Satisfied)센터 운영을 통한 기업 이미지 향상을 추구하거나, 과금 방식을 on-line으로 처리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스템 구축 장치로서 주요 기능은 신규 가입자의 가입 및 삭제 처리, 가입자의 정보 변경 및 과금 서비스 및 중앙 집중식 과금 관리 등이 있다.
고객정보 관리 장치(600)는 지능망(300)을 통하여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와 연동되어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의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발신측 교환기(Originated Mobile Switching Center : O_MSC, 200)는 상기 발신 단말(100)에서 발신한 통화를 상기 착신 단말(120)로 연결할 경우, 상기 발신 단말(100)쪽의 교환기이다.
착신측 교환기(Terminated Mobile Switching Center : T_MSC, 220)는 상기 발신 단말(100)에서 발신한 통화를 상기 착신 단말(120)로 연결할 경우, 상기 착신 단말(120)쪽의 교환기이다.
착신 단말(120)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이나, 3GPP 서비스가 가능한 단말, PDA, 스마트 폰 등 다양한 통신 기기가 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통화 서비스와 함께, 문자 메시지, 인터넷 접속 등이 가능한 단말기일 수 있다.
착신 단말(120)은 발신 단말(100)와 통화 연결 중에 기지국으로부터 발신자 정보를 수신하여 발신자 정보를 표시부를 통해 출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발신 단말(100)에게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된 발신 단말(100)로부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한다.
발신 단말(100)의 사용자는 발신 단말(100) 또는 정보 통신 기기(110)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망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에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가입할 수 있고,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다.
발신 단말(100) 및 착신 단말(120)은 회사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법인명으로 가입된 법인 단말기 일 수 있으며, 개인명으로 가입된 개인 단말기 일 수 있다.
발신 단말(100)의 사용자는 발신자 정보표시 서비스 가입시 가입자 신상정보, 과금 정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 정보를 등록할 수 있다. 여기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 정보는 발신 단말(100) 및 착신 단말(120)에 따라 착신 단말(120)에 표시되는 발신자 정보가 달라지는 조건에 관한 정보이다.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등록된 발신 단말(100)에 상응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이 확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 예를 들면, 발신 단말(100) 및 착신 단말(120)에 따라 착신 단말(120)에 표시되는 발신자 정보가 다르게 출력될 수 있다.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확인 결과, 발신 단말(100)에 상응하는 서비스 조건에 해당하는 발신자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착신 단말(120)로 전송될 호출(Paging) 메시지에 삽입한다.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발신자 정보가 삽입된 호출(Paging) 메시지를 착신측 교환기(220)를 통하여 착신 단말(120)로 전송한다.
착신 단말(120)은 호출 메시지를 수신함과 동시에 표시부에 발신자 정보가 출력된다.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에 따라 착신 단말(120)에 다르게 출력되는 발신자 정보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가입자 관리부(510), 서비스 요청 수신부(520), 서비스 조건 판단부(530), 발신자 정보 삽입부(540), 메시지 전송부(550) 및 데이터베이스(560)를 포함한다.
가입자 관리부(510)는 발신 단말(100) 또는 정보 통신 기기(110)로부터 발신자 정보 서비스 가입 요청을 수신하고, 가입자 DB(262)에 가입자 정보를 저장한다.
가입자 관리부(510)는 발신 단말(100) 또는 정보 통신 기기(110)로부터 발신 단말(100)의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을 입력 받고,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 DB(566)에 저장한다. 여기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은 발신 단말가 개인 단말기인지 법인 단말기인지 여부에 따라 착신 단말에 표시되는 발신자 정보가 달라지며, 또한, 착신 단말에 따라 착신 단말에 표시되는 발신자 정보가 달라지는 서비스 조건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표시 서비스는 발신 단말(100) 또는 착신 단말(200)에 따라 착신 단말(200)에 표시되는 발신자 정보가 달라지는 서비스이다.
가입자 관리부(510)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한 착신 단말(120)의 사용자가 착신 단말(120) 또는 정보 통신 기기(110)를 이용하여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의 제한 사항을 등록한 경우, 제한 사항 등록 DB(564)에 제한사항을 저장한다. 여기서, 제한 사항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100)를 착신 단말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가 요청된 경우, 착신 전환 또는 부재 등록일 수 있다.
서비스 요청 수신부(520)는 발신 단말(100)로부터 착신 단말(120)로 호 연결 요청이 있고, 발신 단말(100)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자인 경우, 지능망(300)을 통하여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다.
서비스 조건 판단부(530)는 서비스 요청 수신부(520)에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한 경우, 발신 단말(100)에 상응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을 확인하고, 착신 단말(120)에 상응하여 등록된 제한 사항이 있는 지 확인한다.
발신자 정보 삽입부(540)은 발신 단말(100)의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 및 착신 단말(120)의 등록된 제한 사항에 따라 상응하는 발신자 정보를 착신 단말(120)로 전송될 호출(Paging) 메시지에 삽입한다.
메시지 전송부(550)는 발신자 정보 삽입부(540)에서 해당되는 발신자 정보가 삽입된 호출 메시지를 착신측 교환기(220)는 통하여 착신 단말(120)로 전송한다.
또한, 메시지 전송부(550)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100)가 착신 단말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가 요청된 경우, 단말기(100)에 부재중 착신 메시지 서비스가 요청된 경우 메시지 서비스 제공 장치로 부재중 착신 메시지 전송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560)는 가입자 DB(562), 제한사항 등록 DB(564) 및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 DB(566)를 포함한다.
가입자 DB(562)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자 정보가 저장된다. 여기서, 가입자 정보는 가입자 신상 정보 및 과금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 사항 등록 DB(564)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한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의 제한 사항을 등록한 경우, 제한사항을 저장한다. 제한 사항 등록 DB(564)는 착신 단말(120)이 소속된 법인 서버 또는 이동 통신사의 고객 정보 관리 장치(600)와 연동되어 착신 단말(120)의 사용자가 제한 사항을 등록할 수 있다.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 DB(566)은 발신 단말(100)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을 저장한다.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은 발신 단말(100)이 법인 소속 단말기 또는 개인 단말기에 따라 서비스 대상 착신 단말(120)이 미리 정해지고, 착신 단말(120)에 따라 출력되는 발신자 정보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도록 테이블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에서 수행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발신 단말(100)이 착신 단말로 호 연결 요청을 하는 경우, 발신측 교환기(200)에서 홈위치 등록기(400)에 발신 단말(100)의 인증을 요청하고, 가입된 부가 서비스를 확인한다.
발신측 교환기(200)는 발신 단말(100)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 단말인 경우, 지능망(300)을 통하여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요청한다.
단계 S310에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요청된 발신 단말(100)이 법인으로 가입된 단말기인지 확인한다.
단계 S320에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확인 결과, 발신 단말(100)이 법인 단말기인 경우, 착신 단말(120)이 서비스 대상 법인 단말기인지 판단한다. 여기서, 착신 단말(120)이 서비스 대상 법인 단말기인지 여부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의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 DB(566) 또는 고객정보 관리 장치(600)에 문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만약 확인 결과, 발신 단말(100)이 법인 단말기가 아니거나, 착신 단말(120)이 서비스 대상 법인 단말기가 아닌 경우의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는 도 5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330에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확인 결과, 착신 단말(120)이 서비스 대상 법인 단말기인 경우, 발신 단말(100)의 사용자의 회사, 소속, 직위, 이미지 또는 사운드(sound) 정보가 발신자 정보로 호출(Paging)메시지 삽입되어 착신 단말(120)로 전송된다. 여기서, 착신 단말(120)이 발신 단말(100)과 동일 법인 소속인 경우에는 발신 단말(100)의 회사 정보가 생략되고, 소속, 직위, 이미지 또는 사운드(sound) 정보가 발신자 정보로 호출(Paging)메시지 삽입되어 착신 단말(120)로 전송될 수 있다.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 DB(566)에서 해당 발신 단말(100)에 대한 서비스 대상 단말과 해당 서비스 대상 단말에 상응하여 설정된 발신자 정보(텍스트, 이미지 또는 사운드 정보 포함함)를 호출(Paging)메시지 삽입되어 착신 단말(120)로 전송된다.
만약, 확인 결과, 착신 단말(120)이 서비스 대상 법인 단말기이지만, 착신 단말(120)에 제한사항이 등록된 경우는 진행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 법에 대해서는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340에서, 착신 단말(120)이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호출 메시지에 삽입된 발신자 정보가 착신 단말(120)의 표시부에 출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의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발신 단말(100)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등록된 법인 단말기이고, 착신 단말(120)이 서비스 대상 법인 단말기이지만, 착신 단말(120)에 제한사항이 등록된 경우 진행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410에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에서 발신 단말(100)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등록된 법인 단말기이고, 착신 단말(120)이 서비스 대상 법인 단말기이지만, 착신 단말(120)에 제한사항이 등록되었는지 확인한다. 이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의 제한사항 등록 DB(254)에 문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420에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에서 서비스 대상 착신 단말(120)에 상응하는 제한사항이 없다면, 발신 단말(100)의 사용자의 회사, 소속, 직위, 이미지 또는 사운드(sound) 정보가 호출 메시지에 삽입되어 착신 단말로 전송된다.
단계 S430에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착신 단말(120) 에 상응하는 제한 사항이 착신 전환인 경우, 착신 전환 등록된 단말기로 발신 단말(100)의 회사, 소속, 직위, 이미지 또는 사운드(sound) 정보가 삽입한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 S440에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착신 단말(120)에 상응하는 제한 사항이 부재등록이고, 위임된 타 단말기가 있는 경우, 위임된 타 단말기로 발신 단말(100)의 회사, 소속, 직위, 이미지 또는 사운드(sound) 정보가 삽입한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는 착신 단말(120)의 사용자가 해외 출장 중이거나 회의 중 등 전화를 받지 못한 상황에서 법인 단말기로부터 전화가 오는 경우, 업무상 전화를 수신하는 경우이므로 대신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담당자를 수신단말로 위임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면, 거래처 또는 같은 회사의 법인 전화기로부터 업무상 전화가 오는 경우, 부재 등록된 착신 단말(120)의 사용자가 팀장인 경우, 위임 단말기로 부팀장의 법인 단말기를 등록할 수 있다.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의 제한 사항 등록 DB(564)는 서비스 가입 법인에서 운영하는 법인 서버와 연동되어 부재 등록시 위임되는 법인 단말기가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단계 S450에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착신 단말(120)에 상응하는 제한 사항이 부재등록이고, 메시지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발신 단말(100)로 음성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와 연동되어 부재등록 중임을 안내하고, 착신 단말(120)로 부재중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메시지 서버로 메시지 전 송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460에서, 착신 단말(120), 착신 전환된 단말 또는 위임된 타 단말이 호출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호출 메시지에 삽입된 발신자 정보가 해당 단말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서 확인 결과, 발신 단말(100)이 법인 단말기가 아니거나, 착신 단말(120)이 서비스 대상 법인 단말기가 아닌 경우의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계 S510에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착신 단말(120)이 서비스 대상 개인 단말기인지 확인한다.
단계 S520에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확인 결과, 착신 단말(120)이 서비스 대상 개인 단말인 경우, 착신 단말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발신자 정보가 호출 메시지에 삽입되어 착신 단말(120)로 전송된다.
착신 단말(120)이 서비스 대상 개인 단말기인지 여부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의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 DB(566)에 문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착신 단말에 따라 미리 설정된 발신자 정보를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 DB(566)에서 추출하여 호출 메시지에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착신 단말(120)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 DB(566)에 친구 그룹에 등록한 단말인 경우, 해당 착신 단말(120)에 표시될 발신자 정보로 "반갑다 친구야 길동이야"가 해당 착신 단말(120)에 출력되도록 호출 메시지에 해당 발신자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대상 착신 단말이 애인인 경우에는 "사랑한다 춘향 애인 길동"이란 정보가 해당 착신 단말(120)에 출력되도록 호출 메시지에 해당 발신자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즉,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착신 단말(120)에 따라 표시되는 발신자 정보를 달리 설정하여 미리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 DB(566)에 저장하고, 해당 착신 단말(120)로 상응하는 발신자 정보가 표시되도록 호출 메시지를 전송한다.
단계 S530에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500)는 착신 단말(120)이 서비스 대상 개인 단말기가 아닌 경우,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발신자 정보를 호출 메시지에 삽입하여 호출메시지를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610에 표시된 발신자 정보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된 발신자 정보라고 가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는 발신 단말(100)이 서비스 가입 법인 단말기이고, 착신 단말(120)이 발신 단말(100)과 동일 법인의 서비스 대상 법 인 단말기인 경우, 620과 같이, "솔루션 개발팀 과장 홍길동"으로 소속 정보, 직위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해당 발신 단말의 사용자가 지정한 이미지, 예를 들면, 직원 사진, 또는 특정 사운드(sound)가 출력될 수 있다.
만약, 발신 단말(100)이 서비스 가입 법인 단말기이고, 착신 단말(120)이 발신 단말(100)과 다른 법인의 서비스 대상 법인 단말기인 경우, 630과 같이, "KTF 솔루션 개발팀 과장 홍길동"으로 회사 정보, 소속 정보 및 직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해당 발신 단말의 사용자가 지정한 이미지, 예를 들면, 직원 사진, 또는 특정 사운드(sound)가 출력될 수 있다.
이는 법인 단말기는 소속 법인의 업무를 위하여 가입된 단말기이므로, 업무상의 용건으로 전화를 거는 경우, 소속 정보 및 직위 정보가 표시되면, 착신 단말(120)의 사용자는 착신된 전화의 용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전화를 수신하기 전에 미리 전화 내용을 예측하여 대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에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발신 단말(100)이 법인 단말기가 아니거나, 착신 단말(120)이 서비스 대상 법인 단말기가 아닌 경우에 표시되는 발신자 정보의 예시도이다.
발신 단말(100)의 사용자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500)에 착신 단말(120)에 따라 다른 발신자 정보를 등록하고, 착신 단말(120)에 의존적인 발신자 정보를 호출 메시지에 삽입할 수 있다.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500)는 발신 단말(100)이 발신 번호 서비스 등록 단말기이고 개인 단말기이거나, 착신 단말(120)이 서비스 대상 법인 단말기가 아닌 경우, 착신 단말(120)에 따라 710 내지 7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갑다 친구야 길동이야", "사랑한다 춘향 애인 길동" 또는 "어머님 소자 길동입니다" 등 발신자 정보가 다르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더불어 해당 발신 단말의 사용자의 설정한 이미지 또는 특정 사운드(sound)가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착신 단말 의존적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서버(500)의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 DB(566)에 해당 착신 단말(120)에 따라 상응하는 발신자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에에 따른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발신 단말 110: 정보통신기기
500: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300: 지능망 600: 고객정보관리장치
400: 홈 위치 등록기 200: 발신측 교환기
220:착신측 교환기 120: 착신 단말

Claims (14)

  1.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부;
    상기 가입자 관리부에 등록되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된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서비스 요청 수신부;
    상기 서비스 요청 수신부에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을 판단하는 서비스 조건 판단부;
    상기 서비스 조건 판단부에 판단 결과,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서비스 조건에 해당하는 발신자 정보를 호출(Paging) 메시지에 삽입하는 발신자 정보 삽입부;
    상기 발신자 정보가 삽입된 호출(Paging) 메시지를 착신 단말로 전송하는 메시지 전송부; 및
    상기 가입자 정보, 상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조건 판단부는 발신 단말 및 착신 단말에 따라 발신자 정보를 다르게 설정하며, 상기 서비스 조건 판단부는 발신 단말이 법인 단말이고, 착신 단말이 서비스 대상 법인 단말기인 경우, 발신 단말의 사용자의 회사, 소속, 직위, 이미지 및 사운드(sound)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발신자 정보로 지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관리부는 상기 발신 단말 또는 정보 통신 기기에서 이동 통신 망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 및 상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을 입력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조건 판단부는 발신 단말이 개인 단말인 경우, 착신 단말에 따라 발신자 정보를 다르게 지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착신 단말의 제한사항이 등록되는 제한사항 등록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여 상기 착신단말의 제한 사항에 따라 상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가 다르게 제공되되, 상기 제한 사항은 착신 단말의 사용자가 등록한 착신 전환 또는 부재등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의 제한 사항이 부재등록인 경우, 상기 착신 단말의 사용자가 위임한 다른 단말기로 상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사항 등록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착신 단말이 소속된 법인 서버 또 는 이동 통신사의 고객관리 장치와 연동되어 상기 착신 단말의 제한 사항이 등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이동 통신 망의 지능망에 포함되는 서비스 교환 시스템(Service Switching Point: SSP) 및 서비스 제어기(Service Control Point: SCP)를 통하여 발신 단말에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10.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된 발신 단말로부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 단계;
    상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이 확인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발신 단말에 상응하는 서비스 조건에 해당하는 발신자 정보가 호출(Paging) 메시지에 삽입되는 단계; 및
    상기 발신자 정보가 삽입된 호출(Paging) 메시지가 착신 단말로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은 상기 발신 단말 및 상기 착신 단말에 따라 발신자 정보가 다르게 설정되며,
    상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이 확인되는 단계는
    상기 발신 단말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에 법인으로 가입된 단말기인지 판단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법인으로 가입된 단말기인 경우, 착신 단말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대상으로 지정된 법인으로 가입된 단말기인지 판단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이 서비스 대상을 지정된 법인으로 가입된 단말기인 경우, 상기 발신자 정보로 상기 발신 단말의 사용자의 회사, 소속, 직위, 이미지 및 사운드(sound)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지정되도록 상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이 설정되어 확인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11. 삭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이 확인되는 단계는
    상기 착신 단말에 제한 사항이 등록되었는지 확인되는 단계-여기서, 상기 제한 사항은 상기 착신 단말의 사용자가 등록한 착신 전환 또는 부재등록임-; 를 포함하되,
    상기 확인 결과, 제한 사항이 등록되고, 상기 제한 사항이 착신 전환인 경우, 상기 발신자 정보가 포함된 호출 메시지가 상기 착신 전환된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 제한 사항이 등록되고, 상기 제한 사항이 부재등록이고, 부재 등록 중 위임 단말기를 지정한 경우, 상기 발신자 정보가 포함된 호출 메시지는 상기 위임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이 확인되는 단계는
    착신단말이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대상으로 지정된 개인으로 가입된 단말기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착신 단말이 서비스 대상을 지정된 개인으로 가입된 단말기인 경우, 상기 착신 단말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발신자 정보 중 상응하는 발신자 정보가 지정되도록 상기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조건이 설정되어 확인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70086776A 2007-08-28 2007-08-28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916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776A KR100916853B1 (ko) 2007-08-28 2007-08-28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6776A KR100916853B1 (ko) 2007-08-28 2007-08-28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889A KR20090021889A (ko) 2009-03-04
KR100916853B1 true KR100916853B1 (ko) 2009-09-14

Family

ID=4069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6776A KR100916853B1 (ko) 2007-08-28 2007-08-28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5035B1 (ko) * 2013-09-26 2015-02-25 주식회사 이루온 발신 정보를 통합 제공하는 통합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신 정보 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505A (ko) * 2002-01-14 2003-07-22 주식회사 시너텍 발신자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40067134A (ko) * 2003-01-21 2004-07-30 주식회사 에스브이엘 발신자 정보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505A (ko) * 2002-01-14 2003-07-22 주식회사 시너텍 발신자정보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40067134A (ko) * 2003-01-21 2004-07-30 주식회사 에스브이엘 발신자 정보 제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1889A (ko) 200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74059A (ko) 통화연결 대기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 서비스 제공광고장치 및 광고방법
KR100785408B1 (ko) 발신자정보 안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47694B1 (ko) 발신자에 따른 전화번호 변경 안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916853B1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0767968B1 (ko) 스팸 전화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152023B1 (ko) 화상 전화망에서의 통화 대기 서비스 방법
KR20060102669A (ko) 가상 번호를 이용한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및 그 방법
CN100512501C (zh) 移动智能用户国际漫游时的信息通知方法、系统及设备
KR20070015675A (ko) 착신 제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N101668278B (zh) 一种漫游服务的方法及相关设备
KR101508377B1 (ko) 애칭 서비스 서버 및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애칭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45160A (ko) Ars 서비스 제공 방법, 이를 지원하는 장치 및 시스템
KR100627630B1 (ko) 통화 연결 중에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06902B1 (ko) 립싱크 메시지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42673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부재중 전화 이벤트에 따른 스팸 경고 및차단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동통신단말기
KR100757010B1 (ko) 발신 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60134392A (ko) 상황별 통화 대기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16952A (ko) 스팸호 차단 방법 및 시스템
JP2008022342A (ja) 電話着信時文字表示システム
KR10042501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가상 전원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527042B1 (ko) 음성메시지 서비스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20050072327A (ko) 착신 제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501163B1 (ko) 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특정 메시지 전송 차단 방법
KR101111113B1 (ko) 정보 제공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정보제공 장치,기록매체, 정보 저장매체
KR101108130B1 (ko) 네트워크에서 ussd를 이용한 발신자 식별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