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157B1 -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 Google Patents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157B1
KR100916157B1 KR1020090021211A KR20090021211A KR100916157B1 KR 100916157 B1 KR100916157 B1 KR 100916157B1 KR 1020090021211 A KR1020090021211 A KR 1020090021211A KR 20090021211 A KR20090021211 A KR 20090021211A KR 100916157 B1 KR100916157 B1 KR 100916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guide bar
plate
present
telecommunic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장명
김순희
Original Assignee
조장명
김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장명, 김순희 filed Critical 조장명
Priority to KR102009002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0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for surface mounting on a wal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H02G3/083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센트나 스위치의 접지판(2)이 구비되는 플레이트(1)가 결합되도록 정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1)의 외부에 캡(3)을 씌워 결합하는 노출박스에 있어서: 상면에 키요부(11a)를 개재하여 관통되는 삽입요부(11)를 구비하고, 내측 일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가이드바(12)를 구비하는 박스(10); 및 상기 가이드바(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콘센트나 스위치의 접지판(2)을 안착하여 고정하도록 체결구(21)를 구비하는 고정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콘센트나 스위치의 접지판이 내부에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고, 일체로 형성하여 단일 공정으로 인해 제조가 간편하며, 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콘센트, 스위치, 접지판, 가이드바, 단일 공정

Description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CONNECTION BOX FOR ELECTRIC AND COMMUNICATION CABLES}
본 발명은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콘센트나 스위치의 접지판이 내부에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고, 일체로 형성하여 단일 공정으로 인해 제조가 간편하며, 원가를 줄일 수 있는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노출박스는 내부공간이 없는 조립식 패널상에 많은 사용을 하고 있다. 이러한 노출박스는 특히 벽체 상에 고정 설치하고자 할 때 노출박스의 파손없이 신속용이하게 고정 설치토록 함과 동시에 노출박스 일측에 결합되는 파이프 연결구의 결합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26773호에 의하면 『본체(1)에 형성된 삽입부(11")에 연결하고자 하는 코드의 굵기에 따라 구멍크기를 선택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절취부(11a)를 형성하고, 상기 파이프접속구(2)에 형성된 삽입부(11")에는 경사면(24')과 걸림턱(24")으로 이루어진 걸림돌기(24)를 중심으로 양측에 절개홈(25)을 형성함에 따라 자체 탄성력이 발휘되도록 한 탄성편(26)을 1개 ~ 3개 형성하고, 파이프접속구(2)의 내부 큰 구멍 소정위치에 삽입링(23)이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걸리도록 단턱부(27)를 형성하며, 본체(1) 내벽면 중앙위치마다 상측부에 상부 걸림턱(15)과 하부 안착턱(16)을 돌출 형성하되, 상기 상부 걸림턱(15)의 상부는 선단에 경사면(15')을 형성하고, 고정플레이트(3)의 각면 중앙에는 본체(1)에 형성된 상부 걸림턱(15)과 하부 안착턱(16)에 대응하는 단차부(33)를 형성하여서 구성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가 개시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고정플레이트의 외부에 스위치나 콘센트를 결합하게 됨으로 접지판의 고정이 힘들었고, 시공 작업이 매우 번거롭기 때문에 많은 시간낭비에 따른 작업의 능률이 저하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의 문헌정보
[문헌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426773호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콘센트나 스위치의 접지판이 내부에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고, 일체로 형성하여 단일 공정으로 인해 제조가 간편하며, 원가를 줄일 수 있는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콘센트나 스위치의 접지판이 구비되는 플레이트가 결합되도록 정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외부에 캡을 씌워 결합하는 노출박스에 있어서: 상면에 키요부를 개재하여 관통되는 삽입요부를 구비하고, 내면에 각각 대응되도록 가이드바를 구비하는 박스; 및 상기 가이드바와 일체로 평행되도록 형성되어 콘센트나 스위치의 접지판을 안착하여 고정하도록 체결구를 구비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박스는 콘센트나 스위치의 결합 숫자와 동일하도록 삽입요부와 가이드바와 고정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대는 가이드바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 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콘센트나 스위치의 접지판이 내부에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고, 일체로 형성하여 단일 공정으로 인해 제조가 간편하며, 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를 나타내는 분해 및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를 나타내는 박스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를 나타내는 결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 박스(10)와 고정대(2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박스(10)는 상면에 키요부(11a)를 개재하여 관통되는 삽입요부(11)를 구비하고, 내측 일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가이드바(12)를 구비한다. 박스(10)는 상면에 키요부(11a)를 개재하여 관통되는 삽입요부(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도면부호 미부여)를 결합할 수 있도록 키요부(11a)를 구비한다. 이러한 키요부(11a)는 연결구의 하부에 키요부(11a)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여 삽입후 회전하여 맞물리도록 고정한다. 이때, 삽입요부(11)는 상면에만 형성할 수 있지만 좌측면 또는 우측면, 하면에 형성하거나 상황에 알맞게 다양한 활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가이드바(12)는 박스(10)의 내부 일면에 평행되도록 한쌍이 형성되어 맞은편의 내부면과 대응되도록 한다. 이러한 가이드바(12)는 일면에 평행되도록 형성되는 한쌍의 가이드바(12)의 간격은 접지판(2)보다 약간 넓은 크기로 형성되어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고정대(20)는 상기 가이드바(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콘센트나 스위치의 접지판(2)을 안착하여 고정하도록 체결구(21)를 구비한다. 고정대(20)는 상술한 가이드바(12)의 끝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바, 고정대(20)는 콘센트나 스위치의 플레이트(1) 접지판(2)이 안착될 수 있도록 가이드바(12)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대(20)는 관통된 형태의 체결구(21)를 구비하게 된다. 체결구(21)는 상술한 상술한 콘센트나 스위치의 접지판(2)이 고정대(20)에 안착되어 체결 고정하도록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이때, 상기 박스(10)는 하나이상의 콘센트나 스위치를 결합하도록 다수의 삽입요부(11)와 가이드바(12)와 고정대(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콘센트나 스위치가 결합할 수 있도록 박스(10)상에 삽입요부(11)와 , 가이드바(12), 고정대(20)를 형성하였지만 그 이상의 콘센트나 스위치를 결합할 수 있도록 더 많은 삽입요부(11)와 ,가이드바(12), 고정대(20)를 형성해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때, 상기 고정대(20)는가이드바(12)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하여 설명한 가이드바(12)보다 낮게 형성되는 고정대(20)는 콘센트나 스위치상에 접지판(2)이 있는 경우에 사용이 가능하다면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고정대(20)는 콘센트나 스위치상에 형성되는 접지판(2)이 없는 경우에 사용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접지판(2)이 고정대(20)상에 안착되지 않음으로 상기 고정대(20)를 상술한 가이드바(12)와 높이를 동일하도록 형성하여 플래이트(1)의 원통형 돌출부가 내부로 삽설됨과 동시에 플레이트(1)의 후면과 고정대(20)가 맞닿는 부위가 많아져 보다 안전하게 안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의 결합에 있어서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는 내부공간이 없는 조립식 패널 상에는 100% 사용을 요한다. 이러한 조립식 패널 상에 먼저 상기 박스(10)를 고정한 후, 플레이트(1)를 박 스(10)의 개방된 부분에 위치하여 상기 플레이트(1)의 접지판(2)이 박스(10)의 한쌍의 가이드바(12) 사이로 이동하여 고정대(20)상에 안착하게 된다. 이때, 고정대(20)의 체결구(21)와 접지판(2)이 맞닿아 체결하여 고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센트나 스위치의 접지판이 내부에 안전하게 안착될 수 있고, 일체로 형성하여 단일 공정으로 인해 제조가 간편하며, 원가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를 나타내는 분해 및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를 나타내는 박스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를 나타내는 결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를 나타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플레이트 2: 접지판
3: 캡 10: 박스
11: 삽입요부 11a: 키요부
12: 가이드바 20: 고정대
21: 체결구

Claims (3)

  1. 콘센트나 스위치의 접지판(2)이 구비되는 플레이트(1)가 결합되도록 정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1)의 외부에 캡(3)을 씌워 결합하는 노출박스에 있어서:
    상면에 키요부(11a)를 개재하여 관통되는 삽입요부(11)를 구비하고, 내측 일면에 서로 대응되도록 가이드바(12)를 구비하는 박스(10); 및
    상기 가이드바(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콘센트나 스위치의 접지판(2)을 안착하여 고정하도록 체결구(21)를 구비하는 고정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10)는 하나이상의 콘센트나 스위치를 결합하도록 다수의 삽입요부(11)와 가이드바(12)와 고정대(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20)는 가이드바(12)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KR1020090021211A 2009-03-12 2009-03-12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KR100916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211A KR100916157B1 (ko) 2009-03-12 2009-03-12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211A KR100916157B1 (ko) 2009-03-12 2009-03-12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6157B1 true KR100916157B1 (ko) 2009-09-08

Family

ID=41355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211A KR100916157B1 (ko) 2009-03-12 2009-03-12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1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4526U (ja) 1981-08-27 1983-03-07 長谷川 直 配線用器具の取付装置
US4973797A (en) 1989-03-29 1990-11-27 Hubbell Incorporated Gasketless weatherproof housing
KR100846134B1 (ko) 2008-02-12 2008-07-14 (주) 신평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내벽의 전기 콘센트함
KR20090021027A (ko) * 2007-08-24 2009-02-27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의 연결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4526U (ja) 1981-08-27 1983-03-07 長谷川 直 配線用器具の取付装置
US4973797A (en) 1989-03-29 1990-11-27 Hubbell Incorporated Gasketless weatherproof housing
KR20090021027A (ko) * 2007-08-24 2009-02-27 (주)진성테크 매입형 전선함의 연결박스
KR100846134B1 (ko) 2008-02-12 2008-07-14 (주) 신평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내벽의 전기 콘센트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78924U (ja) 電源ストリップ
ATE438945T1 (de) Gehäuseanordnung mit mindestens zwei verbindungsdosen
FR2970122A1 (fr) Convertisseur multifonctionnel pour prise electrique
TW200409418A (en) Connectors for under-cabinet lighting
CN104254949B (zh) 插塞连接器
KR100924603B1 (ko) 책상 매립형 이중 콘센트
KR200443610Y1 (ko) 전선덕트
JP4206119B1 (ja) プラグ変換アダプタ及びプラグ変換アダプタ器具
KR20130003805U (ko) 일괄체결형 터미널단자
KR20110073662A (ko) 건축물용 매입형 전기스위치박스
KR100916157B1 (ko)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JP2007014094A (ja) 分電盤
WO2011120243A1 (zh) 电能表接驳装置
CN214428943U (zh) 一种新型便于组装的低压固定式开关柜
CN201666295U (zh) 卡接装置
FI88447C (fi) Elektriska kopplingar foer en kombination av elektriska kanaldosor
KR100691432B1 (ko) 터미널 블록 조립체
CN208571013U (zh) 一种通信工程用插座
CN213242927U (zh) 一种嵌入式插座
KR20140118640A (ko) 차단기가 일체로 결합된 콘센트
CN213341534U (zh) 一种暗装接线盒
CN212784122U (zh) 一种单相接头
CN212062877U (zh) 一种带usb结构的开关插座
CN220368201U (zh) 一种防拱起面板开关
KR102121044B1 (ko) 공동주택 실내벽면용 전기 콘센트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