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5002B1 -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5002B1
KR100915002B1 KR1020080047073A KR20080047073A KR100915002B1 KR 100915002 B1 KR100915002 B1 KR 100915002B1 KR 1020080047073 A KR1020080047073 A KR 1020080047073A KR 20080047073 A KR20080047073 A KR 20080047073A KR 100915002 B1 KR100915002 B1 KR 1009150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ivot shaft
moving
unit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순용
Original Assignee
(주)대국아이.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국아이.엔.티 filed Critical (주)대국아이.엔.티
Priority to KR1020080047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50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50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50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17Brackets for mounting the sun visor support arm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60J3/0213Sun viso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means
    • B60J3/0234Mounted slidably
    • B60J3/0239Mounted slidably and pivoting on a support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은 브래킷을 로딩시키는 브래킷 로딩수단; 상기 브래킷 로딩수단에서 로딩된 브래킷을 작업대의 승강지그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수단; 상기 브래킷이 결합될 수 있도록 피봇축을 로딩시키는 피봇축 로딩수단; 상기 피봇축 로딩수단에서 로딩된 피봇축을 상기 브래킷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수단; 및 상기 작업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지그에 위치된 브래킷을 상기 피봇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승시키는 승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좌, 우측 선바이저의 제조시 브래킷과 피봇축을 자동에 의해 동시에 조립하여 결합 깊이가 동일함에 따라 불량률을 최소화하면서 대량 생산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BRACKET AND PIVOT AXIS ASSEMBLY SYSTEM OF VEHICLE SUN VISOR}
본 발명은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 우측 선바이저의 제조시 브래킷과 피봇축을 자동에 의해 동시에 조립하여 결합 깊이가 동일함에 따라 불량률을 최소화하면서 대량 생산에 적합한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선바이저는 차광 판으로, 차량 내부인 운전석과 보조석 상단에 각각 고정되어 직사광선을 피하기 위해 설치하며, 전방에 조사되는 직사광선과 외측에서 조사되는 직사광선을 피하기 위해 자전 및 공전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 차량 선바이저는 설치 위치상 운전석과 조수석이 대칭된 상태이므로 좌, 우측 각각마다 피봇축과 브래킷을 개별적으로 제조하고 서로 고정시켰다.
이러한 차량 선바이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천장에 고정되기 위해 굴절된 상태의 피봇축(P)이 구비되며 굴절된 상기 피봇축(P)의 수직 부위 하단이 브래킷(B)의 피봇축 삽입공(H)에 삽입된다.
그러나 종래에서 상기 피봇축(P)을 상기 브래킷(B)에 고정할 때는 수동에 의해 고정하여 삽입 깊이가 상이하므로 재차 삽입 깊이를 검수 및 조절해야 하고 수동에 의존하므로 작업량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좌, 우측 선바이저의 제조시 브래킷과 피봇축을 자동에 의해 동시에 조립하여 결합 깊이가 동일함에 따라 불량률을 최소화하면서 대량 생산에 적합할 수 있게 한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브래킷을 로딩시키는 브래킷 로딩수단; 상기 브래킷 로딩수단에서 로딩된 브래킷을 작업대의 승강지그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수단; 상기 브래킷이 결합될 수 있도록 피봇축을 로딩시키는 피봇축 로딩수단; 상기 피봇축 로딩수단에서 로딩된 피봇축을 상기 브래킷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수단; 및 상기 작업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지그에 위치된 브래킷을 상기 피봇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승시키는 승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은 좌, 우측 선바이저의 제조시 브래킷과 피봇축을 자동에 의해 동시에 조립하여 결합 깊이가 동일함에 따라 불량률을 최소화하면서 대량 생산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선바이저를 차량에 고정하기 위한 피봇축 및 브래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상기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의 브래킷 로딩수단에서 제1 이동부재의 구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상기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의 피봇축 로딩수단 및 제2 이동수단의 구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작업대 112: 승강지그
116: 고정지그 118: 가이드
200: 브래킷 로딩수단 210: 진동 공급부
220: 제1 컨베이어부 230: 제1 이동부재
232: 틸팅부재 234: 제1 위치 제한 홈
240: 제1 구동부 300: 제1 이송수단
310: 제1 승강부 320: 제2 구동부
330: 제1 홀딩부 332: 삽입부재
400: 피봇축 로딩수단 410: 제2 컨베이어부
420: 제2 이동부재 430: 제2 승강부
500: 제2 이동수단 510: 제3 구동부
520: 제4 구동부 530: 제2 홀딩부
600: 승강수단
이하, 본 발명의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110), 브래킷 로딩수단(200), 제1 이동수단(300), 피봇축 로딩수단(400), 제2 이동수단(500), 승강수단(600) 및 제어수단(도면에 미도시)으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브래킷 로딩수단(200), 제1 이동수단(300), 피봇축 로딩수단(400), 제2 이동수단(500)은 차량 내부에 구비되는 선바이저가 운전석과 보조석에 대향된 상태로 각각 구비되므로 각각을 개별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각각의 구성요소가 좌, 우측에 한 쌍 구비된다.
한편, 상기 브래킷 로딩수단(200)은 베이스(100)의 선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1 이동수단(300)은 브래킷 로딩수단(200)의 상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피봇축 로딩수단(400)은 브래킷 로딩수단(200)과 각각 평행하면서 상기 베이스(100)의 후단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제2 이동수단(500)은 피봇축 로딩수단(400)과 직교된 상태에서 베이스(100)의 후단 상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작업대(110)는 상기 베이스(100) 상에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100)와 이 베이스(100)의 상측에 구비된 플레이트인 상측 고정부재(114)의 가장자리를 직립된 상태로 서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가이드(118)를 따라 상, 하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110)의 상면과 상기 상측 고정부재(114)의 저면에 승강지그(112)와 고정지그(116)가 양측에 한 쌍씩 각각 구비되며, 상기 승강지그(112)의 상면에는 브래킷(B)이 안착되는 안착홈(112a)이 각각 대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고정지그(116)의 저면에는 피봇축(P)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홈(116a)이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안착홈(112a)은 브래킷(B)의 안착시 틸팅하지 않고 피봇축 삽입공(H)이 제1 홀딩부(330)의 삽입부재(332)와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음각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 로딩수단(200)은 상기 브래킷(B)을 상기 승강지그(112)의 안착홈(112a) 상에 순차 로딩시키는 기능을 하며, 진동 공급부(210), 제1 컨베이어부(220), 제1 이동부재(230) 및 제1 구동부(240)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상기 진동 공급부(210)는 회전 구동과 함께 진동을 발생시켜 내부에 불규칙하게 수용된 다수의 브래킷(B)을 상기 제1 컨베이어부(220)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속 공급한다.
상기 제1 컨베이어부(220)는 상기 진동 공급부(210)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브래킷(B)을 상기 작업대(110)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면 양측에 브래킷(B)의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22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컨베이어부(220)는 한 쌍의 상기 제1 이동부재(230)와 평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 이동부재(230)는 상기 제1 컨베이어부(220)의 타단에 동일한 높이면서 별도로 구비되며 그 상면에 상기 브래킷(B)의 이동 위치를 제한하는 제1 위치 제한 홈(234)이 형성된 틸팅부재(232)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틸팅부재(232)는 상기 제1 컨베이어부(220)에서 로딩되는 브래킷(B)의 피봇축 삽입공(H)이 상기 제1 홀딩부(330)의 삽입부재(332)와 수직선상에 위치되지 않으므로 상기 피봇축 삽입공(H)을 수직 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이동부재(230)에는 상기 틸팅부재(232)를 X, Y 방향으로 각각 가압하는 가압부(도면에 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틸팅부재(232)에 형성되는 제1 위치 제한 홈(234)은 상기 제1 이송수단(300)의 제1 홀딩부(330)가 동일 위치에서 상기 브래킷(B)을 홀딩하기 위해 구비되며, 더 이상 브래킷(B)이 진행하지 못하도록 내측단이 막혀있다.
상기 제1 구동부(240)는 상기 제1 컨베이어부(220)와 직교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이동부재(230)가 상기 제1 컨베이어부(220) 또는 상기 승강지그(112)와 일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전, 후진시키는 실린더로,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한 다른 것으로 대체 가능하다. (도 4a 및 도 4b 참조)
상기 제1 이동수단(300)은 상기 브래킷 로딩수단(200)에서 로딩된 브래킷(B)을 상기 작업대(110)의 승강지그(112)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강, 승강, 수평이동, 하강 및 승강되는 사이클을 반복 구동하며, 제1 승강부(310), 제2 구동부(320) 및 제1 홀딩부(330)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승강부(310)는 상기 제1 이동부재(230)에 위치된 브래킷(B)의 홀딩 위치로 하강한 후 상기 제2 구동부(320)의 구동으로 수평 이동하기 위해 상승하고 상기 승강지그(112) 상의 언홀딩 위치로 하강하게 하는 실린더이며,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한 다른 것으로 대체 가능하다.
상기 제2 구동부(320)는 상기 제1 승강부(310)의 구동축 끝단에 구비되는 절곡 형성된 제1 승강부재(312)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제1 이동부재(230)의 제1 위치 제한 홈(234)인 상기 브래킷(B)의 홀딩 위치와 상기 승강지그(112)의 안착홈(112a)인 언홀딩 위치로 전, 후 이동되게 하는 실린더이며,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한 다른 것으로 대체 가능하다.
상기 제1 홀딩부(330)는 상기 제2 구동부(320)의 구동축 선단에 구비되는 직립된 판상의 제1 이동부재(322)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하부에 상기 브래킷(B)의 피봇축 삽입공(H)에 삽입된 후 홀딩 위치에서 양단 간격을 넓혀 홀딩 또는 언홀딩 위치에서 양단 간격을 좁혀 언홀딩하는 삽입부재(33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재(332)는 그 단면 형상이 대향되는 반원 형태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홀딩부(330)는 상기 제2 구동부(320)의 전, 후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위치 제한 홈(234)인 상기 브래킷(B)의 홀딩 위치와 상기 승강지그(112)의 안착홈(112a)인 언홀딩 위치로 전, 후 이동된다.
상기 피봇축 로딩수단(400)은 상기 승강지그(112)와 대향된 상측에 구비되는 고정지그(116)에 상기 피봇축(P)을 한 쌍씩 공급하여 피봇축(P)의 수직된 하단에 상기 브래킷(B)의 피봇축 삽입공(H)을 결합할 수 있도록 로딩시키는 기능을 하며, 제2 컨베이어부(410), 제2 이동부재(420) 및 제2 승강부(430)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피봇축 로딩수단(400)은 상기 피봇축(P)의 홀딩 준비 위치인 1차 상승, 피봇축(P)의 홀딩 위치인 2차 상승 및 원위치로 하강하는 사이클을 반복 구동한다.
상기 제2 컨베이어부(410)는 상기 제1 컨베이어부(220)와 평행한 위치에 구비되면서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피봇축(P)을 상기 작업대(110)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상면 일측에 피봇축(P)의 절곡 부위에 대해 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412)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이동부재(420)는 상기 제2 컨베이어부(410)의 끝단에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제2 승강부(430)의 구동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피봇축(P)의 이동 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제2 컨베이어부(410)와 마주보는 상단 일측에 제2 위치 제한 홈(422)이 형성된다.
상기 제2 승강부(430)는 구동축 상단이 상기 제2 이동부재(420)의 저면에 고정되어 상기 제2 이동수단(500)이 상기 피봇축(P)을 홀딩하기 위한 준비 위치까지 1차로 상승시킨 후 상기 제2 이송수단(500)의 제2 홀딩부(520) 높이인 상기 피봇축(P)의 홀딩 위치까지 2차로 더 상승시키는 실린더이며,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한 다른 것으로 대체 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c 참조)
상기 제2 이동수단(500)은 상기 피봇축 로딩수단(400)에서 로딩된 피봇축(P)을 홀딩한 후 상기 브래킷(B)의 상측인 상기 고정지그(116)의 홈(116a) 내부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며, 제3 구동부(510), 제4 구동부(520) 및 제2 홀딩부(530)로 세분화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제2 이동수단(500)은 상기 피봇축(P)을 홀딩한 후 상기 고정지그(116)로 진입시키기 위한 제3 구동부(510)의 후진, 상기 피봇축(P)에 상기 브래킷(B)의 고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3 구동부(510) 및 제4 구동부(520)의 순차 전진 구동 및 상기 피봇축(P)을 홀딩하기 위한 제4 구동부(520)의 후진 사이클을 반복 구동한다.
상기 제3 구동부(510)는 상기 상측 고정부재(114)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승강부(430)가 구동하여 상승한 상기 제2 이동부재(420)의 제2 위치 제한 홈(422)인 피봇축(P)의 홀딩 위치에서 홀딩한 후 상기 승강지그(112)의 상측인 브래킷(B) 조립 위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이며,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한 다른 것으로 대체 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c 참조)
상기 제4 구동부(520)는 상기 제3 구동부(510)의 구동축 끝단에 구비된 제3 이동부재(512)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브래킷(B)이 결합한 상기 피봇축(P)을 언로딩하기 위한 위치 및 상기 제2 승강부(430)의 2차 상승한 홀딩 위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이며,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한 다른 것으로 대체 가능하다. (도 5a 내지 도 5c 참조)
상기 제2 홀딩부(530)는 상기 제4 구동(520)부의 구동축 끝단에 구비된 제4 이동부재(522)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피봇축(P)의 끝단을 홀딩 또는 언홀딩하며, 상기 피봇축(P)의 후단을 양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홀딩할 수 있도록 수평 방향으로 한 쌍씩 양측에 구비되는 선형바 형태이다.
더욱이, 상기 제2 홀딩부(530)는 상기 제3 구동부(510)의 구동축이 후진된 상태이면 홀딩된 피봇축(P)의 굴절된 선단이 상기 고정지그(116)의 홈(116a) 내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제3 구동부(510)의 구동축이 전진된 상태이면 상기 피봇축 로딩수단(400)의 상기 제2 위치 제한 홈(422) 상측인 피봇축(P) 로딩 위치와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상기 승강수단(600)은 상기 작업대(110)의 저면 중심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지그(112)에 위치된 브래킷(B)의 피봇축 삽입공(H)을 상기 피봇축(P)에 결합할 수 있도록 이 승강지그(112)의 상면이 상기 고정지그(116)의 저면까지 상승시킨 후 하강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실린더이며, 직선 왕복 이동이 가능한 다른 것으로 대체 가능하다.
상기 제어수단은 제1 구동부(240), 제2 구동부(320), 제3 구동부(510), 제4 구동부(520), 제1 승강부(310), 제2 승강부(430), 제3 승강부 및 승강수단(600)의 전, 후 또는 상, 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 있도록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각각의 센서(도면에 미도시)에서 신호를 입력받아 후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진행 과정을 제어하며, 특정 알고리즘(Algorithm)을 프로그램으로 기술하여 공정 진행 순서 및 위치에 대한 제어 값 등을 선택하고 제어한다.
더욱이, 상기 제1 구동부(240), 제2 구동부(320), 제3 구동부(510), 제4 구동부(520), 제1 승강부(310), 제2 승강부(430), 제3 승강부 및 승강수단(600)은 공압 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며, 에어를 압축기(Compressor: 도면에 미도시)에서 공급 받는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의 공정 진행 과정은 우선, 상기 작업대(110)의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진동 공급부(210)에서 공정 전의 좌우 브래킷(B)을 이와 각각 연결된 제1 컨베이어부(220)에 각각 공급하며, 상기 제1 컨베이어부(220)를 따라 각각 이동하는 브래킷(B)이 상기 제1 이동부재(230)의 제1 위치 제한 홈(234)에 각각 위치된다.
이때, 상기 제1 컨베이어부(220)에는 이동하는 상기 브래킷(B) 중 상기 위치 제한 홈(234)에 브래킷(B)이 위치되면 센서(도면에 미도시)의 감지에 의해 상기 제어수단으로 하여금 작동이 일시 중지된 후 상기 제1 위치 제한 홈(234)에 로딩된 브래킷(B)에 후방 브래킷(B)이 근접하도록 위치되면 후방으로 작동하여 간격을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1 구동부(240)가 전진 구동하여 구동축 끝단에 고정되는 제1 이동부재(230)가 상기 승강지그(112)와 수평선상에 위치되며 상기 틸팅부재(232)가 구동하면서 상기 제1 홀딩부(330)의 삽입부재(332)와 수직선상에 일치되도록 각각 틸팅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제1 승강부(310)가 하강 구동하면 상기 제1 위치 제한 홈(234) 상에 로딩된 브래킷(B)을 상기 제1 홀딩부(330)의 삽입부재(332)가 브래킷(B)의 피봇축 삽입공(H) 내부로 진입하면서 외측으로 각각 이동하여 홀딩한 후 제1 승강부(310)가 상승 구동하고 상기 제2 구동부(320)가 전진 구동하여 상기 승강지그(112)의 안착홈(112a) 상에 상기 브래킷(B)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1 홀딩부(330)에서 상기 삽입부재(332)를 내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피봇축 삽입공(H)에서 삽입부재(332)에서 이탈되면 상기 제1 위치 제한 홈(234)으로 제1 홀딩부(330)를 역순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브래킷(B)의 로딩이 시작됨과 동시에 상기 피봇축 로딩수단(400)이 구동되어 상기 피봇축(P)을 로딩시키되 상기 제2 컨베이어부(410)에서 수동 등에 의해 "┌" 자로 피봇축(P)을 연속 로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피봇축(P)이 상기 제2 컨베이어부(410)의 내측단에 구비된 제2 이동부재(420)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 위치 제한 홈(422)으로 위치되면 이동 정지된다.
이때, 상기 제2 컨베이어부(410)에는 이동하는 상기 피봇축(P) 중 상기 제2 위치 제한 홈(422)에 위치되면 센서(도면에 미도시)의 감지에 의해 상기 제어수단으로 하여금 작동이 일시 중지된 후 상기 제2 위치 제한 홈(422)에 로딩된 피봇축(P)에 후방 피봇축(P)이 근접하도록 위치되면 후방으로 작동하여 간격을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이동부재(420)의 제2 위치 제한 홈(422)에 위치된 피봇축(P)이 제2 이동부재(420)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2 승강부(430)의 상승 구동으로 홀딩 대기 위치만큼 1차 상승한 후 상기 제2 이송수단(500)의 제2 홀딩부(530)가 상기 브래킷(B)에 피봇축(P)이 결합 완료되어 언로딩 시키기 위해 빠진 상태이면 상기 제2 승강부(430)가 피봇축(P)의 홀딩 위치까지 더 상승 구동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4 구동부(520)의 구동축이 후진 구동되어 상기 제2 홀딩부(530)가 상기 피봇축(P)의 후단에 위치되면 제2 홀딩부(530)의 선단을 내측으로 이동시켜 피봇축(P)을 홀딩하고 상기 제3 구동부(510)의 구동축이 후진 구동하여 상기 고정지그(116)의 홈(116a) 내부에 피봇축(P)의 굴절된 선단을 위치되게 한다. 이 상태는 상기 승강지그(112)의 안착홈(112a)에 안착된 브래킷(B)의 피봇축 삽입공(H)과 홀딩 위치로 이동된 피봇축(P)의 굴절된 수직 부위가 수직선상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승강수단(600)이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승강 구동되어 상기 작업대(110)가 상기 가이드(118)를 따라 상승하며 상기 승강지그(112)의 안착홈(112a)에 안착된 브래킷(B)의 피봇축 삽입공(H)을 상기 고정지그(116)의 홈(116a) 내부에 위치된 피봇축(P)의 수직 부위 하단이 설정 깊이로 삽입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작업대(110)는 상기 승강수단(600)의 하강 구동에 의해 원위치로 하강하여 재차 제1 이송수단(300)에 의해 브래킷(B)을 안착홈(112a)에 안착시키며 상기 제3 구동부(510)가 전진 구동한 후 바로 상기 제4 구동부(520)가 전진 구동하여 브래킷(B)이 결합된 피봇축(P)을 언로딩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브래킷을 로딩시키는 브래킷 로딩수단;
    상기 브래킷 로딩수단에서 로딩된 브래킷을 작업대의 승강지그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수단;
    상기 브래킷이 결합될 수 있도록 피봇축을 로딩시키는 피봇축 로딩수단;
    상기 피봇축 로딩수단에서 로딩된 피봇축을 상기 브래킷의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수단; 및
    상기 작업대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지그에 위치된 브래킷을 상기 피봇축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승시키는 승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구비된 상측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가이드를 따라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로딩수단은,
    상기 브래킷을 진동에 의해 연속 공급하는 진동 공급부;
    상기 진동 공급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브래킷을 상기 작업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컨베이어부;
    상기 제1 컨베이어부의 타단에 별도로 구비되며 상면에 상기 브래킷의 이동 위치를 제한하는 제1 위치 제한 홈이 형성되는 제1 이동부재; 및
    상기 제1 이동부재가 상기 제1 컨베이어부 또는 상기 승강지그와 일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전, 후진시키는 제1 구동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부재의 제1 위치 제한 홈은 로딩되는 상기 브래킷의 피봇축 삽입공이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틸팅(Tilt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수단은,
    상기 제1 이동부재에 위치된 브래킷의 홀딩 위치로 하강한 후 수평 이동하기 위해 상승하고 상기 승강지그 상의 언홀딩 위치로 하강하게 하는 제1 승강부;
    상기 제1 승강부의 구동축 끝단에 구비되는 제1 승강부재에 수평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브래킷의 홀딩 위치와 언홀딩 위치로 전, 후 이동되게 하는 제2 구동부; 및
    상기 제2 구동부의 선단에 구비되며 하부에 상기 브래킷의 피봇축 삽입공에 삽입되어 홀딩(Holding)하는 제1 홀딩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축 로딩수단은,
    상기 피봇축을 상기 작업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컨베이어부;
    상기 제2 컨베이어부의 끝단에 별도로 구비되어 상기 피봇축의 이동 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제2 위치 제한 홈이 형성되는 제2 이동부재; 및
    상기 제2 이동부재의 저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이동수단이 상기 피봇축을 홀딩하기 위한 준비 위치까지 상승시킨 후 상기 피봇축의 홀딩 위치까지 더 상승시키는 제2 승강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수단은,
    상기 상측 고정부재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며 상기 제2 이동부재에 위치된 피봇축을 홀딩 위치에서 홀딩하여 상기 승강지그의 상측인 브래킷 조립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3 구동부;
    상기 제3 구동부의 구동축 끝단에 구비된 제3 이동부재의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브래킷에 결합한 상기 피봇축을 언로딩하기 위한 위치 및 홀딩 위치로 이동시키는 제4 구동부; 및
    상기 제4 구동부의 구동축 끝단에 구비된 제4 이동부재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피봇축의 끝단을 홀딩하는 제2 홀딩부;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에 상기 피봇축을 결합한 후 언로딩은 상기 제3 구동부 및 제4 구동부의 구동축이 모두 전진한 위치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지그의 브래킷 언홀딩 위치와 상기 상측 고정부재의 저면에 구비된 고정지그의 저면에 접하도록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 로딩수단, 제1 이동수단, 피봇축 로딩수단, 제2 이동수단은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
KR1020080047073A 2008-05-21 2008-05-21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 KR1009150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073A KR100915002B1 (ko) 2008-05-21 2008-05-21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073A KR100915002B1 (ko) 2008-05-21 2008-05-21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5002B1 true KR100915002B1 (ko) 2009-09-02

Family

ID=41355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073A KR100915002B1 (ko) 2008-05-21 2008-05-21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50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130A (ko) 2021-10-12 2023-04-19 신인학 선바이저의 피봇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178U (ko) * 1997-12-16 1999-07-05 양재신 선바이저의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178U (ko) * 1997-12-16 1999-07-05 양재신 선바이저의 장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130A (ko) 2021-10-12 2023-04-19 신인학 선바이저의 피봇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방법
KR102614721B1 (ko) * 2021-10-12 2023-12-19 신인학 선바이저의 피봇어셈블리 조립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96032B (zh) 一种全自动对位组装机
CN107363509B (zh) 压缩机转子装配系统及装配方法
CN110065227B (zh) 贴合设备
CN207043730U (zh) 专用车后端梁的组装和输送装置
CN210147280U (zh) 一种具有距离检测与压力检测的激光切割机用上下料装置
KR101473459B1 (ko) 헤드라이너 공급 셔틀라인
CN107486701B (zh) 转子压装系统及压装方法
KR100915002B1 (ko) 차량 선바이저의 브래킷과 피봇축 조립시스템
CN215712622U (zh) 一种全自动玻璃激光打标切割设备
KR100449955B1 (ko) 자동차용 시트레일 조립기의 소재 이송방법 및 장치
CN218053066U (zh) 多功能钻孔设备
KR100941719B1 (ko)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KR101293930B1 (ko) 부품박스 적재대
JP2009166987A (ja) 自動倉庫用スタッカークレーンにおける姿勢制御装置
CN105195954B (zh) 汽车踏板的上件焊接装置
CN110849636B (zh) 一种升降式后背门Cubing模块框架及使用方法
CN113526858A (zh) 全自动玻璃激光打标切割设备及其工作方法
CN209664412U (zh) 自动寻边切角机构以及电芯切角设备
CN206857635U (zh) 定位校准装置及定位结构
KR101956150B1 (ko) 핀 자동 삽입장치
CN220363974U (zh) 一种三坐标测量自动输送升降夹紧设备
CN218074965U (zh) 一种三轴支撑平台及使用该三轴支撑平台的眼睛检测设备
CN109434328A (zh) 一种生产线的举升定位机构
CN211392954U (zh) 三角窗搬运装置
CN108705335A (zh) 一种具有自动夹装功能的自动化加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