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990B1 - 가정용 세병기 - Google Patents

가정용 세병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990B1
KR100914990B1 KR1020090036914A KR20090036914A KR100914990B1 KR 100914990 B1 KR100914990 B1 KR 100914990B1 KR 1020090036914 A KR1020090036914 A KR 1020090036914A KR 20090036914 A KR20090036914 A KR 20090036914A KR 100914990 B1 KR100914990 B1 KR 1009149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ut
opening
main body
closing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주
Original Assignee
김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주 filed Critical 김남주
Priority to KR1020090036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9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9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9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CCLEANING, FILLING WITH LIQUIDS OR SEMILIQUIDS, OR EMPTYING, OF BOTTLES, JARS, CANS, CASKS, BARRELS, OR SIMILAR CONTAIN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UNNELS
    • B67C3/00Bottling liquids or semiliquids; Filling jars or can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using bottling or like apparatus; Filling casks or barrels with liquids or semiliquids
    • B67C3/001Cleaning of filling devices
    • B67C3/002Cleaning of filling devices using cups or dummies to be placed under the filling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02Sterilising, e.g. of complete packages
    • B65B55/04Sterilising wrappers or receptacles prior to, or during, packaging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볼이 내장되어 가정에서 사용되는 음료용기의 내부를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는 가정용 세병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는 견고하고 탄력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구형상 또는 다면체 형상의 세척볼과; 병의 주둥이의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는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된 주둥이부와, 상기 주둥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세척볼이 수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어 상기 세척볼이 통과하도록 상기 주둥이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체부의 바닥면에는 세척수가 통과하도록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의 외주벽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가 형성되어, 가정이나 식당에서 입구가 좁은 PET병이나 유리병을 음료수병으로 재활용하고자 할 때 용기 내부의 세척이 간편하고 세척물의 회수가 용이하고, 용기 내부를 세척할 때에 세정수가 용기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정용 세병기{PORTABLE BOTTLE WASHER}
본 발명은 가정용 세병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볼이 내장되어 가정에서 사용되는 음료용기의 내부를 간편하게 세척할 수 있는 가정용 세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식당에서 음료수병인 PET병이나 유리병을 재활용하여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이 간편하기 때문에, PET병이나 유리병에 생수나 음료를 저장하여 물통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PET병이나 유리병의 사용은 제조회사에서 제품을 제조시에 재사용을 염두에 두지 않는 것이고, 용기의 입구가 좁아 세척을 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므로, 재사용을 하는 경우 세균이 증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많았다. 이에 따라 많은 전문가들이 PET병이나 유리병의 음료수병으로서의 재사용시 위생상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정이나 식당에서는 PET병이나 유리병의 재활용시 PET병이나 유리병의 내부를 계란껍질을 이용하여 용기의 내부를 세척하여 재활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세척이 완료된 후 용기 내의 계란껍질을 제거하기 쉽지 않아 불편하고, 계란껍질이 용기 내부에 스크래치를 만들어 스크래치에 물때가 끼거나 세균이 증식하기 더 용이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이나 식당에서 입구가 좁은 PET병이나 유리병을 음료수병으로 재활용하고자 할 때 용기 내부의 세척이 간편하고 세척물의 회수가 용이한 가정용 세병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내부를 세척할 때에 세정수가 용기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는 가정용 세병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는, 견고하고 탄력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구형상 또는 다면체 형상의 세척볼과; 병의 주둥이의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는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된 주둥이부와, 상기 주둥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세척볼이 수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어 상기 세척볼이 통과하도록 상기 주둥이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는 세척수가 통과하도록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외주벽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의 중앙에는 내측으로 수직형성된 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부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체결되며 상기 벽부에 삽입되어 상기 벽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개폐로드와, 상기 개폐로드의 끝단에 체결되고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주둥이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폐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벽부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로드의 외주면에는 상기 벽부의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개폐로드의 외주에는 상기 개폐로드를 감싸는 스프링이 더욱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접철가능한 복수의 개폐관과, 상기 개폐관내에 수용되는 스프링과, 상기 주둥이부의 내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넣어지며 내측에 상기 세척볼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폐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는, 견고하고 탄력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구형상 또는 다면체 형상의 세척볼과; 내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병의 주둥이의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는 주둥이부와, 상기 주둥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세정약품과 상기 세척볼이 수용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주둥이부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에 체결되며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회전손잡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로드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손잡이부의 회전작동에 따라 상기 주둥이부를 개폐하는 폐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주둥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반구형상의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1 본체부에 끼워맞춤되며 상기 제 1 본체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한 구 형상의 제 2 본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본체부의 상부에는 상기 주둥이부에 상응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본체부의 하부에는 다수의 홈과, 상기 홈을 둘러싸도록 구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가 더욱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에 의하면, 가정이나 식당에서 입구가 좁은 PET병이나 유리병을 음료수병으로 재활용하고자 할 때 용기 내부의 세척이 간편하고 세척물의 회수가 용이하고, 용기 내부를 세척할 때에 세정수가 용기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정용 세병기
3 : 세척볼
10 : 본체부
11 : 주둥이부
20 : 개폐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를 실시예로써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1)는, 세척볼(3)과, 주둥이부(11)와, 본체부(10)와, 개폐부(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세척볼(3)은 견고하고 탄력있는 재질로 형성되며, 도시한 바와 같이, 구형상 또는 다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세척하고자 하는 용기내에 투입되어, 용기를 파지하고 흔들때에 용기내측의 벽면에 부딪혀 마찰되어 용기내측을 세척한다.
상기 세척볼은 상기 본체부(10)내에 수용된다. 상기 본체부(10)는 원통형상 또는 다각 기둥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 경사진 테이퍼면을 가지며 테이퍼면의 끝단은 상기 본체부보다 작은 크기의 주둥이부(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둥이부(11)의 내측면에는 나사산(11a)이 형성되어, 세척하고자 하는 용기의 주둥이(2)의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홈(1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10a)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바닥면의 중심을 둘러싸는 복수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정용 세병기(1)를 뒤집어서 상기 주둥이부와 세척하고자 하는 용기의 주둥이부를 나사결합한 후, 상기 홈(10a)을 통하여 수돗물이나 기타 세정수가 상기 세병기를 통해 세척하고자 하는 용기 내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홈(10a)의 크기는 세척수가 통과하기 용이하고, 상기 세척볼이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의 크기이면 좋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외주벽에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13)를 더욱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가정용 세병기(1)를 뒤집어서 상기 홈(10a)을 통하여 수돗물이나 기타 세정수를 주입할 때에 세정수가 상기 본체부의 바깥쪽으로 흘러가거나 하지 않고 넘치지 않도록 하여 세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의 중앙에는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주둥이부측을 향하여 내측으로 수직으로 벽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벽부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개폐로드의 나사산과 나사결합한다.
상기 벽부(12)에는 상기 개폐부(20)가 체결된다. 상기 개폐부(20)는 상기 세척볼(3)과 세척수가 상기 주둥이부를 통과하여 세척하고자 하는 용기내로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주둥이부를 개폐한다.
상기 개폐부(20)는 손잡이부(21)와, 개폐로드(22)와, 폐쇄부재(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21)는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를 파지하고 회전시켜 상기 개폐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21)에는 개폐로드(2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개폐로드(22)의 끝단에는 상기 폐쇄부재(23)가 체결되어 있다. 상기 개폐로드의 하부측 외주면에는 나사산(22a)이 형성되어 상기 벽부(12)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한다.
상기 폐쇄부재(23)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주둥이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를 파지하고 회전시키면 상기 개폐로드의 나사산과 상기 벽부의 나사산의 나사결합에 의하여 상기 개폐로드는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 개폐로드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폐쇄부재가 상기 주둥이부를 개폐하여 상기 주둥이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내의 세척볼이 세척하고자 하는 용기 내로 주입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가정용 세병기를 뒤집은 다음, 세척하고자 하는 용기의 주둥이와 상기 가정용 세병기의 주둥이부를 나사결합한다. 그런 다음,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의 홈을 통해 세정수를 주입함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켜서 상기 개폐부를 상부측, 즉 세병기의 하부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폐쇄부재가 상기 주둥이부를 개방시키면, 상기 주둥이부를 통해 상기 세척볼과 세정수가 세척하고자 하는 용기내로 주입된다. 그런 다음,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켜 상기 주둥이부를 폐쇄시킨 후, 세척하고자 하는 용기를 흔들어서 용기 내부를 상기 세척볼과 세정수를 이용하여 세척한다.
세척이 완료된 후, 상기 가정용 세병기와 세척이 완료된 용기를 다시 뒤집은 다음,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켜 상기 주둥이부를 다시 개방하면, 용기내의 세척볼과 세정수가 상기 주둥이부를 통해 세병기측으로 주입된다. 상기 세척볼은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 걸러져 남고, 세정수만이 상기 홈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가 세정동작이 완료된다.
이로써, 간단한 작동만으로도 입구가 좁은 PET병이나 유리병 등 용기 내부의 세척이 간편하고 세척볼의 회수가 용이하며, 용기 내부를 세척할 때에 세정수가 용기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척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시예 1의 개폐로드의 나사결합 대신에 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이 실시예 1의 구성과 상이하다. 즉, 상기 개폐로드의 외주에는 상기 개폐로드를 감싸는 스프링(24)이 더욱 설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를 들어올리면 상기 폐쇄부재가 상기 주둥이부를 개방하게 되고, 상기 손잡이부를 놓으면 상기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폐쇄부재가 상기 주둥이부를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3>
도 3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시예 1의 개폐로드의 나사결합 대신에 스프링과 개폐관으로 구성한 것과 폐쇄부재의 구성과 벽부의 구성이 실시예 1의 구성과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바닥면에는 벽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예의 개폐부는, 복수의 개폐관(25a, 25b)과, 스프링(26)과, 폐쇄부재(2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개폐관은 서로 접철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관의 내측에는 스프링이 상기 바닥면과 상기 폐쇄부재에 에 맞닿도록 마련되어 있다.
상기 폐쇄부재(27)는 대략 사각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부에는 상기 폐쇄부재의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27a)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폐쇄부재의 바닥면은 세척하고자 하는 용기의 주둥이 끝단면에 맞닿아 상기 본체부의 주둥이부에 세척하고자 하는 용기의 주둥이부를 체결하면 상기 용기의 주둥이부의 끝단이 상기 폐쇄부재의 바닥면에 맞닿아 상기 폐쇄부재를 밀어 올리면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수용되어 있는 세척볼이 상기 관통홀(27a)을 통해 세척하고자 하는 용기측으로 주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시예 4>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는 일회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의 본체부(30)는 병 형상 또는 구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본체부(30)의 내부에는 세정약품과 세척볼이 수용되어 있고, 세정수를 상기 본체부를 통해 주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는 홈이나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는 캡(40)을 구비한다.
상기 캡(40)은, 원통형상의 외측벽(42)과, 상기 캡의 덮개면에 의해 상기 외측벽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외측벽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내측벽(4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측벽과 상기 외측벽의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측벽(41)의 외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주둥이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하여, 상기 주둥이부를 개폐한다.
<실시예 5>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세병기는 본체부의 구성 및 개폐부의 구성이 실시예 1의 구성과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의 본체부(50)는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조의 편의를 위하여 대략 두 개의 반구형상 피스의 결합에 의해 구성되고, 상부 피스에는 주둥이부(51a)가 마련되고, 상기 반구형상 피스의 하부 피스에는 홈(50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둥이부의 구성과 상기 홈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구성과 대략 동일하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지지로드(52)와, 회전손잡이부(53)와, 패쇄부재(5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로드(52)는 상기 본체부의 중심을 관통하며 일측은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손잡이부(53)에 체결된다. 상기 회전손잡이부(53)는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맞닿도록 굴곡져 형성되며, 사용자가 파지하고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대략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폐쇄부재(54)는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서 상기 지지로드(52)에 체결되며,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에 맞닿도록 굴곡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폐쇄부재(54)는 단면에서 볼 때, 원호형상 및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폐쇄부재의 폭은 상기 주둥이부를 폐쇄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이면 좋다.
사용자가 상기 회전손잡이부를 파지하고 회전시키면, 상기 회전손잡이부에 체결된 지지로드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로드에 체결된 상기 폐쇄부재가 상기 본체부 내에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주둥이부를 개폐하게 된다.
<실시예 6>
도 6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는, 본체부의 구성이 상이하고 개폐부를 구비하지 않은 점이 실시예 1의 구성과 상이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가정용 세병기의 본체부는, 제 1 본체부와 제 2 본체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본체부(61)는 주둥이부(63)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주둥이부(63)의 구성은 실시예 1의 주둥이부의 구성과 대략 동일하다. 상기 제 1 본체부(61)는 반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후술하는 제 2 본체부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홈(6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본체부(62)는 대략 구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본체부의 내측면에 서로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끼워맞춤된다. 상기 제 2 본체부의 외측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돌기가 상기 결합홈에 끼워맞춤된다. 상기 제 2 본체부(62)에는 상기 주둥이부(63)에 상응하는 원형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제 2 본체부(62)를 상기 결합홈을 따라 상기 제 1 본체부(61)에 대하여 회동시키면, 상기 제 2 본체부(62)에 마련된 개구도 회동하게 되어, 상기 개구의 회동에 따라 상기 주둥이부와 상기 개구와의 위치에 의해 상기 주둥이부가 개폐된다.
상기 제 2 본체부의 하부에는 다수의 홈(62a)과, 상기 홈(62a)을 둘러싸도록 구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64)가 더욱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과 상기 연장부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 1의 홈과 연장부의 구성과 대략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10)

  1. 견고하고 탄력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구형상 또는 다면체 형상의 세척볼과;
    병의 주둥이의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는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된 주둥이부와;
    상기 주둥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세척볼이 수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체결되어 상기 세척볼이 통과하도록 상기 주둥이부를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세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에는 세척수가 통과하도록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세병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주벽은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세병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의 중앙에는 내측으로 수직형성된 벽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부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체결되며 상기 벽부에 삽입되어 상기 벽부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는 개폐로드와,
    상기 개폐로드의 끝단에 체결되고 탄성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주둥이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폐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세병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벽부의 내측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로드의 외주면에는 상기 벽부의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세병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로드의 외주에는 상기 개폐로드를 감싸는 스프링이 더욱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세병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접철가능한 복수의 개폐관과,
    상기 개폐관내에 수용되는 스프링과,
    상기 주둥이부의 내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넣어지며 내측에 상기 세척볼이 통과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폐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세병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심을 관통하는 지지로드와,
    상기 지지로드에 체결되며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설치되는 회전손잡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측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로드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손잡이부의 회전작동에 따라 상기 주둥이부를 개폐하는 폐쇄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세병기.
  9. 견고하고 탄력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구형상 또는 다면체 형상의 세척볼과;
    병의 주둥이의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는 나사산이 내측에 형성된 주둥이부와;
    상기 주둥이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반구형상의 제 1 본체부와,
    상기 제 1 본체부에 끼워맞춤되며 상기 제 1 본체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한 구 형상의 제 2 본체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본체부의 상부에는 상기 주둥이부에 상응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본체부의 하부에는 다수의 홈과, 상기 홈을 둘러싸도록 구의 외주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연장부가 더욱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세병기.
  10. 견고하고 탄력있는 재질로 형성되는 구형상 또는 다면체 형상의 세척볼과;
    내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병의 주둥이의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는 주둥이부와,
    상기 주둥이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세정약품과 상기 세척볼이 수용되어 있는 본체부와,
    상기 주둥이부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하는 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세병기.
KR1020090036914A 2009-04-28 2009-04-28 가정용 세병기 KR1009149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914A KR100914990B1 (ko) 2009-04-28 2009-04-28 가정용 세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6914A KR100914990B1 (ko) 2009-04-28 2009-04-28 가정용 세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990B1 true KR100914990B1 (ko) 2009-09-02

Family

ID=41355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6914A KR100914990B1 (ko) 2009-04-28 2009-04-28 가정용 세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9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6833A (ko) 2022-07-29 2024-02-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폐음료 수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5600A (en) * 1987-03-04 1989-10-24 Union Generale De Savonnerie Device for dosing and dispensing a fluid product to be deposited freely in the mobile enclosure of a machine
KR200436812Y1 (ko) * 2006-11-06 2007-10-05 문지영 병 세척용 알갱이 및 그 보관 용기
US7318555B1 (en) * 2006-07-12 2008-01-15 Toyo Seikan Kaisha, Ltd. Bottle washing nozzle
KR20090027617A (ko) * 2006-06-09 2009-03-17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병 용기의 살균·세정용 비삽입 노즐 및 병 용기의 내면 살균·세정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75600A (en) * 1987-03-04 1989-10-24 Union Generale De Savonnerie Device for dosing and dispensing a fluid product to be deposited freely in the mobile enclosure of a machine
KR20090027617A (ko) * 2006-06-09 2009-03-17 도요 세이칸 가부시키가이샤 병 용기의 살균·세정용 비삽입 노즐 및 병 용기의 내면 살균·세정 방법
US7318555B1 (en) * 2006-07-12 2008-01-15 Toyo Seikan Kaisha, Ltd. Bottle washing nozzle
KR200436812Y1 (ko) * 2006-11-06 2007-10-05 문지영 병 세척용 알갱이 및 그 보관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6833A (ko) 2022-07-29 2024-02-0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폐음료 수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4895B2 (en) Beverage container with one-handed operation
US20060180585A1 (en) Twist up spout for beverage container
JP2019048291A (ja) 容器クリーニング装置
KR20050094277A (ko) 용기의 마개
KR100914990B1 (ko) 가정용 세병기
EP4104710A1 (en) Multifunctional bottle lid assembly
KR20220000965A (ko) 물의 유동을 감소하는 운동용 텀블러
CN209594705U (zh) 水果清洗篮
KR101260230B1 (ko) 원터치캡이 구비된 튜브용기
KR200436812Y1 (ko) 병 세척용 알갱이 및 그 보관 용기
KR101252381B1 (ko) 용기 세척장치
KR100823398B1 (ko) 유출구의 개폐가 용이한 병뚜껑
KR100808542B1 (ko) 손잡이가 구비된 용기 뚜껑
US8607395B2 (en) Carboy cleaner
CN205113882U (zh) 一种易清洗节能环保水桶
KR101311199B1 (ko) 이종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KR200475233Y1 (ko) 주류 용기
KR20100004978U (ko) 분리형 음료용기
CN209186267U (zh) 拼色360度自由吸饮水杯
KR101241186B1 (ko) 하부 배출형 물뿌리개
KR200307225Y1 (ko) 젖병
KR20220099697A (ko) 마개
RU33560U1 (ru) Пробка для пластиковых бутылок
KR200403814Y1 (ko) 뚜껑
KR101218644B1 (ko) 음료용기용 분리식 걸림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