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934B1 - 브이오아피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브이오아피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및 그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934B1
KR100914934B1 KR1020070118158A KR20070118158A KR100914934B1 KR 100914934 B1 KR100914934 B1 KR 100914934B1 KR 1020070118158 A KR1020070118158 A KR 1020070118158A KR 20070118158 A KR20070118158 A KR 20070118158A KR 100914934 B1 KR100914934 B1 KR 100914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data
streaming
client
setting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1665A (ko
Inventor
이민석
성관제
최현진
Original Assignee
(주)휴리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휴리브 filed Critical (주)휴리브
Priority to KR1020070118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934B1/ko
Publication of KR20090051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1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9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운드 설정정보에 의한 사운드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의사표현과 감정 및 의도를 사운드를 통하여 표현할 수 있는 VoIP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그룹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사운드(Sound) 데이터 및/또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사운드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여 관리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로부터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사운드 데이터를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로 출력하는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 및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로부터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브이오아피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OLLING SOUND IN VOICE COMMUNICATION US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본 발명은 사운드 설정정보에 의한 사운드를 제어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VoIP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 간단한 의사 ㅍ표현과 감정 및 의도를 사운드를 통해 표현할 수 있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또는 인터넷을 이용한 채팅 또는 회원간 대화 방법은 통신 에물레이터나 웹 브라우저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채팅이나 대화 방법은 가상의 공간에 여러 명이 참여해서 대화를 주고 받는 방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즉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가 소정의 통신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들은 단순한 키보드 입력방식에 의한 대화 전송방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종래의 통신그룹을 형성하는 클라이언트 간 키보드 입력방식에 의한 대화 전송방식은 오프라인 상으로 대화를 나누는 것에 비해 상대방의 감정, 표정, 또는 의도 등을 파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아바타 또는 이모티콘 등이 있으나, 상기 아바타 또는 상기 이모티콘 역시, 감정을 표현하고자 하는 클라이언트의 니즈(Needs)를 만족시키기는 부족한 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음성통신을 통한 음성채팅이 있다. 상기 음성채팅은 문자 채팅 창을 이용하지 아니하고, 음성으로만 대화하기 때문에 특정 클라이언트의 입장/퇴장, 또는 초대와 같은 통신그룹 상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다른 클라이언트들은 파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음성통신을 통한 음성채팅에서의 감정, 표정, 또는 의도 등을 표현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VoIP를 이용한 다자간 양방향 음성통신에서의 클라이언트의 음성통신그룹에 대한 특정 이벤트 발생 시에 상기 통신그룹에 속한 클라이언트에게 미리 설정된 사운드를 전달하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자간 양방향 음성통신의 음성대화방식을 보완하여 상대방의 감정, 표정, 또는 의도 등을 표현할 수 있는 VoIP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감정, 표정, 또는 의도를 표현할 수 있는 사운드를 통신그룹에 속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여, 통신그룹에 속한 클라이언트의 새로운 표현방식에 대한 니즈를 만족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에 인스톨되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운드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다양한 감정, 표정, 또는 의도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그룹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사운드(Sound) 데이터 및/또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사운드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여 관리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로부터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사운드 데이터를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로 출력하는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 및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로부터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그룹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사운드 데이터 및/또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사운드 설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로 출력하는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 및 상기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로부터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측에 따르면,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에서의 사운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그룹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 및/또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사운드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에서, 상기 사운드 데이터 및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및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에서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로부터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에서의 사운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그룹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 및/또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사운드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에서 상기 수신된 사운드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VoIP를 이용한 다자간 양방향 음성통신에서의 클라이언트의 음성통신그룹에 대한 특정 이벤트 발생 시에 상기 통신그룹에 속한 클라이언트에게 미리 설정된 사운드를 전달하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자간 양방향 음성통신의 음성대화방식을 보완하여 상대방의 감정, 표정, 또는 의도 등을 표현할 수 있는 VoIP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감정, 표정, 또는 의도를 표현할 수 있는 사운드를 통신그룹에 속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여, 통신그룹에 속한 클라이언트의 새로운 표현방식에 대한 니즈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클라이언트에 인스톨되는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운드 제어 시스템에서 상기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다양한 감정, 표정, 또는 의도를 표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VoIP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제어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VoIP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에서의 사운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VoIP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에서의 사운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운드 설정정보를 생성 및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와 사운드 제어 시스템 간 음성멘트 사운드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VoIP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VoIP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VoIP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100)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110),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Streaming Provider Server)(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210, 220, 230, 240)는 통신그룹(200)을 형성하는 클라이언트(210, 220, 240)와 통신그룹(200)을 형성하지 아니하는 클라이언트(230)를 포함한다. 또한, 클라이언트(210, 220, 230, 240)는 각각 사운드 제어 시스템(100)과 연동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211, 221, 231, 241)을 포함한다.
또한, 소정의 통신 서버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210, 220, 230, 240)로부터 클라이언트 정보, 통신그룹 형성 요청 정보, 통신그룹 입장 요청 정보, 및 사운드 송수신 허용/차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그룹 형성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그룹에 대한 통신그룹 정보 및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211, 221, 231, 241)을 전송한다.
상기 통신 서버는 클라이언트(210, 220, 230, 240)로부터 클라이언트(210, 220, 230, 240)가 생성하고자 하는 통신그룹(200)에 대한 채널 정보 및 통신그룹 생성 및 입장에 필요한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통신그룹 형성 정보를 수신하고, 아울러 상기 클라이언트의 ID와 클라이언트 IP 어드레스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정보 및 사운드 송수신 허용/차단 정보를 수신하여 통신 그룹(200)이 생성된다. 통신그룹(200)의 형성과 입장에 필요한 통신그룹(200)의 패스워드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통신 서버는 통신그룹(200) 형성 요청 정보에 대응하는 통신그룹(200)을 생성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한다. 상기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클라이언트 상에 인스톨되고, 사운드 제어 시스템(100) 상에 상기 클라이어트에 대응하는 사운드 설정정보를 인스톨하며,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 따라 제어부(130)를 통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의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한다.
사운드 제어 시스템(100)은 제어부(130)를 통하여 클라이언트(210, 220, 230, 240)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211, 221, 231, 241)과 연동하고, 통신그룹(200)에 대한 특정 이벤트 발생 시에 클라이언트(210, 220, 230, 240)가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211, 221, 231)를 통하여 사운드 제어 시스템(100)로 설정한 특정 사운드를, 통신그룹(200)에 속한 클라이언트(210, 220, 240) 또는 통신그룹(200)에 속하지 아니하는 클라이언트(230)에게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클라이언트(210, 220, 230)는 통신그룹(200)에 대한 특정 이벤트 발생 시의 사운드 출력에 관한 사운드 설정정보와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사운드 제어 시스템(100)으로 전송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시에는 사운드 설정정보에 따라 사운드 제어 시스템(100)으로부터 사운드 설정정보 및 상기 이벤트에 대한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통신그룹(200)에 속하지 아니한 클라이언트(230)의 통신그룹(200)에 대한 가입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사운드 제어 시스템(100)은 통신그룹(200)에 속하는 클라이언트(210, 220, 240) 중 사운드 송수신 차단 설정을 한 클라이언트(240)를 제외한 클라이언트(210, 220)가 설정한 사운드 설정정보로부터 환영 멘트(announcement)와 관련된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통신그룹(200)에 가입하는 클라이언트(230)에게 전송할 수 있고, 또는 통신그룹(200)에 가입하는 클라이언트(230)가 설정한 사운드 설정정보로부터 가입인사 멘트와 관련된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통신그룹(200)를 형성하고 있던 클라이언트(210, 220, 240) 중 사운드 송수신 허용 설정을 한 클라이언트(210, 220)에게 전송할 수도 있다. 탈퇴 이벤트 또는 초대 이벤트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사운드 제어 시스템(100) 또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110)는 통신그룹(200)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210, 220, 240), 또는 통신그룹(200)을 형성하지 아니하는 클라이언트(230)로부터 사운드 데이터 및/또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사운드 설정정보를 실시간 또는 특정 시점에서 수신하여 저장하여 관리하고, 통신그룹(200)의 마스터 클라이언트로부터는 송수신 허용/차단 정보를 실시간 또는 특정 시점에서 수신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클라이언트(210, 220, 230, 240) 상에 인스톨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211, 221, 231, 241)과 연동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는 클라이언트(210, 220, 230, 240)에 대한 사운드 송수신 허용/차단 정보 및 통신그룹(200)에 대한 이벤트 발생 시의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는 상기 통신그룹에 대한 가입 이벤트, 탈퇴 이벤트, 및 초대 이벤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클라이언트(210, 220, 230, 240)에 저장된 사운드컨텐츠,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211, 221, 231, 241)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사운드컨텐츠, 또는 상기 이벤트 발생 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100) 또는 제어부(130)로부터 수신한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녹음, 변조, 또는 재가공한 사운드컨텐츠일 수 있다.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120)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분류 및 송출하고, 제어부(130)로의 스트리밍에 대한 버퍼링을 관리한다.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120)는 통신그룹(200)에 대한 클라이언트(210, 220, 240)의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110)로부터 사운드 데이터를 독출하고, 제어부(130)의 사운드 설정정보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독출된 사운드 데이터를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로 출력한다. 즉,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120)는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110)로부터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분류 및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제어부(130)는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120)로부터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210, 220, 230)에게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스트리밍한다. 제어부(130)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수(110)에 저장된 사운드 설정정보를 제어하고,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110)에 저장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인덱싱(indexing)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211, 221, 231, 241)은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 및/또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110)로 전송하고, 제어부(130)로부터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는 송수신 모듈부,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 따라, 제어부(130)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코덱 신호를 제어하는 코덱 제어 모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덱 신호는 클라이언트(210, 220, 230, 240)에게 수신되는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 또는 클라이언트(210, 220, 230, 240)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스트리밍 신호의 설정 정보를 포함한다. 즉, 상기 클라이언트 권한 정보는 클라이언트의 말하기/듣기에 관한 권한 설정에 관한 정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는 통신그룹(200)에 속하는 사운드변환지정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운드변환지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본 발명의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120)는 통신그룹(200)에 대한 상기 사운드변환지정 클라이언트의 이벤트 발생 시에 상기 사운드변환지정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제어한다. 즉, 스트리밍 제공 서버부(120)는 상기 사운드변환지정 정보에 대응하여 지정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110)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통신그룹(200)에 속한 클라이언트(210, 220, 240) 중 클라이언트(210)이 마스터(방장)이고, 상기 마스터 클라이언트(210)가 음성변환을 지정한 클라이언트가 클라이언트(220)이라면, 상기 사운드변환지정 클라이언트(220)가 통신그룹(200)에 대하여 탈퇴 이벤트와 같은 특정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클라이언트(210, 220, 230, 240)들에게는 사운드변환지정 클라이언트(220)가 설정한 사운드 설정정보가 아닌, 마스터 클라이언트(210)가 설정한 상기 사운드변환지정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제어된다. 이 경우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 포함된 송수신 허용/차단 정보에 대응하는 특정 클라이언트(240)에게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가 스트리밍 되지 아니할 수도 있다. 즉, 스트리밍 제공 서버부(120)는 상기 사운드변환지정 정보에 대응하여 지정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110)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어부(130)로 전송하여, 제어부(130)는 클라이언트(210, 220, 230)에게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제어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제어 시스템(100)은 P2P(Peer to Peer) 방식으로 클라이언트 간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사운드 제어 시스템(100)은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Streaming Provider Server)(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클라이언트(210, 220, 230, 240)는 통신그룹(200)을 형성하는 클라이언트(210, 220, 240)와 통신그룹(200)을 형성하지 아니하는 클라이언트(230)를 포함한다. 또한, 클라이언트(210, 220, 230, 240)는 각각 사운드 제어 시스템(100)과 연동하기 위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211, 221, 231, 241)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210, 220, 230, 240)는 통신그룹(200)에 대한 특정 이벤트 발생 시의 사운드 출력에 관한 사운드 설정정보와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사운드 데이터를 사운드 제어 시스템(100)으로 전송하여 유지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 시에는 사운드 설정정보에 따라 사운드 제어 시스템(100)으로부터 사운드 설정정보 및 상기 이벤트에 대한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한다.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120)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고,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분류 및 송출하며, 제어부(130)로의 스트리밍에 대한 버퍼링을 관리한다.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120)는 통신그룹(200)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210, 220, 240)로부터 사운드 데이터 및/또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사운드 설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로 출력한다. 또한,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120)는 클라이언트(210, 220, 230, 240) 상에 인스톨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211, 221, 231, 241)과 연동하고,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어부(130)로 전송한다.
제어부(130)는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120)로부터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210, 220, 230, 240)에게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스트리밍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110)에 저장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인덱싱(indexing)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211, 221, 231, 241)은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 및/또는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120)로 전송하고, 제어부(130)로부터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는 송수신 모듈부,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 따라, 제어부(130)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코덱 신호를 제어하는 코덱 제어 모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VoIP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에서의 사운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에서 우선 통신그룹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상에 인스톨(installed)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데이터 및/또는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단계(S310)).
이후,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에서 상기 사운드 데이터 및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한다(단계(S320)).
이후, 상기 통신그룹에 대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를 판단하여(단계(S330)), 상기 통신그룹에 대한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저장된 사운드컨텐츠, 상기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사운드컨텐츠,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 시의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녹음한 사운드컨텐츠일 수 있다.
즉, 상기 통신그룹에 대한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단계(S330)), 상기 이벤트 발생의 대상 클라이언트가 상기 통신그룹의 마스터(방장)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사운드변환지정 클라이언트인 지를 판단한다(단계(S340)).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는 상기 통신그룹에 대한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벤트 발생 시의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의 대상 클라이언트가 상기 사운드변환지정 클라이언트가 아닌 경우, 스트리밍 제공 서버부에서 상기 이벤트 발생의 대상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사운드 설정정보에 포함된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로부터 사운드 데이터를 분류 및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출력한다(단계(S350)). 이후, 제어부에서 상기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로부터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스트리밍한다(단계(S370)).
그러나, 상기 이벤트 발생의 대상 클라이언트가 상기 사운드변환지정 클라이언트인 경우(단계(S340)), 상기 사운드변환지정 정보에 대응하여 지정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로부터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사운드 데이터를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로 출력한다(단계(S360)).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는 상기 통신그룹에 속하는 사운드변환지정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운드변환지정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제어부에서 상기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로부터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스트리밍한다(단계(S370)).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VoIP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에서의 사운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통신그룹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 상에 인스톨(installed)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사용자로부터 사운드 데이터 및/또는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단계(S410)).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저장된 사운드컨텐츠, 상기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사운드컨텐츠, 또는 특정 이벤트 발생 시의 밴드 서버부로부터 수신한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녹음한 사운드컨텐츠일 수 있다.
이후, 상기 통신그룹에 대한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지를 판단하여(단계(S420)), 상기 통신그룹에 대한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사운드 데이터를 전송한다. 상기 이벤트는 상기 통신그룹에 대한 가입 이벤트, 탈퇴 이벤트, 및 초대 이벤트를 포함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 즉, 상기 통신그룹에 대한 상기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 발생의 대상 클라이언트가 상기 통신그룹의 마스터(방장)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사운드변환지정 클라이언트인 지를 판단한다(단계(S430)).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는 상기 통신그룹에 대한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벤트 발생 시의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발생의 대상 클라이언트가 상기 사운드변환지정 클라이언트가 아닌 경우, 스트리밍 제공 서버부에서 상기 이벤트 발생의 대상 클라이언트가 설정한 사운드 설정정보에 포함된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출력한다(단계(S440)). 이후, 제어부에서 상기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로부터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스트리밍한다(단계(S460)).
그러나, 상기 이벤트 발생의 대상 클라이언트가 상기 사운드변환지정 클라이언트인 경우(단계(S430)), 상기 사운드변환지정 정보에 대응하여 지정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로 출력한다(단계(S450)).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는 상기 통신그룹에 속하는 사운드변환지정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운드변환지정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제어부에서 상기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로부터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스트리밍한다(단계(S460)).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운드 설정정보를 생성 및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운드는 각종 음성멘트, 또는 음향 효과(예를 들어 동물소리, 바람소리, 기침소리, 등등)을 포함한다. 도 5 및 도 6에서는 상기 사운드 중 상기 음성멘트일 경우를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500)는 '멘트 보관함' 이라는 제목 하에 통신그룹에 대한 이벤트 발생 시 클라이언트에게 출력될 수 있는 음성멘트 사운드를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즉, 상기 사용자는 이벤트 선택 목록(510)에서 특정 이벤트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이벤트에 대한 출력될 음성멘트 사운드 데이터의 지정이 가능하다. 상기 지정된 음성멘트 사운드 데이터는 소정의 구매 서버로부터 구입한 구매 음성멘트 사운드 목록(530)의 리스트(540)과 사용자 본인이 직접 제작한 음성 멘트 목록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상기 사용자는 방 입장 이벤트 발생 시 통신그룹의 클라이언트에게 출력될 수 있고, '구매한 멘트'라는 제목의 구매 음성멘트 사운드 목록(530)에서 특정 구매 음성멘트 사운드를 선택하였음을 도시하고 있다. 즉 선택된 상기 구매 음성멘트 사운드는 '이용 중'이라는 태그로 식별 가능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600)는 '멘트 보관함' 이라는 제목 하에 통신그룹에 대한 이벤트 발생 시 클라이언트에게 출력될 수 있는 음성멘트 사운드를 설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한다. 즉, 상기 사용자는 이벤트 선택 목록(610)에서 특정 이벤트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특정 이벤트에 대한 출력될 음성멘트 사운드 데이터의 지정이 가능하다. 상기 지정된 음성멘트 사운드 데이터는 소정의 구매 서버로부터 구입한 구매 음성멘트 사운드 목록의 리스트와 사용자 본인이 직접 제작한 음성 멘트 목록(620)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상기 사용자는 방 퇴장 이벤트 발생 시 통신그룹의 클라이언트에게 출력될 수 있고, '내가 만든 멘트'라는 제목의 사용자 제작 음성멘트 사운드 목록(520)에서 클라이언트에 저장된 특정 음성멘트 사운드를 선택할 수 있는 수단(630)을 제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와 사운드 제어 시스템 간 음성멘트 사운드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통신그룹(200)을 형성하는 제1 클라이언트(210)와 제2 클라이언트(220), 및 통신그룹(200)을 형성하지 아니하는 제3 클라이언트(230)로부터 특정 이벤트 발생 시의 클라이언트(210, 220, 230)에게 출력될 음성멘트 사운드 데이터 및 상기 음성멘트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운드 설정정보를 전송한다(단계(S701)). 이후, 사운드 제어 시스템(100)은 상기 사운드 데이터 및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한다(단계(S702)).
통신그룹(200)의 마스터(방장) 클라이언트가 제1 클라이언트(210)라고 가정하면, 상기 마스터 클라이언트인 제1 클라이언트(210)는 통신그룹(200)에 가입되지 아니한 제3 클라이언트(230)에게 초대장을 발송한다(단계(S703)). 상기 초대장 발송 시에 통신그룹(200)에 대해서는 초대 이벤트가 발생하게 되고, 사운드 제어 시스템(100)은 제1 클라이언트(210)가 단계(S701)에서 설정한 상기 사운드 설정 정보로부터 초대 멘트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3 클라이언트(230)로 전송한다(단계(S704)). 즉 제1 클라이언트(210)의 사운드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초대 멘트 스트리밍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후, 초대장을 송부 받은 제3 클라이언트(230)는 통신그룹(200)에 입장하게 되고(단계(S705)), 사운드 제어 시스템(100)은 제3 클라이언트(230)의 사운드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입장 멘트 스트리밍 데이터를 통신그룹(200)에 가입한 제1 클라이언트(210) 및 제2 클라이언트(220)에게 전송한다(단계(S706)). 이 경우 상기 입장 멘트 스트리밍 데이터는 가입 인사에 대한 제3 클라이언트(230)가 특정 구매 서버로부터 구입한 멘트이거나 제3 클라이언트(230)의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사운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에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사운드는 각종 음성멘트, 또는 음향 효과(예를 들어 동물소리, 바람소리, 기침소리, 등등)을 포함한다.
이후, 제3 클라이언트(230)가 통신그룹(200)에 입장하면, 사운드 제어 시스템(100)은 제1 클라이언트(210) 및 제2 클라이언트(220)가 설정한 사운드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환영 멘트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3 클라이언트(230)로 전송한다(단계(S707), 단계(S708)). 즉, 제1 클라이언트(210) 및 제2 클라이언트(220)가 설정한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는, 통신그룹(200)에 입장하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제1 클라이언트(210) 및 제2 클라이언트(220)가 특정 구매 서버로부터 구입한 멘트이거나 제1 클라이언트(210) 및 제2 클라이언트(220)의 사용자 각각이 직접 제작한 사운드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통신그룹(200)에 속한 제2 클라이언트(220)가 통신그룹(200)을 퇴장하면(단계(S709), 사운드 제어 시스템(100)은 제2 클라이언트의 사운드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퇴장 멘트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1 클라이언트(210) 및 제2 클라이언트(220)에게 전송한다.
상기 초대 멘트 스트리밍 데이터, 상기 입장 멘트 스트리밍 데이터, 상기 환영 멘트 스트리밍 데이터, 또는 상기 퇴장 멘트 스트리밍 데이터는 클라이언트(210, 220, 230)가 소정의 구매 서버로부터 구입한 사운드, 직접 제작한 사운드, 또는 음성통신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한 음성을 녹음한 사운드 일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 송수신 허용/차단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가 존재한다면, 송수신 차단 정보에 대응하는 클라이언트에게는 스트리밍 데이터가 출력되지 아니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VoIP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의 사운드 제어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계층으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22)

  1.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그룹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사운드(Sound) 데이터 및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사운드 설정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여 관리하는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로부터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사운드 데이터를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로 출력하는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 및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로부터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상에 인스톨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는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로부터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분류 및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 및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는 송수신 모듈부;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코덱 신호를 제어하는 코덱 제어 모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운드 송수신 허용/차단 정보 및 상기 통신그룹에 대한 이벤트 발생 시의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통신그룹에 대한 가입 이벤트, 탈퇴 이벤트, 또는 초대 이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데이터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저장된 사운드컨텐츠, 상기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사운드컨텐츠, 또는 밴드 서버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녹음, 변조, 또는 재가공한 사운드컨텐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는 상기 통신그룹에 속하는 사운드변환지정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운드변환지정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는
    상기 통신그룹에 대한 상기 사운드변환지정 클라이언트의 이벤트 발생 시에 상기 사운드변환지정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는 상기 사운드변환지정 정보에 대응하여 지정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로부터 독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
  11.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그룹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사운드 데이터 및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사운드 설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로 출력하는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 및
    상기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로부터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는
    상기 클라이언트 상에 인스톨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는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 및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는 송수신 모듈부;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 대한 선택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코덱 신호를 제어하는 코덱 제어 모듈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시스템.
  15.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에서의 사운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그룹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 및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사운드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에서 상기 사운드 데이터 및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를 저장하여 유지하는 단계; 및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에서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로부터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독출하여, 상기 독출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통신그룹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 및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사운드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상에 인스톨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운드 데이터 및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독출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에서 상기 독출된 사운드 데이터를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로 출력하는 단계; 및
    제어부에서 상기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로부터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스트리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운드 송수신 허용/차단 정보 및 상기 통신그룹에 대한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벤트 발생 시의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에 대한 제어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에서 상기 독출된 사운드 데이터를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로 출력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사운드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는 상기 통신그룹에 속하는 사운드변환지정 클라이언트에 대한 사운드변환지정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에서 상기 독출된 사운드 데이터를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로 출력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운드변환지정 정보에 대응하여 지정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서버부로부터 독출하는 단계; 및
    상기 독출된 사운드 데이터를 사운드 스트리밍 데이터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방법.
  20.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에서의 사운드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그룹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 및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사운드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스트리밍 공급 서버부에서 상기 수신된 사운드 설정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운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에게 스트리밍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통신그룹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데이터 및 상기 사운드 데이터에 대한 사운드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클라이언트 상에 인스톨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사용자로부터 상기 사운드 데이터 및 상기 사운드 설정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운드 제어 방법.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70118158A 2007-11-19 2007-11-19 브이오아피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914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158A KR100914934B1 (ko) 2007-11-19 2007-11-19 브이오아피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158A KR100914934B1 (ko) 2007-11-19 2007-11-19 브이오아피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665A KR20090051665A (ko) 2009-05-22
KR100914934B1 true KR100914934B1 (ko) 2009-08-31

Family

ID=40859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158A KR100914934B1 (ko) 2007-11-19 2007-11-19 브이오아피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9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643A (ko) * 2002-10-01 2004-04-08 (주)모이존 동적 아이템을 이용한 채팅 시스템에서 대화서비스 제공방법
KR20040071720A (ko) * 2001-12-12 2004-08-12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텍스트 메시지내에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
KR20070009880A (ko) * 2005-07-14 2007-01-19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서 플래시콘을 제공하는 시스템,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1720A (ko) * 2001-12-12 2004-08-12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텍스트 메시지내에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
KR20040029643A (ko) * 2002-10-01 2004-04-08 (주)모이존 동적 아이템을 이용한 채팅 시스템에서 대화서비스 제공방법
KR20070009880A (ko) * 2005-07-14 2007-01-19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에서 플래시콘을 제공하는 시스템,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1665A (ko) 200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7507B2 (en) Voice-based virtual area navigation
US20210051034A1 (en) System for integrating multiple im networks and social networking websites
US11863336B2 (en) Dynamic virtual environment
JP5536756B2 (ja) オープン・アーキテクチャ・ベースのドメイン依存型リアルタイム多言語通信サービスの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メディア、およびシステム
KR101295209B1 (ko) 클라우드 서버와의 양방향 연동을 통해 파일 공유를 제공하는 그룹 메시징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8266209B2 (en) Templating and provisioning of collaborative facilities for a data-agnostic collaboration service
US10608969B2 (en) Context based virtual area creation
EP3340564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quality-aware recording in large scale collaborate clouds
US20150019729A1 (en) Use of information channels to provide communications in a virtual environment
US20180176269A1 (en) Multimodal stream processing-based cognitive collaboration system
JP5122645B2 (ja) 送信者に選択されている音声項目の対話参加者への提供方法
US20220406021A1 (en) Virtual Reality Experiences and Mechanics
CN114138727A (zh) 在线会议记录共享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KR100914934B1 (ko) 브이오아피를 이용한 음성통신에서의 사운드 제어 시스템및 그 방법
KR102017544B1 (ko) 메신저 플랫폼에 관계없이 복수의 메신저를 이용하는 사용자간 다양한 형식의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화형 ai 에이전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WO2013102545A1 (en) Method for instant communicating between instant messaging clients
KR102448356B1 (ko) 영상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연동하여 대화를 기록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JP6610076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220353223A1 (en) Text command based group listening session playback control
TWM605620U (zh) 智能影音融合系統
KR20190104853A (ko) 복수의 메신저를 이용하는 사용자간 심리스한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화형 ai 에이전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CN116671083A (zh) 交互式代理中的会话编排
Johansson Instant Music & Messaging: Interconnecting music and mess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