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841B1 - 액화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 - Google Patents

액화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841B1
KR100914841B1 KR1020070092255A KR20070092255A KR100914841B1 KR 100914841 B1 KR100914841 B1 KR 100914841B1 KR 1020070092255 A KR1020070092255 A KR 1020070092255A KR 20070092255 A KR20070092255 A KR 20070092255A KR 100914841 B1 KR100914841 B1 KR 100914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d space
center
cargo
floor member
natural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7070A (ko
Inventor
홍주원
강병석
서봉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2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841B1/ko
Publication of KR20090027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8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63B3/52Pillars; Deck gi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Void Space)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종 설비 설치 작업 및 유지 보수를 위한 통로 확보, 각종 배관 설치 구역 확보가 용이하도록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를 단순 통일화 시킬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Void Space) 구조로서,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외곽부재; 상기 외곽부재의 각 변의 중심으로부터 마주하는 타 변의 중심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 내부 공간을 십자(十)로 분할하도록 설치 형성되는 중앙늑판부재; 상기 중앙늑판부재를 기준으로 전후 좌우 방향으로 메쉬(Mesh) 형상으로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어,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재; 및 트렁크데크 상부면 상에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트렁크데크 상부면과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 하부면 사이에 설치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액화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The Structure of void Space For Cargo Machinery Room in LNGC}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Void Space)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종 시설 설치 작업 및 유지 보수를 위한 통로 확보, 각종 배관 설치 구역 확보가 용이하도록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를 단순 통일화 시킬 수 있는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항공기 등 운송수단의 발달로 화물이 전 세계 곳곳으로 신속하게 운송되고 있다. 그러나 석유, 천연가스, 자동차 및 컨테이너를 비롯한 화물의 부피가 매우 크거나, 화물의 무게가 매우 무거운 경우에는 항공기로 운송할 수 없기 때문에 비교적 느리지만 대량의 화물을 일회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선박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천연가스는 선박에 적재되기 전 액화되는 과정을 거쳐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의 형태로 변화된 후 선박에 의해 운송된다.
액화천연가스란 메탄을 주성분으로 하는 천연가스를 1 기압 하에서 약 -163℃ 이하로 온도 하강시킨 것으로, 생산지에서 채취된 천연가스를 액상으로 변화시킨 것을 말한다. 이러한 액화천연가스의 부피는 원 천연가스에 비해 1/600 정도로 작으며, 비중은 0.42로 천연가스에 비해 절반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 이처럼 부피 및 비중이 작은 액화천연가스는 인슐레이션 기능을 갖춘 밀폐 보관 탱크, 즉 선박의 화물창 내에 보관되어 운반될 수 있다.
액화천연가스를 운반하는 선박을 액화천연가스운반선(LNGC: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이라고 하며, 통상의 액화천연가스운반선은 선미 측에 형성된 선원들의 거주구(Deck House)를 제외하고, 나머지 선체 내부 상에 화물창이 구비되어 있다.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은 모스(Moss)형과 멤브레인(Membrane)형으로 나뉘어 지는 데, 모스형 화물창은 둥근 원형으로 선체 데크 상부에 돌출된 형태를 가지며, 멤브레인형 화물창은 선체 내부에 구획 설치된 형태를 갖는다. 그런데, 모스형 화물창은 대형 제작이 어려워 많은 양의 액화천연가스를 운반하기에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대부분의 조선사에선 멤브레인형 화물창을 적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멤브레인형 화물창의 상부 일측에는 화물기계실이 설비되어 있다. 이러한 화물기계실은 인위적으로 액화시켜 화물창 내에 보관해 둔 액화천연가스가 주변 온도, 내부 조건 등으로 인하여 자연 기화된 자연기화가스(BOG: Boiled off Gas)를 다시 재액화 시키는 장치 및 이를 위한 기타 제반 설비들이 부속되어 있다.
이러한 화물기계실은 멤브레인형 화물창의 트렁크데크 상에 보이드 스페이스(Void Space) 상에 형성되어 있는데, 종래의 보이드 스페이스는 도 1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액화천연가스운반선의 화물창(30) 상부 트렁크데크(32) 상에는 블록 공법에 의해 사전 조립된 화물기계실(20)이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트렁크데크(32)와 상기 화물기계실(20) 사이에는 보이드 스페이스(10)가 형성된다.
보이드 스페이스(10)는 화물창(30)의 트렁크데크(32) 상부면과 화물기계실(20)의 하부면이 용접 연결되는 받침 공간으로서, 상기 화물기계실(20)에 필요한 배관 및 전선의 배치는 물론, 기타 다른 기능 수행을 위한 각종 배관 및 전선이 배치되며, 아울러 설치, 보수 및 유지를 위한 작업자의 작업 통로도 배치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종래의 보이드 스페이스(1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도 2을 참조하면, 종래의 보이드 스페이스(10)는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외곽판(12)과, 상기 화물기계실(20)의 하중을 지지하고 각종 변형(예를 들어, 비틀림(Torsion), 굽힘(Bending) 등)으로부터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0)의 형상을 보존하기 위해 복잡하게 설치되는 가로늑판(13), 상기 가로늑판(13)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세로늑판(19) 및 상기 가로늑판(13)과 상기 세로늑판(19)이 없는 보이드 스페이스(10)의 내부 공간 상에 촘촘히 설치되는 각종 보강재(15)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로늑판(13)과 상기 세로늑판(14)의 측면 상에는 다수 개의 홀(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홀(11)은 배관 또는 전선의 설치 또는 배치를 위한 공간으로서의 용도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작업용 통로의 용도로도 활용 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보이드 스페이스(10)는 화물창(30)의 트렁크데크(32) 상부면 상에서 용접 설치되는데,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형성된 상기 가로늑판(13), 상기 세로늑판(19) 및 각종 보강재(15) 등을 갖는 종래의 보이드 스페이스(10)는 많은 용접 면적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많은 용접 면적은 용접 작업 시 발생된 열에 의해 도장이 훼손되는 도장 손상(Paint Damage)의 문제를 유발시켰으며, 이러한 도장 손상 발생 시, 재도장 작업에 수반되는 각종 족장 설치 및 철거에 필요한 작업 시수 증가 등의 문제점이 따랐다.
아울러 종래의 보이드 스페이스(10) 상에는 필요한 각각의 배관 및 전선의 규격에 맞도록 다수 개의 홀(11)이 일부 형성되어 있다. 그라나 기타 다른 용도(예를 들어, 작업 공간, 이동 통로 등)를 위한 추가 홀을 상기 종래의 보이드 스페이스(10) 상에 형성하기에는 그 구조적인 복잡성으로 인하여 많은 어려움이 따랐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각종 설비 설치 작업 및 유지 보수를 위한 통로 확보, 각종 배관 설치 구역 확보가 용이하도록, 개개의 연결 부분이 최소화된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Void Space) 구조로서,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외곽부재; 상기 외곽부재의 각 변의 중심으로부터 마주하는 타 변의 중심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 내부 공간을 십자(十)로 분할하도록 설치 형성되는 중앙늑판부재; 상기 중앙늑판부재를 기준으로 전후 좌우 방향으로 메쉬(Mesh) 형상으로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어,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재; 및 트렁크데크 상부면 상에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트렁크데크 상부면과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 하부면 사이에 설치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중앙늑판부재의 좌우 방향에서,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의 상판 상에 종방향 형성되는 거더부재; 상기 중앙늑판부재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의 상판 상에 횡방향 형성되는 트랜스버스부재; 및 상기 외곽부재의 내측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종늑골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에 따르면, 종래의 보이드 스페이스에 비해 규칙적이며 통일된 배치 형상을 갖는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를 개발함으로써, 용접 면적 최소화를 통해 도장 손상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재도장에 소요되는 작업 시수를 절감함으로써, 제품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인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에 따르면, 종래의 불규칙적이고 복잡했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를 간단하고도 통일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 되어, 각각의 배관, 전선 및 기타 작업을 위한 이동 통로 등을 보다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보이드 스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중 외곽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개략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중 중앙늑판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개략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중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개략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중 보강보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보이드 스페이스 110: 외곽부재
112: 홀 120: 중앙늑판부재
130: 거더부재 140: 트랜스버스부재
150: 종늑골부재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이점 및 본 발명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예시된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개략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중 외곽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개략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중 중앙늑판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개략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중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개략도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중 보강보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액화천연가스운반선의 화물창 트렁크데크 상부에 구비된 화물기계실 하부 보이드 스페이스(Void Space) 구조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화물기계실이란 액화천연가스운반선 내에 보관된 액화천연가스가 자연 기화(Boiled-off) 시, 이를 재액화시키도록 구비된 재액화장치 및 기타 이에 대한 제반 설비들이 형성되어 있는 공간을 말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평면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는 보이드 스페이스(10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는 외곽부재(110)와, 상기 외곽부재(110)의 각 변의 중심으로부터 마주하는 타 변의 중심까지 연장 형성된 중앙늑판부재(120)와, 상기 중앙늑판부재(120)를 기준으로 전후 좌우 방향으로 메쉬(Mesh) 형상으로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된 각종 보강부재(상기 '보강부재'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거더부재(130), 트랜스버스부재(140) 및 종늑골부재(150)이 포함된다.) 및 이렇게 형성된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00)를 트렁크데크(미도시) 상부에 고정 지지시키는 지지부재(미도시)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외곽부재(110)는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100)의 평면 형상에 의존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100)의 평면 형상에 따라 장방형 테두리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외곽부재(110)의 내측 상에는 상기 외곽부재(110)의 각 변의 중심으로부터 이에 대향되는 타 변의 중심까지 십(十)자 형상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중앙늑판부재(120)가 배치된다. 이로써,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00)의 내부 공간은 십자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강부재로서 거더부재(130), 트랜스버스부재(140) 및 종늑골부재(150)를 포함하는데, 상기 거더부재(130)는 상기 중앙늑판부재(120)의 좌우 방향에서,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00)의 상판 상에 종방향으로 형성되어 보이드 스페이스(100)의 구조 강도를 보강해주는 부재이고, 상기 트랜스버스부재(140)는 상기 중앙늑판부재(120)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00)의 상판 상에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보이드 스페이스(100)의 구조 강도를 보강해주는 부재이며, 상기 종늑골부재(150)는 상기 외곽부재(110)의 내측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00)의 구조 강도를 보강해주는 부재이다.
이러한 거더부재(130), 트랜스버스부재(140) 및 종늑골부재(150)로 이루어진 보강부재는 상기 외곽부재(110)의 내측에서 상기 중앙늑판부재(120)를 기준으로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어 전후 좌우 방향으로 메쉬(Mesh) 형상을 형성하는데, 이로써,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00)의 구조적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 중 외곽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물기계실(20)의 하부와 트렁크데크(32)의 상부 사이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외곽부재(110)가 연결 형성된다. 이러한 외곽부재(110)는 보이드 스페이스(100)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상기 화물기계실(20)과 상기 트렁크데크(32)를 연결하는데, 상기 화물기계실(20)의 하중을 보이드 스페이스(100)의 외곽을 따라 상기 트렁크데크(32) 상으로 안정적으로 전달해 줌으로써, 응력 집중을 막아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00)의 변형을 방지한다.
이러한 외곽부재(110)의 측부 상에는 다수의 홀(11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홀(112)은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00) 내부로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는 이동통로의 용도뿐만 아니라 각종 배관, 전선, 케이블 등을 설치 배치 할 수 있는 용도로 이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 중 중앙늑판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중앙늑판부재(120)는 앞서 설명한 도 4의 외곽부재(110)의 내측 상에서 십(十)자 형상으로 배치되어, 보이드 스페이스(100) 내부 공간을 십(十)자 형상으로 4분할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중앙늑판부재(120)는 도 4의 외곽부재(110)와 마찬가지로 화물기계실(20)의 하중을 보이드 스페이스(100)의 내측을 따라 트렁크데크(32)로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중앙늑판부재(120)의 측부 상에는 도 4의 외곽부재(1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다수의 홀(11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홀(112) 역시 상기 외곽부재(110)에서와 마찬가지로, 작업자의 이동통로 용도 및 각종 배관, 전선, 케이블 등의 설치 배치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 중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개략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재(160)는 트렁크데크(32) 상부면 상에 보이드 스페이스(100)의 하부면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트렁크데크(32)의 상부면과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100)의 하부면 사이에 다수 설치 형성되는 부재이다. 이러한 지지부재(160)는 도 4의 외곽부재(110)와 도 5의 중앙늑판부재(120)로 전달되는 화물기계실(20)의 하중을 부분적으로 분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이러한 보이드 스페이스(100)의 구조는 외측 테두리를 따라 도 4의 외곽부재(110), 내측 중앙에서 도 5의 중앙늑판부재(120) 및 상기 지지부재(160)만이 상기 트렁크데크(32) 상에 용접 설치되므로, 하부 구조가 복잡하게 형성되었던 종래의 보이드 스페이스에 비해 용접 면적이 대폭 감소하여, 용접 면적 최소화를 통해 도장 손상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재도장에 소요되는 작업 시수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 중 보강부재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측면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 상의 보강구조는 거더부재(미도시), 트랜스버스부재(140) 및 종늑골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거더부재(미도시) 및 상기 트랜스버스부재(140)는 상기 보이드스페이스(100)의 상판 천정면 상에 형성되는데, 상기 거더부재(미도시)는 상기 중앙늑판부재(120)의 좌우 방향으로, 상기 트랜스버스부재(140)는 상기 중앙늑판부재(120)의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종늑골부재(150)는 도 4의 외곽부재(110)의 내측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거더부재(미도시), 트랜스부재(140) 및 종늑골부재(150)를 포함하는 보강부재는 보이드 스페이스(100)의 구조에 구조적 강도를 키워줌으로써, 화물기계실(20)로부터의 집중 하중 또는 편중 하중으로 인한 변형뿐만 아니라, 기타 외적 요인으로 인한 굽힘 또는 비틀림 변형도 막아준다.
이러한 보강부재는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간격에 의해 제공되는 여유 공간은 각종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타 필요한 배관, 전선, 케이블의 배치 시, 별도의 홀을 추가 천공할 필요가 없어 보이드 스페이스(100) 설계 상 장점이 극대화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또는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Void Space) 구조로서,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외곽부재;
    상기 외곽부재의 각 변의 중심으로부터 마주하는 타 변의 중심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 내부 공간을 십자(十)로 분할하도록 설치 형성되는 중앙늑판부재;
    상기 중앙늑판부재를 기준으로 전후 좌우 방향으로 메쉬(Mesh) 형상으로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되어,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의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재; 및
    트렁크데크 상부면 상에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를 고정시키도록, 상기 트렁크데크 상부면과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 하부면 사이에 설치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중앙늑판부재의 좌우 방향에서,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의 상판 상에 종방향 형성되는 거더부재;
    상기 중앙늑판부재의 전후 방향에서, 상기 보이드 스페이스의 상판 상에 횡방향 형성되는 트랜스버스부재; 및
    상기 외곽부재의 내측면 상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종늑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천연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
KR1020070092255A 2007-09-11 2007-09-11 액화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 KR100914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255A KR100914841B1 (ko) 2007-09-11 2007-09-11 액화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255A KR100914841B1 (ko) 2007-09-11 2007-09-11 액화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070A KR20090027070A (ko) 2009-03-16
KR100914841B1 true KR100914841B1 (ko) 2009-09-02

Family

ID=4069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255A KR100914841B1 (ko) 2007-09-11 2007-09-11 액화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8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2807B1 (ko) 2016-03-18 2017-09-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보이드 스페이스를 구비한 선박 화물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5888A (ko) * 1973-08-01 1975-04-04
JPH09226676A (ja) * 1996-02-23 1997-09-02 Shinkurushima Dock:Kk 独立タンクの保護隔壁
US6009821A (en) * 1998-07-15 2000-01-04 Saudi Arabian Oil Company Double bottom hull for tank ship
KR20050075175A (ko) * 2004-01-16 2005-07-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콘테이너 운반선의 이중저부에 설치되는 늑판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5888A (ko) * 1973-08-01 1975-04-04
JPH09226676A (ja) * 1996-02-23 1997-09-02 Shinkurushima Dock:Kk 独立タンクの保護隔壁
US6009821A (en) * 1998-07-15 2000-01-04 Saudi Arabian Oil Company Double bottom hull for tank ship
KR20050075175A (ko) * 2004-01-16 2005-07-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콘테이너 운반선의 이중저부에 설치되는 늑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070A (ko) 200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8859B1 (ko) 밀봉 단열 탱크
KR20190136623A (ko) 바닥 고정용 브래킷을 갖춘 펌프타워
KR20180078467A (ko) 단위 모듈 리프팅 효율성 향상을 위한 탈착형 러그
KR20120136336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단열구조
KR102125113B1 (ko)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KR100752043B1 (ko) 9% 니켈강을 적용한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탱크건조방법
KR100914841B1 (ko) 액화가스운반선 화물기계실의 보이드 스페이스 구조
CN104094042A (zh) 用于压缩天然气的海上运输的、备有用于进出内部的人孔的可检验的容器
KR20120051486A (ko) 유조선의 액화 가스연료 탱크용 플랫폼
EP2089267B1 (en) Upper structure of cargo tank in lngc
KR20110134188A (ko) Lng 화물창의 이동식 족장 시스템
KR102519035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80115910A (ko)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US20220299164A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compressed fluids
KR102595970B1 (ko) Lng탱크의 펌프타워 지붕용 결합 장치
KR102050940B1 (ko) 족장장치
KR102552637B1 (ko) 액화가스 화물창의 멤브레인 타입 단열박스 및 그의 고정장치
KR102038403B1 (ko) 벽체 고정용 브래킷을 갖춘 펌프타워
KR102581639B1 (ko) 발판 구조물의 레그 지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판 구조물의 지지방법
US20230288027A1 (en) Guiding structure for a tower for loading/unloading a tank intended for storing and/or transporting liquefied gas
KR102519037B1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20031043A (ko) 부유식 해상구조물의 상부지지구조 및 그 방법
KR101334328B1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상부갑판 모듈
KR20180115903A (ko) 액화가스 운반선 및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KR20190047807A (ko) 액화가스 부유식 생산저장하역설비 및 액화가스 운반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