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982B1 -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스트림 처리 기술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스트림 처리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982B1
KR100913982B1 KR1020077012304A KR20077012304A KR100913982B1 KR 100913982 B1 KR100913982 B1 KR 100913982B1 KR 1020077012304 A KR1020077012304 A KR 1020077012304A KR 20077012304 A KR20077012304 A KR 20077012304A KR 100913982 B1 KR100913982 B1 KR 100913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period
data stream
repeating
identifier
time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2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4620A (ko
Inventor
잔네 마린
잔네 테르보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84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4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4/00Wireless channel access
    • H04W74/02Hybrid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Abstract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적어도 한 원격 장치와의 제1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가 반복 시간 주기의 제1부분 도중에 전송된다. 제1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 역시 반복 시간 주기의 제2부분 도중에 전송된다. 예약된 식별자를 이용한 적어도 한 원격 장치로의 제2데이터 스트림 전송이 금지되는 소정 시간 인터벌이 보여진다. 이 시간 인터벌 뒤에 제1데이터 스트림의 종료가 이어진다. 또, 그러한 전송문을 수신할 때, 적어도 소정 시간 인터벌 동안 반복 시간 주기의 제2부분에서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가 누락될 때까지 데이터 스트림이 액티브로 간주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스트림 처리 기술{Techniques for stream hand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이 국제출원은 2004년 11월 2일, "Techniques for Stream Hand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라는 제목으로 출원되어, 그 전체가 참조의 형태로 이 명세서에 포함되는 미국 출원 번호 10/978,417을 우선권 주장한다.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 말해,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스트림들에 식별자를 할당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단거리 무선 근접 네트워크는 보통 백 여 미터 이하의 통신 거리를 가지는 장치들을 포함한다. 장거리 통신을 지원하기 위해, 이러한 근접 네트워크는 흔히 셀룰라 네트워크, 유선 전화통신 네트워크, 및 인터넷 같은 다른 네트워크들과 인터페이스한다. IEEE 802.15.3 및 IEEE 802.15.3a가 단거리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예들이다.
하이 레이트 (high rate) 물리 계층 (PHY) 표준이 현재 IEEE 802.15.3a에 대해 선택되어 있다. 기존의 IEEE 802.15.3 미디어 액세스 제어 계층 (MAC)이 상기 선택된 PHY와 함께 가능한 많이 사용되게 되어 있다. 현재, 남은 두 PHY 후보들이 있다. 이 후보들 중 하나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OFDM)의 주파수 호핑 (hopping)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한다. 다른 후보는 M-ary 바이너리 오프셋 키잉 (Binary offset Keying)에 기반한다. OFDM 제안은 멀티밴드 OFDM (MBO)이라 불린다. 또, IEEE 바깥에서 이 OFDM 제안을 더 발전시키기 위해, 멀티밴드 OFDM 동맹 (MBOA)이라 불리는 새로운 동맹이 결성되었다.
MBO는 OFDM 변조 및 주파수 호핑을 이용한다. MBO 주파수 호핑은, 타임 주파수 코드 (TFC)들 같은 소정 코드들에 따라 다양한 주파수대에서 OFDM 심볼들 각각을 전송하는 일을 수반할 수 있다. 타임 주파수 코드들은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 인터리브 (spread interleaved) 정보를 확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현재, MBOA 내부에서는 IEEE 802.15.3 MAC 계층 대신 OFDM 무리 계층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중간 액세스 제어 (MAC) 계층을 생성하는 데 대한 관심이 존재한다. MBOA MAC의 현 버전은 서로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들의 그룹 (비코닝 그룹(beaconing group)이라 불림)을 포함한다. 비코닝 그룹들의 타이밍은 장치들에 통신 자원들이 할당될 수 있는 " 수퍼프레임들"의 반복 패턴에 기초한다.
MAC 계층들은 장치들 사이에서 프레임이라 불리는 전송들의 교환을 관리한다. 한 MAC 프레임은 다양한 부분(portion)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부분들의 예에 프레임 헤더들 및 프레임 바디(body)들이 포함된다. 프레임 바디는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들 같은 상위 프로토콜 계층들과 결부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페이로드를 포함한다.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들의 예들에 웹 브라우저,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메시징 어플리케이션 등등이 포함된다.
또, MAC 계층들은 자원 할당을 관리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장치는 프레임들을 전송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통신 대역폭의 할당 부분을 요한다. 현 MBOA MAC 제안은 비콘(beacon)들로 불리는 전송을 통해 자원 할당이 수행되는 것을 지원한다. 장치들은 비콘들을 사용해 비(non)-페이로드 정보를 전달한다. 비코닝 그룹내 각 장치마다 비콘들을 전송할 대역폭의 일부가 지정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이 MBOA MAC으로 하여금 분산 제어 방식에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 여러 장치들이 MAC 계층 책임을 분담한다. DRP (Distributed Reservation Protocol, 분산 예약 프로토콜)이라 불리는 분산 채널 액세스 메커니즘이 그러한 책임 분담의 예이다. DRP는 둘 이상의 장치들 간에 일방 접속을 설정 및 해제하는 기본 툴(tool)을 포함한다.
DRP는 장치들이 수퍼프레임의 데이터 부분에 대한 소정 주기(period)를 예약할 수 있게 한다. 예약 설정을 DRP 협의라고 칭한다. 예약을 설정 및 유지하기 위해, 예약을 요청한 장치가 자신의 비콘 슬롯 중에 DRP 정보 요소 (DRP IE)를 전송한다. 그 예약에 대한 피어 (peer) 장치(들) 역시 자신들 각자의 비콘 슬롯들 안에서 DRP IE를 전송한다. 이 장치들은 예약이 존재하는 동안 각각의 수퍼프레임에 대한 각자의 비콘 슬롯들 안에서 DRP IE를 지속적으로 전송한다. 한 번의 예약은 가령 한 스트림에 대해 이뤄질 수 있다.
장치들은 무선 전송 환경 및 장치 이동성과 같은 다양한 이유로, 전송된 DRP IE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불행히도, 현 MBOA MAC 사양 (버전 0.72, 2004년 10월 20일)은 그러한 이벤트를 다루기 위한 강력한 접근 방식을 제공하고 있지 못하 다. 대신 비콘을 누락하는 것은 장치들로 하여금 스트림 상태에 대한 일관되지 못한 전망들을 갖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접근방식이 필요로 된다.
본 발명은 스트림 처리에 관한 기술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한 방법을 통해, 적어도 한 원격 장치을 통해 제1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가 반복 시간 주기의 제1부분 (가령, 한 개 이상의 미디어 액세스 슬롯들) 동안 전송된다. 또, 제1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를 포함한 제어 정보가 반복 시간 주기의 제2부분 (가령, 비콘 (beacon) 슬롯) 중에 전송된다. 이 방법은 소정 시간 인터벌에 대해 제1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를 예약하며, 그 인터벌 중에는 상기 예약된 식별자를 사용하는 적어도 한 원격 장치로의 제2데이터 스트림 전송이 금지된다. 이러한 시간 인터벌 다음에 바로 제1데이터 스트림의 전송이 뒤따른다.
본 발명의 다른 방법에 따르면, 한 개 이상의 원격 장치들을 통한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가, 반복 시간 주기의 제1부분 (가령, 한 개 이상의 미디어 액세스 슬롯들) 중에 수신된다. 또, 제어 정보가 반복 시간 주기의 제2부분 (가령, 비콘 슬롯) 중에 수신된다. 이 제어 정보는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가 적어도 소정 시간 인터벌 동안 반복 시간 주기의 제2부분에서 누락될 때까지 데이터 스트림이 액티브 상태라고 간주한다. 또, 이 방법은 반복 시간 주기의 제2부분 도중에 스트림 중단 통지가 수신될 때까지 데이터 스트림이 액티브 상태라고 간주할 것이다.
반복 시간 주기는 MBOA 수퍼프레임일 수 있다. 따라서, 제2부분은 각 반복 시간 주기 출현 중에 제1부분에 선행할 수 있다. 시간 인터벌은 반복 시간 주기의 두 회 이상의 연속 출현일 수 있다. 또, 시간 주기는 MBOA 파라미터 mMaxLostBeacons로 명시될 수 있다.
식별자는 세 비트 바이너리 값 같은 수치일 수 있다. 식별자가 분산 예약 프로토콜 정보 요소 (DRP IE) 안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식별자는 사용가능한 스트림 ID 넘버들의 세트로부터 무작위로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을 제공하는 장치 또한 제안한다. 여기에 더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징들을 제공하기 위해 컴퓨터 시스템 안의 프로세서를 작동시키도록 컴퓨터 프로그램 로직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또한 제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이점들이 이하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을 통해 자명해질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일반적으로 동일하거나 기능적으로 유사하고/거나 구조적으로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낸다. 한 요소가 최초로 나타나는 도면은 참조부호의 맨 왼쪽 (leftmost) 디지트(들)로서 지시된다. 본 발명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해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전형적 동작 환경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전형적 MBOA 수퍼프레임 포맷을 보인 도면이다;
도 3a 및 3b는 전형적 통신 시나리오에 대한 도면들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동작들의 흐름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형적 무선 통신 장치 구조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장치의 전형적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I. 동작 환경
본 발명을 세부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먼저 본 발명의 활용될 수 있는 환경을 설명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도 1은 그에 따른 전형적인 동작 환경도이다. 이 환경은 여러 비코닝 (beaconing) 그룹들(101)을 포함하며, 그 각 그룹마다 복수의 장치들(10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은 멤버 장치 (DEV)들 (102a-e)을 포함하는 비코닝 그룹(101a)을 보인다. 도 1은 또한 DEV들(102f, 102g, 및 102h)를 포함하는 비코닝 그룹(101b) 역시 보인다.
비코닝 그룹(101a)에서, DEV들(102a-d) 각각은 해당 링크(120)를 통해 DEV(102e)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링크(120a)를 통해 DEV(102e)와 통신하는 DEV(102a)를 보인다. 또, 비코닝 그룹(101a)에서, 장치들(102a-e) 각각은 서로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직접 링크(122a)를 통해 통신하는 DEV들(102c 및 102d)을 보인다.
비코닝 그룹(10b)에서, DEV들(102f 및 102g) 각각은 해당 링크(120)를 통해 DEV(102h)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EV(102f)는 링크(120f)를 통해 DEV(102h)와 통신하고, 한편 DEV(102g)는 링크(120g)를 통해 DEV(102h)와 통신한 다. 비코닝 그룹(101b) 내 DEV들(102f 및 102g) 역시 서로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링크(122b)를 통해 통신하는 DEV들(102f 및 102g)을 보이고 있다.
링크들(122 및 120) 각각은 다양한 주파수 호핑(hopping) 패턴들을 채용한다. 이러한 패턴들에는, 가령, 하나 이상의 TFC들 (Time Frequency Codes)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비코닝 그룹(101)은 특정 주파수 호핑 패턴을 이용한다. 그 패턴들은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다.
비코닝 그룹들 (101a 및 101b)의 전송은 각각 수퍼프레임이라 불리는 반복 패턴에 기반한다. 도 2는 그에 따른 전형적 MBOA 수퍼프레임 포맷을 보인 도면이다. 특히, 도 2는 수퍼프레임들(202a, 202b, 및 202c)을 가진 프레임 포맷을 보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퍼프레임(202a) 바로 뒤에 수퍼프레임(202b)이 E따라오고, 수퍼프레임(202b) 바로 뒤에 수퍼프레임(202c)이 따라온다.
각각의 수퍼프레임(202)은 비콘기 (beacon period)(204) 및 데이터 전송기 (data transfer period)(206)를 포함한다. 비콘기들(204)은 비코닝 그룹 내 액티브 장치들 각각으로부터의 전송을 위해 예약된다. 도 2는 그에 따라 여러 비콘 슬롯들(207)을 포함한 비콘기(204)를 보인다. 이 비콘 슬롯들 각각은 비코닝 그룹 내 특정 장치에 대응한다. 이 슬롯들 도중에, 대응하는 장치가 각종 오버헤드나 네트워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콘 슬롯들(207)은 비코닝 그룹에 대한 자원 할당을 세팅하고 관리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는 DRP 예약 및 DRP IE들의 전송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외에, 데이터 전송기들(206)이 비코닝 그룹 내 장치들에 대한 서비스 및 특징 (가령, 정보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게임, 토폴로지, 레이트, 보안 특성 등등)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비콘기들(204) 내에서의 이러한 정보의 전송은 장치들로부터의 요청에 반응한 것일 수 있다.
데이터 전송기(206)는 장치들이, 가령 OFDM 및/또는 TFC들을 활용하는 주파수 호핑 기술들에 따라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기들(206)은 링크들(120 및 122)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 장치들(가령, DEV들(102a-e))은 데이터 전송기들(206)을 이용해 다른 장치들로의 요청 메시지들 같은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트래픽 (traffic) 전송을 돕기 위해, 각각의 DEV마다 각각의 데이터 전송기(206) 내 특정 타임 슬롯이 할당될 수 있다. MBOA MAC 사양의 맥락에서, 이러한 시간 슬롯들을 미디어 액세스 슬롯 (MAC)들이라 칭한다.
MAS는 둘 이상의 장치들이, 예약을 승인한 장치들에 의해 경쟁 기반 접근 (contention access)으로부터 보호되는, 데이터 전송기(206) 내 기간이다. MAS들은 분산 예약 프로토콜 (DRP) 같은 분산 프로토콜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II. 동작 시나리오들
도 3a 및 3b는 비콘들이 수신되지 않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전형적인 문제들을 보인 도면들이다. 특히, 이 도면들은 시간축(300)을 따라 발생하는 일련의 연속적 수퍼프레임들(302) (수퍼프레임 3020, 수퍼프레임 3021, 수퍼프레임 3022, 및 수퍼프레임 3023)을 보이고 있다. 이들 수퍼프레임들 내내, 장치 A 및 장치 B가 데 이터 전송에 개입된다. 그에 따라 이 장치들 모두 특정 스트림에 대한 통신 자원들을 예약하는 DRP IE들을 포함한 비콘들을 전송한다. 예로서, 도 3a 및 3b는 이러한 스트림이 1이라는 스트림 ID (Stream ID)로 할당되어 있음을 보인다.
수퍼프레임들 3020 및 3022 도중에, 각각의 장치는 다른 장치의 비콘을 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몇 가지 이유로 (장치 이동성 같은) 이것은 수퍼프레임 3021에는 해당 되지 않는다. 그보다, 이 수퍼프레임 도중에, 장치 A의 비콘은 장치 B에 의해 수신되지 않는다. 그러나, 장치 A는 계속 장치 B의 비콘을 수신할 수 있다.
도 3a의 예에서, 스트림 종료 통지 상실로 인해 문제가 야기된다. 특히, 장치 A가 수퍼프레임 3021 도중에 전송되는 자신의 비콘에, 스트림 ID=1에 해당하는 스트림을 종료했음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는 장치 A가 해당 스트림 ID 및 DRP IE를 자신의 비콘으로부터 제거함으로써 행해진다.
그러나, 수퍼프레임 3022에서, 장치 A는 동일한 스트림 ID (즉, Stream ID=1)를 가진 새 스트림을 설정하고자 한다. 그에 따라, 장치 A가 자신의 수퍼페레임 비콘에 그 스트림 ID를 가진 DRP IE를 전송한다. 불운하게도, 장치 B가 이 DRP IE를 수신할 때, 장치 B는 장치 A가 실제로 새 스트림/접속을 설정할지를 인지할 수 없다. 이는, 장치 B가 수퍼프레임 3021 도중에 장치 A에 의해 전송된 비콘을 전혀 수신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도 3b 역시 비콘 전송 손실에 의해 야기된 문제 발생을 예시한 것이다. 즉, 도 3b에서 장치 A가 계속해서 스트림 ID 1에 해당하는 스트림을 지속할 것을 원하고 있다. 그러나, 수퍼프레임 3021 도중에, 장치 A는 현재 이 스트림을 통해 전송될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 B는 수퍼프레임 3021 중에 전송된 장치 A의 비콘을 수신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퍼프레임 3022에서, 장치 A는 비콘을 전송한다. 이 비콘은, 1인 스트림 ID를 가진 DRP IE를 포함한다. 장치 B가 이 비콘을 수신할 때, 장치 B는 이 DRP IE를 어떻게 해석할지를 잘 알 수 없다. 특히, 장치 B는 이 DRP IE가 수퍼프레임 3020 도중에 기존 스트림을 식별하는 것인지, 장치 A가 설정하고자 하는 새 스트림/접속을 식별하는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없다.
상실한 한 비콘은 스트림을 종료해서는 안되며, 그 스트림이 지속되도록 예정된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III. 동작
본 발명은 장치들로 하여금 이들이 참가한 스트림/접속의 상태에 관한 공통 보기 (common view)를 분담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방안은 소정의 시간 인터벌을 활용하여 모든 당사자들 (전송 및 수신 장치(들))이 종료된 스트림의 동일 보기를 분담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안에 따라, 종료된 스트림/접속에 사용된 스트림 ID는, 소정 시간 인터벌이 경과되기 전에 같은 세트의 장치들 간 새 스트림/접속에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 이 시간 인터벌 후에, 그 스트림 ID가 새 접속 및/또는 스트림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소정의 시간 인터벌을 이 명세서에서 격리 (quarantine) 기간이라고도 부른다.
다양한 값들이 격리 기간에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실시예들에서, 이 기간은 특정 수의 수퍼프레임들의 경과 (passing)가 된다. 이 특정 수의 예가, 파라미터 mMaxLostBeacons이며, 이것은 현 MBOA MAC 사양에 의해 세 수퍼프레임들이고 특정되어 있다. 현재 특정된 수퍼프레임 길이가 65,536 μsec 이므로, 격리 기간은 196,608 μsec이 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장치는 다른 스트림 및/또는 접속에 대해 스트림 ID를 재사용하기 전에 적어도 그 기간을 대기해야만 한다.
또, 이 방안에 따르면, 한 장치가 다른 장치의 비콘을 수신하지 않을 때, 그 장치는 소정 조건이 발생하지만 않는다면 자신에 의해 앞서 공표된 스트림을 액티브로 간주할 것이다 (가령 DRP IE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그 조건이란 장치가 스트림을 종료시키는 전송 (상응하는 DRP IE 없는 비콘 등)을 수신하거나, 격리 기간이 경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방안은, 장치가 하나 이상의 피어 장치들의 상태에 관한 고찰에 개입해야 하는 경우들이 절대로 존재하지 않도록 한다. 또, 이러한 해법은 하나 이상의 비콘 전송들의 상실에도 불구하고 스트림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전형적 장치 동작을 보인 흐름도들이다. 이 동작들은 도 1의 환경 같은 환경하에서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동작들은 MBOA 통신을 수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동작들이 다른 환경 및/또는 다른 형태의 통신에도 역시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동작은 장치가 비코닝 그룹(101)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단계(402)를 포함한다. 그에 따라, 이 장치에는 제어 정보 같은 비-페이로드 전송을 위한 가능한 통신 대역폭의 일부가 할당된다. 이렇게 할당된 부분이 반복 시간 주기 내 한 슬롯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렇게 할당된 부분이 비콘 슬롯일 수 있다.
404 단계에서, 장치가 하나 이상의 원격 장치들과 데이터 스트림을 설정한다. 이 데이터 스트림은 하나 이상의 원격 장치들로의 한 방향 데이터 전송을 수반하도록 된 일방(unidirectional) 스트림일 수 있다. 이 데이터 스트림의 설정은 데이터 전송을 위한 가능한 통신 대역폭의 일부 (수퍼프레임의 데이터 전송 주기의 한 개 이상의 부분들)에 대한 할당을 포함한다. MBOA 네트워크에서, 그러한 할당은 분산 예약 프로토콜 (DRP)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DRP는 장치들이 수퍼프레임의 데이터부에 대한 소정 기간을 예약할 수 있게 한다. 예약 설정을 DRP 협의라고도 부른다. 예약 (도는 스트림)을 설정 및 유지하기 위해, 예약을 요청한 장치가 자신의 비콘 슬롯 도중에 DRP 정보 요소 (DRP IE)를 전송한다. 스트림 내 다른 장치(들) 역시 이들 각자의 비콘 슬롯들을 통해 DRP IE를 전송한다. 이 장치들은 스트림이 존재하는 도중에 각 수퍼프레임의 그들 각자의 비콘 슬롯들을 통해 DRP IE를 계속 전송한다. 따라서, 404 단계는, 장치가 DRP IE의 스트림 ID를 선택하는 단계 및 장치의 비콘 슬롯 안에서 그 스트림 ID를 DRP IE의 일부로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현 MBOA MAC 사양에서, 스트림 ID들은 무작위로 할당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는 406 단계에서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러한 전송은 404 단계에서 할당된 통신 대역폭의 일부 안에서 일어난다. 408 단계에서, 장치는 반복 시간 주기의 일부 도중에 제어 정보를 전송하며, 이 제어 정보는 DRP IE 같은 제1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그러한 DRP IE들의 전송은 데이터 스트림의 존재를 유지한다.
410 단계에서, 장치는 404 단계에서 설정된 스트림을 종료한다. 이것은 장치가 해당 DRP IE 전송을 그만두는 단계를 수반한다.
412 단계에서, 장치는 격리 기간을 감시한다. 격리 기간 중에, 장치가 다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그 식별자 (즉, 스트림 ID)를 사용하거나 전송하는 것이 금지된다. 이러한 시간 인터벌 다음에 데이터 스트림의 종료가 이어진다 (410 단계). 그에 따라, 장치기 이 식별자를 새 데이터 스트림에 사용하고 싶어하면, 장치는 일단 격리 기간이 경과 하기를 기다린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른 장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동작은 장치가 비코닝 그룹(101) 같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단계(502)를 포함한다.
504 단계에서, 장치는 한 원격 장치 (이제부터 전송 장치라 칭함)에 의해 개시된 데이터 스트림에 참여한다. 이 데이터 스트림은 원격 장치로부터의 한 방향 데이터 전송을 수반하도록 하는 일방 스트림일 수 있다. 또, 다른 장치들 역시 멀티캐스트나 브로드캐스트 방식을 통해 이러한 일방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을 것이 다.
이러한 데이터 스트림에 참여하는 것은, 데이터 전송을 위해 이용가능한 통신 대역폭의 일부 (가령, 수퍼프레임의 데이터 전송기의 한 개 이상의 부분들) 안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 외에, 이러한 데이터 스트림에 참여하는 것은, 원격 장치로부터 데이터 스트림과 관련된 제어 정보의 수신을 수반한다. 그 제어 정보는 스트림 ID를 포함하는 DRP IE 같은 스트림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실시예들에서, 이 제어 정보는 비콘 슬롯 같은 전송 장치에 할당되는 사용 가능한 통신 대역폭의 일부분 안에서 수신된다.
506 및 508 단계에서, 장치는 스트림을 액티브로 간주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가령, 506 단계에서, 장치는 상술한 격리 기간 같은 소정 시간 인터벌 안에 스트림의 식별자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되지 않았다면, 장치는 그 스트림이 종료되었다고 간주한다(507 단계).
508 단계에서, 장치는 전송 장치로부터 그 스트림에 대한 종료 통지를 수신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통지는 해당 전송 장치가 해당 DRP IE를 포함하지 않는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통지가 전송 장치의 비콘 슬롯 안에 들어올 수 있다. 이 통지가 수신되면, 장치는 스트림이 죵료되었다고 간주한다(509 단계). 그렇지 않으면, 장치는 스트림이 액티브라고 간주한다(510 단계).
IV. 추가 방안
본 발명의 다른 방식은 DRP IE에 새로운 필드를 도입한다. 이 필드는 비콘에 DRP IE를 추가하는 이유를 정의한다. 특히, 이 필드 (상태 필드라 부름)는 스 트림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엔티티가 스트림에 변경을 가할 때, 그 변경 상태를 상태 필드 안에 언급해야 한다. 필드의 상태는 가령 설정하기, 변경하기, 종료하기, 및 계속 진행하기가 될 수 있다. 변경 개시자가, 스트림에 변경을 행할 때 필드 값을 변경해야 한다. 피어 엔티티(들)는, 개시자의 것과 동일하게 해당 값을 수정함으로써, 그(들) 각자의 비콘의 DRP IE 변경을 승인해야 한다. 개시자는 피어 엔티티(들)로부터 승인을 기다리고 승인(들)을 이용해 피어 엔티티(들)이 비콘을 수신했고 변경을 주지했는지를 판단해야 한다. 현 MBOA 사양은 DRP IE 안에 상태를 위한 한 비트 필드를 규정하고 있다. 이 필드는 DRP 예약 생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V. 분산 예약 프로토콜 정보 요소
MBOA MAC 제안의 DRP 포맷에 대해 지금부터 설명할 것이다. 아래의 표 1은 DRP IE의 포맷을 예시한 것이다.
분산 예약 프로토콜 정보 요소 포맷
옥텟:1 1 2 2 3 _ 3
요소 ID 길이 (=4+3xN) DRP 제어 목적지/소스 DEVID DRP 예약 1 ... DRP 예약 N
표 1은 DRP IE가, 동일한 DRP 제어 및 목적지 DEVID에 대한 하나 이상의 DRP 예약 필드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보인다. 이 DRP 예약 필드들 각각은 3 옥텟(octet) 길이이다. 이 필드의 포맷이 아래의 표 2에 보여진다.
DRP 예약 필드 포맷
옥텟:2 1
DRP 예약 비트맵 DRP 예약 구조
DRP 예약 필드의 DRP 예약 구조는 수퍼프레임 내에 한 개 이상의 구역(zone)들을 특정한다. 그에 따라, DRP 예약은 구역분할(zoning) 구조에 기반해 이뤄진다. 이 구조는 한 수퍼프레임 내 256 개의 MAS들을 0부터 15로 번호 매겨진 16 개의 동일 사이즈의 구역들로 나눈다. 각 구역마다 16 개의 연속적 MAS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이들이 자리한 영역에 대응해 0부터 15로 번호가 매겨진다. 구역분할 구조는 한 수퍼프레임 안에 여러 구역 및 단일 구역 둘 모두의 예약을 허용한다. 또한, 단일 구역이나 여러 구역들에 걸친 인접 또는 비인접 MAS 예약들 또한 지원한다.
DRP 예약 필드의 DRP 예약 비트맵은 DRP 예약 구조 필드에 명시된 구역(들) 내 어느 MAS가 DRP 예약의 일부인지를 명시한다.
표 1은 또한 DRP IE가 두 개의 옥텟 DRP 제어 필드를 포함함을 보이고 있다. 이 필드의 포맷이 아래의 표 3에 예시되어 있다.
DRP 제어 필드 포맷
비트들:b0-b1 b2-b4 b5-b7 b8-b10 b11-b14 b15
ACK 정책 예약 타입 우선순위 사용자 우선순위/스트림인덱스 예약됨 상태
표 3은 DRP 제어 필드가 여러 서브 필드들을 포함하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ACK 정책 필드는 예약시 전송되는 프레임들에 대한 승인 정책을 설정한다. ACK 정책 필드는 예약 타입이 하드(Hard)이거나 소프트(Soft)인 경우에만 디코딩된다. 예약 우선순위 필드는 다른 잠정적 예약에 대한 이 예약의 우선순위를 가리킨다. 사용자 우선순위/스트림인덱스(StreamIndex) 필드는 예약 중에 전송되도록 의도된 데이터의 사용자 우선순위나 스트림을 나타낸다. 그에 따라, 이 필드는 StreamID가 된다.
DRP 제어 필드의 예약 타입 필드는 예약의 타입을 나타내며 아래의 표4에 도시된 것 같이 인코딩된다.
DRP 예약 타입
000 비콘기 (Beacon Period)
001 하드 (Hard) 예약
010 소프트 (Soft) 예약
011 사설 (Private) 예약
100-111 예약됨
VI. 장치 구성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들에 따라 작동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장치(600)의 도면이다. 이 장치는 도 1의 환경 같은 다양한 통신 환경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600)는 물리 계층 (PHY) 제어기(602), 미디어 액세스 제어기 (MAC)(603), OFDM 트랜시버(604), 상위 프로토콜 계층(들)(605), 및 안테나(610)를 포함한다.
MAC 제어기(603)는 무선 전송할 프레임들 (데이터 전송문들) 및 비콘들을 생성한다. 그 외에, MAC 제어기(603)는 원격 장치들로부터 발신된 프레임들 및 비콘 전송문들을 수신해 처리한다. MAC 제어기(603)는 이러한 프레임들 및 비콘 전송문들을 PHY 제어기(602)와 교환한다. 그러면 PHY 제어기(602)가 프레임들 및 비콘 전송문들을 OFDM 트랜시버(604)와 교환한다. 또한, MAC 제어기(603)는 간섭 상태를 식별하고 그러한 상태의 제거에 착수한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MAC 제어기(603)는 도 4 및 5의 단계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MAC 제어기(603)가 스트림 인덱스 데이터베이스(607)를 포함함을 보인다. 데이터베이스(607)는 한 개 이상의 원격 장치들과의 스트림들에 부속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도 6의 장치와 연결된 원격 장치들 각각에 대해, 스트림 인덱스 데이터베이스(607)가 액티브 (현재 사용중인) 스트림 식별자(들)의 식별자들을 보유한다. 이 식별자들은 리스트, 어레이, 또는 기타 적합한 스토리지(storage) 배열의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607) 상의 이러한 정보는 동적으로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 정보를 데이터베이스(607)에 저장함으로써, 장치는 도 4 및 5의 전형적 동작들 같은 본 발명의 기술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는 금지된 스트림 인덱스/스트림 ID들을 계속 추적할 수 있다. 게다가, 데이터베이스(607)는 소정 이벤트들이 발생한 뒤에 특정 스트림을 액티브로 식별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그러한 이벤트들에는 해당 원격 장치로부터의 종료 통지 수신이나, 스트림 관련 제어 정보 수신 없이 격리 기간이 경과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OFDM 트랜시버(604)가 수신기 부(650) 및 송신기 부(660)를 포함한다는 것을 보인다. 송신기 부(660)는 역 고속 푸리에 변환 (IFFT) 모듈(614), 제로 패딩(zero padding, 0으로 채우기) 모듈(616), 상향 컨버터(618) 및 전송 증폭기(620)를 포함한다. IFFT 모듈(614)은 PHY 제어기(602)로부터 전송할 프레임들을 수신한다. 이 프레임들 각각에 대해, IFFT 모듈(614)은 OFDM 변조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생성에는 하나 이상의 역 고속 푸리에 변환 연산을 수행하는 일이 수반된다. 결국, 이 OFDM 변조 신호는 하나 이상의 OFDM 심볼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신호가 제로 패딩 모듈(616)로 보내지고, 거기서 하나 이상의 "제로 샘플들"이 각각의 OFDM 심볼의 도입부(beggining)에 부가되어, 패딩된 변조 신호가 생성된다. 상향 컨버터(618)가 이 패딩된 신호를 수신하고 캐리어 기반 기술들을 활용해 그것을 하나 이상의 주파수 대역들에 놓는다. 이들 한 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들은 한 개 이상의 TFC들 같은 주파수 호핑 패턴에 따라 결정된다. 결국, 상향 컨버터(618)가 주파수 호핑 신호를 생성하고, 그 신호는 전송 증폭기(620)를 통해 즈옥되어 안테나(610)를 통해 전송된다.
도 6은 수신기 부(650)가 하향 컨버터(622), 수신 증폭기(624), 및 고속 푸리에 변환 (FFT) 모듈(626)을 포함함을 보인다. 이 구성요소들 (수신기로도 불림)은 원격 장치들로부터의 무선 신호 수신에 사용된다. 특히, 안테나(610)는 하나 이상의 TFC들 같은 주파수 호핑 패턴들을 활용할 수 있는 원격 장치들로부터 무선 신호들을 수신한다. 이 신호들이 증폭기(624)로 보내져 증폭 신호로서 생성된다. 증폭기(624)는 이 증폭 신호들을 하향 컨버터(622)로 보낸다. 수신시, 하향 컨버터(622)는 캐리어 기반 기술들을 활용해, 이 신호들을 그 한 개 이상의 주파수 호핑 대역들 (가령, TFC 대역들)에서 소정 하위 주파수 범위 안으로 변환한다. 이것이 변조 신호들로서 생성되고, 이 신호들이 FFT 모듈(626)에서 수신되어 그 신호들에 대해 OFDM 복조가 수행된다. 복조는 증폭 신호들을 통해 전달된 각각의 심볼에 대해 고속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는 일을 수반한다.
이러한 복조의 결과, FFT 모듈(626)은 하나 이상의 프레임들을 생성하고, 이들은 PHY 제어기(602)로 보내진다. 이 프레임들은 페이로드 데이터 및 프로토콜 헤더(들) 같은 정보를 운반할 수 있다. 수신시, PHY 제어기(602)는 이 프레임들을 처리한다. 이것은 소정 PHY 계층 헤더 필드들을 제거하는 일, 및 그 프레임들의 나머지 부분들을 MAC 제어기(603)로 보내는 일을 수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600)는 하나 이상의 상위 프로토콜 계층들(605)을 더 포함한다. 이 계층들은 가령 사용자 어플리케이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위 계층들(605)은 원격 장치들과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이것은 계층(들)(605)이 MAC 제어기(603)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들을 교환하는 일을 수반한다. 다시, MAC 제어기(603)가 PHY 제어기(602) 및 트랜시버(604)와 협력하여 상응하는 무선 신호들을 송수신한다.
도 6의 장치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향 컨버터(618), 전송 증폭기(620), 수신 증폭기(624), 및 하향 컨버터(622)는 증폭기, 믹서, 및 필터 같은 전자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장치(600) 구성에, 스캐닝 모듈(606), IFFT 모듈(614), 제로 패딩 모듈(616), 및 FFT 모듈(626) 같은 다양한 모듈들을 구현하기 위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들) (DSPs)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메모리 (미도시)에 저장되는 명령어들 (즉, 소프트웨어)을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들 같은 프로세서(들)가 사용되어 장치(600)의 여러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HY 제어기(602) 및 MAC 제어기(603) 같은 구성요소들은 기본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대해 작용하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6 구조에 대한 그러한 한 구성을 도 7에 도시한다. 이 도면은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라 구현된 단말 장치를 예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프로세서(710), 메모리(712),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714)를 포함한다. 또, 도 7의 구성은 OFDM 트랜시버(604) 및 안테나(610)를 포함한다. 이 구성요소들은 도 6을 참조해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도 7의 구성은 다른 무선 기술들을 지원하는 다른 트랜시버들을 포함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프로세서(710)는 장치 동작을 제어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서(710)는 트랜시버(604)에 연결된다. 프로세서(710)는, 마이크로 시스템처럼, 각각이 메모리(712)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한 개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712)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M), 리드 온리 메모리 (ROM), 및/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하고,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 성분들 (여기서 모듈들이라고도 칭함)의 형태로 정보를 저장한다. 이 소프트웨어 성분들은 프로세서(71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다양한 타입의 소프트웨어 성분들이 메모리(712)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712)는 트랜시버(604)의 동작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성분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 메모리(712)는 PHY 제어기(602), MAC 제어기(603), 및 상위 프로토콜 계층(들)(605)의 동작을 지원하는 소프트에어 성분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 외에, 메모리(7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714)를 통해 정보 교환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성분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인터페이스(714) 역시 프로세서(710)에 연결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714)는 사용자와의 정보 교환을 돕는다. 도 7은 사용자 인터페이스(714)가 사용자 입력부(716) 및 사용자 출력부(718)를 포함함을 보인다.
사용자 입력부(716)는 사용자로 하여금 정보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한 개 이상의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들의 예들에, 키패드, 터치 스크린, 및 마이크가 포함된다. 사용자 출력부(718)는 사용자가 장치로부터의 정보를 받아 볼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 출력부(718)는 디스플레이 및 한 개 이상의 오디오 스피커들 (가령, 스테레오 스피커), 및 스피커를 구동할 오디오 프로세서 및/또는 증폭기 같은 다양한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형적인 디스플레이에 액정 디스플레이 (LCD) 및 컬러 비디오 디스플레이가 포함된다.
도 7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다양한 기술들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러한 한 기술이 트랜시버(604), 프로세서(710), 메모리(712)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714)를 한 개 이상의 버스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연결시키는 일을 수반한다. 또, 이 구성요소들 각각이 탈부착가능 및/또는 충전가능 배터리 팩 (미도시) 같은 전원에 연결된다.
VII. 결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위에서 설명했지만, 이들은 단지 예로서만 제시된 것으로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예들은 MBOA 통신과 관련이 있다고 기술되었지만, 다른 단거리 및 장거리 통신 기술들도 본 발명의 범주 안에 들어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기술들은 OFDM 이외의 신호 전송 기술들을 통해 활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개념과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고 그 안에서 형식 및 세부사항의 다양한 변경이 이뤄질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폭과 범위는 상술한 전형적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어지는 청구항들과 이들에 상응하는 것들에 의해서만 규정되어야 한다.

Claims (46)

  1. 제1 장치가, 반복 시간 주기 중 제1부분 중에, 적어도 한 원격 장치와 관련된 제1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제1 장치가, 상기 반복 시간 주기 중 제2부분 중에, 제1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제1 장치가, 소정 시간 인터벌에 대해 상기 제1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를 예약하여, 그 소정 시간 인터벌 동안 상기 예약된 식별자를 사용한 상기 적어도 한 원격 장치로의 제2데이터 스트림 전송이 금지되게 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시간 인터벌은 제1데이터 스트림 종료에 바로 이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인터벌은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두 번 이상의 연속 출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제2부분은 비콘기(beacon period) 내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제1부분은 데이터 전송기 (data transfer period) 안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시간 주기는 멀티밴드 OFDM 동맹 (MBOA) 수퍼프레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인터벌은 mMaxLostBeacons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각각의 출현 안에서 제1부분에 선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반복 시간 주기 중 제1부분 중에, 적어도 한 원격 장치와 관련된 제1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를 전송하고, 상기 반복 시간 주기 중 제2부분 중에, 제1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기; 및
    소정 시간 인터벌에 대해 상기 제1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를 예약하여, 그 소정 시간 인터벌 동안 상기 예약된 식별자를 사용한 상기 적어도 한 원격 장치로의 제2데이터 스트림 전송이 금지되게 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시간 인터벌은 제1데이터 스트림 종료에 바로 이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인터벌은 반복 시간 주기의 두 회 이상의 연속 출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분산 예약 프로토콜 정보 요소 (DRP IE)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제2부분은 비콘기 안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제2부분은 한 비콘 슬롯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제1부분은 데이터 전송기 안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제1부분은 한 개 이상의 미디어 액세스 슬롯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시간 주기는 멀티밴드 OFDM 동맹 (MBOA) 수퍼프레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인터벌은 mMaxLostBeacons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각각의 출현 안에서 제1부분에 선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통신 시스템 내 프로세서가 무선 통신 장치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로직이 기록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로직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반복 시간 주기 중 제1부분 중에, 적어도 한 원격 장치와 관련된 제1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로직;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반복 시간 주기 중 제2부분 중에, 제1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전송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로직; 및
    프로세서로 하여금 소정 시간 인터벌에 대해 상기 제1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를 예약하여, 그 소정 시간 인터벌 동안 상기 예약된 식별자를 사용한 상기 적어도 한 원격 장치로의 제2데이터 스트림 전송이 금지되게 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로직을 포함하고,
    상기 소정 시간 인터벌은 제1데이터 스트림 종료에 바로 이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매체.
  19. 제1 장치가, 반복 시간 주기 중 제1부분 중에, 적어도 한 원격 장치와 관련된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장치가, 상기 반복 시간 주기 중 제2부분 중에,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1 장치가, 적어도 소정 시간 인터벌 동안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제2부분에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가 누락될 때까지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액티브(active)로 간주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제1 장치가,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제2부분 중에 스트림 종료 통지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액티브로 간주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인터벌은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두 번 이상의 연속 출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제2부분은 비콘기 안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제1부분은 데이터 전송기 안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시간 주기는 멀티밴드 OFDM 동맹 (MBOA) 수퍼프레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인터벌은 mMaxLostBeacons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각각의 반복 시간 주기 출현 안에서 제1부분에 선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반복 시간 주기 중 제1부분 중에, 적어도 한 원격 장치와 관련된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반복 시간 주기 중 제2부분 중에,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적어도 소정 시간 인터벌 동안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제2부분에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가 누락될 때까지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액티브(active)로 간주하도록 구성된 제어기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제2부분 중에 스트림 종료 통지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액티브로 간주하도록 더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인터벌은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두 번 이상의 연속 출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분산 예약 프로토콜 정보 요소 (DRP IE)에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제2부분은 비콘 슬롯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삭제
  33.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제1부분은 데이터 전송기 안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제1부분은 한 개 이상의 미디어 액 세스 슬롯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시간 주기는 멀티밴드 OFDM 동맹 (MBOA) 수퍼프레임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인터벌은 mMaxLostBeacons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각각의 반복 시간 주기 출현 안에서 제1부분에 선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통신 시스템 내 프로세서가 무선 통신 장치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로직이 기록된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로직은,
    프로세서로 하여금 반복 시간 주기 중 제1부분 중에, 적어도 한 원격 장치와 관련된 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를 수신하게 하는 명령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로직;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반복 시간 주기 중 제2부분 중에,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수신하게 하는 명령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로직; 및
    프로세서로 하여금, 적어도 소정 시간 인터벌 동안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제2부분에서 상기 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가 누락될 때까지 상기 데이터 스트림을 액티브(active)로 간주할 수 있도록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로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매체.
  39. 제38항에 있어서,
    프로세서로 하여금 반복 시간 주기의 제2부분 중에 스트림 종료 통지가 수신될 때까지 데이터 스트림을 액티브로 간주할 수 있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로직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독출가능한 매체.
  40. 한 장치와 하나 이상의 원격 장치들 간 제1데이터 스트림의 데이터를 상기 한 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원격 장치들에 전송하도록 하는, 한 반복 시간 주기의 제1부분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한 장치가 제1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제어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원격 장치들에 전송하도록, 반복 시간 주기의 제2부분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한 장치가 제2데이터 스트림의 식별자를 상기 하나 이상의 원격 장치들에 전송하는 것을 금지하는 소정 시간 인터벌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시간 인터벌은 사용자 데이터 스트림의 종료에 바로 이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인터벌은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두 번 이상의 연속 출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2.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제2부분은 비콘기 안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3.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시간 주기의 제1부분은 데이터 전송기 안에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시간 주기는 멀티밴드 OFDM 동맹 (MBOA) 수퍼프레임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인터벌은 mMaxLostBeacons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은 각각의 반복 시간 주기 출현 안에서 제1부분에 선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7012304A 2004-11-02 2005-08-26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스트림 처리 기술 KR1009139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978,417 2004-11-02
US10/978,417 US7359361B2 (en) 2004-11-02 2004-11-02 Techniques for stream hand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4620A KR20070084620A (ko) 2007-08-24
KR100913982B1 true KR100913982B1 (ko) 2009-08-25

Family

ID=3631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2304A KR100913982B1 (ko) 2004-11-02 2005-08-26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스트림 처리 기술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359361B2 (ko)
EP (1) EP1807976A4 (ko)
JP (1) JP4467619B2 (ko)
KR (1) KR100913982B1 (ko)
CN (1) CN100534054C (ko)
AU (1) AU2005302736C1 (ko)
BR (1) BRPI0517230A (ko)
CA (1) CA2586171C (ko)
HK (1) HK1113713A1 (ko)
MX (1) MX2007005282A (ko)
RU (1) RU2361372C2 (ko)
TW (1) TW200631358A (ko)
WO (1) WO2006048705A1 (ko)
ZA (1) ZA2007042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63886B2 (en) * 2003-09-16 2008-12-09 Spyder Navigations L.L.C.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residual energy awareness in an ad hoc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7689843B2 (en) * 2004-12-15 2010-03-30 Microsoft Corporation Ultra wide band power save
US20060268931A1 (en) * 2005-05-31 2006-11-30 Assaf Sella Metho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exchanging information in a hybrid environment
US20070002809A1 (en) * 2005-06-30 2007-01-04 Jukka Reunamaki Recovery techniques for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s
KR20070013864A (ko) * 2005-07-27 2007-01-31 삼성전자주식회사 분산형 무선 개인영역 네트워크에서의 채널 타임 예약 시분쟁을 회피 및 해결하는 디바이스, 이를 포함하는 예약시스템 및 그 방법
JP4948971B2 (ja) * 2006-11-01 2012-06-06 株式会社リコー ワイヤレスusbホスト
US20080130592A1 (en) * 2006-12-04 2008-06-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medium access slot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US20110064117A1 (en) * 2007-09-19 2011-03-17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Methods for network throughput enhancement
CN101911808B (zh) * 2007-12-27 2015-02-2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短距离无线网的简化信标和信道预留技术
US20090168845A1 (en) * 2007-12-31 2009-07-02 Intel Corporation Hopped ultrawideband wireless
US20090323697A1 (en) * 2008-06-27 2009-12-31 Nokia Corporation Data payload transmission via control plane signaling
US9246725B2 (en) * 2011-09-06 2016-01-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generating and receiving packets in low energy critical infrastructure monitoring system
US9537792B2 (en) * 2013-08-30 2017-01-03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loading for one-to-many communications in a network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67747A1 (en) 2002-05-31 2003-12-03 Microsoft Corporation A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segmenting repeating media objects embedded in a stream
WO2005076544A1 (en) 2004-02-06 2005-08-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system and method for an ultra wide-band medium access control distributed reservation protocol
WO2005109761A1 (en) 2004-05-07 2005-11-17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A method of distributive reservation of a medium in a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7297A (en) * 1996-06-28 2000-05-23 Symbol Technologies, Inc. Embedded access point supporting communication with mobile unit operating in power-saving mode
US6934554B2 (en) * 2001-02-21 2005-08-23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system
DE60226259T2 (de) * 2001-09-14 2009-06-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rahtloses kommunikationssystem mit erkennung von fremdstrahlungsquellen
US7027409B2 (en) * 2002-01-10 2006-04-11 Harris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links and for estimating overall quality of a directional link and reporting to OLSR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40013135A1 (en) * 2002-07-17 2004-01-22 Yoram Haddad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traffic in wireless networks
US6873611B2 (en) * 2002-12-31 2005-03-29 Nextwlan Corporation Multiprotocol WLAN access point devices
CN103781152B (zh) * 2003-02-03 2018-02-16 索尼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无线通信设备和无线通信方法
JP4015963B2 (ja) * 2003-03-24 2007-11-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位置計算方法、受信装置及び位置計算装置
CN1567869B (zh) * 2003-06-30 2010-05-05 叶启祥 可避免干扰损坏并增加空间再用率的干扰控制方法
WO2005065035A2 (en) * 2004-01-08 2005-07-21 Wisair Ltd. Distributed and centralized media access control devi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67747A1 (en) 2002-05-31 2003-12-03 Microsoft Corporation A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segmenting repeating media objects embedded in a stream
WO2005076544A1 (en) 2004-02-06 2005-08-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system and method for an ultra wide-band medium access control distributed reservation protocol
WO2005109761A1 (en) 2004-05-07 2005-11-17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A method of distributive reservation of a medium in a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517230A (pt) 2008-10-07
US20060176860A1 (en) 2006-08-10
CN100534054C (zh) 2009-08-26
AU2005302736A1 (en) 2006-05-11
AU2005302736C1 (en) 2009-02-05
AU2005302736B2 (en) 2008-09-18
EP1807976A1 (en) 2007-07-18
US7359361B2 (en) 2008-04-15
MX2007005282A (es) 2007-07-19
CN101053212A (zh) 2007-10-10
TW200631358A (en) 2006-09-01
JP4467619B2 (ja) 2010-05-26
HK1113713A1 (en) 2008-10-10
WO2006048705A1 (en) 2006-05-11
RU2361372C2 (ru) 2009-07-10
CA2586171C (en) 2010-11-16
KR20070084620A (ko) 2007-08-24
EP1807976A4 (en) 2011-10-05
RU2007120590A (ru) 2008-12-10
JP2008519521A (ja) 2008-06-05
ZA200704238B (en) 2008-08-27
CA2586171A1 (en)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982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스트림 처리 기술
KR100913977B1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간섭 감소를 위한 기술들
US7610018B2 (en) Channel change procedur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8027288B2 (en) Reducing beacon slot acquisition time in distributed media access control network
US7809835B2 (en) Device discovery and connection establishment for ad hoc networks
Wan et al. Broadcast enhanced cooperative asynchronous multichannel MAC for wireless ad hoc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