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617B1 - 자동 신발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신발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617B1
KR100913617B1 KR1020090038711A KR20090038711A KR100913617B1 KR 100913617 B1 KR100913617 B1 KR 100913617B1 KR 1020090038711 A KR1020090038711 A KR 1020090038711A KR 20090038711 A KR20090038711 A KR 20090038711A KR 100913617 B1 KR100913617 B1 KR 100913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cover
main body
gear
sani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완민
김보선
Original Assignee
전완민
김보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완민, 김보선 filed Critical 전완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6Overshoes
    • A43B3/20Heel-less over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10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rotary fee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1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 B65B35/20Feeding, e.g. conveying, single article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ory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responsive to absence, presence, abnormal feed, or misplacement of articles or materials to be packag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신발을 감싸기 위한 위생커버가 공급되는 자동 신발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신발 커버장치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내부에 신발을 감싸기 위한 복수개의 위생커버들이 적층되어 있는 커버박스와, 상기 커버박스의 배출공을 통해 위생커버를 인출하기 위해 훅회전축과, 상기 훅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 훅부재를 포함하는 커버인출수단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바디와, 상기 훅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축회전수단과, 상기 제1 훅부재를 각각의 단부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회전시키는 훅확장수단 및 상기 슬라이딩바디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키는 바디이송수단을 구비한다.
신발, 커버, 자동

Description

자동 신발 커버장치 {Automatic shoe cov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신발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신발을 감싸기 위한 위생커버가 공급되는 자동 신발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균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병원이나 실험실과 같은 곳에서는 출입자의 신발에 묻은 이물질에 의한 실내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신발의 외부에 신발을 감싸는 위생커버를 씌우도록 한다.
종래의 위생커버는 대게 신발이 인입될 수 있도록 인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신발을 인입시킨 상태로 입구가 사용자의 발목을 감싸, 신발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인입구는 탄성력이 있는 밴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러한 위생커버를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신발에 씌우는 경우에는 손이 신발에 접촉하게 되어 위생커버의 장착 후 손을 한번 더 씻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노약자나 임산부의 경우에는 손으로 위생커버를 직접 씌우는 것이 신체적으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신발의 위로 위생커버를 씌울 수 있도록 위생커버를 인입구가 벌려진 상태로 공급하고, 신발에 위생커버를 착용한 다 음에는 다음 신발에 위생커버를 씌울 수 있도록 자동으로 인입구가 벌어지게 재 공급할 수 있는 자동 신발 커버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손을 사용 하지 않고도 신발을 감싸는 위생커버를 씌울 수 있도록 위생커버를 인입구가 벌어지도록 자동으로 공급하는 자동 신발 커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신발 커버장치는 상면이 개구되어 있고, 양측 내주면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선단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개방된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신발을 감싸기 위한 복수개의 위생커버들이 적층되어 있는 커버박스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훅회전축과, 상기 커버박스의 배출공을 통해 위생커버를 인출하도록 상기 훅회전축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제1 훅부재를 포함하는 커버인출수단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단부에 상호 이격 형성되어 상기 제1 훅부재와 함께 위생커버의 인입구를 벌리는 두 개의 제2 훅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바디와, 상기 제1 훅부재의 단부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훅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축회전수단과, 상기 제1 훅부재를 각각의 단부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회전시키는 훅확장수단 및 상기 슬라이딩바디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키는 바디이송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바디이송수단은 상기 본체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제2 구동축과, 상기 제1, 제2 구동축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제2 풀리와, 상기 제1, 제2 풀리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슬라이딩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바디를 이동시키는 연결벨트와, 상기 제2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축회전수단은 상기 훅회전축의 일측에 설치된 제1 기어와, 상기 훅회전축과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기어축과, 상기 기어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고 일측에 제1 돌출로드가 마련된 제2 기어와, 상기 기어축에 설치된 제3기어와, 상기 제3 기어와 치합되는 제4 기어와, 상기 제4 기어를 회전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훅확장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 내벽에 상기 훅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훅회전축이 관통되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힌지플레이트와, 상기 힌지플레이트와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제2 돌출로드가 연장되어 있고, 가장자리가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수록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길이가 점점 길어지게 형성되어 회전시 상기 힌지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힌지플레이트의 내측면이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힌지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회전캠부재와, 일단이 상기 힌지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접촉되어있고, 상기 두 개의 제1 훅부재와 각각 힌지결합되어 상기 회전캠부재에 의해 상기 힌지플레이트가 본체의 내측으로 점점 돌출되면 상기 힌지플레이트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1 훅부재들의 단부가 상호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 훅부재들을 회동시키는 커넥팅로드를 구비하고, 상 기 슬라이딩바디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바디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링크부재와 상기 제1 돌출로드와 순차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4 기어와 제2 기어를 순차적으로 회전시키는 제1 접촉세그먼트와, 상기 제2 돌출로드와 접촉하여 상기 회동캠부재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제2 접촉세그먼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바디의 전단부가 상기 본체의 전방에 다다른 것을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와, 상기 본체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바디의 후단부가 상기 본체의 후방에 다다른 것을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훅부재가 상기 위생커버를 인입구가 벌어진 상태로 지지할 때에는 접촉되고, 위생커버가 제1 훅부재로부터 이탈되었을 때에는 분리되어 위생커버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제3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훅부재는 상기 위생커버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바디의 연결판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훅부재의 회동축에는 상기 제2 훅부재가 상기 위생커버의 이탈 과정에서 상방으로 회동한 후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토션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박스의 내부에 적층되는 위생커버들이 상기 배출공을 향해 하방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위생커버들의 상부에서 위생커버를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상기 커버박스 내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커버박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제2 회전롤러와, 상기 제1, 제2 회전롤러에 권취되어 무한궤도상으로 연결되며 일측이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결합된 견인와이어와, 상기 커버박스의 외부로 노출된 견인와이어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견인부재와, 상기 커버박스의 하부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견인와이어가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견인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제1 훅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훅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훅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 훅부재들과 함께 위생커버의 일측을 지지하는 보조훅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훅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훅부재 및 보조훅부재가 인출된 위생커버를 지지하고 있을 때 상기 커버박스로부터 위생커버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박스의 배출공을 막는 낙하방지부재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신발 커버장치는 사용자가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신발의 외부에 위생커버를 씌울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신발 커버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자동 신발 커버장치(10)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자동 신발 커버장치(10)는 신발의 오염물질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신발을 감싸는 위생커버(20)가 자동으로 신발을 감싸는 것으로, 본체(100)와, 본체(100)에 설치되며 위생커버(20)들이 적층된 커버박스(200)와, 위생커버(20)를 커버박스(200)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커버인출수단(300)과, 본체(1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바디(400)와, 커버인출수단(300)의 훅회전축(310)을 회전시키는 축회전수단(500)과, 커버인출수단(300)의 제1 훅부재(320)들을 회동시키는 훅확장수단(600) 및 상기 슬라이딩 바디를 본체(100)의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바디이송수단(700)을 포함한다.
본체(100)는 상기 슬라이딩바디(400), 커버박스(200), 커버인출수단(300), 축회전수단(500), 훅확장수단(600)들이 설치될 수 있는 설치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일측에 상기 커버박스(200)가 설치되는 박스설치부(110)가 마련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위생커버(20)의 장착을 위해 신발을 인입시키는 커버장착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박스설치부(110)와 커버장착부(120)는 모두 상방으로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며, 커버장착부(120)는 사용자가 신발을 착용한 상태로 발을 인입시킬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양측 내벽에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레일(130)이 설치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슬라이딩바디(400)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본체(100)의 일측에는 본체(100)를 이송시키기 용이하도록 손잡이(140) 가 설치되어 있고, 전면 일측에는 작동을 위한 전원스위치가 마련된 조작패널(150)이 설치되어 있다.
커버박스(200)는 상기 박스설치부(110)에 장착되며, 신발을 감싸는 위생커버(20)들이 적층될 수 있도록 내부에 적층공간(2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박스(200)의 하부에는 위생커버(20)를 배출시키기위한 배출공(212)이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커버인출수단(300)에 의해 내부에 적층된 위생커버(20)들이 순차적으로 배출공(212)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커버박스(200)에 적층되는 위생커버(20)는 일측에 인입구(21)가 형성되어 있는 주머니 형태이며 인입구(21)에는 탄성밴드(22)가 설치되어 있어서 인입구(21)의 크기가 가변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제1, 제2 훅부재(320,441)에 의해 인입구(21)를 벌린 뒤 신발을 신은 발을 넣으면 인입구(21)가 탄성밴드(22)에 의해 축소되면서 발목을 감싸 신발이 위생커버(20)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위생커버(20)는 후술하는 커버인출수단(300)에 의한 인출이 용이하도록 인입구(21)가 하방을 향하도록 접어져 적층된다.
커버박스(200)에는 또한 가압플레이트(220)와, 가압플레이트(220)를 커버박스(200) 내에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230)이 설치된다.
위생커버(20)는 최하단의 위생커버(20)가 인출된 후, 적층된 위생커버(20)들이 하중에 의해 하강하여 최상단의 위생커버(20)까지 커버박스(2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강해야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있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위생커버(20)는 일회용으로 사용하고 버리기 때문에 비닐재로 형성되기 때문에 커버박스(200) 내부에 적층된 위생커버(20)의 적층량이 줄어들게 되면 하중이 너무 작아 위생커버(20)가 하강하지 않고 커버박스(200) 내에 고정되버리는 문제점이 생긴다.
따라서 소정의 무게를 갖는 가압플레이트(220)를 적층된 위생커버(20)의 최상측에 설치하여 위생커버(20)들이 가압플레이트(220)의 무게에 의해 자동으로 하강하도록 한다.
승강수단(230)은 위생커버(20)의 보충이 필요할 때, 가압플레이트(220)를 커버박스(200)의 상부로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커버박스(2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제2 회전롤러(231,232)와, 제1, 제2 회전롤러(231,232)에 감기며 일단과 타단이 상기 가압플레이트(220)에 결합되어 있는 견인와이어(233)와, 견인와이어(233)의 일측에 설치된 견인부재(234)를 포함한다.
제1, 제2 회전롤러(231,232)는 일측은 커버박스(200)의 내부로 노출되고 타측은 커버박스(2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제1, 제2 회전롤러(231,232)에 권취되는 견인와이어(233)의 일부구간은 커버박스(200)의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구간은 커버박스(2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상기 견인부재(234)는 견인와이어(233)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커버박스(200)의 외부로 노출되는 견인와이어(233)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견인부재(234)를 파지하고 견인와이어(233)를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커버박스(200)의 내부에서는 가압플레이트(220)가 견인와이어(233)에 의해 상방으로 승강하게 된다.
상기 견인부재(234)는 청색 또는 붉은색과 같이 식별성이 좋은 색상으로 도장되어 있어서 견인부재(234)의 위치에 따라 내부에 적층된 위생커버(20)의 수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위생커버(20)가 가득 적층된 상태에서는 가압플레이트(220)가 커버박스(200)의 상측에 위치하므로 견인부재(234)는 커버박스(200)의 하측에 위치하며, 반대로 위생커버(20)가 인출되어 적층량이 적을 때에는 가압플레이트(220)가 커버박스(200)의 내부에서 하강된 상태이므로 견인부재(234)는 커버박스(200)의 상부로 승강된다. 따라서 견인부재(234)의 위치를 통해서 위생커버(20)의 보충시점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박스(200)의 하부 일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235)가 두 개 형성되어 있는데, 고정돌기(235)는 견인와이어(233)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위생커버(20)의 보충시 견인부재(234)를 하방으로 잡아당긴 후 견인부재(234)를 고정돌기(235)의 하측에 고정시켜 가압플레이트(220)가 하강하지 않도록 한 다음 위생커버(20)를 커버박스(200)의 내부에 적층시킬 수 있다.
이후 견인부재(234)를 고정돌기(235)로부터 분리시키면 위생커버(20)의 인출에 의해 위생커버(20)의 상단이 점점 하강함에 따라 가압플레이트(220)는 하강하고 견인와이어(233)에 고정된 견인부재(234)는 점점 상승하게 된다.
상기 커버인출수단(300)은 위생커버(20)를 커버박스(200)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훅회전축(310)과, 훅회전축(310)에 설치되어 상기 커버박스(200)의 배출공(212)을 통해 위생커버(20)를 인출하며 상기 훅회전축(31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제1 훅부재(320)를 포함한다.
훅회전축(310)은 상기 가이드레일(130)의 연장방향과 교차하도록 즉, 양 단 부가 각각 본체(100)의 양측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축회전수단(50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훅부재(320)는 훅회전축(310) 상에 상호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두 개가 설치되어 있는데, 각각 훅회전축(3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위생커버(20)와 접촉되도록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파지부(321) 사이의 이격거리가 좁아지거나 멀어지게 된다.
상기 제1 훅부재(320)의 파지부(321) 사이의 이격거리는 후술하는 훅확장수단(600)에 의해 조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파지부(321)가 커버박스(200)의 배출공(212)으로 인입되도록 축회전수단(500)에 의해 훅회전축(310)이 회전하면 상기 훅확장수단(600)에 의해 제1 훅부재(320)가 회동하여 파지부(321)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어짐으로써 위생커버(20)를 파지하게 된다.
파지부(321)는 커버박스(200) 내에 적층된 위생커버(20)의 인입구(21)로 삽입되어 위생커버(20)를 커버박스(200)로부터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돌출된 제1 파지돌기(3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파지돌기(322)의 돌출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2 파지돌기(323)도 마련되어 있어서 후술하는 제2 훅부재(441)와 함께 위생커버(20)의 인입구(21)가 신발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벌어질 때, 위생커버(20)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한 파지부(321)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훅부재(320)는 제1 탄성부재(330)에 의해 연결되어 있어서 훅확장수단(600)에 의해 상호 벌어진 후, 제1 탄성부재(330)의 탄성력에 의해 외력이 사 라졌을 때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슬라이딩바디(400)는 본체(100) 내에서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전·후진하면서 후술하는 축회전수단(500)과 훅확장수단(600)을 구동시키고 상기 커버인출부에 의해 커버박스(200)로부터 인출된 위생커버(20)의 인입구(21)를 벌리기 위한 것이다.
슬라이딩바디(400)는 상기 본체(100)의 양 측벽에 설치된 가이드레일(130)에 각각 접촉되어 이송되는 제1, 제2 접촉세그먼트(410,420)와, 제1, 제2 접촉세그먼트(410,420) 각각의 전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430)과, 연결판(4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훅플레이트(440)를 구비한다.
슬라이딩바디(400)는 후술하는 바디이송수단(700)에 의해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되어 있으며,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진행하는 과정에서 상기 축회전수단(500)과 훅확장수단(600)을 구동하게 된다.
상기 훅플레이트(440)에는 상호 이격된 두 개의 제2 훅부재(441)가 설치되어 있으며, 연결판(4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힌지핀(450)에 의해 상하로 소정각도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제2 훅부재(441)들은 상기 제1 훅부재(320)와 함게 위생커버(20)를 인입구(21)가 벌어진 상태로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며, 신발을 신은 상태로 사용자가 인입구(21)에 발을 넣어 밟으면 제1, 제2 훅부재(320,441)에 의해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던 위생커버(20)의 인입구(21)가 제1, 제2 훅부재(320,441)로부터 이탈되면서 사용자의 발목을 감싸게 되는데, 이렇게 위생커버(2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위생커버(20)가 제2 훅부재(441)로부터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도록 훅플레이트(440)가 상방으로 소정각도 들리게 된다.
상기 힌지핀(450)에는 토션스프링(460)이 설치되어 있어서 위생커버(20)의 이탈시 상방으로 회동된 훅플레이트(440)가 토션스프링(46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상기 제1, 제2 세그먼트는 각각 훅확장수단(600)과 축회전수단(500)의 구동에 관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훅확장수단(600)과 축회전수단(500)에 대한 기재시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
바디이송수단(700)은 상기 슬라이딩바디(400)를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제1, 제2 구동축(710,720)과, 제1, 제2 구동축(710,720)에 설치되는 제1, 제2 풀리(730,740)와, 제1, 제2 풀리(730,740)를 상호 연결하며 슬라이딩바디(400)와 연결되는 연결벨트(750)와, 제2 구동축(720)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760)를 포함한다.
제1 구동축(710)은 본체(100)의 전방에 상기 훅회전축(310)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제2 구동축(720)은 본체(100)의 후방에 제1 구동축(710)과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1, 제2 구동축(710,720)은 모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양 단부에 제1 풀리(730)와 제2 풀리(74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 구동축(720)의 일측에는 구동모터(760)의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종동기어(76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벨트(750)는 제1 풀리(730)와 제2 풀리(740)를 무한궤도상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바디(400)의 제1, 제2 접촉세그먼트(410,420)가 각각 상기 두 개의 연결벨트(750)에 결합되어 연결벨트(750)의 이동시 이와 함께 슬라이딩바디(400)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760)는 상기 종동기어(762)와 치합되는 구동기어(761)와 연결되어 구동모터(760)의 구동시 구동기어(761)와 종동기어(762)를 통해 제2 구동축(720)이 회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연결벨트(750)가 제1, 제2 풀리(730,740)에 감겨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구동모터(760)는 정·역회전이 모두 가능하며, 슬라이딩바디(400)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구동축(720)의 회전속도를 적정 상태로 조절하도록 감속기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축회전수단(500)은 훅회전축(31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훅회전축(310)의 일측에 설치된 제1 기어(510)와, 상기 훅회전축(3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 기어축(550)과, 제1 기어축(550)에 설치되어 제1 기어(510)와 치합되고 일측에 제1 돌출로드(580)가 마련된 제2 기어(520)와, 제1 기어축(550)에 설치된 제3 기어(530)와, 제3 기어(530)와 치합되며 제2 기어축(56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4 기어(540)와, 상기 제4 기어(540)를 회전시키는 링크부재(570)를 포함한다.
축회전수단(500)은 슬라이딩바디(400)가 전진할 때, 슬라이딩바디(400)의 이 동에 연계되어 작동하게 되는데, 링크부재(570)가 상기 제1 돌출로드(580)보다 전방에 위치해 있어서 슬라이딩바디(400)가 제2 훅부재(441)측으로 전진하는 과정에서 링크부재(570)를 가압하여 회전하게 된다.
상기 링크부재(570)는 제2 접촉세그먼트(420)와 접촉하게 되는데, 제2 접촉세그먼트(420)는 상기 상기 링크부재(570)에 설치된 제1 접촉롤러(574)와 접촉되는 전방접촉부(421)와, 상기 제1 돌출로드(580)의 단부에 마련된 제2 접촉롤러(581)와 접촉되는 후방접촉부(422)를 포함한다.
링크부재(570)는 상기 제2 기어축(560)으로부터 연장된 제1 링크(571)와, 제1 링크(571)와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링크(572)와, 제1, 제2 링크(571,572)의 각 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제3 링크(573) 및 제2 링크(572)와 제3 링크(573)의 연결부분에 설치된 제1 접촉롤러(574)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바디(400)가 전진하게 되면 제2 접촉세그먼트(420)의 전방접촉부(421)가 제1 접촉롤러(574)를 본체(100)의 후방으로 가압하게 되며 제1 내지 제3 링크(571~573)의 연계에 의해 제2 기어축(56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상기 제4 기어(540)와 치합된 제3 기어(530)에 의해 제1 기어축(550)이 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2 기어(520)와 제1 기어(510)에 의해 훅회전축(310)이 다시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훅회전축(310)은 제1 훅부재(320)의 단부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회전하게 되며, 제1 훅부재(320)의 파지부(321)가 위생커버(20)의 인입구(21) 내로 삽 입된다.
제2 접촉세그먼트(420)가 지속적으로 전진하면서 훅확장수단(600)에 의해 제1 훅부재(320)가 벌어진 뒤에는 후방접촉부(422)가 제1 돌출로드(580)의 제2 접촉롤러(581)와 접촉하여 제1 돌출로드(580)를 본체(100)의 후방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제1 돌출로드(580)가 제1 기어축(550)으로부터 방사상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돌출로드(580)의 회전에 의해 제2 기어(52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훅회전축(310)을 타방향으로 회전되며, 따라서 상기 파지부(321)는 위생커버(20)가 걸려있는 상태로 하방을 향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전방접촉부(421)와 후방접촉부(422)는 훅회전축(310)의 연장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제1 접촉롤러(574)와 제2 접촉롤러(581)의 설치 위치는 이에 대응하기 때문에 슬라이딩바디(400)의 전진 중 전방접촉부(421)와 후방접촉부(422)는 각각 제1 접촉롤러(574)와 제2 접촉롤러(581)만을 가압하고 상호 간섭되지 않는다.
상기 훅확장수단(600)은 제1 훅부재(320)의 파지부(321)가 커버박스(200)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파지부(321) 사이가 벌어지도록 제1 훅부재(320)를 회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제1 기어(510)와 대향되는 본체(100)의 내측면에 설치된 힌지플레이트(610)와, 힌지플레이트(610)를 본체(100)의 내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회전캠부재(620)와, 상기 힌지플레이트(610)의 내측면에 접촉하며 상기 두 개의 제1 훅부재(320)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넥팅로드(640)를 포함한다.
힌지플레이트(610)는 원판형이며 중앙에 상기 훅회전축(310)이 관통할 수 있 도록 관통홀(6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플레이트(610)의 외측면은 상단이 본체(100)의 내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힌지플레이트(610)의 하단은 후술하는 회전캠부재(620)에 의해 본체(100)의 내부방향을 향해 돌출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회전캠부재(620)는 힌지플레이트(6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본체(100)의 내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회전캠부재(620)는 가장자리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수록 본체(100)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길이가 점점 길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다시말해 외부 가장자리를 이분할한다고 했을 때, 일 구간에서는 원자방향을 따라 연장될수록 본체(100)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길이가 점점 길어지고, 그 단부로부터 나머지 구간에서는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수록 돌출길이가 점점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캠부재(620)는 원통을 사선으로 절단한 형태가 된다.
그리고 회전캠부재(620)는 회전중심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제2 돌출로드(630)가 마련되어 있으며, 제2 돌출로드(630)의 단부에는 제1 접촉세그먼트(410)와의 접촉을 위한 제3 접촉롤러(631)가 형성되어 있고, 제2 돌출로드(630)는 일단이 본체(100)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제2 돌출로드(630)에 고정된 제2 탄성부재(650)에 의해 상기 제1 접촉세그먼트(410)에 의해 본체(100)의 후방측으로 회전한 뒤 제1 접촉세그먼트(410)의 간섭이 사라지면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커넥팅로드(640)는 일단이 상기 힌지플레이트(61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있는데, 접촉지점에는 힌지플레이트(610)의 내주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4 접촉롤러(641)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훅회전축(310)이 회전할 때 커넥팅로드(640)의 일측단부가 힌지플레이트(610)의 내주면과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더라도 마찰에 의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훅부재(320)들 중 힌지플레이트(610)와 근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일측훅부재(320a), 제1 기어(510)와 근접한 위치의 것을 타측훅부재(320b)라 하면, 커넥팅로드(640)는 상기 제4 접촉롤러(641)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일측훅부재(320a)와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단부는 타측훅부재(320b)와 힌지결합된다.
특히 일측훅부재(320a)는 훅회전축(310)과의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파지부(3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단부에 커넥팅로드(640)가 결합되어 있고, 타측훅부재(320b)는 훅회전축(310)과의 결합지점을 중심으로 파지부(321)측으로 결합지점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서 커넥팅로드(640)와 결합된다.
따라서 커넥팅로드(640)가 힌지플레이트(610)의 회동에 의해 제1 기어(510)를 향해 수평이동을 하게 될 경우 제1 훅부재(320)들은 파지부(321)의 사이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여 파지부(321)를 벌어진다.
훅확장수단(600)의 구동관계를 간단히 정리하면, 슬라이딩바디(400)가 전진함에 따라 제1 접촉세그먼트(410)의 단부가 제2 돌출로드(630)의 제3 접촉롤러(631)와 접촉하여 회전캠부재(6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캠부재(620)의 돌출부분은 회전캠부재(620)의 회전에 의해 힌지플레이트(610)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힌지플레이트(610)를 본체(100)의 내측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커넥 팅로드(640)가 제1 기어(510)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훅부재(320)를 벌리게 된다.
상기 제1 훅부재(320)가 벌어지는 것은 상기 축회전수단(500)에 의해 파지부(321)가 커버박스(200)의 내부에 인입된 후에 이루어지는데, 이는 제1, 제2 접촉세그먼트(410,420)와 제1 내지 제3 접촉롤러(631)들 사이의 접촉순서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자동 신발 커버장치(10)는 또한 상기 구동모터(76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제어부는 본체(100)에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810,820,830)와, 제1 내지 제3 감지센서(810,820,830)의 감지정보를 수신하여 구동모터(760)를 구동 또는 정지시키는 신호출력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제1 감지센서(810)와 제2 감지센서(820)는 각각 본체(100)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어 있고, 제3 감지센서(830)는 상기 제1 훅부재(320)와 인접하도록 본체(100)에 설치되어 있다.
제1 감지센서(810)는 슬라이딩바디(400)가 본체(100)의 전방으로 이동하였을 때, 설정된 위치에 다다르면 이동을 멈추도록 슬라이딩바디(400)의 위치를 감지하게 되고, 제2 감지센서(820)는 슬라이딩바디(400)가 전진하여 본체(100)의 후방으로 진행할 때, 설정된 위치에 도달하면 진행을 멈추도록 되어 있다.
제3 감지센서(830)는 제1, 제2 훅부재(320,441)가 위생커버(20)의 인입구(21)를 벌리고 있는 상태에서 위생커버(20)의 탄성밴드(22)에 의해 제1 훅부재(320)가 소정각도 상방으로 더 회동된 상태에 있을 때 제1 훅부재(320)와 접촉하 도록 된 접촉센서로 위생커버(20)의 설치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즉, 위생커버(20)가 제1, 제2 훅부재(320,441)에 걸려 있을 때에는 탄성밴드(22)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훅부재(320)가 제3 감지센서(830)에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며, 사용자가 신발을 집어넣어 위생커버(20)를 제1, 제2 훅부재(320,441)로부터 분리시킨 후에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제거되어 제1 훅부재(320)가 제3 감지센서(830)로부터 떨어지게 됨으로써 제3 감지센서(830)에 의해 위생커버(20)의 설치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신호출력기는 제3 감지센서(830)에서 위생커버(20)가 제거된 상태임을 감지하면 구동모터(760)를 구동하여 제2 감지센서(820)에서 슬라이딩바디(400)를 감지할 때까지 슬라이딩바디(400)를 전진시킨 후, 다시 제1 감지센서(810)에서 슬라이딩바디(400)를 감지할 때까지 후진시킨다.
이렇게 신호출력기에 의해 구동모터(760)가 정회전 및 역회전하면서 슬라이딩바디(400)가 전진 및 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축회전수단(500), 훅확장수단(600), 커버인출수단(300)등이 연계구동하면서 위생커버(20)를 제1, 제2 훅부재(320,441)에 의해 인입구(21)가 벌어진 상태로 세팅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신발 커버장치(10)의 구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3 감지센서(830)에 의해 위생커버(20)가 분리된 상태임이 감지되면 신호출력기는 구동모터(760)를 구동하여 슬라이딩바디(400)를 전진시킨다.
슬라이딩바디(400)가 전진하는 과정에서 제2 접촉세그먼트(420)의 전방접촉부(421)가 제2 접촉롤러(581)와 접촉하여 제2 링크(572)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에 따 라 제4 기어(540)와 제3 기어(530) 및 제2 기어(520)와 제1 기어(510)의 동력전달에 의해 훅회전축(310)이 회동하여 파지부(321)가 커버박스(200)의 배출공(212)으로 인입된다.
슬라이딩바디(400)가 지속적으로 전진하면 제1 접촉세그먼트(410)가 제3 접촉롤러(631)와 접촉하여 회전캠부재(620)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힌지플레이트(610)의 하다닝 본체(100)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회동하여 제1 훅부재(320)들이 벌어져 파지부(321)가 위생커버(20)를 파지하게 된다.
제1 훅부재(320)들이 벌어지고 난 후에도 슬라이딩바디(400)는 계속 전진하게 되며 이후 제2 접촉세그먼트(420)의 후방접촉부(422)가 제1 접촉롤러(574)와 접촉하여 제1 돌출로드(580)를 가압하여 훅회전축(310)을 파지부(321)가 하방으로 내려오도록 회전시키게 된다.
파지부(321)가 축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하강할 때에는 위생커버(20)의 인입구(21)에 파지부(321)가 걸려서 위생커버(20)가 커버박스(200)로부터 배출된 상태가 된다.
슬라이딩바디(400)가 제2 감지센서(820)에 접촉될때까지 전진은 계속 이루어지게 되며, 제2 감지센서(820)에서 슬라이딩바디(400)를 감지하게 되면 신호출력기에서는 구동모터(760)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슬라이딩바디(400)가 제2 감지센서(820)에 접촉하여 본체(100)의 후방까지 전진된 상태가 되면 상기 제2 훅부재(441)가 위생커버(20)의 인입구(21)에 걸리게 되며 이후 신호출력기에서 구동모터(760)를 재 구동시켜 슬라이딩바디(400)를 제1 감지센서(810)에서 슬라이딩바디(400)가 감지될때까지 후진시키면 제2 훅부재(441)가 위생커버(20)의 인입구(21)에 걸린 상태로 슬라이딩바디(400)가 후진되므로 인입구(21)가 제1 훅부재(320)와 제2 훅부재(441)에 의해 벌어지게 된다.
사용자가 벌어진 인입구(21)를 통해 신발을 착용한 상태로 발을 넣으면 위생커버(20)가 제1, 제2 훅부재(320,441)로부터 분리되면서 인입구(21)에 설치된 탄성밴드(22)가 사용자의 발목을 파지하여 신발이 위생커버(20)에 의해 감싸지게 된다.
위생커버(20)가 분리되는 것은 제3 감지센서(830)에서 감지하고, 이후 상기한 동일과정을 통해 위생커버(20)를 재 인출하여 신발에 착용할 수 있는 준비상태로 세팅한다.
도 9 및 도 10에는 보조훅부재(810)와 낙하방지부재(820)를 더 구비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보조훅부재(810)는 상기 훅회전축(310)에 제1 훅부재(320)들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보조훅부재(810)는 제1 훅부재(320)와 나란하게 연장되어 제1 훅부재(320)가 위생커버(20)를 커버박스(200)로부터 인출한 다음 제2 훅부재(441)와 함께 위생커버(20)의 인입구(21)를 벌릴 때, 제1 훅부재(320) 사이에서 위생커버(20)의 인입구(21)를 지지하게 된다.
보조훅부재(810)에 의해 상기 위생커버(20)의 인입구(21)는 벌어지는 면적이 더욱 넓어지게 되므로 신발에 위생커버(20)를 착용시키는 것이 더욱 용이하며, 신발을 신은 사용자가 인입구(21)를 통해 위생커버(20)의 내부로 발을 들여놓고 하방 으로 가압하면 위생커버(20)의 인입구(21)가 신발의 가압력에 의해 제1, 제2 훅부재(320,441)로부터 이탈하면서 사용자의 발목을 감싸야 하는데, 보조훅부재(810)에 의해 위생커버(20)의 인입구(21)가 팽팽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사용자가 인입구(21)로 발을 들여놓으면 위생커버(20)가 제1, 제2 훅부재(320,441)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게 된다.
낙하방지부재(820)는 상기 보조훅부재(810)와 함께 훅회전축(310)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훅회전축(310)에 설치되며, 상기 제1 훅부재(320)와 보조훅부재(810)가 위생커버(20)를 지지한 상태로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을 때, 커버박스(200)로부터 위생커버(20)가 낙하하지 않도록 커버박스(200)의 배출공(212)을 차단한다.
상기 낙하방지부재(820)는 상기 훅회전축(310)과 함께 회전하게 되므로 위생커버(20)의 인출을 위해 훅회전축(310)이 회전하여 제1 훅부재(320)가 상방으로 향하게 되면, 회동되어 배출공(212)을 개방하게 되고, 제1 훅부재(320)가 하방으로 향할 때에는 배출공(212)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훅부재(320) 및 보조훅부재(810)와 소정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의 자동 신발 커버장치는 상기 보조훅부재(810)를 통해 위생커버(20)의 인입구(21)를 더욱 확장시킬 수 있으며, 위생커버(20)가 신발에 착용된 후 제1, 제2 훅부재(320,441) 및 보조훅부재(810)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이 이루어지고, 위생커버(20)가 제1, 제2 훅부재(320,441)에 의해 착용대기 상태로 세팅된 상태에서는 낙하방지부재(820)에 의해 커버박스(200)로부터 위생커버(20)가 낙하하 는 것이 방지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훅플레이트에도 제2 훅부재(441)가 세 개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보조훅부재(810)와 함께 위생커버(20)의 인입구(21)를 벌어진 상태로 함께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훅부재(810)와 낙하방지부재(8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앞선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므로 동일 번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신발 커버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동 신발 커버장치의 본체와 커버박스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의 커버박스를 도시한 부분절단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커버인출수단과 축회전수단 및 훅확장수단을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축회전수단을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6은 도 1의 훅확장수단을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슬라이딩바디를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제1, 제2 훅부재에 의해 위생커버의 인입구가 벌려진 상태로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보조훅부재와 낙하방지부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보조훅부재와 낙하방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Claims (7)

  1. 상면이 개구되어 있고, 양측 내주면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선단에 설치되며 하방으로 개방된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신발을 감싸기 위한 복수개의 위생커버들이 적층되어 있는 커버박스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훅회전축과, 상기 커버박스의 배출공을 통해 위생커버를 인출하도록 상기 훅회전축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제1 훅부재를 포함하는 커버인출수단과;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단부에 상호 이격 형성되어 상기 제1 훅부재와 함께 위생커버의 인입구를 벌리는 두 개의 제2 훅부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딩바디와;
    상기 제1 훅부재의 단부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훅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축회전수단과;
    상기 제1 훅부재를 각각의 단부가 상호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회전시키는 훅확장수단; 및
    상기 슬라이딩바디를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본체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송시키는 바디이송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신발 커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이송수단은 상기 본체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제2 구동축과, 상기 제1, 제2 구동축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제2 풀리와, 상기 제1, 제2 풀리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슬라이딩바디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바디를 이동시키는 연결벨트와, 상기 제2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축회전수단은 상기 훅회전축의 일측에 설치된 제1 기어와, 상기 훅회전축과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기어축과, 상기 기어축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기어와 치합되고 일측에 제1 돌출로드가 마련된 제2 기어와, 상기 기어축에 설치된 제3기어와, 상기 제3 기어와 치합되는 제4 기어와, 상기 제4 기어를 회전시키는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훅확장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 내벽에 상기 훅회전축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훅회전축이 관통되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힌지플레이트와, 상기 힌지플레이트와 인접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회전축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제2 돌출로드가 연장되어 있고, 가장자리가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될수록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길이가 점점 길어지게 형성되어 회전시 상기 힌지플레이트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상기 힌지플레이트의 내측면이 본체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힌지플레이트를 회동시키는 회전캠부재와, 일단이 상기 힌지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접촉되어있고, 상기 두 개의 제1 훅부재와 각각 힌지결합되어 상기 회전캠부재에 의해 상기 힌지플레이트가 본체의 내측으로 점점 돌출되면 상기 힌지플레이트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제1 훅부재들의 단부가 상호 벌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제1 훅부재들을 회동시키는 커넥팅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바디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상기 바디이송수단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때, 상기 링크부재와 상기 제1 돌출로드와 순차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4 기어와 제2 기어를 순차적으로 회전시키는 제1 접촉세그먼트와, 상기 제2 돌출로드와 접촉하여 상기 회동캠부재를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제2 접촉세그먼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신발 커버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본체의 전방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바디의 전단부가 상기 본체의 전방에 다다른 것을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와,
    상기 본체의 후방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바디의 후단부가 상기 본체의 후방에 다다른 것을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훅부재가 상기 위생커버를 인입구가 벌어진 상태로 지지할 때에는 접촉되고, 위생커버가 제1 훅부재로부터 이탈되었을 때에는 분리되어 위생커버의 이탈 여부를 감지하는 제3 감지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신발 커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훅부재는 상기 위생커버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바디의 연결판에 상하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훅부재의 회동축에는 상기 제2 훅부재가 상기 위생커버의 이탈 과정에서 상방으로 회동한 후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토션스프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신발 커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박스의 내부에 적층되는 위생커버들이 상기 배출공을 향해 하방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위생커버들의 상부에서 위생커버를 가압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를 상기 커버박스 내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승강수단은 상기 커버박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제2 회전롤러와, 상기 제1, 제2 회전롤러에 권취되어 무한궤도상으로 연결되며 일측이 상기 가압플레이트와 결합된 견인와이어와,
    상기 커버박스의 외부로 노출된 견인와이어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견인부재와,
    상기 커버박스의 하부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견인와이어가 이동하지 않도록 상기 견인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신발 커버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제1 훅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훅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훅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제1 훅부재들과 함께 위생커버의 일측을 지지하는 보조훅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신발 커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훅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제1 훅부재 및 보조훅부재가 인출된 위생커버를 지지하고 있을 때 상기 커버박스로부터 위생커버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버박스의 배출공을 막는 낙하방지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신발 커버장치.
KR1020090038711A 2009-04-20 2009-05-01 자동 신발 커버장치 KR100913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4187 2009-04-20
KR1020090034187 2009-04-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617B1 true KR100913617B1 (ko) 2009-08-26

Family

ID=41210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711A KR100913617B1 (ko) 2009-04-20 2009-05-01 자동 신발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61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0333B1 (ko) 2011-04-18 2011-08-29 김도영 자동 신발커버 공급장치
WO2012061892A1 (en) * 2010-11-12 2012-05-18 Emma Avison Bra storage device
KR20150124170A (ko) 2014-04-28 2015-11-05 주식회사 모리아팜 신발덮개 제공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연결 유닛
KR200481389Y1 (ko) * 2016-06-02 2016-09-23 대한개발공사 주식회사 덧신 착용장치
US9907422B2 (en) 2015-08-20 2018-03-06 Protexer, Inc. Bootie level alert
CN108860669A (zh) * 2018-08-06 2018-11-23 周兆平 一种营养粉加工的包装设备
CN108891635A (zh) * 2018-08-06 2018-11-27 周兆平 一种用于营养粉的包装装置
US10791861B2 (en) 2008-03-26 2020-10-06 Protexer Corporation Shoe cover removal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4990A (ja) 2004-09-29 2006-04-13 Hideyo Ochi 靴カバー及び靴カバー装着装置
KR100675956B1 (ko) 2005-09-22 2007-02-02 김흥구 덧신자동착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4990A (ja) 2004-09-29 2006-04-13 Hideyo Ochi 靴カバー及び靴カバー装着装置
KR100675956B1 (ko) 2005-09-22 2007-02-02 김흥구 덧신자동착화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91861B2 (en) 2008-03-26 2020-10-06 Protexer Corporation Shoe cover removal apparatus
WO2012061892A1 (en) * 2010-11-12 2012-05-18 Emma Avison Bra storage device
KR101060333B1 (ko) 2011-04-18 2011-08-29 김도영 자동 신발커버 공급장치
KR20150124170A (ko) 2014-04-28 2015-11-05 주식회사 모리아팜 신발덮개 제공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연결 유닛
US9907422B2 (en) 2015-08-20 2018-03-06 Protexer, Inc. Bootie level alert
KR200481389Y1 (ko) * 2016-06-02 2016-09-23 대한개발공사 주식회사 덧신 착용장치
CN108860669A (zh) * 2018-08-06 2018-11-23 周兆平 一种营养粉加工的包装设备
CN108891635A (zh) * 2018-08-06 2018-11-27 周兆平 一种用于营养粉的包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3617B1 (ko) 자동 신발 커버장치
US7775396B2 (en) Automatic shoe cover dispenser
WO2021036602A1 (zh) 一种防感染医用转运床
WO2015156502A1 (ko) 착즙드럼 체결 구조 개선 착즙기
KR101060333B1 (ko) 자동 신발커버 공급장치
CN115770153B (zh) 一种漂浮理疗仓
US20230032175A1 (en) Glove Don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610669B1 (ko) 초음파 프로브 커버 자동장착장치
WO2006012782A1 (fr) Moyen pour descendre des souliers d’un rangement pour souliers
ITAN20120098A1 (it) Distributore automatico di confezioni di bottiglie d'acqua.
CN110004670B (zh) 衣物处理装置
WO2013100252A1 (ko) 승강식 상품인출장치
CN201846925U (zh) 一种自动拔楦机的置楦装置及自动拔楦机
KR20050092001A (ko) 주낙 장치
CN214357203U (zh) 医疗导管的外包装袋剥离装置
CN212503555U (zh) 一种物料提升机防护门联动装置
CN218978563U (zh) 一种鞋套机
JP5572419B2 (ja) 紙幣処理装置
CN206166442U (zh) 一种多元自动传输现金柜台
CN105118147B (zh) 具有通道打开和两拆装装置的纸币清分机
US20060070841A1 (en) Coin sorting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CN219125923U (zh) 一种脱鞋套机和鞋套穿脱一体机
KR0123399Y1 (ko) 오락용 상품인출장치
CN221106245U (zh) 一种医用棉球成型机
CN217498388U (zh) 一种管片吊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