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576B1 - 무연탄 벽난로 - Google Patents

무연탄 벽난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576B1
KR100913576B1 KR1020080126829A KR20080126829A KR100913576B1 KR 100913576 B1 KR100913576 B1 KR 100913576B1 KR 1020080126829 A KR1020080126829 A KR 1020080126829A KR 20080126829 A KR20080126829 A KR 20080126829A KR 100913576 B1 KR100913576 B1 KR 100913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ombustion chamber
air
combustion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6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대
Original Assignee
(주)대성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성에스이 filed Critical (주)대성에스이
Priority to KR1020080126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40/00Combustion apparatus with driven means for feeding fuel into th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24Closed stoves for pulverulent fu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무연탄 벽난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연탄 벽난로는, 연료가 유입되는 연소실 연료유입구가 형성된 연소실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소실에서 연소된 연소재가 보관되는 연소재 보관실이 하부에 형성된 본체; 본체에 설치되며, 일측에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주입구와 타측에 연소실 연료유입구와 연통되는 연료배출구가 형성된 연료저장통; 연소실 연료유입구와 연료배출구가 연통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연료배출구에서 배출된 연료를 연소실로 공급하는 연료공급수단; 연소실 연료유입구 하단부에 연소실과 연소재 보관실이 상하로 구획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며, 연료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연료가 적재되어 연소되는 바닥면 전체가 평평하게 형성된 스토브; 및 연소실 연료유입구의 상단부에 연소실 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스토브에서 연소 중인 연료가 연소실 연료유입구 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판을 포함한다.
무연탄, 고체 연료, 벽난로, 연료공급, 리모콘, 그을음 방지

Description

무연탄 벽난로{Anthracite coal hearth}
본 발명은 무연탄 벽난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필요한 연료의 손실없이 자동으로 연소실에 공급되도록 하되, 연소실의 불이 연소통의 연료로 옮겨 붙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무연탄 벽난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름값의 상승으로 난방 연료의 대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실내 난방과 함께 아늑하고 따스한 실내 분위기의 연출, 그리고 장식적인 효과 등을 두루 갖추고 있는 벽난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벽난로는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하부에 위치하여 연소되고 남은 재가 담아지도록 하는 연소재 보관실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종래 벽난로는 전방에 설치된 개폐문을 통해서 연소실에 장작이나 석탄 등의 연료를 직접 넣고 점화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고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모터에 의해 작동하는 이송스크류 또는 컨베이버 벨트를 이용한 벽난로의 연료 자동공급장치가 개발되었으 나, 연료의 공급이 이송통로가 아닌 공기 중에서의 자유낙하로 떨어지는 방식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연소실로의 연료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미국특허 제4,803,973호에 기술된 장치의 연료공급방식은 호퍼의 연료를 밀어 연소실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때, 연료가 연소되는 스토브는 위로 경사진 면의 상부 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연료가 경사를 따라 상부에 위치한 스토브까지 공급되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연료가 스토브를 향한 경사면에 쌓이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처럼, 필요 이상으로 공급된 연료는, 연소의 on/off 제어를 어렵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연소 시 호퍼 내의 연료로까지 불이 옮겨 붙을 수 있는 원인을 제공함에 따라 자칫 대형 화재로 번질 수 있다는 위험성도 안고 있다.
이처럼, 필요 이상으로 공급된 연료는, 연소의 on/off 제어를 어렵게 만드는 요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연소 시 호퍼 내의 연료로까지 불이 옮겨 붙을 수 있는 원인을 제공함에 따라 자칫 대형 화재로 번질 수 있다는 위험성도 안고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고체연료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구조를 살펴보면, 연료는 연료저장통으로부터 배출된 후, 일측에 마련된 연료공급수단의 왕복 운동에 의해 연소실로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지속적인 연료공급수단의 왕복 운동에 의해 연료는 연소실에 쌓이게 되고, 일정량의 연료가 연소실에 쌓이게 되면, 연료공급수단은 동작을 멈추게 된다.
이후, 점화 과정을 통해 연료가 연소되면, 연료의 부피는 점차 축소되고, 이에 따라 적층된 연료의 상부에 위치한 또 다른 연료는 균형을 잃게 되어 적층된 연료의 경사면을 타고 연료저장통 측으로 흘러들어가 화재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이 외에도, 연소실의 전방에 위치하여 벽난로 내부의 연소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투명창은, 연료의 연소 시 발생하는 그을음으로 인해 미관을 해치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벽난로의 경우 리모콘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음에 따라, 난방 조절 등에 대한 기기 제어가 다소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연료가 불필요한 연료의 손실없이 자동으로 연소실에 공급되도록 하되, 연소실의 불이 연소통의 연료로 옮겨 붙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무연탄 벽난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연소실의 창에 그을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벽난로의 동작을 리모콘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연탄 벽난로는 연료가 유입되는 연소실 연료유입구가 형성된 연소실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소실에서 연소된 연소재가 보관되는 연소재 보관실이 하부에 형성된 본체; 본체에 설치되며, 일측에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주입구와 타측에 연소실 연료유입구와 연통되는 연료배출구가 형성된 연료저장통; 연소실 연료유입구와 연료배출구가 연통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연료배출구에서 배출된 연료를 연소실로 공급하는 연료공급수 단; 연소실 연료유입구 하단부에 연소실과 연소재 보관실이 상하로 구획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며, 연료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연료가 적재되어 연소되는 바닥면 전체가 평평하게 형성된 스토브; 및 연소실 연료유입구의 상단부에 연소실 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스토브에서 연소 중인 연료가 연소실 연료유입구 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판을 포함한다.
이때, 가이드판과 스토브는 3~10mm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본체 내부에 설치된 연소팬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유입구;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상기 스토브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 1공기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공기유입구와 제 1공기배출구 간에 공기 연락이 가능한 제 1공기유로; 및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나머지가 투명창 하단에 형성된 제 2공기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공기유입구와 제 2공기배출구 간에 공기연락이 가능한 제 2공기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제 1공기유로와 제 2 공기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 비율이 2:1이 되도록 상기 각 공기유로의 공기유입구 직경 크기를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연소실 외부에 형성되어 연소실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는 순환통로; 순환통로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순환모터; 및 순환통로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구와,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및 온도 감지부의 감지 온도에 따라 연료공급수단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연탄 벽난로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에 따라 기 설정된 제어코드를 적외선 또는 RF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송신하 는 리모콘; 및 리모콘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벽난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리모콘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무연탄 벽난로에 따르면, 연료저장통에 보관된 연료가 자동으로 연소실로 공급됨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연료를 공급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연료공급이 수평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연료공급의 제어가 용이하여 과다한 연료공급으로 인한 화재사고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료배출구 하단에 형성되는 가이드판으로 인해 연소중인 연료가 연료배출구 측으로 유입되거나, 연소실의 불이 연료저장통 측의 연료로 옮겨 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별도의 추가 구성없이 연소실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 중 일부만을 이용하여 연소실의 투명창에 그을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원격지에서의 리모콘 제어가 가능함에 따라 벽난로의 난방 조절을 포함한 기기 동작에 대한 제어가 용이하다는 등의 추가적인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연탄 벽난로는 연료가 유입되는 연소실 연료유입구가 형성된 연소실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소실에서 연소된 연소재가 보 관되는 연소재 보관실이 하부에 형성된 본체; 본체에 설치되며, 일측에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주입구와 타측에 연소실 연료유입구와 연통되는 연료배출구가 형성된 연료저장통; 연소실 연료유입구와 연료배출구가 연통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연료배출구에서 배출된 연료를 연소실로 공급하는 연료공급수단; 연소실 연료유입구 하단부에 연소실과 연소재 보관실이 상하로 구획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며, 연료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연료가 적재되어 연소되는 바닥면 전체가 평평하게 형성된 스토브; 및 연소실 연료유입구의 상단부에 연소실 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스토브에서 연소 중인 연료가 연소실 연료유입구 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 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연탄 벽난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연탄 벽난로는 연료저장통(10), 연료공급수단(20), 스토브(30), 연소팬(45), 연소재 보관실(50), 순환모터(60), 배기모터(70) 및 투명창(8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료저장통(10)은 연소되기 위한 연료가 담겨지는 곳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무연탄이 저장된다. 무연탄은 연소시 불꽃이 짧고 연기가 나지 않으며, 화력이 강하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면서 계속적으로 탈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연료저장통(10)의 상부에는 연료의 주입을 위한 연료주입구(10a)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연료저장통(10)에 담겨진 연료가 배출되기 위한 연료배출구(10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연료저장통(10)은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을 수 있다.
한편, 연소실(40)을 형성하는 측벽 일측에는 연소실 연료유입구(40a)가 형성된다. 연소실 연료유입구(40a)는 연료배출구(10b)와 연통되며, 연료배출구(10b)에서 배출된 연료가 연료공급수단(20)에 의해 연소실(40)로 공급되도록 한다.
연료공급수단(20)은 연료배출구(10b)를 통해 배출되는 연료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연료공급수단(20)은 모터에 의해 전/후진 작동하여 상부의 연료저장통(10)에서 배출되는 연료를 전방으로 밀어내 연료 공급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말해, 연료배출구(10b)로부터 배출된 연료는 하부에 위치한 평면판의 형태로 이루어진 스토브(30) 상에 놓이게 되고, 스토브(30) 상에 위치한 연료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연료공급수단(20)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스토브(30)는 연소실(40)을 형성하는 측벽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단과, 연소를 마친 연소재가 하부의 연소재 보관실(50)로 낙하하도록 하는 자유단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스토브(30)는 크게 연료가 연소되는 자유단 측의 전단부와 연료가 공급되도록 하는 고정단 측의 후단부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브(30)의 전단부에는 연소를 위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 1공기배출구(41)가 형성되는 반면, 후단부에는 아무런 공기배출구 없이 전단부에 연료를 공급할 수 있도록 바닥면이 평평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스토브(30)의 양 측면에는 연료가 이송 중에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소정 높이의 방지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연소실(40)로 연료가 유입되는 연소실 연료유입구(40a)의 상부에는 연소실(40) 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가이드판(14)이 설치된다.
가이드판(14)은 소정량의 연료를 연소실(40)의 스토브(30)로 안내해줌과 동시에, 연소실(40)에서 점화된 연료가 연소실 연료유입구(40a) 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판(14)은 스토브(30)와 3~10mm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이드판(14)과 스토브(30) 간의 간격이 3mm 이하 또는 10mm 이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경우, 연료의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거나, 또는 연소중인 연료가 역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연료공급수단(20)은 콘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제어된다. 콘트롤러는 사전에 입력된 설정값 또는 실시간 입력되는 값에 따라 연료공급수단(20)의 동작 속도 등을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연탄 벽난로는, 벽난로가 설치된 실내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콘트롤러는 바로 이 온도 감지부와 연동됨으로써, 감지된 실내 온도에 따라 그에 해당하는 연료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연동공급수단(20)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가령, 실내 온도가 기준치보다 높은 경우에 콘트롤러는 연료공급수단(20)의 동작을 멈추거나 또는 동작 주기를 길게 함으로써 연소실(40)로의 연료 공급량을 줄이게 되고, 반면 실내 온도가 기준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연료공급수단(20)의 동작 주기를 짧게 하여 보다 많은 양의 연료가 연소실(40)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연료공급수단(20)의 전방에는 연료를 연소시키는 스토브(30)가 구비된 연소실(40)이 위치한다. 스토브(30)의 바닥면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는 제 1공기배출구(4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 1공기배출구(41)는 연소팬(45)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스토 브(30)에 배출되도록 한 것으로, 이때, 연소팬(45)은 연소를 위한 외부 공기를 스토브(30) 측에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스토브(30) 상의 연료에 산소를 공급하여 연료의 연소를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연탄 벽난로는, 연소실(40) 전방에 위치한 투명창(80)에 그을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 2공기배출구(43)가 구비된다.
제 2공기배출구(43)는 전면 투명창(8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연소팬(45)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한다. 이때, 제 2공기배출구(43)는 다수 개의 천공된 구멍이 투명창(80)의 폭의 길이와 대응되도록 나란하게 배치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 2공기배출구(43)는 제 1공기배출구(41)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로와 연결됨으로써, 연소팬(45)로부터의 외부 공기를 공급받게 된다.
예컨데, 제 2공기배출구(43)로 연결되는 공기 유로의 폭의 크기를 조절하거나 혹은 별도의 공기량 조절수단(미도시)을 이용하여, 연소팬(45)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의 2/3는 제 1공기배출구(41)로 배출되도록 하여 연료의 연소에 사용되도록 하고, 나머지 1/3의 공기는 제 2공기배출구(43)로 배출되도록 하여 투명창(80)에 그을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제 2공기배출구(43)와 연통되는 공기유로는 연소재가 스토브(30)에서 연소재 보관실(50)로 낙하하는 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벽난로 내벽 측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연탄 벽난로는, 제 2공기배출구(43)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투명창(80)에 그을음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연소재 보관실(50)은 스토브(30)에서 연소를 마친 연소재를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스토브(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연소가 완료된 연소재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즉, 스토브(30) 상의 연료가 점화 과정을 거쳐 연소가 완료되면 연료공급수단(20)은 연료배출구(10b)로부터 배출된 연료를 전방으로 밀어냄으로써 추가로 연료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전방 스토브(30) 상에 남아있는 연소재는 추가로 공급되는 연료에 밀려 연소재 보관실(50)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별도로 연소재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스토브(30) 상의 연소재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연소재 보관실(50)은 벽난로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별도의 출입문을 통해 외부로의 입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연탄 벽난로는 연소실(40)에서 발생한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순환통로(62) 및 송풍구(64)를 구비한다.
순환통로(62)는 연료가 연소되는 연소실(40)의 외벽을 따라 형성되어 연소실(4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장치 일측에 마련된 순환모터(60)에 의해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순환모터(60)는 순환통로(62)에 공기를 강제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 순환모터(60)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순환통로(62)를 따라 연소실(40) 외부를 순환 이동하면서 연소실(40)의 열을 흡수하게 된다.
순환통로(62)를 따라 이동하며 열을 흡수한 공기는 장치 일면에 형성된 송풍구(64)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난방 효율을 높이게 된다.
한편, 연소 시 사용된 공기는 연소실(40) 내부를 순환한 뒤, 벽난로 하단에 위치한 배기모터(70)에 의해 외부로 강제 배출된다.
연소실(40)의 전면에는 투명창(80)이 설치된다. 투명창(80)은 선택적으로 개폐가 가능한 도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투명창(80)을 통해 연소실(40) 내부의 연료의 연소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연탄 벽난로는, 리모콘(90)의 조작에 의한 제어가 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에 따라 기 설정된 제어코드를 적외선 또는 RF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송신하는 리모콘(90)과, 리모콘(90)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벽난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리모콘수신부(95)를 구비한다.
리모콘 수신부(95)는 리모콘(9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벽난로 내부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수단(20)을 포함한 연소팬(45), 순환모터(60) 및 배기모터(70) 등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실내 난방을 조절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연탄 벽난로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무연탄 벽난로가 실내를 난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인 것으로, 도 3을 참고하면, 먼저, 연료저장통(10)의 연료주입부를 통해 연료(무연탄)을 주입한다. 이때, 연료주입부는 연료저장통(10)의 상부에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별도의 커버부재를 이용하여 연료주입부의 개폐상태를 결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주입된 연료는 연료저장통(10)의 하단부에 형성된 연료배출구(10b)를 통해서 배출된다. 이때, 연료저장통(10)은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 전원을 인가하여 벽난로를 동작시키면, 배출된 연료는 일측에 마련되는 연료공급수단(20)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나가게 된다. 이때, 연료공급수단(20)은 전/후진하는 모터의 동작에 의해 작동하게 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필요한 소정량의 연료만이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연료가 이송되는 스토브(30)의 양측면에는 연료의 이탈을 방지하는 방지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경사를 갖지 않는 수평 자세의 스토브 끝단에는 연소실(40)에 외부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제 1공기배출구가 형성된다. 이때, 제 1공기배출구는 스토브(30)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연소팬(45)에 의해 유입되는 외부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스토브(30) 상에 놓인 연료의 연소 효율을 높여주게 된다.
여기서, 스토브(30)는 소정의 열전도율을 가지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 이 좋을 수 있으며, 또한, 스토브(30)의 양측면에는 스토브와 마찬가지로 연료의 이탈을 방지하는 별도의 방지벽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브(30)에서 연소를 마친 연소재는 추가로 공급되는 연료에 밀려 아래의 연소재 보관실(50)을 향해 떨어지게 되고, 연소재 보관실(50)은 떨어지는 연소재들을 받아 보관하게 된다. 이때, 연소재 보관실(50)은 외부로의 입출이 가능하여 사용자는 보관된 연소재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연소실(40) 외벽을 따라 형성된 순환통로(62) 내에 위치한 공기는 연소실(4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한 뒤, 벽난로 전방에 형성된 송풍구(64)를 통해 실내로 배기됨으로써, 실내의 난방 효율을 높여주게 된다.
한편, 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는 배기모터(70)에 의해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 이때, 배기모터(70)는 벽난로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연탄 벽난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연탄 벽난로에 리모콘 시스템이 적용된 것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연탄 벽난로가 실내를 난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동작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무연탄 벽난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료저장통 10a : 연료주입구
10b : 연료배출구 20 : 연료공급수단
30 : 스토브 40 : 연소실
40a : 연소실 연료유입구 41 : 제 1공기배출구
43 : 제 2공기배출구 45 : 연소팬
50 : 연소재 보관실 60 : 순환모터
62 : 순환통로 64 : 송풍구
70 : 배기모터 80 : 투명창

Claims (7)

  1. 연료가 유입되는 연소실 연료유입구가 형성된 연소실이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소실에서 연소된 연소재가 보관되는 연소재 보관실이 하부에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며, 일측에 연료가 주입되는 연료주입구와 타측에 상기 연소실 연료유입구와 연통되는 연료배출구가 형성된 연료저장통;
    상기 연소실 연료유입구와 상기 연료배출구가 연통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상기 연료배출구에서 배출된 연료를 상기 연소실로 공급하는 연료공급수단;
    상기 연소실 연료유입구 하단부에 상기 연소실과 연소재 보관실이 상하로 구획되도록 수평하게 설치되며, 상기 연료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연료가 적재되어 연소되는 바닥면 전체가 평평하게 형성된 스토브;
    상기 연소실 연료유입구의 상단부에 연소실 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스토브에서 연소 중인 연료가 상기 연소실 연료유입구 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판;
    상기 본체 내부에 설치된 연소팬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유입구;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상기 스토브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 1공기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공기유입구와 제 1공기배출구 간에 공기 연락이 가능한 제 1공기유로; 및
    상기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공기의 나머지가 투명창 하단에 형성된 제 2공기배출구로 배출되도록 공기유입구와 제 2공기배출구 간에 공기연락이 가능한 제 2공기유로를 포함하는 무연탄 벽난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공기유로와 제 2 공기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 비율이 2:1이 되도록 상기 각 공기유로의 공기유입구 직경 크기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탄 벽난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 외부에 형성되어 연소실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는 순환통로;
    상기 순환통로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순환모터; 및
    상기 순환통로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탄 벽난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 및
    상기 온도 감지부의 감지 온도에 따라 상기 연료공급수단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탄 벽난로.
  6.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에 따라 기 설정된 제어코드를 적외선 또는 RF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송신하는 리모콘; 및
    상기 리모콘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벽난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출력하는 리모콘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탄 벽난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과 스토브는 3~10mm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연탄 벽난로.
KR1020080126829A 2008-12-12 2008-12-12 무연탄 벽난로 KR100913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829A KR100913576B1 (ko) 2008-12-12 2008-12-12 무연탄 벽난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6829A KR100913576B1 (ko) 2008-12-12 2008-12-12 무연탄 벽난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3576B1 true KR100913576B1 (ko) 2009-08-26

Family

ID=4121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6829A KR100913576B1 (ko) 2008-12-12 2008-12-12 무연탄 벽난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5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625B1 (ko) * 2015-12-15 2016-12-30 에스티에이프로덕트(주) 펠렛 히터
CN106524134A (zh) * 2016-11-23 2017-03-22 青岛亚泉环保节能设备有限公司 秸秆颗粒取暖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8702A (ko) * 1998-07-15 2000-02-15 정승철 비닐하우스용 온풍기
KR200216193Y1 (ko) 1998-03-14 2001-03-15 전영주 온수보일러
KR20010104391A (ko) * 2001-06-15 2001-11-26 유석준 갈탄을 포함한 고체연료 사용 온풍기 및 제어시스템
KR100603762B1 (ko) 2004-12-03 2006-07-24 주식회사 디씨아이 보일러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193Y1 (ko) 1998-03-14 2001-03-15 전영주 온수보일러
KR20000008702A (ko) * 1998-07-15 2000-02-15 정승철 비닐하우스용 온풍기
KR20010104391A (ko) * 2001-06-15 2001-11-26 유석준 갈탄을 포함한 고체연료 사용 온풍기 및 제어시스템
KR100603762B1 (ko) 2004-12-03 2006-07-24 주식회사 디씨아이 보일러 원격제어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1625B1 (ko) * 2015-12-15 2016-12-30 에스티에이프로덕트(주) 펠렛 히터
CN106524134A (zh) * 2016-11-23 2017-03-22 青岛亚泉环保节能设备有限公司 秸秆颗粒取暖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761B1 (ko) 펠릿연료를 이용한 연소시스템
US20070186920A1 (en) Gravity feed natural draft pellet stove
KR101478221B1 (ko) 펠렛 난로
JP2007533395A (ja) 上部に開閉式ドアが取り付けられたロースター
US20040226550A1 (en) Barbecue grill with smoke generator
KR20150060137A (ko) 공기 순환식 난로
KR100913576B1 (ko) 무연탄 벽난로
JP2010019539A (ja) 熱風炉、加熱装置および加温機
KR101579258B1 (ko) 난방 펠릿난로
KR101884137B1 (ko) 2단 연소통을 가지는 펠릿용 로스터
KR101351612B1 (ko) 펠렛 난로
KR20150002292U (ko) 펠렛 및 화목 겸용 난로
KR101481807B1 (ko) 펠렛 난로 점화장치
KR100758115B1 (ko) 연료 저장식 보일러
KR20070041799A (ko) 난방용 난로
US4557248A (en) Wood and gas fired furnace
KR200483709Y1 (ko) 펠릿 난방 장치
KR200475507Y1 (ko) 바비큐 구이장치
KR101636713B1 (ko) 펠릿을 이용한 난방장치
KR200484683Y1 (ko) 로스톨이 구비되는 난로
KR200453945Y1 (ko) 음성 안내기능이 구비된 난로
KR200466626Y1 (ko) 펠릿형 난방장치
KR200465794Y1 (ko) 펠릿형 난방장치
KR20160067328A (ko) 펠릿 난로
KR20150118692A (ko) 화목 및 펠릿 겸용 이동식 구들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