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3538B1 - 광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광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3538B1
KR100913538B1 KR1020070117078A KR20070117078A KR100913538B1 KR 100913538 B1 KR100913538 B1 KR 100913538B1 KR 1020070117078 A KR1020070117078 A KR 1020070117078A KR 20070117078 A KR20070117078 A KR 20070117078A KR 100913538 B1 KR100913538 B1 KR 100913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ignal
sensor
measurement
measure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0564A (ko
Inventor
최영완
김두근
최운경
오금윤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17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3538B1/ko
Publication of KR20090050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3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3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27Arrangements for network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6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through light guides, e.g. optical fib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40Transcei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광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장치는 전기적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송신부와 광신호에 의해 소정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제1신호출력단자 및 광네트워크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제2신호출력단자로 광송신부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를 분기하는 광분기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광통신장치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수신부와 센서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제1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측정신호와 광네트워크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제2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광신호를 광수신부로 제공하는 광결합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광원과 광검출기의 휴대없이 광신호에 의해 소정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동작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광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수단 외에 측정수단을 구비한 광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기술의 발전과 함께 건강에 대한 인식이 수동적인 치료개념인 의료(health-care) 개념에서 능동적인 예방개념인 건강관리(wellness) 개념으로의 패러다임이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장소 및 시간의 제약 없이 인체의 바이털 사인(vital sign)과 같은 건강 인자나 건강 관련 환경 인자를 측정 및 분석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개인의 질병 상태 및 건강 관련 환경 인자의 정보에 대한 응답 특성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위급시 환자의 상태를 담당 의사나 병원에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건강 진단을 할 수 있는 장치는 그 규모가 커서 휴대하기에 용이치 않았다. 최근에는 소규모의 광신호를 이용한 센서가 등장하여 간편하게 휴 대하면서 건강 인자나 건강 관련 환경 인자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은 센서를 이용하게 되면 장소 및 시간의 제약 없이 건강 인자나 건강 관련 환경 인자를 측정할 수 있으나, 광신호를 이용한 센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항상 광원 및 광검출기까지 같이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그리고 측정한 데이터를 의료기관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데이터 전송장치를 이용하여야만 가능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장소 및 시간의 제약 없이 간편하게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는 광통신장치 및 이러한 광통신장치를 이용한 검사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전기적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송신부; 광신호에 의해 소정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제1신호출력단자 및 광네트워크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제2신호출력단자로 상기 광송신부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를 분기하는 광분기부;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수신부; 및 상기 센서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제1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측정신호와 상기 광네트워크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제2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광신호를 상기 광수신부로 제공하는 광결합부;를 갖는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장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전기적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네트워크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광송신부;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수신부; 상기 광네트워크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광신호를 광신호에 의해 소정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의 입력단과 상기 광수신부로 분기하는 광분기부; 및 광신호의 진행 경로 상 상기 광분기부와 상기 광수신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의 출력단을 통해 입력된 측정신호와 상기 광수신부로 분기된 광신호를 상기 광수신부로 제공하는 광결합부;를 갖는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전광변환소자와 광전변환소자에 의해 광네트워크로 광신호를 전송하거나 광네트워크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는 광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광변환소자로부터 방출된 광신호를 상기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센서로 입력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 상기 센서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상기 센서의 측정신호가 상기 광전변환소자로 입력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 및 상기 광전변환소자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상기 센서의 측정신호의 응답 특성을 산출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갖는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는 전광변환소자와 광전변환소자에 의해 광네트워크로 광신호를 전송하거나 광네트워크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는 광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네트워크를 통해 입력된 광신호를 상기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출력을 통해 상기 센서로 입력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 상기 센서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상기 센서의 측정신호가 상기 광전변환소자로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광전변환소자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상기 센서의 측정신호의 응답 특성을 산출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의하면, 광통신장치에 구비된 광원과 광검출기를 이용하여 광신호에 의해 소정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를 동작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별도의 광원과 광검출기를 휴대하지 않아도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센서를 광통신장치에 탈부착하는 것이 가능하여 하나의 광통신장치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여러 종류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장치는 광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실시간으로 상기 센서를 통해 측정된 환자의 질병상태 및 건강 관련 인자의 응답 특성을 의료기관 등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장치는 광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의료기관으로부터 필요한 정보 및 응급조치 사항 등을 전송받아 환자가 이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장치(100)는 광송신부(110), 광수신부(120), 광분기부(130), 광결합부(140), 제어부(150), 분석부(155), 출력부(160) 및 통신부(165)를 구비한다. 그리고 광통신장치(100)는 광네트워크(175)와 광학적 으로 연결되며, 센서(170)를 탈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송신부(110)는 광원인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와 이것을 구동하는 구동회로로 구성되어 전기적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광수신부(120)는 광검출기(photodetector)와 TIA(trans-impedance amplifier)회로 및 리시버(receiver)회로로 구성된다. TIA회로는 광검출기의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변환된 전류 신호를 전압 신호로 변환한다. 리시버회로는 TIA회로를 통해 출력되는 전압 신호를 증폭하여 고감도로 감지하게 한다.
광분기부(130)는 광송신부(110)로부터 출력된 광신호가 센서(170)와 광네트워크(175)로 분기되어 입력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광분기부(130)는 센서(170)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제1신호출력단자 및 광학네트워크(175)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제2신호출력단자를 구비한다. 센서(170)는 광신호에 의해 소정의 물리량을 측정이 가능한 것이 이용된다. 광네트워크(175)는 광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광케이블 등이 이용된다. 이때 광송신부(110)로부터 방출된 광신호가 제1신호출력단자와 제2신호출력단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출력단자로 출력되도록 광경로를 절환하는 제1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광결합부(140)는 센서(170)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제1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측정신호와 광네트워크(175)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제2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광신호를 광수신부(120)로 제공한다. 이때 센서(170)에서 입력되는 측정신호와 광네트워크(175)에서 입력되는 광신호가 중첩되지 않도록 제1신호입력단자와 제2신호입력단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만이 광 수신부(120)로 입력되도록 절환하는 제2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측정모드가 선택되면 광송신부(110)에서 방출된 광신호가 제1신호출력단자를 통해 센서(170)에 입사되도록 제1스위치를 제어하고, 제1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출사된 센서(170)의 측정신호가 광수신부(120)에 입력되도록 제2스위치를 제어한다. 반대로 통신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50)는 광송신부(110)에서 방출된 광신호가 제2신호출력단자를 통해 광네트워크(150)에 입사되도록 제1스위치를 제어하고, 광네트워크(150)와 광학적으로 연결된 제2신호출력단자를 통해 수신된 광신호가 광수신부(120)에 입력되도록 제2스위치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사용자 단말장치(185)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사용자 단말장치(185)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제어부(150)는 서버(180)로 광네트워크(175)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서버(180)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사용자 단말장치(185)는 정보처리기능을 구비한 장치로서, 컴퓨터, 휴대폰, PDA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분석부(155)는 광수신부(120)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센서(170)의 측정신호의 응답 특성을 산출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한다. 측정데이터는 제어부(150)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185)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장치(185)의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제어부(150)를 통해 서버(180)에 위치하는 측정데이터 관리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출력부(160)는 측정데이터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통신부(165)는 사용자 단말장치(185)와의 데이터 송수신수단을 제공한다. 데이터 송수 신수단은 유선 통신수단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무선 통신수단 모두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장치(200)는 광송신부(210), 광수신부(220), 광분기부(230), 광결합부(240), 제어부(250), 분석부(255), 출력부(260) 및 통신부(265)를 구비한다.
광송신부(210), 광수신부(220), 분석부(255), 출력부(260) 및 통신부(265)는 도 1의 광통신장치(100)가 구비한 광송신부(110), 광수신부(120), 분석부(155), 출력부(160) 및 통신부(165)에 각각 대응된다.
광분기부(230)는 광네트워크(275)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광신호가 센서(270)의 입력단과 광수신부(220)로 분기되어 입력되도록 한다. 센서(27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신호에 의해 소정의 물리량을 측정이 가능한 것이 이용되고, 광네트워크(275)는 광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광케이블 등이 이용된다. 이때 광네트워크(275)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광신호가 센서(270)의 입력단과 광수신부(220) 중 어느 하나로 분기되도록 광경로를 절환하는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광결합부(240)는 광신호의 진행 경로 상 광분기부(230)와 광수신부(2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센서(270)의 출력단을 통해 입력된 측정신호와 광분기부(230)에서 광수신부(220)의 방향으로 분기된 광신호를 광수신부(220)로 제공한다.
제어부(250)는 도 1의 광통신장치(100)가 구비한 제어부(150)에 대응된다. 다만 도 2의 광통신장치(200)는 광결합부(240)에 스위치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제어부(250)는 광분기부(230)의 광경로를 절환하는 스위치만을 제어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고 설명한 광통신장치(100, 200)에 센서(170, 270)를 부착하여 센서(170, 270)를 이용하여 소정의 물리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센서(170, 270)는 광통신장치(100, 2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광통신장치(100, 200)에 탈부착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참고적으로, 후술하는 광통신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은 상술한 도 1에 도시된 광통신장치(100)를 이용해서 구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1의 광통신장치(100)에 구비된 광송신부는 전광변화소자에 대응되고, 광수신부는 광전변환소자에 대응된다. 다만 전광변화소자와 광전변화소자에 의해 광네트워크로 광신호를 송수신하고, 전광변화소자에서 출력되는 광신호가 센서에 입사되고 센서에서 출사되는 광신호가 광전변화소자로 입력되는 광통신장치이면 다른 광통신장치를 이용해도 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광통신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장치(185)로부터 광통신장치(100)를 물리량 측정을 위한 측정모드로 변경하라는 제어명령을 수신한다(S310). 광통신장치(100)를 이용하여 물리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185)를 이용하여 광통신장치(100)에 측정모드로 변경하라는 명령을 입력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85)는 컴퓨터, 휴대폰, PDA 등이 이용가능하다.
사용자 단말장치(185)를 통해 측정모드로 변경이라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광통신장치(100)에 구비된 전광변환소자(110)로부터 방출된 광신호가 센서(170)에 입사되도록 제1스위치를 제어하고, 센서(170)의 측정신호가 광통신장치(100)에 구비된 광전변환소자(120)로 입력되도록 제2스위치를 제어한다(S320). 센서(170)는 광신호에 의해 물리량 측정이 가능한 것을 이용한다. 이때 센서(170)에 입사되는 광신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광변환소자(110)로부터 방출된 광신호를 이용하고, 센서(170)로부터 출사되는 광신호는 광전변환소자(120)를 이용하여 검출한다. 따라서 전광변환소자(110)로부터 방출된 광신호는 센서(170)에 입사되도록 스위칭되고, 센서(170)의 측정신호는 광전변화소자(120)로 입력되도록 스위칭된다.
다음으로, 센서(170)는 센서(170)에 입력된 광신호를 기초로 검사대상을 측정하여 생성된 측정신호를 출사하고, 출사된 측정신호는 광전변환소자(120)로 입력된다(S330). 전광변환소자(110)로부터 방출된 광신호를 이용하여 센서(170)가 검사대상을 측정하고 측정신호를 출사하면 광전변환소자(120)는 측정신호를 검출한다.
그리고 분석부(155)는 광전변환소자(120)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센서(170)의 측정신호의 응답 특성을 산출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한다(S340). 광전변환소자(120)는 측정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광통신장치(100)에 구비된 분석부(155)로 전송하고 분석부(155)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센서(170)의 측정신호의 응답 특성을 산출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측정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장치(185)로 전송한다(S350). 분석부(155)가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면 제어부(150)는 측정데이터를 광통신장치(100)에 구비된 통신부(165)를 통해 사용자 단말장치(185)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광통신장치(100)는 사용자 단말장치(185)로부터 광통신장치(100)를 광네트워크(175)를 통한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모드로 변경하라는 제어명령을 수신한다(S360). 검사대상의 측정이 끝나고 측정데이터가 생성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장치(185)를 통해 광통신장치(100)를 다시 광네트워크(175)를 통한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모드로 변경하라는 제어명령을 입력한다.
사용자 단말장치(185)를 통해 통신모드로 변경이라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전광변환소자(110)로부터 방출된 광신호가 광네트워크(175)로 송신되도록 제1스위치를 제어하고, 광네트워크(175)로부터 수신된 광신호가 광전변화소자(120)에 입력되도록 제2스위치를 제어한다(S370). 제어부(150)에 의해 수신된 통신모드로 변경하라는 제어명령에 의해 광통신장치(100)는 광네트워크(175)와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모드로 스위칭된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측정데이터를 광네트워크(175)를 통해 측정데이터 관리서버로 전송한다(S38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참고적으로, 후술하는 광통신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은 상술한 도 2에 도시된 광통신장치(200)를 이용해서 구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2의 광통신장치(200)에 구비된 광송신부는 전광변화소자에 대응되 고, 광수신부는 광전변환소자에 대응된다. 다만 전광변화소자와 광전변화소자에 의해 광네트워크로 광신호를 송수신하고, 광네트워크를 통해 입력되는 광신호가 센서에 입사되고 센서에서 출사되는 광신호가 광전변화소자로 입력되는 광통신장치이면 다른 광통신장치를 이용해도 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광통신장치(200)는 광통신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사용자 단말장치(285)로부터 광통신장치(200)를 물리량 측정을 위한 측정모드로 변경하라는 제어명령을 수신한다(S410). S410 단계는 상술한 S310 단계에 대응된다.
사용자 단말장치(285)를 통해 통신모드로 변경이라는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50)는 광네트워크(275)로부터 입력된 광신호가 센서(270)에 입력되도록 스위치를 제어한다(S420). 이 경우에는 센서(270)에 입사되는 광신호를 광네트워크(275)로부터 공급받으므로 측정모드에서는 광네트워크(275)로부터 입력된 광신호가 광전변환소자(220)로 향하지 않고 센서(270)로 입사되도록 스위칭된다.
다음으로, 센서(270)는 센서(270)에 입력된 광신호로 검사대상을 측정하여 생성된 측정신호를 출사하고, 출사된 측정신호는 광통신장치(200)에 구비된 광전변환소자(220)에 입력한다(S430). 그리고 분석부(255)는 광전변환소자(220)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센서(270)의 측정신호의 응답 특성을 산출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한다(S440). 그리고 제어부(250)는 측정데이터를 사용자 단말장치(285)로 전송한다(S450). 다음으로, 광통신장치(200)는 사용자 단말장치(285)로부터 광통신장치(200)를 광네트워크(275)를 통한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모드로 변경하라는 제어명 령을 수신한다(S460). S430 단계 내지 S460 단계는 상술한 S330 단계 내지 S360 단계에 대응된다.
사용자 단말장치(285)로부터 광통신장치(200)를 통신모드로 변경하라는 제어명령이 수신되면, 제어부(250)는 광네트워크(275)로부터 입력된 광신호가 광전변환소자(220)에 입력되도록 스위치를 제어한다(S470). 통신모드에서는 광네트워크(275)로부터 입력된 광신호가 광전변화소자(220)로 수신되도록 하여야 하므로 광네트워크(275)로부터 입력된 광신호가 광전변환소자(220)에 입력되도록 스위칭한다.
그리고 제어부(250)는 측정데이터를 광네트워크(275)를 통해 측정데이터 관리서버로 전송한다(S480). S480 단계는 S380 단계에 대응된다.
이상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185, 285)를 이용하여 광통신장치(100, 200)를 측정모드로 변경하여 물리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180, 280)로부터 측정모드로 변경하라는 제어명령을 수신받아 물리량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대기오염과 같은 환경 인자는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특별한 제어명령 없이 주기적으로 측정모드와 통신모드가 교번적으로 변경되도록 하여 주기적으로 물리량을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광통신장치(100, 200)를 별도의 사용자 단말장치(185, 285)와 연결시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광통신장치(100, 200)가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광통신장치(100, 200)를 가정뿐만 아니라 지하철, 백화점, 학교 등의 장소에 설치하여 개인의 질병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이를 의료기관에 전송하여 위급시 대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개인의 건강상태에 따른 환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건강기록을 미리 서버(185, 285)에 저장해 놓고 이를 광네트워크(175, 275)를 통해 전송받아 측정데이터와 비교, 분석할 수 있다. 개인의 건강기록과 같이 보안이 요구되는 정보를 전송받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장치(185, 285)를 통하여 인증하는 단계를 거쳐서 광네트워크(175, 275)로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 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광통신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Claims (13)

  1. 전기적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송신부;
    광신호에 의해 소정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제1신호출력단자 및 광네트워크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제2신호출력단자로 상기 광송신부로부터 출력된 광신호를 분기하는 광분기부;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수신부;
    상기 센서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제1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측정신호와 상기 광네트워크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제2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광신호를 상기 광수신부로 제공하는 광결합부;
    상기 광송신부로부터 방출된 광신호가 상기 제1신호출력단자와 상기 제2신호출력단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출력단자로 출력되도록 광경로를 절환하는 제1스위치;
    상기 제1신호입력단자와 상기 제2신호입력단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신호가 상기 광수신부로 입력되도록 광경로를 절환하는 제2스위치; 및
    상기 센서를 통해 소정의 물리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광송신부로부터 방출된 광신호가 상기 제1신호출력단자, 센서 및 제1신호입력단자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광수신부로 제공되도록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를 함께 제어하고, 상기 광네트워크와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광송신부로부터 방출된 광신호가 상기 제2신호출력단자를 통해 출력되고 상기 제2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광신호가 상기 광수신부로 제공되도록 상기 제1스위치와 제2스위치를 함께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수신부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상기 센서의 측정신호의 응답 특성을 산출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 및
    정보처리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수단을 제공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측정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데이터를 상기 광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에 위치한 측정데이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장치.
  3. 전기적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광네트워크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출력단자를 통해 출력하는 광송신부;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광수신부;
    상기 광네트워크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광신호를 광신호에 의해 소정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의 입력단과 상기 광수신부로 분기하는 광분기부; 및
    상기 광분기부와 상기 광수신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센서의 출력단을 통해 입력된 측정신호와 상기 광수신부로 분기된 광신호를 상기 광수신부로 제공하는 광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광신호가 상기 센서의 입력단과 상기 광수신부 중 어느 하나로 분기되도록 광경로를 절환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수신부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상기 센서의 측정신호의 응답 특성을 산출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정보처리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수단을 제공하는 통신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 상기 측정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데이터를 상기 광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에 위치한 측정데이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장치.
  7.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장치.
  8. 전광변환소자와 광전변환소자에 의해 광네트워크로 광신호를 전송하거나 광네트워크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는 광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광변환소자로부터 방출된 광신호를 상기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센서로 입력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
    상기 센서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상기 센서의 측정신호가 상기 광전변환소자로 입력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 및
    상기 광전변환소자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상기 센서의 측정신호의 응답 특성을 산출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
  9. 전광변환소자와 광전변환소자에 의해 광네트워크로 광신호를 전송하거나 광네트워크로부터 광신호를 수신하는 광통신장치를 이용하여 소정의 물리량을 측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광네트워크를 통해 입력된 광신호를 상기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센서로 입력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
    상기 센서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신호입력단자를 통해 상기 센서의 측정신호가 상기 광전변환소자로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광전변환소자를 통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 상기 센서의 측정신호의 응답 특성을 산출하여 측정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데이터를 정보처리기능을 구비한 사용자 단말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장치로부터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데이터를 상기 광네트워크를 통해 측정데이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통신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
  13. 제 8항 또는 제 9항에 기재된 광통신장치를 이용한 측정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70117078A 2007-11-16 2007-11-16 광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KR100913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078A KR100913538B1 (ko) 2007-11-16 2007-11-16 광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078A KR100913538B1 (ko) 2007-11-16 2007-11-16 광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564A KR20090050564A (ko) 2009-05-20
KR100913538B1 true KR100913538B1 (ko) 2009-08-21

Family

ID=40859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078A KR100913538B1 (ko) 2007-11-16 2007-11-16 광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35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531B1 (ko) * 2017-06-29 2020-06-18 주식회사 케이티 인빌딩 유무선 광통합 장치 및 유선 광신호 처리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294A (ko) * 1999-08-26 2001-03-15 윤종용 파장분할 다중화장치와 광전송장치간 광신호 보호 구현을 위한광전송 시스템
JP2005167478A (ja) * 2003-12-01 2005-06-23 Ntt Electornics Corp 光伝送システム及び光伝送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9294A (ko) * 1999-08-26 2001-03-15 윤종용 파장분할 다중화장치와 광전송장치간 광신호 보호 구현을 위한광전송 시스템
JP2005167478A (ja) * 2003-12-01 2005-06-23 Ntt Electornics Corp 光伝送システム及び光伝送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564A (ko)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4855B2 (en)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user terminal
US11405101B2 (en) OTDR receive device with connectivity feedback
US201402348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otion interaction based on biological signals
CN102667783A (zh) 用于医疗监测模块的协议分析器系统及方法
KR102272448B1 (ko) Ecg 기반 원격 개인 건강 관리 서비스 방법
EP3376397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devic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ontrol program
CN104198830B (zh) 基于双通信通道动态切换的电磁环境实时监测系统及方法
US9530305B2 (en) System for obtaining performance information
KR100913538B1 (ko) 광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방법
US11694043B2 (en) Animal motion and temperature monitoring
KR20190063574A (ko) 웨어러블 기기에서 감지된 ecg(심전도) 및 라이프 로그 정보를 이용한 개인 주치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951230A (zh) 基于可见光通信的医疗保健系统
JP4449004B2 (ja) 点検操作ガイダンスシステム
CN114279606A (zh) 一种膜片式压力传感器的分布式传感系统及其分布式复用方法
CN211206247U (zh) 一种便携式光纤浊度检测装置
KR20200025320A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KR101290588B1 (ko) 비표준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헬스기기의 신호를 표준 프로토콜로 변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변환 장치 및 그의 프로토콜 변환 방법, 그리고 유비쿼터스 헬스 시스템
KR102057401B1 (ko)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방법 및 장치
KR101835967B1 (ko) 가시광을 이용한 실내 위치 인식 장치 및 방법
Väänänen et al. Mobile health applications: a comparative analysis and a novel mobile health platform
KR20200141619A (ko) 스마트폰 어플과 연동하여 애완견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
US20100190444A1 (en) Rapid wireless pairing method
WO2014065463A1 (ko) 생체 정보에 기반한 상품 안내 시스템 및 상품 안내 방법
US20230165465A1 (en) Remote body temperature monitoring system
US10560763B2 (en) Smart sensor technolog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