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320A -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320A
KR20200025320A KR1020180102516A KR20180102516A KR20200025320A KR 20200025320 A KR20200025320 A KR 20200025320A KR 1020180102516 A KR1020180102516 A KR 1020180102516A KR 20180102516 A KR20180102516 A KR 20180102516A KR 20200025320 A KR20200025320 A KR 20200025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location
data
identification signal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관희
홍석훈
박성현
황수현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2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5320A/ko
Publication of KR20200025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3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 식별 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위치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 결정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WORK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LOC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은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치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근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블루투스(Bluetooth)는 휴대폰, 노트북, 이어폰·헤드폰 등의 휴대기기를 서로 연결해 정보를 교환하는 근거리 무선 기술 표준을 뜻한다. 주로 10미터 안팎의 초단거리에서 저전력 무선 연결이 필요할 때 쓰인다.
근태관리 시스템은 직원들의 출,퇴근 기록 등 제반 근무 관련 정보를 수작업 또는 전산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담당자는 출근부, 타임카드 또는 전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노무 정보를 집계, 관리한다.
근태관리는 기업의 규모에 따라 다양한 단말기와 유무선 통신 매체를 이용하여 다수 사업장에서 종사하는 근로자의 근무 정보를 본사에서 집계하여 관리하거나, 각 공장, 현장 또는 지사 단위로 근태 업무를 처리하고, 본사에 보고하는 방식으로 처리하고 있다.
최근에는 근로자의 근태관리에 ID카드 인식, 지문 인식, 홍채 인식, 손혈관 인식, 화상 인식 등의 하드웨어와 근태 관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기존 수작업으로 이뤄지던 관리를 전산 시스템으로 처리하는 기업이 증가 추세이다.
또한, 스마트 폰 등 전자 기기를 이용하여 근태를 관리하려는 시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때 직원들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문제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2237호(2011.07.19.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직원의 정확한 위치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을 인식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여 근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위치 식별 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위치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 결정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근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위치 식별 신호를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 데이터 생성장치는, 상기 위치 식별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모듈 및 상기 검출한 위치 식별 신호와 상기 검출 모듈의 상대적인 거리를 이용하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 데이터 생성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근태 관리 시스템이 위치 식별 신호를 출력 하는 단계, 근태 관리 시스템이 위치 식별 신호를 검출 하는 단계, 근태 관리 시스템이 상기 검출한 위치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근태 관리 시스템이 상기 생성한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근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확한 위치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음성을 인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식한 음성에 대응하여 근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위치 결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명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동일한 식별 기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며, 불필요한 중복적인 설명 및 공지 기술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통신', '통신망' 및 '네트워크'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 용어들은, 파일을 사용자 단말, 다른 사용자들의 단말 및 다운로드 서버 사이에서 송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의 근거리 및 광역 데이터 송수신망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위치 결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관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100), 위치 결정 장치(200) 및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은 제1 제어모듈(110), 제1 통신모듈(120), 위치 식별 신호 출력 모듈(130), 출력 모듈(140) 및 제1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100)을 구성하는 제1 제어모듈(110), 제1 통신모듈(120), 위치 식별 신호 출력 모듈(130), 출력 모듈(140) 및 제1 데이터베이스(150)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제어모듈(110)은 사용자 단말(100)에 대한 정보나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을 관리한다.
제1 제어모듈(110)은 위치 식별 신호 출력 모듈(130)의 동작을 관리한다.
제1 제어모듈(110)은 출력 모듈(140)의 동작을 관리한다.
제1 제어모듈(110)은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 및 상기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미도시)에는 사용자 단말(1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프로그램(예컨대, OS)이 저장될 수 있다.
제1 통신모듈(1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위치 결정 장치(200) 및 관리 서버(300)와 연결된다.
제1 통신모듈(120)은 위치 식별 신호 출력 모듈(130)이 출력한 위치 식별 신호를 위치 결정 장치(200)로 전송한다.
제1 통신모듈(120)은 위치 식별 신호 출력 모듈(130)이 출력한 위치 식별 신호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제1 통신모듈(120)은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근태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1 통신모듈(120)은 위치 결정 장치(200)가 전송한 비상 알림 신호를 수신한다.
제1 통신모듈(120)은 위치 결정 장치(200)가 전송한 비상시 대피로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1 통신모듈(120)은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비상 알림 신호를 수신한다.
제1 통신모듈(120)은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비상시 대피로 데이터를 수신한다.
위치 식별 신호 출력 모듈(130)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위치 식별 신호를 출력한다.
위치 식별 신호 출력 모듈(130)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위치 식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위치 식별 신호 출력 모듈(130)은 사용자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신호(예컨대, 사원 번호)가 포함된 위치 식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위치 식별 신호 출력 모듈(130)은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가 특정되지 않은 위치 식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위치 식별 신호 출력 모듈(130)은 사용자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신호(예컨대, 사원 번호)가 포함되고,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가 특정되지 않은 위치 식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위치 식별 신호 출력 모듈(130)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한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 식별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위치 식별 신호 출력 모듈(130)이 출력한 위치 식별 신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근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근태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근태 데이터를 도표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음성 데이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근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음성 데이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근태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음성 데이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근태 데이터를 도표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위치 결정 장치(200)가 전송한 음성 데이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근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위치 결정 장치(200)가 전송한 음성 데이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근태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위치 결정 장치(200)가 전송한 음성 데이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근태 데이터를 도표화하여 출력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위치 결정 장치(200)가 전송한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 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위치 결정 장치(200)가 전송한 비상 알림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위치 결정 장치(200)가 전송한 비상 알림 신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위치 결정 장치(200)가 전송한 비상시 대피로 데이터를 출력 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위치 결정 장치(200)가 전송한 비상시 대피로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위치 결정 장치(200)가 전송한 비상시 대피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비상 알림 신호를 출력 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비상 알림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비상 알림 신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비상시 대피로 데이터를 출력 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비상시 대피로 데이터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출력 모듈(140)은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비상시 대피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제1 데이터베이스(150)는 사용자 단말(100)이 출력한 위치 식별 신호를 저장한다.
제1 데이터베이스(15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위치 식별 신호를 저장한다.
제1 데이터베이스(150)는 위치 결정 장치(200)가 전송한 비상 알림 신호를 저장한다.
제1 데이터베이스(150)는 위치 결정 장치(200)가 전송한 비상시 대피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1 데이터베이스(150)는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비상 알림 신호를 저장한다.
제1 데이터베이스(150)는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비상시 대피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위치 결정 장치(200)는 제2 제어 모듈(210), 제2 통신 모듈(220), 검출 모듈(230), 위치 데이터 생성 모듈(240), 음성 수신 모듈(250) 및 제2 데이터베이스(260)를 포함한다.
위치 결정 장치(200)를 구성하는 제2 제어 모듈(210), 제2 통신 모듈(220), 검출 모듈(230), 위치 데이터 생성 모듈(240), 음성 수신 모듈(250) 및 제2 데이터베이스(260)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제어 모듈(210)은 위치 결정 장치(200)에 대한 정보나 위치 결정 장치(200)의 동작을 관리한다.
제2 제어 모듈(210)은 검출 모듈(230)의 동작을 관리한다.
제2 제어 모듈(210)은 위치 데이터 생성 모듈(240)의 동작을 관리한다.
제2 제어 모듈(210)은 음성 수신 모듈(250)의 동작을 관리한다.
제2 제어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비상 알림 신호를 관리한다.
제2 제어 모듈(210)은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비상시 대피로 데이터를 관리한다.
제2 제어 모듈(210)은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 및 상기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미도시)에는 위치 결정 장치(2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프로그램(예컨대, OS)이 저장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2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및 관리 서버(300)와 연결된다.
제2 통신 모듈(220)은 사용자 단말(100)이 출력한 위치 식별 신호를 수신한다.
제2 통신 모듈(220)은 음성 수신 모듈(250)이 수신한 음성 신호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제2 통신 모듈(220)은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비상 알림 신호를 수신한다.
제2 통신 모듈(220)은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비상시 대피로 데이터를 수신한다.
검출 모듈(230)은 위치 식별 신호를 검출한다.
검출 모듈(230)은 위치 식별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수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신 모듈은 비콘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수신 모듈은 각기 다른 방향의 적어도 4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수신 모듈은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검출 모듈(230)은 상기 위치 식별 신호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신호(예컨대, 사원 번호)를 검출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생성 모듈(240)은 검출 모듈(230)이 검출한 위치 식별 신호와 검출 모듈(230)의 상대적인 거리를 이용하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위치 데이터 생성 모듈(240)은 검출 모듈(230)이 수신한 상기 위치 식별 신호의 상대적인 강도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생성 모듈(240)은 검출 모듈(230)이 검출한 위치 식별 신호 및 검출 모듈(230)이 검출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생성 모듈(240)은 상기 특정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위치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생성 모듈(240)은 검출 모듈(230)이 검출한 위치 식별 신호에 포함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생성 모듈(240)은 검출 모듈(230)이 검출한 위치 식별 신호에 포함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 및 검출 모듈(230)이 검출한 상기 사용자 단말(100)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위치 데이터 생성 모듈(240)은 상기 특정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위치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음성 수신 모듈(250)은 사용자 단말(100)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한다.
음성 수신 모듈(250)은 위치 결정 장치(200)가 존재하는 구역에서 사람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음성 수신 모듈(250)은 기 설정된 사용자 단말(100)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음성 수신 모듈(250)은 수신한 음성을 이용하여 음성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2 데이터베이스(26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위치 식별 신호를 저장한다.
제2 데이터베이스(260)는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 위치 식별 신호를 저장한다.
제2 데이터베이스(260)는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비상 알림 신호를 저장한다.
제2 데이터베이스(260)는 관리 서버(300)가 전송한 비상시 대피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2 데이터베이스(260)는 검출 모듈(230)이 검출한 위치 식별 신호를 저장한다.
제2 데이터베이스(260)는 위치 데이터 생성 모듈(240)이 생성한 위치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2 데이터베이스(260)는 음성 수신 모듈(250)이 수신한 음성을 저장한다.
제2 데이터베이스(260)는 음성 수신 모듈(250)이 생성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관리 서버(300)는 제3 제어모듈(310), 제3 통신모듈(320), 근태 데이터 생성 모듈(330), 음성 데이터 분석 모듈(340) 및 제3 데이터베이스(350)를 포함한다.
관리 서버(300)를 구성하는 제3 제어모듈(310), 제3 통신모듈(320), 근태 데이터 생성 모듈(330), 음성 데이터 분석 모듈(340) 및 제3 데이터베이스(350)는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3 제어모듈(310)은 관리 서버(300)에 대한 정보나 관리 서버(300)의 동작을 관리한다.
제3 제어모듈(310)은 근태 데이터 생성 모듈(330)의 동작을 관리한다.
제3 제어모듈(310)은 음성 분석 모듈(340)의 동작을 관리한다.
제3 제어모듈(310)은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비상 알림 신호를 관리한다.
제3 제어모듈(310)은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비상시 대피로 데이터를 관리한다.
제3 제어모듈(310)은 위치 결정 장치(200)로 전송하는 비상 알림 신호를 관리한다.
제3 제어모듈(310)은 위치 결정 장치(200)로 전송하는 비상시 대피로 데이터를 관리한다.
제3 제어모듈(310)은 프로그램들이 저장된 메모리(미도시) 및 상기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 상기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모리(미도시)에는 관리 서버(300)를 동작시키기 위한 동작프로그램(예컨대, OS)이 저장될 수 있다.
제3 통신모듈(3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 및 위치 결정 장치(200)와 연결된다.
제3 통신모듈(320)은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위치 식별 신호를 수신한다.
제3 통신모듈(320)은 위치 결정 장치(200)가 전송한 위치 식별 신호를 수신한다.
제3 통신모듈(320)은 위치 결정 장치(200)가 전송한 위치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3 통신모듈(320)은 사용자 단말(100)로 비상 알림 신호를 전송한다.
제3 통신모듈(320)은 사용자 단말(100)로 비상시 대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3 통신모듈(320)은 위치 결정 장치(200)로 비상 알림 신호를 전송한다.
제3 통신모듈(320)은 위치 결정 장치(200)로 비상시 대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3 통신모듈(320)은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3 통신모듈(320)은 사용자 단말(100)로 음성 데이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근태 데이터를 전송한다.
제3 통신모듈(320)은 위치 결정 장치(200)가 전송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3 통신모듈(320)은 위치 결정 장치(200)로 음성 데이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근태 데이터를 전송한다.
근태 데이터 생성 모듈(330)은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근태 데이터를 생성한다.
근태 데이터 생성 모듈(330)은 위치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이용하여 근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근태 데이터 생성 모듈(330)은 위치 데이터에 포함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이용하여 근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 분석 모듈(340)은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음성 데이터를 분석한다.
음성 데이터 분석 모듈(340)은 위치 결정 장치(200)가 전송한 음성 데이터를 분석한다.
음성 데이터 분석 모듈(340)은 상기 음성 데이터를 음절 단위로 분석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 분석 모듈(340)은 상기 분석한 음성 데이터에 대응되는 근태 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 분석 모듈(340)은 상기 결정한 근태 데이터를 제3 통신모듈(32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 분석 모듈(340)은 상기 결정한 근태 데이터를 제3 통신모듈(32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 분석 모듈(340)은 상기 결정한 근태 데이터를 제3 통신모듈(320)을 통하여 위치 결정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3 데이터베이스(35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위치 식별 신호를 저장한다.
제3 데이터베이스(350)는 위치 결정 장치(200)가 전송한 위치 식별 신호를 저장한다.
제3 데이터베이스(350)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비상 알림 신호를 저장한다.
제3 데이터베이스(350)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비상시 대피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3 데이터베이스(350)는 위치 결정 장치(200)로 전송한 비상 알림 신호를 저장한다.
제3 데이터베이스(350)는 위치 결정 장치(200)로 전송한 비상시 대피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3 데이터베이스(350)는 사용자 단말(100)이 전송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3 데이터베이스(350)는 위치 결정 장치(200)가 전송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3 데이터베이스(350)는 사용자 단말(100)로 전송한 음성 데이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근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3 데이터베이스(350)는 위치 결정 장치(200)로 전송한 음성 데이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근태 데이터를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된 '서버'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여기서 사용된 '모듈'이라는 용어는 논리적인 구성 단위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구성 요소가 아니라는 점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은 근태 관리 시스템이 위치 식별 신호를 출력한다(S100).
이때, 상기 위치 식별 신호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근태 관리 시스템이 위치 식별 신호를 검출한다(S110).
이때, 근태 관리 시스템은 상기 위치 식별 신호에 포함된 식별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근태 관리 시스템이 상기 검출한 위치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한다(S120).
이때.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근태 관리 시스템이 상기 생성한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근태 데이터를 생성한다(S130).
이때, 근태 관리 시스템은 상기 위치 데이터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를 이용하여 근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근태 관리 시스템이 생성한 상기 근태 데이터를 출력한다(S140).
이때, 상기 근태 데이터는 도표화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적어도 하나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사용자 단말 200...위치 결정 장치
300...관리 서버

Claims (5)

  1. 위치 식별 신호를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위치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 결정 장치
    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근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
    를 더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위치 식별 신호를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출력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데이터 생성장치는,
    상기 위치 식별 신호를 검출하는 검출 모듈; 및
    상기 검출한 위치 식별 신호와 상기 검출 모듈의 상대적인 거리를 이용하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위치 데이터 생성 모듈
    을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5. 근태 관리 시스템이 위치 식별 신호를 출력 하는 단계;
    근태 관리 시스템이 위치 식별 신호를 검출 하는 단계;
    근태 관리 시스템이 상기 검출한 위치 식별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근태 관리 시스템이 상기 생성한 위치 데이터를 이용하여 근태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KR1020180102516A 2018-08-30 2018-08-30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KR202000253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516A KR20200025320A (ko) 2018-08-30 2018-08-30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516A KR20200025320A (ko) 2018-08-30 2018-08-30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320A true KR20200025320A (ko) 2020-03-10

Family

ID=69801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516A KR20200025320A (ko) 2018-08-30 2018-08-30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532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56830A (zh) * 2021-05-07 2021-08-13 广州红海云计算股份有限公司 一种考勤管理装置的智能实时考勤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2237A (ko) 2011-01-13 2012-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저항 메모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2237A (ko) 2011-01-13 2012-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양방향 저항 메모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56830A (zh) * 2021-05-07 2021-08-13 广州红海云计算股份有限公司 一种考勤管理装置的智能实时考勤方法及装置
CN113256830B (zh) * 2021-05-07 2022-02-22 广州红海云计算股份有限公司 一种考勤管理装置的智能实时考勤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1260B2 (en) Associating external credentials with mobile devices
CN109076076A (zh) 双因素认证
KR101734511B1 (ko) 휴대단말기와 와이파이 액세스 포인트 기반의 위치확인을 이용한 근태관리 시스템
EP27567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based on a location
US20130181838A1 (en) Security-enhanced radio frequency object locator system, method and program storage device
US20120202531A1 (en) Location determination and guidance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KR101496646B1 (ko) 인스턴트 qr코드를 통한 출입관리방법
EP3163802B1 (en) Test device for utilizing machine-readable codes for testing a communication network
CN101256683A (zh) 人员出勤考核的方法
US2023018640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variate artificial intelligence (ai) smart cards
CN108848276A (zh) 电话号码可用性检测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04681025A (zh) 利用语音识别的命令执行系统及其工作方法
US974776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ng physical presence
KR20200025320A (ko)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시스템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한 근태 관리 방법
KR20070065410A (ko) 근접도 평가 방법 및 시스템
CN109903759B (zh) 交互管理装置和非暂时性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10614695B2 (en) Gas-measuring device with personnel locator
US20190295065A1 (en) Affiliated store labeling method, affiliated store labeling device, and affiliated store labeling system for wireless lan fingerprint
Al-Shezawi et al. Automatic attendance registration system based mobile cloud computing
CN110769396B (zh) 机器人连接网络的方法、系统及终端设备
CN114187751B (zh) 预警系统的适应性评价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KR102118868B1 (ko) 출퇴근 기록 장치
KR101585787B1 (ko) 원격관리 시스템 및 이에 의한 블루투스 비콘 장비의 원격관리 방법
KR20150007362A (ko) 푸시 방식을 이용한 긴급 메시지 제공 방법과 상기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
CN109543391B (zh) 生物特征信息动态匹配方法、装置及生物特征识别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