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7401B1 -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7401B1
KR102057401B1 KR1020180129305A KR20180129305A KR102057401B1 KR 102057401 B1 KR102057401 B1 KR 102057401B1 KR 1020180129305 A KR1020180129305 A KR 1020180129305A KR 20180129305 A KR20180129305 A KR 20180129305A KR 102057401 B1 KR102057401 B1 KR 102057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pattern
comparison result
result data
predef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신
박형준
송희석
Original Assignee
(주)씨어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어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씨어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80129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7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7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7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Abstract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지속적으로 실시간 측정하여 추가되는 형태를 갖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장치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장치 간의 연결을 설정한 후 근거리 무선 데이터 규격(예컨대, 블루투스)을 이용하는 통신환경에서 송신장치와 수신장치 간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hecking Connection Status}
본 실시예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와 연결된다. 수신장치는 송신장치와 연결되어 송신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수신장치는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다른 장치로 중계한다. 송신장치와 수신장치 간의 연결은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근거리 무선 데이터 규격을 이용한다.
근거리 무선 데이터 규격을 이용하는 통신환경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전에 원하는 송신장치와 수신장치 간에 연결이 설정되어야 한다. 송신장치와 수신장치는 연결이 설정된 후 데이터를 정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내장된 디스플레이(Display)나 다른 장치(서버 등)을 이용하여 확인해야 한다.
실시간으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측정장치는 사용성을 고려하여 저장매체를 배제하고 작은 크기를 유지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다양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복수의 측정장치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복수의 측정장치에서 측정한 복수의 측정 데이터만을 저장하는 저장장치가 별도로 필요한 실정이다.
측정장치에서 측정한 다양한 측정 신호를 다른 장치로 전송할 때, 송신장치와 수신장치 간의 연결 상태와 정상적인 측정 상태 확인이 필요하다. 송신장치(예컨대, 다양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와 수신장치 간의 연결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확인장치 없이 측정 시작 전에 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지속적으로 실시간 측정하여 추가되는 형태를 갖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장치와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장치 간의 연결을 설정한 후 근거리 무선 데이터 규격(예컨대, 블루투스)을 이용하는 통신환경에서 송신장치와 수신장치 간의 연결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기 설정된 주기로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며, 기 정의된 송신측 데이터 패턴과 상기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변형 데이터 패턴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송신장치; 기 정의된 수신측 데이터 패턴과 상기 변형 데이터 패턴을 비교한 비교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비교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장치와의 연결유지 또는 연결해지를 결정하는 수신장치; 및 상기 송신장치와 상기 수신장치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개인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상태 확인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송신장치에서 기 설정된 주기로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송신장치에서 기 정의된 송신측 데이터 패턴을 불러오는 과정; 상기 송신장치에서 기 정의된 상기 송신측 데이터 패턴과 상기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변형 데이터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송신장치에서 변형 데이터 패턴을 전송하는 과정; 수신장치에서 기 정의된 수신측 데이터 패턴을 불러오는 과정; 상기 수신장치에서 기 정의된 상기 수신측 데이터 패턴과 상기 변형 데이터 패턴을 비교한 비교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수신장치에서 상기 비교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장치와의 연결유지 또는 연결해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추가되는 형태를 갖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송신장치와 통신하는 수신장치 간의 연결을 설정한 후 근거리 무선 데이터 규격(예컨대, 블루투스)을 이용하는 통신환경에서 송신장치와 수신장치 간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만성질환자의 장시간 생체 신호 수집이나 일상생활에서의 의료 데이터 수집 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연결상태 확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연결상태 확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연결상태 확인 시스템은 송신장치(110), 수신장치(120), 근거리 개인 통신 네트워크(130)를 포함한다. 데이터 송수신 연결상태 확인 시스템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송신장치(110)는 생체 신호를 측정 장치하는 소형화된 전자장치를 의미한다. 송신장치(110)는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소형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신장치(110)는 생체 신호 측정 시 사용성을 고려하여 저장매체를 배제하고 작은 사이즈로 구현된다. 송신장치(110)는 다양한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송신장치(110)는 몸에 부착하는 패치 형태의 소형화된 장치로 구현되어,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송신장치(110)에서 측정하는 생체 신호는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추가되는 데이터 형태를 갖는다. 송신장치(110)는 수신장치(120)와 연결을 설정한 후 근거리 무선 데이터 규격(예컨대, 블루투스)을 이용하는 통신환경에서 연결상태를 확인한다. 송신장치(110)는 측정 데이터를 수신장치(120)로 전송하며, 송신장치(110)와 수신장치(120) 간의 연결상태를 확인한다.
송신장치(110)에는 소형화 장치로서 별도의 저장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수신장치(120)와의 연결상태의 확인이 필요하다. 송신장치(110)는 정상적인 측정 상태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확인 장치 없이 동작 상태를 측정 시작 전에 확인할 수 있다. 송신장치(110)는 다양한 생체 신호 측정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송신장치(110)와 수신장치(120)는 만성질환자의 장시간 생체 신호 수집이나 일상 생활에서의 의료 데이터 수집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송신장치(110)는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소형화 장치이며, 생체 신호를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부를 미구비한다.
송신장치(110)는 실시간으로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근거리 개인 통신 네트워크(130)의 게이트웨이를 경유하여 수신장치(120)로 전송한다. 송신장치(110)와 수신장치(120)는 정상적인 측정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송신장치(110)의 패턴과 수신장치(120)에 사전 정의된 데이터 패턴을 비교하여 결과를 확인한다.
송신장치(110)는 측정 데이터의 다양한 지수(측정 환경, 측정된 데이터의 크기 등)를 이용하여 사전 정의된 데이터 패턴에 적용하여 변형된 패턴을 수신장치(120)로 전송한다.
수신장치(120)는 무선으로 송신장치(110)와 통신하는 전자기기로서, 배터리를 내장하며, 데이터를 저장하는 전자장치를 의미한다. 예컨대, 수신장치(120)는 무선통신 모듈 및 배터리를 구비한 소형화된 메모리 스틱으로 구현 가능하다.
수신장치(120)는 송신장치(110)로부터 변형된 패턴을 수신하여 분석하고, 사전에 정의된 패턴과 분석 패턴을 비교하여 결과를 확인한다. 수신장치(120)는 허용 오차를 적용한 사전 정의된 데이터 패턴과 수신된 분석 패턴을 비교하여 송신장치(110)의 상태를 확인한다.
송신장치(110)와 수신장치(120)는 근거리 개인 통신 네트워크(130)(예컨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근거리 개인 통신 네트워크(PAN, Personal Area Network)(130)는 개인의 주위를 커버하는 컴퓨터 통신 네트워크로서, 적외선 통신(IrDA),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근거리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근거리 개인 통신 네트워크(130)는 송신장치(110)와 수신장치(120)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송신장치(110)는 송신 제어부(212), 송신측 연결 관리자(214), 송신측 메모리(216), 송신 인터페이스(218)를 포함한다. 송신장치(11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송신장치(1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송신 제어부(212)는 송신장치(11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송신측 연결 관리자(214) 및 송신 인터페이스(218)를 제어하여 수신장치(120)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송신 제어부(212)는 송신장치(110)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송신장치(110)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송신 제어부(212)는 기 설정된 주기로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측정 데이터는 생체 신호로서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추가되는 데이터 형태를 갖는다.
송신 제어부(212)는 송신측 메모리(216)로부터 기 정의된 송신측 데이터 패턴을 불러온다. 송신 제어부(212)는 기 정의된 송신측 데이터 패턴과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변형 데이터 패턴을 생성한다. 송신 제어부(212)는 송신 인터페이스(218)를 경유하여 수신장치(120)로부터 비교 결과 데이터를 수신한다. 송신 제어부(212)는 송신측 연결 관리자(214) 및 송신 인터페이스(218)를 이용하여 변형 데이터 패턴을 수신 인터페이스(228)로 전송한다.
송신 제어부(212)는 측정 데이터를 분석한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송신 제어부(212)는 송신측 메모리(216)로부터 기 정의된 송신측 데이터 패턴을 읽어온다. 송신 제어부(212)는 기 정의된 송신측 데이터 패턴에 분석 결과 데이터를 적용하여 변형 데이터 패턴을 생성한다.
송신 제어부(212)는 분석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지수를 추출한다. 송신 제어부(212)는 기 정의된 송신측 데이터 패턴에서 추출한 지수를 기반으로 읽어들인 기 정의된 송신측 데이터 패턴을 변형하여 변형 데이터 패턴을 생성한다.
송신측 연결 관리자(214)는 수신장치(120)와 근거리 개인 통신 네트워크(130)를 경유하여 연결된 후 수신장치(120)와의 근거리 통신 환경을 점검한다. 송신측 연결 관리자(214)는 근거리 통신 환경의 정상 여부를 판단한다.
송신측 연결 관리자(214)는 수신장치(120)로부터 수신된 비교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송신장치(110)와의 연결유지 또는 연결해지를 결정한다.
송신측 메모리(216)는 송신장치(11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으로서, 기 정의된 송신측 데이터 패턴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송신 인터페이스(218)는 근거리 개인 통신 네트워크(130)를 경유하여 수신장치(120)와 연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수단으로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신장치(120)는 수신 제어부(222), 수신측 연결 관리자(224), 수신측 메모리(226), 수신 인터페이스(228)를 포함한다. 수신장치(12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신장치(12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수신 제어부(222)는 수신장치(120)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수신측 연결 관리자(224) 및 수신 인터페이스(228)를 제어하여 송신장치(110)와 통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 제어부(222)는 수신장치(120)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와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수신장치(120)의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신 제어부(222)는 수신측 메모리(226)로부터 기 정의된 수신측 데이터 패턴을 불러온다. 수신 제어부(222)는 수신 인터페이스(228)를 경유하여 송신장치(110)로부터 변형 데이터 패턴을 수신한다. 수신 제어부(222)는 기 정의된 수신측 데이터 패턴과 변형 데이터 패턴을 비교한 비교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수신 제어부(222)는 수신 인터페이스(228)를 경유하여 송신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변형 데이터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 패턴 결과를 생성한다. 수신 제어부(222)는 수신측 메모리(226)로부터 읽어온 기 정의된 수신측 데이터 패턴과 분석 패턴 결과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
수신 제어부(222)는 비교 결과 데이터로부터 오차를 추출한다. 수신 제어부(222)는 오차가 허용 오차 범위 내인지의 결과를 확인한 오차범위 결과데이터를 생성한다. 수신 제어부(222)는 수신 인터페이스(228)를 경유하여 오차범위 결과데이터를 비교 결과 데이터로서 송신장치(110)로 전송한다.
수신 제어부(222)는 수신 인터페이스(228)를 경유하여 비교 결과 데이터를 송신장치(110)로 전송한다.
수신측 연결 관리자(224)는 송신장치(110)와 근거리 개인 통신 네트워크(130)를 경유하여 연결된 후 송신장치(110)와의 근거리 통신 환경을 점검한다. 수신측 연결 관리자(224)는 근거리 통신 환경의 정상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측 연결 관리자(224)는 비교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송신장치(110)와의 연결유지 또는 연결해지를 결정한다.
수신측 메모리(226)는 수신장치(12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수단으로서, 기 정의된 수신측 데이터 패턴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신 인터페이스(228)는 근거리 개인 통신 네트워크(130)를 경유하여 송신장치(110)와 연동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신 수단으로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송신장치(110)는 기 설정된 주기로 생체 신호를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생성한다. 송신장치(110)에서 측정하는 생체 신호는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추가되는 데이터 형태를 갖는다. 송신장치(110)는 생체 신호를 수신장치(120)로 전송하기 위해 근거리 개인 통신 네트워크(130)를 이용하여 수신장치(120)와 연결한다(S310).
송신장치(110)는 수신장치(120)와의 근거리 통신 환경을 점검한다(S312). 단계 S312에서, 송신장치(110)는 수신장치(120)와 연결 후 데이터 수집을 위한 환경을 점검한다.
수신장치(120)는 수신측 메모리(226)로부터 기 정의된 수신측 데이터 패턴을 읽어온다(S314). 송신장치(110)는 측정 데이터를 분석한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S316).
송신장치(110)는 송신측 메모리(216)로부터 기 정의된 송신측 데이터 패턴을 읽어오고, 기 정의된 송신측 데이터 패턴에 분석 결과 데이터를 적용하여 변형 데이터 패턴을 생성한다(S318). 단계 S318에서, 송신장치(110)는 분석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지수를 추출한다. 송신장치(110)는 분석 결과 데이터에서 추출한 지수를 기반으로 읽어들인 기 정의된 송신측 데이터 패턴을 변형하여 변형 데이터 패턴을 생성한다.
송신장치(110)는 근거리 개인 통신 네트워크(130)를 경유하여 변형 데이터 패턴을 수신장치(120)로 전송한다(S320). 수신장치(120)는 송신장치(110)로부터 수신된 변형 데이터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 패턴 결과를 생성한다(S322).
수신장치(120)는 수신측 메모리(226)로부터 읽어온 기 정의된 수신측 데이터 패턴과 분석 패턴 결과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 데이터를 생성한다(S324).
수신장치(120)는 비교 결과 데이터로부터 오차를 추출하고, 오차가 허용 오차 범위 내인지의 결과를 확인한 오차범위 결과데이터를 생성한다(S326). 수신장치(120)는 오차범위 결과데이터를 송신장치(110)로 전송한다(S328).
송신장치(110)는 오차범위 결과데이터를 기반으로 수신장치(120)와의 연결유지 또는 연결해지를 결정한다(S330). 수신장치(120)는 오차범위 결과데이터를 기반으로 송신장치(110)와의 연결유지 또는 연결해지를 결정한다(S332).
도 3에서는 단계 S310 내지 단계 S332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3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3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송신장치 120: 수신 장치
130: 근거리 개인 통신 네트워크
212: 송신 제어부
214: 송신측 연결 관리자 216: 송신측 메모리
218: 송신 인터페이스
222: 수신 제어부
224: 수신측 연결 관리자 226: 수신측 메모리
228: 수신 인터페이스

Claims (11)

  1. 기 설정된 주기로 생체 신호를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며, 기 정의된 송신측 데이터 패턴과 상기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변형 데이터 패턴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송신장치;
    기 정의된 수신측 데이터 패턴과 상기 변형 데이터 패턴을 비교한 비교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비교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장치와의 연결유지 또는 연결해지를 결정하는 수신장치; 및
    상기 송신장치와 상기 수신장치 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개인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측정 데이터를 분석한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지수로 측정 환경 및 측정된 데이터의 크기를 추출하며, 기 정의된 상기 송신측 데이터 패턴에서 상기 측정 환경 및 측정된 데이터의 크기를 기반으로 읽어들인 기 정의된 상기 송신측 데이터 패턴을 변형하여 상기 변형 데이터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측정 환경 및 측정된 데이터의 크기를 기반으로 변형된 상기 변형 데이터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 패턴 결과를 생성하며, 수신측 메모리로부터 읽어온 기 정의된 상기 수신측 데이터 패턴과 상기 분석 패턴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비교 결과 데이터로부터 상기 측정된 데이터의 오차를 추출하고, 오차가 허용 오차 범위 내인지의 결과를 확인한 오차범위 결과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오차범위 결과데이터를 상기 비교 결과 데이터로서 상기 송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상태 확인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측정 데이터를 분석한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며, 송신측 메모리로부터 기 정의된 상기 송신측 데이터 패턴을 읽어오고, 기 정의된 상기 송신측 데이터 패턴에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적용하여 상기 변형 데이터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상태 확인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장치는 상기 비교 결과 데이터를 상기 송신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수신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비교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장치와의 연결유지 또는 연결해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상태 확인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장치로서 소형화 장치이며, 상기 생체 신호를 저장하는 별도의 저장부를 미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상태 확인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는,
    상기 수신장치와 상기 근거리 개인 통신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연결된 후 상기 수신장치와의 근거리 통신 환경을 점검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환경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상태 확인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데이터는 생체 신호로서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추가되는 데이터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상태 확인 시스템.
  10. 송신장치에서 기 설정된 주기로 생체 신호를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송신장치에서 기 정의된 송신측 데이터 패턴을 불러오는 과정;
    상기 송신장치에서 기 정의된 상기 송신측 데이터 패턴과 상기 측정 데이터를 기반으로 변형 데이터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
    상기 송신장치에서 변형 데이터 패턴을 전송하는 과정;
    수신장치에서 기 정의된 수신측 데이터 패턴을 불러오는 과정;
    상기 수신장치에서 기 정의된 상기 수신측 데이터 패턴과 상기 변형 데이터 패턴을 비교한 비교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수신장치에서 상기 비교 결과 데이터를 상기 송신장치로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수신장치에서 상기 비교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장치와의 연결유지 또는 연결해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 데이터 패턴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측정 데이터를 분석한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복수의 지수로 측정 환경 및 측정된 데이터의 크기를 추출하며, 기 정의된 상기 송신측 데이터 패턴에서 상기 측정 환경 및 측정된 데이터의 크기를 기반으로 읽어들인 기 정의된 상기 송신측 데이터 패턴을 변형하여 상기 변형 데이터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비교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상기 측정 환경 및 측정된 데이터의 크기를 기반으로 변형된 상기 변형 데이터 패턴을 분석하여 분석 패턴 결과를 생성하며, 수신측 메모리로부터 읽어온 기 정의된 상기 수신측 데이터 패턴과 상기 분석 패턴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비교 결과 데이터를 상기 송신장치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비교 결과 데이터로부터 상기 측정된 데이터의 오차를 추출하고, 오차가 허용 오차 범위 내인지의 결과를 확인한 오차범위 결과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오차범위 결과데이터를 상기 비교 결과 데이터로서 상기 송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장치에서 상기 비교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수신장치와의 연결유지 또는 연결해지를 결정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방법.
KR1020180129305A 2018-10-26 2018-10-26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방법 및 장치 KR102057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305A KR102057401B1 (ko) 2018-10-26 2018-10-26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305A KR102057401B1 (ko) 2018-10-26 2018-10-26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7401B1 true KR102057401B1 (ko) 2019-12-18

Family

ID=69052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305A KR102057401B1 (ko) 2018-10-26 2018-10-26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74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8993A (ja) * 2007-05-18 2008-11-27 Mitsubishi Electric Corp 接続状態検出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8993A (ja) * 2007-05-18 2008-11-27 Mitsubishi Electric Corp 接続状態検出方法および通信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4855B2 (en) Biometric information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user terminal
US201402348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otion interaction based on biological signals
CN101926675B (zh) 一种远程获取用户生理检测数据的方法、装置及系统
CN100459539C (zh) 无线对象监控系统
US20120197090A1 (en) Biomedical device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function and method thereof for user identification, biomedical data measurement, biomedical data upload/download, biomedical data management, and remote medical care
US998694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EP2492831A1 (en) Biomedical device with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function and method thereof for user identification, biomedical data measurement, biomedical data upload/download, biomedical data management, and remote medical care
CN102667783A (zh) 用于医疗监测模块的协议分析器系统及方法
JP2012528696A (ja) 遠隔表示を持つオキシメトリー
US201001489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mmunicating with a sensor/actuator unit using a cellular gateway device
CN103329183A (zh) Cpr监控系统
CN104850986A (zh) 基于身份识别的付款方法及腕戴式装置
JP2009240530A (ja) 生体情報測定装置、および生体情報測定装置の制御方法
US20150095041A1 (en) System for controlling medical device by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ethod of the same
CN104224116A (zh) 医用传感器及其使用方法和操作设备
US20210321870A1 (en) Recovery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hospitalized patient, and storage medium
KR20180128579A (ko) 배터리의 상태에 기반하여 배터리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2813951A2 (en)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and devices for data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device with serial data output and client device with audio port
KR102057401B1 (ko)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방법 및 장치
KR20180037157A (ko) 헬스케어 디바이스 및 그 동작 방법, 및 센서 확장성을 포함한 헬스케어 시스템
US106744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hysiological parameters
KR20130124060A (ko)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그 생체정보 측정장치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KR102274140B1 (ko) 생체 신호 측정 교육 시스템
WO2013165197A1 (ko) 비접촉식 근거리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생체정보 측정장치 및 그 생체정보 측정장치에서의 데이터 통신 방법
JP2012196330A (ja) 近距離無線伝送機能を備えた生物医学装置、及びその使用者識別、生物医学データ測定、生物医学データアップロード/ダウンロード、生物医学データ管理、及びリモート医療看護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