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2796B1 -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2796B1
KR100912796B1 KR1020090017300A KR20090017300A KR100912796B1 KR 100912796 B1 KR100912796 B1 KR 100912796B1 KR 1020090017300 A KR1020090017300 A KR 1020090017300A KR 20090017300 A KR20090017300 A KR 20090017300A KR 100912796 B1 KR100912796 B1 KR 100912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main arm
display device
sub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7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태
Original Assignee
(주)아이티아이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티아이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아이티아이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090017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27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2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27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양측으로 개방된 중공의 메인암, 이 메인암의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축 삽입된 서브암, 이 메인암의 일측에 힌지 연결됨과 동시에 서브암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고 고정암에 결속되어 메인암의 회동시 상기 서브암을 당기거나 미는 제 1관절부, 이 메인암의 타측에 힌지 연결됨과 동시에 서브암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고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되는 거치암에 결속되어 메인암의 회동시 서브암을 밀거나 당김에 따라 제 1관절부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고정암과 거치암을 서로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 2관절부, 및 이 메인암의 내부에 형성되어 메인암의 세워지거나 뉘어진 상태를 탄성적으로 유지하며 메인암에 외력 작용시 탄성적으로 세워지도록 복원 유도하는 탄성복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지지대를 당겨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를 낮춘 상태에서 상부로 미는 소량의 힘만으로도 탄성 복원력에 의해 지지대를 초기 위치로 상승 복귀시킴으로써 지지대의 높낮이 이동 동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17300
디스플레이장치, 지지대, 암(arm), 관절, 탄성부재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HINGE ARM FOR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대를 당겨 디스플레이장치의 높이를 낮춘 상태에서 상부로 미는 소량의 힘만으로도 탄성 복원력에 의해 지지대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킴으로써 지지대의 높낮이 이동 동작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화시대의 총아인 화상정보의 전달매체인 표시장치의 소형화, 박판화 및 고품질화에 대해 많은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지금까지의 부피가 큰 음극선관(CRT)에 대체되는 평판표시장치가 개발되어 급속히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 중 근래에 LCD모니터가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LCD모니터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액정판넬에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LCD모니터는 보통 컴퓨터 본체에 연결되어 테이블 위에 놓이게 되며, 이 때문에 사용자가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테이블 측으로 이동해야 하는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모니터가 테이블의 많은 공간을 차지함으로써 공간활용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LCD모니터를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여러 각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지지대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기존 모니터 지지대는 다수 개의 암의 관절 부위를 힌지 연결하는 구조로만 되어 있어 사용 초기에 각도 조절이 어렵거나,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해 힌지 부위의 풀림을 초래함에 따라 각도 조절된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메인암 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하향 기울어진 상태의 메인암을 소정 들어주는 힘만으로 상승 복원 유도함으로써 초기 위치 이동을 위한 작동력을 최소화하고자 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메인암 내부에 서브암을 구비하여 이 서브암의 양측에 관절부를 연결함에 따라 메인암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서브암을 이동시킴으로써 양측 관절을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항상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직 상태를 유지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브암 내부로 전선을 배선함에 따라 전선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메인암에 대한 관절의 상,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거치 위치에 제한을 적게 받을 수 있도록 한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는: 양측으로 개방된 중공의 메인암, 이 메인암의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축 삽입된 서브암, 이 메인암의 일측에 힌지 연결됨과 동시에 서브암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고 고정암에 결속되어 메인암의 회동시 상기 서브암을 당기거나 미는 제 1관절부, 이 메인암의 타측에 힌지 연결됨과 동시에 서브암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고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되는 거치암에 결속되어 메인암의 회동시 서브암을 밀거나 당김에 따라 제 1관절부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고정암과 거치암을 서로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 2관절부, 및 이 메인암의 내부에 형성되어 메인암의 세워지거나 뉘어진 상태를 탄성적으로 유지하며 메인암에 외력 작용시 탄성적으로 세워지도록 복원 유도하는 탄성복귀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1관절부는, 상기 서브암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는 고정커넥팅로드, 및 상기 메인암의 일측을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메인암의 기울기 변화시 상기 서브암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커넥팅로드의 단부를 편심 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고정암에 결속되는 고정힌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힌지부재는 호 형상의 각도조절홀을 통공하고, 상기 메인암의 일측은 연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각도조절홀과 상기 연통홀은 삽입핀을 삽입하여 상기 메인암의 기울기 각도를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힌지부재는 상기 고정암의 축방향을 상,하 변경 가능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각도조절홀을 대칭되게 한 쌍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관절부는, 상기 서브암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클립, 상기 클립에 힌지 연결되는 거치커넥팅로드, 및 상기 메인암의 타측을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메인암의 기울기 변화시 상기 서브암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거치커넥팅로드의 단부를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거치암에 결속되는 거치힌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클립은 축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결속핀으로 결속되며, 상기 서브암은 너트부재를 체결하여 상기 클립의 양측을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암은 배선을 위해 양측으로 연통된 전선유도홀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복귀부는, 상기 서브암을 삽입하고 축방향을 따라 탄성력을 발생하여 일측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암의 하향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메인암을 상향 기울일시 탄성 복귀 유도하는 탄성부재, 상기 서브암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고 이동하는 상기 서브암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상기 메인암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서브암의 타측에 회전되며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속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서브암의 일측 단부와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상기 메인암의 내측면과 접하는 부싱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관절부와 상기 메인암의 연결부위 및 상기 제 2관절부와 상기 메인암의 연결부위는 커버로 씌워져 보호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치암은 상기 거치힌지부재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고, 디스플레이장치를 마운팅하기 위한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브라켓은 디스플레이장치를 상,하 이동하기 위한 손잡이를 연결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거치암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좌,우 회동을 위해 원 궤적을 따라 가이드홈부를 함몰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장치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요입홈부를 함몰하고, 상기 거치힌지부재는 상기 가이드홈부와 일치되게 결속홀부를 통공하며, 상기 결속홀부는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왕복 이동되는 구속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요입홈부에 수용되는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거치힌지부재에 결속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는 종래 기술과 달리 메인암 내부에 설치된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하향 기울어진 상태의 메인암을 소정 들어주는 힘만으로 상승 복원 유도함으로써 초기 위치 이동을 위한 작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메인암 내부에 서브암을 구비하여 이 서브암의 양측에 관절부를 연결함에 따라 메인암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서브암을 이동시킴으로써 양측 관절을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항상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브암 내부로 전선을 배선함에 따라 전선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메인암에 대한 관절의 상,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거치 위치에 제한을 적게 받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의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의 메인암과 관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의 메인암 내부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의 작 동 상태를 보인 메인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의 관절 위치 변경 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 변경 상태를 보인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의 거치힌지부재와 거치암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의 디스플레이장치 회전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의 브라켓과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는 메인암(main arm,10), 서브암(sub arm,20), 제 1관절부(100), 제 2관절부(200) 및 탄성복귀부(300)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메인암(10)은 양측으로 개방된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서브암(20)을 축 삽입하고, 일측에 제 1관절부(100)를 연결하며, 타측에 제 2관절부(200)를 연결한다. 즉, 메인암(10)은 서브암(20)과 제 1관절부(100) 및 제 2관절부(200)를 지지한다. 이때, 메인암(10)은 원형 봉 형상으로 도시하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물론, 메인암(10)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서브암(20)은 메인암(10)의 내부에 축 방향으로 삽입되고, 메인암(10)의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왕복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서브암(20)이 메인암(10) 내부에서 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이유는, 이 서브암(2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제 1관절부(100)와 제 2관절부(200)가 서로 연동되어 회동하면서 메인암(10)의 기울기 변경시에도 제 1관절부(100)에 연결되는 고정암(30)과 제 2관절부(200)에 연결되는 거치암(40)이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고정암(30)과 거치암(40)은 서로 평행하게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관절부(200)의 거치암(40)이 바닥면에 대해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이유는 거치암(40)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장치(5)가 항상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특히, 서브암(20)은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메인암(10)의 일측에는 제 1관절부(100)가 연결된다.
더욱 상세히, 제 1관절부(100)의 상측은 메인암(10)의 일측에 힌지 연결됨과 동시에 서브암(20)의 일측에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제 1관절부(100)의 하측은 고정암(30)에 결속되어 메인암(10)의 회동시 서브암(20)을 당기거나 밀게 된다.
일례로써, 제 1관절부(100)는 고정커넥팅로드(110) 및 고정힌지부재(120)를 포함한다.
고정커넥팅로드(110)는 서브암(20)의 일측에 힌지 연결된다. 특히, 고정커넥팅로드(110)는 일단부를 고정힌지핀(112)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이 고정힌지핀(112)은 서브암(20)의 일측에 삽입된다. 그래서, 고정커넥팅로드(110)는 고정힌 지핀(112)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고정커넥팅로드(110)는 충분한 힘을 받거나 전달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두껍게 형성되거나 복수 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고정커넥팅로드(110)는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고정커넥팅로드(110)는 서브암(20)의 일측에 나사 결합되는 별도의 연결부재에 힌지 연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고정힌지부재(120)는 메인암(10)의 일측을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그래서, 고정힌지부재(120)는 메인암(10)과의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즉, 고정힌지부재(120)의 중심과 메인암(10)의 일측은 제 1피벗축(122)으로 연결된다. 이때, 메인암(10)은 제 1피벗축(122)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고정힌지부재(120)는 고정커넥팅로드(110)의 단부와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고정커넥팅로드(110)의 단부는 고정힌지부재(120)의 가장자리와 힌지 연결된다. 이는, 메인암(10)의 기울기 변화시 서브암(20)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여기서, 고정커넥팅로드(110)의 단부와 고정힌지부재(120)는 제 1피벗축(122)에 대해 편심되는 위치에서 제 1편심핀(124)에 의해 서로 결속된다. 이때, 고정커넥팅로드(110)가 메인암(10)에 대해 회동하게 되면, 제 1편심핀(124)은 제 1피벗축(122)에 대해 호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래서, 서브암(20)은 메인암(10)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된다.
더불어, 고정힌지부재(120)는 하측에 고정암(30)을 분리 가능하게 결속한다. 특히, 고정암(30)은 바닥 또는 벽체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물론, 고정힌지부재(120)와 고정암(30)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는 일반적인 볼트 체결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고정암(30)은 바닥 또는 벽체에 연결되는 보조부재(32)에 삽입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메인암(10)은 고정힌지부재(120)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서브암(20)은 메인암(10)의 회전방향에 따라 메인암(10)의 축방향을 따라 강제 이동된다.
여기서, 메인암(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세워진 상태라 하고, 메인암(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뉘어진 상태라고 한다.
또한, 고정힌지부재(120)는 측부위에 호 형상의 각도조절홀(132)을 통공하고, 메인암(10)의 일측은 연통홀(134)을 형성하며, 각도조절홀(132)과 연통홀(134)은 삽입핀(136)을 동시에 삽입하여 메인암(10)의 기울기 각도를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즉, 메인암(10)이 고정힌지부재(120)에 대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삽입핀(136)은 각도조절홀(13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래서, 삽입핀(136)이 각도조절홀(132)을 따라 이동 가능 범위만큼, 메인암(10)의 회전 가능 각도는 설정된다.
이때, 고정암(30)의 단부가 설치 장소 및 설치 조건에 따라 상부 방향을 향하거나 하부 방향을 향할 수 있다.
그래서, 도 7을 참조하면, 고정암(30)에 연결되는 고정힌지부재(120)는 고정암(30)의 축방향을 상,하 변경 가능하도록 중심 특히, 제 1피벗축(122)을 기준으로 각도조절홀(132)을 대칭되게 한 쌍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각도조절홀(132)은 다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메인암(10)의 타측에는 제 2관절부(200)가 연결된다.
즉, 제 2관절부(200)의 상측은 메인암(10)의 타측에 힌지 연결됨과 동시에 서브암(20)의 타측에 힌지 연결된다. 그리고, 제 2관절부(200)의 하측은 거치암(40)에 결속되어 메인암(10)의 회동시 서브암(20)을 당기거나 밀게 된다.
따라서, 제 1관절부(100)와 제 2관절부(200)가 서브암(20)의 양측에 연결되어 서브암(20)의 이동을 통해 서로 연동됨에 따라, 고정암(30)과 거치암(40)은 서로 나란한 상태로 바닥면에 대해 수직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암(30)과 거치암(40)은 나란한 상태로 배열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써, 제 2관절부(200)는 클립(210), 거치커넥팅로드(220) 및 거치힌지부재(230)를 포함한다.
클립(210)은 서브암(20)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는, 서브암(20)의 타측으로 탄성복귀부(300)의 탄성부재(310) 등을 조립하기 위함이다.
특히, 클립(210)은 둘레면에 축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이 절개된 부위를 벌릴 수 있게 형성된다. 이는, 서브암(20)이 클립(210)에 쉽게 축 삽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클립(210)의 절개되어 마주하는 가장자리는 결속핀(242)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속된다. 결속핀(242)은 클립(210)의 절개된 양측 가장자리를 서로 견고하게 결속함으로써 클립(210)을 서브암(20)의 설정된 위치에 일차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결속핀(242)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고, 클립(210)의 절개된 부위를 결속하는 방식은 플랜지를 맞대는 등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클립(210)이 서브암(20)의 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클립(210)은 너트부재(244)에 의해 양측이 지지된다. 즉, 너트부재(244)는 최소한 2개 구비되어 각각 서브암(20)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서브암(20)은 둘레면에 나사산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너트부재(244)는 각각 클립(210)의 양측을 지지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클립(210)을 서브암(20)의 설정된 위치에 이차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너트부재(244)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또한, 거치커넥팅로드(220)는 클립(210)에 힌지 연결된다. 특히, 거치커넥팅로드(220)는 일단부를 거치힌지핀(222)에 삽입되고, 이 거치힌지핀(222)은 클립(210)에 삽입된다. 이때, 거치힌지핀(222)은 결속핀(242)과 나란하게 배열된다.
그래서, 거치커넥팅로드(220)는 거치힌지핀(222)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거치커넥팅로드(220)는 충분한 힘을 받거나 전달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두껍게 형성되거나 복수 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거치커넥팅로드(220)는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거치힌지부재(230)는 메인암(10)의 타측을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그래서, 거치힌지부재(230)는 메인암(10)과의 연결부위를 기준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즉, 거치힌지부재(230)의 중심과 메인암(10)의 일측은 제 2피벗 축(232)으로 연결된다. 이때, 메인암(10)은 제 2피벗축(232)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거치힌지부재(230)가 제 2피벗축(232)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회전되면, 이와 동시에, 고정힌지부재(120)는 제 1피벗축(122)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거치힌지부재(230)는 항상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고 메인암(10)이 회전하나, 편의상, 거치힌지부재(230)가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아울러, 거치힌지부재(230)는 거치커넥팅로드(220)의 단부와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거치커넥팅로드(220)의 단부는 거치힌지부재(230)의 가장자리와 힌지 연결된다. 이는, 메인암(10)의 기울기 변화시 서브암(20)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여기서, 거치커넥팅로드(220)의 단부와 거치힌지부재(230)는 제 2피벗축(232)에 대해 편심되는 위치에서 제 2편심핀(234)에 의해 서로 결속된다. 이때, 거치커넥팅로드(220)가 메인암(10)에 대해 회동하게 되면, 제 2편심핀(234)은 제 2피벗축(232)에 대해 호 궤적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래서, 서브암(20)은 메인암(10)의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된다.
더불어, 거치힌지부재(230)는 하측에 거치암(40)을 분리 가능하게 결속한다. 특히, 거치암(40)은 컴퓨터용 모니터와 같은 디스플레이장치(5)를 마운팅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거치힌지부재(230)와 거치암(40)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거치힌지부재(230)에 직접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5)를 장착할 경우 비교 적 무거운 디스플레이장치(5)를 공중에 들고 장착 작업을 행해야 함에 따라 조립성이 현저히 저하되며, 디스플레이장치(5)의 낙하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디스플레이장치(5)는 바닥에서 거치암(40)에 조립된 후 이 디스플레이장치(5)를 조립한 거치암(40)이 거치힌지부재(230)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써, 도 11을 참조하면, 거치암(40)은 거치힌지부재(230)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디스플레이장치(5)를 마운팅하기 위해 브라켓(42)을 연결한다. 특히, 거치암(40)이 브라켓(42)을 연결하는 구조는 힌지 연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브라켓(42)은 손잡이(44)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 손잡이(44)는 사용자가 잡아당기거나 밀면서 디스플레이장치(5)의 높낮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사용자가 손잡이(44)를 잡아당기면, 메인암(10)은 하향 경사지게 뉘어진다. 반대로, 사용자가 손잡이(44)를 밀면, 메인암(10)은 상향 경사지게 세워진다.
특히, 브라켓(42)과 손잡이(44)는 스크류(43)에 의해 함께 디스플레이장치(5)의 후측에 분리 가능하게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브라켓(42)과 손잡이(44)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경 가능하고, 스크류(43)는 다양한 체결요소로 변경 가능하다.
한편, 거치암(40)은 거치힌지부재(230)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히,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거치암(40)은 외측면에 요입홈 부(54)와 가이드홈부(51)를 형성하고, 거치힌지부재(230)는 내,외측 연통되는 결속홀부(52)를 통공한다. 그리고, 이 결속홀부(52)에는 구속부재(56)가 삽입되고, 결속홀부(52)로 삽입된 구속부재(56)의 가장자리는 거치암(40)의 둘레면에 원 궤적을 따라 함몰된 가이드홈부(51)를 따라 가이드된다.
이때, 구속부재(56)는 거치힌지부재(230)에 견고하게 체결됨이 바람직하다. 즉, 구속부재(56)는 체결볼트(57)에 의해 거치힌지부재(230)에 체결되고, 이 체결볼트(57)의 단부는 거치암(40)의 둘레면에 원호 궤적을 따라 함몰된 요입홈부(54)에 수용된다. 그래서, 체결볼트(57)는 요입홈부(54)의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장치(5)를 장착한 거치암(40)은 체결볼트(57)와 동일 범위만큼 회전된다.
그리고, 구속부재(56)는 체결볼트(57)로 인해 결속홀부(52)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물론, 구속부재(56)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거치힌지부재(230)가 거치암(40)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특히, 거치암(40)은 거치힌지부재(230)에 대해 일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조립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거치힌지부재(230)를 기준으로 거치암(40)을 회전시킴으로써 다방향에서 디스플레이장치(5)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래서, 도 11을 참조하면, 요입홈부(54)는 디스플레이장치(5)의 좌,우 회동 각도 제한을 위해 거치암(40)의 외측면에 호 궤적을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구속부재(56)는 요입홈부(54)의 최좌측과 최우측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되고, 이 범위가 디스플레이장치(5)의 회전 가능범위가 된다.
디스플레이장치(5)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선이 디스플레이장치(5)까지 연결되어야 한다.
이때, 이 전선은 메인암(10)의 외측면을 따라 축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으나, 전선의 노출로 인해 미감을 해치면서 단선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전선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서브암(20)은 내부로 배선할 수 있도록 양측으로 연통된 전선유도홀(22)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고정힌지부재(120)와 거치힌지부재(230)도 내측으로 전선을 유도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메인암(10)은 외부 누름에 의해 하향 경사진 상태로 뉘어지게 되고, 들어올리는 외력에 의해 상향 경사진 상태로 세워지게 된다.
이때, 메인암(10)은 뉘어진 상태에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세워지도록 함으로써 미량의 들어올리는 힘만으로 상향 경사지게 된다.
이에 따라, 메인암(10)은 내측에 탄성복귀부(300)를 구비한다.
이 탄성복귀부(300)는 탄성부재(310), 지지부재(320) 및 탄성조절부재(330)를 포함한다.
탄성부재(310)는 축방향을 따라 서브암(20)을 삽입한다. 이는, 메인암(10) 내부에서 서브암(20)과 탄성부재(310)를 함께 장착시 설치공간을 줄이기 위함이다. 이 탄성부재(310)는 축방향을 따라 탄성력을 발생하여 일측을 기준으로 하향 기울어진 메인암(10)과 서브암(20)을 상향 기울일시 탄성 복귀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즉, 메인암(10)이 하향 기울이질 때, 탄성부재(310)는 인장되어 압축 복원되려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그래서, 메인암(10)은 들려지려는 소정의 힘만으로도 탄성부재(310)의 탄성 복원력을 통해 세워지게 된다.
여기서, 탄성부재(310)는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메인암(10)은 완전히 상향 경사진 상태가 된 채로 유지된다.
이는, 탄성부재(310)는 압축 코일 스프링이기 때문에 인장되지 않으려는 힘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힘이 디스플레이장치(5)의 자중 및 메인암(10)과 서브암(20)의 각 일측을 기준으로 작용하는 회전모멘트를 상쇄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고정암(30)이 세워진 메인암(10)과 둔각을 이루도록 회동됨에 따라 탄성부재(310)의 자체 특성과 함께 메인암(10)의 하향 기울어짐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메인암(10)이 외력에 의해 눌려지면서 제 1관절부(100) 특히, 고정암(30)과 수직 이내의 각도를 이룰 경우, 탄성부재(310)의 압축하려는 힘은 디스플레이장치(5)의 자중 및 메인암(10)과 서브암(20)의 회전모멘트보다 작게 된다. 그래서, 메인암(10)은 쉽게 하향 경사지게 된다.
그리고, 메인암(10)은 완전히 하향 경사진 상태가 되면, 탄성부재(310)의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더라도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메인암(10)의 타측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5)의 자중과 더불어 거치암(40)이 뉘어진 메인암(10)과 둔각을 이루도록 회동됨에 따라 탄성복귀부(300) 특히, 탄성부재(310)의 탄성 복원력이 상쇄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메인암(10)이 외력에 의해 들려지면서 제 2관절부(200) 특히, 거치 암(40)과 수직 이내의 각도를 이룰 경우, 탄성부재(310)는 디스플레이장치(5)의 자중을 이기는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게 된다. 그래서, 메인암(10)은 탄성부재(310)의 탄성 복원력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지지부재(320)는 서브암(20)의 일측에 축 삽입되어 탄성부재(310)의 일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지지부재(320)는 서브암(20)의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지지부재(3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부재(310)의 일측 전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지지부재(320)는 임의적으로 서브암(20)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함에 따라 탄성부재(310)를 충분히 지지할 수 없게 된다.
그래서, 지지부재(320)는 체결부재(322)에 의해 메인암(10)과 체결됨으로써 위치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체결부재(322)는 메인암(10)에 삽입된 후 지지부재(320)와 체결되어 지지부재(32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체결부재(322)는 다양한 체결요소로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지지부재(320)는 서브암(20)의 설정된 부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특히, 서브암(20)은 지지부재(320)에 삽입되어 축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는, 서브암(20)의 자유로운 왕복 이동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한편, 서브암(20)의 타측에는 탄성조절부재(330)가 구비된다. 이 탄성조절부재(330)는 탄성부재(310)가 최대로 탄성 복원력을 발휘하도록 탄성부재(310)의 탄 성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탄성조절부재(330)는 서브암(20)의 타측에서 축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특히, 탄성조절부재(330)는 서브암(20)의 타측에 나사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서브암(20)의 타측 둘레면과 탄성조절부재(330) 내측면은 나사산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탄성조절부재(330)는 회전을 통해 서브암(20)의 축 상에서 쉽게 위치조절할 수 있도록 메인암(1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브암(20)은 제 1관절부(100)와 제 2관절부(2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메인암(10)의 내측에서 슬라이드 이동된다. 그래서, 서브암(20)의 일측 단부와 탄성조절부재(330)는 메인암(10)의 내측면과 접하는 부싱(60)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 부싱(60)은 서브암(20)의 메인암(10)의 중심축을 따라 왕복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부싱(60)은 윤활제인 그리스(grease)가 도포되어 메인암(10) 내측에서 슬라이드 이동시 마찰을 저감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제 1관절부(100)와 메인암(10)의 연결부위 및 제 2관절부(200)와 메인암(10)의 연결부위는 커버(70)로 씌워져 보호됨이 바람직하다. 즉, 커버(70)는 고정커넥팅로드(110)와 고정힌지부재(120)의 상측 및 거치커넥팅로드(220)와 거치힌지부재(230)의 상측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커버(7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작동을 설명하면, 도 5를 참조하면, 초기 상태에서, 메인암(10)은 고정암(30)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둔각(α)을 이룸과 동시에 거치암(40)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예각(γ)을 이루며 상향 경사진 상태로 세워지게 된다.
이때, 제 1관절부(100)의 고정커넥팅로드(110)는 메인암(10)의 타측 방향으로 전진한 상태가 되고, 제 2관절부(200)의 거치커넥팅로드(220)도 전진하게 된다. 그래서, 서브암(20)은 메인암(10)의 타측 방향으로 전진된 상태가 된다.
특히, 탄성부재(310)는 지지부재(320)와 탄성조절부재(330)에 각각 양측이 지지되어 디스플레이장치(5)의 자중 및 메인암(10)과 서브암(20)의 회전모멘트를 상쇄함으로써 초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제 1관절부(100)에 연결된 고정암(30)과 제 2관절부(200)에 연결된 거치암(40)은 서로 나란하고,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가 된다. 아울러, 거치암(4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5)는 상승된 채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장치(5)의 손잡이(44)를 하부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 1관절부(100)의 고정힌지부재(120)는 제 1피벗축(122)을 기준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고정커넥팅로드(110)는 메인암(10)의 일측 방향으로 후진하면서 서브암(20)을 당겨 전진시킨다.
이와 동시에, 제 2관절부(200)의 거치힌지부재(230)는 제 2피벗축(232)을 기준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거치커넥팅로드(220)는 후진하면서 서브암(20)을 밀게 된다.
그러면서, 메인암(10)은 거치암(40)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둔각(β)을 이룸과 동시에 고정암(30)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예각(δ)을 이루도록 하향 경사지게 된다.
특히, 탄성부재(310)는 서브암(20)과 함께 탄성조절부재(330)의 후진으로 인해 지지부재(320) 방향으로 압축된다. 이때, 탄성부재(310)의 탄성 복원력은 메인암(10)은 디스플레이장치(5)의 자중과 더불어 거치암(40)과 메인암(10)이 둔각을 이루도록 회동됨에 따라 상쇄되기 때문에 메인암(10)은 하향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경우, 제 1관절부(100)에 연결된 고정암(30)과 제 2관절부(200)에 연결된 거치암(40)은 서로 나란하고,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가 된다. 아울러, 거치암(40)에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5)는 하강한 채 바닥면에 대해 수직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결과적으로, 제 1관절부(100)와 제 2관절부(200) 및 탄성복귀부(300)는 서로 연동되어 작동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의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의 메인암과 관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의 메인암 내부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의 작동 상태를 보인 메인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의 관절 위치 변경 구조를 보인 요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 변경 상태를 보인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의 거치힌지부재와 거치암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의 디스플레이장치 회전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의 브라켓과 디스플레이장치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메인암 20: 서브암
30: 고정암 40: 거치암
42: 브라켓 44: 손잡이
60: 부싱 70: 커버
100: 제 1관절부 110: 고정커넥팅로드
120: 고정힌지부재 200: 제 2관절부
210: 클립 220: 거치커넥팅로드
230: 거치힌지부재 300: 탄성복귀부
310: 탄성부재 320: 지지부재
330: 탄성조절부재

Claims (12)

  1. 양측으로 개방된 중공의 메인암;
    상기 메인암의 내부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축 삽입된 서브암;
    상기 메인암의 일측에 힌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서브암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고, 고정암에 결속되어 상기 메인암의 회동시 상기 서브암을 당기거나 미는 제 1관절부;
    상기 메인암의 타측에 힌지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서브암의 타측에 힌지 연결되고,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되는 거치암에 결속되어 상기 메인암의 회동시 상기 서브암을 밀거나 당김에 따라 상기 제 1관절부와 연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고정암과 상기 거치암을 서로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 2관절부; 및
    상기 메인암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메인암의 세워지거나 뉘어진 상태를 탄성적으로 유지하며, 상기 메인암에 외력 작용시 탄성적으로 세워지도록 복원 유도하는 탄성복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관절부는,
    상기 서브암의 타측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클립;
    상기 클립에 힌지 연결되는 거치커넥팅로드; 및
    상기 메인암의 타측을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메인암의 기울기 변화시 상기 서브암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거치커넥팅로드의 단부를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거치암에 결속되는 거치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관절부는,
    상기 서브암의 일측에 힌지 연결되는 고정커넥팅로드; 및
    상기 메인암의 일측을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메인암의 기울기 변화시 상기 서브암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고정커넥팅로드의 단부를 편심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상기 고정암에 결속되는 고정힌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힌지부재는 호 형상의 각도조절홀을 통공하고;
    상기 메인암의 일측은 연통홀을 형성하며;
    상기 각도조절홀과 상기 연통홀은 삽입핀을 삽입하여 상기 메인암의 기울기 각도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힌지부재는 상기 고정암의 축방향을 상,하 변경 가능하도록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각도조절홀을 대칭되게 한 쌍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축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결속핀으로 결속되며;
    상기 서브암은 너트부재를 체결하여 상기 클립의 양측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암은 배선을 위해 양측으로 연통된 전선유도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
  8. 제 1항 내지 제 4항, 제 6항 및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복귀부는,
    상기 서브암을 삽입하고, 축방향을 따라 탄성력을 발생하여 일측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암의 하향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메인암을 상향 기울일시 탄성 복귀 유도하는 탄성부재;
    상기 서브암의 일측에 삽입 고정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을 지지하고, 이동하는 상기 서브암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상기 메인암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서브암의 타측에 회전되며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속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을 조절하는 탄성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암의 일측 단부와 상기 탄성조절부재는 상기 메인암의 내측면과 접하는 부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관절부와 상기 메인암의 연결부위 및 상기 제 2관절부와 상기 메인암의 연결부위는 커버로 씌워져 보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암은 상기 거치힌지부재의 하측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 고정되고, 디스플레이장치를 마운팅하기 위한 브라켓을 구비하며;
    상기 브라켓은 디스플레이장치를 상,하 이동하기 위한 손잡이를 연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암은 디스플레이장치의 좌,우 회동을 위해 원 궤적을 따라 가이드홈부를 함몰함과 아울러 디스플레이장치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요입홈부를 함몰하고;
    상기 거치힌지부재는 상기 가이드홈부와 일치되게 결속홀부를 통공하며;
    상기 결속홀부는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왕복 이동되는 구속부재를 삽입하고;
    상기 구속부재는 상기 요입홈부에 수용되는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거치힌지부재에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
KR1020090017300A 2009-02-27 2009-02-27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 KR100912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300A KR100912796B1 (ko) 2009-02-27 2009-02-27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7300A KR100912796B1 (ko) 2009-02-27 2009-02-27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2796B1 true KR100912796B1 (ko) 2009-08-18

Family

ID=41209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7300A KR100912796B1 (ko) 2009-02-27 2009-02-27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27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00105A (zh) * 2017-06-06 2017-10-27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电视支架、电视及电视控制方法
KR101999067B1 (ko) * 2018-09-21 2019-10-01 한경우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897A (ja) * 1999-04-15 2000-10-24 Nanao Corp ビデオモニタ等の支持装置
JP2004029645A (ja) 2002-06-28 2004-01-29 Nihon Form Service Co Ltd ユニット型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KR20040099282A (ko) * 2002-02-25 2004-11-26 스테리스 인코퍼레이티드 조정가능한 향상된 조인트 브레이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7897A (ja) * 1999-04-15 2000-10-24 Nanao Corp ビデオモニタ等の支持装置
KR20040099282A (ko) * 2002-02-25 2004-11-26 스테리스 인코퍼레이티드 조정가능한 향상된 조인트 브레이크 시스템
JP2004029645A (ja) 2002-06-28 2004-01-29 Nihon Form Service Co Ltd ユニット型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00105A (zh) * 2017-06-06 2017-10-27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电视支架、电视及电视控制方法
KR101999067B1 (ko) * 2018-09-21 2019-10-01 한경우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 장치
WO2020060033A1 (ko) * 2018-09-21 2020-03-26 한경우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8490B2 (en) Stand of display device
KR100463524B1 (ko) 영상표시기기용 힌지어셈블리
US8870140B2 (en) Low profile mounting system
US7213792B2 (en) Height adjustable and pivotable monitor assembly
US7798460B2 (en) Apparatus to support a display device
CN100349039C (zh) 显示装置和用于显示装置的显示屏框架的转动系统
EP1840445A2 (en) Display apparatus
KR100596583B1 (ko) 모니터장치
EP1382897A2 (en) A monitor support
EP1959185A2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50015446A (ko) 모니터장치
US20070228253A1 (en) Stand for display device
KR100912796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대
KR20050106249A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826198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682723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스탠드 장치
KR100643386B1 (ko) 모니터장치
KR100860030B1 (ko) 디스플레이유닛의 마운팅장치
CN201184485Y (zh) 支架与平面显示器
CN211450242U (zh) 可双向旋转的壁挂式底座
CN218378390U (zh) 辅助拍摄的承载装置、辅助拍摄设备及拍摄系统
KR910009310Y1 (ko) 영상제품의 회전과 경사 및 높낮이 조절용 받침대
KR20220121929A (ko) 블록 독서대
CN116241753A (zh) 辅助拍摄的承载装置、辅助拍摄设备及拍摄系统
TW201014775A (en) Height adjustable st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