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733B1 - 공작기계용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공작기계용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733B1
KR100911733B1 KR1020070106081A KR20070106081A KR100911733B1 KR 100911733 B1 KR100911733 B1 KR 100911733B1 KR 1020070106081 A KR1020070106081 A KR 1020070106081A KR 20070106081 A KR20070106081 A KR 20070106081A KR 100911733 B1 KR100911733 B1 KR 100911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und bar
guide
guide support
delete delet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0629A (ko
Inventor
이병문
Original Assignee
이병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문 filed Critical 이병문
Priority to KR1020070106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733B1/ko
Publication of KR20090040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0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08Arrangements for reducing vibrations in feeding-passages or for damp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13/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veying or chucking or guiding stock
    • B23B13/12Accessories, e.g. stops,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32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isolating vibrations in parts of the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turning, boring or drilling
    • B23B2250/16Damping of vibr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1);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환봉(300)이 적재되는 적재 매거진(2); 상기 적재 매거진으로부터 환봉을 낱개로 이송시키는 피더(60); 상기 피더에 의해 낱개로 이송된 환봉과 접촉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12)(13)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이드 서포트(10); 및 상기 가이드 서포트 위에 지지된 환봉을 공작기계로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이다.
환봉 공작기계 자동공급

Description

공작기계용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 {apparatus for feeding rod-typed material in machining tools}
본 발명은 환봉(丸棒) 소재 자동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공하고자 하는 금속 소재의 환봉을 공작기계에 자동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가공시 고속으로 회전하는 환봉을 원활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환봉 소재 자공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면이 둥글고 길며,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환봉을 가공하여 여러가지 부품들을 제조할 수 있다. 최근에는,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선반과 같은 공작기계를 사용하여 환봉을 가공함으로써 여러가지 형태의 부품을 양산하고 있다. 즉, 환봉을 공작기계에 공급하여 가공척에 물리도록 한 다음, 고속으로 회전시키면서 바이트 등의 절삭공구로 가공을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환봉 가공은 여러가지 문제점들을 수반한다.
특히, 환봉의 일단이 가공척에 물린 채로 회전하면서 절삭 가공되기 때문에 환봉의 나머지 부분들을 원활하게 지지하는 수단이 마련되어야만 한다. 또한, 환 봉을 지지하는 수단을 마련한다고 하더라도, 가공척에 물린 환봉이 매우 고속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필수적으로 진동이 수반될 수밖에 없고 이러한 문제는 환봉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더욱 심각한 양상으로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환봉의 외경 보다 큰 내경을 가진 중공 슬리이브를 채용하고, 상기 슬리이브의 중공에 환봉이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환봉을 지지하는 구조가 제안되었으나, 환봉의 외측면과 슬리이브의 내측면 사이에 갭이 존재하므로 고속 회전에 따른 환봉의 진동을 근본적으로 막을 수 없었으며, 이로 인해 환봉과 슬리이브 사이의 마찰이 심하게 발생하여, 소음이 야기될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환봉의 정밀 가공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다.
이에 따라, 이 건 청구항 1의 기재에 따른 목적은, 공작기계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가공되는 환봉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함으로써 마찰과 진동을 현저히 줄이고 가공 정밀도를 높이는 동시에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건 청구항 2의 기재에 따른 목적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환봉을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의 구름면에 놓이도록 지지함으로써 마찰과 진동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가공 정밀도를 높이는 동시에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건 청구항 3의 기재에 따른 목적은, 적재 매거진으로부터 이송되는 환봉이 과도하게 벗어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환봉의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 돌출부가 형성된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건 청구항 4의 기재에 따른 목적은, 환봉의 상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접촉하는 승강 롤러를 마련함으로써 고속 회전하는 환봉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건 청구항 5의 기재에 따른 목적은, 환봉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공작기계에 대해서 환봉을 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공급수단이 마련된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건 청구항 6의 기재에 따른 목적은, 환봉의 후단부를 밀어서 공작기계로 환봉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수단을 채용한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건 청구항 7의 기재에 따른 목적은, 별도의 적재 매거진없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또는 또 다른 이송수단을 사용하여 환봉을 이송할 경우에 환봉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함으로써 마찰과 진동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가공 정밀도를 높이는 동시에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건 청구항 1에 따른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는, 환봉을 공작 기계로 공급하는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설치되며 환봉이 적재되는 적재 매거진; 상기 적재 매거진으로부터 환봉을 낱개로 이송시키는 피더; 상기 환봉과 접촉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 사이의 구름면 위에 놓인 환봉의 상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승강 롤러와, 상기 승강 롤러를 상하로 승강 운동시키는 승강 실린더를 포함하는 가이드 서포트; 상기 가이드 서포트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환봉의 공급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가이드 서포트에 로드의 끝단이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서포트를 상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왕복 운동시키는 공급 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실린더의 로드가 전진하면 상기 가이드 서포트에 의해 클램핑되어 있는 환봉도 함께 전진하여 상기 공작 기계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는, 공작기계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가공되는 환봉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기 때문에 마찰과 진동을 현저히 줄이고 가공 정밀도를 높이는 동시에 제품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스토퍼 돌출부를 형성하거나 브라켓에 절개홈을 형성함으로써 적재 매거진으로부터 이송되는 환봉이 과도하게 벗어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봉의 상부에서도 회전가능하도록 접촉하는 승강 롤러를 마련함으로써 고속 회전하는 환봉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봉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므로 종래에 비해 길이가 훨씬 긴 환봉을 가공할 수 있는 동시에 공작기계에 대해서 환봉을 간헐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100)가 공작기계(200)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100)의 정면도와 측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100)는 본체를 이루는 베이스 프레임(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 상에 설치된 적재 매거진(2)과, 상기 환봉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가이드 서포트(10)(20)(30)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 매거진(2)은 가공하고자 하는 환봉을 적재하여 순차적으로 이송되 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 서포트(10)(20)(30)를 향해서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부재(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경사부재(3) 위에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환봉(300)이 나란하게 적재될 수 있으며, 적재된 환봉(300)은 자중에 의해 가이드 서포트(10)(20)(3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경사부재(3)는 경사진 플레이트 또는 복수의 아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적재 매거진(2)은 이미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환봉(300)을 길이 방향으로 적재하고 순차적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도 채용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가이드 서포트(10)(20)(30)는 적재 매거진(2)으로부터 이송된 낱개의 환봉(300)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서, 베이스 프레임(1)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상호 이격된 채로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서포트는 여러 가지 양태(樣態)로 구성될 수 있는데, 그러한 예 중에서 제1 양태에 따른 가이드 서포트(10)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가이드 서포트(10)는 베이스 프레임(1) 상에 고정되는 가이드 브라켓(11)과, 상기 가이드 브라켓(11)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가이드 롤러(12)(13)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는 베어링이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12)(13)는 구름면(14)이 서로 마주보도록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으며, 환봉(300)을 공급하는 방향 즉,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롤러가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12)(13) 사이의 이격 거리는 환봉(300)의 직경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환봉(300)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12)(13) 사이의 상부에 걸쳐져 구름면(14)과 접촉한 채로 지지되며, 환봉(300)이 회전할 때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12)(13)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 쌍의 가이드 롤러(1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롤러(12a)와 제2 롤러(12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롤러의 수는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각 쌍의 가이드 롤러(12 또는 13)를 구성하는 롤러의 수가 많을수록 환봉(300)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마찰면이 넓어지고 마찰 저항 또한 커지게 되므로 이러한 변수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가이드 서포트(2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서포트(20)는 가이드 브라켓(21) 상부의 일측에 돌출 연장된 스토퍼 돌출부(24)를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 돌출부(24)는 적재 매거진(2)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적재 매거진(2)으로부터 이송되는 환봉(300)이 과도하게 이탈하지 못하도록 규제하여 한 쌍의 가이드 롤러(22)(23) 사이의 구름면 위에 놓이도록 유도한다.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른 가이드 서포트(3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서포트(30)는 베이스 프레 임(1) 상면에 결합되는 하부 플레이트(30a), 상기 하부 플레이트(30a)의 양측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된 측면 브라켓(30b)과, 상기 측면 브라켓(30b) 위에 결합된 상부 플레이트(30c)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0a) 위에는 가이드 브라켓(31)이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브라켓(31)에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한 쌍의 가이드 롤러(32)(33)가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32)(33) 사이의 구름면 위에 환봉(300)이 놓일 때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측면 브라켓(30b)에 절개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홈(34)은 상기 적재 매거진(2)이 위치하는 방향에 형성되어 있으며, 동시에 환봉(300)이 공급될 때 과도하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규제함으로써 환봉(300)이 한 쌍의 가이드 롤러(32)(33) 사이의 구름면 위에 놓이도록 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절개홈(34) 대신에 환봉(300)의 위치를 규제하는 돌출 부재, 스토퍼 부재 등 임의의 구성이 채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서포트(30)는 일단 환봉(300)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32)(33) 사이의 구름면 위에 놓이게 되면, 환봉(300)의 상면과 접촉하여 지지함으로써 환봉(300)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안정적인 클램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 롤러(35)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강 롤러(35)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0c)에 승강가능하도록 설치된 한 쌍의 승강 브라켓(36a)(36b)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승강 브라켓(36a)(36b)은 상부 플레이트(30c) 상부에 설치된 승강 실린더(37)의 로드(38)와 연결되어, 상기 승강 실린더(37)의 구동에 따라 상하로 승강운동한다. 상기 승강 실린더(37)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다양한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실린더 로드(38)의 행정거리는 작업 조건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양로드형 실린더를 채택하여 로드(38)의 상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여기에 스톱 너트(39)를 결합시켜, 스톱 너트(39)의 조절에 의해 로드(38)의 하강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실린더 로드의 하강 거리를 조절하는 기술은 이미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36c와 36d는 상기 승강 브라켓(36a)(36b)의 승강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아암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 서포트(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32)(33)(35)의 구름면이 환봉(300)의 상하부에서 접촉하여 지지하므로 환봉(300)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특히, 환봉을 세 지점에서 균형있게 지지할 경우 더욱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복수의 지점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가이드 서포트의 여러 양태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가이드 서포트(10)(20)(30)들은 그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조합되어 채용될 수 있다. 제1 양태에 따른 가이드 서포트(10)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2 양태에 따른 가이드 서포 트(20)는 환봉(3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스토퍼 돌출부(24)를 가지고 있으며, 제3 양태에 따른 가이드 서포트(30)는 환봉(300)을 상하부에서 동시에 접촉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인 클램핑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100)는 가이드 서포트(10)(20)(30)에 지지된 환봉(300)을 공작기계(200)를 향해 간헐적으로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공급수단의 제1 실시예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급수단은 베이스 프레임(1) 상면에 길이 방향(환봉의 공급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 레일(4) 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이드 서포트(40)와, 상기 가이드 서포트(40)에 로드(51)의 끝단이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서포트(40)를 가이드 레일(4)을 따라 왕복 운동시키는 공급 실린더(50)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서포트(40)는 전술한 제3 양태에 따른 가이드 서포트(30)와 마찬가지로, 한 쌍의 가이드 롤러(42)(43)와 승강 롤러(45)를 포함한다. 이들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급수단은 환봉의 후단부 쪽에 위치되어 환봉의 후단부를 밀어서 공작기계로 공급하는 기존의 공급장치를 채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3에서 참조번호 60으로 표기된 부재는 피더를 나타낸다. 상기 피더(60)는 적재 매거진(2)에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적재되어 있는 환봉(300)을 낱개로 하나씩 상기 가이드 서포트(10)(20)(30)로 이송하는 기능을 한다. 본 도면에 서는 피더(6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연결체인 등은 편의상 생략 도시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피더(60)는 피더홈(61)이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피더 디스크(62)를 포함한다. 상기 피더홈(61)은 환봉(300)의 외경에 상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어서, 환봉(300)이 상기 피더홈(61)에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피더 디스크(62)는 별도의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하면서 피더홈(61)에 의해 환봉(300)을 낱개로 가이드 서포트(10)(20)(30)로 이송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의 동작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가공하고자 하는 환봉(300)들은 적재 매거진(2)에 나란하게 적재된다. 상기 적재 매거진(2)의 경사부재(3) 때문에 환봉(300)들은 자중에 의해 가이드 서포트(10)(20)(30)를 향해서 움직인다.
상기 피더 디스크(62)의 피더홈(61)이 상기 경사부재(3)의 하단에 오게 되면, 가장 아래쪽에 적재된 환봉(300)이 상기 피더홈(61)에 삽입되고, 그러면 피더 디스크(62)가 회전하면서 환봉(300)을 가이드 서포트(10)(20)(30)로 이송한다.
이때, 환봉(300)은 가이드 서포트(20)의 스토퍼 돌출부(24)와 가이드 서포트(30)의 절개홈(34)에 의해 그 위치가 규제되어 가이드 서포트를 과도하게 벗어나거나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회피하기 위해 상기 적재 매거진과 피더의 구성을 배제시키고, 가이드 서포트와 공급수단으로 이루어진 장치를 구성하는 시도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수작업으로 낱개의 환봉을 작업자가 직접 가이드 서포트 위에 공급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그러한 변형예까지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그러한 변형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청구될 것이다.
가이드 서포트(10)(20)(30)로 이송된 환봉(300)은 도 6,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롤러(12)(13), (22)(23), (32)(33) 및 (42)(43) 사이의 구름면 위에 놓이게 된다.
그러면, 공급수단의 가이드 서포트(40)에 구비된 승강 실린더(47)가 동작하면서 승강 브라켓(46a)(46b)에 결합된 승강 롤러(45)가 하강되고, 따라서 환봉(300)은 가이들 롤러(42)(43)와 승강 롤러(45)에 의해 클램핑 된다.
이 상태에서, 미도시된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공급 실린더(50)에 유압 또는 공압이 가해지면 실린더 로드(51)가 전진하면서 가이드 서포트(40)를 가이드 레일(4)을 따라 전진시킨다. 그러면, 상기 가이드 서포트(40)에 의해 클램핑되어 있는 환봉(300)도 함께 전진하면서 그 전단부가 도 1에 도시된 공작기계(200)로 공급되게 된다. 공작기계(200) 내부에는 가공척(미도시)이 구비되며, 상기 공급척 사이에 환봉(300)이 물리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단일 공급수단에 의해 환봉(300)을 공급하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의 공급수단이 더 채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공급수단을 나란히 배치하고, 환봉(300)을 순차적으로 공 급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이어서, 승강 실린더(47)의 동작에 의해 승강 브라켓(46a)(46b)과 승강 롤러(45)가 상승하고 그에 따라 환봉(300)의 클램핑 상태는 해제된다. 동시에, 공급 실린더(50)의 로드(51)가 후퇴하면서 가이드 서포트(4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위와 같이 환봉(300) 공급이 완료되면, 가이드 서포트(30)(40)의 승강 롤러(35)(45)가 다시 하강하면서 환봉(100)의 상면과 접촉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환봉(300)은 가이드 서포트(10)(20)(30)(40)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이어서, 공작기계(200)의 가공척이 회전하면서 환봉(300)의 단부를 수치제어방식에 의해 자동 가공한다. 이때, 환봉(300)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환봉(300)이 가이드 서포트(10)(20)(30)(40)의 가이드 롤러(12)(13), (22)(23), (32)(33) 및 (42)(43)와 승강 롤러(35)(45)의 구름면 사이에서 지지되고 있으므로, 마찰없이 원활하게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환봉(300)의 단부 가공이 완료되면, 이어서 후속적인 가공을 위해 환봉(300)을 전진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 서포트(30)의 승강 롤러(35)가 상승한 상태에서, 가이드 롤러(42)(43)와 승강 롤러(45)에 의해 환봉(300)을 클램핑하고 있는 가이드 서포트(40)를 공급 실린더(50)에 의해 전진시킨다. 그에 따라, 환봉(300)은 공급 실린더(50)의 행정거리만큼 전진하여 공작기계(200) 내부로 공급된다.
이후, 가이드 서포트(40)가 원 위치로 복귀하여 환봉(300)을 지지하는 동작 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있어서, 피더 디스크에 의해 환봉(300)을 이송하고, 승강 롤러(35)(45)에 의해 환봉(300)을 클램핑하고, 공급 실린더(50)에 의해 환봉을 전진시키는 등의 동작은, 상기 공작기계(200)와 연동되는 미도시된 제어부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제어부의 알고리즘은 당해 기술 분야에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환봉의 후단부를 밀어서 공작기계로 공급하는 공급수단을 채용하거나 또는 그 외 별도의 공급수단을 채용할 경우에도, 상기 공급수단의 기능을 대체하는 점을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의 동작은 동일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 서포트(30)의 승강 롤러(35)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환봉(300)을 전진시키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반드시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승강 롤러(35)와 환봉(300)이 접촉한 상태에서 환봉(300)을 전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이 경우 환봉(300)에 대한 승강 롤러(35)의 접촉력은 환봉(300)의 전진을 방해하지 않는 동시에 환봉(300)의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는 정도로 조절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는 환봉을 가공하는 어떠한 공작기계에도 채용될 수 있다. 특히, 환봉을 고속으로 회전시키며 가공하는 CNC 선반 등 에 사용될 때, 복수의 가이드 롤러 및/또는 승강 롤러에 의해 환봉을 접촉 지지하므로 종래와 같이 마찰과 진동 문제를 해결하고 원활한 회전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 도면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되지만, 이러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그 도면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를 공작기계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에 채용된 가이드 서포트의 제1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에 채용된 가이드 서포트의 제2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에 채용된 가이드 서포트의 제3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공작기계용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에 채용된 공급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번호의 설명>
1..베이스 프레임 2..적재 매거진 3..경사부재
4..가이드 레일
10,20,30,40..가이드 서포트 11,21,31..가이드 브라켓
12,13,22,23,32,33,42,43..가이드 롤러 14..구름면
24..스토퍼 돌출부
30a..하부플레이트 30b..측면 브라켓 30c..상부플레이트
34..절개홈 35,45..승강 롤러 36c,36d..가이드아암
37,47..승강 실린더 38,51..실린더로드 39..스톱 너트
36a,36b,46a,46b..승강 브라켓 50..공급실린더
60..피더 61..피더 디스크 62..피더홈
200..공작기계 300..환봉

Claims (12)

  1. 환봉(300)을 공작 기계로 공급하는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에 있어서,
    베이스 프레임(1);
    상기 베이스 프레임(1) 상에 설치되며 환봉(300)이 적재되는 적재 매거진(2);
    상기 적재 매거진(2)으로부터 환봉(300)을 낱개로 이송시키는 피더(60);
    상기 환봉(300)과 접촉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 롤러(42)(43)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롤러 사이(42)(43)의 구름면 위에 놓인 환봉(300)의 상면과 접촉하여 지지하는 승강 롤러(45)와, 상기 승강 롤러(45)를 상하로 승강 운동시키는 승강 실린더(47)를 포함하는 가이드 서포트(40);
    상기 가이드 서포트(30)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환봉(300)의 공급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 레일(4); 및
    상기 가이드 서포트(40)에 로드(51)의 끝단이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서포트(40)를 상기 가이드 레일(4)을 따라 왕복 운동시키는 공급 실린더(50);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실린더(50)의 로드(51)가 전진하면 상기 가이드 서포트(40)에 의해 클램핑되어 있는 환봉(300)도 함께 전진하여 상기 공작 기계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70106081A 2007-10-22 2007-10-22 공작기계용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 KR100911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081A KR100911733B1 (ko) 2007-10-22 2007-10-22 공작기계용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081A KR100911733B1 (ko) 2007-10-22 2007-10-22 공작기계용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629A KR20090040629A (ko) 2009-04-27
KR100911733B1 true KR100911733B1 (ko) 2009-08-10

Family

ID=40763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081A KR100911733B1 (ko) 2007-10-22 2007-10-22 공작기계용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7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400B1 (ko) 2013-05-07 2013-10-16 화인중공업 주식회사 강재 이송용 계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108B1 (ko) * 2020-07-06 2021-06-01 주식회사 아스코 코팅 금속 파이프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0206A (ja) * 1998-05-20 1999-11-24 Ikura Seiki Seisakusho:Kk 棒材供給機
KR20060020371A (ko) * 2004-08-31 2006-03-06 최선필 관의 연결부가공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20206A (ja) * 1998-05-20 1999-11-24 Ikura Seiki Seisakusho:Kk 棒材供給機
KR20060020371A (ko) * 2004-08-31 2006-03-06 최선필 관의 연결부가공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400B1 (ko) 2013-05-07 2013-10-16 화인중공업 주식회사 강재 이송용 계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0629A (ko) 2009-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2552B2 (ja) 板材加工システム、及び板材加工方法
KR101214695B1 (ko) 정밀 롤 선반 및 자동 공구 교환 장치
CN208543113U (zh) 一种管材上料装置
JP7301001B2 (ja) 移動システム及び歯切り盤
KR101749289B1 (ko) 공작 기계
US8746441B2 (en) Conveyor for elongated workpieces
TWI660809B (zh) Machine tool
US9579726B2 (en) Peeling machine
KR20180132094A (ko) 팰릿 반송 장치
JP6080973B2 (ja) 工作機械設備
KR100911733B1 (ko) 공작기계용 환봉 소재 자동 공급 장치
EP3061562B1 (en) Tool magazine
JPH0346914A (ja) 自動搬送システム
US4610582A (en) Roller hold down device
US4783889A (en) Transfer machining system
JP6613859B2 (ja) 板材加工システム、及び板材加工方法
JP2017170451A (ja) レーザ加工装置
JP6832069B2 (ja) ワーク把持方法及びチャック装置
USRE34125E (en) Roller hold down device
JP6741447B2 (ja) レーザ加工装置
JP2727237B2 (ja) 長尺ワークの加工装置
KR101536599B1 (ko) 레이저 절단장비의 언로딩 장치
KR20190087075A (ko) 파이프 레이저 가공 장치
KR102222777B1 (ko) 버티컬 터닝센터의 y축 이송장치
JP6700884B2 (ja) ワーク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