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1397B1 -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1397B1
KR100911397B1 KR1020080030930A KR20080030930A KR100911397B1 KR 100911397 B1 KR100911397 B1 KR 100911397B1 KR 1020080030930 A KR1020080030930 A KR 1020080030930A KR 20080030930 A KR20080030930 A KR 20080030930A KR 100911397 B1 KR100911397 B1 KR 100911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gear
vehicle
stabilizer bar
rotary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0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래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0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1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1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1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60G21/0555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including an actuator inducing vehicle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23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60G21/0558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including means varying the stiffness of the stabili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와 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 사이에는 후륜측 하중 증가로 인한 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의 회전을 유압으로 증폭시키는 유압발생수단을 구성하고, 차체와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 사이에는 상기 유압을 이용하여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 상의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강성을 가변하는 강성조절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후륜측 하중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강성을 크게 조정하여 차량이 언더스티어 경향을 유지하도록 하도록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을 제공한다.
스테빌라이저 바, 비틀림 강성, 유압발생수단, 강성조절수단

Description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A STABILIZER UNIT}
본 발명은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 후륜측의 하중이 증가하는 경우, 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의 회전으로 유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유압으로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 상의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비틀림 강성을 크게 함으로써 차량이 언더스티어 경향을 유지하도록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서와 같이, 차량에 있어서의 스테빌라이저 유닛은 트레일링 아암(101)이 노면 상태 및 차체의 기울기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승강이 이루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결국은 차량의 롤을 억제하도록 스테빌라이저 바(103)가 안티 롤 바 역할을 감당하여 차량의 롤 거동을 제어하는 장치로써, 좌우 차륜(105)의 범프와 리바운드 스트로크의 위상차에 의해 발생하는 스테빌라이저 바(103)의 비틀림으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한 스테빌라이저 바(103)는 직선구간으로 이루어져 차폭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로 서브 프레임(107)에 2개의 마우팅 부시(109)를 통하여 고정되어 비틀림 토션 작용을 이루는 부분을 비틀림부(L1)라 한다면, 그 양단은 차체 길이방향으로 각 각 절곡되어 일정구간의 연결부(L2)를 이루며, 이 연결부(L2)의 각 단부는 상기 트레일링 아암(101)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의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은 스테빌라이저 바(103)의 연결부(L2) 단부에 트레일링 아암(101)으로부터의 역상의 힘이 작용하면, 상기 2개의 마운팅 부시(109)에 의해 장착되는 비틀림부(L1)는 비틀림 토션 작용을 하게 되며, 이러한 비틀림 토션 작용에 의해 그 양측 연결부(L2)의 각 단부가 롤 방향에 대하여 안티 롤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인 FF(Front engine-Front Drive) 차량(20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량의 전후 배분이 전륜 측에 더 크고, 컴플라이언스 특성 또한 언더스티어 특성을 갖도록 설계되는데, 차량이 언더스티어 특성을 가져야 갑작스런 횡풍과 같은 횡방향의 외란에 대해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한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FF 차량의 뒷자석에 승차인원이 늘어나거나 트렁크에 많은 화물을 적재할 경우에는 후륜 측에 중량 배분이 커져서 오버스티어 경향을 보이게 되어 외란에 대한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즉,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륜 측 중량이 커지면, 후륜의 코너링 포스가 전륜보다 작아지게 되면서 오버스티어 특성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 동역학적으로 볼 때, 전륜 롤 강성을 증대시키면 전륜의 좌우 수직 하중차가 커지면서 언더스티어 경향을 갖는 것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와 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 사이에는 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의 회전을 유압으로 증폭시키는 유압발생수단을 구성하고, 차체와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 사이에는 상기 유압에 의해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 상의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강성을 가변하는 강성조절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후륜측 하중이 증가하는 경우,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강성을 크게 하여 차량이 언더스티어 경향을 유지하도록 하여 차량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은 차체와 전륜측 및 후륜측 사이에 각각 스테빌라이저 바를 차폭방향으로 구성하여 차량의 롤 거동을 제어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에서,
상기 차체와 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 사이에 구성되어 후륜측 하중에 따라 발생하는 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의 회전력을 2개의 기어를 이용하여 전달받아 유압을 증폭하여 생성하는 유압발생수단; 상기 차체와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유압발생수단에 제1,제2유압관을 통하여 연결되어 그 유압에 따 라 상기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 상의 2개의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길이를 가변하여 조절하는 강성조절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유압발생수단은 상기 후륜측 차체의 하부 일측에 원통형상의 로터리 실린더 하우징이 장착되며, 상기 로터리 실린더 하우징 내부에는 중심의 피스톤 축에 로터리 피스톤이 일체로 장착되어 로터리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를 유압실과 공기실로 구획하며, 상기 유압실은 로터리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격벽에 의해 제1,제2유압실로 구획되어 각각 상기 제1,제2유압관을 통하여 상기 강성조절수단과 연결되는 로터리 실린더; 상기 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 상의 중앙 일측에 고정 장착되는 제1기어; 상기 로터리 실린더의 피스톤 축 선단에 고정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1기어에 치합되는 제2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는 평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기어의 직경에 비하여 제1기어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강성조절수단은 상기 전륜측 차체 하부 일측에 유압 실린더 하우징이 장착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 하우징 내부에는 2개의 피스톤을 구성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 하우징 내부를 상기 제1유압관과 연결되는 중앙 유압작동실과, 상기 제2유압관과 연결되는 2개의 외측 유압작동실로 구획하며, 각 피스톤의 외측면 중심에는 피스톤 로드가 고정 설치되는 양방향 유압 실린더; 상기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 상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일정구간 슬라이드 홈을 형성하는 슬라이드 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각 슬라이드 구간의 슬라이드 홈에 슬라이드 돌기를 통하여 삽입되어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에 대하여 회전 방향으로 고정되어 슬라이 드 작동하며, 일측은 상기 양방향 유압 실린더의 각 피스톤 로드의 선단과 고정 연결되는 양측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각 피스톤 로드는 그 선단이 절곡되어 "??"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드 홈은 상기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의 단면에 대하여 양측에 상호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 돌기는 상기 슬라이더의 내주면에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에 의하면, 전륜측 롤 강성을 증대시키면 전륜의 좌우 수직 하중차가 커지면서 언더스티어 경향을 갖는 차량의 동역학적 특성에 따라 차체와 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 사이에는 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의 회전을 유압으로 증폭시키는 유압발생수단을 구성하여 후륜측 하중 증가 시, 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의 회전을 이용하여 유압을 발생시키고, 차체와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 사이에는 상기 유압에 의해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 상의 양측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길이를 조정하여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강성을 가변하는 강성조절수단을 구성함으로써, 상기 후륜측 하중이 증가하는 경우,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강성을 크게 하여 차량이 언더스티어 경향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차량 자세를 유지해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은 후륜측 하중 증가에 따른 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의 회전력을 구동원으로 하여 별도의 구동모터나 유압펌프 등의 복잡한 장치가 불필요한 이점도 있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의 개념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의 평면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은 차체(1)와 전륜(3)측 및 후륜(5)측 사이에 각각 스테빌라이저 바(SB1,SB2)를 차폭방향으로 배치되어 마운팅 부시(MB)를 통하여 차체에 장착되어 차량의 롤 거동을 제어하게 되는데, 그 구체적인 구성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륜(5)측과 전륜(3)측에 유압발생수단(10)과 강성조절수단(20)을 각각 구성한다.
먼저, 상기 유압발생수단(10)은 상기 차체(1)와 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SB2) 사이에 구성되어 후륜(5)측 하중에 따라 발생하는 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SB2)의 회전력을 2개의 기어(G1,G2)를 이용하여 전달받아 유압을 증폭하여 생성하게 된다.
즉, 상기 유압발생수단(10)은 상기 후륜측 차체(1)의 하부 일측에 로터리 실린더(11)가 차폭방향으로 배치되어 고정 장착되는데, 상기 로터리 실린더(11)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로터리 실린더 하우징(13)이 구성된다.
상기 로터리 실린더 하우징(13) 내부에는 중심에 피스톤 축(15)이 구성되고, 상기 피스톤 축(15)에는 로터리 피스톤(17)이 일체로 장착되어 로터리 실린더 하우징(13)의 내부를 유압실(H)과 공기실(A)로 구획한다.
상기 유압실(H)은 로터리 실린더 하우징(13)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격벽(19)에 의해 제1유압실(H1)과 제2유압실(H2)로 구획되며, 상기 제1유압실(H1)과 제2유압실(H2)은 각각 상기 제1유압관(L1)과 제2유압관(L2)을 통하여 상기 강성조절수단(20)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SB2) 상의 중앙 일측에는 제1기어(G1)가 고정 장착되고, 상기 로터리 실린더(11)의 피스톤 축(15) 선단에는 제2기어(G2)가 고정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1기어(G1)에 동력전달 가능하게 치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기어(G1)와 제2기어(G2)는 공히, 평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회전축 사이에서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면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기어(G1)는 그 직경이 제2기어(G2)의 직경 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기어비는 본 발명의 작동이 가능한 범위에서, 임의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강성조절수단(20)은 상기 차체(1)와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SB1)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유압발생수단(10)의 로터리 실린더(11)에 제1유압관(L1)과 제2유압관(L2)을 통하여 연결되어 그 유압에 따라 상기 전륜측 스테빌라 이저 바(SB1) 상의 2개의 슬라이더(21)를 이동시켜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SB1)의 비틀림 길이를 가변하여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강성조절수단(20)은 상기 전륜(3)측 차체(1) 하부 일측에 양방향 유압 실린더(23)가 차폭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양방향 유압 실린더(23)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상의 유압 실린더 하우징(25)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압 실린더 하우징(25) 내부에는 2개의 피스톤(27)을 구성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 하우징(25)의 내부를 상기 제1유압관(L1)과 연결되는 중앙 유압작동실(C1)과, 상기 제2유압관(L2)과 연결되는 2개의 외측 유압작동실(C2)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유압 실린더 하우징(25) 내부의 양측 피스톤(27)의 각 외측면 중심에는 피스톤 로드(29)가 고정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SB1) 상에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일정구간 슬라이드 홈(31)을 형성하는 슬라이드 구간(SS)을 형성하고, 상기 각 슬라이드 구간(SS)의 슬라이드 홈(31)에는 슬라이드 돌기(33)를 통하여 삽입되어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SB1)에 대하여 회전 방향으로 고정되어 슬라이드 작동하는 슬라이더(21)가 각각 구성된다.
즉, 상기 양측 슬라이더(21)는 그 각각의 일측이 상기 양방향 유압 실린더(23)의 각 피스톤 로드(29)의 선단과 고정 연결되어 양방향 유압 실린더(23)의 작동에 따라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SB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피스톤 로드(29)는 그 선단이 절곡되어 "??"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21)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홈(31)은 상기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SB1)의 단면에 대하여 그 슬라이드 구간(SS)을 따라 양측에 상호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돌기(33)는 상기 슬라이더(21)의 내주면에 볼트(35)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의 작동을 도 5와 도 7 및 도 8을 통하여 설명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은 평상 시, 후륜(5)측에 적정 하중이 적용되는 경우, 상기 로터리 실린더(11)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리 피스톤(17)이 제1유압실(H1)과 제2유압실(H2)을 비슷한 체적으로 구획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양방향 유압 실린더(23)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앙 유압작동실(C1)과 양 외측 유압작동실(C2)에 제1유압관(L1)과 제2유압관(L2)을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양측 피스톤(27)을 초기위치 상태로 제어하여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SB1) 상의 각 슬라이더(21)를 초기 위치인 각 슬라이드 구간(SS)의 중앙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승차인원 증가 또는 트렁크 화물 적재량의 증가로, 후륜(5)측 차고가 낮아지면, 상기 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SB2)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비틀림 없이 일방향으로 회전만 하게된다.
이와 같이, 상기 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SB2)의 일방향 회전은 제1기어(G1) 와 제2기어(G2)를 통하여 로터리 실린더(11)의 로터리 피스톤(17)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제1유압실(H1)의 유체가 제1유압관(L1)을 통하여 전륜(3)측의 양방향 유압 실린더(23)의 중앙 유압작동실(C1)로 공급된다.
그러면, 상기 양방향 유압 실린더(23)의 중앙 유압작동실(C1) 체적이 증가하면서 각 피스톤(27)을 양쪽으로 밀면서 각 피스톤 로드(29)와 연결된 각 슬라이더(21)가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SB1) 상의 슬라이드 구간(SS)에서 좌우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호 벌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양측 슬라이더(21)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면, 상기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SB2)는 실질적으로 비틀림이 일어나는 길이가 줄어들면서 비틀림 강성이 증가하게 되며,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SB1)의 비틀림 강성 증가에 따라 전륜(3)측 롤 강성이 증가하여 차량은 언더스티어 경향이 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은 상기 FF 차량의 뒷자석에 승차인원이 늘어나거나 트렁크에 많은 화물을 적재되어 후륜 측에 중량 배분이 커질 때, 전륜측 롤 강성을 증대시켜 전륜(3)의 좌우 수직 하중차가 커지도록 하여 언더스티어 경향을 갖도록 함으로써 안정된 차량 자세를 유지할 수 있으며, 범프 또는 리바운드 시에도 를 차량의 조종 안정성과 핸들링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스테빌라이저 바가 적용된 차량용 현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와 도 3은 일반적인 FF 차량에 후륜측 중량 배분이 높은 경우의 차체 사시도 및 그때의 수직하중과 코너링 포스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의 개념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의 평면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의 후륜측 하중 증가시의 작동 상태도이다.

Claims (4)

  1. 삭제
  2. 차체와 전륜측 및 후륜측 사이에 각각 스테빌라이저 바를 차폭방향으로 구성하여 차량의 롤 거동을 제어하도록, 상기 차체와 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 사이에 구성되어 후륜측 하중에 따라 발생하는 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의 회전력을 2개의 기어를 이용하여 전달받아 유압을 증폭하여 생성하는 유압발생수단; 상기 차체와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 사이에 구성되며, 상기 유압발생수단에 제1,제2유압관을 통하여 연결되어 그 유압에 따라 상기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 상의 2개의 슬라이더를 이동시켜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길이를 가변하여 조절하는 강성조절수단을 구비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에 있어서,
    상기 유압발생수단은
    상기 후륜측 차체의 하부 일측에 원통형상의 로터리 실린더 하우징이 장착되며, 상기 로터리 실린더 하우징 내부에는 중심의 피스톤 축에 로터리 피스톤이 일체로 장착되어 로터리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를 유압실과 공기실로 구획하며, 상기 유압실은 로터리 실린더 하우징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격벽에 의해 제1,제2유압실로 구획되어 각각 상기 제1,제2유압관을 통하여 상기 강성조절수단과 연결되는 로터리 실린더;
    상기 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 상의 중앙 일측에 고정 장착되는 제1기어;
    상기 로터리 실린더의 피스톤 축 선단에 고정 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1기어에 치합되는 제2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어와 제2기어는
    평기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기어의 직경에 비하여 제1기어의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조절수단은
    상기 전륜측 차체 하부 일측에 유압 실린더 하우징이 장착되며, 상기 유압 실린더 하우징 내부에는 2개의 피스톤을 구성하여 상기 유압 실린더 하우징 내부를 상기 제1유압관과 연결되는 중앙 유압작동실과, 상기 제2유압관과 연결되는 2개의 외측 유압작동실로 구획하며, 각 피스톤의 외측면 중심에는 피스톤 로드가 고정 설치되는 양방향 유압 실린더;
    상기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 상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일정구간 슬라이드 홈을 형성하는 슬라이드 구간을 형성하고, 상기 각 슬라이드 구간의 슬라이드 홈에 슬라이드 돌기를 통하여 삽입되어 전륜측 스테빌라이저 바에 대하여 회전 방향으로 고정되어 슬라이드 작동하며, 일측은 상기 양방향 유압 실린더의 각 피스톤 로드의 선단과 고정 연결되는 양측 슬라이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
KR1020080030930A 2008-04-02 2008-04-02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 KR100911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930A KR100911397B1 (ko) 2008-04-02 2008-04-02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0930A KR100911397B1 (ko) 2008-04-02 2008-04-02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1397B1 true KR100911397B1 (ko) 2009-08-07

Family

ID=41209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0930A KR100911397B1 (ko) 2008-04-02 2008-04-02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13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7367A (zh) * 2015-01-30 2015-04-22 湖南大学 一种自卸车横向稳定装置
CN112824113A (zh) * 2019-11-21 2021-05-21 东北林业大学 一种双出杆液压缸驱动主动式汽车横向稳定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312U (ja) * 1992-11-17 1994-06-03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スタビライザ装置
JPH0740731A (ja) * 1993-07-30 1995-02-10 Kayaba Ind Co Ltd 車両のロール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2312U (ja) * 1992-11-17 1994-06-03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スタビライザ装置
JPH0740731A (ja) * 1993-07-30 1995-02-10 Kayaba Ind Co Ltd 車両のロール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7367A (zh) * 2015-01-30 2015-04-22 湖南大学 一种自卸车横向稳定装置
CN112824113A (zh) * 2019-11-21 2021-05-21 东北林业大学 一种双出杆液压缸驱动主动式汽车横向稳定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7047B1 (en) Passive vehicular suspension system including a roll control mechanism
US7472914B2 (en) Suspension system
EP1886850B1 (de) Anordnung zur Fahrwerksstabilisierung
EP1879760B1 (en) Hydraulic system for a vehicle suspension
US6527286B2 (en) Vehicle suspension assembly
US6302417B1 (en) Roll stabilization mechanisms in vehicular suspension systems
US11511592B2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JP2010208619A (ja) 車両挙動制御装置
AU2002232766A1 (en) Vehicle suspension assembly
US8226090B2 (en) Device for active wheel alignment
US11685208B2 (en) Dual-axle vehicle corner assembly
US20090140479A1 (en) Variable compliance suspension bushing
KR100911397B1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유닛
CN111032374B (zh) 用于机动车的车轮悬架
EP1736685A2 (de) Cabrioletfahrzeug mit Dämpfereinrichtungen
US20170096041A1 (en) Active Vehicle Suspension System
US7658393B2 (en) Complementary suspension device
CN205706043U (zh) 带有多个车轮悬架的车辆和主动式稳定器装置
CN219029066U (zh) 稳定杆系统、悬架系统和车辆
RU2318678C1 (ru) Гидравл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стабилизации поперечной устойчивост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4073362B2 (ja) ロックシリンダおよびスタビライザ装置
JP4483701B2 (ja) 多軸車両の油圧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80109965A (ko) 멀티 링크타입 후륜 현가장치
JP3008622B2 (ja) ホイールアライメント制御装置
KR20220145180A (ko) 안티-롤 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