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361B1 - 파이프 지지구조물 - Google Patents

파이프 지지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361B1
KR100909361B1 KR1020090016086A KR20090016086A KR100909361B1 KR 100909361 B1 KR100909361 B1 KR 100909361B1 KR 1020090016086 A KR1020090016086 A KR 1020090016086A KR 20090016086 A KR20090016086 A KR 20090016086A KR 100909361 B1 KR100909361 B1 KR 1009093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pe
fixing
sli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홍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홍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홍테크
Priority to KR1020090016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93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3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3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1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axial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개시된 파이프 지지구조물은,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행거가 결합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일 단부와 상호 슬라이딩 형합되어, 지지대를 고정하는 받침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파이프 지지구조물은, 파이프가 위치되는 지면이나 건축구조물에 받침대를 고정한 후, 받침대에 파이프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슬라이딩 형합된다. 이같이, 지지대가 받침대에 슬라이딩 형합되는 바, 파이프의 위치에 따른 지지대의 교환 설치작업이 용이해짐으로, 파이프의 위치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고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파이프 지지구조물{Pipe supporting structure}
본 발명은 파이프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행거가 결합되는 파이프 지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산업 시설, 건축물 등에는 각종 유체를 이송시키는 파이프 외에 전기 및 통신 시설 관련 파이프 등과 같은 다양한 파이프가 설비된다. 이러한 파이프는 어느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연장되는데, 이때, 일정 길이와 하중을 갖는 상기 파이프의 처짐 및 설치 위치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파이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플랜트 등의 배관공사 및 구조물공사에서 도 1에 도시된 파이프 지지장치로서 파이프를 고정시켰다. 먼저 철골 기둥(C) 위에 철골 빔(B)을 용접시킨다. 철골 빔(B)에 2개 정도의 구멍을 뚫은 뒤 철골 빔(B) 위에 파이프(P)를 올려 놓는다. U자형 볼트(UB)로 파이프(P)를 고정시킨 후, U자형 볼트(UB)(이하, 행거 라고 정의한다)는 철골 빔(B)의 안쪽에서 너트(N)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종래의 철골 기둥(C)과 철골 빔(B)(이하, 파이프 지지구조물 이라고 정의한다)은 철 재질로 만들어진다.
플랜트 등의 배관공사 및 구조물공사에 있어서 파이프 지지구조물은 철판과 앵글 또는 철골의 단순 조합에 불과하다는 인식 때문에 공사 중의 잔여 자재를 이용하여 설치되고 있다. 심지어 화학공장, 정유공장 등 배관작업이 주요공정인 시설공사에서도 파이프 지지구조물은 다른 공정과 달리 감독의 지시를 받지 않고, 현장작업자들의 손에 의해서 기준없이 만들어지고 있다. 또한, 파이프 지지구조물에 대한 강제규정이나 관리기준이 체계화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발주자는 그만큼 파이프 지지구조물에 대해서는 설계, 시공, 관리 등을 등한시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렇게 기준없는 파이프 지지구조물의 설치는 그 작업공정이 매우 번거롭다. 현장 맞춤이다보니 자재에 상기 행거 체결을 위한 홀을 하나 형성시키기도 쉽지 않다. 외부에서 홀을 천공해서 자재를 반입하더라도 현장의 파이프의 위치와 정확하게 맞지 않는다면, 산소용접기 등을 이용해서 상기 행거가 고정되는 홀을 다시 만들어야 하며 지지구조물의 높이 등이 배관파이프의 위치와 상이할 경우 파이프 지지구조물을 현장에서 절단하거나, 발전기를 이용해 전기용접을 해야 하는 문제점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파이프 지지구조물에는 도 1의 철골 빔(B)과 파이프(P)가 닿은 위치 및 U자형 볼트(UB)와 철골 빔(B)이 닿은 위치가 쉽게 녹(ST)이 발생된다. 평균 약 6개월 이내에 초기부식이 발생하기 시작해서 1년 정도가 되면 본격적으로 부식이 진행한다. 이렇게 부식이 진행된 후에야 비로소 번거로운 파이프 서포트의 교체 필요성이 대두된다.
하지만 계획없이 만들어진 파이프 지지구조물을 단 한 개라도 교체 또는 수 정을 하기 위해서는 용접사, 제관사, 보조공 등이 동원되고, 산소절단기, 전기용접기, 동력원(발전기), 철자재 운반장비(지게차, 포터 등)도 필요하기 때문에 파이프 지지구조물의 교체 작업은 그 설치만큼이나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 위치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파이프 고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파이프 지지구조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행거가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 단부와 상호 슬라이딩 형합되어, 상기 지지대를 고정하는 받침대를 포함하는 파이프 지지구조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받침대는, 지면이나 건축 구조물에 고정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대의 일 단부가 슬라이딩 형합되도록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내주면이 형성된 관 형상의 체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의 일 단부 외주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대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대가 상기 체결대에 슬라이딩 형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슬릿에 대응 삽입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고정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각각의 상기 슬릿 및 상기 고정브라켓은 대향되게 적어도 한 쌍을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기 지면이나 건축 구조물에 앵커에 의한 고정이 용이하도록 복 수의 슬롯들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볼트에 의하여 상기 체결대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릿은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 기 행거는, 상기 슬릿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대응 설치되며, 일 측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안착브라켓과, 상기 파이프가 상기 안착브라켓에 고정되게 하는 반원형의 고정판 및, 상기 안착브라켓이 상기 슬릿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브라켓이 상기 슬릿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키는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외향되게 휨 형성된 클립부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브라켓은, 상기 슬릿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지지대결합몸체와, 상기 지지대결합몸체에 일체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가 안착되는 안착요홈이 마련되고,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클립부가 삽입 걸림되도록 내향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된 파이프안착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지지구조물은, 파이프가 위치되는 지면이나 건축구조물에 받침대를 고정한 후, 받침대에 파이프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슬라이딩 형합된다. 이같이, 지지대가 받침대에 슬라이딩 형합되는 바, 파이프의 위치에 따른 지지대의 교환 설치작업이 용이해짐으로, 파이프의 위치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고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지지구조물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파이프 지지구조물은, 지 지대(100), 받침대(2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지대(100)는 파이프(10)를 일정 위치에서 고정상태로 지지하는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지지대(100)에는 지지하고자 하는 상기 파이프(10)를 고정시키는 하나 또는 복수의 행거(2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00)의 일 단부는 이후 설명될 상기 받침대(200)에 슬라이딩 상태로 형합된다. 더불어, 상기 지지대(100)의 일 단부 외주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슬릿(110)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릿(110)은 상기 지지대(100)의 길이방향으로 일 단부에서 타 단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슬릿(110)에 상기 행거(20)가 슬라이딩 삽입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00)는 전체적으로 사각관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형이나 사각이외의 다각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슬릿(110)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행거(20)는, 안착브라켓(30), 고정판(40), 볼트(50)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브라켓(30)은 상기 행거(20)를 상기 지지대(100)의 슬릿(110)에 슬라이딩 상태로 대응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안착브라켓(30)의 일 측부에는 이후 상기 행거(20)를 일정위치 상에서 고정시키는 볼트(50)를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관통공(3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안착브라켓(30)은 상기 슬릿(110)에 대응 삽입되도록, 상기 슬릿(1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지지대결합몸체(32)와, 상기 지지대결합몸체(32)에 일체 형성된 상태로 상기 파이프(10)가 안착되는 파이프안착 몸체(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안착몸체(33)의 대략 중앙 상면부에는 상기 파이프(10)가 삽입 안착되도록 안착요홈(3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안착몸체(33)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내향 절곡되게 걸림부(35)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40)은 상기 안착브라켓(30)의 안착요홈(34)에 삽입 안착되는 상기 파이프(10)를 가압하면서, 상기 안착브라켓(30) 상에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판(40)은 상기 파이프(10)를 감싸도록 반원형상을 가지며,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외향되게 휨 형성된 클립부(41)가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클립부(41)가 상기 안착브라켓(30)의 걸림부(35)에 삽입 걸림되면서, 상기 고정판(40)이 상기 안착요홈(34)에 삽입 안착된 상기 파이프(10)를 가압 고정하게 된다.
상기 볼트(50)는 상기 지지대(10)의 슬릿(110)에 삽입된 상기 안착브라켓(30)을 일정위치 상에서 고정시킨다. 즉, 상기 볼트(50)는 상기 관통공(31)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볼트(50)의 단부가 상기 지지대(10)를 가압하면서, 상기 안착브라켓(30)을 상기 슬릿(110)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거나, 상기 볼트(50)의 단부가 상기 지지대(100)에 관통 체결되면서 상기 안착브라켓(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슬릿(110)에 삽입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의 상기 행거(21)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안착브라켓(30a)은 상기 행거(21)를 상기 지지대(100)의 슬릿(110)에 슬라이딩 상태로 대응 삽입시킨다. 여기서, 상기 안착브라켓(30a)의 일 측부에는 이후 상기 행거(21)를 일정위치 상에서 고정시키는 볼트(50a)를 삽입 설치할 수 있도록 관통공(31a)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안착브라 켓(30a)은 상기 슬릿(110)에 대응 삽입되도록, 상기 슬릿(11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지지대결합몸체(32a)와, 상기 지지대결합몸체(32a)에 일체 형성된 상태로 상기 파이프(10)가 안착되는 파이프안착몸체(33a)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파이프안착몸체(33a)의 대략 중앙 상면부에는 상기 파이프(10)가 삽입 안착되도록 안착요홈(34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파이프안착몸체(33)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볼트공(35a)이 형성된다.
이같이, 상기 지지대(100)의 슬릿(110)에 상기 행거(20)(21)가 슬라이딩 삽입 설치되는 바, 상기 파이프(10)의 위치와 상기 지지대(100)에 결합되는 상기 행거(20)(21)의 최초 위치가 맞지 않을 경우에, 상기 지지대(100)의 슬릿(110)을 따라 상기 행거(20)(21)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지지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판(40a)은 상기 안착브라켓(30a)의 안착요홈(34a)에 삽입 안착되는 상기 파이프(10)를 가압하면서, 상기 안착브라켓(30) 상에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판(40a)은 상기 파이프(10)를 감싸도록 반원형상을 가지면서, 양 단부에는 상기 안착브라켓(30a)의 볼트공(35a) 각각 나사 결합되는 'U'볼트를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U'볼트의 양 단부가 각각 상기 안착브라켓(30a)의 볼트공(35a)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안착요홈(34a)에 삽입 안착된 상기 파이프(10)를 가압 고정하게 된다.
상기 볼트(50a)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볼트(50)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이같이, 상기 지지대(100)의 슬릿(110)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행거(20)(21)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파이프 고정용 행거에서 상기 지지대(100)에 결합되는 부분을, 상기 슬릿(110)에 삽입 설치되는 상기 안착브라켓(30)(30a)의 지지대결합몸체(32)와 같이 상기 슬릿(11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면, 공지의 파이프 고정용 행거를 선택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지지대(100)를 지면이나 건축 구조물(도면미도시) 상에 결합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기 받침대(200)는 상기 지지대(100)의 일 단부와 상호 슬라이딩 형합된다. 이같이, 상기 받침대(200)에 상기 지지대(100)를 슬라이딩 형합상태로 고정하는 바, 상기 지지대(100)를 상기 받침대(200)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할 수 있게 되어, 상기 파이프(10)의 위치와 상기 받침대(200)에 고정된 상기 지지대(100)의 높이가 다를 경우, 다른 상기 지지대(100)를 용이하게 교환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받침대(200)는 베이스판(210), 체결대(22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판(210)은 상기 지면이나 건축 구조물에 고정되는 판 부분이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판(210)에는 상기 지면이나 건축 구조물에 앵커(도면미도시)로서 고정이 용이하도록 복수의 슬롯(211)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체결대(220)는 상기 베이스판(210) 상부에 고정되는 관 형상의 부재이다. 이러한, 상기 체결대(220)에 상기 지지대(100)의 일 단부가 슬라이딩 형합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대(220)의 일 단부는 상기 베이스판(210) 상부에 일체상태로 형성되면서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대(220)의 내주면은 상기 지지대(100)의 일 단부가 슬라이딩 형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1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체결대(220)의 외부 형상은 전체적으로 사각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형이나 사각 이외의 다각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대(220)에는 상기 지지대(100)의 일 단부를 슬라이딩 형합한 상태에서 볼트(250)로서,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볼트(250)가 삽입되는 삽입공(221)을 형성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체결대(220) 내부에는, 상기 지지대(100)의 일 단부에 상기 슬릿(110)이 형성될 경우, 상기 슬릿(110)에 대응 삽입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고정브라켓(230)을 고정상태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브라켓(230)은 상기 체결대(220)에 상기 지지대(100)의 일 단부가 슬라이딩 형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100)의 슬릿(110)에 삽입 걸림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100)가 상기 체결대(220)에 회전되지 않는 안정적인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브라켓(230)과 상기 지지대(100)의 슬릿(110)은 상호 대응되게 형합된 상태에서 걸림 결합되도록 'T' 형상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도 6과 같이 상호 대응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100)의 회전이나 진동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안정적인 결합력을 가지는 구조로 선택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도, 상기 고정브라켓(230)과 상기 지지대(100)의 슬릿(110) 형합 형상은 도 5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고정브라켓(230)과 상기 지지대(100)의 슬릿(110)은 상호 형합 된 상태에서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각각 대향되게 적어도 한 쌍이 배치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230)이 상기 체결대(220) 내부에 대향되게 적어도 한 쌍이 배치되면, 상기 지지대(100) 일 단부에 상기 슬릿(110)도 상기 고정브라켓(230)에 대응되도록 대향되게 적어도 한 쌍이 배치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230)에는 상기 체결대(220)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대(220)의 삽입공(221)에 연직 연통되는 삽입공(2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브라켓(230)은 상기 삽입공(221)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볼트(250)에 의해 상기 체결대(22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볼트(250)가 상기 고정브라켓(230)을 관통할 경우, 관통된 상기 볼트(250)의 단부가 상기 체결대(220)에 형합된 상기 지지대(100) 일부까지 관통하면서 상기 지지대(100)를 상기 체결대(2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볼트(250)가 상기 고정브라켓(230)을 관통한 상태에서, 관통된 상기 볼트(250)의 단부가 상기 체결대(220)에 형합된 상기 지지대(100)에 일부 관통되며 고정하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볼트(250)의 단부가 상기 체결대(220)에 형합된 상기 지지대(100)를 가압하면서 상기 지지대(100)를 상기 체결대(2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이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브라켓(230)은 상기 볼트(250)에 의해 상기 체결대(220)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체결대(220) 내부에 일체 상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상기 체결대(220) 및 상기 고정브라켓(230)에 별도의 상호 연직선상에 삽입공(221)(231)을 형성하지 않고, 외부에서 상기 볼트(250)가 상기 체결대(220) 및 상기 고정브라켓(230)을 관통 체 결되면서 상기 고정브라켓(230)을 상기 체결대(22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볼트(250)의 단부는 상기 고정브라켓(230)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대(100)의 일부까지 삽입될 수 있고,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지대(100) 및 상기 받침대(200), 상기 고정브라켓(300)은 강도는 크면서, 중량은 적고 부식에 강한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파이프 지지구조물의 상기 파이프(10) 고정 작업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받침대(200)의 베이스판(210)을 지면이나 건축 구조물에 고정시킨다. 즉, 상기 베이스판(210)의 슬롯(211)에 앵커를 삽입 체결시켜, 상기 지면이나 건축 구조물에 고정한다.
이렇게, 상기 베이스판(210)을 고정하면, 상기 받침대(200)의 체결대(220)에 상기 지지대(100)의 일 단부를 슬라이딩 형합시킨다. 이렇게, 상기 체결대(220)에 형합 고정되는 상기 지지대(100)의 길이가 상기 파이프(10)의 위치보다 짧거나 많이 길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100)를 상기 체결대(220)에서 이탈시킨 후, 상기 파이프(10) 위치에 맞는 다른 상기 지지대(100)를 상기 체결대(220)에 다시 슬라이딩 형합시킨다.
그러면, 상기 지지대(100)가 상기 받침대(200)의 체결대(220)에 슬라이딩 형합된 상태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볼트(250)를 상기 체결대(220)의 삽입공(221) 및 상기 체결대(220)에 삽입 배치된 상기 고정브라켓(230)의 삽입공(231) 을 통해 삽입 설치한다. 이때, 상기 삽입공(221)(231)을 통해 삽입되는 상기 볼트(250)의 단부가 상기 지지대(100)를 가압하거나, 상기 지지대(100)에 일부 관통 삽입되면서 상기 지지대(100)를 상기 체결대(2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이후, 상기 행거(20)(21)를 상기 지지대(100)의 슬릿(110)에 슬라이딩 삽입 설치한다. 즉, 상기 지지대(100)의 슬릿(110)에 상기 행거(20)(21)의 지지대결합몸체(32)를 슬라이딩 대응 삽입한 후, 상기 행거(20)(21)를 상기 파이프(10)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슬릿(110)을 따라 이동시키고, 상기 볼트(50)(50a)로 상기 행거(20)(21)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렇게, 상기 지지대(100)의 상기 행거(20)(21)가 고정되면, 상기 파이프(10)를 상기 행거(20)(21)에 고정시키면 상기 파이프(10)의 고정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파이프 지지구조물은, 상기 파이프(10)가 위치되는 지면이나 건축구조물에 상기 받침대(200)를 고정한 후, 상기 받침대(200)에 상기 파이프(10)를 지지하는 상기 지지대(100)가 슬라이딩 형합된다. 이같이, 상기 지지대(100)가 상기 받침대(200)에 슬라이딩 형합되는 바, 상기 파이프(10)의 위치에 따른 상기 지지대(100)의 교환 설치작업이 용이해짐으로, 상기 파이프(10)의 위치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고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 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고정방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 지지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지지대에 고정되는 행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지지대와 받침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형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지지대 110: 슬릿
200: 받침대 210: 베이스판
220: 체결대 230: 고정브라켓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파이프를 고정시키는 행거가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일 단부와 상호 슬라이딩 형합되어, 상기 지지대를 고정하는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일 단부 외주면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는,
    지면이나 건축 구조물에 고정되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대의 일 단부가 슬라이딩 형합되도록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내주면이 형성된 관 형상의 체결대와,
    상기 체결대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지지대가 상기 체결대에 슬라이딩 형합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가 회전되지 않도록 상기 슬릿에 대응 삽입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파이프 지지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슬릿 및 상기 고정브라켓은 대향되게 적어도 한 쌍이 배치되는 파이프 지지구조물.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에는 상기 지면이나 건축 구조물에 앵커에 의한 고정이 용이하도록 복 수의 슬롯들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은 볼트에 의하여 상기 체결대에 고정되는 파이프 지지구조물.
  6.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상기 지지대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행거는,
    상기 슬릿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대응 설치되며, 일 측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안착브라켓과,
    상기 파이프가 상기 안착브라켓에 고정되게 하는 반원형의 고정판 및,
    상기 안착브라켓이 상기 슬릿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안착브라켓이 상기 슬릿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시키는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판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는, 외향되게 휨 형성된 클립부가 마련되고,
    상기 안착브라켓은,
    상기 슬릿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지지대결합몸체와,
    상기 지지대결합몸체에 일체 형성되며, 상기 파이프가 안착되는 안착요홈이 마련되고,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상기 클립부가 삽입 걸림되도록 내향 절곡된 걸림부가 형성된 파이프안착몸체를 포함하는 파이프 지지구조물.
KR1020090016086A 2009-02-26 2009-02-26 파이프 지지구조물 KR1009093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086A KR100909361B1 (ko) 2009-02-26 2009-02-26 파이프 지지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086A KR100909361B1 (ko) 2009-02-26 2009-02-26 파이프 지지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9361B1 true KR100909361B1 (ko) 2009-07-28

Family

ID=41337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086A KR100909361B1 (ko) 2009-02-26 2009-02-26 파이프 지지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936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986A (ko) 2016-11-25 2018-06-04 윤미경 태양광 집광장치 지주 받침구
KR101881914B1 (ko) * 2017-09-07 2018-07-26 김인수 스파이럴 덕트용 원터치 행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043B1 (ko) * 1989-01-12 1993-09-22 닛타 · 무아 가부시키가이샤 호스클램프
JPH11141511A (ja) 1997-10-31 1999-05-25 Nippon Zeon Co Ltd 固定具
US6682253B2 (en) * 1999-10-07 2004-01-27 Halfen Gmbh & Co. Kg Assembly railed formed out of at least one profile element
JP2008019683A (ja) * 2006-07-14 2008-01-31 Yoshinari Tsuji フェンスの支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9043B1 (ko) * 1989-01-12 1993-09-22 닛타 · 무아 가부시키가이샤 호스클램프
JPH11141511A (ja) 1997-10-31 1999-05-25 Nippon Zeon Co Ltd 固定具
US6682253B2 (en) * 1999-10-07 2004-01-27 Halfen Gmbh & Co. Kg Assembly railed formed out of at least one profile element
JP2008019683A (ja) * 2006-07-14 2008-01-31 Yoshinari Tsuji フェンスの支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8986A (ko) 2016-11-25 2018-06-04 윤미경 태양광 집광장치 지주 받침구
KR101881914B1 (ko) * 2017-09-07 2018-07-26 김인수 스파이럴 덕트용 원터치 행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799Y1 (ko) 배관 거치대
JP2010185185A (ja) 仮設手摺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1825017B1 (ko) 건축용 에이치 빔 파이프 행거 고정용 클램프
JP4716948B2 (ja) 安全ロープ張設用支持金具
KR100909361B1 (ko) 파이프 지지구조물
JP2016006271A (ja) 建築用受具
JP2015031081A (ja) ブレース取付金具
KR102420849B1 (ko) 클램프 결합용 안전로프 고정기구
JP4950159B2 (ja) ライナープレート用転落防止柵取付け具
JP6210613B1 (ja) 仮設足場用連結具
KR100911769B1 (ko) 서포트 부착용 파이프 고정장치
JP4002665B2 (ja) 垂直ボルト係着用支持具
JP2019203316A (ja) 足場板支持用ブラケット
JP2017066752A (ja) 耐火被覆材及び耐火被覆材を備えた柱
JP2017025594A (ja) 支柱固定具
KR100935951B1 (ko) 서포트 부착용 파이프 고정장치
JP7264467B2 (ja) 仮設足場用の縦支柱、及び、それを使用した仮設足場システム
KR20190041976A (ko) 비계용 지주의 우선난간
JP5621033B1 (ja) 建築用受具
EP2091120A1 (en) Suspension structure anchorable to a ceiling for support brackets of cable duct systems
JP5269147B2 (ja) 足場板支持装置
JP3186347U (ja) 床スリーブ
JP2001241184A (ja) 足場建枠用脚柱延長具、およびそれに用いる補助延長具
JP3231176U (ja) 親綱保持具
JP6327985B2 (ja) 鋼製仮設梁のビーム等への単管取付用座及びそれを用いた作業床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