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006B1 - 일체화된 코어 및 커버가 있는 페인트 롤러와, 그것의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화된 코어 및 커버가 있는 페인트 롤러와, 그것의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006B1
KR100909006B1 KR1020017000104A KR20017000104A KR100909006B1 KR 100909006 B1 KR100909006 B1 KR 100909006B1 KR 1020017000104 A KR1020017000104 A KR 1020017000104A KR 20017000104 A KR20017000104 A KR 20017000104A KR 100909006 B1 KR100909006 B1 KR 100909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cover
mandrel
polypropylene
pain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0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4645A (ko
Inventor
세카찬드라
Original Assignee
세카 찬드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31783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0900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세카 찬드라 filed Critical 세카 찬드라
Publication of KR20010074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4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581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sheets or strips consisting principally of plastic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207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characterised by the cover, e.g. cover material or structure, special surface for producing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9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after sh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6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2Wheels, pinions, pulleys, castors or rollers, Rims
    • B29L2031/324Rollers or cylinders having an axial length of several times the diameter, e.g. embossing, pressing o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2Wheels, pinions, pulleys, castors or rollers, Rims
    • B29L2031/328Paint ro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544Roller making
    • Y10T29/49547Assembling preformed components
    • Y10T29/49549Work contacting surface element assembled to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544Roller making
    • Y10T29/49547Assembling preformed components
    • Y10T29/49549Work contacting surface element assembled to core
    • Y10T29/49551Work contacting surface wound about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98Combined manufacture including applying or shaping of fluent material
    • Y10T29/49982C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Machines For Manufacturing Corrugated Board In Mechanical Paper-Mak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사용가능한 다중 스트립이 적층된 페인트 롤러 및 그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맨드럴 주위에 제1 폴리프로필렌재 스트립을 전진시키고, 상기 제1 스트립과 오프셋된 상태에서 맨드럴 주위에 제2 폴리프로필렌재 스트립을 전진시키는 단계,
제1 폴리프로필렌재 스트립과 제2 폴리프로필렌재 스트립 사이에 제1 접착제층(바람직하게는 액화한 폴리프로필렌)을 형성시키고, 제2 폴리프로필렌재 스트립과 상기 커버 사이에 제2 접착제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커버를 제2 스트립쪽으로 추진시키는 동시에 제2 스트립을 제1 스트립쪽으로 추진시키는 압축력을 커버에 부여하여, 연속적으로 적층된 페인트 롤러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페인트 롤러를 제조한 후에, 나선형 구동벨트 시스템에 의하여 커터쪽으로 이동한다. 그런 다음, 연속적으로 제조된 롤러를 바람직하게 절단하고 나서, 최종 사이즈의 페인트 롤러로 절단한다.

Description

일체화된 코어 및 커버가 있는 페인트 롤러와, 그것의 제조방법 및 장치{PAINT ROLLER WITH INTEGRATED CORE AND COV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OF SAME}
본 발명은 벽 등에 페인트를 도포하는데 사용되는 유형의 페인트 롤러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단일단계의 연속 공정으로 제조되는 열가소성 코어(및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를 함유하는 페인트 롤러의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페인트 롤러는 벽, 천장 및 다른 표면에 페인트를 도포하기 위해 전문가 및 비전문가에 의해서 두루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롤러는 롤러가 고정되는 회전가능부재에 연결되는 손잡이가 있는 도포기로 사용된다. 그 롤러는 일반적으로 원통형 코어에 부착된 커버에 흡수, 도포되는 페인트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울이나 폴리에스테르 등과, 본 분야에 공지된 다른 커버 물질로 만들어져 있어도 좋다.
과거에 페인트 롤러는 종이나 판지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일부 제조업자들은 여전히 그러한 종이 코어 페인트 롤러를 만들고 있다. 상기 코어를 제조하는 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이나 코어로 만들어진 코어와 페인트 롤러는 사용중이나 세정시, 특히 페인트 용매(예를 들어, 본 분야의 공지된 용매인 터펜틴 이나 광물성 기질 등)로 세정하는 중에 종종 분리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페인트 용매 내성이 있는 페인트 롤러를 제조할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아직도 그 필요성은 남아있다.
상기 종이 코어가 페놀이 함유된 종이로 만들어진 코어와 같은 페놀성 코어로 대체될 경우에 페인트 롤러를 제조하는데 이점이 있다. 이러한 페인트 롤러는 종이나 판지로 만들어진 것보다 노출에 대하여 훨씬 더 강하다는 특성이 있다. 페놀성 코어의 제조방법은 또한 잘 알려져 있는데, 예를 들어 한 공지된 기술에 의하면, 먼저 페놀이 함유된 3장의 종이 스트립을 일정한 각도로 오버래핑용 맨드럴(mandrel)에 공급하고 나선형으로 감아서 엔들리스 코어를 형성함으로써, 재사용가능한 일회용의 사용할 수 있는 롤러가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페놀 스트립은 연속 공급을 위한 스핀들상에 부착되는 롤에 공급되고, 스트립이 롤러에 부착될 때 열경화성 아교를 그 스트립의 바깥 표면에 연속적으로 도포하여 그 스트립들이 서로 들러붙어 나선형으로 감겨서 코어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엔들리스 코어가 하방으로 구동됨에 따라서, 다단계로 가열된다. 코어의 외부표면에 뜨거운 용융상태의 아교를 도포한 다음,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커버물질로 된 스트립을 계속해서 고온의 용융물에 의해서 안정된 그 코어에 나선형으로 감는다. 그리고 나서, 만들어진 엔들리스 롤러를 사용가능한 크기로 자르는데, 이 과정은 주로 2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플라이 어웨이 커터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65인치로 자르고 나서, 또 다른 커터를 사용하여 그 원료를 사용가능한 길이, 예를 들어 7 또는 9인치로 자른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재사용가능한 코어는 히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긴 조립라인이 필요하다는 치명적인 결점이 있고, 상기 페놀이 소정의 온도로 가열되어야하기 때문에, 가열단계의 수와 라인속도사이에 확실한 트레이드 오프가 존재한다. 또한, 페인트 용매에 넣어도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롤러를 재사용을 할 수 있지만, 그 용매에 계속해서 노출시키면 페인트 롤러의 파손 및/또는 층의 분리가 발생한다. 그리고, 페놀 코어 롤러의 제조방법은 환경친화적이지 못하다.
또 다른 재사용가능한 롤러가 가르시아(Garcia)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4,692,975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롤러는 열가소성(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의 관형 코어를 사용하여 형성된다. 상세하게, 이 개시된 방법이라는 것은 회전하는 스핀들위에 코어를 부착하고, 그 스핀들에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캐리지(carriage)를, 그리고 그 캐리지위에 직접적인 열원을 설치하는 것이었다. 이 방법은 관형재의 외부표면을 가열하기 위해서 직접적인 열원을 점화하고, 스핀들의 회전에 따라 스핀들에 평행한 캐리지를 이동시켜 상기 패브릭 스트립을 플라스틱 코어의 가열부위에 촘촘하게 나선형으로 감겨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플라스틱 코어의 가열부는 패브릭 스트립이 도포된 부위보다 약간 먼저 연화되어, 패브릭이 그 위에 감겨진 코어에 결합된다. 폴리프로필렌 코어 표면부를 효과적인 결합 접착제로 사용한다. 가르시아에게 허여된 특허에서 개시된 롤러의 제1 장점은 페인트 용매에 노출시킨 경우 커버와 코어 사이에 형성된 결합이 쉽게 분리되지 않는 강한 결합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 특허에서도 단점이 있는데, 그 중 한가지는 종래기술에서 판지나 종이로 된 롤러를 사용한 반면, 가르시아가 고안한 방법에서 는 롤보다 상당히 벌키한 열가소성 관형 롤러가 필요하기 때문에, 수송비가 더 비싸고 다루기가 보다 어렵다는 것이다. 또 다른 단점은 상기 패브릭 스트립 바로 앞의 코어를 따라 전진하는 히터가, 프로필렌 코어가 충분히 연화되도록 천천히 이동시켜야 한다는 이 방법에서의 예견된 속도제한이다. 이 히터가 없으면 그 패브릭 커버는 결합되지 않는다. 그리고, 프로필렌 코어를 직접 가열하는 것은 열원과, 가열공정동안에 방출되는 냄새 및/또는 화학물질 때문에 제조상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자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5,195,242호는 상기한 많은 문제들을 (i) 코어를 사용하는 것 대신에 플라이위에 열가소성 코어를 형성하거나, (ii) 아교로 예열된 열가소성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해결하였다. 이 두 경우 다, 코어를 형성하는 스트립사이에 열가소성 물질을 도포하여 코어를 만들고 커버를 감기 전에 코어의 외부에 그것을 도포하여 코어에 커버를 부착한다. 상기 특허는 코어를 형성하기 위하여 맨드럴주위에 열가소성 물질(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로 된 3개의 스트립을 중복하여 감는 과정이 포함된 방법을 설명하고 있는데, 이 때 코어를 형성하는 스트립은 맨드럴 주위에 그것들을 래핑하기 전에 액상의 열가소성 물질(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을 도포하여 서로 결합시킨다. 코어의 외부표면에 도포되는 액상의 열가소성 물질(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로 코어를 형성한 후에, 그 위에 커버를 감는다. 알려진 대로, 남아있는 과정은 만들어진 엔들리스 롤러를 사용가능한 크기로 자르는 것인데, 상기한 것과 같이 이 과정은 2단계로 수행된다. 우선, 플라이 어웨이 커터를 사용하여 되도록 길게 자르고, 그런 다음 또 다른 커터를 사용하여 사용가능한 길이로 절단한다. 이 방법으로 실질적으로 페인트 용매의 영향을 받지않는 질좋은 롤러를 만들 수 있고, 열가소성 물질로 된 다량의 스트립을 사용하고 액상 열가소성 물질을 많은 지점에 도포한다. 이처럼, 본 방법은 설치가 어렵고, 조작중에서도 많은 계속적인 조정이 필요하였다.
보어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5,468,207호에는 스트립을 결합시키기 위해서 액상의 열가소성 물질을 도포하는 것 대신에, 직접적인 열을 가하여 열가소성 플라스틱 스트립의 표면을 결합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242 특허에서 개시된 것과 유사한 연속적인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보어는 커버를 부착시키기 전에, 액상의 열가소성 물질을 도포하기 보다는 코어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여 그 코어를 결합시키는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자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5,572,790호에서는 상기한 과정의 일부 복합적인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 방법은 현재 롤러 제조의 사실상 표준방법이 되고 있는데, 맨드럴 주위에 여러차례 다중 스트립을 오버랩핑 상태로 감아서 코어를 만들고, 거기에 커버를 부착하는 대신에, 맨드럴 주위에 1개의 스트립을 감고, 이로써 인접한 가장자리부가 좁은 간격을 두거나 접해 있는 관계가 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액상의 열가소성 물질(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을 감겨진 스트립의 노출면에 도포하고, 그 액상물질과 그 위에 패브릭 커버가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충분한 응력을 갖는 감겨진 스트립 위에 커버를 나선형으로 감아서 롤러를 만든다. 그리고 나서, 엔들리스 롤러의 제조에 있어서, 먼저 플라이-어웨이 커터로 이 제품을 되도록 길게 자르는데, 그 길이는 사용가능한 길이로 절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1개의 스트립을 사용하고, 액상 열가소성 물질을 한번만 도포함으로써, 조립라인이 보다 다루기 용이해지는 단일공정으로 전체 페인트 조성물을 제조하기 때문에, 본 발명자에 의해서 고안된 방법은 종래방법에 비해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롤러는 나름대로 취약점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 롤러의 명백한 결점은 컷 롤러의 단부에서 나타나는데, 그 컷 롤러의 단부가 찌그러지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높은 후프강도로 풀리거나 오픈되려고 하는 스트립의 고장력 메모리에 기인한다. 그리고, 다층 롤러를 적당하게 경화시키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더 두꺼운 플라스틱 스트립을 사용하여 단일 스트립의 롤러를 제조한다. 사용하는 플라스틱 스트립이 더 두꺼울수록, 롤러위에 메모리효과(특히, 코어의 지름과 관계있음)가 보다 더 많이 나타난다.
가장 최근에 허여된 특허출원에서 열가소성 페인트 롤러를 제조하는 또 다른 방법이 개시되었다. 상세하게는, 미국특허 제 5,862,591에 단일공정으로 페인트 롤러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열가소성 물질로 된 스트립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액상 폴리프로필렌을 맨드럴에 직접 도포하고, 그 위에 커버를 설치한다. 액상 폴리프로필렌을 맨드럴에 도포하는 것은 동시에 수반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이것은 폴리프로필렌 코어를 형성할 때 액화된 층을 동시에 도포하는 작업중에서 발생하는 문제이다. 이 공정처럼, 가열된 코어위에 패브릭 뭉치를 배치하는 것에 대해서 많은 시도가 있었는데, 예를 들어 프랑스 특허공개 제 2,093,060호에서는 패브릭 뭉치를 고온의 금방 압출성형된 코어위에 둔다. 그러나, 전체가 가열된 코어 블랭크나 스트립 블랭크 및 저온의(예를 들어, 실온) 패브릭 뭉치를 매칭시키는 경우에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수축변동을 제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예시한 어떠한 시스템도 실용화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적층된 코어와 완전히 일체화된 커버로 이루어지는 재사용가능한 페인트 롤러를 보다 간편하고, 쉽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2개의 프로필렌 스트립으로 형성되는 적층된 코어가 있는 페인트 롤러를 간편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매우 밀집된 조립영역내에 고성능의 페인트 롤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작은 단면 지름을 갖는 페인트 롤러를 연속공정으로 쉽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은 단일 연속적인 통합조작으로 페인트 롤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 구성되는데, 본 발명의 방법은 맨드럴 주위에 열가소성 물질로 된 제1 스트립을 나선형으로 감아나가는 단계, 그 열가소성 물질로 된 제1 스트립 근방에 오프셋되도록 제2 스트립을 나선형으로 감아나가는 단계, 제2 스트립 주위에 커버를 나선형으로 감아나가는 단계, 제1 스트립의 외주면과 제2 스트립의 내주면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외부 스트립의 외주면과 상기 커버의 내주면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그 커버에 압축력을 부여하여 연속적으로 적층된 페인트 롤러를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 스트립과 인접하게 접착된 제2 폴리프로필렌 스트립은 서로 나란하게 오프셋되어 있고, 이것으로 상기 커버 스트립은 인접하여 감겨진 제2 폴리프로필렌 스트립에 걸쳐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롤러의 견고함을 유지하는 부가적인 구조강도가 제공된다. 종래기술로 실용화할 수 없는, 지름이 작은 롤러를 만드는데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것은 단일 스트립 롤러를 어떻게 제조하느냐 하는 것이다.
작은 지름(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5" 지름의 코어에 비해 작은 0.5" 지름의 코어 롤러)의 롤러가 구조적으로 일체화되어 있고, 스트립의 말단부가 분리되지 않도록 만들어져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롤러는 코어 물질이 쉽게 풀리지 않도록 충분한 내성을 제공한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라 제조된 단일-스트립 롤러와 비교해서, 본 발명의 일체화된 롤러 코어와 커버 물질은 세로방향으로 막히게 되면 열리지 않게되지만 그 원형은 유지하고 있어서 기존의 다른 제품과 비교된다.
상기 코어와 롤러는 단일단계로 제조되고, 저온의 맨드럴상에서 압축된 직후에 완성되어 롤러의 모양을 갖춘다. 상기 맨드럴은 또한 그 롤러 물질을 이송한 다음, 특정 길이로 절단하여 완성된 제품으로 만들기 위한 토대를 제공한다. 맨드럴의 지름변화는 롤러의 코어지름과 완성된 롤러의 지름치수를 결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우수한 성능을 보유하는 롤러는 간단한 조립라인과 방법으로 제조되는데, 그것은 다음과 같다:
a) 2개의 폴리프로필렌 스트립을 공급하는 2개의 피더,
b) 커버 스트립을 공급하는 피더,
c) 접착제층 활성화용 히터 또는 접착체층 도포용 압출성형기
d) 고정된 저온 맨드럴,
e) 엔들리스 롤러를 만들면서 전진시키는 나선 구동벨트와 같은 이송수단
f) 커터
본 발명은 2개의 열가소성 스트립을 사용하여, 적층된 코어와 페인트 롤러를 동시에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것으로 탁월한 페인트 롤러를 제조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그리고 그 밖의 목적, 특성 및 이점은 하기 도면과 그에 관한 설명을 참고로 보다 확실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롤러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장치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롤러를 제조하기 위한 제1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확대 설명도이고, 2(a)는 도2에 표시된 설명도의 도려냄모형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롤러를 제조하기 위한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설명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롤러를 제조하기 위한 제3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설명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롤러를 제조하기 위한 제4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설명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롤러를 제조하기 위한 제5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설명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롤러를 제조하기 위한 제6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 설명도이다.
도8a 및 8b는 세로방향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종래기술과 본 발명의 기술로 제조된 롤러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맨드럴
(2): 구동벨트
(2a), (2b): 구동롤러
(3): 커터
(4): 헤드
(6), (7): 접착제
(21): 내부스트립, (22): 외부스트립
(23): 커버
도1의 도면을 참조하여, 롤러를 제조하는 장치(10)는 냉각기(5)에 의해 냉각되는 고정된 맨드럴(1)(이 맨드럴 위에서 롤러(20)가 제조됨), 구동 롤러(2a)와 (2b)에서 움직이고, 그 맨드럴(1)을 따라 플라이-어웨이 커터(3)쪽으로 엔들리스 롤러(20)를 회전, 이동시키는 나선 구동벨트(2)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설명하자면, "하류" 라는 것은 롤러 제조공정중의 진척방향 또는 플라이-어웨이 커터(3)에 보다 가까운 방향을 의미하는 한편, "상류"라는 것은 초기 시작방향 또는 플라이-어웨이 커터(3)에서 보다 먼 방향을 의미한다.
제1 실시예
도1, 보다 상세한 도2, 및 도려냄모형인 도2a로 표시된 1 실시예에서, 연속 페인트 롤러는 열가소성 물질(21)의 내부 스트립, 열가소성 물질(22)의 외부 스트립, 커버(23), 및 1개 이상의 헤드(4)에서 도포되는 접착제(6)로 만들어진다. 열가소성 물질로 바람직한 것은 폴리프로필렌이다. 상기 커버(23)로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여 만들 수 있는, 잘 알려진 페인트 롤러용 패브릭 커버를 사용하여도 좋다.
그 내부 스트립(21)은 맨드럴(1)에 나선형으로 감긴다. 여기서 사용된 나선형이란 용어는 스트립이 감기게 될 하류 가장자리가 이미 스트립이 감겨진 상류 스트립과 촘촘하게 배치되도록 하기 위해서 맨드럴을 중심으로 하여 배향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대로, 5%의 광물유와 같은 윤활제를 맨드럴(1)상에 감기 전에 내부 스트립(21)의 내주면에 도포하여도 좋다.
외부 스트립(22)은 내부 스트립(21)에 대하여 나선으로 전진한다. 바람직하게는 2개의 스트립이 상기 맨드럴(1)을 따라 전진할 때, 외부 스트립(22)의 가장자리는 내부 스트립(21)의 가장자리에서 오프셋된다. 외부 스트립(22)과 내부 스트립(21)사이가 오프셋됨으로써 그 외부 스트립(22)이 그 상류와 하류 가장자리가 촘촘하게 배치되는 내부 스트립(21)의 일부와 중첩하게 된다. 내부 스트립(21)과 외부 스트립(22) 사이가 오프셋됨으로 해서 보다 견고한 제품이 생산된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내부 스트립(21) 폭의 1/4~3/4 정도의 오프셋으로 바람직한 결과치를 얻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커버(23)는 외부 스트립(22)을 따라서 나선으로 전진한다.
헤드(4)가 접착체층(6)을 접착제 소스(7)로부터 제공하는데, 그 접착제(6)로 바람직한 것은 폴리프로필렌이다. 접착제 소스(7)는 바람직하게는 압출성형기에서 얻어지지만, 용융기를 포함한 다른 접착제 소스에서 얻을 수도 있다. 상기 헤드(4)는 노즐이나 다이와 같은 소스로부터 접착제를 제공하는데 적당한 유형의 헤드여도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스(7)가 압출성형기인 경우에는 그 헤드(4)가 다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롤러를 제조하기 전에, 2층의 접착제(6a), (6b)를 도포해야 한다. 내부 스트립(21)과 외부 스트립(22) 사이를 전진하도록 제1 접착제층(6a)을 도포하고, 외부 스트립(22)과 커버(23) 사이를 전진하도록, 제2 접착제층(6b)을 도포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접착제층(6a)은 내부 스트립(21)의 외부면에 도포되고, 제2 접착제층(6b)은 외부 스트립(22)의 외부면에 도포된다. 제1, 2 접착제층(6a), (6b)을 단일 헤드(4)로부터 도포하여도 좋다. 단일 헤드(4)는, 커버(23)에 접착제층(6a), (6b)을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근접하여 접착제층을 스트립(21), (22)에 도포할 수 있는 위치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물질은 맨드럴(1)방향에 나란한 일정량의 폭으로 헤드(4)에서 방출된다. 이 때, 접착제(6)가 커버(23)의 외부면에 묻지않도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단일헤드(4)를 사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장 간편하고, 일치된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2개 이상의 헤드를 접착제층(6a), (6b)에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2층의 접착제(6a), (6b)를 경화시켜 고정하기 전에, 구동벨트(2)로 커버(23)의 외부면에 압력을 걸어주고, 이것으로 부품부에 내부력을 부여하여 맨드럴 주위 에 연속 롤러를 형성한다. 상기 롤러를 형성할 경우에 있어서, 상기 구동벨트(2)는 맨드럴을 따라서 이미 만들어진 엔들리스 롤러를 전진시켜 그 엔들리스 롤러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또한 스트립(21), (22)와 커버(23)을 맨드럴쪽으로, 그리고 맨드럴 주위로 전진한다.
상기 스트립(21), (22), 얇은 커버(23) 및 파일의 폭과 두께는 원하는 롤러를 제조하는데 적당한 정도면 좋다. 예를 들어, 1.5인치 지름의 코어 및 60-월(wall)인 일반적인 우수한 품질의 롤러는 이하 물질로 제조할 수 있다:
두께
내부 스트립 2.750" 0.015"
제1 접착제층 2.750" 0.015"
외부 스트립 2.750" 0.015"
제2 접착제층 2.750" 0.015"
커버 2.875" 요구되는 파일

1.5인치 지름의 코어 및 80-월(wall)인 일반적인 우수한 품질의 롤러는 이하 물질로 제조할 수 있다:
두께
내부 스트립 2.750" 0.020"
제1 접착제층 2.750" 0.020"
외부 스트립 2.750" 0.020"
제2 접착제층 2.750" 0.015"
커버 2.875" 요구되는 파일

1.5인치 지름의 코어 및 90-월(wall)인 일반적인 우수한 품질의 롤러는 이하 물질로 제조할 수 있다:
두께
내부 스트립 2.750" 0.025"
제1 접착제층 2.750" 0.020"
외부 스트립 2.750" 0.025"
제2 접착제층 2.750" 0.020"
커버 2.875" 요구되는 파일
여기서 사용한 "월" 또는 "밀"은 수천 인치의 두께를 의미한다.
상기 폭과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은 본 분야에 이미 공지되어 있다. 요구되는 롤러의 특성에 따라서 본 분야의 기술상의 매우 다양한 변화가 가능하다.
공지된 고품질의 1.5 인치 지름의 코어가 설치된 롤러에 추가해서, 0.5" 코어의 롤러를 제조할 필요가 있다. 특허 제 5,572,790호 공보에 개시된 단일 스트립 기술을 사용하여 0.5" 코어의 롤러를 제조하는 것은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대신에, 본 발명은 0.5" 코어의 롤러에 해당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기 물질을 사용하여 0.5" 코어 60-월의 롤러를 제조할 수 있다:
두께
내부 스트립 1" 0.015"
제1 접착제층 1" 0.015"
외부 스트립 1" 0.015"
제2 접착제층 1" 0.015"
커버 1.125" 요구되는 파일

상기한 대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단일헤드(4)는 접착제(6a), (6b)의 양 층을 모두 공급한다. 그 층(6a), (6b)의 폭과 두께는 다양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트립(21), (22)의 폭과 같은 경우이다. 도포되는 접착제의 전체 부피는 내부 스트립(21)이 외부 스트립(22)과, 그리고 커버(23)가 외부 스트립(22)에 충분히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부피이다. 제2층(6b)에 사용되는 접착제의 양은 커버(23)물질에 따라서 어느 정도 달라질 수 있다.
요구되는 폭보다 훨씬 짧은 헤드(4)를 사용하여도 좋다. 그러한 짧은 헤드(4)를 이용하는 것은, 유속을 제어하고, 다이를 성형하고, 폭 방향으로 다이를 이동하거나, 또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방법으로 조절하여도 좋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매우 긴 헤드(4)를 사용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그러한 긴 헤드(4)는 다이를 성형하거나, 또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기타 방법에 의해서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헤드(4)의 폭과, 헤드(4)에 의해 공급되는 물질의 폭의 상당히 큰 변화에도 적응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스트립(21), (22)상에 일정폭의 접착제를 설치한 헤드(4)를 사용하면 가장 큰 일치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정된다.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또한 그 스트립(21), (22) 사이와 커버(23)와 외부 스트립(22)사이를 전진하도록 하기 위해서, 접착제를 도포한 1개 이상의 헤드를 사용할 수 있다. 헤드의 폭과 수에 상관없이, 고 품질의 적층형 연속 롤러를 제조하기 위해서 2층의 프로필렌을 경화시키고 도포하기 전에 커버에 압력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제1 실시예
도2에 표시한 대로, 스트립(21), (22)및 커버(23)를 공급하는 피더의 제1의 바람직한 배치는 커버(23)가 맨드럴(1) 가까이로 그리고 외부 스트립(22)과 평행하여 전진하는 것이다.
그러한 배치 덕분에, 접착제(6a), (6b)를 내부 스트립(21)의 외부면과 외부 스트립(22)의 외부면을 동시에 부착할 수 있는 단일헤드(4)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배치로 인해서, 내부 및 외부 스트립(21), (22) 사이, 또는 외부 스트립(22)과 커버(23) 사이에 끼우기 전에 접착제(6a), (6b)를 균일하게 그리고 단시간 동안에 노출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배치로 연속 제조공정의 경우에도 매우 짧은 조립라인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외부 스트립(22)과 커버(23) 사이가 오프셋되게 하여 보다 견고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고 알져져 있으며, 그 오프셋을 허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도3에 상세하게 표시된 제2 실시예에서, 열가소성 물질로 된 내부 스트립(21)과 외부 스트립(22), 커버(23) 및 1개 이상의 헤드(4)에 도포된 접착제(6)에서 연속 페인트 롤러가 제조된다. 상기 열가소성 물질로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23)는 공지된 폴리에스테르의 페인트 롤러용 패브릭 커버여도 좋다.
제2 실시예는 스트립(21), (22) 및 커버(23)를 공급하는 피더의 제1 배치와 상이하다. 이 실시예에서, 그 커버(23)은 외부 스트립(22)과 오프셋되어 있다.
내부 스트립(21)은 맨드럴(1) 주위를 나선으로 전진한다. 알려진 대로, 맨드럴(1)위에 감기전에 내부 스트립(21)의 내주면에 윤활제를 발라주어도 좋다. 또한, 외부 스트립(21)은 오프셋되어 내부 스트립(21) 주위를 나선으로 전진한다. 상기 헤드(4)는 압출성형기와 같은, 접착제(7) 소스로부터 접착제를 공급한다.
롤러를 제조하기에 앞서서, 접착제(6a), (6b)의 두 층을 도포한다. 내부 스트립(21)과 외부스트립(22) 사이를 전진하도록 제1층 (6a)을 부착하고, 외부 스트립(22)과 커버(23) 사이를 전진하도록 제2층(6b)을 부착한다. 접착제의 제1층(6a)과 제2층(6b)을 단일헤드(4)에 도포할 수도 있다. 단일헤드(4)는 커버(23)가 외부 스트립(22) 주위를 감는 위치에 근접하도록 상기 스트립(21), (22)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착제의 제1층(6a)과 제2층(6b)을 도포하기 위해서 2개 이상의 헤드(4)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제의 두층(6a), (6b)을 경화시키고 고정하기 전에, 구동벨트(2)가 커버(23)의 외부면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조립부에 내부력을 부여하여 맨드럴 주위에 연속롤러를 제조한다. 롤러의 제조공정에 추가하여, 상기 구동벨트(2)는 맨드럴을 따라서 이미 만들어진 엔들리스 롤러를 전진시켜, 엔들리스 롤러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며, 또한 스트립(21), (22) 및 커버(3)를 맨드럴쪽으로 그리고 맨드럴을 중심으로 하여 전진시킨다.
이 실시예의 조립라인은 제1 실시예의 조립라인보다 다소 길다. 그러나, 조립라인은 단지 1이나 2인치, 또는 그 이하만큼만 길어진 것에 불과하여,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
제2 실시예는 끼워지기 전에 접착제층(6)의 비균일한 노출을 유발한다. 상기 접착제의 비균일한 노출의 중요성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그것이 문제점으로 부각될 경우에는 다층헤드 시스템을 사용하여 해결한다. 예를 들면, 제1층(6a), 및 제2층(6b)에는 제1 헤드를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나서, 다소 고온에서 상기 제2층 접착제층(6b)의 남아있는 부분을 도포하는데 제2 헤드(4)를 사용하여, 노출시의 비균일성을 보완한다.
제3 실시예
도4에 상세하게 표시한 제3 실시예에서, 열가소성 물질로 된 내부 스트립(21)과 외부 스트립(22), 커버(23) 및 2개의 헤드(4a), 및 (4b)에서 도포된 접착제(6)(도시되지 않음)로부터 연속 페인트 롤러가 제조된다. 상기 열가소성 물질로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23)는 공지된 폴리에스테르의 페인트 롤러용 패브릭 커버여도 좋다.
제3 실시예는 스트립(21), (22) 및 커버(23)를 공급하는 배치에 있어서 제1, 제2 실시예와 상이하다. 제3 실시예는 최단 조립라인으로 구성된다. 내부 스트립(21)은 맨드럴 주위를 나선으로 전진한다. 알려진 대로, 맨드럴(1)위에 감기전에 내부 스트립(21)의 내주면에 윤활제를 발라주어도 좋다. 또한, 외부 스트립(21)은 오프셋되어 내부 스트립(21) 주위를 나선으로 전진한다. 상기 커버(23)는 외부 스트립(22) 주위를 나선으로 전진하지만, 이것은 오프셋관계에 있지 않아도 된다.
롤러를 제조하기에 앞서서, 접착제(6a), (6b)의 두 층을 도포한다. 2개의 헤드(4a), (4b)는 압출성형기와 같은, 접착제(7) 소스로부터 접착제를 공급한다. 헤드(4a)는 외부 스트립(22)의 내주면에 제1 접착제층을 도포하는 한편, 헤드(4b)는 외부 스트립(21)의 외부면에 제2 접착제층을 도포한다.
두층의 접착제를 경화시키고 고정하기 전에, 상기 구동벨트(2)는 커버(23)의 외부면에 압력을 가하고, 상기 조립부에 내력을 부여하여 맨드럴 주위에 연속롤러를 제조한다. 롤러의 제조공정에 추가하여, 상기 구동벨트(2)는 맨드럴을 따라서 이미 만들어진 엔들리스 롤러를 전진시켜, 엔들리스 롤러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키며, 또한 스트립(21), (22) 및 커버(3)를 맨드럴쪽으로 그리고 맨드럴을 중심으로 하여 전진시킨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도5를 참조하여 설명되는데, 여기서 연속 페인트롤러는 열가소성 물질로 된 내부 스트립(21)과 외부 스트립(22), 커버(23) 및 헤드(4)로부터 연속 페인트 롤러가 제조된다. 상기 열가소성 물질로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23)는 공지된 폴리에스테르의 페인트 롤러용 패브릭 커버여도 좋다.
내부 스트립(21)의 외부면에 제1 접착제층(24)이 존재하고, 외부 스트립(22)의 외부면에 제2 접착제층(25)이 존재한다. 상기 접착제층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는 상기한 바와 같지만, 당업자라면 제1과 제2 접착제층(24),(25)을 각각 외부 스트립(22)의 내주면과 커버(23)의 내주면 위에 각각 배치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단지 중요한 것은, 헤드(4')가 상기 접착제층(24), (25)를 활성화시키는 것과 그 접착제층(24), (25)이 내부 스트립(21)과 외부 스트립(22) 사이 및 외부 스트립(22)과 커버(23)사이에 각각 끼워지게 된다는 것이다.
내부 스트립(21)은 맨드럴(1)을 주위를 나선으로 전진한다. 알려진 대로, 전진시키기 전에, 내부 스트립(21)의 내주면에 윤활제를 발라도 좋다. 상기 외부 스 트립(22)은 오프셋되어 내부 스트립(21) 주위를 나선으로 전진한다. 상기 커버(23)는 외부 스트립(22) 주위를 나선으로 전진한다.
상기 헤드(4')는 열을 공급한다. 헤드(4')는 전기히터, 가스히터, 또는 스트립(21), (22)위에 있는 접착제층(24), (25)을 활성화시키는데 적당한 다른 유형의 히터일 수도 있다(상기 접착제층은 액화되어 활성화하는데, 말하자면 이것이 점성을 가지게 되어 용융상태로 된다). 롤러를 제조하기 전에, 2개의 접착제층(24), (25)은 헤드(4')에 의해서 활성화된다. 제1 접착제층(24)과 제2 접착제층(25)은 단일헤드(4')로부터 활성화될 것이다. 상기 헤드(4')는 상기 접착제를 도2의 a로 표시된 영역내에서 스트립(21), (22)을 활성화하는 위치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4')는 맨드럴(1)방향에 평행하도록 배향한다. 이 때, 헤드(4')로부터 방출된 열이 커버(23)의 외부면을 용융시키거나, 반대로 그 특성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가열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커버(23)가 이렇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커버(23)는 상기 헤드(4')의 감겨진 하부를 따라서 외부 스트립(22) 주위를 전진한다. 또한, 열 실드(shield)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단일헤드(4')를 사용함으로써 설비를 가장 간편화할 수 있고, 가장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접착제층을 활성화는데 2개 이상의 열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2개의 접착제층(24), (25)을 경화시키고 고정하기 전에, 구동벨트(2)를 사용하여 커버(23)의 외부면에 압력을 압력을 부여하고, 이것으로 부품부에 내부력을 부여하여 맨드럴를 중심으로 하여 연속 롤러를 형성한다. 상기 롤러를 형성할 경우에 있어서, 상기 구동벨트(2)는 맨드럴을 따라서 이미 만들어진 엔들리스 롤러를 전진시켜 그 엔들리스 롤러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또한 스트립(21), (22)와 커버(23)을 맨드럴쪽으로 그리고 맨드럴 주위로 전진한다.
제5 실시예
본 발명의 제5 실시예는 도6을 참조하여 설명되는데, 여기서 연속 페인트롤러는 열가소성 물질로 된 내부 스트립(21)과 외부 스트립(22), 커버(23) 및 헤드(4')로부터 연속 페인트 롤러가 제조된다. 제5 실시예는 커버(23)가 외부 스트립(22)과 오프셋되어 있다는 점이 제4 실시예와 다르다. 이 실시예에서, 커버(23)는 헤드(4')로부터 1/2감김만큼 떨어져 있다. 상기 커버(23)가 헤드(4')에 더 근접해있지만 어떠한 열 실드도 불필요하다는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고 사료된다.
제 6실시예
본 발명의 제6 실시예는 도7를 참조하여 설명되는데, 여기서 연속 페인트롤러는 열가소성 물질로 된 내부 스트립(21)과 외부 스트립(22), 커버(23) 및 헤드(4a'), (4b')로부터 페인트 롤러가 제조된다.
내부 스트립(21)의 외부면에 제1 접착제층이 존재하고, 외부 스트립(22)의 외부면에 제2 접착제층(25)이 존재한다. 상기 접착제층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스트립(21)은 맨드럴(1) 주위를 나선으로 전진한다. 외부 스트립(22)은 오프셋되어 내부 스트립(21) 주위를 나선으로 전진한다. 상기 커버(23)는 외부 스트립(22) 주위를 나선으로 전진하며, 2개의 헤드(4a'), (4b')는 2개의 접착제층(24), (25)을 활성화시키는 열을 공급한다. 이 때, 헤드(4')는 전기히터, 가스히터, 또는 스트립(21), (22)위에 있는 접착제층(24), (25)을 활성화시키는데 적당한 다른 유형의 히터일 수도 있다.
롤러를 제조하는 것에 앞서서, 헤드(4a'), (4b')로 2개의 접착제층(24), (25)을 활성화한다. 그 헤드(4a'), (4b')는 상기 접착제층(24), (25)이 외부 스트립(22)이 내부 스트립(21) 주위로 전진되는 곳에 근접한 위치에서 활성화될 수 있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헤드(4a'), (4b')는 외부 스트립(22)의 길이에 수직방향으로 배향한다. 이 때, 헤드(4a'), (4b')로부터 방출된 열이 커버(23)의 외부면을 용융시키거나, 반대로 그 특성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가열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헤드 실드(도시되지 않음)을 사용하여도 좋다.
2개의 접착제층(24), (25)을 경화시키고 고정하기 전에, 구동벨트(2)를 사용하여 커버(23)의 외부면에 압력을 압력을 걸어주고, 이것으로 부품부에 내부력을 부여하여 맨드럴을 중심으로 하여 연속 롤러를 형성한다. 상기 롤러를 형성할 경우에 있어서, 상기 구동벨트(2)는 맨드럴을 따라서 이미 만들어진 엔들리스 롤러를 전진시켜 그 엔들리스 롤러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또한 스트립(21), (22)와 커버(23)을 맨드럴쪽으로 그리고 맨드럴 주위로 전진한다.
외부 스트립(22)상에 2개의 접착제층(24), (25)을 형성하면 가장 간편하게 장치를 설치할 수 있고, 가장 일치된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내부 스트립(21)의 외부면상에 제1 접착제층(24)을 형성시켜 활성화하는 것은 본 발명의 범주이내에서 가능하다. 또한, 외부 스트립(22)의 내주면과 내부 스트립(21)의 외부면 사이에 제1 접착제층(24)을 형성시키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가능하다. 상기 접착제층(24)을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내부 스트립(21)과 외부 스트립(22)이 제일 먼저 접촉하는 위치 주위에 다층헤드(4a)를 사용하거나 또는 단일헤드(4a')를 설치하면 좋다.
본 발명에서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는 페인트롤러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제조공정중에 상기 구동벨트(2)가 커버가 감기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물질을 경화시키고 고정하기 전, 상기 구동벨트(2)를 감아서 부품부에 물리적인 힘을 부여하여 엔들리스 롤러(20)를 제조한다. 상기 구동벨트(2)가 아직 완전하게 설치되지 않은 롤러를 작동하도록 우수한 성능의 롤러(20)를 설치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대로, 상기 엔들리스 롤러(20)를 플라이-어웨이 톱으로 일정길이로 자른다.
본 발명을 실시할 경우에, 우수한 품질의 페인트 롤러를 제조하는데 요구되는 조립라인의 전체 길이는 맨드럴(1)의 20인치 미만이면 좋고, 구동벨트(2)와 플라이-어웨이 톱(3) 사이에서는 20인치 미만이면 좋다.
단시간내에 소형 라인을 갖는 장치가 있는 완성된 롤러를 제조한다고 하더라도, 만들어진 롤러는 우수한 구조적인 내성을 보유하고 있다. 도8a 및 8b에 도시한 대로, 슬릿 롤러(20)(본 발명의 것)과 (20')(종래기술로 제조된 단일 스트립)는 모양이 상이하다. 세로방향으로 자른 종래의 롤러(20')는 롤러에 의해서 유지되는 풀림력(unwinding force)을 보유하고 있고, 오픈되어 어두운 곡선면을 이룬다. 이것은 코어구조에 반대하여 작용하며 단부(24)를 인접한 부분(26)과 근소하게 분리시키는 일정한 후프력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후프력 때문에, 내성과 적절한 구성면에서 소형 지름의 단일 스트립 롤러를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롤러(20)는 소형 지름 롤러 코어인 경우에도 풀림력이 전혀 없다는 것이다. 아마도, 이러한 효과는 부분적이더라도 다수의 얇은 스트립을 라미네이팅 함으로써 얻어지는 것으로 추정된다.
속결공정의 예상밖의 장점중 하나는 특허 제 5,572,790호와 같은 단일 스트립 기술을 사용하는 비교용 롤러를 제조하는데 드는 비용보다 훨씬 더 저렴하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스트립형태로 압출성형된 폴리프로필렌이 펠릿형태의 폴리프로필렌보다 단위 파운드당 가격이 더 비싸기 때문인데, 펠릿형태의 폴리프로필렌은 접착제를 제조하는 압출성형기에 사용된다. 적층 공정으로, 0.15"~0.25"인 2층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반면에, 단일 스트립 공정으로 접착제의 최대층이 0.25"가 된다. 따라서, 대다수 롤러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압출성형된 폴리프로필렌의 양이 감소되고, 보다 저렴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스트립의 수가 많아질수록, 공정이 보다 복잡해지게 된다. 따라서, 4개, 5개 또는 그 이상의 스트립 제품을 제조하는 것은 불가능해 보인다. 게다가, 본 발명에서는 접착제를 도포하는데 단일헤드를 사용한다. 폴리프로필렌의 3개 또는 그 이상의 스트립이 있는 공정에서는 2개 이상의 헤드가 요구된다.
상기 실시예 및 참조설명은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은 모든 가능한 조합이나 구체적인 예를 한정하거나 정의하고자 하는 것이 아닐 뿐 아니라, 그 럴 필요도 없다. 본 발명자는 본 기술에 숙련자가 본 발명의 1개 이상의 실시예를 실행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정보를 개시하였고,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최선의 방법이라고 본 발명자가 현재까지 신뢰하고 있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스트립(21), (22) 및 커버(23)의 배치나 배향에 다양한 변화 및 헤드(4), (4'), (4a), (4b)를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상기한 설명과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한 대로 본 발명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그것의 부품, 구조 및 과정을 수정할 수 있다.

Claims (50)

  1. 단일의 연속한 통합작업으로 페인트 롤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맨드럴 지지부재에 제1 폴리프로필렌 스트립을 일정한 각도로 공급한 후, 제1 폴리프로필렌 스트립을 일정한 각도로 공급한 것과 오프셋되도록 하여 상기 제1 폴리프로필렌 스트립의 외부면위에 제2 폴리프로필렌 스트립을 일정한 각도로 공급한 다음, 상기 제2 폴리프로필렌 스트립의 외부면위에 페인트 롤러 커버 스트립을 일정한 각도로 공급하는 단계, 및
    (b) 맨드럴에 상기 각 스트립을 공급한 후에, 맨드럴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방향 및 동시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의 공급된 스트립을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1 및 제2 스트립에 접착제층을 연속적으로 도포하되, 이 접착제층은 상기 커버 스트립의 외부면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감겨진 제1 폴리프로필렌 스트립의 노출된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와, 그것에 인접하는 감겨진 제2 폴리프로필렌 스트립의 노출된 외부면의 적어도 일부에 걸치도록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접착제층을 인접하여 감겨진 제1 및 제2 폴리프로필렌 스트립에 이동시켜 도포함으로써, 제1 및 제2 폴리프로필렌 스트립 사이와 제2 폴리프로필렌 스트립 및 커버 스트립 사이를 연속 접합하여, 상기 페인트 롤러의 코어와 커버가 연속적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롤러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스트립 및 인접하여 접착된 제2 폴리프로필렌 스 트립이 서로 나란히 오프셋되어 있고, 이 때 그 커버 스트립은 인접하여 감겨진 제2 폴리프로필렌 스트립을 걸치도록 도포하고 있어서 상기 롤러의 견고함을 유지하는 부가적인 구조강도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롤러의 제조방법.
  3. 코어의 지름이 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항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페인트 롤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다중 스트립 적층형 페인트 롤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맨드럴 주위에 제1 열가소성 스트립을 공급하는 단계;
    제1 열가소성 스트립과 오프셋된 상태에서 제1 열가소성 스트립 주위에 제2 열가소성 스트립을 공급하는 단계;
    한번 감겨진 제1 스트립의 외부면의 부분, 연속하여 감겨진 제1 스트립의 외부면과 인접하는 부분, 및 실질적으로 제2 스트립이 감겨진 모든 외부면 중 어느 한 부분 이상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제2 스트립 주위에 커버를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커버를 제2 스트립쪽으로 추진시키는 것과 동시에 제2 스트립을 제1 스트립쪽으로 추진시키는 압축력을 부여하여, 연속적으로 다중 스트립이 적층된 페인트 롤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럴에 평행하게 상기 커버에 회전력과 선형력을 부여하여, 연속적으로 다중 스트립이 적층된 페인트 롤러를 맨드럴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또 맨드럴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추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 회전력, 및 선형력은 모두 나선형 벨트 시스템을 통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다중 스트립이 적층된 상기 페인트 롤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다중 스트립이 적층된 상기 페인트 롤러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물질이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액상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립은 제1 스트립의 1/4 내지 3/4만큼 제1 스트립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제2 스트립과 오프셋된 상태에서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제2 스트립의 1/4 내지 3/4만큼 제2 스트립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럴에 평행하게 상기 커버에 회전력과 선형력을 부여하여, 연속적으로 다중 스트립이 적층된 페인트 롤러를 맨드럴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또 맨드럴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추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 회전력, 및 선형력은 모두 나선형 벨트 시스템을 통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상기 페인트 롤러를 같은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같은 길이로 절단한 것을 사용가능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2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를 제2 스트립과 오프셋된 상태에서 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2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럴의 지름이 0.5인치~1.5인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2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럴의 지름은 0.5인치이고, 그에 따라 내부 지름이 0.5인치인 롤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23. 제22항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페인트 롤러.
  24. 삭제
  25. 다중 스트립 적층형 페인트 롤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맨드럴 주위에 내부면과 외부면이 있는 제1 폴리프로필렌 스트립을 나선형으로 전진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스트립의 내부면이 맨드럴과 접촉하는 위치에서 제1 스트립의 외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제1 스트립과 오프셋된 상태에서 나선형으로 감겨 있고 내부면과 외부면이 있는 제2 폴리프로필렌 스트립을 제1 스트립을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전진시켜 제1 스트립의 외부면에 접착제를 커버하는 단계;
    상기 제2 스트립의 외부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커버 스트립을 상기 제2 스트립 중심으로 나선형으로 전진시켜, 그 제2 스트립의 외부면상에 접착제를 커버하는 단계; 및
    커버를 제2 스트립쪽으로 추진시키는 동시에, 제2 스트립을 제1 스트립쪽으로 추진시키는 압축력을 커버에 부여하여, 연속적으로 적층된 페인트 롤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럴에 평행하게 상기 커버에 회전력과 선형력을 부여하여, 연속적으로 다중 스트립이 적층된 페인트 롤러를 맨드럴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또 맨드럴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추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 회전력, 및 선형력은 모두 나선형 벨트 시스템을 통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럴의 지름은 0.5인치이고, 그에 따라 내부 지름이 0.5인치인 롤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29. 제28항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페인트 롤러.
  30. 다중 스트립 적층형 페인트 롤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오프셋 상태에서, 맨드럴을 중심으로 폴리프로필렌의 내부 스트립 및 외부 스트립을 나선형으로 전진시키는 단계;
    상기 2개의 스트립 사이 및 상기 외부 스트립의 외부면에 액상의 폴리프로필렌 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액상 폴리프로필렌 층을 경화시키고 고정하기 전에, 외부 스트립 주위에 커버를 감고 상기 커버와 2개의 스트립을 맨드럴쪽으로 추진시키는 압축력을 커버에 부여하여, 연속적으로 적층된 페인트 롤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럴에 평행하게 상기 커버에 회전력과 선형력을 부여하여, 연속적으로 다중 스트립이 적층된 페인트 롤러를 맨드럴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또 맨드럴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추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 회전력, 및 선형력은 모두 나선형 벨트 시스템을 통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럴의 지름은 0.5인치이고, 그에 따라 내부 지름이 0.5인치인 롤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34. 제33항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페인트 롤러.
  35. 엔들리스 다중 스트립 적층형 페인트 롤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맨드럴 주위에 외부면을 따라 제1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폴리프로필렌 스트립을 전진시키는 단계;
    제1 스트립과 오프셋된 상태에서, 제1 스트립 주위에, 외부면을 따라 제2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폴리프로필렌 스트립을 전진시키는 단계;
    제2 스트립 주위에 커버를 전진시키는 단계;
    전진하는 제2 스트립이 제1 스트립과 접촉하기 전에, 공정중에 제1 접착제층을 연속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
    전진하는 커버가 제2 스트립과 접촉하기 전에, 공정중에 제2 접착제층을 연속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커버를 제2 스트립쪽으로 추진시키는 동시에 제2 스트립을 제1 스트립쪽으로 추진시키는 압축력을 커버에 부여하여, 연속적으로 적층된 페인트 롤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액상 폴리프로필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 회전력, 및 선형력은 모두 나선형 벨트 시스템을 통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트립은 제1 스트립의 1/4 내지 3/4만큼 제1 스트립으로부터 오프셋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39. 제36항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형성된 상기 페인트 롤러를 같은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같은 길이로 절단한 것을 사용가능한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4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럴의 지름은 0.5인치이고, 그에 따라 내부 지름이 0.5인치인 롤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41. 제40항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페인트 롤러.
  42. 다중 스트립 적층형 페인트 롤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맨드럴 주위에, 내부면과 외부면이 있고 그 외부면을 따라 제2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제1 폴리프로필렌 스트립을 나선형으로 전진시키는 단계;
    제1 스트립상의 제1 스트립의 내부면과 맨드럴이 접촉하는 위치에서, 제1 접착제층을 연속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
    제1 스트립과 오프셋된 상태에서 나선형으로 전진되고 내부면과 외부면이 있으며 그 외부면상에 제2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는 제2 폴리프로필렌 스트립을, 활성화한 제1 접착제층이 있는 제1 스트립 주위에 나선형으로 전진시키는 단계;
    제2 스트립상의 제2 스트립의 내부면이 제1 접착제층과 접촉하는 위치에서, 제2 접착제층을 연속적으로 활성화시키는 단계;
    제2 스트립 주위에 커버를 나선형으로 전진시켜, 제2 스트립의 외부면상에 접착제를 커버링하는 단계; 및
    커버를 제2 스트립쪽으로 추진시키는 동시에, 제2 스트립을 제1 스트립쪽으로 추진시키는 압축력을 커버에 부여하여, 연속적으로 적층 페인트 롤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착제층은 인접하여 위치한 단일 가열 수단으로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 회전력, 및 선형력은 모두 나선형 벨트 시스템을 통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럴의 지름은 0.5인치이고, 그에 따라 내부 지름이 0.5인치인 롤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46. 제45항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페인트 롤러.
  47. 다중 스트립 적층형 페인트 롤러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내부 스트립의 외부면과 외부 스트립의 내부면 중의 1개 이상이 제1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스트립의 외부면과 커버의 내부면 중의 1개 이상이 제2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의 내부 스트립과, 폴리프로필렌의 외부 스트립 및 커버를 오프셋된 상태에서 맨드럴 주위에 나선형으로 전진시키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접착제층을 활성화시키는 단계; 및
    제1 및 제2 접착제층을 경화시켜 고정하기 전에, 상기 커버와 2개의 스트립을 맨드럴쪽으로 추진시키는 압축력을 커버에 부여하여, 연속적으로 적층된 페인트 롤러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력, 회전력, 및 선형력은 모두 나선형 벨트 시스템을 통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49.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럴의 지름은 0.5인치이고, 그에 따라 내부 지름이 0.5인치인 롤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인트 롤러의 연속 제조방법.
  50. 제49항에 기재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페인트 롤러.
KR1020017000104A 1999-05-04 2000-05-04 일체화된 코어 및 커버가 있는 페인트 롤러와, 그것의제조방법 및 장치 KR100909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304,862 US6159134A (en) 1999-05-04 1999-05-04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with integrated core and cover
US09/304,862 1999-05-04
PCT/US2000/012181 WO2000066278A1 (en) 1999-05-04 2000-05-04 Paint roller with integrated core and cov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of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4645A KR20010074645A (ko) 2001-08-04
KR100909006B1 true KR100909006B1 (ko) 2009-07-22

Family

ID=2317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0104A KR100909006B1 (ko) 1999-05-04 2000-05-04 일체화된 코어 및 커버가 있는 페인트 롤러와, 그것의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6159134A (ko)
EP (1) EP1094903B1 (ko)
JP (1) JP2002542932A (ko)
KR (1) KR100909006B1 (ko)
CN (1) CN1196534C (ko)
AT (1) ATE496705T1 (ko)
AU (1) AU4984800A (ko)
BR (1) BR0006050A (ko)
CA (1) CA2335828C (ko)
DE (1) DE60045572D1 (ko)
ES (1) ES2362335T3 (ko)
WO (1) WO20000662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15490B2 (en) * 2000-01-21 2003-09-09 Newell Operating Company Method of manufacture of paint application
US6874232B2 (en) * 2003-05-21 2005-04-05 Stowe Woodward, Llc Method for forming cover for industrial roll
US10287731B2 (en) 2005-11-08 2019-05-14 Stowe Woodward Licensco Llc Abrasion-resistant rubber roll cover with polyurethane coating
US8167782B2 (en) * 2007-02-16 2012-05-01 Linzer Product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paint roller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US8858750B2 (en) * 2007-04-25 2014-10-14 Seamless Technologies, Llc Methods of manufacturing paint roller covers from a tubular fabric sleeve
US8882957B2 (en) 2007-04-25 2014-11-11 Seamless Technologies, Llc Methods of manufacturing paint roller covers from a tubular fabric sleeve
US8118967B2 (en) 2008-01-17 2012-02-21 Seamless Technologies, Llc Methods of manufacturing paint roller covers from a tubular fabric sleeve
US8221578B2 (en) * 2007-04-25 2012-07-17 Seamless Technologies, Llc Methods of manufacturing paint roller covers from a tubular fabric sleeve
US8298364B2 (en) * 2008-01-17 2012-10-30 Seamless Technologies, Llc Methods of manufacturing paint roller covers from a tubular fabric sleeve
US7905980B2 (en) * 2007-04-25 2011-03-15 Seamless Technologies, Llc Method of manufacturing paint roller covers from a tubular fabric sleeve
US8182645B2 (en) * 2008-01-17 2012-05-22 Seamless Technologies, Llc Methods of manufacturing paint roller covers from a tubular fabric sleeve
US7596972B2 (en) 2007-04-25 2009-10-06 Seamless Technologies, Llc Tubular knit fabric having alternating courses of sliver fiber pile and cut-pile for paint roller covers
WO2009091426A1 (en) * 2008-01-17 2009-07-23 Seamless Technologies, Llc Methods of manufacturing paint roller covers from a tubular fabric sleeve
US20090191390A1 (en) * 2008-01-25 2009-07-30 Linzer Products Corp. Paint roller having reinforcement layer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paint roller
US7736455B2 (en) 2008-06-26 2010-06-15 Chandra Sekar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with grooved substrate
US7846283B2 (en) * 2008-06-26 2010-12-07 Chandra Sekar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with perforated substrate
US20090320994A1 (en) * 2008-06-26 2009-12-31 Chandra Sekar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with perforated substrate
US20100282400A1 (en) * 2009-05-05 2010-11-11 Chandra Sekar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and component parts thereof
US8142587B2 (en) * 2009-05-05 2012-03-27 Chandra Sekar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and component parts thereof
US8771451B2 (en) * 2009-01-08 2014-07-08 Chandra Sekar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and component parts thereof
US7850812B2 (en) 2009-01-08 2010-12-14 Chandra Sekar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and component parts thereof
US8142599B2 (en) * 2009-01-08 2012-03-27 Chandra Sekar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and component parts thereof
KR101553859B1 (ko) 2009-04-29 2015-09-17 찬드라 세카 페인트 롤러 및 그 컴포넌트부 제조 방법
US20110283936A1 (en) 2010-05-18 2011-11-24 Chandra Sekar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and component parts thereof
JP5677009B2 (ja) * 2010-10-06 2015-02-25 エバック株式会社 ホースの製造方法
WO2014065591A1 (ko) * 2012-10-24 2014-05-01 Park Weon-Bock 표면에 수지층을 가지는 지관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해 제조된 복층 지관
CN104549921B (zh) * 2015-02-03 2017-05-24 苏州市轩德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隧道式织物涂层装置
CN106423643B (zh) * 2016-08-31 2022-04-08 浙江中屹纺织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刺皮辊筒自动刷胶包皮装置
US9956719B1 (en) * 2017-08-14 2018-05-01 Chandra Sekar System and method for coating paint-roller cover fabric in-line with a manufacturing process
US10596749B2 (en) 2017-08-14 2020-03-24 Chandra Sekar System and method for perforating paint-roller cover fabric
AU2019425686A1 (en) * 2019-01-31 2021-08-19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aint roller cover for multicolor paint, method of uniformly applying multicolor paint and method of quantifying uniformity of paint applic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06968A (en) * 1991-01-09 1993-05-04 Ez Paintr Corporation Paint roller
US5398409A (en) * 1989-08-15 1995-03-21 Chandr Sekar Method of making a paint roller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55887A (en) * 1939-06-29 1941-09-16 Katz Morris Paper rod and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BE441912A (ko) * 1939-11-16
US2422842A (en) * 1943-09-29 1947-06-24 Queensboro Mfg Company Rotary relay and contacts therefor
US2748805A (en) * 1953-03-02 1956-06-05 Hedwin Corp Reinforced spiral plastic pipe
US3018212A (en) * 1958-07-17 1962-01-23 Union Carbide Corp Thermoplastic bonding and coating
US3411931A (en) * 1964-12-03 1968-11-19 Painter Corp E Z Electrostatic method of applying flock to a paint roller sleeve
DE1249664B (de) * 1965-02-04 1967-09-07 Karl Ried, Unterägeri (Schweiz) Maschine zum Herstellen schraubenförmig gewickelter Rohre
US3274905A (en) * 1965-06-04 1966-09-27 Aluminum Co Of America Method of making a composite container
US3457130A (en) * 1966-07-11 1969-07-22 Owens Illinoi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tubular article of wound plies of thermoplastic strip material
US3687778A (en) * 1970-02-26 1972-08-29 United States Steel Corp Apparatus for the wiping transfer bonding agent onto a longitudinal member and an underlapping margin of a tape on the longitudnial member
CA921410A (en) * 1970-04-16 1973-02-20 Hielema Ralph Pipe coating
FR2093060A5 (en) 1970-06-01 1972-01-28 Biancamaria Joseph Paint rollers - in which synthetic fur is welded onto extruded plastic tube
US3960624A (en) * 1974-11-13 1976-06-01 Continental Can Company, Inc. Method of fabricating tubular bodies
GB1557963A (en) * 1976-06-01 1979-12-19 Ici Ltd Coated tubular forms
JPS5519511A (en) * 1978-07-28 1980-02-12 Nippon Kokan Kk <Nkk> Method of covering steel pipe with plastic
US4191792A (en) * 1978-10-30 1980-03-04 Padco, Inc. Paint roller
DE8119604U1 (de) * 1981-07-04 1981-09-24 Johs. Girmes & Co. AG, 4155 Grefrath Bezug aus polstoff fuer den traegerkoerper von malerrollen
DE3421364A1 (de) * 1984-06-08 1985-12-12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tinuierlichen herstellen von laenglichen hohlkoerpern, insbesondere von schlaeuchen, rohren oder innenlinern fuer solche, aus einem fluessigen material, wie reaktionsgemisch oder schmelze
ES283921Y (es) * 1985-01-11 1986-06-16 Alvarez Garcia Jaime Dispositivo perfeccionado de enrollamiento helicoidal de cinta de tejido sobre tubos de plastico para rodillos de pintura
JPS6327234A (ja) * 1986-07-18 1988-02-04 Isao Matsushita 木質積層パイプの製造方法
JPS6327238A (ja) * 1986-07-21 1988-02-04 日本フル−ト株式会社 板素材成形装置
EP0593430B1 (en) * 1989-08-15 1997-03-05 SEKAR, Chandr Paint rolle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5572790A (en) * 1989-08-15 1996-11-12 Sekar; Chandra Method of making a paint roller
US5195242A (en) * 1989-08-15 1993-03-23 Chandra Sekar Method of making a paint roller
US5146646A (en) * 1990-02-20 1992-09-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aint applicator
US5468207A (en) 1993-06-14 1995-11-21 Newell Operating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US5862591A (en) * 1996-04-25 1999-01-26 Kulkaski; Stanley V. Method for manufacturing paint roll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8409A (en) * 1989-08-15 1995-03-21 Chandr Sekar Method of making a paint roller
US5206968A (en) * 1991-01-09 1993-05-04 Ez Paintr Corporation Paint 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35828C (en) 2009-09-15
US6159134A (en) 2000-12-12
AU4984800A (en) 2000-11-17
ES2362335T3 (es) 2011-07-01
EP1094903B1 (en) 2011-01-26
BR0006050A (pt) 2001-03-20
CA2335828A1 (en) 2000-11-09
CN1196534C (zh) 2005-04-13
CN1313793A (zh) 2001-09-19
EP1094903A4 (en) 2006-10-18
JP2002542932A (ja) 2002-12-17
EP1094903A1 (en) 2001-05-02
WO2000066278A1 (en) 2000-11-09
US20020077234A1 (en) 2002-06-20
KR20010074645A (ko) 2001-08-04
DE60045572D1 (de) 2011-03-10
ATE496705T1 (de) 201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006B1 (ko) 일체화된 코어 및 커버가 있는 페인트 롤러와, 그것의제조방법 및 장치
EP2324989B1 (en) Method for making a laminated paint roller
CA2057392C (en) Paint roller and method and apparatus of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CA267802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paint roller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US8142599B2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and component parts thereof
US20090321007A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with perforated substrate
EP1694497B1 (en) TUBULAR CORE WITH POLYMER LAYERS
USRE46070E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with grooved substrate
US20020091051A1 (en) Paint roller with integrated core and natural cov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of same
CN112955391A (zh) 玻璃短切原丝毡的卷绕体的形成方法及玻璃短切原丝毡的卷绕体
US20090320994A1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with perforated substrate
EP2424800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laminated paint roller
MXPA01000210A (en) Paint roller with integrated core and cover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of same
CA2664974C (en) Methods for manufacturing a paint roller and component part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