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934B1 - 레일바이크 - Google Patents

레일바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934B1
KR100908934B1 KR1020080070257A KR20080070257A KR100908934B1 KR 100908934 B1 KR100908934 B1 KR 100908934B1 KR 1020080070257 A KR1020080070257 A KR 1020080070257A KR 20080070257 A KR20080070257 A KR 20080070257A KR 100908934 B1 KR100908934 B1 KR 100908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frame
seat
pair
bottom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복
Original Assignee
(주)한국에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에이앤지 filed Critical (주)한국에이앤지
Priority to KR1020080070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9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력에 의해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레일바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 각자가 모두 구동축을 구동시킬 수 있는 각각의 페달부가 마련되어 적은 힘으로 운행될 수 있고, 안전바와 후방보호대가 구비되어 탑승자의 안전이 확보되는 레일바이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레일바이크는, 바닥프레임과, 한 쌍의 구동축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씩의 전륜과 후륜으로 이루어진 레일휠, 한 쌍씩의 전방페달부 및 후방페달부, 좌석프레임, 좌석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좌석부, 한 쌍의 후방좌석부, 후방손잡이부, 전방좌석부를 감쌀 수 있도록 후방손잡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전바, 후방좌석부 후방의 바닥프레임에 설치되는 후방보호대, 그리고 레일휠의 회전이 감속 및 정지되게 하는 제동장치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레일바이크, 안전바, 페달, 보호대

Description

레일바이크 {Railbike}
본 발명은 인력에 의해 레일을 따라 주행하는 레일바이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탑승자 각자가 모두 구동축을 구동시킬 수 있는 각각의 페달부가 마련되어 적은 힘으로 운행될 수 있고, 안전바와 후방보호대가 구비되어 탑승자의 안전이 확보되는 레일바이크에 관한 것이다.
철도 노선의 폐쇄나 변경 등의 사정으로 철도 선로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폐선로가 생기는데 이러한 폐선로는 해체 작업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어 작업 착수가 쉽지 않다.
이러한 폐선로는 주거지에서의 인접성이 보다 나아진 도로나 철로가 새로이 개설됨으로써 발생되는 경우가 많아 주로 외진 지역에 위치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폐선로의 위치적 특성으로 인해 폐선로가 놓인 주변은 선로 위를 운행하면서 보게 되면 자연미를 만끽할 수 있는 빼어난 경관을 갖춘 곳이 적지 않다.
이에 지방자치단체 등 폐선로에 관리 책임이 있는 단체나 공공기관에서는 선 로를 해체하는 대신에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각도의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이러한 방안 중 일안으로 선로 상에서 달릴 수 있는 탈 것을 마련하여 가족이나 연인들이 주말이나 휴가철을 이용하여 여행 코스 중 하나로 선택하여 이용될 수 있도록 하는 안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탈 것으로 근래 흔히 이용되는 것으로는 페달을 밟아 선로 상을 움직이는 레일바이크를 들 수 있다.
종래 레일바이크는 승차인원에 있어서 2인용 레일바이크 즉 좌석이 2개만 마련되는 레일바이크가 대부분이다.
4인용으로, 즉 좌석 4개를 마련하여 제작하게 되면 차지하는 부피가 커지고 필요한 자재, 부품 등이 늘어나 제작비용이 상승되며, 또한 레일바이크의 무게에 탑승자의 체중이 합쳐져 탑승자가 페달을 밟는데 많은 힘이 들게 되는 문제를 고려한 것이다.
이러한 2인용 레일바이크의 예로 등록특허 제10-799386호를 들 수 있다.
제10-799386호 등록특허는, 하나의 철도 레일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바이크 몸체에 전후 두 좌석을 마련한 상태에서 레일 옆에 보조 레일을 더 구비하고 바이크 몸체의 측면으로부터 보조 레일까지 연장 설치되는 암과 암의 끝단에 설치되는 보조바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 외에 4인용 레일바이크도 없지 않은데, 그 예로는 등록실용 제20-374727호를 들 수 있다.
제20-374727호 등록실용신안은, 자전거안장으로 구성되며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안장부를 구비하고, 이러한 안장부에 탑승하는 승객의 페달 작동에 의해 후륜 바퀴가 연결된 구동축이 회전되게 하며, 이러한 바이크몸체에 보조안장석을 한쌍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전술한 종래 레일바이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종래 2인용 레일바이크를 보면, 레일바이크의 부피, 무게가 작아져 제작이 쉽고 적은 힘으로 운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탑승 인원이 2인으로 제한되어 가족단위로 찾아온 여행객들은 2인씩 나뉘어 별개의 레일바이크를 이용할 수 밖에 없어서 서로 대화를 나누며 여유로운 여행을 즐길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등록특허에 관한 2인용 레일바이크는 기존의 폐선로에서 별개의 보조레일이 더 구비되므로 레일바이크 외의 부가적인 제작비용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 4인용 레일바이크를 보면, 4인 좌석이 구비되기는 하나 그 중 두 좌석에 한해서만 페달부가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제작되는 이유는 가족단위의 여행객임을 고려하여 어린이나, 노약자 탑승객의 경우에는 페달 작동 없이 착석하게 하고 어른 탑승자가 주로 페달을 작동하여 운행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이 경우 탑승객 모두의 체중에 레일바이크 무게를 합친 중량에 대하여 단지 2명의 탑승자의 인력으로 레일바이크를 운행시켜야 하기 때문에 많은 힘이 들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전술한 등록특허 및 등록실용에 관한 레일바이크에서도 보듯이 종래 2인용 및 4인용 레일바이크가 가지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 안전장치가 구비되 지 않은 점을 들 수 있다.
레일바이크의 운행로는 과거에 열차가 다녔던 특성상 선로 구비 구간이 산 비탈면의 절개지에 근접하여 놓여 지거나 강을 건너는 다리 위에 놓여 지는 경우가 흔하다.
따라서 레일바이크가 이러한 구간을 지나는 동안에는 탑승자가 레일바이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안전장치가 구비될 필요가 있으며 이는 어린이나 노약자 탑승객에 대해서는 특히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장치이다.
하지만, 종래 레일바이크는 페달에 의해 작동되어 천천히 이동된다는 점을 들어 이러한 요구를 간과하여 제작된 문제가 있다.
또한, 레일바이크가 짧지 않은 구간에서 운행되는 경우에 탑승자가 한 좌석에서 오래 머물게 되는데 이 경우 페달을 밟는 중에 좌석의 위치가 신체조건에 맞지 않으면 신체에 무리가 따르는데, 종래 레일바이크는 이러한 점을 간과하여 좌석 위치 조정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레일바이크는 4인 탑승이 가능하도록 4인용으로 제작되며, 적은 힘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탑승자 각자가 모두 구동축을 구동시킬 수 있는 각각의 페달부가 마련되고, 탑승자의 안전이 확보되도록 안전바와 후방보호대가 구비된다.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레일바이크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일바이크는, 바닥프레임과, 바닥프레임의 하부에 이격 장착된 한 쌍의 구동축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씩의 전륜과 후륜으로 이루어진 레일휠, 바닥프레임에 설치되어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한 쌍씩의 전방페달부 및 후방페달부, 전방페달부와 후방페달부 사이의 바닥프레임에 설치되는 좌석프레임, 좌석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좌석부, 후방페달부 후방의 바닥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좌석부, 후방페달부와 좌석프레임 사이의 바닥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후방손잡이부, 전방좌석부를 감쌀 수 있도록 후방손잡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전바, 후방좌석부 후방의 바닥프레임에 설치되는 후방보호대, 그리고 레일휠의 회전이 감속 및 정지되게 하는 제동장치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레일바이크에 의하면, 4인 좌석이 마련됨으로써 가족단위의 탑승이 가능하다.
또한, 탑승자 좌석별로 페달부를 마련하고 각 페달부에 의해 구동축이 구동되게 함으로써 탑승자 각자가 적은 힘을 들여 레일바이크가 운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방좌석부에는 안전바가 마련되고, 후방좌석부에는 후방보호대가 마련되어 탑승자에게 보다 확실한 안전이 보장되면서 운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후방좌석부는 자전거안장 타입의 좌석부를 마련함으로써 레일바이크가 보다 적은 부피를 가지면서도 4인용으로 제작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방좌석부와 후방좌석부는 좌석 위치 조정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탑승자가 신체조건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점에서 보다 나은 운전 편의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한 레일바이크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일바이크(1)는, 바닥프레임(10)과, 바닥프레임(10)의 하부에 이격 장착된 한 쌍의 구동축(25)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씩의 전륜과 후륜으로 이루어진 레일휠(20), 바닥프레임(10)에 설치되어 구동축(25)을 회전시키는 한 쌍씩의 전방페달부(30) 및 후방페달부(30), 전방페달부(30)와 후방페달부(30) 사이의 바닥프레임(10)에 설치되는 좌석프레임(40), 좌석프레임(40)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좌석부(50), 후방페달부(30) 후방의 바닥프레임(10)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좌석부(60), 후방페달부(30)와 좌석프레임(40) 사이의 바닥프레임(10) 상부에 설치되는 후방손잡이부(70), 전방좌석부(50)를 감쌀 수 있도록 후방손잡이부(7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전바(80), 후방좌석부(60) 후방의 바닥프레임에 설치되는 후방보호 대(90), 그리고 레일휠(20)의 회전이 감속 및 정지되게 하는 제동장치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바이크(1)의 메인몸체가 되는 바닥프레임(10)은 다수의 구성이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프레임(11)과 외측프레임(11) 내측에서 격자상으로 종,횡 연결되는 다수의 내측프레임(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위와 같이 연결된 바닥프레임(10)의 상면에는 탑승자가 탑승시 발판이 되어 수월하게 이동, 승하차 할 수 있게 하는 플레이트가 부착 고정된다.
이때 플레이트는 레일바이크(1)의 중량을 줄이도록, 그리고 공기 유통이 원활하게 하여 강한 바람에도 레일바이크(1)가 영향을 덜 받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의 펀칭홀(14a)이 형성된 펀칭플레이트(14)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펀칭플레이트(14)는 후술할 다수의 구성이 바닥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될 때 그 연결부위에 간섭되지 않도록 다수의 장공(14b)이 더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석프레임(40)은 상측에 설치되는 전방좌석부(50)에서 탑승자가 일반 걸상에 앉는 듯한 자세로 앉을 수 있도록 바닥프레임(10) 상부로 다소 돌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좌석프레임(40)은 양 측부가 개구되어 있으면서 내부에 탑승자의 소지품을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좌석프레임(40)의 상부 좌,우측에는 한 쌍의 전방좌석부(56)가 설치되는데, 전방좌석부(56)는 우선 탑승자가 등을 기대어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등 받이가 마련된 좌식 의자(51)가 포함된다.
그리고, 탑승자가 후술할 전방페달부(30)의 페달(31)을 밟을 때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좌식 의자(51)의 위치를 전,후방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좌식 의자(51)의 저면에는 의자왕복장치(52)가 구비된다.
의자왕복장치(52)는 좌식 의자(51)가 고정되는 상부레일(52a)과 좌석프레임(40)에 고정되는 하부레일(52b)로 구성되어 상부레일(52a)이 하부레일(52b)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레버(52c)에 의해 소정 위치에서 상부레일(52a)이 슬라이딩 멈춤되게 하는 이미 다수 공지된 의자왕복장치(52)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좌석부(60)는 전술한 좌석프레임(40) 후방에+서 바닥프레임(10)의 좌,우측에 한 쌍으로 설치되며, 바닥프레임(10)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도록 자전거안장 타입으로 이루어진다.
후방좌석부(60)는 바닥프레임(10)에서 직상방으로 고정 설치되는 안장파이프(61)와, 안장파이프(61) 단부에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하 슬라이딩되게 끼워지는 안장목(62)과, 안장목(62)의 단부에 고정되는 지지판(63)과, 지지판(63)의 상면에 고정되는 안장(64)으로 이루어진다.
안장목(62)은 안장파이프(61)에서 상하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탑승자는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안장(64)을 원하는 높이로 조절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안장(64)의 높이 조절을 위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장목(62)의 외주면이 가압되어 슬라이딩이 멈춤되게 하는 가압링(65)과 가압 또는 가압해제되게 조절할 수 있는 가압레버(66)로 이루어진 안장 높이 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안장파이프(61) 측면에 나사공이 형성됨과 함께 이를 통해 나사조정되면서 안장목(62)이 고정될 수 있게 하는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안장(64) 높이 조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전방좌석부(56)와 후방좌석부(60) 각각의 앞쪽 바닥프레임(10)에는 탑승자가 발로써 작동되게 하는 페달부(30)가 설치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부(30)는 구동스프라켓(미도시)이 설치된 크랭크축(미도시)과 크랭크축에 크랭크암(32)으로 연결된 페달(31), 페달(31)의 회전 반경을 고려하여 바닥프레임(10) 상부 소정 위치에 크랭크축이 위치되면서 설치되게 하는 크랭크축커버(33)로 구성되고, 크랭크축커버(33)의 저면이 바닥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프레임(10)의 저부에는 전후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구동축(25)이 고정 설치되며, 전술한 구동스프라켓의 직하방 위치의 구동축(25) 일측에는 종동스프라켓(26)이 고정 설치된다.
탑승자가 페달(31)을 밟게 되면 구동스파라켓과 종동스프라켓(26)을 연결하는 구동체인을 매개로 구동축(25)이 회전되고, 이러한 구동축(25)의 양 단부에 연결된 레일휠(20)이 회전되어 레일바이크(1)가 전방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페달부(30)는 각 좌석부 마다 탑승자가 구동축(25)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쌍씩의 전방페달부(30)와 후방페달부(30)로 이루어지며 이에 대응하여 구동축(25)의 각 일측에 전술한 종동스프라켓(26)이 설치된다.
전방페달부(30)는 전륜이 연결된 구동축(25)을, 후방페달부(30)는 후륜이 연 결된 구동축(25)을 구동시킬 수 있게 되는데, 4인이 탑승하여 레일바이크(1) 전체 중량이 증가하더라도 페달(31)을 밟는 탑승자 각자가 구동 힘을 분배하여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탑승자는 적은 힘으로 레일바이크(1)를 운행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페달부(30)와 좌석프레임(40) 사이의 바닥프레임(10)에는 후방좌석부(60) 탑승자가 파지하여 균형을 잡을 수 있게 하는 후방손잡이부(70)가 설치된다.
후방손잡이부(70)는 한 쌍의 지지파이프(71)와 고정파이프(72), 그리고 높이조절봉(73) 및 파지봉(74)으로 구성된다.
지지파이프(71)는 좌석프레임(40) 후면에 근접하는 바닥프레임(10) 좌, 우측에서 직상방으로 돌출되게 고정된다.
그리고, 일단부가 좌석프레임(40)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지지파이프(71)의 하측에 고정되는 고정파이프(72)에 의해 지지파이프(71)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지지파이프(71)의 상측 각 단부에는 상하 슬라이딩될 수 있는 높이조절봉(73)이 끼워진다.
높이조절봉(73)의 각 단부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공에는 후술할 파지봉(74)이 관통 연결되면서 고정된다.
높이조절봉(73)의 상하 슬라이딩에 의해 파지봉(74)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높이 조절수단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단으로는 전술한 안장의 높이 조절수단과 동일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파지봉(74)은 높이조절봉(73)의 각 관통공을 연속하여 관통하면서 수평되게 고정되며, 탑승자는 파지봉(74)을 파지하여 지지함으로써 균형을 잡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손잡이부(70)의 보다 견고한 고정을 위해서 전술한 한 쌍의 지지파이프(71)를 서로 연결하는 횡고정파이프(7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레일바이크(1)가 감속 및 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제동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동장치로는 디스크브레이크(101), 유압캘리퍼(102), 그리고 유압캘리퍼(102)에 케이블(미도시)로 연결되는 브레이크손잡이(103)로 구성된 유압식 제동장치가 될 수 있다.
이는 이미 공지된 제동장치로서 여기서는 간략히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디스크브레이크(101)는 구동축(25)에 고정 설치되며, 유압 캘리퍼(102)는 디스크브레이크(101)를 잡아 줄 수 있는 위치의 바닥프레임(10) 저면에 고정된다.
그리고, 유압 캘리퍼(102)와 케이블로 연결되는 브레이크손잡이(103)는 전술한 파지봉(74)에 고정 설치된다.
종래 레일바이크는 유압식 제동장치가 아니거나 유압식 제동장치가 구비되더라도 브레이크 작동부가 본 실시예의 브레이크손잡이(103)와는 달리 브레이크레버로 구비되며, 이러한 브레이크레버는 좌석 주변 일측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파지봉(74)의 일측 및 타측에 브레이크손잡이(103)가 설치됨으로써 필요시 후방좌석부(60) 탑승자가 파지봉(74)을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펼쳐 곧바로 브레이크손잡이(103)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 레일바이크처럼 몸을 돌려 브레이크레버를 잡는 등의 불필요한 동작없이 신속히 레일바이크(1)를 제동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레일바이크와 비교하여 효과적인 제동장치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제동장치는 브레이크손잡이(103)가 전술한 파지봉(74)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설치되어 각 브레이크손잡이(103)가 전후 구동축(25) 중 하나씩을 전담하여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방좌석부(56) 주변 일측에 작동레버 등을 설치하고 이와 연결된 전술한 유압캘리퍼(102) 및 디스크브레이크(101)를 더 구비하여 전방좌석부(56) 탑승자에 의해서도 구동축(25)의 회전이 제동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레일바이크(1)에는 안정장치로서, 안전바(80)와 후방보호대(90)가 설치된다.
안전바(80)는 전방좌석부(56)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좌,우측 전방좌석부(56)를 모두 감싸듯이 설치되어, 탑승자가 파지하거나 지지하여 균형을 잡을 수 있게 하며 좌석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안전바(80)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직사각형에 근접한 형상이면서 봉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만 이러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안전바(80) 후방부의 일측은 좌측 지지파이프(71)에, 타측은 우측 지지파이 프(71)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따라서 전방좌석부(55) 탑승자는 탑승시 안전바(80)를 상방 회동시킨 후 좌석의자(56)에 착석하게 되고, 착석이 완료되면 다시 안전바(80)를 하방 회동시켜 신체의 균형을 잡기 위한 파지 또는 지지 수단으로 삼게 된다.
안전바(80)와 지지파이프(71)의 연결 부위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토션스프링이 포함된 회동수단(81) 등 다양한 회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안전바(80)는 상,하방 회동시 부드럽게 회동될 수 있도록 안전바(80)에는 회동 완충수단(8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수단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바(80) 후방 중앙부에 고정되는 커넥팅로드(82a)와 이 커넥팅로드(82a)의 단부와 연결되고 바닥프레임(10) 또는 횡고정파이프(75)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는 공압실린더(82b)를 포함하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공압실린더(82b)는 전술한 유압캘리퍼(102)와 또한 연결됨으로써 탑승자의 승하차를 위해 혹은 비상시 필요에 의해 안전바(80)가 상방 회동되었을 때는 레일바이크(1)의 운행이 정지되게 하는 브레이크수단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전방좌석부(56)에 어린이나, 노약자가 탑승될 것을 고려하여 안전바(80)가 하방 회동된 경우에 탑승자에 의해 파지되거나, 지지되기 쉽도록 안전바(80)의 전방부가 탑승자의 흉부 근방에서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전술한 좌석프레임(40)의 중앙부 일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지지프레임(51)이 설치되며 지지프레임(51)의 단부에 안전바(80)의 전방 중앙부가 지지될 수 있다.
전방좌석부(55)에 탑승자가 착석 완료한 경우에는 안전바(80)가 지지프레임(51)의 단부에서 고정되게 하여 레일바이크(1)의 운행 중에 회동되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안전바(80)가 지지프레임 단부에서 고정되게 하기 위해서 안전바(80)의 전방 중앙부 저면에 걸림홀이 형성된 걸림편이 고정되고, 지지프레임(51)의 단부에는 걸림편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51)의 측면에 설치되면서 지지프레임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스프링 등에 의해 탄성 이동되는 고정핀이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핀의 단부가 전술한 걸림홀에 끼워지게 함으로써 안전바(80)가 고정되게 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안전바(80)가 지지프레임의 단부에서 분리되게 하기 위해서는 고정핀을 다시 지지프레임의 외측으로 당겨 걸림홀에서 고정핀의 단부가 빠져나오게 하여 분리되게 할 수 있다.
후방보호대(90)는 바닥프레임(10)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측부지지판(91)과, 상하 이격되어 측부지지판(91)에 수평되게 각각 고정되는 상부 수평지지판(92)과 하부 수평지지판(9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지지판(92,93)은 양 단부가 레일바이크(1)의 진행방향을 향해 만곡되게 형성되어 측부지지판(91)에 고정되며,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후방보호대(90)는 후방좌석부(60) 탑승자의 후방에서 측부까지 감싸듯이 위치하게 되고 후방좌석 부(60) 탑승자는 몸의 균형을 잃더라도 등부위 및 옆구리부위까지 지지되어 균형을 잡을 수 있게 된다.
레일휠(20)의 회전시 탑승자의 신체가 레일휠(20)에 마찰되지 않도록 레일바이크(1)에는 바닥프레임(10) 상부로 돌출된 레일휠(2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휠커버(21)가 더 구비된다.
휠커버(21)는 레일휠(20) 상부 회전면에 근접하여 레일휠(20)을 수용하면서 감싸듯이 덮을 수 있도록 저부에 수용부를 가지면서 만곡지게 형성된다.
휠커버(21)는 일측이 바닥프레임(10)의 외측프레임(11) 측면 일측에 고정 설치된다.
전륜과 후륜의 휠커버(21) 사이의 빈 공간에는 탑승자의 발판이 될 수 있도록 상면에 전술한 펀칭플레이트(14)가 부착 고정되는 휠커버고정프레임(13)이 바닥프레임(10)의 좌,우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휠커버(21)는 좀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그 타측이 휠커버고정프레임(13)에 고정될 수 있다.
레일휠(20)이 회전될 때 레일(2)과의 접촉면으로 자갈 등의 장애물이 끼여 레일바이크(1)가 흔들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레일휠(20) 중 특히 전륜을 덮게 되는 휠커버(21)는 그 진행측 단부가 레일(2) 상면에 근접되도록 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전륜 레일휠(20)의 전면까지 모두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레일(2) 상면에 존재할 수 있는 자갈 등의 장애물을 적극 적으로 헤치면서 레일바이크(1)가 진행될 수 있도록 위와 같이 연장 형성된 단부의 전면에 장애물제거부재(21a)가 더 고정 설치될 필요가 있다.
장애물제거부재(21a)는 레일(2) 상면에 존재하는 장애물을 좌,우로 헤칠 수 있도록 진행측 단부가 원호상으로 형성되거나 예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일바이크(1)의 전,후방에서 충돌이 있더라도 탑승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이을 완화되도록 고무재질 등으로 된 쿠션부재(95)가 바닥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된다.
쿠션부재(95)는 전방 외측프레임(11) 전면과 후방 외측프레임(11)의 후면에 각각 설치되며, 이때 적어도 하나 이상이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레일바이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일바이크의 바닥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레일바이크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레일바이크의 저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레일바이크의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레일바이크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레일바이크 2: 레일
10: 바닥프레임 13: 휠커버고정프레임
14: 펀칭플레이트 14a: 펀칭홀
14b: 장공 20: 레일휠
21: 휠커버 21a: 장애물제거부재
30: 페달부 40: 좌석프레임
45: 지지프레임 50: 전방 좌석부
51: 좌식 의자 52: 의자왕복장치
60: 후방 좌석부 61: 안장파이프
62: 안장목 63: 지지판
64: 안장 70: 후방 손잡이부
71: 지지파이프 72: 고정파이프
73: 높이조절봉 74: 파지봉
75: 횡고정파이프 80:안전바
90:후방보호대 91: 측부지지판
92: 상부 수평지지판 93: 하부 수평지지판
95: 쿠션부재

Claims (12)

  1. 바닥프레임;
    상기 바닥프레임의 하부에 이격 장착된 한 쌍의 구동축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씩의 전륜과 후륜으로 이루어진 레일휠;
    상기 바닥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한 쌍씩의 전방페달부 및 후방페달부;
    상기 전방페달부와 상기 후방페달부 사이의 상기 바닥프레임에 설치되는 좌석프레임;
    상기 좌석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좌석부;
    상기 후방페달부 후방의 상기 바닥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좌석부;
    상기 후방페달부와 상기 좌석프레임 사이의 상기 바닥프레임 상부에 설치되는 후방손잡이부;
    상기 전방좌석부를 감쌀 수 있도록 상기 후방손잡이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전바;
    상기 후방좌석부 후방의 상기 바닥프레임에 설치되는 후방보호대; 및
    상기 레일휠의 회전이 감속 및 정지되게 하는 제동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면에는 다수의 장공과 다수의 펀칭홀이 형성된 펀칭플레이트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방좌석부는,
    등받이가 마련된 좌식 의자; 및
    상기 좌식 의자가 전,후방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되게 고정되며, 상기 좌석프레임의 상면에 설치되는 의자왕복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좌석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에 고정되는 안장파이프;
    상기 안장파이프의 단부에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하 슬라이딩되게 끼워지며, 단부에 지지판이 고정된 안장목; 및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고정되는 안장;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손잡이부는,
    상기 바닥프레임에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파이프;
    일단이 상기 좌석프레임의 후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파이프의 하측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파이프가 상기 좌석프레임에 고정되게 하는 한 쌍의 고정파이프;
    상기 지지파이프의 각 단부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하 슬라이딩되게 끼워지는 한 쌍의 높이조절봉; 및
    상기 높이조절봉의 각 단부와 연결되는 파지봉;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안전바의 후방부는 상기 지지파이프의 각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좌석프레임의 중앙부 일측에는 상기 안전바의 전방 중앙부가 분리고정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프레임이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방보호대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측부지지판; 및
    상하 이격되어 상기 측부지지판에 수평되게 각각 고정되는 상,하부 수평지지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측면에는 저부에 수용부를 가지면서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레일휠의 상측을 감싸는 휠커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륜 레일휠을 감싸는 상기 휠커버의 진행측 단부는 레일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직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륜 레일휠을 감싸는 상기 휠커버는 진행측 단부 전면에 설치되는 장애물제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전, 후면에는 쿠션부재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좌석프레임은 양 측부가 개구되어 있으면서 내부에 소지품 보관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
KR1020080070257A 2008-07-18 2008-07-18 레일바이크 KR100908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257A KR100908934B1 (ko) 2008-07-18 2008-07-18 레일바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257A KR100908934B1 (ko) 2008-07-18 2008-07-18 레일바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934B1 true KR100908934B1 (ko) 2009-07-23

Family

ID=41337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257A KR100908934B1 (ko) 2008-07-18 2008-07-18 레일바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93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465B1 (ko) 2010-12-17 2011-04-06 (주)한국에이앤지 레일바이크의 휠 구동 구조
KR101027464B1 (ko) 2010-12-17 2011-04-06 (주)한국에이앤지 레일바이크의 휠 구동 구조
KR102003363B1 (ko) 2018-03-08 2019-07-24 한성산업(주) 승차감이 개선된 다중 완충 장치를 구비한 레일 바이크
CN110585738A (zh) * 2019-08-27 2019-12-20 西安理工大学 一种用于游乐设备的全自动安全压杠装置
CN114475829A (zh) * 2021-12-27 2022-05-13 芜湖市宝艺游乐科技设备有限公司 一种越野式全地形游乐拖拉机
KR20240036246A (ko) 2022-09-13 2024-03-20 주식회사 에코씨에스 모노레일 및 와이어를 이용한 바이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778A (ja) 1996-07-17 1998-02-03 R & R:Kk 遊園地用乗物及びその施設
KR100644348B1 (ko) 2005-10-18 2006-11-10 이수행 인력구동 레일바이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778A (ja) 1996-07-17 1998-02-03 R & R:Kk 遊園地用乗物及びその施設
KR100644348B1 (ko) 2005-10-18 2006-11-10 이수행 인력구동 레일바이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465B1 (ko) 2010-12-17 2011-04-06 (주)한국에이앤지 레일바이크의 휠 구동 구조
KR101027464B1 (ko) 2010-12-17 2011-04-06 (주)한국에이앤지 레일바이크의 휠 구동 구조
KR102003363B1 (ko) 2018-03-08 2019-07-24 한성산업(주) 승차감이 개선된 다중 완충 장치를 구비한 레일 바이크
CN110585738A (zh) * 2019-08-27 2019-12-20 西安理工大学 一种用于游乐设备的全自动安全压杠装置
CN114475829A (zh) * 2021-12-27 2022-05-13 芜湖市宝艺游乐科技设备有限公司 一种越野式全地形游乐拖拉机
KR20240036246A (ko) 2022-09-13 2024-03-20 주식회사 에코씨에스 모노레일 및 와이어를 이용한 바이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934B1 (ko) 레일바이크
KR101098522B1 (ko) 스카이 바이크
TWM245134U (en) Seat setting structure for motorcycle
JP5829813B2 (ja) 車軸で連結された脱着自在の主車輪を有する車椅子
JP2012502843A (ja) 人及び/又は荷物を運搬するための動力化された二輪車又は三輪車
KR100870580B1 (ko) 선로 자전거
CN106627623B (zh) 一种新型铁路客车纵向卧铺组成
CN2801117Y (zh) 手摇三轮轮椅车
KR20200053206A (ko) 모노레일 바이크
JP2004243949A (ja) 揺動式自動3輪車
KR101027465B1 (ko) 레일바이크의 휠 구동 구조
KR200382360Y1 (ko) 모노레일 바이크
KR200427359Y1 (ko) 방향성 캐스터가 구비된 자전거
KR102092539B1 (ko) 전동카트용 안전바 장치
KR200406370Y1 (ko) 모노레일 바이크
JP6590966B2 (ja) 軌条車両の可動式保持具およびそれを備える軌条車両
JPS6220375Y2 (ko)
CN207842733U (zh) 一种公交儿童座椅
CN105172627B (zh) 一种手动集成式汽车儿童安全座椅装置
KR200377562Y1 (ko) 모노레일바이크
CN219215015U (zh) 可逆座椅靠背翻转定位机构
KR200374727Y1 (ko) 폐선로용4륜자전거장치
JPH058770A (ja) 補助輪付き走行車両
CN208842547U (zh) 双人座共享单车
JPH034969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