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459B1 - 공동주택의 전기사고 방지형 배전선 보호대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의 전기사고 방지형 배전선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459B1
KR100908459B1 KR1020090005971A KR20090005971A KR100908459B1 KR 100908459 B1 KR100908459 B1 KR 100908459B1 KR 1020090005971 A KR1020090005971 A KR 1020090005971A KR 20090005971 A KR20090005971 A KR 20090005971A KR 100908459 B1 KR100908459 B1 KR 100908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moving block
distribution line
uni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진
Original Assignee
(주)한양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양기술단 filed Critical (주)한양기술단
Priority to KR1020090005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84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38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in w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6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8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 H02G3/4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the cables or lines being installed in preestablished conduits or duct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in the conduits or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전기사고 방지형 배전선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가이드부재(100), 구동모터(230)를 구비하고서,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하는 이동블럭(200), 이동블럭(200)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고정유닛(300), 구동모터(230)와 고정유닛(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400), 제어유닛(400)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입력유닛(500), 이동블럭(200)에 고정되어 연동되는 고정축(600), 고정축(6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배열대(700), 배열대(700)에 설치된 배전선(C)을 고정하는 이탈방지부재(800) 및 배열대(700)의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900)로 이루어져서, 보호대의 설치가 편리하고 재활용도도 높으면서, 배전선(C)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도 확보되는 효과가 예상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의 전기사고 방지형 배전선 보호대{Cable Tray for an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배전선 보호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동주택에 설치되어 배전선을 이격시켜 지지하는 공동주택의 전기사고 방지형 배전선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공동주택과 같은 건축 구조물 등에는 미관이나 수용가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전선 또는 통신용 배전선이 보호대에 배치고정되어 천정이나 바닥과 같은 건물의 내부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보호대는, 금속으로 된 다수 개의 스토퍼형 또는 판형 등의 행거를 용접을 하거나 볼트와 너트 등의 고정부재로 고정하거나 용접 등의 방식으로 고정되므로, 행거의 설치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철거도 어려워서 추후 재활용 하는 것도 어려워 자원낭비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록특허 10-0709062와 같은 구조도 있었다. 상기 보호대는, 천청에 지지봉을 매개로 고정된 케이블지지대에 배 전선이 케이블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런데, 상기 보호대는, 수평대가 케이블지지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케이블지지대를 중심으로 대응되게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 보호대는, 배열되는 배전선의 하중이 양측으로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편심되면, 케이블지지대, 수평대 및 배전선의 하중을 받치는 지지봉에 뒤틀림 또는 휘어짐 등의 문제가 발생되므로, 안정적인 지지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보호대는 양측에 설치되는 배전선의 하중을 계산한 후, 양측이 수평을 이루도록 배전선을 설치해야되므로, 배전선 설치작업이 번거로운 문제도 있었다.
또한, 일반적인 보호대는 건물의 내부공간 중에서도 상부 다시 말해 천정에 배치되므로, 배전선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 시 사다리 등을 매개로 천정까지 올라가서 작업을 해야하므로, 작업이 위험하였을 뿐만 아니라, 높은 곳에서 보호대를 설치하고, 여기에 다시 배전선을 설치하는데에 따른 작업의 불편함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호대의 설치가 편리하고 재활용도 가능하며 배전선도 안정적으로 지지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도 확보되는 공동주택의 전기사고 방지형 배전선 보호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래크를 갖추고서, 양쪽 벽체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와; 가이드부재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하방으로 직선왕복이동되는 이동블럭본체와, 이동블럭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래크에 맞물리는 피니언과, 이동블럭본체에 설치되어, 피니언을 강제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갖추고서, 가이드부재에 설치되는 이동블럭과; 이동블럭본체에 설치되어, 피니언의 동작을 제어하는 고정유닛와; 구동모터 및 고정유닛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과; 벽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 및 고정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유닛로 출력하는 입력유닛과; 외주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양단이 이동블럭에 각각 고정되어, 건물의 내부공간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고정축과; 원통형상으로 외주면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되고, 고정축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배열대본체와, 배전선이 실장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배열대본체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수용돌부와, 수용돌부의 수용홈에 배치되는 절연재질의 제 1안착러버를 갖춘 배열대와; 배열대의 수용돌부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어, 수용돌부에 고정된 배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와, 덮개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제1안착러버와 마주하는 절연재질의 제2안착러버를 갖춘 이탈방지부재와; 배열대의 배열대본체의 구멍을 관통하여 고정축의 고정홈에 삽탈가능하게 끼움고정되어, 배열대를 위치고정하는 스토퍼로 된 구조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보호대의 설치가 편리하고 재활용도도 높으면서, 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도 확보되는 효과가 예상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사고 방지형 배전선 보호대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대의 가이드부재, 이동블럭, 고정유닛 및 고정축의 설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평단면도이며, 도 3은 구동모터, 고정유닛, 제어유닛 및 입력유닛의 블럭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에 대한 정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사고 방지형 배전선 보호대는, 가이드부재(100), 이동블럭(200), 고정유닛(300), 제어유닛(400), 입력유닛(500), 고정축(600), 배열대(700), 이탈방지부재(800) 및 스토퍼(900)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재(10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각 가이드부재(100)는 전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래크(110)를 갖추며, 양측면에는 가이드부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홈(120)을 갖추어서, 래크(110)가 서로 마주하도록 양쪽 벽체(w)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블럭(200)은 이동블럭본체(210), 피니언(220) 및 구동모터(230)로 이루어져서, 가이드부재(100)에 이동가능하게 고정설치된다.
상기 이동블럭본체(210)는 결합돌기(211), 피니언수용홈(212), 구동모터수용홈(213) 및 고정축수용홈(214)을 형성되어, 상하방으로 직선왕복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결합돌기(211)는 이동블럭본체(210)의 일단이 절개형성되어, 가이드부재(100)의 장홈(120)에 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된다. 상기 고정축수용홈(214)은 이동블럭본체(210)의 타단에 형성되어, 고정축(600)이 삽입된다. 상기 피니언수용홈(212)은 결합돌기(211)와 고정축수용홈(214) 사이에 형성되어, 피니언(220)이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구동모터수용홈(213)은 피니언수용홈(212)의 측방에 형성되어, 구동모터(230)가 수용된다.
상기 피니언(220)은 가이드부재(100)의 래크(110)에 맞물리는 공지의 피니언으로서, 이동블럭본체(210)의 피니언수용홈(212)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구동모터(230)는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공지된 모터로서, 이동블럭본체(210)의 구동모터수용홈(213)에 수용되고, 구동축(231)이 피니언(220)의 회전축에 고정되어, 피니언(220)을 강제구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30)의 작동에 따라, 피니언(220)은 래크(110)에 맞물려 상하방으로 승강된다.
상기 고정유닛(300)은 이동블럭본체(210)에 고정설치되고, 통상의 솔레노이드가 적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유닛(300)은 전력이 공급되면, 플런저(310)가 돌출되어 피니언(220)의 치차와 맞물려 이동블럭(200)의 위치를 고정하고, 전력공급이 중단되면, 플런저(310)가 솔레노이드 내부로 삽입되어 이동블럭(200)의 위치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유닛(400)은 입력유닛(500)으로부터 제1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고정유닛(300)으로의 전력공급을 중단하고, 구동모터(2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400)은 제2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모터(230)의 작동이 정지되어 작동대기 상태로 전환시키는 동시에 고정유닛(300)으로의 전력공급을 시작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400)은 제3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고정유닛(300)으로의 전력공급을 중단하고, 구동모터(2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입력유닛(500)은 제1스위치(510), 제2스위치(520) 및 제3스위치(530)를 갖추고서, 제1스위치(510), 제2스위치(520) 및 제3스위치(530)의 해당 버튼들이 벽체(w)에 조작가능하게 노출설치된다. 상기 제1스위치(510), 제2스위치(520) 및 제3스위치(530)는 통상의 온/오프 스위치로서, 제1스위치(510)는 온 상태일 때, 제어유닛(400)으로 제1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2스위치(520)는 온 상태일 때, 제어유닛(400)으로 제2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역시, 상기 제3스위치(530)도 온 상태일 때, 제어유닛(400)으로 제3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고정축(600)은 외주면에 고정홈(610)이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원기둥으로, 양단이 이동블럭(200)에 각각 고정되어, 건물의 내부공간에 수평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축(600)은 고정홈(610)이 상방으로 배치되도록 벽체(w)에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열대(700)는 배열대본체(710), 수용돌부(720) 및 제1안착러버(730)를 갖춘다.
여기서, 상기 배열대본체(700)는 원통형태로서, 베어링(B)을 매개로 고정축(60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끼움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배열대본체(700)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구멍(711)이 형성되어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수용돌부(720)는 단면이 편자형상을 취하며, 배열대본체(710)의 외주면에 배열대본체(7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다수 개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용돌부(720)는 배열대본체(710)에 형성된 구멍(711)을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한편, 상기 수용돌부(720)의 내측에는, 수용돌부(720)의 길이방향으로 배전선(C)이 수용되는 수용홈(721)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수용돌부(720)의 길이방향으로 끼움홈(722)이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800)는 덮개(810)와 제2안착러버(8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덮개(810)는 만곡형성되고, 양단의 내측에는 수용돌부(720)의 끼움홈(722)에 탈착가능하게 맞물리는 끼움돌기(811)를 구비하여, 수용돌부(7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면서 탈착가능하게 고정되어, 수용홈(721)을 개폐하므로, 수용돌부(720)에 고정된 배전선(C)의 이탈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1안착러버(730) 및 제2안착러버(820)는 배전선(C)을 배열 대(700) 및 덮개(810)와 절연시켜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용돌부(720)의 수용홈(721) 및 수용홈(721)에 마주하는 덮개(810)의 일면에 접착제 등을 매개로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900)는 일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축소되는 스토퍼 형상으로, 배열대본체(710)의 구멍(711)을 관통하여 고정축(600)의 고정홈(610)에 삽탈가능하게 끼움고정되어, 배열대본체(710)의 회전여부를 결정한다.
이하 도 1 및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사고 방지형 배전선 보호대의 작동은 아래와 같다.
상기 배전선(C)의 설치 전, 배열대(700)는 이동블럭(200)을 통해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치 편의를 위해 벽체(w)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2스위치(520)는 온 상태로서, 고정유닛(300)에 의해 벽체(w)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열대(700)는 스토퍼(900)에 의해 위치 고정된 상태이다.
상기 배전선(C)의 설치를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전선(C)을 설치하고자 할 때엔, 배열대본체(700) 및 고정축(600)에 고정된 스토퍼(900)를 배열대본체(700)와 고정축(600)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수 개의 수용돌부(720) 중 배전선(C)이 설치될 수용돌부(720)를 선택한 뒤, 해당 수용돌부(720)가 상방을 향하도록 배열대(700)를 회전시킨다.
계속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전선(C)이 설치될 수용돌부(720)가 상방을 향해 고정되도록, 스토퍼(900)로 배열대본체(700)를 고정축(600)에 고정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부재(800)가 수용돌부(7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되어 수용돌부(720)와 분리되면, 수용홈(721)이 열리므로, 배전선(C)을 수용홈(721)에 배치한다.
그리고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부재(800)가 수용돌부(720)에 결합되면, 배전선(C)이 수용돌부(720)의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계속해서, 상기 배열대(700)에 다음의 배전선(C)을 배치할 경우에는, 도 6 내지 도 9의 과정을 거쳐 설치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배열대(700)에 배전선(C) 설치가 완료되면, 스토퍼(900)를 적절한 곳에 보관한다.
그리고, 상기 배전선(C)의 설치가 완료되면, 관리자외 일반인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해 배열대(700)를 벽체(w)의 상부로 이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1스위치(510)를 온 상태로 전환하면, 제2스위치(520)가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서, 구동모터(2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배열대(700)가 벽체(w)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된다.
계속해서, 상기 배열대(700)가 벽체(w)의 상방으로 이동되면, 다시 제2스위치(520)를 온 상태로 전환하여, 구동모터(23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동시에, 고정유닛(300)이 작동되어, 배열대(700) 위치를 고정한다. 이때, 상기 제1스위치(510)는 오프 상태로 전환된 상태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대는, 상기 배열대(700)가 이동블럭(200)에 고정되어, 가이드부재(100)의 상하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보호대의 설치가 편리할 뿐만 아니라 배전선(C)의 설치 및 유지보수 작업도 편리하고, 사다리 등의 별도의 도구 없이도 작업이 가능하므로, 작업자의 안전이 확보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대는, 상기 철거시, 분리로 인한 손상이 거의 없으므로, 재활용도가 높아져서 자원도 절약되는 동시에 환경도 보호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대는, 상기 배열대(700)가 고정축(6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므로, 하중의 치우침을 고려하면서 배전선(C)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므로, 배전선(C)의 설치가 편리한 효과도 있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의 전기사고 방지형 배전선 보호대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대의 가이드부재, 이동블럭, 고정유닛 및 고정축의 설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평단면도이며,
도 3은 구동모터, 고정유닛, 제어유닛 및 입력유닛의 블럭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에 대한 정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보호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가이드부재, 110:래크, 120:장홈,
200:이동블럭, 210:이동블럭본체, 211:결합돌기,
212:피니언수용홈, 213:구동모터수용홈, 214:고정축수용홈,
220:피니언, 230:구동모터, 231:구동축,
300:고정유닛, 310:플런저, 400:제어유닛,
500:입력유닛, 510:제1스위치, 520:제2스위치,
530:제3스위치, 600:고정축, 610:고정홈,
700:배열대, 710:배열대본체, 711:구멍,
720:수용돌부, 721:수용홈, 722:끼움홈,
730:제1안착러버, 800:이탈방지부재, 810:덮개,
811:끼움돌기, 820:제2안착러버, 900:스토퍼,
B:베어링, C:배전선, w:벽체.

Claims (1)

  1. 래크(110)를 갖추고서, 양쪽 벽체(w)에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100)와;
    가이드부재(100)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어, 상하방으로 직선왕복이동되는 이동블럭본체(210)와, 이동블럭본체(2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래크(110)에 맞물리는 피니언(220)과, 이동블럭본체(210)에 설치되어, 피니언(220)을 강제구동하는 구동모터(230)를 갖추고서, 가이드부재(100)에 설치되는 이동블럭(200)과;
    이동블럭본체(210)에 설치되어, 피니언(220)의 동작을 제어하는 고정유닛(300)와;
    구동모터(230) 및 고정유닛(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400)과;
    벽체(w)에 설치되어, 구동모터(230) 및 고정유닛(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어유닛(400)로 출력하는 입력유닛(500)과;
    외주면에 고정홈(610)이 형성되고, 양단이 이동블럭(200)에 각각 고정되어, 건물의 내부공간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고정축(600)과;
    원통형상으로 외주면에 다수개의 구멍(711)이 형성되고, 고정축(60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배열대본체(710)와, 배전선(C)이 실장되는 수용홈(721)이 형성되고 배열대본체(710)의 외주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수용돌부(720)와, 수용돌부(720)의 수용홈(721)에 배치되는 절연재질의 제1안착러버(730)를 갖춘 배열대(700)와;
    배열대(700)의 수용돌부(720)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어, 수용돌부(720)에 고정된 배전선(C)의 이탈을 방지하는 덮개(810)와, 덮개(810)의 내측면에 배치되어 제1안착러버(730)와 마주하는 절연재질의 제2안착러버(820)를 갖춘 이탈방지부재(800)와;
    배열대(700)의 배열대본체(710)의 구멍(711)을 관통하여 고정축(600)의 고정홈(610)에 삽탈가능하게 끼움고정되어, 배열대(700)를 위치고정하는 스토퍼(9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의 전기사고 방지형 배전선 보호대.
KR1020090005971A 2009-01-23 2009-01-23 공동주택의 전기사고 방지형 배전선 보호대 KR100908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971A KR100908459B1 (ko) 2009-01-23 2009-01-23 공동주택의 전기사고 방지형 배전선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971A KR100908459B1 (ko) 2009-01-23 2009-01-23 공동주택의 전기사고 방지형 배전선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459B1 true KR100908459B1 (ko) 2009-07-24

Family

ID=41337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971A KR100908459B1 (ko) 2009-01-23 2009-01-23 공동주택의 전기사고 방지형 배전선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84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565B1 (ko) 2011-10-05 2012-02-22 (주)신화에프이씨 공동주택의 조명용 엘이디 배전선 절연대
KR101110749B1 (ko) * 2011-10-07 2012-02-24 (주)재원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천장에 내설되는 전기단자함
CN115602367A (zh) * 2022-10-25 2023-01-13 扬州市中能电缆有限公司(Cn) 一种舰船用耐腐蚀防盐雾低烟无卤通信电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921Y1 (ko) 2003-12-30 2004-04-03 주식회사 성진기업 케이블 트레이
KR100691394B1 (ko) 2006-12-29 2007-03-12 주식회사 정명기술단 공동주택 및 건축물용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
KR100709062B1 (ko) 2007-01-10 2007-04-18 석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용 조립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6921Y1 (ko) 2003-12-30 2004-04-03 주식회사 성진기업 케이블 트레이
KR100691394B1 (ko) 2006-12-29 2007-03-12 주식회사 정명기술단 공동주택 및 건축물용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
KR100709062B1 (ko) 2007-01-10 2007-04-18 석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공동주택용 조립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4565B1 (ko) 2011-10-05 2012-02-22 (주)신화에프이씨 공동주택의 조명용 엘이디 배전선 절연대
KR101110749B1 (ko) * 2011-10-07 2012-02-24 (주)재원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천장에 내설되는 전기단자함
CN115602367A (zh) * 2022-10-25 2023-01-13 扬州市中能电缆有限公司(Cn) 一种舰船用耐腐蚀防盐雾低烟无卤通信电缆
CN115602367B (zh) * 2022-10-25 2023-09-22 扬州市中能电缆有限公司 一种舰船用耐腐蚀防盐雾低烟无卤通信电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0220B2 (en) Motor control center unit with retractable stab assembly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KR100908459B1 (ko) 공동주택의 전기사고 방지형 배전선 보호대
US9543769B2 (en) Pop up electrical apparatus
KR100865501B1 (ko)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 안정형 보호관
PT1745183E (pt) Dispositivo de suporte de um tecto falso ou pavimento falso
KR100870247B1 (ko)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
JP5383603B2 (ja) 防潮板装置
JP2013036254A (ja) シートシャッタ
JP2001246007A (ja) 消火栓装置
KR101375034B1 (ko) 배전반용 손잡이
KR101405432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080096291A (ko) 광고장치
WO2005029176A1 (ja) 映写スクリーンの取付構造
KR101641668B1 (ko) 공동주택용 전기설비의 안전장치
KR101678184B1 (ko) 차단기의 인터록 안전장치
KR200447173Y1 (ko) 수배전반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수동조작구조
JP6408458B2 (ja) ケーブル架設作業用金車
KR101285632B1 (ko) 슬라이딩방식의 천정형 완강기 지지기구
CN219484831U (zh) 一种油箱的传感器总成装配装置
KR20190000131U (ko) 욕조 건식시공 방법
KR100560866B1 (ko) 케이블드럼 설치 및 케이블 포설용 지그
CN202917807U (zh) 一种电气柜支撑架
CN219018242U (zh) 一种移动式电气柜
US20020005319A1 (en) Control device for a lifting platform
KR100901876B1 (ko) 지중전선보호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