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099B1 - Dtv, 3d포인팅 디바이스 및 dtv의 기능 실행 방법 - Google Patents

Dtv, 3d포인팅 디바이스 및 dtv의 기능 실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099B1
KR100908099B1 KR1020080078849A KR20080078849A KR100908099B1 KR 100908099 B1 KR100908099 B1 KR 100908099B1 KR 1020080078849 A KR1020080078849 A KR 1020080078849A KR 20080078849 A KR20080078849 A KR 20080078849A KR 100908099 B1 KR100908099 B1 KR 100908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ing device
dtv
function
execution
motion par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고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2/206,530 priority Critical patent/US8217894B2/en
Priority to PCT/KR2009/000960 priority patent/WO2009148213A1/en
Priority to DE112009001272.8T priority patent/DE112009001272B4/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TV, 3D 포인팅 디바이스 및 DTV의 기능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라, DTV가 제공하고 각각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execution profile)을 갖는 복수의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 방향과, 상기 움직임 방향에 대응되는 거리 및 속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움직임 파라미터(motion parameter)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TV의 기능 실행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DTV 및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TV, 3D 포인팅 디바이스, 실행 속도, 실행 프로파일

Description

DTV, 3D포인팅 디바이스 및 DTV의 기능 실행 방법 {Digital Television, 3D Pointing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s Of Digital Television}
본 발명은 DTV 및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DTV의 기능을 실행함에 있어서,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실행 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는, DTV, 3D 포인팅 디바이스 및 DTV의 기능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이로 센서 또는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3D 포인팅 디바이스 또는 3D 리모트 콘트롤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전자 기기는 매우 다양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DTV(Digital Television)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싱의 방송 수신 기능 이외에도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onic Program Guide; EPG)의 수신, 양방향 통신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DTV는 홈네트워크 환경 또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에서 서버의 기능까지 담당할 수 있게 되었다.
DTV가 이러한 많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제어해야 할 사항들도 많아지고 복잡해지게 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적외선 통신 방식의 리모콘으로는 이러한 복잡한 기능들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의 적외선 통신 방식의 리모콘을 3D 포인팅 디바이스로 대체할 수 있다. 그러나,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DTV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제어할 것인가에 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특히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장치적 특성을 DTV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연구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최근의 추세와 요청에 따라 제안된 것으로서,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DTV가 제공하는 기능의 실행 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는, DTV, 3D 포인팅 디바이스 및 DTV의 기능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장치적 특성을 DTV의 제어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DTV, 3D 포인팅 디바이스 및 DTV의 기능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DTV의 기능 실행 방법은, 3D 포인팅 디바이스(3-dimensional pointing device)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DTV(digital television)에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DTV가 제공하고 각각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execution profile)을 갖는 복수의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 방향과, 상기 움직임 방향에 대응되는 거리 및 속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움직임 파라미터(motion parameter)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DTV의 기능 실행 방법에서,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의 실행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DTV의 기능 실행 방법에서,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실행 속도에 관하여 상기 선택된 기능에 관한 현재 값을 대응되는 새로운 값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새로운 값으로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가 움직이는 속도와 방향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실행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값을 미리 정해진대로 증가 혹은 감소하도록 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DTV의 기능 실행 방법에서,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기능으로서, 상기 DTV의 오디오 특성 파라미터(audio quality parameter)를 제어하거나, 상기 DTV의 영상 특성 파라미터(picture quality parameter)를 제어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특성의 예를 들면, 음량(volume), 밸런스(balance), 베이스(bass), 트레블(treble)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영상 특성의 예를 들면, 휘도(brightness), 색조(tint), 색상(color), 대비(contrast), 채도(saturation), 선명도(sharpness)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DTV의 기능 실행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실행 속도가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에 따른 DTV의 기능 실행 방법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은 제1 실행 파일이고,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2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DTV가 제공하는 상기 복수의 기능들 중 제2 실행 프로파일을 갖는 제2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제2 움직임 파라미터에 대응되고,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제2 움직임 방향과 상기 제2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는 제2 거리와 제2 속도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2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제2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택된 제2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제2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제2 기능의 제2 실행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실행 프로파일은, 서로 다르거나, 동일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실행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는, 선형(linear)이거나, 비선형(non-linear)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DTV의 기능 실행 방법은,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DTV의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DTV에 의해 제공되고 각각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을 갖는 복수의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 방향과 상기 움직임 방향에 대응되는 거리 및 속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움직임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에 따른 DTV의 기능 실행 방법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DTV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복수의 기능들 중 제2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선택 신호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제2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제2 움직임 방향과 상기 제2 움직임 방향에 대응되는 제2 거리 및 제2 속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움직임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2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제2 기능에 대응되는 제2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제2 움직임 파라미터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DTV의 기능 실행 방법은,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DTV의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DTV에 의해 제공되고 각각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을 갖는 복수의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DTV에서 상기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DTV에 의해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복수의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 방향과 상기 움직임 방향에 대응되는 거리 및 속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움직임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DTV에서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DTV에 의해, 상기 수신된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4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DTV는,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DTV에 있어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DTV에 의해 제공되고 각각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을 갖는 복수의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고,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되고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 방향과, 상기 움 직임 방향에 대응되는 거리 및 속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5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는, DTV를 제어할 수 있는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DTV에 의해 제공되고 각각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을 갖는 복수의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 방향과 상기 움직임 방향에 대응되는 거리 및 속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움직임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생성된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6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DTV 및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DTV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DTV에 의해 제공되고 각각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을 갖는 복수의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고,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되고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 방향과, 상기 움직임 방 향에 대응되는 거리 및 속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는, 상기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DTV, 3D 포인팅 디바이스 및 DTV의 기능 실행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에 의해 DTV의 기능을 실행함에 있어서,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DTV 기능의 실행 속도가 달라지므로, 사용자가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다양한 환경 또는 상황에서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DTV의 기능을 실행할 때 기능의 현재 값 또는 현재 구간에 따라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크게 움직이더라도 기능의 실행 속도가 느리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조금만 움직이더라도 기능의 실행 속도가 빠르게 설정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대한 DTV의 반응 속도를 자신이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D 포인팅 디바이스(3-Dimensional Pointing Device, 10)와 DTV(Digital Television, 20)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3차원 움직임(motion)을 감지하여 상기 DTV(20)로 상기 감지된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3차원 움직임은, 상기 DTV(2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에 대응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공간상에서 움직임으로써 상기 DTV(20)에 소정의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각종 키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키 버튼을 통해 각종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DTV(20)는, 방송국(30)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TV(20)는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에 의해 인터넷(4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외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센서부(101), 키 버튼(102), 메모리(103), 송신부(104) 및 제어부(10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01)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한다. 상기 센서부(101)는, 자이로 센서, 중력 감지 센서, 관성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들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키 버튼(102)은,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상기 키 버튼(102)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3)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105)에 의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송신부(104)는, 상기 센서부(101)에 의해 감지된 움직임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키 버튼(102)을 통해 입력된 신호를 상기 DTV(20)로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05)는,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 른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2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DTV(20)는, 제1 수신부(201), 제2 수신부(202), 디스플레이(203), 오디오 출력부(204), 키 입력부(205), 메모리(206) 및 제어부(20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신부(201)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1 수신부(201)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RF 통신 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신부(202)는, 방송국(30)으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신호는,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송 신호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방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03)는, 상기 제어부(207)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비디오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비디오 정보는, 상기 제2 수신부(202)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이거나, 상기 DTV(20)가 제공하는 각종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이거나, 상기 DTV(20)의 상태를 표시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204)는, 오디오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204)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키 입력부(205)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이다. 예를 들어, 상기 키 입력부(205)는, 상기 DTV(20)의 전면 또는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06)는, 상기 DTV(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207)에 의해 상기 DTV(20)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DTV(20)는, 상기한 구성요소들 이외에도, 상기 인터넷(40)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와, 상기 방송국(30) 또는 상기 인터넷(40)으로부터 수신되는 A/V(Audio/Video)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는 A/V 디코딩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A/V 디코딩 수단은, 소프트웨어적 처리 수단일 수도 있고, 별도의 멀티미디어 칩과 같은 하드웨어적 처리 수단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DTV(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DTV(20)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상기 DTV(20)로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된 정보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 자체를 상기 DTV(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DTV(20)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DTV(20)이 제공하는 기능을 처리하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처리하여 상기 DTV(20)가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에 관한 정보를 상기 DTV(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DTV(10)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 자체는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와 상기 3차원 움직임에 관한 정보가 일부 처리된 정보를 상기 DTV(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DTV(10)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수행을 위해 필요한 나머지 정보 처리를 할 수 있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DTV의 구체적인 동작과,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DTV의 기능 실행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DTV의 기능 실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DTV의 기능 실행 방법은, 도 1 및 도 3를 참조하여 전술한 시스템 및 DTV(2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4 및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DTV의 기능 실행 방법과 이를 구현하 기 위한 DTV(2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움직임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모드로 진입한다[S300].
상기 S300 단계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상기 인식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별도의 버튼(button)을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버튼을 누르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 및 상기 DTV(20)는 상기 인식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 및 상기 DTV(20)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300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DTV(20)에 구비된 버튼(205)을 누름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는 자신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DTV(20)로 신호를 전송하더라도 상기 DTV(20)가 상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지 않거나 무시하는 경우, 상기 인식 모드로 진입될 수 없다.
상기 DTV(20)가 제공하는 기능이 선택된다[S310].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상기 DTV(20)가 제공하는 기능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움직임에 의한 연속적인 입력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TV(20)가 제공하는 기능은, 정보의 출력 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모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TV(20)가 제공하는 기능은, 사용자가 인식하기에 값이 변화할 수 있는 모든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TV(20)가 제공하는 기능의 예를 들면, 음량(volume) 조절, 음색(음질, tone quality, timbre, 밸런스(balance), 베이스(bass), 트레블(treble) 등) 조절 또는 이퀄라이저 조절과 같은 오디오 특성의 조절 기능이 있다.
또한 상기 기능의 다른 예를 들면, 비디오 특성의 조절 기능이 있다. 상기 비디오 특성의 조절이란, 휘도(brightness), 대비(contrast), 색조(tint), 색상(color), 채도(saturation), 선명도(sharpness) 및 해상도(resolution)과 같은 화질 조절을 말한다.
또한 상기 기능의 또 다른 예를 들면, 채널 변경 기능이나 화면 스크롤 기능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DTV(20)가 인터넷(internet)을 통해 웹페이지(web page)에 접속되고 상기 접속된 웹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한 화면에 모두 표시할 수 없는 경우, 상기 DTV(20)는 화면 스크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S310 단계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 또는 상기 DTV(20)에 구비된, 특정 기능에 매칭된 버튼이 눌러짐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특정 기능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특정 움직임에 매칭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상기 매칭대로 움직임으로써 상기 특정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 및 상기 DTV(20)가 상기 인식 모드로 진입하였으면,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제1 수신부(201)를 통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S320].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S320 단계에서 감지되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움직임의 정도에 따라 상기 S300 단계에서 선택된 기능의 실행 속도를 조절하면서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한다[S330].
상기 실행 속도는, 상기 DTV(20)가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함에 있어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움직임에 반응하는 속도를 말한다. 도 5는 실행 속도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A 지점에서 B 지점으로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어부(207)는 오디오의 음량(volume)을 40에서 50으로 점차 변화시킨다. 상기 실행 속도는, A 지점에서 B 지점까지의 움직임에 대한 상기 오디오 음량의 변화량을 말한다. 상기 실행 속도는, 오디오 음량이 40에서 50으로 변화하는 동안 일정할 수도 있고 가변적일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선택된 기능 자체와 상기 감지된 움직임의 거리와 상기 감지된 움직임의 속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실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해 미리 정해진 디폴트 실행 속도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면서, 상기 감지된 움직임의 거리가 커질수록 상기 실행 속도를 점점 증감시킬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감지된 움직임의 속도가 빠르면 상기 실행 속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감지된 움직임의 속도가 느리면 상기 실행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기능에 따른 실행 속도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서, x축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움직인 거리를 나타낸다. y축은 기능에 관련된 값(value)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y축은 오디오의 음량을 나타낼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능과 제2 기능은 서로 다른 실행 속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d' 만큼 움직인 경우, 상기 제1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dV1'에 해당하는 값만큼 변화되고, 상기 제2 기능이 실행되는 경우에는 'dV2'에 해당하는 값만큼 변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기능과 상기 제2 기능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움직임에 대한 실행 속도가 다른 것이다. 도 6에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동일한 거리를 움직이더라도, 상기 제1 기능에 관한 값의 변화량은 상기 제2 기능에 관한 값의 변화량보다 크다.
도 7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움직임의 거리에 따라 가변되는 실행 속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움직이는 동안, 제1 기능과 제2 기능이 실행되는 속도는 각각 일정하다. 이와는 반대로, 도 7에서 제3 기능의 경우,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움직인 거리가 커질수록 실행 속도가 점점 커진다. 또한 제4 기능의 경우,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dv'에 해당하는 거리까지 움직이면 실행 속도가 점차 커지다가, 'dv'를 넘어서 더 움직이면 실행 속도가 점차 감소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선택된 기능에 관한 현재 값을 고려하여 상기 실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움직이는 동안, 기능의 실행 속도가 가변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움직이는 동안, 상기 선택된 기능에 관한 현재 값과 움직임의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선택된 기능의 실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8에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x1에서 x4로 '3d'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연속적으로 움직이고, y축은 오디오의 음량을 나타낸다고 가정한다.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x1에서 x4로 '3d'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연속적으로 움직이는 동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디오의 음량은 변화 속도가 가변되면서 V1에서 V4로 변화한다. 예를 들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x1에서 출발해서 'd'만큼 이동하여 x2에 도달한 경우, 오디오의 음량은 V1에서 V2까지 변화한다.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계속 이동하여 x3에 도달하면 오디오의 음량은 V3까지 변화한다. 여기서 구간 A와 구간 B를 비교하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각각 동일한 거리 d만큼 이동하였는데, 오디오 음량의 변화량은 서로 다른 것을 알 수 있다(dVA > dVB).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움직임에 따라 오디오 음량의 현재 값을 고려하여 오디오 음량의 변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에 관한 값의 증감이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감 지된 움직임의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실행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는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움직임의 방향에 따른 실행 속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오른쪽으로 움직이면 상기 선택된 기능에 관한 값이 증가하고, 왼쪽으로 움직이면 상기 선택된 기능의 값이 감소한다고 가정하자.
예를 들어, 도 9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P1' 지점에서 'P2' 지점까지 거리 'd'만큼 왼쪽으로 움직인 경우, 오디오 음량은 V6에서 V5로 낮아진다. 사용자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P1' 지점에서 'P4' 지점까지 거리 'd'만큼 오른쪽으로 움직인 경우, 오디오 음량은 V6에서 V7로 높아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P1' 지점에서 왼쪽으로 움직인 경우와 동일한 거리만큼 오른쪽으로 움직인 경우, 오디오 음량의 변화량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9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오른쪽으로 움직인 경우가 왼쪽으로 움직인 경우보다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움직임의 거리에 대한 오디오 음량의 변화량, 즉 오디오 음량 조절 기능의 실행 속도가 더 빠른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제어부(207)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음량의 현재 값을 고려하여 오디오 음량의 변화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9에서, 오디오 음량의 현재 값이 V5(지점 'P2')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오른쪽으로 'd1'만 큼 움직이면 오디오 음량을 V7로 변화시킬 수 있다. 오디오 음량의 현재 값이 V6(지점 'P1')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를 'd1'보다 큰 'd'만큼 오른쪽으로 움직여야만 오디오 음량을 V7로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실행 속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DTV(20)가 제공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이용하여 특정 기능에 대한 실행 속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특정 기능에 대한 실행 속도를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DTV(20)는, 사용자에게 특정 기능에 관한 실행 속도를 설정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option)을 GUI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특정 기능에 대한 실행 속도를 일정하게 설정할 수도 있고, 특정 기능에 관한 값의 구간 별로 실행 속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특정 기능에 대한 실행 속도를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20)의 움직임 속도에 의존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고 의존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실행 프로파일(profile)은, 미리 정해질 수도 있고, 사용자에 의해 정해지거나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는 매우 민감한 음량 조절 프로파일을 선호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는 높은 기울기를 갖는 프로파일을 설정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제2 사용자는 덜 민감한 음량 조절 프로파일을 선호할 수 있다. 상기 제2 사용자는 낮은 기울기를 갖는 프로파일을 설정하거나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실행 프로파일의 설정 또는 선택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들면, 도움 스크린(help screen), 온-스크린 프롬프트(on-screen prompt) 또는 팝업창(pop-up window) 등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실행 프로파일들이 다양한 기능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행 프로파일들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방향, 속도 및 가속도 중 적어도 하나에 의존하는 실행 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서로 다른 기능에 대한 실행 프로파일들은, 각각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행 프로파일들은 선형(linear)이거나 비선형(non-linear)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선형 프로파일은, 제1 기울기(예를 들어, 높은 기울기)를 갖는 제1 영역과, 제2 기울기(예를 들어, 낮은 기울기)를 갖는 제2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비선형 프로파일은, 제1 기울기(예를 들어, 높은 기울기)를 갖는 제1 및 제3 영역과, 제2 기울기(예를 들어, 낮은 기울기)를 갖는 제2 영역을 가질 수도 있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DTV의 기능 실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DTV의 기능 실행 방법은, 도 1 및 도 3를 참조하여 전술한 시스템 및 DTV(2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0 및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DTV의 기능 실행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DTV(2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움직임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모드로 진입한다[S400]. 상기 S400 단계는, 도 4의 상기 S300 단계에 대응된다.
상기 DTV(20)가 제공하는 제1 기능이 선택되면[S410],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움직임에 대해 제1 반응 속도(response speed)로 상기 제1 기능을 실행한다[S420]. 상기 제1 기능에 대한 상기 제1 반응 속도는 미리 정해져 있다.
상기 S410 단계의 수행 중, 상기 DTV(20)가 제공하는 제2 기능이 선택되면[S430],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움직임에 대해 제2 반응 속도(response speed)로 상기 제2 기능을 실행한다[S440]. 상기 제2 기능에 대한 상기 제2 반응 속도는 미리 정해져 있다. 상기 제2 반응 속도는 상기 제1 반응 속도와는 다를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이 변경되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움직임에 대한 반응 속도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반응 속도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의 거리와, 상기 움직임의 속도와, 상기 움직임의 방향 중 적어도 하나가 동일하더라도, 각각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움직임의 거리, 상기 움직임의 속도 및 상기 움직임의 방향에 대한 반응 속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반응 속도는, 대응되는 기능 자체와, 대응되는 기능에 관한 현재 값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이에 관하여도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제1 및 제2 반응 속도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DTV의 오디오 특성 조절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DTV의 오디오 특성 조절 방법은, 도 1 및 도 3를 참조하여 전술한 시스템 및 DTV(2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1 및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DTV의 오디오 특성 조절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DTV(2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204)를 통해 오디오를 출력한다[S500].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제2 수신부(202)를 통해 수신되는 A/V(Audio/Video) 방송을 상기 디스플레이(203)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면서 상기 오디오 출력부(204)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DTV(20)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한 경우, 상기 제어부(207)는, 인터넷을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를 상기 오디오 출력부(204)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움직임을 인식하기 위한 인식 모드로 진입한다[S500]. 상기 S500 단계는, 도 4의 상기 S300 단계에 대응된다.
오디오 특성을 조절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중 특정 기능이 선택된다[S510]. 상기 S510 단계는, 상기 S310 단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양한 방식 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S510 단계에서 선택되는 상기 특정 기능의 예를 들면, 음량 조절 기능 또는 음색 조절 기능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제1 수신부(201)를 통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움직임을 감지한다[S530].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감지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움직임과 상기 선택된 특정 기능에 관한 현재 값을 고려하여, 상기 특정 기능에 관한 값의 변화 속도를 가변시키면서 상기 특정 기능을 실행한다[S540].
상기 S540 단계에서, 상기 제어부(207)는, 상기 감지된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상기 특정 기능에 관한 값의 변화 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감지된 움직임의 방향에 따라 상기 특정 기능에 관한 값의 증감은, 미리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상기 특정 기능에 관한 값의 변화 속도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DTV의 기능 실행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하여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DTV의 기능 실행 방법은 소프트웨어를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실행될 때, 본 발명의 구성 수단들은 필요한 작업을 실행하는 코드 세그먼트들이다. 프로그램 또는 코드 세그먼트들은 프로세서 판독 가능 매체에 저 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장치의 예로는,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hard disk),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장치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외관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TV(20)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DTV의 기능 실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실행 속도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기능에 따른 실행 속도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10)가 움직이는 동안, 기능의 실행 속도가 가변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9은 3D 포인팅 디바이스(10)의 움직임의 방향에 따른 실행 속도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DTV의 기능 실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한 DTV의 오디오 특성 조절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D 포인팅 디바이스 101: 센서부
102: 키 버튼 103: 메모리
104: 송신부 105: 제어부
20: DTV 201: 제1 수신부
202: 제2 수신부 203: 디스플레이
204: 오디오 출력부 205: 키 입력부
206: 메모리 207: 제어부
30: 방송국 40: 인터넷

Claims (31)

  1. 3D 포인팅 디바이스(3-dimensional pointing device)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DTV(digital television)에서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DTV가 제공하고 각각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execution profile)을 갖는 복수의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이 선택되는 단계;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 방향과, 상기 움직임 방향에 대응되는 거리 및 속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움직임 파라미터(motion parameter)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어 있는 상기 실행 프로파일은,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의 변화에 대한 상기 대응되는 기능의 실행 속도의 변화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의 기능 실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의 실행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TV의 기능 실행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실행 속도에 관하여 상기 선택된 기능에 관한 현재 값을 대응되는 새로운 값으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TV의 기능 실행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값으로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가 움직이는 속도와 방향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실행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값을 미리 정해진대로 증가 혹은 감소하도록 조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DTV의 기능 실행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선택된 기능으로서, 상기 DTV의 오디오 특성 파라미터(audio quality parameter)를 제어하거나, 상기 DTV의 영상 특성 파라미터(picture quality parameter)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의 기능 실행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실행 프로파일이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TV의 기능 실행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은 제1 실행 프로파일이고,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2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DTV가 제공하는 상기 복수의 기능들 중 제2 실행 프로파일을 갖는 제2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제2 움직임 파라미터에 대응되고,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제2 움직임 방향과 상기 제2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는 제2 거리와 제2 속도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제2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제2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TV의 기능 실행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제2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된 제2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제2 기능의 제2 실행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DTV의 기능 실행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행 프로파일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의 기능 실행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행 프로파일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의 기능 실행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행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는,
    선형(line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의 기능 실행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행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는,
    비선형(non-line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의 기능 실행 방법.
  13.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DTV의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DTV에 의해 제공되고 각각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을 갖는 복수의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 방향과 상기 움직임 방향에 대응되는 거리 및 속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움직임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어 있는 상기 실행 프로파일은,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의 변화에 대한 상기 대응되는 기능의 실행 속도의 변화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의 기능 실행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DTV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복수의 기능들 중 제2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제2 선택 신호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제2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제2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제2 움직임 방향과 상기 제2 움직임 방향에 대응되는 제2 거리 및 제2 속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2 움직임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제2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제2 기능에 대응되는 제2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제2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제2 움직임 파라미터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DTV의 기능 실행 방법.
  15.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DTV의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DTV에 의해 제공되고 각각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을 갖는 복수의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DTV에서 상기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DTV에 의해 상기 선택 신호에 따라 복수의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 방향과 상기 움직임 방향에 대응되는 거리 및 속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움직임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DTV에서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DTV에 의해, 상기 수신된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어 있는 상기 실행 프로파일은,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의 변화에 대한 상기 대응되는 기능의 실행 속도의 변화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의 기능 실행 방법.
  16.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DTV에 있어서,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DTV에 의해 제공되고 각각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을 갖는 복수의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고,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되고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 방향과, 상기 움직임 방향에 대응되는 거리 및 속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어 있는 상기 실행 프로파일은,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의 변화에 대한 상기 대응되는 기능의 실행 속도의 변화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의 실행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실행 속도에 관하여 상기 선택된 기능에 관한 현재 값을 대응되는 새로운 값으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가 움직이는 속도와 방향 중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실행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 방향에 따라 상기 현재 값을 미리 정해진 대로 증가 혹은 감소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21.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기능으로서, 상기 DTV의 오디오 특성 파라미터(audio quality parameter)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기능으로서, 상기 DTV의 영상 특성 파라미터(picture quality parameter)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실행 프로파일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24.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은 제1 실행 프로파일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2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DTV가 제공하는 상기 복수의 기능들 중 제2 실행 프로파일을 갖는 제2 기능을 선택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된 제2 움직임 파라미터에 대응되고,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제2 움직임 방향과 상기 제2 움직임 방향에 대응하는 제2 거리와 제2 속도를 포함하는 제2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2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제2 기능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제2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제2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제2 기능의 제2 실행 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행 프로파일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행 프로파일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2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행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는,
    선형(line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29.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실행 프로파일 중 적어도 하나는,
    비선형(non-line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V.
  30. DTV를 제어할 수 있는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DTV에 의해 제공되고 각각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을 갖는 복수의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전송부;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 방향과 상기 움직임 방향에 대응되는 거리 및 속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움직임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생성된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를 상기 DTV로 전송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어 있는 상기 실행 프로파일은,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의 변화에 대한 상기 대응되는 기능의 실행 속도의 변화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포인팅 디바이스.
  31. DTV 및 3D 포인팅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DTV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DTV에 의해 제공되고 각각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을 갖는 복수의 기능들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하고,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해 감지되고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움직임 파라미터와 상기 선택된 기능에 대응되는 실행 프로파일에 따라 상기 선택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는,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 방향과, 상기 움직임 방향에 대응되는 거리 및 속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기능들 각각에 대응되어 있는 상기 실행 프로파일은,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의 변화에 대한 상기 대응되는 기능의 실행 속도의 변화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는,
    상기 선택 신호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전송부; 및
    상기 3D 포인팅 디바이스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상기 움직임을 감지함에 따라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부는, 상기 움직임 파라미터를 상기 DTV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포인팅 디바이스로 제어되는 DTV 시스템.
KR1020080078849A 2008-06-03 2008-08-12 Dtv, 3d포인팅 디바이스 및 dtv의 기능 실행 방법 KR100908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06,530 US8217894B2 (en) 2008-06-03 2008-09-08 DTV capable of receiving signal from 3D pointing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and adjusting audio property of DTV employing 3D pointing device
PCT/KR2009/000960 WO2009148213A1 (en) 2008-06-03 2009-02-27 Dtv capable of receiving signal from 3d pointing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 and adjusting audio property of dtv employing 3d pointing device
DE112009001272.8T DE112009001272B4 (de) 2008-06-03 2009-02-27 DTV, das in der Lage ist, ein Signal von einer 3D-Zeigeeinrichtung zu empfangen, und Verfahren zum Ausführen einer Funktion und zum Einstellen einer Audioeigenschaft eines DTV, der eine 3D-Zeigeeinrichtung verwend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51930 2008-06-03
KR1020080051930 2008-06-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630A Division KR20090126182A (ko) 2008-06-03 2009-05-21 Dtv, 3d포인팅 디바이스 및 dtv의 기능 실행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8099B1 true KR100908099B1 (ko) 2009-07-16

Family

ID=4133769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849A KR100908099B1 (ko) 2008-06-03 2008-08-12 Dtv, 3d포인팅 디바이스 및 dtv의 기능 실행 방법
KR1020090044630A KR20090126182A (ko) 2008-06-03 2009-05-21 Dtv, 3d포인팅 디바이스 및 dtv의 기능 실행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630A KR20090126182A (ko) 2008-06-03 2009-05-21 Dtv, 3d포인팅 디바이스 및 dtv의 기능 실행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217894B2 (ko)
KR (2) KR100908099B1 (ko)
DE (1) DE112009001272B4 (ko)
WO (1) WO20091482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047B1 (ko) * 2010-04-13 2017-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32305B2 (en) 2009-09-03 2013-04-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201128441A (en) * 2010-02-01 2011-08-16 Hon Hai Prec Ind Co Ltd Television system and remote controller thereof and method for selecting program and method for adjusting volume
CN103250419B (zh) * 2010-10-14 2015-09-16 汤姆逊许可公司 3d视频系统的遥控设备
KR101383840B1 (ko) * 2011-11-17 2014-04-14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리모트 컨트롤러와, 이를 이용한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984504B1 (ko) 2012-02-29 2019-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밀한 3차원 위치 및 방향을 추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956173B1 (ko) 2012-03-26 2019-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위치/방향 추정 시스템의 보정 장치 및 방법
CN103677320B (zh) * 2012-08-30 2018-09-25 索尼公司 遥控器、远端设备、多媒体系统及控制方法
TWI594146B (zh) * 2015-06-17 2017-08-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遙控器的文字輸入方法
CN111261606B (zh) 2019-02-18 2020-11-17 长江存储科技有限责任公司 贯穿硅触点结构及其形成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951A (ko) * 2004-04-30 2007-01-16 힐크레스트 래보래토리스, 인크. 3d 포인팅 장치 및 방법
KR20070043807A (ko) * 2004-07-28 2007-04-2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2008B2 (ja) * 1998-03-17 2008-05-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操作装置
US6603420B1 (en) * 1999-12-02 2003-08-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Remote control device with motion-based control of receiver volume, channel selection or other parameters
GB0021530D0 (en) * 2000-09-01 2000-10-18 Applied Psychology Res Ltd Remote control
US20030142065A1 (en) * 2002-01-28 2003-07-31 Kourosh Pahlavan Ring pointer device with inertial sensors
CN100334531C (zh) 2002-11-20 2007-08-29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基于指示设备的用户接口系统
US7233316B2 (en) * 2003-05-01 2007-06-19 Thomson Licensing Multimedia user interface
US7123180B1 (en) * 2003-07-29 2006-10-17 Nvi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using a single-axis gyroscopic remote control
JP5553987B2 (ja) * 2005-05-04 2014-07-23 ヒルクレスト・ラボラトリー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におけるスクロールおよびポインティング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TWI316195B (en) * 2005-12-01 2009-10-21 Ind Tech Res Inst Input means for interactive devices
US8341544B2 (en) * 2007-12-14 2012-12-25 Apple Inc. Scroll bar with video region in a media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7951A (ko) * 2004-04-30 2007-01-16 힐크레스트 래보래토리스, 인크. 3d 포인팅 장치 및 방법
KR20070043807A (ko) * 2004-07-28 2007-04-25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0047B1 (ko) * 2010-04-13 2017-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9001272B4 (de) 2019-08-22
KR20090126182A (ko) 2009-12-08
WO2009148213A1 (en) 2009-12-10
US8217894B2 (en) 2012-07-10
DE112009001272T5 (de) 2011-07-21
US20090295719A1 (en)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099B1 (ko) Dtv, 3d포인팅 디바이스 및 dtv의 기능 실행 방법
EP2392993B1 (en) Operation terminal, electronic unit, and electronic system
US10044967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30099954A1 (en) Virtual universal remote control
US20180061118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3417630B1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10481753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072143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8872765B2 (en) Electronic device, portable terminal,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device operation control method
US10203927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10860273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RU2693854C2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и способ отображения изображений
KR2018008281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649712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5093607B2 (ja) 遠隔装置、遠隔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装置
KR20100062012A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9537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267194B1 (ko) 단말기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771837B1 (ko) 미디어 시스템에 있어서 포스 입력을 제공하는 리모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16014757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66491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49931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881410B1 (ko) 이미지 처리 단말 제어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US11010037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3008472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