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800B1 -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 - Google Patents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800B1
KR100907800B1 KR1020070105360A KR20070105360A KR100907800B1 KR 100907800 B1 KR100907800 B1 KR 100907800B1 KR 1020070105360 A KR1020070105360 A KR 1020070105360A KR 20070105360 A KR20070105360 A KR 20070105360A KR 100907800 B1 KR100907800 B1 KR 100907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pole
hall element
tilt sensor
field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5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9889A (ko
Inventor
김성옥
Original Assignee
김성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옥 filed Critical 김성옥
Priority to KR1020070105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800B1/ko
Publication of KR20090039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9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 G01B7/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by resistance strain gauge using change in magnetic proper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all device and magnetic 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2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 G01R33/06Measuring direction or magnitude of magnetic fields or magnetic flux using galvano-magnetic devices
    • G01R33/07Hall effect devices
    • G01R33/072Constructional adaptation of the sensor to specific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은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마그네틱의 전계의 변화를 감지하는 홀소자와 마그네틱을 포함하여 상기 마그네틱의 전계변화량을 검출하므로 회전각도를 검출하여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는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N극과 S극을 갖고 고정된 마그네틱과, 상기 마그네틱의 N극과 S극의 위치에 따른 전계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기울기를 연산하는 홀소자를 포함한다.
기울기센서, 홀소자, 마그네틱

Description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Tilt sensor using hall device}
본 발명은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마그네틱의 전계의 변화를 감지하는 홀소자와 마그네틱을 포함하여 상기 마그네틱의 전계변화량을 검출하므로 회전각도를 검출하여 기울기를 산출할 수 있는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울기센서는 자동차 휠 얼라이먼트 측정기, 카 리프트 자동 수평 조정기, 자동차 도난경보시스템, 자동차의 기울기모니터, 로타리엔코더, 자동차의 기울기를 이용한 서스펜션제어, 공작기계의 정렬제어, 콤바인등 농업기계, 산업용 로보트, 의료장비, 건설장비, 교량기울기나 굴착지반의 감시, 금고의 도난 경보기등의 여러 산업분야에 걸쳐 적용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기울기센서는 장착되는 장치의 구성목적이나 기능을 위해서 측정대상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한 종래의 기술중 일예로서 하나를 소개하자면, 종래의 기울기센서는 액체의 충전 가능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에폭시(epoxy)수지로 3장의 PCB를 접착하는 것으로 기울기센서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PCB를 이용한 일체형 액체충전식 기울기 각도센서는 전기적으 로 서로 분리된 2개의 극판이 밑면에 형성된 상층 PCB와 유전체가 충전되는 내부공간 형성을 위한 홀이 중앙에 형성된 중간층 PCB 및 전기적으로 분리된 2개의 극판이 윗면에 형성된 하층 PCB가 에폭시 수지에 의해 하나로 접착되고, 상기 상층 PCB와 하층 PCB 사이의 내부공간에 유전체가 주입되어서, 피측정물의 기울기를 측정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울기센서는 온도와 습도에 따라서 그 특성이 변화되므로 여러가지 상황을 곤란하게 만들거나 또한 정확한 측정 및 계측에 치명적인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나 습도와 같은 환경에 의한 특성변화량이 발생되지 않아서 날씨나 온도등의 환경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열악한 환경에서도 정확한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홀소자와 마그네틱을 구성하고, 상기 마그네틱의 회전범위를 상기 홀소자에서 상기 마그네틱의 전계량의 변화량을 검출하므로서 기울기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는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N극과 S극을 갖고 고정된 마그네틱과, 상기 마그네틱의 N극과 S극의 위치에 따른 전계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기울기를 연산하는 홀소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소자는 상기 마그네틱과 근접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마그네틱의 N극과 S극의 위치를 검출하는 홀전계검출부와; 상기 홀전계검출부에서 출력된 전계검출신호에 따라 기울기를 연산하고 이를 디지탈신호로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출력된 신 호를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전계검출부는 상하측과 좌우양측에 좌표를 설정하고, 상기 마그네틱의 N극과 S극이 상기 좌표와 각 좌표사이의 위치될때 서로 다른 비트수를 갖는 검출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제3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홀전계검출부는 상기 마그네틱의 N극과 S극의 위치에 따라서 0도에서는 1비트의 검출신호, 360도에서는 n비트의 전계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제4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센서는 상기 마그네틱의 중심부에 연결고정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축의 진동을 방지하는 중심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온도나 습도등에 영향을 받지않는 마그네틱의 전계변화량을 이용하기 때문에 외부의 열악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완벽한 내구성을 갖고 있으며, 환경변화에 따른 출력변화가 미세하여 언제 어디서든 정확한 측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홀소자(20)를 이용한 기울기센서는 N극과 S극을 갖는 마그네틱(10)과, 상기 마그네틱(10)을 지지하는 지지축(11)과, 상기 지지축(11)의 회전 및 이동을 방지하도록 고정시키는 중심추(12)와 상기 마그네틱(10)의 전계변화량을 검출하여 이를 디지탈신호로서 출력하는 홀소자(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홀소자(20)는 다수의 자전변환소자가 집적되어 이루어지고, 감지수단으로서 사용된다,
상기 마그네틱(10)은 양과 음극을 모두 포함하여 상기 홀소자(20)의 중심부에 근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홀소자(20)의 회전에 관련없이 원래의 위치에서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축(11)은 일측이 상기 마그네틱(10), 타측이, 예를들면, 상기 기울기센서의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마그네틱(10)의 회전 또는 진동에 의한 움직임을 방지하여 상기 마그네틱(10)을 고정시킨다.
또한 중심추(12)는 상기 지지축(11)의 소정부분에서 하측으로 무게중심을 갖도록 상기 지지축(11)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축(11)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무게중심을 갖고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로는 상기 중심추(12)는 타원형으로서 타원형의 일측방향에서 상기 지지축(11)이 관통형성되며 타측이 하측방향에 위치되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무게중심이 하측을 향하므로, 상기 지지축(11)이 회전됨을 방지한다.
상기 홀소자(20)는 상기 기울기센서가 장착되는 장치가 기울어지거나 회전되면 이에 따라 상기 마그네틱(10)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고정된 마그네틱(10)에서 방출되는 전계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그 변화량에 따라 기울기를 연산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홀소자(20)는 고정된 마그네틱(1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고정된 상기 마그네틱(10)의 N극과 S극에 방출되는 전계량을 회전된 상기 홀소자(20)에서 검출하므로, 상기 홀소자(20)가 회전되지 않았을 때와 회전되었을 때 상기 마그네틱(10)의 N극과 S극의 위치에 따라 전계의 변화량으로 기울기를 연산하여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홀소자(20)는 도 3의 구성을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홀소자(20)를 이용한 기울기센서에서 홀소자(20)는 상기 마그네틱(10)의 전계를 검출하는 홀전계검출부(21)와, 상기 홀전계검출부(21)에서 출력된 아날로그신호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기울기를 연산하고 디지탈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22)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2)에서 출력된 디지탈신호를 외부장치에 출력하는 출력단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23)를 포함한다.
상기 홀전계검출부(21)는 상기 마그네틱(10)을 중심으로 홀소자(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어 상기 마그네틱(10)의 N극과 S극의 위치에 따라서 서로 다른 전계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2)에 출력한다.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2)는 상기 홀전계검출부(21)에서 출력된 전계변화량검출신호를 연산하여 기울기를 산출하고, 산출된 기울기를 디지탈신호로서 변환시켜 상기 인터페이스(23)로 출력한다.
상기 인터페이스(23)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쓸수있도록 아날로그출력단자, PWM출력단자, HEX출력단자 로 구분되어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아날로그출력단자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2)에서 출력된 디지탈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홀소자(20)를 이용한 기울기센서의 작용설명을 하기의 도 4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에서 마그네틱의 회전범위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에서 마그네틱의 위상각 배치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의 출력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홀소자(20)를 이용한 기울기센서는 상기 지지축(11)과 중심추(12)에 의해 고정된 마그네틱(10)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홀소자(20)가 회전되는 변위량을 검출하여 기울기를 연산하게 된다.
즉, 상기 홀소자(20)는 상기 홀전계검출부(21)를, 도 5참조, 상하측에 Y1과 Y2, 좌우측에 X1과 X2의 좌표를 갖고 있으며, 상기 좌표와 상기 마그네틱(10)의 N극과 S극이 어느정도의 위치간격을 갖고 있는지에 따라서 기울기를 산출한다.
그러므로 상기 마그네틱(10)의 N극과 S극이 상기 Y1과 Y2 좌표에 각각 위치되면, 상기 홀전계검출부(21)는 이때 검출되는 전계의 변위량을 검출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홀전계검출부(21)의 전계검출신호를 연산하여 기울기가 0도임을 산출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페이스(23)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2)의 디지탈 신호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으로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터 페이스(23)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홀전계검출부(21)의 N비트의 분해능 대비하여 각각의 기울기를 표시하게 되며 이는 도 4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도 4의 그래프를 참조하면, 상기 홀전계검출부(21)는 n비트의 분해능을 갖고 있으며, 전계검출신호의 비트수에 따라서 상기 마그네틱(10)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홀전계검출부(21)의 회전각을 표시하게 된다.
이를 다시 설명하자면, 상기 N극이 상기 Y1과 X1의 좌표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S극이 Y2와 X2 좌표사이의 n/2비트에 위치된다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2)는 상기 도 4의 그래프와 같이 n/2비트에 해당되는 기울기각도를 연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홀소자(20)가 상기 마그네틱(10)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하여 원래의 위치인 Y1과 Y2의 좌표에 도달한다 하더라도 이를 0도의 기울기로서 산출하지 않고, 상기 홀전계검출부(21)의 1비트의 출력신호가 점차적으로 n비트의 출력신호로 변화됨에 따라 상기 홀소자(20)가 360도 회전되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도 4 및 도 6참조).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에서 마그네틱의 회전범위를 도시한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에서 마그네틱의 위상각 배치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의 출력신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부호의 설명*
10 : 마그네틱 11 : 지지축
12 : 중심추 20 : 홀소자
21 : 홀전계검출부 22 : 마이크로프로세서
23 : 인터페이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N극과 S극을 갖고 고정된 마그네틱과;
    상기 마그네틱의 N극과 S극의 위치에 따른 전계의 변화량을 검출하여 기울기를 연산하는 홀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홀소자는
    상기 마그네틱과 근접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마그네틱의 N극과 S극의 위치를 검출하는 홀전계검출부와;
    상기 홀전계검출부에서 출력된 전계검출신호에 따라 기울기를 연산하고 이를 디지탈신호로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홀전계검출부는 상하측과 좌우양측에 좌표를 설정하고, 상기 마그네틱의 N극과 S극이 상기 좌표와 각 좌표사이에 위치될 때 서로 다른 비트수를 갖는 검출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쓸 수 있도록 아날로그출력단자, PWM출력단자, HEX출력단자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상기 아날로그출력단자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출력된 디지탈 신호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전계검출부는
    상기 마그네틱의 N극과 S극의 위치에 따라서 0도에서는 1비트의 검출신호, 360도에서는 n비트의 전계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기센서는
    상기 마그네틱의 중심부에 연결고정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축의 회전 및 진동을 방지하는 중심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
KR1020070105360A 2007-10-19 2007-10-19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 KR100907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360A KR100907800B1 (ko) 2007-10-19 2007-10-19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5360A KR100907800B1 (ko) 2007-10-19 2007-10-19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303A Division KR20090084789A (ko) 2009-06-24 2009-06-24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 센서
KR1020090056300A Division KR20090075783A (ko) 2009-06-24 2009-06-24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889A KR20090039889A (ko) 2009-04-23
KR100907800B1 true KR100907800B1 (ko) 2009-07-15

Family

ID=40763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5360A KR100907800B1 (ko) 2007-10-19 2007-10-19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8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9032A (ko) * 1998-10-14 2000-05-25 이케다 히로시 공기조화기의 실외팬용 브러시리스모터의 구동장치
JP2005049117A (ja) 2003-07-30 2005-02-24 Omron Corp 傾斜セン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9032A (ko) * 1998-10-14 2000-05-25 이케다 히로시 공기조화기의 실외팬용 브러시리스모터의 구동장치
JP2005049117A (ja) 2003-07-30 2005-02-24 Omron Corp 傾斜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9889A (ko) 2009-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0825B2 (ja) 液面センサシステム
US9297637B2 (en) Rotary position sensor
KR101365349B1 (ko) 각도 측정 시스템, 샤프트의 각 위치 결정 방법, 샤프트의 절대 각도 위치 결정 방법 및 시스템
US9383277B2 (en) Force sensor
US20090087253A1 (en) Ball and socket joint with sensor device, process for load measurement and process for wear measurement
CN203163780U (zh) 一种用于智能水表的双向检测传感器组件
JP2006133230A (ja) 傾度センサ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6514833A (ja) 外部磁界に対して鈍感なホールセンサ
KR101359347B1 (ko) 절대위상각 검출을 이용한 조향장치의 토크센서
KR20180060625A (ko) 회전각 검출 장치
KR100907800B1 (ko)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센서
KR20090084789A (ko)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 센서
KR20090075783A (ko) 홀소자를 이용한 기울기 센서
JPH08233570A (ja) 産業用作業機器の回転体変位測定装置
US7602176B2 (en) AMR sensor element for angle measurement
CN108139231B (zh) 具有可变的测量角范围的旋转角传感器系统
CN116557626A (zh) 一种阀门状态监测装置、阀门智能限位开关、阀门组件
CN210375162U (zh) 一种轴侧磁性旋转编码器
JPH0921605A (ja) 建設機械の旋回角度検出装置
WO1999035462A1 (en) Monitoring arrangement for a multi-element boom
KR101622723B1 (ko) 차량의 조향인식을 위한 센서 보정장치
CN216283819U (zh) 一种液位测量器和油位表系统
KR20140108848A (ko) 유동하여 수평면을 유지하는 전도성 액체를 통하여 전류가 흐르는 센싱 입력단자를 검출하여 경사도를 측정하는 디지털 경사도 측정 방법 및 센서
CN103115563B (zh) 高精度摆锤式角度测量装置
CN218031059U (zh) 折叠装置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