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336B1 -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336B1
KR100907336B1 KR1020080102179A KR20080102179A KR100907336B1 KR 100907336 B1 KR100907336 B1 KR 100907336B1 KR 1020080102179 A KR1020080102179 A KR 1020080102179A KR 20080102179 A KR20080102179 A KR 20080102179A KR 100907336 B1 KR100907336 B1 KR 100907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toring
jig
pin
screw shaft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2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익성
Original Assignee
(주)에스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피에스 filed Critical (주)에스피에스
Priority to KR1020080102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3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1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from prefabricated hull blocks, i.e. complete hull cross-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Robotic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핀지그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단가의 저감을 유도하고, 숫지그의 높이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힘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함과 더불어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해당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의 지지핀; 핀지그의 숫지그가 얹히는 영역을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각 지지핀의 안내를 받으면서 승강되는 승강 플레이트; 상기 숫지그의 얹힘에 의한 승강 플레이트의 하향 이동시 급격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복원부재를 갖는 복수의 복원부; 그리고, 상기 각 복원부의 각 복원부재가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하거나 혹은, 개별 동작되도록 서로 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가 제공된다.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 승강 보조장치, 복수의 복원부, 연동부

Description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pin jigger for supporting a curved structure}
본 발명은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핀지그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단가의 저감을 유도하고, 숫지그의 높이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힘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함과 더불어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해당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핀지그는 선박의 선체 등과 같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곡 구조물을 지지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상기 핀지그는 선박의 선체를 제조하는 도중 상기 선체의 제조를 위한 각 블럭을 그 저부에서 받치는데 주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선체는 다수의 블럭으로 나누어 개별 제작한 다음 상기 각 블럭을 결합함으로써 그 제조가 이루어지며, 상기 선체의 각 블럭은 그 바닥면이 자유곡면으로 형성됨에 따라 다수의 핀지그를 소정 간격으로 지면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각 블럭의 저면 높이에 따라 상기 각 핀지그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상기 각 블 럭이 정위치에 지지되도록 한 후 상기 각 블럭 간을 용접하였다.
첨부된 도 1은 전술한 종래의 핀지그를 나타내고 있다.
즉, 종래 일반적인 핀지그는 서포터(11)와, 높이조절너트(12)와, 암지그(13) 및 숫지그(1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숫지그(14)는 상기 암지그(13) 내에 승강 가능하게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높이조절너트(12)는 상기 숫지그(14)의 상단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서포터(11)는 실질적으로 선체를 이루는 블럭을 받치는 부위로써 상기 높이조절너트(12) 내에서 승강 가능하게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서포터(11)와 상기 높이조절너트(12)는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서포터(11)의 미세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암지그(13)와 숫지그(14)에는 체결공(13a,14a)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체결공(13a,14a)에는 별도의 고정키(15)가 연속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암지그(13)에 상기 숫지그(14)가 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핀지그는 상기 숫지그(14)의 무게가 통상 15∼25㎏ 정도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숫지그(14)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직접 상기 숫지그(14)를 손으로 들어올리거나 내려야만 하는 수작업이 불가피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작업의 반복 수행에 따른 작업자의 허리나 팔 등 등의 근육에 무리를 주게 된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숫지그(14)를 수동으로 조절하고 고정키(15)를 끼워서 고정시킴에 따라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었고, 작업자의 실수로 상기 숫지 그(14)를 떨어뜨렸을 경우 상기 숫지그(14)의 무게로 인해 급격한 하강이 이루어짐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국내 특허출원 제10-2003-99024호 및 제10-2003-99025호와 같이 암지그의 외부에서 별도의 핸들을 조작하여 숫지그를 보다 쉽게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과,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5-000129호 및 20-2005-001947호 등과 같이 무게추를 이용하여 숫지그의 승하강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 및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4-006020호 및 제20-2005-19749호 등과 같이 태엽식의 판스프링을 이용하여 숫지그의 승하강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기술 등이 제공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제조 단가가 저렴하면서도 숫지그의 하강시 가해지는 힘이 상기 숫지그의 위치에 상관없이 일정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등록(특허등록 제10-0837321)된 바 있다.
하지만, 전술한 각 기술들은 핀지그의 종류(예컨대, 길이나 무게에 따른 종류)별 대응이 불가능하다는 공통적인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핀지그를 구성하는 숫지그의 길이 혹은, 무게에 따라 승강 플레이트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의 복원력이 달리 제공되어야 함으로써 각 핀지그의 종류별로 각각의 승강 보조장치가 준비되어야 하고, 상기 숫지그의 종류에 따라 상기 준비된 승강 보조장치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야만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핀지그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여 단가의 저감을 유도하고, 숫지그의 높이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힘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함과 더불어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해당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에 따르면 베이스 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의 지지핀; 핀지그의 숫지그가 얹히는 영역을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각 지지핀의 안내를 받으면서 승강되는 승강 플레이트; 상기 숫지그의 얹힘에 의한 승강 플레이트의 하향 이동시 급격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복원부재를 갖는 복수의 복원부; 그리고, 상기 각 복원부의 각 복원부재가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하거나 혹은, 개별 동작되도록 서로 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원부는 상기 각 지지핀의 타단에 고정되면서 내부에는 상기 복원부재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갖는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 내의 중앙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로의 하향 이동력 제공시 상기 복원부 재를 압축시키고 상기 하향 이동력이 해제될 경우 상기 복원부재의 복원력을 제공받아 승강 플레이트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원부재는 양단이 상기 회전샤프트의 둘레면 및 상기 케이스체의 내벽면에 각각 고정됨과 더불어 그 내측 부위는 상기 회전샤프트를 권취하는 태엽 스프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측에는 둘레면을 따라 나선홈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승강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스크류축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각 부위 중 상기 스크류축이 관통되는 부위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선홈에 요입되는 이동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각 복원부 중 어느 하나의 복원부를 구성하는 복원부재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에 따른 스크류축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압축 혹은, 복원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크류축의 나선홈은 상기 스크류축의 저부로 갈수록 그 피치(pitch)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복원부는 서로 적층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각 복원부를 구성하는 회전샤프트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는 치합공과, 상기 각 회전샤프트의 치합공 중 어느 한 회전샤프트의 치합공 내에 탄력 이동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가압력의 해제시 다른 한 회전샤프트의 치합공 내로 일부가 요입되도록 동작되는 키이부재와, 상기 키이부재가 어느 한 회전샤프트의 치합공 내에 위치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핀과, 상기 가압핀의 가압 조작을 위한 조작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복원부 중 어느 한 복원부는 상기 각 지지핀의 상측 부위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스크류축의 상단과 결합되고, 다른 한 복원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 부위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스크류축의 하단과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어느 한 복원부를 구성하는 회전샤프트 및 이에 대응하는 스크류축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는 치합공과, 상기 회전샤프트에 형성된 치합공 내에 탄력 이동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가압력의 해제시 스크류축의 치합공 내로 일부가 요입되도록 동작되는 키이부재와, 상기 키이부재가 스크류축의 치합공 내에 위치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핀과, 상기 가압핀의 가압 조작을 위한 조작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는 후술되는 각종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는 숫지그에 대한 높낮이 조절시 작업자가 소요하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상기 숫지그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함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둘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는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무게가 가볍고 설치가 편리한 효과를 가진다.
셋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는 그 구조가 암지그 내부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암지그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가 없어서 상기 암지그와 관계되는 조립 작업이 필요 없다는 효과 를 가진다.
넷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는 승강 플레이트가 두 지지핀의 지지를 받아 승강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숫지그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다섯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는 숫지그의 높이에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힘으로 상기 숫지그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승강 보조장치에 대한 실시예는 상기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전체 구조와 함께 설명토록 한다.
우선, 첨부된 도 2와 같이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는 크게 암지그(130)와, 숫지그(140)와, 높이조절너트(120)와, 서포터(110) 및 본 발명에 따른 승강 보조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암지그(130)는 작업장소(예컨대, 선체의 각 블럭을 용접하기 위한 작업장 등)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가 빈 관(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암지그(130)의 둘레면 저부에는 지면에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132)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암지그(130)의 둘레면 상단에는 숫지그(140)와의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체결공(131)이 그 전후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공(131)으로는 고정키(150)가 관통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숫지그(140)는 상기 암지그(130) 내에서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내부가 빈 관(바람직하게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숫지그(140)의 둘레면에는 그 길이 방향(도면상 세로 방향)을 따라 다수의 제2체결공(141)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관통 형성되며, 상기 각 제2체결공(141)은 상기 암지그(130)의 제1체결공(131)을 관통한 고정키(150)가 계속적으로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숫지그(140)가 상기 암지그(1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너트(120)는 상기 숫지그(140)의 상단에 결합됨과 동시에 그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121)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110)는 상기 높이조절너트(120)에 나사 결합되면서 상기 높이조절너트(120)로부터 미세한 높낮이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상기한 서포터(110)는 상단을 이루면서 선체의 형성을 위한 블럭이 얹혀지는 헤드부(111)와, 상기 높이조절너트(120)의 나사산(121)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11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는 핀지그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조로 교체하여야만 하였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승강 플레이트의 하향 이동에 따른 저항력을 제공하는 복원부를 복수로 구비하고, 상기 각 복원부는 연동부에 의해 서로 연동되거나 혹은, 개별 동작되면서 승강 플레이트에 저항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제시한다.
즉,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혹은, 무게가 많이 나가는) 종류의 핀지그를 사용 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 복원부가 서로 연동되면서 상대적으로 승강 플레이트의 하향 이동에 따른 저항력이 커지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혹은, 무게가 작게 나가는) 종류의 핀지그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 복원부의 연동이 해제되면서 상대적으로 승강 플레이트의 하향 이동에 따른 저항력이 작아지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승강 보조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된 도 2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승강 보조장치는 크게 베이스 플레이트(210)와, 복수의 지지핀(220)과, 스크류축(230)과, 승강 플레이트(240)와, 복수의 복원부(250,260) 및 연동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지면 혹은, 암지그(130) 내의 저부 끝단에 고정되는 부위로써 상기 승강 보조장치의 베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복수의 지지핀(220)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의 승강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지지핀(220)은 그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상면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기 암지그(130) 내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일련의 핀(pin)이다.
특히, 상기한 각 지지핀(220)은 두 개를 한 쌍으로 제공되며, 그 각각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상면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된다. 이는, 상기 지지핀(220)에 의해 승강이 안내되는 승강 플레이트(240)가 그의 승강시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짐을 방지함과 더불어 상기한 승강 플레이트(240)의 회전됨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지지핀(220)은 셋 혹은, 그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크류축(230)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일련의 구성이다.
이때, 상기 스크류축(230)은 그 하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상면 중앙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암지그(130) 내의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축(230)의 둘레면에는 나선홈(231a,231b)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나선홈(231a,231b)은 첨부된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스크류축(230)의 저부로 갈수록 그 피치(pitch)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나선홈(231a,231b)이 두 개로 제공되고, 그 각각의 나선홈(231a,231b)들은 첨부된 도 5와 같이 상기 스크류축(230)의 둘레면을 따라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서 서로가 동일한 형상으로(서로가 동일한 피치로) 각각 형성됨을 제시한다. 물론, 첨부된 도 6과 같이 세 개의 나선홈(231a,231b)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그 이상의 갯수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렇게, 나선홈(231a,231b)을 다수로 형성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승강 플레이트(240)의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승강 플레이트(240)가 상기 스크류축(230)을 회전시키는 도중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는 상기 숫지그(140)의 저부를 받치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승강 이동에 따른 이동력으로 상기 스크류축(230)을 회전시키 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승강 플레이트(240)는 상기 암지그(130) 내경에 비해서는 작지만 상기 숫지그(140)의 외경에 비해서는 동일하거나 더욱 크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두 지지핀(220) 및 스크류축(230)이 관통된 상태로 상기 각 지지핀(220)의 지지를 받아 상기 암지그(130) 내부의 높이 방향을 따라 승강된다.
특히,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의 각 부위 중 상기 스크류축(230)이 관통되는 제1관통공(241)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축(230)의 각 나선홈(231a,231b)에 요입되는 이동돌기(242)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의 승강 동작에 의해 상기 스크류축(230)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이동돌기(242)는 상기 나선홈(231a,231b)의 형성 방향을 따라 구름 회전이 가능한 베어링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각 이동돌기(242)가 상기 스크류축(230)의 각 나선홈(231a,231b)을 따라 원활히 이동되면서 상기 스크류축(23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이동돌기(242)를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의 제1관통공(241) 내주면에 설치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도 5와 같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의 어느 한 둘레면으로부터 상기 제1관통공(241)에 이르기까지 결합공(245)을 관통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제1관통공(241)의 내주면 중 상기 결합공(245)과 연통되는 부위의 반대측 벽면에는 상기 이동돌기(242)를 설치할 수 있는 설치홀(246)을 형성한다. 즉, 상기 결합 공(245)을 통해 어느 한 이동돌기(242)를 삽입하여 상기 설치홀(246)에 체결함과 더불어 다른 한 이동돌기(242)는 상기 결합공(245)과 나사 체결되는 별도의 블럭(247)에 미리 결합한 상태로 상기 블럭(247)과 함께 상기 결합공(245) 내에 삽입 결합하는 것이다.
만일, 첨부된 도 6과 같이 나선홈(231a,231b,231c)이 3개로 형성될 경우 상기 각 이동돌기(242) 역시 3개로 구성되어야만 하고, 이의 경우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에는 방사상으로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세 결합공(245)을 형성함과 더불어 각각의 이동돌기(242)들은 상기 각 결합공(245) 내에 나사 체결되는 각각의 블럭(247)에 미리 결합한 상태로 상기 블럭(247)과 함께 상기 결합공(245) 내에 삽입 결합하면 될 뿐 아니라 첨부된 도 7과 같이 각 이동돌기(242)의 끝단이 상기 각 나선홈(231a,231b,231c)에 요입되도록 세 결합공(245)에 체결함과 더불어 상기 세 결합공(245)의 개구된 입구측은 별도의 블럭(247)을 이용하여 폐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이때에는 지지핀(220) 역시 세 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승강 플레이트(240)의 각 부위 중 상기 각 지지핀(220)이 관통되는 각각의 제2관통공(243)에는 상기 각 지지핀(22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부시(244)가 각각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복원부(250,260)는 숫지그(140)의 얹힘에 의한 승강 플레이트(240)의 하향 이동시 급격한 이동을 방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의 상하 이동력을 상 기 스크류축(230)과 함께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의 높이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함께 수행하도록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복원부(250,260)가 두 개로 제공됨과 더불어 상기 각 지지핀(220)의 상단에 서로 적층된 상태로 고정 설치됨을 그 예로 제시한다.
이러한 복원부(250,260)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복원부(250,260)는 크게 케이스체(251)와, 복원부재(252,262) 및 회전샤프트(253,2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체(251)는 상기 복원부(250,260)의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써, 상기 복원부재(252,262) 및 회전 샤프트(253,263)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박스체로 형성되며, 상기 각 지지핀(220)의 상단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복원부재(252,262)는 상기 케이스체(251) 내에 설치되며, 상기 숫지그(140)를 승강 플레이트(240)의 상면에 얹음으로 인한 승강 플레이트(240)의 하향 이동시 탄력 변형되면서 스크류축(230)과 함께 하향 이동력을 상쇄시키는 역할을 수행함과 더불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로부터 숫지그(140)를 제거할 경우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샤프트(253,263)는 상기 케이스체(251) 내의 중앙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로의 상하 이동에 따른 스크류축(23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복원부재(252,262)를 압축시키거나 혹은, 압축 해제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이때, 상기 복원부재(252,262)는 양단이 상기 회전샤프트(253,263)의 둘레면 및 상기 케이스체(251)의 내벽면에 각각 고정됨과 더불어 내측 부위는 상기 회전샤프트(253,263)를 권취하는 태엽 스프링으로 형성됨을 제시한다.
특히, 상기한 각 복원부(250,260)를 구성하는 각 복원부재(252,262) 중 상대적으로 하측에 설치되는 복원부(이하, “제1복원부”라 함)(250)의 복원부재(이하, “제1복원부재”라 함)(251)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의 상하 이동에 따른 스크류축(230)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압축 혹은,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1복원부(250)의 회전샤프트(이하, “제1회전샤프트”라 함)(253) 하단을 상기 스크류축(230)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다른 한 복원부(이하, “제2복원부”라 함)(260)는 상기 제1복원부(250)의 상단에 적층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복원부(260)의 회전샤프트(이하, “제2회전샤프트”라 함)(263)는 상기 제1회전샤프트(253)의 직상방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후술될 연동부(280)에 의해 상기 제1회전샤프트(253)와 연동되면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복원부(250)의 제1복원부재(252)와 상기 제2복원부(260)의 복원부재(이하, “제2복원부재”라 함)(262)는 서로 동일한 복원력을 갖도록 설정할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복원력을 갖도록 설정할 수도 있는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결정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복원부재(262)가 상기 제1복원부재(252)에 비해 더욱 큰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복원부(250,260)의 구조 및 스크류축(230)의 구조에 의해 승강 플레이트(240)는 높이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지지력을 제공받게 된다.
즉, 태엽 스프링은 그 감김 초기와 감김 말기의 복원력 크기가 비례적이지 않지만 이를 상기 나선홈(231a,231b)의 점차적인 피치 변경을 통해 보완함으로써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의 지지력은 그 위치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복원부(250,260)를 구성하는 케이스체(251)는 비록 하나의 구성임을 그 예로 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각 복원부(250,260)마다 각각의 케이스체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의 경우 각 케이스체 서로 간은 결합 가능한 구조로 형성하면 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동부(280)는 상기 각 복원부(250,260)의 각 복원부재(252,262)가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하거나 혹은, 개별 동작되도록 서로 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각 복원부재(252,262)를 서로 연결 혹은, 연결 해제하는 구성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연동부(280)가 치합공(281,282)과, 키이부재(283)와, 가압핀(284) 및 조작단(285)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예로 한다.
여기서, 상기 치합공(281,282)은 상기 각 복원부(250,260)를 구성하는 각 회전샤프트(253,263)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는 다각형의 구멍이다.
또한, 상기 키이부재(283)는 상기 각 회전샤프트(253,263)의 치합공(281,282) 중 제1회전샤프트(253)의 치합공(281) 내에서 탄력부재(286)에 의해 탄력 이동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가압력의 해제시에는 제2회전샤프트(263)의 치합공(282) 내로 일부가 요입되어 상기 두 회전샤프트(253,263)가 서로 연동되면서 회전되도록 동작되는 키이(key)로써, 상기한 치합공(281,282)과 대응되는 다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핀(284)은 상기한 키이부재(283)가 제1회전샤프트(253)의 치합공(281) 내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핀(pin)으로써 상기한 치합공(281,282)의 내경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조작단(285)은 상기한 가압핀(284)의 가압 조작을 위한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한 조작단(285)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가압핀(284)이 상기 키이부재(283)를 가압하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상기 가압핀(284)이 상기 키이부재(283)를 가압하는 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한 조작단(285)은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한 가압핀(284)의 상단을 가압하여 상기 가압핀(284)이 하향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형성된다. 물론, 상기한 조작단(285)의 구성은 예컨대, 통상의 회동 레버 방식으로 젖힘 조작에 의해 상기 가압핀(284)의 상단을 가압하거나 통상의 버튼 방식으로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가압핀(284)의 상단을 가압하여 상기 가압핀(284)이 하향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사용자의 편리함이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를 이용하여 곡 구조물을 지지하는 일련의 조작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핀지그를 구성하는 숫지그(140)의 종류에 따라 승강 보조장치의 연동부(280)를 구성하는 조작단(285)을 조작하여 각 복원부(250,260)의 복원부재(252,262) 간이 서로 연동되도록 하거나 혹은, 서로 연동되지 않고 개별 동작되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핀지그를 구성하는 숫지그(14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종류(혹은, 무게가 가벼운 종류)로 사용될 경우 첨부된 도 3 및 도 4와 같이 가압핀(284)이 하향 이동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키이부재(283)가 제1회전샤프트(253)의 치합공(281) 내에만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각 복원부(250,260)의 복원부재(252,262) 간은 서로 연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핀지그를 구성하는 암지그(130)를 작업장소에 각각 고정한다. 이때, 상기 핀지그는 곡 구조물(예컨대, 선체의 특정 블럭)의 크기에 따라 그 개수 및 서로 간의 설치 간격 등이 결정된다.
이후, 상기 곡 구조물의 저면 형상에 따라 핀지그를 구성하는 숫지그(140) 및 서포터(110)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숫지그(140)는 개략적인 높낮이의 조절을 위해 동작되고, 상기 서포터(110)는 정밀한 높낮이의 조절을 위해 동작된다.
예컨대, 상기 곡 구조물의 형상에 따라 숫지그(140)를 암지그(130) 내로부터 상향 이동시키거나 혹은, 하향 이동시켜 개략적으로 높낮이를 맞춘 다음에 상기 서포터(110)를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정확한 높낮이를 맞추는 것이다.
상기 숫지그(140)의 개략적인 높낮이 조절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숫지그(140)를 상기 암지그(130) 내의 하부측에 위치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숫지그(140)를 승강 플레이트(240)에 얹은 상태로 가압한다.
이의 경우, 첨부된 도 3과 같은 최초 상태에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는 두 지지핀(220)의 지지를 받으면서 점차 하향 이동된다.
이때,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의 제1관통공(241)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한 쌍의 이동돌기(242)는 스크류축(230)의 두 나선홈(231a,231b) 내에 각각 위치된 상태로 하향 이동되면서 상기 각 나선홈(231a,231b)의 형성 방향을 따라 회전되려고 한다.
하지만,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가 그 양측을 관통하여 설치된 한 쌍의 지지핀(220)에 의해 그 회전됨이 방지됨을 고려할 때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의 하향 이동에 따른 회전력은 상기 스크류축(230)으로 제공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스크류축(230)은 도면상 반시계 방향(우측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스크류축(2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축(230)과 축결합된 제1복원부의 제1회전샤프트(253) 역시 회전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회전샤프트(253)의 둘레면으로 제1복원부재(252)가 감기면서 점차적으로 압축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축(230)의 둘레면을 따라 형성된 나선홈(231a,231b)은 상기 스크류축(230)의 저부로 갈수록 점차 피치가 커지면서 상기 스크류축(230)을 회전시키는 양이 점차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복원부재(252)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의 하강 이동이 진행될수록 그 감김이 점차적으로 천천히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승강 플레이트(240)는 그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제1복원부재(252)로부터 항상 일정한 지지력을 제공받게 된다.
결국, 전술한 제1복원부재(252)의 지지력에 의해 숫지그(140)가 얹힌 승강 플레이트(240)가 순간적으로 급격히 하강하는 문제점은 미연에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는 항상 동일한 힘으로 숫지그(140)를 하향 이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숫지그(140)의 위치를 조절하는 도중 상기 숫지그(140)가 급격히 하강함에 따른 위험은 방지되고, 상기 숫지그(140)의 위치를 최대한 낮은 곳에 위치시키더라도 그 높이 조절을 위한 힘은 더 많이 소요되지 않는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동작에 의해 상기 숫지그(140)의 개략적인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면, 상기 암지그(130)의 제1체결공(131)과 상기 숫지그(140)의 제2체결공(141) 간을 일치시킨 후 고정키(150)를 상기 제1체결공(131) 및 제2체결공(141)에 연속하여 관통 삽입함으로써 상기 암지그(130)에 상기 숫지그(140)의 고정이 완료된다. 이의 상태는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과 같다.
이후, 서포터(110)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서포터(110)의 나사부(112)가 높이조절너트(120)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121)과 연동되면서 미세하게 상향 이동 혹은, 하향 이동된다.
이렇게 하여, 상기 서포터(110)의 높낮이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서포터(110) 의 상단을 이루는 헤드부(111)의 상면으로 선체의 형성을 위한 곡 구조물(블럭)이 얹혀진 후 여타 곡 구조물(블럭)과의 용접 등과 같은 결합 작업이 진행된다.
한편, 전술한 일련의 과정 중 핀지그를 구성하는 숫지그(14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종류(혹은, 무게가 무거운 종류)로 사용될 경우라면 전술한 제1복원부재(252)의 복원력으로는 상기한 숫지그(140)의 무게를 지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숫지그(140)를 얹을 경우 승강 플레이트(240)의 급격한 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숫지그(14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종류(혹은, 무게가 무거운 종류)로 사용될 경우에는 연동부(280)를 구성하는 조작단(285)의 조작을 통해 제1복원부(250)의 제1복원부재(252)가 제2복원부(260)의 제2복원부재(262)와 연동되도록 한다.
즉, 상기한 조작단(285)의 조작이 이루어져 가압핀(284)을 상향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가압핀(284)에 의해 가압된 상태의 키이부재(283)가 탄력부재(286)의 복원력에 의해 제1회전 샤프트(253)의 치합공(281)으로부터 상향 이동되면서 상기 제2회전 샤프트(263)의 치합공(282) 내로도 일부가 삽입된다. 이는, 첨부된 도 11 및 도 12와 같다.
이로 인해, 숫지그(140)의 얹힘에 의한 승강 플레이트(240)의 하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도중 스크류축(2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축(230)과 축결합된 제1복원부(250)의 제1회전샤프트(253)가 회전되면서 제1복원부재(252)가 감기게 됨과 더불어 제1회전샤프트(253)의 회전에 따른 키이부재(283)의 회전에 의해 제2회전샤 프트(253)가 회전되면서 제2복원부재(262) 역시 감김이 이루어진다. 이는, 첨부된 도 13 및 도 14와 같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축(230)은 상기한 제1복원부재(252)의 감김에 의한 복원력 및 상기 제2복원부재(262)의 감김에 의한 복원력을 동시에 제공받게 되어, 실질적으로 승강 플레이트(240)는 무게가 무거워졌다고는 하지만 급격한 하향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그의 위치에 상관없이 상기 제1복원부재(252) 및 제2복원부재(262)로부터 항상 일정한 지지력을 제공받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중 각 복원부(250,260)는 전술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서로 적층된 상태로만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첨부된 도 15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복원부(250)는 각 지지핀(220)의 상측 부위에 위치된 상태로 스크류축(230)의 상단에 결합되고, 제2복원부(260)는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하측 부위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스크류축(230)의 하단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의 경우, 연동부(280)를 구성하는 치합공(281)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1복원부(250)를 구성하는 제1회전샤프트(253)에 형성됨과 더불어 다른 하나의 치합공(287)은 스크류축(230)과 결합되는 별도의 샤프트(233)의 중앙을 따라 각각 형성되고, 키이부재(283)는 상기 스크류축(230)의 치합공(287) 내에 탄력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함께 상기 키이부재(283)는 조작단(285)의 조작에 의한 가압핀(284)의 상향 이동시 상기 제1회전샤프트(253)의 치합공(281) 내로 일부가 요입 되도록 동작된다.
물론, 상기한 제2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10)는 삭제됨과 더불어 각 지지핀(220)은 상기 제2복원부(260)의 케이스체(261)에 직접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중 각 복원부(250,260)는 전술된 제1실시예와는 반대로 각 지지핀(220)의 저부측에 서로 적층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첨부된 도 16과 같이 복원부(250,260,290)가 셋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의 경우 예컨대, 어느 두 복원부(250,260)는 각 지지핀(220)의 상부측(혹은, 저부측)에 서로 적층되도록 설치하고 나머지 하나의 복원부(290)는 각 지지핀(220)의 저부측(혹은, 상부측)에 설치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중 연동부는 전술된 각 실시예로만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 복원부(250,260)를 구성하는 각 회전샤프트(253,263) 간의 대향면을 서로 치합되는 기어 구조로 형성함과 더불어 연동부(280)는 상기한 각 회전샤프트(253,263) 간의 기어 구조가 서로 맞물리도록 승강시키는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구조의 채택이 가능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복원부(250,260) 및 연동부(280)가 함께 존재하는 구조적인 특징 의 기술에서는 스크류축(230)이 반드시 존재하여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한 스크류축(230)의 구성은 숫지그(140)의 높이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힘으로 위치 변경이 가능함과 더불어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해당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기술이기 때문이다.
이렇듯, 본 발명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는 사용자의 필요성이나 제조 공정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 및 승강 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 및 그의 승강 보조장치에 대한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에 대한 확대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스크류축과 승강 플레이트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에 대한 동작 상태 중 상대적으로 가벼운 숫지그의 설치시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9는 도 8의 “B”부에 대한 확대도
도 10은 도 8의 “C”부에 대한 확대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에 대한 동작 상태 중 상대적으로 무거운 숫지그의 설치시 최초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D”부에 대한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 장치에 대한 동작 상태 중 상대적으로 무거운 숫지그의 설치시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14는 도 13의 “E”부에 대한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서포트 120. 높이조절너트
130. 암지그 140. 숫지그
150. 고정키 210. 베이스 플레이트
220. 지지핀 230. 스크류축
231a,231b,231c. 나선홈 240. 승강 플레이트
241. 제1관통공 242. 이동돌기
243. 제2관통공 244. 부시
245. 결합공 246. 설치홀
247. 블럭 250,260,290. 복원부
251. 케이스체 252,262. 복원부재
253,263. 회전샤프트 280. 연동부
281,282,287. 치합공 283. 키이부재
284. 가압핀 285. 조작단
286. 탄력부재

Claims (8)

  1. 베이스 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의 지지핀;
    핀지그의 숫지그가 얹히는 영역을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각 지지핀의 안내를 받으면서 승강되는 승강 플레이트;
    상기 숫지그의 얹힘에 의한 승강 플레이트의 하향 이동시 급격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복원부재를 가지면서 서로 적층되게 구성된 복수의 복원부; 그리고,
    상기 각 복원부의 각 복원부재가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하거나 혹은, 개별 동작되도록 서로 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원부는
    상기 각 지지핀의 타단에 고정되면서 내부에는 상기 복원부재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갖는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 내의 중앙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로의 하향 이동력 제공시 상기 복원부재를 압축시키고 상기 하향 이동력이 해제될 경우 상기 복원부재의 복원력을 제공받아 승강 플레이트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원부재는 양단이 상기 회전샤프트의 둘레면 및 상기 케이스체의 내벽면에 각각 고정됨과 더불어 그 내측 부위는 상기 회전샤프트를 권취하는 태엽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측에는 둘레면을 따라 나선홈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승강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스크류축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각 부위 중 상기 스크류축이 관통되는 부위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선홈에 요입되는 이동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각 복원부 중 어느 하나의 복원부를 구성하는 복원부재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에 따른 스크류축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압축 혹은, 복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각 복원부를 구성하는 회전샤프트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는 치합공과,
    상기 각 회전샤프트의 치합공 중 어느 한 회전샤프트의 치합공 내에 탄력 이동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가압력의 해제시 다른 한 회전샤프트의 치합공 내로 일부가 요입되도록 동작되는 키이부재와,
    상기 키이부재가 어느 한 회전샤프트의 치합공 내에 위치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핀과,
    상기 가압핀의 가압 조작을 위한 조작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축의 나선홈은 상기 스크류축의 저부로 갈수록 그 피치(pitch)가 점차 커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5. 삭제
  6. 삭제
  7. 베이스 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높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복수의 지지핀;
    핀지그의 숫지그가 얹히는 영역을 제공함과 더불어 상기 각 지지핀의 안내를 받으면서 승강되는 승강 플레이트;
    상기 숫지그의 얹힘에 의한 승강 플레이트의 하향 이동시 급격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복원부재를 가지면서 서로 적층되게 구성된 복수의 복원부; 그리고,
    상기 각 복원부의 각 복원부재가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하거나 혹은, 개별 동작되도록 서로 간의 연결을 해제하는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복원부는
    상기 각 지지핀의 타단에 고정되면서 내부에는 상기 복원부재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갖는 케이스체와,
    상기 케이스체 내의 중앙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로의 하향 이동력 제공시 상기 복원부재를 압축시키고 상기 하향 이동력이 해제될 경우 상기 복원부재의 복원력을 제공받아 승강 플레이트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회전샤프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원부재는 양단이 상기 회전샤프트의 둘레면 및 상기 케이스체의 내벽면에 각각 고정됨과 더불어 그 내측 부위는 상기 회전샤프트를 권취하는 태엽 스프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중앙측에는 둘레면을 따라 나선홈이 요입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중앙을 관통하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승강 이동에 따라 회전되는 스크류축이 설치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각 부위 중 상기 스크류축이 관통되는 부위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선홈에 요입되는 이동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각 복원부 중 어느 하나의 복원부를 구성하는 복원부재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하 이동에 따른 스크류축의 회전에 의해 선택적으로 압축 혹은, 복원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각 복원부 중 어느 한 복원부는 상기 각 지지핀의 상측 부위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스크류축의 상단과 결합됨과 더불어 다른 한 복원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측 부위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스크류축의 하단과 결합되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어느 한 복원부를 구성하는 회전샤프트 및 이에 대응하는 스크류축의 중앙을 따라 형성되는 치합공과,
    상기 회전샤프트에 형성된 치합공 내에 탄력 이동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가압력의 해제시 스크류축의 치합공 내로 일부가 요입되도록 동작되는 키이부재와,
    상기 키이부재가 스크류축의 치합공 내에 위치되도록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핀과,
    상기 가압핀의 가압 조작을 위한 조작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8. 삭제
KR1020080102179A 2008-10-17 2008-10-17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KR100907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179A KR100907336B1 (ko) 2008-10-17 2008-10-17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2179A KR100907336B1 (ko) 2008-10-17 2008-10-17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336B1 true KR100907336B1 (ko) 2009-07-13

Family

ID=4133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2179A KR100907336B1 (ko) 2008-10-17 2008-10-17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3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321B1 (ko) 2007-01-23 2008-06-12 (주)에스피에스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321B1 (ko) 2007-01-23 2008-06-12 (주)에스피에스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321B1 (ko)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DE19714663A1 (de) Elektrisches Schneid- und Biegewerkzeug
CN210128000U (zh) 快速锁装置及显示屏
JP4890730B2 (ja) 折畳式柱状構造体
KR100907336B1 (ko)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EP3019047A1 (de) Mechanik für einen bürostuhl
WO2009100926A1 (de) Stuhlfuss mit rollsperre
WO2003092545A2 (de) Gelenk einer prothese mit vier achsbolzen
WO2009118362A1 (de) Vakuumheber
CN104172787A (zh) 沙发
CN113070507B (zh) 一种高端装备制造用金属环等距打孔装置
CN213840316U (zh) 一种高度可调节的台式电脑显示器
KR200424935Y1 (ko)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의 승강 보조장치
EP1563764A1 (en) Device for adjusting the distance of a component such as a panel or the like from a supporting surface
WO2012104024A1 (de) Synchronmechanik
KR100885263B1 (ko) 책상의 수동식 높낮이 조절장치
JP2005076819A (ja) 伸縮装置
CN111663726B (zh) 多功能楼梯
CN109717990B (zh) 一种钛合金几何锁膝关节
JP2891185B2 (ja) 脚高さ調節装置
CN219877772U (zh) 一种座椅升降机构
KR200415155Y1 (ko) 곡 구조물 지지용 핀지그
CN219527671U (zh) 一种双排钢板桩基坑支护节点的连接结构
CN214414537U (zh) 一种折叠床
CN215874032U (zh) 一种座椅及其手摇式升降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