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488B1 - 중간벽 및 나선형 힘살이 형성된 합성수지 다층관, 이의 제조장치 및 그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중간벽 및 나선형 힘살이 형성된 합성수지 다층관, 이의 제조장치 및 그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488B1
KR100904488B1 KR1020090003601A KR20090003601A KR100904488B1 KR 100904488 B1 KR100904488 B1 KR 100904488B1 KR 1020090003601 A KR1020090003601 A KR 1020090003601A KR 20090003601 A KR20090003601 A KR 20090003601A KR 100904488 B1 KR100904488 B1 KR 100904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synthetic resin
wall
slit
roto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식
Original Assignee
정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식 filed Critical 정경식
Priority to KR1020090003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4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0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flexible, e.g. blown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29C48/335Multiple annular extrusion nozzles in coaxial arrangement, e.g. for making multi-layered tubular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직선, 나선형과 같이 원하는 형태의 중간벽 형성이 용이하고, 내벽, 외벽 및 중간벽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를 구획하여 중공셀을 구성하는 격벽의 형성이 용이하면서도, 구동부의 무게 및 가동부를 최소화하고, 수지관의 직경 및 내외벽 간의 두께 조절이 용이한 사출구를 구비하는 중간벽 및 나선형 힘살이 형성된 합성수지 다층관, 이의 제조장치 및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벽 및 나선형 힘살이 형성된 합성수지 다층관의 제조장치는 합성수지 원료를 액체상태로 공급하는 원료공급기, 상기 원료공급기로부터의 액상 합성수지 원료를 이용하여 내벽과 외벽 사이에 복수의 중공 또는 복수의 중공셀이 형성되는 합성수지 다층관을 제조하는 압출성형기 및 제조된 상기 합성수지 다층관을 표면처리 및 절단하여 이송하는 후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다층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기는 일방향으로 관통되는 원통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액상 합성수지 원료의 이송을 위한 제1 내지 제3슬릿을 형성하는 복수의 하우징블럭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원통중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일단에 동력전달 수단을 가지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파이프형태의 로터암; 상기 로터암의 동력전달 수단을 통해 상기 로터암을 정속회전, 가속회전, 역회전 및 정지 중 어느 한 상태로 유지하는 서보모터; 상기 로터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로터암에 의해 정속회전, 가속회전, 역회전 및 정지 상태 어느 한 상태로 유지되는 가동블럭과, 상기 가동블럭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슬 릿과 연결되는 사출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사출슬릿 종단의 말단슬릿에 의해 상기 액상 합성수지 원료를 사출하는 사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합성수지, 다층관, 다중관, 이중벽관, 압출기, 사출기

Description

중간벽 및 나선형 힘살이 형성된 합성수지 다층관, 이의 제조장치 및 그 성형방법{Synthetic Resins Pipe Including Middle Wall And Partition, And Fabricating Device Thereof, And Fabrica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합성수지 다층관 및 이의 제조장치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선, 나선형과 같이 원하는 형태의 중간벽 형성이 용이하고, 내벽, 외벽 및 중간벽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를 구획하여 중공셀을 구성하는 격벽의 형성이 용이하면서도, 구동부의 무게 및 가동부를 최소화하고, 수지관의 직경 및 내외벽 간의 두께 조절이 용이한 사출구를 구비하는 중간벽 및 나선형 힘살이 형성된 합성수지 다층관, 이의 제조장치 및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합성수지관은 최근에 성능이 개선됨에 따라 하수관, 배수관을 비롯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합성수지관은 주철관, 콘크리트 성형관에 비해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지 않을 정도로 개선됨에 따라 노출형뿐만 아니라 지중에 매설되는 용도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합성수지관이 주철관과 콘크리트 성형관을 대체할 수 있게 된 이유 중 하나는 다겹, 다층형 합성수지관이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다층형 합성수지관은 외벽과 내벽의 이중 벽구조로 형성되고, 외벽과 내벽 사이에 중간벽이 형성된 형태로 이용된다. 이러한 형태의 다층형 합성수지관은 재료로 사용되는 합성수지의 성능향상과 함께 외벽, 내벽 및 중간벽 구조가 내외압에 대한 내성을 크게 하는데 기인한다. 특히, 이와 같은 다층형 합성수지관은 내벽 및 외벽 중 어느 하나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다른 벽 하나가 여전히 존재함으로써 이송물질의 유출을 방지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때문에 다층형 합성수지관은 하수도 및 상수도와 같이 내부 오물의 유출 및 외부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할 필요가 있는 사용처에 빈번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층형 합성수지관은 다양한 제조기구와 성형방법이 존재한다.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은 단면형상이 사각형상인 관을 형성하고, 이를 권취 접합하여 형성하는 방법, 사출성형에 의한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경우 접합부위의 접합강도가 약하고, 접합부위에 의해 불균일한 벽면을 가지며, 성형에 오랜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후자의 경우 상대적으로 적은 소요시간과 균일한 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반면, 중간벽의 형성이 어렵고, 중간벽의 형상을 원하는 형태로 형성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다층형 합성수지관은 중간벽이 길이방향으로만 형성됨으로 인해 중간벽에 의한 통로가 합성수지관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 형성된다. 때문에 내벽이나 외벽 중 어느 하나에 균열,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이 통로를 따라 유출, 유입물질이 가득차게 되어 남은 구조물의 파손 및 오염을 유도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선, 나선형과 같이 원하는 형태의 중간벽 형성이 용이하고, 내벽, 외벽 및 중간벽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를 구획하여 중공셀을 구성하는 격벽의 형성이 용이하면서도, 구동부의 무게 및 가동부를 최소화하고, 수지관의 직경 및 내외벽 간의 두께 조절이 용이한 사출구를 구비하는 중간벽 및 나선형 힘살이 형성된 합성수지 다층관, 이의 제조장치 및 그 성형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중간벽 및 나선형 힘살이 형성된 합성수지 다층관의 제조장치는 합성수지 원료를 액체상태로 공급하는 원료공급기, 상기 원료공급기로부터의 액상 합성수지 원료를 이용하여 내벽과 외벽 사이에 복수의 중공 또는 복수의 중공셀이 형성되는 합성수지 다층관을 제조하는 압출성형기 및 제조된 상기 합성수지 다층관을 표면처리 및 절단하여 이송하는 후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다층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기는 일방향으로 관통되는 원통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액상 합성수지 원료의 이송을 위한 제1 내지 제3슬릿을 형성하는 복수의 하우징블럭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원통중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일단에 동력전달 수단을 가지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파이프형태의 로터암; 상기 로터암의 동력전달 수단을 통해 상기 로터암을 정속회전, 가속회전, 역회전 및 정지 중 어느 한 상태로 유지하는 서보모터; 상기 로터암의 타 단에 결합되어 상기 로터암에 의해 정속회전, 가속회전, 역회전 및 정지 상태 어느 한 상태로 유지되는 가동블럭과, 상기 가동블럭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슬릿과 연결되는 사출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사출슬릿 종단의 말단슬릿에 의해 상기 액상 합성수지 원료를 사출하는 사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삭제
상기 사출부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신장되는 가이들플랫을 가지는 그릇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가 상기 로터암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로터암의 상기 중공과 소통되는 홀이 상기 저면부에 형성되는 제1사출블럭; 일면이 상기 가이드플랫에 결합되는 폴리페드; 상기 일면과 대면하는 상기 폴리페드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2사출블럭; 및 상기 제1 및 제2사출블럭과 이격되어 사출슬릿을 형성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3사출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폴리페드는 상기 사출슬릿 중 상기 제2사출블럭과 상기 제3사출블럭의 사이에 형성되는 말단슬릿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및 상기 제3사출블럭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리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출부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신장되는 가이들플랫을 가지는 그릇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터암이 관통되어 노출되도록 상기 저면부에 홀이 형성되는 제1사출블럭; 상기 로터암의 일단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폴리페드; 상기 일면과 대면하는 상기 폴리페드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2사출블럭; 및 상기 제1 및 제2사출블럭과 이격되어 사출슬릿을 형성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3사출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폴리페드는 상기 사출슬릿 중 상기 제2사출블럭과 상기 제3사출블럭의 사이에 형성되는 말단슬릿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및 상기 제3사출블럭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리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다층관의 제조방법은 합성수지 원료를 액체상태로 공급하는 원료공급기, 상기 원료공급기로부터의 액상 합성수지 원료를 이용하여 내벽과 외벽 사이에 복수의 중공 또는 복수의 중공셀이 형성되는 합성수지 다층관을 제조하기 위해, 일방향으로 관통되는 원통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액상 합성수지 원료의 이송을 위한 제1 내지 제3슬릿을 형성하는 복수의 하우징블럭으로 구성된 하우징; 상기 원통중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일단에 동력전달 수단을 가지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파이프형태의 로터암; 상기 로터암의 동력전달 수단을 통해 상기 로터암을 정속회전, 가속회전, 역회전 및 정지 중 어느 한 상태로 유지하는 서보모터; 및 상기 로터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로터암에 의해 정속회전, 가속회전, 역회전 및 정지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유지되는 가동블럭과, 상기 가동블럭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슬릿과 연결되는 사출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사출슬릿 종단의 말단슬릿에 의해 상기 액상합성수지 원료를 사출하는 사출부;를 가지는 압출성형기가 포함된 제조장치를 이용한 합성수지 다층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기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슬릿 및 제2슬릿으로 상기 액상합성수지가 공급되는 단계; 상기 액상합성수지가 상기 제1 및 제2슬릿과 연결된 제3슬릿으로 공급되는 단계; 상기 액상합성수지가 상기 제3슬릿과 연결된 상기 사출슬릿으로 공급되는 단계: 상기 사출부가 정속회전 및 정지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유지되는 단계; 및 상기 액상합성수지가 상기 사출슬릿 종단의 상기 말단슬릿으로 통해 사출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사출부가 정속회전 및 정지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유지되는 단계;는
상기 사출부가 상기 정속회전 중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시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가속회전 하는 단계; 상기 사출부가 상기 정속회전 중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시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역회전 하는 단계; 및 상기 정지상태의 사출부가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시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정속회전 하는 단계; 중 어느 한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다층관은 서로 이격되는 외벽과 내벽 및 상기 외벽과 내벽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여 중공셀을 형성하는 중간벽 및 격벽을 가지도록 일방향으로 압출되어 형성되는 합성수지 다층관에 있어서, 상기 중간벽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내벽의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외벽과 상 기 내벽을 연결하도록 상기 일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의 공간이 상기 일방향으로 구획된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중간벽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중간벽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벽, 상기 외벽 및 상기 이웃하는 중간벽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을 단속(斷續)하여 중공셀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다층관, 이의 제조장치 및 그 성형방법은 직선, 나선형과 같이 원하는 형태의 중간벽 형성이 용이하고, 내벽, 외벽 및 중간벽에 의해 형성되는 통로를 구획하여 중공셀을 구성하는 격벽의 형성이 용이하면서도, 구동부의 무게 및 가동부를 최소화하고, 수지관의 직경 및 내외벽 간의 두께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양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참조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다층관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다층관 제조장치는 원료공급기(10, 11), 압출성형기(100) 및 후처리장치(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원료공급기(10, 11)는 합성수지 다층관의 재료가 되는 합성수지 원료를 압출성형기(100)에 공급한다. 이 원료공급기(10, 11)는 합성수지 원료를 용융된 상태로 압출성형기(30)에 제공하며, 이를 위해 원료 이송수단, 원료 용융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원료공급기(10, 11)는 하나만 구성될 수도 있지만, 도 1에서와 같이 둘 이상의 공급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원료공급기(10, 11)를 구분하여 구성하는 경우, 합성수지 원료의 공급을 보다 편리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원료공급기(10, 11)를 구성하는 경우 합성수지 다층관의 내벽과 외벽과 각각 다른 착색제, 성능개선제와 같은 첨가제를 첨가하여 합성수지 다층관의 성능을 변화시키기 유리한 장점이 있다.
압출성형기(100)는 원료공급기(10, 11)로부터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료를 가공하여 합성수지 다층관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압출성형기(100)는 원료공급기(10, 11)와 연결되고, 복수의 하우징, 사출부, 가동부재 및 동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출성형기(100)는 하우징을 통해 합성수지 원료가 공급되고, 공급된 합성수지 원료는 사출부를 통해 배출되어 파이프로 성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압출성형기(100)는 사출부가 하우징을 관통하는 로터암에 회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간벽을 직선형, 단속적인 직선형, 사선형, 웨이브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이 가능하다. 또한, 압출성형기(100)의 사출부에는 중공셀을 형성하는 폴리페드가 설치된다. 이 폴리페드는 로터암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사출부와 함께 원하는 형태의 중공셀 또는 중공라인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압출성형기(10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후처리장치(30)는 압출성형기(100)로부터 성형되어 사출되는 파이프를 냉각하고, 이송하며, 사용자가 설정한 길이에 따라 절단한다. 이를 위해 후처리장치(30)는 냉각장치, 이송장치 및 절단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후처리장치(30)는 사출되는 합성수지 다층관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거나, 코팅처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표면 재처리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후처리장치(30)의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성형기(100)의 단면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에서 압출성형기(100)의 하부에 도시된 모터 및 선반은 개념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단면도로 도시하지 않고 측면도 형태로 도시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압출성형기(100)는 크게 하우징(150), 사출부(110), 로터암(190) 및 서보모터(1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잡한 형태의 하우징블럭(151 내지 155)들로 구성된다. 이 하우징블럭(151 내지 155)은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서로 견고히 결합되어 압출성형기(100)를 구성한다. 이 하우징블럭(151 내지 155)은 원료주입구(175 : 175a, 175b)를 통해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료가 사출부(110)로 전달되는 통로를 형성하며, 합성수지 원료가 용융상태를 유지하도록 합성수지 원료에 일정한 수준의 열을 제공한다. 또한, 하우징블럭(151 내지 155)은 사출부의 비구동부를 고정하여 사출부(110)의 구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하우징블럭(151 내지 155)은 로터암(190)이 회전력을 사출부(110)에 전달할 수 있도록 로터암(190)이 관통되는 원통중공(170)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로터암(19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하우징(150)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복수의 하우징블럭(151 내지 155)이 결합하여 구성된다. 이 하우징(150)은 도면번호가 부여된 제1 내지 제5하우징블럭(151 내지 155) 외에도 별도의 하우징블럭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는 생략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에 앞서, 도 2에 도시된 하우징(150)의 형태는 압출성형기(100)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설계변경이 가능하며, 이 때문에 하우징(150)의 형태에 대해서는 압출성형기(100)의 동작 및 구조의 이해를 돕는 수준에서 간략하게 하기로 한다. 제1하우징블럭(151)은 제2하우징블럭(152)과 함께 제1슬릿(160)을 형성한다. 특히, 제1하우징블럭(15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및 제4 하우징블럭(153, 154)과 함께 원통중공(170)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로터암(190)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제2하우징블럭(152)은 제1하우징블럭(151)과 함께 제1슬릿(160)을 형성하고, 제3하우징블럭(153)과 제2슬릿(161)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2하우징블럭(152)은 제1 및 제2원료주입구(175)가 결합되며, 이때 제1원료주입구(175a)는 제1슬릿(160)과 소통되도록 제2하우징블럭(152)의 일단에 결합되며, 제2원료주입구(175b)는 제2슬릿(161)과 소통되도록 제2하우징블럭(152)의 타단에 결합된다. 제3하우징블럭(153)은 제1슬릿(160)과 제3슬릿(163)을 연결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제4하우징블럭(154)은 제5하우징블럭(155)과 함께 제3슬릿(163)을 형성하며, 제3슬릿(163)은 제1슬릿(160) 및 제2슬릿(161)을 통해 공급된 합성수지 원료가 모아지는 공간으로 제공된다. 아울러 이 제3슬릿(163)은 사출부(110)의 사출슬릿(130)과 연결된다. 제5하우징블럭(155)은 제3 및 제4하우징블럭(153, 154)과 함께 제3슬릿(163)을 형성한다. 특히, 제5하우징블럭(155)과 제3하우징블럭(153) 사이에는 하우징플레이트(156)가 삽입된다. 이 하우징플레이트(156)는 제1 및 제2슬릿(160, 161)을 통해 공급되는 합성수지의 원료의 혼합량을 조절함과 아울러, 합성수지 원료가 제1 및 제2슬릿(160, 161)을 따라 고루 퍼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플레이트(156)는 제1슬릿(160)과 연결되는 부분, 즉 제3하우징블럭(153)과 하우징플레이트(156)간의 간격과, 제2슬릿(161)과 연결되는 부분, 즉 제5하우징블럭(155)과 하우징플레이트(156)간의 간격이 조정되도록 설치된다. 하우징플레이트(156)와 하우징블럭(151 내지 155)간의 간격을 달리하는 경우 제1슬릿(160) 및 제2슬릿(161)을 통해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료의 혼합량의 조절하기 용이하며, 이를 통해 첨가성분이 다른 내벽 및 외벽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와 같은 형태의 하우징플레이트(156)를 가지는 경우 내벽과 외벽의 색을 달리할 수 있으며,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러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이 하우징플레이트(156)의 일측에는 충전돌기(157)가 형성된다. 이 충전돌기(157)는 주로 하우징블럭(151 내지 155)과의 간격이 넓은 곳에 형성되어, 제1슬릿(160)이나 제2슬릿(161)으로부터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료의 압력을 높여 합성수지 원료가 제3슬릿(163) 내에 고루 퍼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압출성형기(100)가 단면형태로 제공되어 있으나, 하우징블럭(151 내지 155) 및 하우징플레이트(156)는 로터암(190) 즉, 원통중공(170)을 감싸는 형태의 기둥형 블럭으로 구성된다. 즉, 하우징플레이트(156)의 경우에도 속이 빈 형태의 원통 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며, 다른 하우징블럭(151 내지 155)들도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아울러, 제5하우징블럭(155)에는 체결수단(180)에 의해 사출부(110) 중 회전하지 않는 제3사출블럭(113)이 고정된다.
사출부(110)는 하우징(150)을 통해 공급되는 합성수지 원료를 사출하여 합성수지 다층관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사출부(110)는 복수의 사출블럭(111 내지 113)과 폴리페드(120)로 구성된다. 이 사출부(110)에는 제3슬릿(163)과 연결되어 합성수지 원료가 사출되는 사출슬릿(130)형성되며, 사출슬릿(130)의 종단인 말단슬릿(131)에는 폴리페드(120)의 리드(121)가 말단슬릿(131)과 평행한 방향으로, 사츨블럭(111 내지 113)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된다. 이를 통해 사출슬릿(130)을 거쳐 말단슬릿(131)을 통해 사출되는 합성수지 원료는 말단슬릿(131)에 의해 두께가 결정되며, 폴리페드(120)의 리드(121)에 의해 중간벽 및 격벽이 형성되어 중공셀 또는 중공을 가지는 합성수지 다층관이 형성된다. 이 사출부(110)는 로터암(190)에 고정되어 로터암(190)이 회전하는 경우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 사출부(110)의 회전은 로터암(190)에 의한 것으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회전하도록 하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하여 합성수지 다층관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합성수지 다층관은 사출부(110)가 연속적인 회전 또는 단속적인 회전을 수행하도록 하여 나선형의 중간벽 또는 격벽을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합성수지 다층관 중공 또는 중공셀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사출부(110)는 생산하고자 하는 합성수지 다층관의 직경에 따라 압출성형기(100)로부터 분리하여, 직경에 맞는 형태의 다른 사출부(110)로 교체가 가능하다.
로터암(190)은 서보모터(195)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일단에 결합된 사출부(110)를 서보모터(195)의 동력에 의해 회전시킨다. 이 로터암(190)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단에는 사출부(110)가 결합되며, 타단에는 서보모터(195)로부터 동력을 제공받기 위한 벨트풀리(193) 또는 기어(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로터암(190)의 종단에 벨트풀리(193)가 결합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 로터암(19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하우징(150)에 의해 압출성형장치(100)의 중앙에 형성되는 원통중공(17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위해 로터암(190)과 원통중공(170)의 사이에는 로터암(190)의 회전을 위한 베어링과 같은 보조수단이 부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서보모터(195)는 사출부(110)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이 서보모터(195)의 동력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벨트(미도시)를 통해 로터암(190)의 벨트풀리(193)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로터암(190)에 의해 사출부(110)로 전달된다. 이 서보모터(195)는 사용자의 설정이 입력된 제어반(미도시)에 의해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속회전을 수행하여 사출부(110)의 회전을 발생시키고, 이를 통해 합성수지 다층관의 형태를 결정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부(110)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출부(110)는 제1 내지 제3사출블럭(111 내지 113) 및 폴리페드(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은 제1 내지 제3사출블럭(111 내지 113) 및 폴리페드(120)를 결합하는 체결수단은 생략하고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체결수단, 예를 들어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된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제1사출블럭(111)은 제3사출블럭(113)과 함께 사출슬릿(130)을 형성한다. 또한, 제1사출블럭(111)은 저면에 통기를 위한 홀(111c)이 형성되고, 홀(111c)과 로터암(190)의 중공이 소통되도록 로터암(190)에 결합된다. 이 제1사출블럭(111)의 가이드플랫(111b)에는 폴리페드(120)가 고정된다. 폴리페드(120)는 제1사출블럭(111)의 가이드플랫(111b)에 결합되며, 말단슬릿(131)에 배치되는 리드(121)를 구비한다. 이 리드(121)는 합성수지 다층관의 성형시 중간벽 또는 격벽을 형성하는 도구로 이용되며, 리드(121)의 형상에 따라 중공의 단면형상이 결정된다. 여기 서, 도 3에서는 사각형태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리드(121)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형 형상, 삼각형 형상을 비롯한 다각형 형상의 단면형태를 가지는 리드(121)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사출블럭(112)은 폴리페드(120)의 일면에 결합되며, 이를 통해 폴리페드(120)가 제1사출블럭(111)과 제2사출블럭(112)의 사이에 배치되는 형태로 사출부(110)가 구성된다. 이 제2사출블럭(112)은 사출슬릿(130) 중 말단슬릿(131)을 형성하며, 이 제2사출블럭(112)의 외주면에 의해 합성수지 다층관의 내벽면이 형성된다. 아울러, 제1사출블럭(111), 제2사출블럭(112) 및 폴리페드는 로터암(190)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통기를 위한 홀이 형성되어, 로터암(190)의 중공(191)과 서로 소통된다. 이를 통해 합성수지 다층관을 형성하는 경우 공기의 유통을 가능하게 하여 합성수지 다층관의 찌그러짐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3사출블럭(113)은 하우징(150)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며, 제1사출블럭(111)과 사출슬릿(130)을 형성하고, 제2사출블럭(112)과 사출슬릿(130) 중 말단슬릿(131)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사출부(110)는 제3사출블럭(113)을 제외한 나머지 사출블럭(111 내지 113) 즉, 제1사출블럭(111), 제2사출블럭(112) 및 폴리페드(120)가 로터암(190)에 결합되어, 로터암(19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압출성형기(100)를 이용하여 합성수지 다층관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이후의 설명과 같다.
용융된 합성수지 원료가 원료공급기(10, 11)에 의해 용융된 상태로 원료주입구(175)로 제공된다. 원료주입구(175)로 공급된 합성수지 원료는 제1 및 제2슬릿(160, 161)을 통해 제3슬릿(163)으로 공급된다. 이때, 합성수지 원료는 하우징플레이트(156) 특히, 충전돌기(157)에 의해 제3슬릿(163)에 고르게 퍼져 충전되고, 계속해서 사출슬릿(130) 및 말단슬릿(131)으로 공급된다. 이후, 말단슬릿(131)을 통해 사출되고, 사출 후 응고됨으로써 합성수지 다층관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본 발명의 압출성형기(100)는 사출부(110)의 동작을 조정함으로써 형성되는 합성수지 다층관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출부(110) 즉, 로터암(190)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경우 성형되는 합성수지 다층관은 사출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되는 중공과 중간벽을 가지는 일반적인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와 달리, 사출부(110)를 로터암(190)에 의해 일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사출부(110)의 회전에 따라 중공 및 중간벽의 형태가 나선형 형상을 가지는 합성수지 다층관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사출부(110)를 회전하는 중에 사출부(110)의 회전속도를 순간적으로 상승시키는 경우 중공의 중간중간에 격벽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중공셀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사출부(110)를 회전시키지 않고 합성수지 다층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일순간 즉, 일정각도만 사출부(110)를 회전시키는 경우 중간벽은 사출방향과 평행한 형태의 중간벽을 형성하고, 사출부(110)의 부분적인 회전으로 인해 격벽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나선형의 중간벽 또는 격벽의 형성에 있어서 사출부(110)의 순간적인 가속회전, 역회전을 결정하고, 가속회전 및 역회전시의 속도, 각도를 조절하면, 다양한 형태의 중공셀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중공 또는 중공셀을 가지는 합성수지 다층관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출성형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출성형기(200)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150), 사출부(210), 로터암(190) 및 서보모터(1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의 실시예가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은 사출부(210)의 구성에 있다. 때문에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도 4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지는 구성에 대해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출부(210)는 전술한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내지 제3사출블럭(211 내지 213) 및 폴리페드(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사출부(210)가 전술한 일 실시예의 사출부(210)와 다른 점은 로터암(190)에 의해 회전 가능한 구성이 폴리페드(220) 및 제2사출블럭(212)으로 한정되고, 제1사출블럭(211)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하우징(150)에 고정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사출블럭(211)이 제2사출블럭(212) 및 폴리페드(220)와 함께 회전가능하도록 로터암(190)에 결합되었으나, 이 경우 로터암(190)에 의해 회전하는 구성의 중량이 증가함에 따라 로터암(190) 및 서보모터(195)의 부담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이로 인해 격벽의 형성 및 사출부(210)의 회전구동 시 정밀한 동작이 어려워지고, 역회전에 의한 격벽 형성이 다소 불리해지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사출블럭(211)이 회전하지 않도록 하우징(150)에 고정시키고, 제2사출블럭(212) 및 폴리페드(220)만을 회전하도록 하여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암(190)의 일측 종단이 제1사출블럭(211)에 결합되지 않고, 폴리페드(220)와 체결수단(280)에 의해 결합된다. 이를 위해 로터암(190)의 일측 종단에는 체결수단(280)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플렌지(281)가 로터암(190)의 외주연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사출블럭(211)은 하우징(150)에 고정되어 결합되고, 제1사출블럭(211)과 폴리페드(220)의 사이에는 폴리페드(220)의 회전을 원활히 하기 위한 베어링(299)과 같은 윤활부재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서는 폴리페드(220)와 제1사출블럭(211) 사이에 베어링(299)이 구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종류의 윤활부재를 적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2사출블럭(212)은 폴리페드(220)에 견고히 고정되어 제3사출블럭(213)과 함께 말단슬릿(231)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사출부(210)의 구성으로 인해 로터암(190)은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폴리페드(220)와 제2사출블럭(212)만을 필요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 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로터암(190)의 길이가 다소 길어지는 점은 있지만, 로터암(190) 종단의 무게가 감소함에 따라 로터암(190)에 가해지는 중량부담이 경감된다. 또한, 이를 통해 종래에 비해 적은 출력의 서보모터(195)를 사용할 수 있으므 로, 장치 구성에 소요되는 경비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서보모터(195)를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실시예에 비해 서보모터(195)의 출력에 여력이 발생함으로, 더욱 정확하고 빠른 제어가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 다층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합성수지 다층관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합성수지 다층관 제조장치는 사출부(110, 210)를 교체하도록 하여 다양한 직경의 합성수지 다층관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서보모터(195)를 통해 로터암(190)의 회전제어를 통해 사출부(110, 210)를 제어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중공 또는 중공셀 형태를 가지는 합성수지 다층관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a 및 도 5b에는 격벽을 가지지 않는 즉, 중공(350 : 350a, 350b)만을 가지는 형태의 합성수지 다층관(300a, 300b))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5a의 경우 외벽(310a)과 내벽(320a) 사이에 나선형 중간벽(330a)이 형성된 합성수지 다층관(300a)이 도시되어 있다. 이 도 5a에 도시된 합성수지 다층관(300a)은 전술한 압출성형장치의 사출부(110, 210)를 로터암(190)에 의해 일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킴으로써 성형된다. 즉, 도 5a의 합성수지 다층관(300a)은 사출부(110, 210)를 반시계방향으로 정속 회전시킴으로써 제조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나선형 합성수지 다층관(300)의 중간벽(350a)은 사출부(110, 210)의 회전속도에 따라 나선의 경사도가 달라진다.
한편, 도 5b에는 격벽을 가지지 않는 직선형 중공(350b)를 가지는 합성수지 다층관(300b)이 도시되어 있다. 이 도 5b의 직선형 중공 합성수지 다층관(300b)은 전술한 도 5b의 나선형 중공 합성수지 다층관(300a)의 제조방법과 달리 사출부(110, 210)를 회전시키기 않고, 다층관을 사출성형함으로써 형성된다. 직선형 중공 합성수지 다층관(300b)은 사출부(110, 210)가 회전하지 않는 상태에서 제조됨으로써 중간벽(330b)이 합성수지 다층관의 사출방향과 평형하게, 다층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이에 따라 중공(350b)도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5c 및 도 5d에는 중간벽(330c, 330d)과 격벽(340c, 340d)을 가짐으로써 중공셀(350c, 350d)을 가지는 합성수지 다층관(300c, 300d)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5c에는 직선형 중공 합성수지 다층관(300b)에 격벽(340c)이 형성된 직선형 중공셀 합성수지 다층관(300c)이 도시되어 있다. 이직선형 중공셀 합성수지 다층관(300c)은 전술한 직선형 중공 합성수지 다층관(300b)과 제조방법이 매우 유사하다. 직선형 중공셀 합성수지 다층관(300c)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우선, 직선형 중공 합성수지 다층관(300b)의 형성에서와 같이 사출부(110, 210)를 회전시키지 않고 합성수지 다층관을 형성하여 직선형 중간벽(330c)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다층관(300c)을 형성하던 중 일정한 길이의 사출이 이루어지면, 서보모터(195)를 일정한 시간동한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사출부(110, 210)의 폴리페드(120, 220)가 회전하게 되며, 이를 통해 격벽이 형성된다. 이때 사출부(110, 210)의 회전 속도에 따라 격벽(340c)과 중간벽(330c) 간의 각이 결정되며, 회전속도가 빠를 수록 직각에 가까워져 사각형 형상의 중공셀(350c)이 형성된다. 또한, 격벽(340c)을 형성하기 위한 사출부(110, 210)의 회전시간은 임의로 정해지는 것이 가능하지만, 회전이 지속되는 시간에 따라 격벽(340c)의 두께 및 중공셀(350c)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도 5c에는 중공셀(340c)이 이웃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회전지속시간을 조정하면, 연속되는 중공셀(350c)의 중간벽(330c)을 이전 중공셀(350c)의 중간벽(330c)과 어긋나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d에는 나선형 중공 합성수지 다층관(300a)에 격벽(340d)이 형성된 나선형 중공셀 합성수지 다층관(300d)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나선형 중공셀 합성수지 다층관(300d)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출부(110, 210)를 일방향으로 정속회전 시키면서 격벽(340d)을 형성함으로써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지, 나선형 중공셀 합성수지 다층관(300d)의 경우 직선형 중공셀 합성수지 다층관(300c)와 달리 사출부(110, 210)가 합성수지 다층관의 형성기간 동안 계속해서 회전을 하게 된다. 때문에, 나선형 중공셀(350d)의 형성을 위해서는 격벽(340d) 형성 시점에서 사출부(110, 210)를 사출부(110, 210)의 회전방향으로 가속회전 시키거나, 회전방향과 역방향으로 역회전 시켜 격벽(340d)을 형성하게 되고, 이를 통해 나선형 중공셀 합성수지 다층관(300d)을 형성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다층관의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성형기(100)의 단면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부(110)의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출성형기를 도시한 예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합성수지 다층관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합성수지 다층관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 : 원료공급기 100, 200 : 압출성형기
30 : 후처리장치 110, 210 : 사출부
111, 211 : 제1사출블럭 112, 212 : 제2사출블럭
113, 213 : 제3사출블럭 120, 220 : 폴리페드
121, 221 : 리드 130, 230 : 사출슬릿
131, 231 : 말단슬릿 150 : 하우징
151 : 제1하우징블럭 152 ; 제2하우징블럭
153 ; 제3하우징블럭 154 : 제4하우징블럭
155 : 제5하우징블럭 156 : 하우징플레이트
157 : 충전돌기 160 : 제1슬릿
161 : 제2슬릿 163 : 제3슬릿
170 : 원통중공 175 : 원료주입구
180 : 체결수단 190 : 로터암
191 : 중공 195 : 서보모터

Claims (7)

  1. 합성수지 원료를 액체상태로 공급하는 원료공급기, 상기 원료공급기로부터의 액상 합성수지 원료를 이용하여 내벽과 외벽 사이에 복수의 중공 또는 복수의 중공셀이 형성되는 합성수지 다층관을 제조하는 압출성형기 및 제조된 상기 합성수지 다층관을 표면처리 및 절단하여 이송하는 후처리장치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다층관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기는
    일방향으로 관통되는 원통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액상 합성수지 원료의 이송을 위한 제1 내지 제3슬릿을 형성하는 복수의 하우징블럭을 가지는 하우징;
    상기 원통중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일단에 동력전달 수단을 가지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파이프형태의 로터암;
    상기 로터암의 동력전달 수단을 통해 상기 로터암을 정속회전, 가속회전, 역회전 및 정지 중 어느 한 상태로 유지하는 서보모터;
    상기 로터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로터암에 의해 정속회전, 가속회전, 역회전 및 정지 상태 어느 한 상태로 유지되는 가동블럭과, 상기 가동블럭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슬릿과 연결되는 사출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사출슬릿 종단의 말단슬릿에 의해 상기 액상 합성수지 원료를 사출하는 사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합성수지 다층관의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부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신장되는 가이들플랫을 가지는 그릇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가 상기 로터암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로터암의 상기 중공과 소통되는 홀이 상기 저면부에 형성되는 제1사출블럭;
    일면이 상기 가이드플랫에 결합되는 폴리페드;
    상기 일면과 대면하는 상기 폴리페드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2사출블럭; 및
    상기 제1 및 제2사출블럭과 이격되어 사출슬릿을 형성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3사출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폴리페드는 상기 사출슬릿 중 상기 제2사출블럭과 상기 제3사출블럭의 사이에 형성되는 말단슬릿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및 상기 제3사출블럭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리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다층관의 제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부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신장되는 가이들플랫을 가지는 그릇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터암이 관통되어 노출되도록 상기 저면부에 홀이 형성되는 제1사출블럭;
    상기 로터암의 일단에 고정되어 결합되는 폴리페드;
    상기 일면과 대면하는 상기 폴리페드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2사출블럭; 및
    상기 제1 및 제2사출블럭과 이격되어 사출슬릿을 형성하고, 일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3사출블럭;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폴리페드는 상기 사출슬릿 중 상기 제2사출블럭과 상기 제3사출블럭의 사이에 형성되는 말단슬릿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및 상기 제3사출블럭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리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다층관의 제조장치.
  5. 합성수지 원료를 액체상태로 공급하는 원료공급기, 상기 원료공급기로부터의 액상 합성수지 원료를 이용하여 내벽과 외벽 사이에 복수의 중공 또는 복수의 중공셀이 형성되는 합성수지 다층관을 제조하기 위해, 일방향으로 관통되는 원통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액상 합성수지 원료의 이송을 위한 제1 내지 제3슬릿을 형성하는 복수의 하우징블럭으로 구성된 하우징; 상기 원통중공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일단에 동력전달 수단을 가지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파이프형태의 로터암; 상기 로터암의 동력전달 수단을 통해 상기 로터암을 정속회전, 가속회전, 역회전 및 정지 중 어느 한 상태로 유지하는 서보모터; 및 상기 로터암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로터암에 의해 정속회전, 가속회전, 역회전 및 정지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유지되는 가동블럭과, 상기 가동블럭을 감싸는 형태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슬릿과 연결되는 사출슬릿을 형성하고, 상기 사출슬릿 종단의 말단슬릿에 의해 상기 액상합성수지 원료를 사출하는 사출부;를 가지는 압출성형기가 포함된 제조장치를 이용한 합성수지 다층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기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슬릿 및 제2슬릿으로 상기 액상합성수지가 공급되는 단계;
    상기 액상합성수지가 상기 제1 및 제2슬릿과 연결된 제3슬릿으로 공급되는 단계;
    상기 액상합성수지가 상기 제3슬릿과 연결된 상기 사출슬릿으로 공급되는 단계:
    상기 사출부가 정속회전 및 정지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유지되는 단계; 및
    상기 액상합성수지가 상기 사출슬릿 종단의 상기 말단슬릿으로 통해 사출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다층관의 제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부가 정속회전 및 정지 상태 중 어느 한 상태로 유지되는 단계;는
    상기 사출부가 상기 정속회전 중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시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가속회전 하는 단계;
    상기 사출부가 상기 정속회전 중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시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역회전 하는 단계; 및
    상기 정지상태의 사출부가 미리 정해진 시간 경과시마다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정속회전 하는 단계; 중 어느 한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다층관의 제조방법.
  7. 서로 이격되는 외벽과 내벽 및 상기 외벽과 내벽 사이의 공간을 구획하여 중공셀을 형성하는 중간벽 및 격벽을 가지도록 일방향으로 압출되어 형성되는 합성수지 다층관에 있어서,
    상기 중간벽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내벽의 외주연에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서로 이격되고,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을 연결하도록 상기 일방향으로 연속되게 형성되어 상기 외벽과 상기 내벽 사이의 공간이 상기 일방향으로 구획된 중공을 형성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중간벽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웃하는 상기 중간벽을 연결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벽, 상기 외벽 및 상기 이웃하는 중간벽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중공을 단속(斷續)하여 중공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 다층관.
KR1020090003601A 2009-01-16 2009-01-16 중간벽 및 나선형 힘살이 형성된 합성수지 다층관, 이의 제조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100904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601A KR100904488B1 (ko) 2009-01-16 2009-01-16 중간벽 및 나선형 힘살이 형성된 합성수지 다층관, 이의 제조장치 및 그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601A KR100904488B1 (ko) 2009-01-16 2009-01-16 중간벽 및 나선형 힘살이 형성된 합성수지 다층관, 이의 제조장치 및 그 성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4488B1 true KR100904488B1 (ko) 2009-06-23

Family

ID=4098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601A KR100904488B1 (ko) 2009-01-16 2009-01-16 중간벽 및 나선형 힘살이 형성된 합성수지 다층관, 이의 제조장치 및 그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4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817B1 (ko) 2009-08-25 2010-02-03 정경식 격벽이 구비된 합성수지 다층관과 이의 제조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101169327B1 (ko) 2009-09-15 2012-07-30 정경식 격벽이 구비된 합성수지 다층관과 이의 제조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102363454B1 (ko) * 2021-04-21 2022-02-16 대림비닐공업주식회사 친환경 비닐 봉투 제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168A (ko) * 2002-07-11 2004-01-24 민흥규 수지 파이프 성형장치
KR100471363B1 (ko) 2004-11-18 2005-03-14 남효근 스크류형 힘살이 형성된 합성수지 다층관 제조장치 및이로써 제조된 다층관
KR100489480B1 (ko) 2004-06-08 2005-05-17 남효근 스크류형 힘살이 형성된 합성수지 다층관 및 그 압출 성형방법과 장치
KR20060068704A (ko) * 2004-12-16 2006-06-21 허차순 나선형의 비틀림공간을 갖는 파이프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168A (ko) * 2002-07-11 2004-01-24 민흥규 수지 파이프 성형장치
KR100489480B1 (ko) 2004-06-08 2005-05-17 남효근 스크류형 힘살이 형성된 합성수지 다층관 및 그 압출 성형방법과 장치
KR100471363B1 (ko) 2004-11-18 2005-03-14 남효근 스크류형 힘살이 형성된 합성수지 다층관 제조장치 및이로써 제조된 다층관
KR20060068704A (ko) * 2004-12-16 2006-06-21 허차순 나선형의 비틀림공간을 갖는 파이프 성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817B1 (ko) 2009-08-25 2010-02-03 정경식 격벽이 구비된 합성수지 다층관과 이의 제조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101169327B1 (ko) 2009-09-15 2012-07-30 정경식 격벽이 구비된 합성수지 다층관과 이의 제조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102363454B1 (ko) * 2021-04-21 2022-02-16 대림비닐공업주식회사 친환경 비닐 봉투 제조 장치
WO2022225124A1 (ko) * 2021-04-21 2022-10-27 대림비닐공업 주식회사 친환경 비닐 봉투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8263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ластикации и подачи путем объемного импульсного деформирования с помощью эксцентрикового ротора
JP2003502168A (ja) プラスチック粘度制御方法及び装置
CN105008108A (zh) 注射成形装置以及注射成形方法
KR100904488B1 (ko) 중간벽 및 나선형 힘살이 형성된 합성수지 다층관, 이의 제조장치 및 그 성형방법
US10315347B2 (e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with spherical rotor
CN105142876B (zh) 单螺杆塑化机、一组设备和用于塑化输出物的方法
CN101394985A (zh) 用于塑化颗粒、特别是塑料颗粒的装置以及装备有这种装置的注塑成型设备或者挤出设备
CN101434124A (zh) 旋转螺筒
JP7134342B2 (ja) 押し出された塑性変形可能な材料の体積流量に影響を与えるための装置
KR101680005B1 (ko) 압출실린더 내부에 냉각수 순환홀을 구비한 혼련용 텐덤믹서
CN205674456U (zh) 一种分离型螺杆
CN108715019A (zh) 一种内充气式挤出发泡装置及成型方法
CN202155160U (zh) 锥形双转子连续混炼机组
KR100610721B1 (ko) 유동성 가소성 물질 및 고형 섬유 코어로부터 합성물을압출하여 제조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N105936119B (zh) 一种短螺杆挤出机
JP3137439U (ja) 迅速冷却装置
CN210453673U (zh) 电力电缆挤塑装置
KR101169327B1 (ko) 격벽이 구비된 합성수지 다층관과 이의 제조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100939817B1 (ko) 격벽이 구비된 합성수지 다층관과 이의 제조장치 및 그 성형방법
CN106042324B (zh) 一种对置螺旋短螺杆挤出机
CN202155159U (zh) 转子一字型排列的锥形三转子连续混炼机组
RU2293650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и строит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зготовленная этим способом
CN102228817A (zh) 转子一字型排列的锥形三转子连续混炼机组
KR100462011B1 (ko) 나사 연결방식의 이중벽 관 및 그 성형장치
CN109012490B (zh) 田地秸秆一体化成形颗粒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