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304B1 - 함수 폐기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함수 폐기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304B1
KR100904304B1 KR1020080092948A KR20080092948A KR100904304B1 KR 100904304 B1 KR100904304 B1 KR 100904304B1 KR 1020080092948 A KR1020080092948 A KR 1020080092948A KR 20080092948 A KR20080092948 A KR 20080092948A KR 100904304 B1 KR100904304 B1 KR 100904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otating plate
rotating
drying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홍란
서정하
이동일
Original Assignee
서정하
이동일
문홍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하, 이동일, 문홍란 filed Critical 서정하
Priority to KR1020080092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3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or oscillating containers;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floors
    • F26B17/3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or oscillating containers;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floors the movement being in a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물의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함수 폐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구획수단에 의해 상부의 건조실과 하부의 연소실로 구획되는 원통형의 본체와; 상단은 작동모터와 연결되고 하단은 본체의 상부 중앙을 통과하여 구획수단 중앙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본체의 건조실 내에 일정간격을 두고 층을 이루도록 복수로 설치되는 제1회전판과; 상기 본체의 건조실 내에 복수로 설치되는 제1회전판과 제1회전판 사이에 설치되는 제2회전판과; 상기 제1회전판의 위쪽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저면의 전면에 형성되는 갈퀴로 이루어지는 제1배출장치와; 상기 제2회전판의 위쪽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저면의 전면에 형성되는 갈퀴로 이루어지는 제2배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함수 폐기물, 연료, 음식물쓰레기, 본체, 건조장치

Description

함수 폐기물 건조장치{DRYING APPARATUS OF MOISTURE WASTE}
본 발명은 본체의 건조실 내부에 다단의 층을 이루도록 제1, 2회전판을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로 설치하여 건조물이 제1, 2회전판의 이동과정을 거치면서 완벽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한 함수 폐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수분함유 슬러지, 연료, 음식물쓰레기 및 기타 함수폐기물 등의 건조 방식은 압축이나 드럼탈수방식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원통회전식의 로터리킬른(rotary kiln)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로터리킬른 방식은, 직화열을 이용한 건조처리 방식으로서 롤러상에 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토록 설치되는 건조드럼과, 상기 건조드럼에 열기를 공급하도록 연도를 구비하는 연소로와, 상기 건조드럼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시키도록 건조드럼의 전, 후단에 연통 설치되는 수증기 배출덕트, 및 배출덕트로부터 배출된 수증기와 폐진을 정화시키는 집진기로 구성되어, 건조드럼이 회전되는 상태에서 연소로의 직화열이 상기 건조드럼을 가열시키게 되면 건조드럼의 내벽에 형성된 이송날개의 작용으로 교반 및 이송되는 과정에서 투입된 물질이 건조되고,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나 폐진은 수증기 배출덕트를 통해 배출되어 집진기를 통해 정화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 제0428435호 참조).
그러나 압축이나 드럼탈수방식은 건조대상물이 제한적이며 건조효율이 대체로 낮은 단점이 있으며, 로터리킬른 방식 역시 건조대상물이 제한적이며 사용연료비가 과다하게 드는 단점이 있어 근래에는 각종 수분함유 슬러지, 연료, 음식물쓰레기 및 기타 함수폐기물의 건조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또한, 로터리킬른 방식은 건조드럼을 통해 완전건조시키는 것이 쉽지 않고 연소로의 온도에 따라 투입된 물질이 발화되어 화재를 발생할 수 있으며, 투입된 물질이 연도에 직접 닿고 직화열에 의해 타거나 눌어붙는 현상이 있으며 건조정도가 일정하지 않아 건조대상물의 건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건조실 내부에 제1, 2회전판을 층을 이루도록 복수로 설치하고, 본체의 연소실에서 공급된 열풍이 제1, 2회전판의 배출공 및 배출공간을 통해 건조물에 직접적으로 작용되게 함으로써, 건조물을 대량으로 건조함과 동시에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함수 폐기물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1, 2회전판과 대응하는 제1, 2배출장치를 설치하여 건조물이 제1, 2회전판에 넓게 펼쳐진 상태로 제1, 2회전판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함수 폐기물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체 상부 일단에 건조물투입구를 형성하여 본체의 건조실 내부로 건조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며, 본체 상부 일단에는 폐열집진구를 형성하여 본체에서 발생된 폐열을 집진 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건조실 하부에는 배출통로를 설치하여 건조물이 본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 함수 폐기물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부 일단에는 스크루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건조물을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건조물투입구가 형성되 고,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구획수단에 의해 상부의 건조실과 하부의 연소실로 구획되는 원통형의 본체와; 상단은 작동모터와 연결되고 하단은 본체의 상부 중앙을 통과하여 본체 내부의 구획수단 중앙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본체의 건조실 내에 일정간격을 두고 층을 이루도록 복수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앙에는 회전축에 끼워지면서 건조물이 떨어질 수 있도록 회전축의 외경보단 큰 내경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외주는 본체 내주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면서 저면이 연결대에 의해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회전판과; 상기 본체의 건조실 내에 복수로 설치되는 제1회전판과 제1회전판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주와 본체 내주 사이에 배출공간이 형성되도록 제1회전판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중앙은 회전축에 끼움결합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2회전판과; 상기 제1회전판의 위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한쪽 끝단은 본체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쪽 끝단은 제1회전판의 배출공 내주에 근접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저면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회전판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지지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갈퀴로 이루어지는 제1배출장치와; 상기 제2회전판의 위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한쪽 끝단은 본체 내벽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쪽 끝단은 회전축 외주에 근접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저면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2회전판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지지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갈퀴로 이루어지는 제2배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건조실 내에 복수로 설치되는 제1, 2회전판 중 최상단에는 제1회전판이 설치되고, 최하단에 설치되는 제1회전판의 아래에는 최종 제2회전 판이 설치되며, 상기 최종 설치되는 제2회전판과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2배출장치가 위치되는 배출공간의 하부에는, 건조물을 본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통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연소실에는, 건조물을 건조하는 가열장치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판의 가장자리에는 상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측벽을 형성함으로써 제1회전판의 외주와 본체 내주 사이의 틈으로 건조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대는, 제1회전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자, 십자, 방사상의 어느 한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구획수단에는 건조실과 연소실을 연결하는 관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 일단에는 폐열집진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함수 폐기물 건조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체의 건조실 내부에 제1, 2회전판을 층을 이루도록 복수로 설치하고, 본체의 연소실에서 공급된 직접 열이 구획공간에 형성된 관통공간을 통하여 건조실로 공급되고, 제1, 2회전판의 배출공 및 배출공간을 통해 건조물에 직접적으로 작용되게 함으로써, 건조물을 대량으로 건조함과 동시에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완전건조가 가능하다. 또한, 연소실과 건조실이 구분되어 있음으로 연소로의 온도에 따라 투입된 물질이 발화되어 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투입된 물질이 연도에 직접 닿아 직화열에 의해 타거나 눌어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2. 제1, 2회전판과 대응하는 제1, 2배출장치를 설치하여 건조물이 제1, 2회 전판에서 넓게 펼쳐진 상태로 제1, 2회전판을 순차적으로 이동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3. 본체 상부 일단에 건조물투입구를 형성하여 본체의 건조실 내부로 건조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며, 본체 상부 타단에는 폐열집진구를 형성하여 본체에서 발생된 폐열을 집진 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건조실 하부에는 배출통로를 설치하여 건조물이 본체 외부로 원활히 배출될 수 있다.
4. 각종 수분함유 슬러지, 연료, 음식물쓰레기, 함수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건조하여 재활용함으로써, 폐기물을 줄일 수 있고 폐기물의 발생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막을 수 있다.
5. 건조가 완료된 건조물을 신재생에너지(신재생연료)로 재활용함으로써 활용기업은 물론 국가경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 일단에는 스크루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건조물을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건조물투입구가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구획수단에 의해 상부의 건조실과 하부의 연소실로 구획되는 원통형의 본체와; 상단은 작동모터와 연결되고 하단은 본체의 상부 중앙을 통과하여 본체 내부의 구획수단 중앙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본체의 건조실 내에 일정간격을 두고 층을 이루도록 복수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앙에는 회전축에 끼워지면서 건조물이 떨어질 수 있도록 회전축의 외경보단 큰 내경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외주는 본체 내주 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면서 저면이 연결대에 의해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회전판과; 상기 본체의 건조실 내에 복수로 설치되는 제1회전판과 제1회전판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주와 본체 내주 사이에 배출공간이 형성되도록 제1회전판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중앙은 회전축에 끼움결합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2회전판과; 상기 제1회전판의 위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한쪽 끝단은 본체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쪽 끝단은 제1회전판의 배출공 내주에 근접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저면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회전판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지지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갈퀴로 이루어지는 제1배출장치와; 상기 제2회전판의 위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한쪽 끝단은 본체 내벽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쪽 끝단은 회전축 외주에 근접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저면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2회전판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지지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갈퀴로 이루어지는 제2배출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건조실 내에 복수로 설치되는 제1, 2회전판 중 최상단에는 제1회전판이 설치되고, 최하단에 설치되는 제1회전판의 아래에는 최종 제2회전판이 설치되며, 상기 최종 설치되는 제2회전판과 대응하여 설치되는 제2배출장치가 위치되는 배출공간의 하부에는, 건조물을 본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통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연소실에는, 건조물을 건조하는 가열장치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회전판의 가장자리에는 상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측벽을 형성함으로써 제1회전판의 외주와 본체 내주 사이의 틈으로 건조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대는, 제1회전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자, 십자, 방사상의 어느 한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구획수단에는 건조실과 연소실을 연결하는 관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 일단에는 폐열집진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2회전판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2회전판의 평면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함수 폐기물 건조장치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획수단(13)에 의해 내부가 건조실(14) 및 연소실(15)로 구획되고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내부 중앙에 형성되는 회전축(30)과, 상기 본체(10) 내부에 층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제1, 2회전판(41, 42)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설치되는 제1, 2회전판(41, 42)에 부합되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내측 하부에 구획수단(13)을 설치하여 상부에는 제1, 2회전판(41, 42)이 설치되는 건조실(14)이 형성되도록 하고 하부에는 버너 등의 가열장치(70)가 설치되는 연소실(15)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본체(10)의 상부에는 스크루컨베이어(90)와 연결되는 건조물투입구(11)를 형성하여 건조물(80)이 본체(1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고 건조물투입구(11)와 마주보는 본체(10) 상부의 타단에는 폐열집진구(12)를 형성하여 본체(10) 내부의 폐열을 집진 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폐열집진구(12)는 일반적인 폐열 집진장치와 연결되어 본체(10) 내부의 폐열을 집진 한 후 사용이 필요한 장소로 폐열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본체(10)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구획수단(13)은, 본체(10) 내부를 상부의 건조실(14)과 하부의 연소실(15)로 구획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건조실(14)과 연소실(15)이 통할 수 있는 관통공간(131)이 형성되도록 H빔을 격자형태, 방사상 등의 형태로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물론 구획수단(13)은, 연소실(15)과 건조실(14)의 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통로가 구비된 구조이며 벽체, 판, 프레임을 연결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연소실에서 공급된 직접 열이 구획공간에 형성된 관통공간을 통하여 건조실로 공급되고, 제1, 2회전판의 배출공 및 배출공간을 통해 건조물에 직접적으로 작용되어 건조물을 대량으로 건조함과 동시에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완전건조가 가능하다. 또한, 연소실과 건조실이 구분되어 있음으로 연소로의 온도에 따라 투입된 물질이 발화되어 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투입된 물질이 연도에 직접 닿아 직화열에 의해 타거나 눌어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본체(10) 내부 중앙에는 회전축(30)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30)의 상단은 본체(10)의 상부 중앙에 위치되어 회전 작동이 가 능하도록 작동모터(20)와 연결설치되며, 회전축(30) 하단은 본체(10)의 상부 중앙을 통과하여 본체(10) 내부의 구획수단(13) 중앙에 위치되도록 설치가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30)의 하단에는 베어링을 결합하여 회전축(30)의 회전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하고, 브래킷 등을 설치하여 회전축(30)의 회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의 건조실(14)에 설치되는 제1, 2회전판(41, 42)은, 본체(10) 내부에 부합하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그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1회전판(41)은, 본체(10)의 내주에 부합되는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건조실(14) 내부에 복수로 설치는 것으로서, 본체(10)의 건조실(14) 내부에 상, 하 일렬로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히 층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이때, 최하단에 설치되는 제1회전판(41) 아래에는 반드시 제2회전판(42)을 설치하여 건조물(80)이 배출통로(60)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한편, 도 1에는 제1회전판(41)이 본체(10)의 건조실(14) 내부에 4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건조물(80)의 건조 용량에 따라 4개 이상 또는 그 이하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판(41)의 외주는, 건조실(14)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본체(10) 내부에 근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가장자리에는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측벽(412)을 형성함으로써 제1회전판(41) 상면에 놓인 건조물(80)이 제1회전판(41)의 외주와 본체(10) 내주 사이로 떨어지는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회전판(41)의 중앙에는 회전축(30)에 끼워지면서 건조물(80)이 배출되는 배출공(411)이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411)은 회전축(30)의 외경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며, 제1회전판(41)의 저면에는 한쪽 끝단은 제1회전판(41)의 저면에 연결되고 다른 쪽 끝단은 회전축(30)에 연결되는 연결대(413)가 설치된다.
상기 제1회전판(41)의 저면에 설치되는 연결대(413)는 회전축(30)을 중심으로 일자, 십자, 방사상으로 설치하여 제1회전판(41)의 안정적인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1회전판(41)은 연결대(413)에 의해 회전축(30)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모터(20)의 작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30)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회전판(41)의 상부에는 건조물(80)을 배출공(411)으로 보내어 아래의 제2회전판(42)으로 떨어지게 하는 제1배출장치(51)가 설치된다.
상기 제1배출장치(51)는, 한쪽 끝단은 본체(10) 내벽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쪽 끝단은 제1회전판(41)의 배출공(411) 내주에 근접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511)와, 상기 지지대(511)의 저면 전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갈퀴(512)로 구성된다.
상기 갈퀴(512)는, 제1회전판(41)의 회전에 지장을 주지않도록 지지대(511)의 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형성되며 하단이 제1회전판(41)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회전판(42)은, 다단으로 설치된 제1회전판(41)과 제1회전판(41)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본체(10) 내주와 제2회전판(42) 외주 사이에 배출공간(421)이 형성되도록 본체(10) 내주 및 제1회전판(41) 외경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2회전판(42)의 중앙은 회전축(30)에 끼움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30)의 회전과 함께 제2회전판(42)이 회전하게 된다.
한편, 제2회전판(42)의 상부에는 제1배출장치(51)와 동일한 구조의 제2배출장치(52)가 형성된다.
상기 제2배출장치(52)는, 제2회전판(42)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한쪽 끝단은 본체(10)의 외주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쪽 끝단은 회전축(30)의 외주에 근접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521)와, 상기 지지대(521)의 저면 전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갈퀴(522)로 구성된다.
상기 갈퀴(522)는, 제2회전판(42)의 회전에 지장을 주지않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지대(521) 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형성되며 하단이 제2회전판(42) 상면에 근접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의 건조실(14) 최상단에는 건조물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되는 건조물(80)을 받기 위해 제1회전판(41)이 설치된다.
그리고 건조실(14)에 설치되는 제1회전판(41) 중 최하단에 설치되는 제1회전판(41) 다음에는 최하단의 제1회전판(41)에서 떨어지는 건조물(80)을 받아 배출통로(60)를 통해 건조물(80)을 본체(10)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제2회전판(42)이 설치된다.
상기 배출통로(60)는 본체(10) 내부와 외측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건조실(14) 내에 설치되는 부위는 최하단에 설치되는 제2회전판(42)의 외주와 본체(10) 내주 사이의 배출공간(421)으로 낙하는 건조물(80)을 받을 수 있도록 제2배출장치(52)의 지지대(511)가 설치된 배출공간(421) 아래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배출통로(60)는 건조물(80)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미끄럼틀과 같이 경사진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함수 폐기물 건조장치는, 건조실(14) 내에 설치된 제1, 2회전판(41, 42)을 통해 건조물(80)을 완벽하게 건조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모터(20)에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축(30)이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본체(10)의 건조실(14)에 설치된 제1, 2회전판(41, 42)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가열장치(70)의 작동에 의해 형성된 열풍은 구획수단(13)의 관통공간(131)을 통해 연소실(15)에서 건조실(14)에서 공급되고, 건조실(14) 내에 공급된 열풍은 제1, 2회전판(41, 42)의 배출공(411) 및 배출공간(421)을 통해 제1, 2회전판(41, 42) 위의 건조물(80)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스크루컨베이어(90)에 의해 이송된 수분함유 슬러지, 연료, 음식물쓰레기 및 기타 함수폐기물 등의 건조물(80)이 건조물투입구(11)를 통해 본체(10)의 건조실(14) 내부로 투입되면 최상단의 제1회전판(41) 위에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최상단의 제1회전판(41) 위에 떨어진 건조물(80)은 제1배출장 치(51)에 의해 아래의 제2회전판(42) 위로 떨어지게 된다.
즉, 제1회전판(41) 위에 떨어진 건조물(80)은 제1회전판(41)의 회전에 의해 제1배출장치(51) 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배출장치(51)의 갈퀴(512)에 부딪히면서 건조물(80)의 일부는 제1회전판(41)의 배출공(411) 쪽으로 떨어지고 나머지는 갈퀴(512)를 통과하여 제1회전판(41)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갈퀴(512)를 통과한 건조물(80)은 일정간격을 두고 지지대(511) 저면에 형성되는 갈퀴(512)를 통과하면서 갈퀴(512)의 간격만큼 펼쳐지게 되어 건조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만일 제1배출장치(51)가 없을 경우 건조물(80)이 건조물투입구(11)에서 떨어질 때의 그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건조물(80)이 제1회전판(41) 위에 골고루 펼쳐지지 않고 한데 뭉쳐진 상태가 되기 쉽고 이 상태에서 건조물(80)이 건조될 경우 건조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1회전판(41)과 대응하여 제1배출장치(5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건조물(80)이 한데 뭉치지 않고 펼쳐진 상태에서 건조물(80)의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건조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제1회전판(41)의 배출공(411)으로 떨어지지 않고 제1배출장치(51)의 갈퀴(512)를 통과한 건조물(80)은 넓게 펼쳐진 상태로 제1회전판(41)과 함께 다시 회전하여 제1배출장치(51)의 갈퀴(512)에 부딪히면서 건조물(80)의 일부는 배출 공(411)을 통해 제2회전판(42)에 떨어지고 나머지는 갈퀴(512)를 통과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또한, 제1회전판(41)의 배출공(411)을 통해 제2회전판(42)에 위에 떨어진 건조물(80)은 제2회전판(42)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제2배출장치(52)의 갈퀴(512)에 부딪히면서 건조물(80) 일부는 제2회전판(42) 외주와 본체(10) 내주 사이의 배출공간(421)을 통해 아래의 제1회전판(41) 위에 떨어지고, 나머지 건조물(80)은 지지대(511)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갈퀴(512)를 통과하면서 넓게 펼쳐진 상태로 제2회전판(42)과 함께 다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넓게 펼쳐진 상태로 제2회전판(42)과 함께 회전하는 건조물(80) 일부는 다시 제2배출장치(52)의 갈퀴(512)에 부딪히면서 배출공간(421)을 통해 아래의 제1회전판(41) 위에 떨어지고, 나머지 건조물(80)은 지지대(511) 저면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갈퀴(512)를 통과하여 제2회전판(42)과 함께 다시 회전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건조물투입구(11)를 통해 투입된 건조물(80)은 건조실(14) 최상단에 설치된 제1회전판(41)에 떨어지고, 제1배출장치(51)의 갈퀴(512)에 부딪히면서 배출공(411)을 통해 아래의 제2회전판(42)에 떨어진다.
그리고 제2회전판(42)에 떨어진 건조물(80)은 제2배출장치(52)의 갈퀴(522)에 부딪히면서 배출공간(421)을 통해 아래의 제1회전판(41)에 떨어지는 과정을 반 복하면서 건조물(80)은 수분이 완전히 제거되어 최종 건조실(14) 최하단에 설치된 제2회전판(42) 위로 떨어지게 된다.
건조실(14) 최하단의 제2회전판(42)에 떨어진 건조물(80)은, 제2배출장치(52)의 갈퀴(522)에 부딪히면서 배출공간(421)을 통해 배출통로(60)로 떨어져 본체(10)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배출통로(60)를 통해 본체(10) 외부로 배출된 건조물(80)은 신재생연료로 재활용하여 본 발명의 가열장치(70)의 연료로 사용하거나 기타 필요한 사업장의 연료로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건조물(80)의 건조시 발생되는 본체(10) 내부의 폐열은 본체(10) 상부에 형성된 폐열집진구(12)를 통해 집진한 다음 필요한 지역에 공급하는 등 재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체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2회전판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2회전판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11:건조물투입구 12:폐열집진구
13:구획수단 14:건조실 15:연소실
20:작동모터 30:회전축 41:제1회전판
42:제2회전판 51:제1배출장치 52:제2배출장치
60:배출통로 70:가열장치 80:건조물
90:스크루컨베이어 131:관통공간 411:배출공
412:측벽 413:연결대 421:배출공간
511:지지대 512:갈퀴 521:지지대
522:갈퀴

Claims (5)

  1. 상부 일단에는 스크루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 건조물을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건조물투입구가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 형성되는 구획수단에 의해 상부의 건조실과 하부의 연소실로 구획되는 원통형의 본체와;
    상단은 작동모터와 연결되고 하단은 본체의 상부 중앙을 통과하여 본체 내부의 구획수단 중앙에 회전가능 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본체의 건조실 내에 일정간격을 두고 층을 이루도록 복수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중앙에는 회전축에 끼워지면서 건조물이 떨어질 수 있도록 회전축의 외경보단 큰 내경의 배출공이 형성되고, 외주는 본체 내주에 근접하도록 형성되면서 저면이 연결대에 의해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1회전판과;
    상기 본체의 건조실 내에 복수로 설치되는 제1회전판과 제1회전판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외주와 본체 내주 사이에 배출공간이 형성되도록 제1회전판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고 중앙은 회전축에 끼움결합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는 제2회전판과;
    상기 제1회전판의 위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한쪽 끝단은 본체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쪽 끝단은 제1회전판의 배출공 내주에 근접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저면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회전판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지지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갈퀴로 이루어지는 제1배출장치와;
    상기 제2회전판의 위쪽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한쪽 끝단은 본체 내벽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쪽 끝단은 회전축 외주에 근접하도록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 저면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2회전판의 상면에 근접하도록 지지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갈퀴로 이루어지는 제2배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수단에는 건조실과 연소실을 연결하는 관통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 일단에는 폐열집진구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함수 폐기물 건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80092948A 2008-09-22 2008-09-22 함수 폐기물 건조장치 KR100904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948A KR100904304B1 (ko) 2008-09-22 2008-09-22 함수 폐기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948A KR100904304B1 (ko) 2008-09-22 2008-09-22 함수 폐기물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4304B1 true KR100904304B1 (ko) 2009-06-25

Family

ID=4098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948A KR100904304B1 (ko) 2008-09-22 2008-09-22 함수 폐기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3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4004A (zh) * 2021-05-26 2021-09-28 深圳市宏讯实业有限公司 叠盘式铺放送料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2809A (en) 1976-12-08 1981-01-06 Elder Joseph T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protein in animal droppings
KR970002632B1 (ko) * 1994-05-19 1997-03-06 장재혁 슬러지 건조방법 및 그 장치
JPH11263979A (ja) 1998-01-14 1999-09-28 Tokyo Yogyo Co Ltd 積層型加熱処理装置
KR20000052013A (ko) * 1999-01-28 2000-08-16 김성훈 슬러지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42809A (en) 1976-12-08 1981-01-06 Elder Joseph T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rving protein in animal droppings
KR970002632B1 (ko) * 1994-05-19 1997-03-06 장재혁 슬러지 건조방법 및 그 장치
JPH11263979A (ja) 1998-01-14 1999-09-28 Tokyo Yogyo Co Ltd 積層型加熱処理装置
KR20000052013A (ko) * 1999-01-28 2000-08-16 김성훈 슬러지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4004A (zh) * 2021-05-26 2021-09-28 深圳市宏讯实业有限公司 叠盘式铺放送料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1661B2 (en) Continuous drying apparatus and method
CN101602565B (zh) 污水处理厂脱水后污泥处理工艺
JP5945156B2 (ja) 下水汚泥の処理装置
KR101387011B1 (ko) 회전식 다단 폐기물 건조장치
JP2013224810A5 (ko)
CN104930832A (zh) 双滚筒农作物烘干机
CN104930831A (zh) 一种数控节能隔焰烘干机
CN106987257A (zh) 一种村镇生活垃圾热解气化装置
CN204854217U (zh) 双滚筒农作物烘干机
CN107814472A (zh) 一种污泥干化处理方法及装置
CN108167834A (zh) 一种环保型内烘干式焚烧设备
CN204421572U (zh) 一种回转烘干机
CN205747803U (zh) 一种可调式超高水分湿料烘干机
WO2013157427A1 (ja) 有機汚泥及び有機系廃棄物の処理装置
KR100904304B1 (ko) 함수 폐기물 건조장치
CN104567299A (zh) 一种回转烘干装置
CN204594160U (zh) 一种节能的粮谷烘干设备
CN111664455A (zh) 一种垃圾处理系统
KR20200081614A (ko) 하이브리드 벨트식 다단건조기를 갖춘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CN104729262A (zh) 一种节能的粮谷烘干设备
CN108224430A (zh) 生活垃圾协同焚烧污泥装置
CN102010114A (zh) 以废治废低成本干燥污泥的装置及其方法
JP5603862B2 (ja) 下水汚泥の処理装置
CN110698036A (zh) 撬装式热泵污泥烘干一体机
CN204787657U (zh) 一种数控节能隔焰烘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