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040B1 - 팔미토일 키토산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키토산 필름 - Google Patents

팔미토일 키토산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키토산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040B1
KR100902040B1 KR1020070063267A KR20070063267A KR100902040B1 KR 100902040 B1 KR100902040 B1 KR 100902040B1 KR 1020070063267 A KR1020070063267 A KR 1020070063267A KR 20070063267 A KR20070063267 A KR 20070063267A KR 100902040 B1 KR100902040 B1 KR 100902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tosan
palmitoyl
parts
weight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3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4067A (ko
Inventor
이재관
최희선
박희준
이동신
이준혜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063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2040B1/ko
Publication of KR20080114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4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0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06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 C08B37/0024Hom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a main chain consisting of one single sugar, e.g. colominic acid beta-D-Glucans; (beta-1,3)-D-Glucans, e.g. paramylon, coriolan, sclerotan, pachyman, callose, scleroglucan, schizophyllan, laminaran, lentinan or curdlan; (beta-1,6)-D-Glucans, e.g. pustulan; (beta-1,4)-D-Glucans; (beta-1,3)(beta-1,4)-D-Glucans, e.g. lichenan;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272-Acetamido-2-deoxy-beta-glucan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3Chitin, i.e. 2-acetamido-2-deoxy-(beta-1,4)-D-glucan or N-acetyl-beta-1,4-D-glucosamine; Chitosan, i.e. deacetylated product of chitin or (beta-1,4)-D-glucosamin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Abstract

본 발명은 유독성을 줄이면서 동시에 세포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키토산과 소수성의 지방기인 팔미트산을 합성하여 팔미토일 키토산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키토산 필름에 코팅하거나 혼합한 코팅 필름과 혼합 필름을 제조한다. 이를 통해 유독성이 거의 없으면서 세포 부착성이 향상된 키토산 필름을 제조할 수 있어 세포 및/또는 단백질의 배양에 매우 유리하다.
키토산, 팔미트산, 팔미토일 키토산, 세포부착성, 세포배양

Description

팔미토일 키토산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키토산 필름{MANUFACTURING METHOD OF PALMITOYL CHITOSAN AND CHITOSAN FILM CONTAINING IT}
본 발명은 팔미토일 키토산의 제조방법, 이를 함유한 코팅액 및 키토산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키토산의 소수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지방산인 팔미트산과 키토산을 합성하여 팔미토일 키토산을 제조하고 이를 키토산 필름에 코팅하거나 혼합하여 세포 부착성을 향상시킨 키토산 필름에 관한 것이다.
갑각류, 곤충류 및 균류의 세포벽 등, 하등 동물 외골격조직의 성분인 키틴을 탈아세틸화시킨 키토산은 2-아미노-2-데오실-ß-D-글루코피란노오즈 (2 - amino - 2 - deoxy - ß - D - glucopyranose) 구조의 1,4 결합 폴리머이다. 이러한 키토산은 독성이 없으며, 생체 적합하고, 생분해성이 있어서 현재까지 의료용, 화학 공업, 화장품 분야, 환경 분야 등의 광범위한 분야로 응용의 폭이 넓혀져 왔다. 특히, 하이드로젤, 파이버, 필름 등의 재료로 제조되어 효소나 세포를 고정하거나 약물 전달 물질로 사용된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6-15215호에서는 키틴이나 키토산을 화상이나 상처 부위에 처리하면 리소자임 효소가 나와 상처 치유 효과를 보 이는 것을 이용하여 화상-상처 치료제를 개시하였다.
그러나, 키토산은 분자 간 수소 결합이 매우 강하여 용해성이 낮아 물과 유기 용매에 용해되지 않고, 약산성 용액에 잘 녹는 특성이 있다. 또한 소수성이 부족하여 세포배양용기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런 특성으로 인해 사용 범위가 한정되어 있어 용해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키토산의 표면에 친수성과 소수성의 물질을 합성하여 용해성과 고유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많은 실험이 수행되고 있다(Varawut Tangpasuthadol, Noppong Pongchaisirikul, Vipavee P. Hoven, Carbohydrate Research 338 (2003) 937-942).
그의 일례로서, 키토산에 소수성기인 지방기를 합성하는 방법은 아실 클로라이드와 반응시키는 실험 방법이 제안되었다(Yuejin Tong, Shaofeng Wang, Jianwei Xu, Beishan Chua, Chaobin He, Carbohydrate Polymers 60(2005) 229-233). 하지만 아실 클로라이드 합성 방법은 클로라이드의 유독성 때문에 세포 및/또는 단백질을 부착하거나 배양하는데 사용하기에는 여전히 부적합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세포부착성이 향상된 팔미토일 키토산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키토산 필름에 코팅하거나 혼합한 코팅 필름 및 키토산 혼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팔미토일 키토산이 표면에 흡착되어 세포부착성을 향상시킨 세포배양용 폴리스티렌 용기와 세포배양용 글래스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팔미토일 키토산의 제조방법은, 키토산의 아민기와 팔미트산의 카르복실기를 반응시켜 팔미토일 키토산을 제조한다.
상기 키토산과 팔미트산은 바람직하게는 [1 : 1] ~ [25 : 1]의 몰비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키토산의 아민기와 팔미트산의 카르복실기를 반응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EDC(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키토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EDC 2 ~ 179 중량부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키토산의 아민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NHS(N-히드록실숙신이미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키토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NHS 1 ~ 132 중량부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팔미토일 키토산을 함유한 키토산 필름이 제공된다.
상기 키토산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키토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팔미토일 키토산 20 ~ 100 중량부가 함유될 수 있으며, 상기 키토산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7 ~ 0.16㎜를 유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팔미토일 키토산을 함유한 코팅액으로 코팅된 키토산 필름이 제공된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액은 팔미토일 키토산을 0.005 ~ 5㎎/㎖ 농도로 함유한다.
상기 코팅액의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 0.1 ~ 10% 염산, 0.1 ~ 10% 아세트산 및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키토산 필름에 코팅되는 코팅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7 ~ 0.12mm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팔미토일 키토산이 표면에 흡착된 세포배양용 폴리스티렌 용기와 세포배양용 글래스 용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키토산 필름은 소수성이 부족하여 단백질 및/또는 세포를 부착하거나 배양하는데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키토산 필름에 소수성을 더 부가하기 위하여 키토산을 아실 클로라이드(팔미토일 클로라이드)와 반응시켜 팔미토일 키토산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아실클로라이드는 클로라이드의 유독성 때문에 세포 및/또는 단백질을 부착하거나 배양하는데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지적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아실 클로라이드를 대신하여, 지방산인 팔미트산을 키토산과 합성하여 팔미토일 키토산을 제조하였다. 팔미트산으로 합성된 팔미토일 키토산은 종래의 아실 클로라이드로 합성된 것과는 달리 클로라이드의 유독성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키토산 필름 등에 사용하는 경우 세포 및/또는 단백질의 합성에 대단히 유용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팔미토일 키토산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팔미토일 키토산은 지방산인 팔미트산을 키토산과 합성하여 제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키토산과 팔미트산을 바람직하게는 [1 : 1] ~ [25 : 1]의 몰비로 혼합하여 제조한다. 만일 팔미트산의 첨가량이 [1 : 1] 을 초과하면 소수성이 지나치게 높아져 세포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고, [25 : 1] 미만이면 소수성이 지나치게 낮아지게 되어 전체적인 효율이 떨어진다.
한편, 상기 키토산의 아민기와 팔미트산의 카르복실기를 반응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EDC(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키토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EDC 2 ~ 179 중량부 첨가할 수 있다. 만일 EDC의 첨가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의가 미미하고, 179 중량부를 초과하면 키토산에 치환되어 원하지 않는 불순물이 합성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 다.
또한 키토산의 아민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NHS(N-히드록실숙신이미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키토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NHS 1 ~ 132 중량부 첨가할 수 있다. 만일 EDC의 첨가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의가 미미하고, 132 중량부를 초과하면 키토산에 치환되어 원하지 않는 불순물이 합성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키토산의 아민기와 팔미트산의 카르복실기를 반응시켜 팔미토일 키토산을 합성한다. 구체적으로 EDC는 카르보다이이마이드에 의해 카르복실기와 반응하고 NHS에 의해 활성화된 아민기와 최종적으로 결합하여 아마이드 결합을 이룬다. 이 반응은 수용액 상에서 비교적 안정하게 반응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제조된 팔미토일 키토산은 키토산 필름의 배합시 키토산과 함께 배합되어 필름으로 제조되거나, 키토산 필름에 코팅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팔미토일 키토산을 함유한 키토산 필름은 키토산과 상기 팔미토일 키토산을 배합하여 키토산 필름을 제조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키토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팔미토일 키토산 0.001 ~ 10 중량부를 배합한 후 통상의 키토산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통해 팔미토일 키토산을 함유한 키토산 필름을 제조한다. 만일 배합되는 팔미토일 키토산이 0.001 중량부 미만이면 팔미토일 키토산의 양이 너무 소량이므로 세포 부착성을 기대하기 힘들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팔미토일 키토산의 양이 과량이므로 세포 부착성이 오히려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키토산 필름의 두께는 0.07-0.16mm이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제조된 필름은 메탄올로 세척을 하게 되면 팽창이 줄어들어 배양액에서의 형태변화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3실시예는 상기 제조된 팔미토일 키토산을 함유한 코팅액을 제조하고, 제조된 코팅액을 키토산 필름에 도포하여 팔미토일 키토산이 코팅된 키토산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팅액은 팔미토일 키토산을 0.005 ~ 5㎎/㎖ 농도로 함유한다. 만일 배합되는 팔미토일 키토산이 0.005 ㎎/㎖ 미만이면 팔미토일 키토산의 양이 너무 소량이므로 세포 부착성을 기대하기 힘들고, 5㎎/㎖를 초과하면 팔미토일 키토산의 양이 과량이므로 세포 부착성이 오히려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코팅액의 용매는 상기 팔미토일 키토산을 용해할 수 있는 것이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물, 0.1 ~ 10% 염산, 0.1 ~ 10% 아세트산 및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키토산 필름에 코팅되는 코팅층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7 ~ 0.12mm이며, 코팅방법은 통상의 필름에 코팅액을 코팅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3실시예 및 4실시예는, 상술한 방법으로 제조된 팔미토일 키토산이 표면에 흡착된 세포배양용 폴리스티렌 용기와 세포배양용 글래스 용기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1실시예에서 제조된 팔미토일 키토산을 에탄올 등에 녹여 용액을 제조한 후 폴리스티렌 또는 글래스를 상기 용액에 12시간 이상 위치시켜 팔미토일 키토산을 폴리스티렌 등의 표면에 흡착시킨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팔미토일 키토산을 함유 또는 흡착한 키토산 필름 등은 통상의 키토산 필름과는 달리 필름의 안정성이 확보되면서 필름의 소수성이 증대되어 세포 및/또는 단백질을 부착하거나 배양하는데 매우 적합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팔미토일 키토산의 합성
1.40% 에탄올에 0.1M의 MES (2-morpholinoethanesulfonic acid, monohydrate, DOJINDO Laboratories)를 pH 6으로 맞추어 5ml 만들었다. 그 뒤 2.0.1M의 MES 5ml에 1.24mg EDC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 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mide, 시그마사)와 0.55mg 1. NHS (N-hydroxylsuccinimed, Sigma)를 각각 첨가하였다. 여기에 1.6mM의 팔미트산 (ALDRICH)와 49.7mM의 키토산 (Mw 160000, (주)리젠바이오텍)을 각각 첨가하고 2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켜 팔미토일 키토산을 합성하였다. 그 뒤 합성된 팔미토일 키토산을 5℃에서 탈이온화된 물로 투석(Cellulose membrane, Mol. wt. 12000, Sigma)을 1 시간 동안 총 5회 실시한 후, 페트리 디시에 넣고 1시간 동안 -80℃에서 냉동시켰다. 그 뒤 12 시간 동안 -70℃로 동결건조하여 데시케이터에 보관하였다.
< 실시예 2> 팔미토일 키토산이 코팅된 키토산 필름의 제조
키토산을 10% 아세트산에 녹여 7% 키토산을 만든 후 12시간 동안 반응시키면서 원심분리기로 기포를 제거하였다. 상기 7% 키토산을 테프론판에 1.5mm의 두께로 부어 키토산 필름을 제조한 후 12시간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키토산 필름을 떼어내어 파라핀판 위에서 펀치 (12mm)로 자른 후, 잘린 키토산 필름은 24-well에서 메탄올로 10분 동안 2회 세척한 후 실온에서 건조하여 키토산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팔미토일 키토산을 탈이온화된 물 1ml당 0.1mg의 농도로 녹여 코팅액을 제조하고 이를 상기 키토산 필름에 1ml씩 떨어뜨리고 1시간 동안 방치한 후 클린 벤친 안에서 메탄올로 10분동안 2회 세척하고 실온에서 하루동안 건조하여 팔미토일 키토산이 코팅된 키토산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팔미토일 키토산을 함유한 키토산 필름의 제조
키토산을 10% 아세트산에 녹여 7% 키토산 100ml을 제조하였다. 그 뒤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팔미토일 키토산을 상기 7% 키토산에 대하여 3mg/ml 혼합하고, 상기 7% 키토산을 테프론판에 1.5mm의 두께로 부어 키토산 필름을 제조한 후 12시간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키토산 필름을 떼어내어 파라핀판 위에서 펀치 (12mm)로 자른 후, 잘린 키토산 필름은 24-well에서 메탄올로 10분 동안 5회 세척한 후 실온에서 건조하여 키토산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팔미토일 키토산이 흡착된 폴리스틸렌 세포배양용기 제작
상기 실시예1의 방법으로 제조된 팔미토일 키토산을 에탄올에 최종 농도가 1mg/ml가 되도록 용해시킨다. 그 뒤 폴리스틸렌(polystyrene)에 각 농도의 팔미토일 키토산 용액을 떨어뜨린 후 24시간 동안 흡착시키고 PBS로 세하여 팔미토일 키토산이 흡착된 폴리스틸렌 세포배양용기 제작하였다.
<실시예 5> 팔미토일 키토산이 흡착된 글라스 세포배양용기 제작
폴리스티렌을 대신하여 슬라이드 글라스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팔미토일 키토산이 흡착된 글라스 세포배양용기 제작하였다.
<비교예 1>
팔미토일 키토산을 혼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키토산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팔미트산을 대신하여 락토바이온산를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락토바이오닐 키토산을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락토바이오닐 키토산이 함유된 코팅액을 제조하고 이를 키토산 필름에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락토바이오닐 키토산이 코팅된 키토산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팔미토일 키토산을 대신하여 비교예 2에서 제조된 락토바이오닐 키토산을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키토산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2 ~ 5 및 비교예 1 ~ 3에서 제조된 키토산 필름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세포 부착성 실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1. 세포부착성 실험 과정
(1) 폴리-헤마 (P3932, Sigma) 200㎕씩 분주하고 코팅한다.
(2) 충분히 건조시킨 24well 컬처 플레이트에 상기 제조된 각각의 필름을 핀셋을 이용하여 옮겨준다.
(3) 미리 배양액(배양액의 종류를 명시하여 주세요) 500㎕씩 넣어 수화시킨다.
(4) 인간 태아 간세포는 5×104cells/필름으로 24시간 동안 부착시킨다.
(5) 배양시간 동안 배양액의 유동성을 주지 않는 정적인 배양과 유동성을 주는 동적인 배양으로 테스트한다.
(6) 24시간 후 필름에 부착된 세포 및 필름에 붙지 않고 배양액내 존재하는 세포의 수를 뉴클레오카운터 (NucleoCounter, Chemometec, Denmark)를 사용하여 측정한다.
[표 1]
0.1mg/㎖ 당 세포부착수
실시예 2 11.76
실시예 3 10.08
실시예 4 9.84
실시예 5 9.59
비교예 1 3.84
비교예 2 8.88
비교예 3 2.88
표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 ~ 5에서 제조된 키토산 필름이 비교예 1 ~ 3의 키토산 필름에 비하여 세포부착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독성을 줄이면서 동시에 세포 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키토산과 소수성의 지방기인 팔미트산을 합성하여 팔미토일 키토산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키토산 필름에 코팅하거나 혼합한 코팅 필름과 혼합 필 름을 제조하였다. 이를 통해 유독성이 거의 없으면서 세포 부착성이 향상된 키토산 필름을 제조할 수 있어 세포 및/또는 단백질의 배양에 매우 유리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키토산; 및
    키토산과 팔미트산을 [1 : 1] ~ [25 : 1]의 몰비로 하고, EDC(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를 키토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2 ~ 179 중량부로 첨가하고, NHS(N-히드록실숙신이미드)를 키토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132 중량부로 첨가하여, 상기 키토산의 아민기와 상기 팔미트산의 카르복실기을 반응시켜 제조된 팔미토일 키토산;
    을 배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미토일 키토산이 함유된 키토산 혼합필름.
  8. 제7항에 있어서, 키토산 필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팔미토일 키토산 20 ~ 100 중량부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키토산 혼합필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 필름의 두께는 0.07 ~ 0.16㎜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키토산 혼합필름.
  10. 키토산 필름에
    키토산과 팔미트산을 [1 : 1] ~ [25 : 1]의 몰비로 하고, EDC(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를 키토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2 ~ 179 중량부로 첨가하고, NHS(N-히드록실숙신이미드)를 키토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132 중량부로 첨가하여, 상기 키토산의 아민기와 상기 팔미트산의 카르복실기을 반응시켜 제조된 팔미토일 키토산을 함유한 코팅액으로 코팅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토산 코팅필름.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은 팔미토일 키토산 0.005 ~ 5㎎/㎖ 농도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키토산 코팅필름.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액의 용매는 물, 0.1 ~ 10% 염산, 0.1 ~ 10% 아세트산 및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키토산 코팅필름.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키토산 필름에 코팅되는 코팅층의 두께는 0.07 ~ 0.12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키토산 코팅필름.
  14. 키토산과 팔미트산을 [1 : 1] ~ [25 : 1]의 몰비로 하고, EDC(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보디이미드)를 키토산 100중량부에 대하여 2 ~ 179 중량부로 첨가하고, NHS(N-히드록실숙신이미드)를 키토산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 132 중량부로 첨가하여, 상기 키토산의 아민기와 상기 팔미트산의 카르복실기을 반응시켜 제조된 팔미토일 키토산이 흡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배양용 폴리스티렌 용기.
KR1020070063267A 2007-06-26 2007-06-26 팔미토일 키토산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키토산 필름 KR100902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267A KR100902040B1 (ko) 2007-06-26 2007-06-26 팔미토일 키토산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키토산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3267A KR100902040B1 (ko) 2007-06-26 2007-06-26 팔미토일 키토산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키토산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067A KR20080114067A (ko) 2008-12-31
KR100902040B1 true KR100902040B1 (ko) 2009-06-15

Family

ID=403712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3267A KR100902040B1 (ko) 2007-06-26 2007-06-26 팔미토일 키토산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키토산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2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38156B (zh) * 2019-12-16 2021-11-19 中国热带农业科学院农产品加工研究所 一种两亲性壳聚糖及其制备方法和应用其的两亲性壳聚糖基纳米微胶囊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8373A1 (en) 1997-03-25 2002-12-26 Ijeoma Florence Uchegbu Particulate drug carriers
KR20040006935A (ko) * 2002-07-16 2004-01-24 좌용호 키토산과 수산화아파타이트를 이용한 생체친화성 필름의제조방법
KR100767336B1 (ko) 2006-04-19 2007-10-18 서평원 키틴/키토산계 기능성 유무기 복합물질 및 그 제조방법, 및그러한 복합물질의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98373A1 (en) 1997-03-25 2002-12-26 Ijeoma Florence Uchegbu Particulate drug carriers
KR20040006935A (ko) * 2002-07-16 2004-01-24 좌용호 키토산과 수산화아파타이트를 이용한 생체친화성 필름의제조방법
KR100767336B1 (ko) 2006-04-19 2007-10-18 서평원 키틴/키토산계 기능성 유무기 복합물질 및 그 제조방법, 및그러한 복합물질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대한화장품학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4067A (ko)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2798A (en) Method of promoting dermal wound healing with chitosan and heparin or heparin sulfate
Freier et al. Controlling cell adhesion and degradation of chitosan films by N-acetylation
Peniche et al. Chitin and chitosan: major sources, properties and applications
Muñoz et al. Extraction of chitosan from Aspergillus niger mycelium and synthesis of hydrogels for controlled release of betahistine
Sun et al. Covalently crosslinked hyaluronic acid‐chitosan hydrogel containing dexamethasone as an injectable scaffold for soft tissue engineering
WO2003074099A1 (fr) Materiau de base pour regeneration tissulaire, materiau de transplantation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Arafa et al. Preparation of biodegradable sodium alginate/carboxymethylchitosan hydrogels for the slow-release of urea fertilizer an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CN101905034B (zh) 生物多糖自组装修饰的壳聚糖抗菌生物材料的制备方法
JPH05508161A (ja) ヒアルロン酸の非水溶性誘導体
CZ2011241A3 (cs) Amfoterní materiál na bázi sítované kyseliny hyaluronové, zpusob jeho prípravy, materiály obsahující aktivní cinidla uzavrené v síti hyaluronanu, zpusob jejich prípravy a jejich použití
WO2019052321A1 (zh) 一种水溶性壳聚糖抗菌衍生物及其制备方法
CN107141519B (zh) 一种改性壳聚糖基超吸水凝胶及其制备和应用
CN111533827B (zh) 一种负电性多糖季铵盐止血材料及其制备方法及应用
EP2529226B1 (en) Silylated biomolecules
JP3034352B2 (ja) 安定な一重らせん構造の分子内架橋(1→3)−β−D−グルカン類及びその製造法
JP4356289B2 (ja) 多糖類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Arulmoorthy et al. Bio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chitosan based hydrogel: A potential in vitro wound healing agent
JP3924612B2 (ja) 絹タンパク質とキトサンとの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02040B1 (ko) 팔미토일 키토산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키토산 필름
JPS6341541A (ja) 表面にキトサン成分を有する高分子成形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15260337A (zh) 一种精氨酸接枝羧基化普鲁兰多糖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5110046B2 (ja) 多糖類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24786A (ko) 다당류 성형체에 내수성을 부여하는 방법
Wang et al. Effects of sugar cross-linking agents and thermal treatment on the culture of fibroblasts in vitro on a (PEG/chitosan) membrane
CN116478441B (zh) 一种可拼装可溶解的三维细胞培养载体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