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967B1 -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 Google Patents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967B1
KR100901967B1 KR1020070136420A KR20070136420A KR100901967B1 KR 100901967 B1 KR100901967 B1 KR 100901967B1 KR 1020070136420 A KR1020070136420 A KR 1020070136420A KR 20070136420 A KR20070136420 A KR 20070136420A KR 100901967 B1 KR100901967 B1 KR 100901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evice
event
content
target group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윤
조태경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6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9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96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은,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관리서버, 컨텐츠를 제공받아 단말 내에서 실행하기 위한 제 1 단말장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제 1 단말장치는 컨텐츠에 대한 실행을 통해 이벤트를 형성한 후 이벤트를 토대로 하는 이벤트 내역을 형성하여 서비스 관리서버로 전달하며, 서비스 관리서버는 이벤트 내역의 수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 중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기 위한 대상 그룹을 설정하고,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로 컨텐츠의 실행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달한 후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의 접속에 응답하여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고,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는 이벤트 내역을 토대로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장치를 통해 각각 공유 대상인 컨텐츠를 실행하여 이벤트를 실행한다고 하더라도 다수의 사용자 모두는 동기화되어 일치되는 미디어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미디어, 컨텐츠, 동기화

Description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SYSTEM AND METHOD FOR SYNCHONIZING CONTENTS, SERVER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에 관한 것을,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미디어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기화시키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어느 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장치를 통해 해당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컨텐츠를 실행하여 소정의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이에 대해 나머지 사용자도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자신의 단말장치에 구비된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에 관한 것이다.
전자, 컴퓨터 및 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은 현대인의 생활 패턴을 변화시키고 있다. 거의 모든 가정, 학교 및 사무실에 인터넷이 가능한 개인용 컴퓨터가 보급되어 다양하게 제공되는 컨텐츠 서비스, 예컨데 동호회, 채팅, 게임, 쇼핑, 뉴스 등의 서비스를 컴퓨터를 통해서 할 수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사용자들은 음성 통신 위주의 서비스만을 이용할 수 있었지만, 급속 도로 발전한 이동통신망에 힘입어 이동통신 단말장치 역시 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는데에 이르렀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장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사용자가 기 입력한 일정이 도래하면 벨소리 또는 진동으로 일정이 도래하였음을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사용자에게 인식시키는 기능인 일정관리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일정관리 기능은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사용자에게만 일정 알림을 제공하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모이는 모임 일정을 모임 참석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서는 유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모임 일정 내용을 포함한 이메일(E-mail)을 전송하거나, 모일 일정 내용을 포함한 단문 메시지를 모임 참석자 전원들에게 전송하여 모임 참석자들이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이메일 또는 단문 메시지로 전달받은 모임 일정을 스스로 입력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모임 일정을 계획한 모임 주관자의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등록된 일정을 모임 참석자의 이동통신 단말장치와 공유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모임 주관자의 이동통신 단말장치와 모임 참석자의 이동통신 단말장치에서 일정을 공유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종류에 상관없이 동일한 일정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야 하고, 불시에 일정을 공유하여야 하기 때문에 일정관리 프로그램이 항상 활성화되어 있어야 한다.
이러한 두가지 사항을 모두 만족시키는 종래의 프로그램은 표준화된 이동통신 단말장치용 무선 인터넷 플랫폼인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이하 '위피 플랫폼'이라 함)를 통해 다운로드 되고, 위피 플랫폼 상에서 실행되며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 모드시 활성화되는 대기 화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및 대기 화면 서비스이다.
이러한 대기 화면 서비스는 대기 모드시 대기 화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피 플랫폼 상에서 실행하고 있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에 날씨 정보, 뉴스, 패션 및 TV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쪽지 및 대기 화면 서비스 가입자 간 쪽지를 푸쉬 메시지(Push Message) 형태로 전송한다.
여기서, 푸쉬 메시지란 인터넷에서 클라이언트 측 사용자의 검색 조작에 의하지 않고 서버의 작용에 의해서 서버상에 있는 정보를 클라이언트로 자동 전송하는 메시지를 의미한다.
대기 화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대기 화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일정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대기 화면 서비스 서버에 일정 관리 기능을 포함하면 여러 사람이 모이는 모임의 주관자가 모임 일정을 모임 참석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개인용 컴퓨터로 유선 인터넷에 접속하여 모임 일정 내용을 포함한 이메일을 전송하거나 모임 일정 내용을 포함한 단문 메시지를 모임 참석자 전원에게 전송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대기 화면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모임 참석자들과 모임 일정을 공유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대기 화면 서비스도 어느 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일정 내용을 다른 사용자에게 쪽지 전달형식의 푸쉬 메시지로 전달하여 디스플레이 실행되도록 하는 정도의 편리함을 추구하는 정도이며, 어느 한 사용자에 의해 작성된 일 정 내용을 전달받은 다른 사용자로 하여금 전달받은 일정 내용을 관련된 컨텐츠의 일련의 백업 데이터로 활용하여 컨텐츠 실행할 수 있는 수준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화면상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미디어 상으로나 백업 데이터 상으로나 일치시켜야 하는 서비스(예컨데, 개인 또는 팀원 간의 일정관리, 핸드폰 속 아기 키우기, 게임상에 등장하는 캐릭터를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이동)를 이용하는 경우, 단순히 어느 한 사용자가 형성한 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달하여 인식 케 하는 정도가 아니라, 다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장치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변경하더라도 다수의 사용자 모두가 동기화된 컨텐츠를 실행하여 동일한 미디어 및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미디어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기화시키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어느 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장치를 통해 해당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컨텐츠를 실행하여 소정의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이에 대해 나머지 사용자도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자신의 단말장치에 구비된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 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미디어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기화시키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어느 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장치를 통해 해당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컨텐츠를 실행하여 소정의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이러한 이벤트 내역을 제공받은 후 이벤트 내역을 제공받을 나머지 사용자인 대상 그룹을 형성하고, 형성한 대상 그룹과의 무선 인터넷 연결 등의 연동 과정을 통해 상기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기 위한 서비스 관리서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은,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관리서버, 상기 컨텐츠를 제공받아 단말 내에서 실행하기 위한 제 1 단말장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단말장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실행을 통해 이벤트를 형성한 후 상기 이벤트를 토대로 하는 이벤트 내역을 형성하여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이벤트 내역의 수신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 중 상기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기 위한 대상 그룹을 설정하고, 상기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로 상기 컨텐츠의 실행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달한 후 상기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의 접속에 응답하여 상기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고, 상기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는 상기 이벤트 내역을 토대로 상기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는 상기 제 1 단말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의 각 단말화면상으로 이루어지는 미디어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기화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단말장치는 상기 미디어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토대로 상기 이벤트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의 형성으로 변경되는 상기 미디어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 내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단말장치는 상기 이벤트 내역을 기 설정된 주기 또는 시간에 따라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단말장치는 상기 이벤트 내역을 형성할 때마다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벤트 내역은 상기 제 1 단말장치에 대한 식별정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오브젝트 정보 및 상기 이벤트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벤트 내역은 상기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이벤트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실행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기실행 정보는 상기 컨텐츠를 이루는 디렉토리 중 상 기 이벤트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의 위치를 나타내는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벤트 내역은 상기 대상 그룹을 이루기 위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단말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 및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호 연동되는 동기화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각 단말에서 실행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동기화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이벤트 내역 중 상기 대상 그룹을 이루기 위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대상 그룹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대상 그룹을 이루기 위해 기 저장된 사용자 설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대상 그룹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를 상기 대상 그룹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제어 메시지를 SMS에 기반하여 형성 및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접속되지 않는 경우,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에 전달되지 않은 상기 이벤트 내역을 누적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가 접속하거나 상기 누적된 이벤트 내역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누적된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에 상기 누적된 이벤트 내역의 발생을 알리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형성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와 무선 인터넷 연결중인 경우,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실행 여부에 따라 상기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서비스 관리서버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컨텐츠를 제공받아 단말 내에서 실행하기 위한 제 1 단말장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와 무선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싱부, 상기 제 1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이벤트 실행을 통해 형성되는 이벤트 내역을 전달받은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 중 상기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기 위한 대상 그룹을 설정하는 대상그룹 설정부, 상기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로 상기 컨텐츠의 실행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메시지 송출부 및 상기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의 접속에 응답하여 상기 이벤트 내역 을 전달하기 위한 이벤트 내역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접속되지 않는 경우,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에 전달되지 않은 상기 이벤트 내역을 누적하여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벤트 내역 전달부는 상기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가 접속하거나 상기 누적된 이벤트 내역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누적된 이벤트 내역을 상기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컨텐츠 동기화 방법은, (가) 제 1 단말장치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에 다수의 사용자 간 미디어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기화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나) 상기 제 1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실행으로 인한 이벤트를 토대로 하여 형성되는 이벤트 내역을 전달받는 단계, (다) 상기 이벤트 내역의 수신을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 중 상기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기 위한 대상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 (라) 상기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로 상기 컨텐츠의 실행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 (마) 상기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의 접속에 응답하여 상기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 동기화 방법은 (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장치가 상기 이벤트 내역을 토대로 상기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 단계는 상기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접속되지 않는 경우,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에 전달되지 않은 상기 이벤트 내역을 누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 단계는 상기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가 접속하거나 상기 누적된 이벤트 내역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누적된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미디어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기화시키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어느 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장치를 통해 해당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컨텐츠를 실행하여 소정의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이에 대해 나머지 사용자도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자신의 단말장치에 구비된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장치를 통해 각각 공유 대상인 컨텐츠를 실행하여 이벤트를 실행한다고 하더라도 다수의 사용자 모두는 동기화되어 일치되는 미디어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 있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가 각 단말화면상으로 이루어지는 미디어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동기화 실행되어 동일한 컨텐츠 실행화면을 제공받기 위한 컨텐츠(예컨데, 개인 또는 팀원 간의 일정관리, 핸드폰 속 아기 키우기, 게임상에 등장하는 캐릭터를 A지점에서 B지점으로 이동)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관리서버(200), 상기 컨텐츠를 제공받아 단말 내에서 실행하기 위한 제 1 단말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를 포함한다.
제 1 단말장치(100)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실행을 통해 이벤트를 형성한 후 형성한 이벤트를 토대로 하여 이벤트 내역을 추가로 형성하고, 이러한 이벤트 내역을 서비스 관리서버(200)로 전달한다. 이러한 과정은 사용자에 의한 추가적인 입력 실행없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이벤트 내역의 수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 중 제 1 단말장치(100)로부터 전달된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기 위한 대상 그룹을 설정하고, 설정한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로 단말 내 저장된 컨텐츠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후로,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단말 내에 저장중인 컨텐츠를 활성화하여 접속하는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에 응답하여 이벤트 내역을 전달한다.
이에, 서비스 관리서버(200)로부터 이벤트 내역을 전달받은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는 이벤트 내역을 토대로 하여 컨텐츠에 대한 업-데이트를 실행한다.
여기서, 이벤트 내역이라 함은 제 1 단말장치(100)에 대한 식별정보, 컨텐츠에 대한 오브젝트 정보 및 이벤트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인 것을 가르킨다.
더 나아가, 이벤트 내역은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및 이벤트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실행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동기실행 정보는 서비스 관리서버(200)에서 형성하여 이벤트 내역에 포함하는 것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 동기실행 정보는 컨텐츠를 이루는 디렉토리 중 이벤트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의 위치를 나타내는 헤더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이벤트 내역은 서비스 관리서버(200)에서 대상 그룹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정보로 활용될 수 있는 대상 그룹을 이루기 위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테면, 제 1 단말장치(100)는 컨텐츠를 '일정관리'에 대한 것으로 하고, 이벤트를 '10시부터 11시까지 팀회의'인 것으로 일례를 들면, 일정관리에 대한 미디어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단말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에 의한 이벤트 실행으로 '10시부터 11시까지 팀회의'를 미디어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나타낸다.
이후로, 이렇게 이벤트의 형성으로 변경되는 미디어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벤트 내역을 형성하게 된다.
제 1 단말장치(100)는 상기 이벤트 내역을 형성할 때마다 서비스 관리서버(200)로 전달하도록 구현되거나, 기 설정된 주기 또는 시간에 따라 서비스 관리서버(200)로 전달하도록 구현된다.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제 1 단말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와 무선 인터넷을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싱부(210), 제 1 단말장치(100)로부터 이벤트 내역을 전달받은 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 중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기 위한 대상 그룹을 설정하는 대상그룹 설정부(220),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로 컨텐츠의 활성화를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메시지 송출부(230) 및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의 접속에 응답하여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기 위한 이벤트 내역 전달부(240)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그룹 설정부(220)는 대상 그룹을 제 1 단말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이벤트 내역 중 대상 그룹을 이루기 위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토대 로 하여 대상 그룹을 설정하거나, 대상 그룹을 이루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부에 기 저장된 사용자 설정정보를 토대로 대상 그룹을 설정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 모두를 대상 그룹을 자동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시지 송출부(230)는 SMS 센터와 연동하여 제어 메시지를 SMS에 기반하는 것으로 형성하여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벤트 내역 전달부(240)는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접속되지 않는 경우,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에 전달되지 않은 이벤트 내역을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하기 위한 프로세시이을 실행한다.
이에 더하여, 이벤트 내역 전달부(240)는 상기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에 전달되지 않은 이벤트 내역이 지속하여 발생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베이스부에 기 저장중인 이벤트 내역에 누적하여 새롭게 발생한 이벤트 내역을 추가로 저장하기 위한 프로세싱을 실행한다.
또한, 이벤트 내역 전달부(240)는 상기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가 접속하거나 누적된 이벤트 내역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을 접수하게 되면,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해당하는 이벤트 내역을 추출하여 전달한다.
아울러, 메시지 송출부(230)는 상기와 같이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가 지속하여 이벤트 내역을 제공받지 못하는 경우, 이벤트 내역의 발생을 알리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형성하여 상기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에 전달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벤트 내역 전달부(240)는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와 무선 인터넷 연결중인 경우에는,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여 각 단말 내 컨텐츠를 활성화한 이후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에 의한 접속을 통한 이벤트 내역에 대한 제공요청이 없이도 바로 해당하는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단말장치(10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 및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상호 연동되는 동기화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각 단말에서 실행되는 컨텐츠에 대한 동기화를 실행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의 동작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에 단지 예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동기화 방법은 서비스 관리서버(200)가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 미디어 화면을 제공받기 위한 컨텐츠를 제 1 단말장치(100)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에 제공한 후, 제 1 단말장치(100)가 단말 내 컨텐츠를 실행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100).
상기 S100 단계에서의 컨텐츠 실행으로 이벤트를 형성한 후(S102), 형성한 이벤트에 대해 이벤트 내역을 추가로 형성하여 서비스 관리서버(200)로 전달한다(S104 및 S106).
이후로, 서비스 관리서버(200)는 이벤트 내역의 수신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제 2 단말장치(300) 중 상기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기 위한 대상 그룹을 설정하고(S108),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에 기 저장중인 컨텐츠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달한다(S110), 이에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는 상기 제어 메시지의 수신으로 컨텐츠를 활성화한다(S112).
상기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300)는 서비스 관리서버(200)에 접속하여 서비스 관리서버(200)로부터 이벤트 내역을 전달받은 후(S114 및 S116), 전달받은 이벤트 내역을 토대로 컨텐트에 대한 업-데이트를 실행한다(S118).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가 동일한 미디어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기화시키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어느 한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장치를 통해 해당 동기화 서비스에 대한 컨텐츠를 실행하여 소정의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이에 대해 나머지 사용자도 상기 발생한 이벤트에 대응하여 자신의 단말장치에 구비 된 컨텐츠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및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 1 단말장치 200 : 서비스 관리서버
210 : 인터페이싱부 220 : 대상그룹 설정부
230 : 메시지 송출부 240 : 이벤트 내역 전달부
300 : 제 2 단말장치

Claims (25)

  1.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관리서버;
    상기 컨텐츠를 제공받아 단말 내에서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인 제 1 단말장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실행을 통해 이벤트를 형성한 후 상기 이벤트를 토대로 하는 이벤트 내역을 형성하여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로 전달하며,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이벤트 내역의 수신을 통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장치 중 상기 제 1 단말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기 위한 대상 그룹을 설정하고, 상기 제 2 단말장치로 상기 컨텐츠의 실행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달한 후 상기 제 2 단말장치의 접속에 응답하여 상기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고,
    상기 제 2 단말장치는 상기 이벤트 내역을 토대로 상기 컨텐츠를 업-데이트하여 동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상기 제 1 단말장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의 각 단말화 면상으로 이루어지는 미디어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기화하여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장치는
    상기 미디어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토대로 상기 이벤트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이벤트의 형성으로 변경되는 상기 미디어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이벤트 내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장치는
    상기 이벤트 내역을 기 설정된 주기 또는 시간에 따라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5.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장치는
    상기 이벤트 내역을 형성할 때마다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내역은
    상기 제 1 단말장치에 대한 식별정보, 상기 컨텐츠에 대한 오브젝트 정보 및 상기 이벤트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내역은
    상기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에서 실행되는 상기 컨텐츠 및 상기 이벤트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실행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실행 정보는
    상기 컨텐츠를 이루는 디렉토리 중 상기 이벤트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의 위치를 나타내는 헤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내역은
    상기 대상 그룹을 이루기 위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말장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 및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호 연동되는 동기화 프로토콜에 기반하여 각 단말에서 실행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동기화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이벤트 내역 중 상기 대상 그룹을 이루기 위한 사용자 설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대상 그룹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대상 그룹을 이루기 위해 기 저장된 사용자 설정정보를 토대로 상기 대상 그룹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를 상기 대상 그룹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제어 메시지를 SMS에 기반하여 형성 및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접속되지 않는 경우,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에 전달되지 않은 상기 이벤트 내역을 누적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 츠 동기화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가 접속하거나 상기 누적된 이벤트 내역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누적된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에 상기 누적된 이벤트 내역의 발생을 알리기 위한 안내 메시지를 형성하여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관리서버는
    상기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와 무선 인터넷 연결중인 경우, 상기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여 상기 컨텐츠에 대한 실행 여부에 따라 상기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19. 컨텐츠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컨텐츠를 제공받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장치와 무선 인터넷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싱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인 제 1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이벤트 실행을 통해 형성되는 이벤트 내역을 전달받은 후,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장치 중 상기 제 1 단말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기 위한 대상 그룹을 설정하기 위한 대상그룹 설정부;
    상기 제 2 단말장치로 상기 컨텐츠의 실행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메시지 송출부; 및
    상기 제 2 단말장치의 접속에 응답하여 상기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기 위한 이벤트 내역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서버.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는
    상기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접속되지 않는 경우,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에 전달되지 않은 상기 이벤트 내역을 누적하여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서버.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내역 전달부는
    상기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가 접속하거나 상기 누적된 이벤트 내역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누적된 이벤트 내역을 상기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관리서버.
  22. (가)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장치에 다수의 사용자 간 미디어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기화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나)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장치 중 어느 하나인 제 1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실행으로 인한 이벤트를 토대로 하여 형성되는 이벤트 내역을 전달받는 단계;
    (다) 상기 이벤트 내역의 수신을 통해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단말장치 중 상기 제 1 단말장치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를 대상으로 하여 상기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기 위한 대상 그룹을 설정하는 단계;
    (라) 상기 제 2 단말장치로 상기 컨텐츠의 실행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전달하는 단계; 및
    (마) 상기 제 2 단말장치의 접속에 응답하여 상기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동기화 방법은
    (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말장치가 상기 이벤트 내역을 토대로 상기 컨텐츠를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방법.
  24. 제 22 항 또는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마) 단계는
    상기 대상 그룹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 중 적어도 하나 이상과 접속되지 않는 경우,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에 전달되지 않은 상기 이벤트 내역을 누적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마) 단계는
    상기 미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단말장치가 접속하거나 상기 누적된 이벤트 내역에 대한 다운로드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누적된 이벤트 내역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동기화 방법.
KR1020070136420A 2007-12-24 2007-12-24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KR100901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420A KR100901967B1 (ko) 2007-12-24 2007-12-24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420A KR100901967B1 (ko) 2007-12-24 2007-12-24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1967B1 true KR100901967B1 (ko) 2009-06-10

Family

ID=4098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420A KR100901967B1 (ko) 2007-12-24 2007-12-24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96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66197A2 (en) * 2009-11-25 2011-06-03 T-Mobile Usa, Inc. Router-based home network synchronization
WO2012026651A1 (en) * 2010-08-24 2012-03-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ynchronizing contents and display device enabling the method
KR101118529B1 (ko) 2009-11-10 2012-03-06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Sms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와 위젯 관리 서버 간의 위젯 동기화 시스템
WO2012070900A2 (ko) * 2010-11-24 2012-05-3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장치간 이벤트 및 데이터 공유 시스템
KR20120086611A (ko) * 2011-01-26 2012-08-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장치간 이벤트 및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시스템
WO2013024970A1 (ko) * 2011-08-17 2013-02-21 주식회사 로가톡 웹투폰 접속 이력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101472161B1 (ko) * 2010-11-24 2014-12-2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개인 장치간 이벤트 및 데이터 공유 시스템
DE102014206632A1 (de) * 2014-04-07 2015-10-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synchronen Aktualisierung von Inhalten auf mehreren Bedienoberflächen von Bedienpanels
KR20180027231A (ko) * 2016-09-06 2018-03-14 주식회사 퍼니셀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서버에서의 제어 방법, 및 이종 이동 통신 단말기간에 미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스마트 체험 학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330A (ko) * 2003-04-17 2004-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동기화 방법 및 데이터 포맷
KR100491541B1 (ko) 2003-08-01 2005-05-25 니트젠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네트웍 환경에서의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및 동기화 방법
KR100516504B1 (ko) 2003-09-30 2005-09-26 (주)잉카엔트웍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와 데이터 동기화를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118221A (ko) * 2005-05-16 2006-1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싱크 서버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0330A (ko) * 2003-04-17 2004-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동기화 방법 및 데이터 포맷
KR100491541B1 (ko) 2003-08-01 2005-05-25 니트젠테크놀러지스 주식회사 네트웍 환경에서의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및 동기화 방법
KR100516504B1 (ko) 2003-09-30 2005-09-26 (주)잉카엔트웍스 네트워크를 통하여 개인 휴대 단말기와 데이터 동기화를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60118221A (ko) * 2005-05-16 2006-11-2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싱크 서버를 이용한 컨텐츠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529B1 (ko) 2009-11-10 2012-03-06 주식회사 인스프리트 Sms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와 위젯 관리 서버 간의 위젯 동기화 시스템
US8346976B2 (en) 2009-11-25 2013-01-01 T-Mobile Usa, Inc. Secured registration of a home network device
WO2011066197A3 (en) * 2009-11-25 2011-11-24 T-Mobile Usa, Inc. Router-based home network synchronization
US8874741B2 (en) 2009-11-25 2014-10-28 T-Mobile Usa, Inc. Secured remote management of a home network
WO2011066197A2 (en) * 2009-11-25 2011-06-03 T-Mobile Usa, Inc. Router-based home network synchronization
CN103155583A (zh) * 2010-08-24 2013-06-12 Lg电子株式会社 用于同步内容的方法和实现该方法的显示装置
WO2012026651A1 (en) * 2010-08-24 2012-03-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ynchronizing contents and display device enabling the method
WO2012070900A3 (ko) * 2010-11-24 2012-09-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장치간 이벤트 및 데이터 공유 시스템
WO2012070900A2 (ko) * 2010-11-24 2012-05-3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장치간 이벤트 및 데이터 공유 시스템
KR101472161B1 (ko) * 2010-11-24 2014-12-26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개인 장치간 이벤트 및 데이터 공유 시스템
US9369505B2 (en) 2010-11-24 2016-06-14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Hanyang University Erica Campus System for sharing event and data between personal devices
KR20120086611A (ko) * 2011-01-26 2012-08-0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개인 장치간 이벤트 및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시스템
KR101596062B1 (ko) * 2011-01-26 2016-02-24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개인 장치간 이벤트 및 데이터 공유 방법 및 시스템
WO2013024970A1 (ko) * 2011-08-17 2013-02-21 주식회사 로가톡 웹투폰 접속 이력 송수신 방법 및 장치
DE102014206632A1 (de) * 2014-04-07 2015-10-0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synchronen Aktualisierung von Inhalten auf mehreren Bedienoberflächen von Bedienpanels
KR20180027231A (ko) * 2016-09-06 2018-03-14 주식회사 퍼니셀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서버에서의 제어 방법, 및 이종 이동 통신 단말기간에 미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스마트 체험 학습 방법
KR101926637B1 (ko) * 2016-09-06 2018-12-11 주식회사 퍼니셀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방법, 이기종 디바이스간 호환 가능한 미션 참여형 이동 통신 서버에서의 제어 방법, 및 이종 이동 통신 단말기간에 미션 데이터를 동기화하는 스마트 체험 학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967B1 (ko) 컨텐츠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서버
US8761750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between users
US20090221307A1 (en) Group communications
CN103069755B (zh) 使用多个客户端实例的即时消息传送的方法和系统
CN101854377B (zh) 一种支持无线终端的信息平台系统及其实现方法
KR20090080692A (ko) 프로파일 동기화 시스템 및 그 방법
EP1596560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essenger service capable of changing messenger status information based on a schedule
CN101232467A (zh) 一种实时传讯业务中应用时间戳获取信息的方法
KR101565276B1 (ko) 통신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저장 매체
CN101218784A (zh) 对等群组管理框架和方法
CN101305622A (zh) 在通信装置上指示联系人的存在
JP2005190287A (ja) プレゼンス表示システム及びゲートウエイ装置
CN110768895A (zh) 消息提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TW200835268A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utomatic notification to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nodes
JP4675351B2 (ja) 情報共有システム,情報共有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装した情報共有プログラム
EP2770757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rcs-e system
US20140149511A1 (en) Method for providing social presence information in telecommunication networks
JP2007208393A (ja) プレゼンス管理システム
KR100698756B1 (ko) 주소록 공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CN101193348A (zh) 一种订阅定时短信的方法、装置及系统
KR101710954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 및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장치
KR20050117205A (ko) 변경된 정보를 전송하는 장치와 방법
KR100640512B1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한 서버와 사용자 단말기간에 데이터 동기화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1835115A (zh) 一种实现短信聊天室功能的系统及方法
KR20100104063A (ko) 인스턴트 메시지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