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464B1 - 집음기 및 집음기 세트 - Google Patents

집음기 및 집음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464B1
KR100901464B1 KR1020080064372A KR20080064372A KR100901464B1 KR 100901464 B1 KR100901464 B1 KR 100901464B1 KR 1020080064372 A KR1020080064372 A KR 1020080064372A KR 20080064372 A KR20080064372 A KR 20080064372A KR 100901464 B1 KR100901464 B1 KR 100901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phone
sound
case
collecto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성
Original Assignee
(주)기가바이트씨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기가바이트씨앤씨 filed Critical (주)기가바이트씨앤씨
Priority to KR1020080064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4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4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4Structural association of microphone with electric circuitry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리를 모으는 집음기에 관한 것으로, 돔 형상을 이루는 집음기 케이스; 상기 집음기 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그 내주면에 공진주파수를 줄이는 다수개의 천공이 형성되는 반사판; 상기 집음기 케이스와 반사판 사이에 놓여 상기 반사판의 천공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는 흡음재; 상기 반사판의 내주면 둘레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조명; 상기 반사판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반사판에서 모아진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수집하는 마이크로폰; 상기 집음기 케이스 및 반사판을 올려놓는 설치프레임; 상기 설치프레임의 내측 둘레에 끼워 설치되는 광확산판 틀; 상기 광확산판 틀의 내측 둘레에 끼워지면서 상기 집음기 케이스의 전면에 배치되어 LED조명의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타공망 형상의 광확산판;으로 이루어져, 집음기로써의 역할과 더불어 실내의 분위기에 따라 밝히는 실내조명의 효과 및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는 집음기 및 집음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Figure R1020080064372
집음기, 반사판, 설치프레임, 광확산판, 조명, 마이크로폰.

Description

집음기 및 집음기 세트{REFLECTOR AND REFLECTOR ASS'Y}
본 발명은 소리를 모으는 집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에서 공진이나 소음이 필터링된 소리로 수집하여 청취자가 용이하게 들을 수 있도록 한 집음기 고유의 효과와 더불어, LED조명등과 함께 사용함으로써 실내조명의 효과를 누리면서 편리한 설치요소로 인해 집음기의 설치가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집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의실이나 회의실 등의 넓은 실내장소에서 강연자가 다수의 청중에게 정확한 음향을 전달하기 위해 P·A(Public address)시스템을 사용하였는데, 이는 마이크로폰를 이용하여 청중에게 강연자의 음향을 스피커를 통하여 소리를 전달하였다.
그러나, P·A(Public address)시스템은 마이크로폰를 통해서만 소리가 전달되므로, 강연자는 항시 마이크로폰를 앞에서 강연을 하였고, 또한 강연자가 이동하면서 강연을 할시 마이크로폰의 리드선에 의한 강연자의 이동에 불편을 초래하였다.
그래서, 상기 같은 문제점을 개정하고자 무선마이크로폰를 사용하고 있으나, 강연중에는 상시 휴대하여야 함은 물론 RF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노이즈가 증가하며, "뿌~웅" 이라고 소리를 내는 하울링 현상과 잦은 건전지 교환 및 충전, 무선 마이크로폰를 떨어뜨려 파손 등과 같은 문제점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 집음기는 강의실이나 회의실의 천장에 집음기와 조명등을 따로 설치하면서 상기 조명등으로 단순히 실내를 밝히는 역할만 하였을 뿐 실내의 분위기에 따라 다양한 빛을 밝히는 역할을 하지 못하였고, 종래 상기 집음기 내에는 사용 중에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이 항상 방열팬과 함께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상기 종래 집음기는 하나하나 일일이 천장에 설치하는 과정이 수월하지 않아 설치작업이 힘들게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하나하나 일일이 설치하는 관계로 인해 설치작업의 어려움은 물론이고 설치비용도 상당하여 비경제적면이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그 주목적은, 집음기 내에 LED조명을 설치하여 공진이 심한 실내와 같은 곳에서 공진이나 소음이 필터링된 소리로 수집하여 청취자가 용이하게 들을 수 있도록 하는 상기 집음기 자체의 역할과 더불어, 강의실이나 회의실 내의 분위기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조명을 구현할 수 있는 집음기를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집음기를 이루는 구성요소인 집음기 케이스를 실내의 천장에 설치하고, 광확산판이 설치된 광확산판 고정틀을 상기 집음기 케이스에 설치하는 설치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설치작업에 의해 설치비용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으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한 집음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형태의 집음기 및 조명등을 고정틀에 나란히 배치하여 한세트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세트별로 설치작업이 이루어져 더욱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설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 집음기 세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돔 형상을 이루는 집음기 케이스; 상기 집음기 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그 내주면에 공진주파수를 줄이는 다수개의 천공이 형성되는 반사판; 상기 집음기 케이스와 반사판 사이에 놓여 상기 반사판의 천공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는 흡음재; 상기 반사판의 내주면 둘레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조명; 상기 반사판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반사판에서 모아진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수집하는 마이크로폰; 상기 집음기 케이스 및 반사판을 올려놓는 설치프레임; 상기 설치프레임의 내측 둘레에 끼워 설치되는 광확산판 틀; 상기 광확산판 틀의 내측 둘레에 끼워지면서 상기 반사판의 전면에 배치되어 LED조명의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타공망 형상의 광확산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집음기 케이스 및 반사판은, 상기 설치프레임의 안쪽 둘레면에 각각 형성된 고정부재에서 출몰되어 천장의 프레임을 이루는 M바 상에 걸쳐지는 고정핀에 의해 상기 천장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광확산판 틀은 네 귀퉁이에서 스프링에 의해 출몰되어 상기 설치프레임의 내측둘레면에 삽입되는 돌출핀에 의해 상기 설치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LED조명 내에 설치되는 LED는 주광색과 형광색의 LED등이 번갈아가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LED조명은 주광색과 형광색의 LED조명이 번갈아가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집음기 케이스의 바깥둘레면 네 귀퉁이에서 힌지핀에 의해 회전운동하여 광확산판의 네 귀퉁이를 폐쇄하는 폐쇄날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반사판은 알루미늄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LED조명은, 표면에 LED가 부착되고 이면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회로기판; 상기 케이블이 내부로 통과되도록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전면부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부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배면부에는 수나사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소켓; 상기 소켓 배면부의 수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수부가 형성되어 상기 소켓과 나사결합되는 너트; 및 상기 소켓 전면부의 수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소켓과 나사결합되는 투명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소켓과 너트의 사이에 반사판의 다수개의 설치공 중 어느 한 개 해당부위에 위치시켜서 상기 반사판에 상기 LED조명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마이크로폰은, 외주면에 소리가 유입되는 소리유입구가 형성된 마이크 케이스; 상기 마이크 케이스의 전방을 밀폐하는 밀폐캡; 상기 마이크 케이스에 내장되며, 수음을 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된 회로기판; 상기 개방부에 설치된 마이크칩; 상기 마이크 케이스의 후방에 형성된 잭연결구와 결합되는 마이크잭; 상기 마이크 케이스의 후방에 나사결합되는 케이스 고정관; 상기 마이크잭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잭의 한쪽 끝단부를 중심부를 통해 돌출시키고, 상기 마이크잭의 바깥둘레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안쪽 둘레면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케이스 고정관의 후방에 나사결합되는 분리방지용 고리형 캡; 및 상기 분리방지용 고리형 캡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마이크잭의 한쪽 끝단부에 나사결합만 되어 있고 그 자체는 자유로운 상태에 있는 마이크잭 연결관;으로 이루어진 역지향성 마이크로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역지향성 마이크로폰은, 상기 마이크칩이 삽입되도록 삽입공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 주위에 다수개의 공진현상 제거홀이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에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삽입공보다 더 큰 지향성 관통공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주위에 다수개의 공진현상 제거홀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에 밀착되면서 상기 개방부에 결합되는 지향판; 및 면상에 다수개의 수음공이 형성되어 상기 지향판에서 일정거리 떨어지면서 상기 개방부에 결합되는 수음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집음기 케이스; 반사판; LED조명; 마이크로폰; 광확산판 틀; 광확산판;으로 이루어지고, 네 개를 한 세트로 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상기 실시예 중의 어느 하나의 집음기; 상기 집음기의 사이마다 배치되는 조명등; 및 상기 집음기 및 조명등의 둘레를 따라 밀착되어 상기 집음기 및 조명등을 고정하는 고정틀;로 구성한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조명등은 LED조명등 또는 EL조명등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집음기 및 집음기 세트에 의하면, 수집하고자 하는 소리의 데시벨이 낮아도 증폭되어 수집되므로, 아주 작은 소리도 선명한 음향으로 청취할 수 있으며, 강의실, 회의실과 같은 실내에서는 공진음이 없는 소리를 수집하여 청중에게 강연자의 목소리를 청명하게 전달하는 집음기 자체의 효과와 더불어, 상기 집음기 내에 설치되는 LED조명에 의해 내의 분위기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되는 조명의 효과를 얻게 된다.
또, 집음기를 이루는 구성요소인 집음기 케이스를 실내의 천장에 설치하고, 광확산판이 설치된 광확산판 고정틀을 상기 집음기 케이스에 설치하는 설치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설치작업에 의해 설치비용을 최소화하여 경제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집음기 및 조명등을 고정틀에 나란히 배치하여 한세트를 이루도록 함 으로써 세트별로 설치작업이 이루어져 더욱 간편하고도 신속하게 설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의 저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리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광확산판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집음기의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음기는 집음기 케이스(30), 반사판(31), LED조명(32), 마이크로폰(10), 설치프레임(33), 광확산판 틀(34) 및, 광확산판(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집음기 케이스(30)는 돔 형상을 이루면서 합성수지재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판(31)은 전체적으로 원반형의 형상을 이루면서 그 내주면에 공진주파수를 줄이는 다수개의 천공(40)이 형성되어, 상기 집음기 케이스(30)의 내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상기 LED조명(32)은 상기 반사판(31)의 내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반사판(31)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마이크로폰(10)은 상기 반사판(31)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반사판에 의해 모아진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수집하는 기능을 하며, 상기 LED조명(32) 및 마이크로폰(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여기서, 상기 집음기 케이스(30)와 반사판(31) 사이에는, 상기 반사판(31)에 형성된 천공(40)으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을 흡입하여 소멸시키는 흡음재(41)가 설치되며, 상기 집음기 케이스(30)와 반사판(31) 아래 사이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합성수지(42)를 채워 서로 고정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사판(31)은 알루미늄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알루미늄 재질로 인해 LED조명(32)의 작동으로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열시켜 열에 의한 상기 LED조명(32)의 수명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상기 설치프레임(33)은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사각틀 안쪽면의 각 변의 가운데 부위에는 안쪽으로 각각 고정부재(33a)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33a) 상에 상기 집음기 케이스(30) 및 반사판(31)을 올려놓아서 설치하게 된다.
상기 광확산판 틀(34)은 사각틀의 형상으로 상기 설치프레임(33)의 내측 둘레에 끼워서 설치하며, 광확산판(35)은 외부로부터 소리가 유입될 수 있도록 타공망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광확산판 틀(34)의 내측 둘레에 끼워져 상기 반사판(31)의 전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LED조명(32)의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게 된다.
도 4의 미설명 부호 (30a)는 '폐쇄날개판'으로, 그 기능에 대해서는 후술한 다.
도 5a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C-C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프레임(33)의 각 고정부재(33a)에는 고정핀(33b)이 관통하여 상기 설치프레임(33)의 외부로 출몰되고, 상기 고정핀(33b) 상에는 경사돌기(33c)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프레임(33)의 바깥쪽으로는 수월하게 돌출되지만 돌출된 후에 안쪽으로는 상기 경사돌기(33c)의 턱에 걸려 후퇴하지 못하게 되며,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3a)에서 고정핀(33b)이 결합된 상태에서 천장패널(37)의 바로 위에 설치되어 있는 M바(36) 위에 상기 고정핀(33b)을 밀어넣어서 걸리지도록 하여 상기 설치프레임(33)은 천장의 내부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재(33a)에 볼트(B)를 결합하여 고정핀(33b)이 유동되지 않도록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광확산판(35)이 설치된 광확산판 틀(34)의 네 귀퉁이에는 돌출핀(34a)이 각각 설치되어 안쪽에서 상기 돌출핀(34a)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34b)에 의해 상기 돌출핀(34a)에 연결된 돌출핀 손잡이(34c)를 손으로 잡고 안쪽으로 밀면, 상기 스프링(34b)이 압축되면서 상기 돌출핀(34a)이 광확산판 틀(34)의 안쪽으로 후퇴하고, 이후 손으로 잡고 있는 돌출핀 손잡이(34c)를 놓으면 압축되었던 상기 스프링(34b)이 복원되면서 돌출핀(34a)을 바깥쪽으로 돌출시킨다. 즉, 상기 스 프링(34b)의 복원에 의해 돌출된 각 돌출핀(34a)을 설치프레임(33)의 네 귀퉁이 안쪽에 형성된 각 결합공(H)에 각각 삽입시키면, 상기 광확산판 틀(34)이 설치프레임(33)에 간편하게 설치된다.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에 설치되는 LED조명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도 6a는 LED조명의 분해 사시도, 도 6b는 LED조명의 결합 사시도, 도 6c는 LED조명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에 설치되는 LED조명 내에서 서로 다른 종류로 번갈아가며 설치되는 LED등을 보여주는 저면도,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에 서로 다른 종류로 번갈아가며 설치되는 LED조명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LED조명(32)은 LED(120)가 장착된 회로기판(110), 상기 회로기판(110)이 전면부에 부착되는 소켓(170), 상기 소켓(170)과 나사결합되는 너트(160) 및, 상기 회로기판(110)의 전면에서 상기 소켓(170)과 나사결합되는 투명커버(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LED(120)는 회로기판(110)의 표면에서 방사상으로 다수개 장착되고, 회로기판(110)의 이면으로는 상기 LED(120)에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C)이 연결된다.(도 6c 참조)
상기 다수개의 LED(120)는 주광색과 형광색의 LED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 6a 및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켓(170)은 투명커버(130)의 암나사부(130c)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제 1 나사부(150a)에 수나사부(140c)가 형성되고, 배면부에는 상기 너트(160)의 암나사부(160a)와 대응하는 수나사부(140b)가 형성된 제 2 나사부(150b)로 이루어지며, 상기 소켓(170)과 너트(160)의 사이에 반사판(31)의 다수개의 천공(40) 중 어느 한 개 해당부위에 위치시켜서 상기 반사판(31)에 LED조명(32)을 설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LED조명은 교류(AC)를 직류(DC)로 변환해주는 전해콘덴서, LED의 열을 발산하도록 하기 위한 방열판 및 방열팬을 함께 구비하고 있는데, LED의 수명은 보통 5만 시간 정도이지만, 전해콘덴서의 수명은 3천 시간 정도이면서 그 가격은 LED의 1/10 ~ 1/5 정도로 매우 비싸다. 종래의 LED조명은 LED의 발산열에 의해서 LED의 수명보다 짧은 전해콘덴서가 손상되어 LED조명이 제수명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LED조명(32)은 알루미늄 재질로 된 반사판(31)과, 이 반사판(31)에 형성된 다수개의 천공(40)에 의해서 LED의 열이 쉽게 발산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방열판 및 방열팬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전해콘덴서는 집음기와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는 콘트롤박스에 내장된 회로와 연결하여 LED조명의 제수명을 다할 수 있으며 파워 LED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에 설치되는 LED조명 내에서 서로 다른 종류로 번갈아가며 설치되는 LED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에 서로 다른 종류로 번갈아가며 설치되는 LED조명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도 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음기에 설치되는 LED조명(32)은 주광색의 LED(120a)와 형광색의 LED(120b)를 함께 사용하여 조명을 실내의 분위기에 따라 다양한 색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즉, 회로기판(110)에 설치되는 LED(120)를 색상별로 구분하여, 주광색의 LED(120a)과 형광색의 LED(120b)가 방사상의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번갈아가며 설치하고 일치되는 색상을 연결하여 외부에 설치되는 스위치별로 회로 구성한다.
따라서, 주광색의 LED(120a)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하면, 주광색 조명을 구현할 수 있고, 형광색의 LED(120b)를 작동시키는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하면, 형광색 조명을 구현할 수 있으며, 주광색 및 형광색 LED(120a)(120b)를 동시에 작동하는 스위치를 온(ON) 상태로 하면 주광색과 형광색의 조합색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주광색 또는 형광색 LED(120a)(120b) 중 선택된 색상을 구현하는 경우는, 프로젝터를 사용하기 위하여 실내 조명의 조도를 어둡게 하는 경우와 그외 필요에 따라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평상시에는 주광색 및 형광색 LED(120a)(120b)를 동시에 작동시켜서 실내 조명의 조도를 밝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6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판(31)의 내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LED조명(32) 자체를 주광색의 LED조명(32a)과 형광색의 LED조명(32b)이 번갈아가며 설치되는 형태로 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배치로 설치된 LED조명(32) 역시 서로 다른 색깔의 LED(32a)(32b)에 의해 조명 색상과 밝기를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도 7a는 마이크로폰의 분해 사시도, 도 7b는 마이크로폰의 결합사시도, 도 7c는 마이크로폰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사판(31)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반사판에서 모아진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수집하는 기능을 하는 마이크로폰(10)은 역지향성 마이크로폰을 적용한다.
상기 마이크로폰(10)은 마이크 케이스(1), 상기 마이크 케이스(1)에 내장되는 회로기판(2), 상기 마이크 케이스(1)의 전방에 결합되는 밀폐캡(3), 상기 마이크 케이스(1)의 후방에 끼워진 잭연결구(8a), 상기 잭연결구(8a)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 케이스(1) 후방의 바깥쪽으로 나사결합되는 케이스 고정관(20) 및 상기 케이스 고정관(20) 끝단부의 안쪽으로 나사결합되는 분리방지용 고리형 캡(21)으로 구성된다.
상기 마이크 케이스(1)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절개된 소리유입구(1a)가 둘레를 따라 나란히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2)은 앞쪽의 면상에 직사각 형상으로 절개된 개방부(2a)가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2a)의 앞끝단부에서부터 마이크칩(4), 지지판(5), 지향판(6) 및 수음판(7)이 차례로 개방부(2a)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마이크 케이스(1)의 전방으로 회로기판(2)이 삽입된 후에 마이크 케이스(1)의 전방은 밀폐캡(3)이 나사결합되어 밀폐된다.
상기 지지판(5)은 상기 마이크칩(4)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삽입공(5a)이 중심부에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삽입공(5a) 주위의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공진현상 제거홀(5b)이 형성되고, 상기 지향판(6)은 상기 삽입공(5a)보다는 더 큰 지향성 관통공(6a)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지지판(5)의 후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관통공(6a) 주위의 둘레면을 따라 다수개의 공진현상 제거홀(6b)이 형성되며, 상기 수음판(7)은 면상에 다수의 수음공(7a)이 형성되면서 상기 지향판(6)과 일정 거리 떨어져 있다.
상기 수음판(7)의 수음공(7a)은 상기 마이크 케이스(1)의 소리유입구(1a) 및 상기 회로기판(2)의 개방부(2a)를 통해 유입되는 소리를 모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지향판(6)의 관통공(6a)은 수음판(7)을 통해 모아지는 소리가 상기 마이크칩(4)으로 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지지판(5) 및 지향판(6)에 각각 형성된 공진현상 제거홀(5b)(6b)은 말 그대로 소리가 모여질 때 서로 다른 소리의 주파수가 동일하여 겹쳐지면서 발생되는 공진현상을 제거해 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 고정관(20)은 마이크 케이스(1)에 나사결합되는 부분보다 반대쪽이 더 큰 지름을 갖도록 깔대기 모양으로 구성되고, 상기 분리방지용 고리형 캡(21)은 중심부가 관통되어 있어 상기 중심부를 통해 전력을 공급하는 마이크잭(8b)(도 7c 참조)이 삽입되어 상기 잭연결구(8a)에 끼워진다.
도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이 구성된 역지향성 마이크로폰은 집음기의 반사판(31)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을 사이에 두고 마이크 케이스(1)의 잭연결구(8a)에 끼워져 결합되는 마이크잭(8b)에 나사결합되는 마이크잭 연결관(2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마이크잭 연결관(22)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케이블(23)이 상기 마이크잭(8b)에 연결된다.
즉, 집음기(30)의 반사판(31) 중심부에 본 발명의 역지향성 마이크로폰(10)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반사판(31)의 관통된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한쪽으로는 밀폐캡(3), 마이크 케이스(1), 케이스 고정관(20) 및 분리방지용 고리형 캡(21)이 차례로 결합되어 배치되고, 다른 쪽으로는 마이크 케이스(1)의 잭연결구(8a)에 끼워지는 마이크잭(8b)에 나사결합된 마이크잭 연결관(22)이 배치된다. 도면부호 23은 케이블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역지향성 마이크로폰은 집음기(30)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 7a 및 도 7c를 참조하여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잭 연결관(22)으로부터 나사결합된 마이크잭(8b)을 회전시켜 분리하려 하여도, 상기 마이크잭 연결관(22)이 고정되지 않은 자유로운 상태에 있을 뿐만 아니라 집음기(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잭 연결관(22)은 상기 집음기(30)의 안쪽에 있어 손을 잡을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잭(8b)은 헛돌게 되어 마이크 케이스(1)는 마이크잭 연결관(22)으로부터 분리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마이크잭(8b)을 위로 잡아당겨 마이크 케이스(1)의 잭연결구(8a)로부터 분리하려 하여도, 상기 마이크잭(8b)의 결합돌기(88)가 분리방지용 고리형 캡(21)의 안쪽 둘레면에 걸려있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잭(8b)는 잭연결구(8a)로부터 분리할 수 없게 되며, 마이크 케이스(1)의 잭연결구(8a)를 상기 마이크잭(8b)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밑으로 잡아당겨도, 상기 케이스 고정관(20)에 의해 마이크 케이스(1)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마이크 케이스(1)는 마이크잭(8b)로부터 분리할 수 없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에 설치되는 반사판의 저면도로서, 원반형상으로 된 반사판(31)은 중심부에 마이크로폰(10)을 설치하기 위한 마이크로폰 설치부(100)가 형성되고, 반사판(31) 내주면 전체에는 방사상으로 뻗어가는 다수개의 천공(40)이 형성되며, 내주면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하에 방사상에 있는 상기 천공 중의 큰 천공은 LED조명(32)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320)이 되며, 이 설치공(320)은 필요에 따라 그 갯수를 더 많이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에 설치되는 집음기 케이스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도 9a는 집음기 케이스의 사시도, 도 9b는 집음기 케이스의 평면도, 도 9c는 도 9b의 D-D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집음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폐쇄날개판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이다.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집음기 케이스(30)의 상면 둘레를 따라 90도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둘레의 각각에는 힌지핀(30b)에 의해 연결된 폐쇄날개판(30a)이 집음기 케이스(30)의 상면에 밀착되며, 상기 폐쇄날개판(30a)의 사이 마다에는 상기 집음기 케이스(30)의 상면을 보강해주는 보강판(30c)을 형성할 수 있 다.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폐쇄날개판(30a)은 힌지핀(30b)에 의해 집음기 케이스(30)의 상면에 밀착되거나 바깥쪽으로 젖혀지면서 상기 집음기 케이스(30)의 바깥둘레에서 아래쪽으로 날개처럼 펴질 수 있는데, 이와 같이 날개처럼 펴지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확산판 틀(34)과 집음기 케이스(30) 사이에 생긴 틈새를 폐쇄하게 된다.
즉, 광확산판 틀(34)은 사각틀 형상이고 집음기 케이스(30)는 원형이므로 두개를 같이 놓으면 각 모퉁이가 빈공간으로 존재하여 이 빈공간을 통해 소리가 유출되어 집음 효율을 떨어뜨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폐쇄날개판(30a)으로 폐쇄하게 되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 세트의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집음기는 하나씩 설치할 수 있고, 여러개를 한 세트로 하여 실내에 칠판이 설치된 곳에서 칠판과 가까운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하고자 하는 상기 실시예의 집음기에 개수에 따른 길이를 가지면서 직사각의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집음기(51)와 조명등(52)의 둘레를 따라 밀착되어 상기 집음기(1)와 조명등(52)을 고정하는 고정틀(50; 일실시예의 설치프레임(33)을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한 것이라 할 수 있음.) 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집음기(51)를 배치하고, 상기 집음기(51)의 사이 사이에는 조명등(52) 을 배치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고정틀(50)에 의해서 집음기(51) 여러 개를 하나의 세트가 되도록 배열하고, 그 사이마다 조명등(52)이 위치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조명등(52)은 LED조명등 또는 EL조명등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집음기 내의 LED조명(32)과 함께 강의실이나 회의실 등의 실내를 밝히는 조명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특히 칠판과 강연자를 밝게 비추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 및 집음기 세트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의 저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분리한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광확산판을 제거한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의 저면도
도 5a는 도 2의 'B'부분을 확대한 단면도
도 5b는 도 5a의 C-C선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에 설치되는 LED조명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도 6a는 LED조명의 분해 사시도, 도 6b는 LED조명의 결합 사시도, 도 6c는 LED조명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에 설치되는 LED조명 내에서 서로 다른 종류로 번갈아가며 설치되는 LED를 보여주는 저면도,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에 서로 다른 종류로 번갈아가며 설치되는 LED조명을 보여주는 저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폰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도 7a는 마이크로폰의 분해 사시도, 도 7b는 마이크로폰의 결합사시도, 도 7c는 마이크로폰의 설치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에 설치되는 반사판의 저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에 설치되는 집음기 케이스의 실시예를 보인 도면으로, 도 9a는 집음기 케이스의 사시도, 도 9b는 집음기 케이스의 평면도, 도 9c는 도 9b의 D-D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집음기 케이스에 설치 되는 폐쇄날개판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집음기 세트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 케이스 1a : 소리유입구
2 : 회로기판 2a : 개방부
3 : 밀폐캡 4 : 마이크칩
5 : 지지판 5a : 삽입공
5b,6b : 공진현상 제거홀 6 : 지향판
6a : 관통공 7 : 수음판
8a : 잭연결구 8b : 마이크잭
9 : 반사판 10 : 마이크로폰
20 : 케이스 고정관 21 : 분리방지용 고리형 캡
22 : 마이크잭 연결관 C, 23 : 케이블
30 : 집음기 케이스 30a : 폐쇄날개판
30b : 힌지핀 30c : 보강판
31 : 반사판 32 : LED조명
32a : 주광색의 LED조명 32b : 형광색의 LED조명
33 : 설치프레임 33a : 고정부재
33b : 고정핀 33c : 경사돌기
34 : 광확산판 틀 34a : 돌출핀
34b : 스프링 34c : 돌출핀 손잡이
35 : 광확산판 36 : M바
40 : 천공 41 : 흡음재
42 : 합성수지 50 : 고정틀
51 : 집음기 52 : 조명등
110 : 회로기판 120 : LED
120a : 주광색의 LED 120b : 형광색의 LED
130 : 투명커버 130c,160a : 암나사부
140b,140c : 수나사부 150a : 제 1 나사부
150b : 제 2 나사부 160 : 너트
170 : 소켓 320 : 설치공
100 : 마이크로폰 설치부
B : 볼트 H : 결합공

Claims (11)

  1. 돔 형상을 이루는 집음기 케이스;
    상기 집음기 케이스의 내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그 내주면에 공진주파수를 줄이는 다수개의 천공이 형성되는 반사판;
    상기 집음기 케이스와 반사판 사이에 놓여 상기 반사판의 천공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의 소음을 차단하는 흡음재;
    상기 반사판의 내주면 둘레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조명;
    상기 반사판의 중심부에 설치되어 반사판에서 모아진 소리를 전기적 신호로 수집하는 마이크로폰;
    상기 집음기 케이스 및 반사판을 올려놓는 설치프레임;
    상기 설치프레임의 내측 둘레에 끼워 설치되는 광확산판 틀;
    상기 광확산판 틀의 내측 둘레에 끼워지면서 상기 반사판의 전면에 배치되어 LED조명의 빛을 외부로 확산시키는 타공망 형상의 광확산판;
    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음기 케이스 및 반사판은, 상기 설치프레임의 안쪽 둘레면에 각각 형성된 고정부재에서 출몰되어 천장의 프레임을 이루는 M바 상에 걸쳐지는 고정핀에 의해 상기 천장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광확산판 틀은 네 귀퉁이에서 스프링에 의해 출몰되어 상기 설치프레임의 내측둘레면에 삽입되는 돌출핀에 의해 상기 설치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음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조명의 내에 설치되는 LED는 주광색과 형광색의 LED가 번갈아가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음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조명은 주광색과 형광색의 LED조명이 번갈아가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음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음기 케이스의 바깥둘레면 네 귀퉁이에서 힌지핀에 의해 회전운동하여 광확산판의 네 귀퉁이를 폐쇄하는 폐쇄날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음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알루미늄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음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D조명은,
    표면에 LED가 부착되고 이면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이 연결되는 회로기판;
    상기 케이블이 내부로 통과되도록 중심부에 관통공이 형성되고, 전면부에는 상기 회로기판이 부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되며, 배면부에는 수나사부가 돌출되어 형성된 소켓;
    상기 소켓의 배면부의 수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수부가 형성되어 상기 소켓과 나사결합되는 너트; 및
    상기 소켓의 전면부의 수나사부에 대응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소켓과 나사결합되는 투명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소켓과 너트의 사이에 반사판의 다수개의 천공 중 어느 한 개 해당부위에 위치시켜서 상기 반사판에 상기 LED조명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음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폰은,
    외주면에 소리가 유입되는 소리유입구가 형성된 마이크 케이스;
    상기 마이크 케이스의 전방을 밀폐하는 밀폐캡;
    상기 마이크 케이스에 내장되며, 수음을 하기 위한 개방부가 형성된 회로기판;
    상기 개방부에 설치된 마이크칩;
    상기 마이크 케이스의 후방에 형성된 잭연결구와 결합되는 마이크잭;
    상기 마이크 케이스의 후방에 나사결합되는 케이스 고정관;
    상기 마이크잭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잭의 한쪽 끝단부를 중심부를 통해 돌출시키고, 상기 마이크잭의 바깥둘레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안쪽 둘레면에 밀착시키면서, 상기 케이스 고정관의 후방에 나사결합되는 분리방지용 고리형 캡; 및
    상기 분리방지용 고리형 캡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된 상기 마이크잭의 한쪽 끝단부에 나사결합만 되어 있고 그 자체는 자유로운 상태에 있는 마이크잭 연결관;
    으로 이루어진 역지향성 마이크로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음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역지향성 마이크로폰은,
    상기 마이크칩이 삽입되도록 삽입공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 주위에 다수개의 공진현상 제거홀이 형성되어 상기 개방부에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삽입공보다 더 큰 지향성 관통공이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 주위에 다수개의 공진현상 제거홀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판에 밀착되면서 상기 개방부에 결합되는 지향판; 및
    면상에 다수개의 수음공이 형성되어 상기 지향판에서 일정거리 떨어지면서 상기 개방부에 결합되는 수음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음기.
  10. 집음기 케이스; 반사판; LED조명; 마이크로폰; 광확산판 틀; 광확산판;으로 이루어지고, 네 개를 한 세트로 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하나의 집음기;
    상기 집음기의 사이마다 배치되는 조명등; 및
    상기 집음기 및 조명등의 둘레를 따라 밀착되어 상기 집음기 및 조명등을 고정하는 고정틀;
    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음기 세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등은 LED조명등 또는 EL조명등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음기 세트.
KR1020080064372A 2008-07-03 2008-07-03 집음기 및 집음기 세트 KR100901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372A KR100901464B1 (ko) 2008-07-03 2008-07-03 집음기 및 집음기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372A KR100901464B1 (ko) 2008-07-03 2008-07-03 집음기 및 집음기 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1464B1 true KR100901464B1 (ko) 2009-06-08

Family

ID=40982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372A KR100901464B1 (ko) 2008-07-03 2008-07-03 집음기 및 집음기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464B1 (ko)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828B1 (ko) * 2011-04-08 2012-10-09 백민호 음성추적을 위한 집음기
KR101613955B1 (ko) * 2015-01-08 2016-04-20 (주)에어사운드 집음기
KR101626497B1 (ko) * 2015-01-08 2016-06-01 (주)에어사운드 음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1240597B1 (en) 2013-03-01 2022-02-01 Clearone, Inc. Ceiling tile beamforming microphone array system
US11297423B2 (en) 2018-06-15 2022-04-05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Endfire linear array microphone
US11297426B2 (en) 2019-08-23 2022-04-05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One-dimensional array microphone with improved directivity
US11302347B2 (en) 2019-05-31 2022-04-12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Low latency automixer integrated with voice and noise activity detection
US11303981B2 (en) 2019-03-21 2022-04-12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Housings and associated design features for ceiling array microphones
US11310596B2 (en) 2018-09-20 2022-04-19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Adjustable lobe shape for array microphones
US11310592B2 (en) 2015-04-30 2022-04-19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Array microphone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11438691B2 (en) 2019-03-21 2022-09-06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Auto focus, auto focus within regions, and auto placement of beamformed microphone lobes with inhibition functionality
US11445294B2 (en) 2019-05-23 2022-09-13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Steerable speaker array,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US11477327B2 (en) 2017-01-13 2022-10-18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Post-mixing acoustic echo cancell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523212B2 (en) 2018-06-01 2022-12-06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Pattern-forming microphone array
US11552611B2 (en) 2020-02-07 2023-01-10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adjustment of reference gain
US11558693B2 (en) 2019-03-21 2023-01-17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Auto focus, auto focus within regions, and auto placement of beamformed microphone lobes with inhibition and voice activity detection functionality
US11678109B2 (en) 2015-04-30 2023-06-13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Offset cartridge microphones
US11706562B2 (en) 2020-05-29 2023-07-18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Transducer steering and configur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a local positioning system
US11785380B2 (en) 2021-01-28 2023-10-10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Hybrid audio beamform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8183A (ja) 1986-08-28 1988-03-12 Teru Hayashi 音源探査装置
JPH05199583A (ja) * 1992-01-20 1993-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指向性スピーカ装置
JPH09284881A (ja) * 1996-04-12 1997-10-31 Mitsubishi Heavy Ind Ltd 集音制御装置
JPH10224882A (ja) 1997-02-05 1998-08-21 Nippon Hoso Kyokai <Nhk> ハイブリッド・パラボラ収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58183A (ja) 1986-08-28 1988-03-12 Teru Hayashi 音源探査装置
JPH05199583A (ja) * 1992-01-20 1993-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指向性スピーカ装置
JPH09284881A (ja) * 1996-04-12 1997-10-31 Mitsubishi Heavy Ind Ltd 集音制御装置
JPH10224882A (ja) 1997-02-05 1998-08-21 Nippon Hoso Kyokai <Nhk> ハイブリッド・パラボラ収音装置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828B1 (ko) * 2011-04-08 2012-10-09 백민호 음성추적을 위한 집음기
US11297420B1 (en) 2013-03-01 2022-04-05 Clearone, Inc. Ceiling tile microphone
US11743639B2 (en) 2013-03-01 2023-08-29 Clearone, Inc. Ceiling-tile beamforming microphone array system with combined data-power connection
US11240597B1 (en) 2013-03-01 2022-02-01 Clearone, Inc. Ceiling tile beamforming microphone array system
US11240598B2 (en) 2013-03-01 2022-02-01 Clearone, Inc. Band-limited beamforming microphone array with acoustic echo cancellation
US11950050B1 (en) 2013-03-01 2024-04-02 Clearone, Inc. Ceiling tile microphone
US11601749B1 (en) 2013-03-01 2023-03-07 Clearone, Inc. Ceiling tile microphone system
US11743638B2 (en) 2013-03-01 2023-08-29 Clearone, Inc. Ceiling-tile beamforming microphone array system with auto voice tracking
US11303996B1 (en) 2013-03-01 2022-04-12 Clearone, Inc. Ceiling tile microphone
KR101626497B1 (ko) * 2015-01-08 2016-06-01 (주)에어사운드 음향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613955B1 (ko) * 2015-01-08 2016-04-20 (주)에어사운드 집음기
US11832053B2 (en) 2015-04-30 2023-11-28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Array microphone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11678109B2 (en) 2015-04-30 2023-06-13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Offset cartridge microphones
US11310592B2 (en) 2015-04-30 2022-04-19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Array microphone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11477327B2 (en) 2017-01-13 2022-10-18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Post-mixing acoustic echo cancellation systems and methods
US11523212B2 (en) 2018-06-01 2022-12-06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Pattern-forming microphone array
US11800281B2 (en) 2018-06-01 2023-10-24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Pattern-forming microphone array
US11770650B2 (en) 2018-06-15 2023-09-26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Endfire linear array microphone
US11297423B2 (en) 2018-06-15 2022-04-05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Endfire linear array microphone
US11310596B2 (en) 2018-09-20 2022-04-19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Adjustable lobe shape for array microphones
US11558693B2 (en) 2019-03-21 2023-01-17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Auto focus, auto focus within regions, and auto placement of beamformed microphone lobes with inhibition and voice activity detection functionality
US11438691B2 (en) 2019-03-21 2022-09-06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Auto focus, auto focus within regions, and auto placement of beamformed microphone lobes with inhibition functionality
US11303981B2 (en) 2019-03-21 2022-04-12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Housings and associated design features for ceiling array microphones
US11778368B2 (en) 2019-03-21 2023-10-03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Auto focus, auto focus within regions, and auto placement of beamformed microphone lobes with inhibition functionality
US11800280B2 (en) 2019-05-23 2023-10-24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Steerable speaker array,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US11445294B2 (en) 2019-05-23 2022-09-13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Steerable speaker array, system, and method for the same
US11302347B2 (en) 2019-05-31 2022-04-12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Low latency automixer integrated with voice and noise activity detection
US11688418B2 (en) 2019-05-31 2023-06-27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Low latency automixer integrated with voice and noise activity detection
US11750972B2 (en) 2019-08-23 2023-09-05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One-dimensional array microphone with improved directivity
US11297426B2 (en) 2019-08-23 2022-04-05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One-dimensional array microphone with improved directivity
US11552611B2 (en) 2020-02-07 2023-01-10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adjustment of reference gain
US11706562B2 (en) 2020-05-29 2023-07-18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Transducer steering and configur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a local positioning system
US11785380B2 (en) 2021-01-28 2023-10-10 Shure Acquisition Holdings, Inc. Hybrid audio beamform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1464B1 (ko) 집음기 및 집음기 세트
JP3171432U (ja) 交換が容易な磁気式led多機能ランプ
JP3154761U (ja) 修理可能な環境保全多機能モジュール式led灯具
MXPA06010501A (es) Ensamble de lampara de senal de trafico y metodo para reemplazar el mismo.
KR100844501B1 (ko) 엘이디 조명등
JP2018097923A (ja) 照明器具
KR20130101697A (ko) 엘이디 조명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 램프
CN212005381U (zh) 一种照明灯具
CN211600433U (zh) 灯具及其光源模组
KR101597412B1 (ko) 천정 고정형 엘이디 등기구
KR101961785B1 (ko) 자유 조립식 평판형 led 등기구
KR101300216B1 (ko) 투광커버의 탈착이 용이한 엘이디 조명장치
CA2390805A1 (en) High bay compact fluorescent light fixture
KR101711019B1 (ko) 엘이디의 교체가 용이한 공용가로등
KR100924362B1 (ko) 조명 겸용 실링스피커
CN212961074U (zh) 飞碟灯
JP2004087494A (ja) 照明器具
CN214790682U (zh) 一种多led光源组合的安装结构
JP3226319U (ja) 排水槽構造を有する照明装置
CN210035285U (zh) Led高光效节能灯具及户外照明装置
CN210050751U (zh) 一种柱状照明灯具
KR20180086163A (ko) 엘이디 조명등의 엘이디모듈 장착장치
CN209856945U (zh) 一种led应急筒灯
CN220061577U (zh) 一种用于灯具快速更换光学配件的结构
CN215722847U (zh) 一种可监控的led吸顶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