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501B1 - 엘이디 조명등 - Google Patents

엘이디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501B1
KR100844501B1 KR1020070126412A KR20070126412A KR100844501B1 KR 100844501 B1 KR100844501 B1 KR 100844501B1 KR 1020070126412 A KR1020070126412 A KR 1020070126412A KR 20070126412 A KR20070126412 A KR 20070126412A KR 100844501 B1 KR100844501 B1 KR 100844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amp
unit
light
natural conv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6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규
Original Assignee
김연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규 filed Critical 김연규
Priority to KR1020070126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501B1/ko
Priority to PCT/KR2008/003203 priority patent/WO2009002026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502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 F21V29/508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adaptation for cooling of specific components of electrical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8Suspending from a cable or suspension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6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7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 F21V29/83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passive heat-dissipating elements, e.g. heat-sinks the elements having apertures, ducts or channels, e.g. heat radiation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등의 내부공간에 안개가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LED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상부 고정수단을 통해 자연 대류관이 수직으로 관통 구비되어 있고 상부에 회로부가 구비되어 있는 하판과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회로 장착부와, 상기 회로 장착부에서 하부로 돌출된 자연 대류관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상기 회로부와 연결된 엘이디 전등부와, 상기 회로 장착부의 외주연에 끼워지도록 중앙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서 빛을 반사시키는 반구형의 전등갓과, 상기 자연 대류관이 관통되게 구비되고 하부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전등갓의 하단 둘레 밀착되어 빛을 확산시키는 하부렌즈와, 상기 회로 장착부에 구비되어 공기 흡입장치와 연결되는 진공 흡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엘이디, 조명등, 공기 흡입수단

Description

엘이디 조명등{LED lamp}
본 발명은 LED 조명등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등의 내부공간에 안개가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LED 조명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은 전기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물체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외에도 최근에는 실내 장식이나 아늑한 분위기 등을 연출하기 위해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조명등은 여러 자기 형태로 제조되고 있으며, 종래에는 백열등을 이용하거나 형광등을 이용한 조명 기구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백열등은 제조비가 저렴하지만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변환함에 있어서 많은 열이 발생하게 되어 최근에는 사용이 지양되고 있고, 형광등은 백열등에 비해 에너지 전환 효율이 높아 전력 소비가 적지만 점등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수명이 짧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수명이 반영구적이고 낮은 전력으로 높은 조도를 얻을 수 있는 엘이디 즉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는 조명등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에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7-64704호의 "자 연 냉각형 LED 조명등"(이하. '종래 엘이디 조명등'이라 한다.)이 알려져 있다.
이에, 도 6은 종래의 엘이디 조명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종래의 LED 조명등은, 내부에 전원접전부가 부착되고, 상기 전원접전부(101)에 통공(102)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02)에 대응하여 상부 둘레에 통기공(103)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된 플러그 본체(100)와, 상단이 상기 전원접점부(101)에 접촉되도록 상기 플러그본체(100)의 내측에 스크루 결합되고, 상기 통공(102)에 대응하여 상부 둘레에 배기공을 가지며, 하부가 개방된 전등소켓(200)과, 상단이 상기 전등소켓(200)의 하단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내부의 공기가 가열되면서 자연대류가 이루어지는 자연 대류관(400)과, 상기 자연 대류관(400)의 외주면에 장착되는 엘이디 전등부(5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등소켓(200)의 하단부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상부 중앙에 결합공을 갖고, 내측면에서 빛을 반사시키는 반구형의 전등갓(30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둘레가 상기 전등갓(300)의 하단 둘레에 밀착되고, 상기 자연 대류관(400)의 하단에 중앙이 끼워져 장착되며, 상기 LED 전등(500)에서 발생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하부렌즈(60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의 LED 조명등은, 중앙을 가로질러 수직으로 구비되는 자연 대류관을 통해 조명등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자연 대류방식으로 원활히 배출 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명등의 수명을 현저하게 연장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LED 조명등을 사용할 경우에는, 반사갓과 하부렌즈의 사이에 구비되는 내부공간에 채워진 공기로 인하여 내부공간에 습기가 차게 되고, 내부공간과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내부공간에 안개가 끼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자연 대류관이 다수의 조립관으로 구성됨으로써 자연대류관에 LED 기판을 조립할 경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종래의 LED 램프를 개량한 것으로, 조명등의 내부공간을 진공 상태로 유지하여 내부공간에 안개가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LED 조명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회로부에 타이머를 구비함으로써, 외부의 조작없이 점,소등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목적도 있다.
또 상부의 조립구조와 자연 대류관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목적도 있다.
또 LED 전등부의 조립 구성을 간단히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에 상부 고정수단을 통해 자연 대류관이 수직으로 관통 구비되어 있고 상부에 회로부가 구비되어 있는 하판과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를 포함하는 회로 장착부와, 상기 회로 장착부에서 하부로 돌출된 자연 대류관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상기 회로부와 연결된 엘이디 전등부와, 상기 회로 장착부의 외주연에 끼워지도록 중앙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내측면에서 빛을 반사시키는 반구형의 전등갓과, 상기 자연 대류관이 관통되게 구비되고 하부 고정수단을 통해 상기 전등갓의 하단 둘레 밀착되어 빛을 확산시키는 하부렌즈와, 상기 회로 장착부에 구비되어 공기 흡입장치와 연결되는 진공 흡입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진공 흡입수단은, 상기 하판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과, 상기 상부커버에 구비되어 마감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막혀지며 상기 공기 흡입장치와 연결되는 공기 흡입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마감부는, 공기 흡입관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나선부와 나선부에 체결되어 공기 흡입관을 막는 캡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회로부는 전원선을 통해 상기 엘이디 전등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는, 외부 조동에 따라 전원을 개폐하는 전원개폐 광감지부나 세팅된 시간에 따라 전원을 개폐하는 전원개폐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자연 대류관은 중간의 체결부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상,하부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관의 상부는 LED 전등부의 하부를 받혀주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LED 전등부는, 상기 상부관의 외측에 기판 고정수단을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 구비되고 다수의 냉각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원판형의 LED 기판과, 상기 각 LED 기판의 둘레에 내측면이 밀착되면서 상기 각 LED기판에 구비된 LED들을 둘러싸도록 상기 상부관의 외주연에 구비되고 상기 각 LED기판에 구비된 LED들에서 발생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엘이디 렌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기판 고정수단은, 상기 자연 대류관을 구성하는 상부관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부와, 나선부에 채결되어 상기 각각의 LED 전등부를 다단으로 고정하는 다수의 너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부 고정수단은, 자연 대류관의 상부 내부에 형성된 탭부와, 상기 탭부에 체결되어 상부커버를 눌러주며 내부 대류홀을 포함하는 캡 볼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조명등의 내부공간을 진공 상태로 유지하여 내부공간에 안개가 끼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LED 광이 차단되어 조명이 흐려지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로부에 점,소등을 시간에 따라 제어하는 전원개폐 타이머부를 구비함으로써, 가로등으로 조명을 사용할 경우에는 외부의 조작없이 점,소등을 가능하게 하는 다른 효과도 있다.
또 상부의 조립구조와 자연 대류관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LED 전등부의 조립 구성을 간단히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생산성을 좀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본 발명의 LED 조명등을 나타낸 하부에 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LED 조명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이에 본 발명의 LED 조명등은, 중앙에 상부 고정수단(24)을 통해 자연 대류관(2)이 수직으로 관통 구비되어 있고 상부에 회로부(13)가 구비되어 있는 하판(11)과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12)를 포함하는 회로 장착부(1)와, 상기 회로 장착부(1)에서 하부로 돌출된 자연 대류관(2)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상기 회로부(13)와 연결된 엘이디 전등부(3)와, 상기 회로 장착부(1)의 외주연에 끼워지도록 중앙에 관통부(41)가 형성되고 내측면에서 빛을 반사시키는 반구형의 전등갓(4)과, 상기 자연 대류관(2)이 관통되게 구비되고 하부 고정수단(25)을 통해 상기 전등갓(4)의 하단 둘레에 밀착되어 빛을 확산시키는 하부렌즈(5)와, 상기 회로 장착부(1)에 구비되어 공기 흡입장치(63)와 연결되는 진공 흡입수단(6)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진공 흡입수단(6)은, 상기 하판(1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어 공기가 통과되는 관통홀(61)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커버(12)에 구비되어 마감부(621)를 통해 선택적으로 막혀지며 상기 공기 흡입장치(63)와 연결되는 공기 흡입관(62)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감부(621)는, 공기 흡입관(62)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나선부(622)와 나선부(622)에 체결되어 공기 흡입관을 막는 캡너트(623)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LED 조명등은, 상기 회로 장착부(1)의 양측에 고정볼트(14)가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양 고정볼트(14)에 와이어를 연결시켜 조명등을 천정이나 벽에 설치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 구성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전등부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연 대류관(2)은 중간의 체결부(23)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상,하부관(2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체결부(23)는, 상기 LED 전등부(3)의 하부로 돌출되어 있는 상부관(21)의 하부에 형성된 나선부와, 하부관(22)의 상부 내부에 형성된 너트부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부관(22)의 상부는, LED 전등부(3)의 하부를 받혀주게 구비됨으로써, LED 전등부(3)의 하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 고정수단(24)은, 자연 대류관(2)의 상부 내부에 형성된 탭부(241)와, 상기 탭부에 체결되어 상부커버(12)를 눌러주며 내부 대류홀(243)을 포함하는 캡볼트(242)로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캡볼트(242)의 체결을 통해 자연 대류관(2)을 상부커버(12)의 중앙에 수직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또, 상기 하부 고정수단(25)은, 자연 대류관(2)의 하부 외주연에 구비된 나선부(241)와, 상기 나선부(241)에 체결되어 하부렌즈(5)의 하면을 눌러주며 내부 대류홀(253)을 포함하는 캡너트(252)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하부 고정수단(25)은, 전등갓(4)의 둘레와 하부렌즈(5)의 둘레를 상호 연결하는 둘레 연결부(254)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둘레 연결부(254)는, 상기 전등갓(4)의 둘레와 하부렌즈(5)의 사이를 밀봉하는 둘레패킹(255)과, 전등갓(4)의 둘레와 하부렌즈(5)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체결부(256)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ED 전등부(3)는, 상기 상부관(21)의 외측에 기판 고정수단(33)을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 구비되고 다수의 냉각 관통홀(311)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원판형의 LED 기판(31)과, 상기 각 LED 기판(31)의 둘레에 내측면이 밀착되면서 상기 각 LED기판(31)에 구비된 LED(312)들을 둘러싸도록 상기 상부관(21)의 외주연에 구비되고 상기 각 LED기판(31)에 구비된 LED(312)들에서 발생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엘이디 렌즈(32)를 포함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LED 기판(31)의 둘레에 LED(312)들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기판 고정수단(33)은, 상기 자연 대류관(2)을 구성하는 상부관(21)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부(331)와, 나선부(331)에 체결되어 상기 각각의 LED 기판(31)을 다단으로 고정하는 다수의 너트(332)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너트(332)를 다단으로 체결함으로써, 각각의 LED 기판(31)을 높이 차이를 두면서 다단으로 고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회로부(13)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원선(131a)을 통해 상기 엘이디 전등부(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31)를 포함한다.
또 상기 전원 공급부(131)는, 타이머를 통해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거나 연결하는 전원개폐 광감지부(132) 또는 전원개폐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는데, 도면에서 는 전원개폐 광감지부(132)를 도시하였다.
즉, 상기 전원개폐 광감지부(132)는, 조명등을 외부에 설치할 경우에 일몰후의 외부 조도를 감지하여 조명등을 점등하는 것으로, 외부에 노출되어 조명등의 외부 조도를 감지하는 광 감시센서(132a: CDS)와 광 감지센서(132a)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전원을 차단하는 제어부(132b)로 구성되는데, 전원개폐 광감지부(132)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미 널리 알려진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개폐 타이머부는 세팅된 시간에 전원을 차단하거나 연결하는 것으로, 그 기술적 구성은 널리 알려진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의 제조과정을 설명하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등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회로 장착부(1)에 회로부(13)와 상부커버(12) 및 자연 대류관(2)을 조립하고, 자연 대류관(2)에 LED 전등부(3)를 설치한 다음, 전등갓(4)과 하부렌즈(5)를 조립함으로써 전등갓(4)과 하부렌즈(5)의 내부를 밀폐되게 구성한다.
그런 다음, 상부커버(12)에 구비된 공기 흡입관(62)으로부터 캡너트(252,623)를 분리한 후, 공기 흡입관(62)에 공기 흡입장치(63)와 연결되어 있는 호스(631)를 연결한다,
그리고 공기 흡입장치(63)의 작동을 통해 공기 흡입관(62)으로부터 공기를 배출시키게 되면, 전등갓(4)과 하부렌즈(5)의 내부에 채워진 공기가 회로 장착부(1)의 하판(11)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61)을 통과하여 공기 흡입장치로 배기됨으로써, 전등갓(4)과 하부렌즈(5) 사이의 내부공간(7)이 진공상태를 유지한다.
다음, 최종적으로 공기 흡입관(62)에 연결된 호스(631)를 분리한 후 공기 흡입관(62)을 캡너트(623)를 통해 막음으로써, 조명등의 내부공간(7)을 진공상태로 유지한 상태로 조명등을 야외나 실내에 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조명등의 내부공간에 공기가 잔류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부공간(7)에 안개가 끼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전등갓(4)과 하부렌즈(5)의 사이에 구비되는 내부공간(7)에 공기가 잔류되지 않게 함으로써, 잔류되는 공기로 인하여 내부공간(7)에 습기가 차게 되는 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내부공간(7)과 외부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내부공간(7)에 안개가 끼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실내등의 내부공간(7)을 진공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내부공간에 안개가 끼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함에 따라 조명이 흐려지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명등을 야외 또는 실내에 설치한 다음, 전원이 인가되어 LED 전등부(3)를 구성하는 각각의 LED(312)가 점등되면, 자연 대류관(2)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상부로 배출 됨에 따라서 LED 전등부(3)에서 발생되는 열을 신속하게 냉각시키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조명등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함에 따라서, 조명등의 내부공간에 안개가 끼는 현상을 방지함에 따라 LED(312)로부터 발산되는 광의 조명효과를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연 대류관(2)을 조립할 경우에는 나선부(241)와 캡 볼트(242)로 구성된 상부 고정수단(24)의 체결과, 나선부(251)와 캡너트(252)로 구성된 하부 고정수단(25)의 체결을 통해 간단하면서도 신속히 자연 대류관(2)을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LED 전등부(3)를 조립할 경우에는, 상부관(21)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부(331)에 다수의 너트(332)를 체결하여 다단으로 LED 기판(31)을 조립함으로써,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게 LED 전등부(3)를 조립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자연 대류관(2)과 LED 전등부(3)을 간단한 공정을 통해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명등의 생산성을 최대로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 본 발명의 LED 조명등을 나타낸 하부에 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LED 조명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전등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ED 조명등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로 장착부
11 : 하판
12 : 상부커버
13 : 회로부
131 : 전원 공급부, 131a : 전원선, 132 : 전원개폐 타이머부
14 : 고정볼트
2 : 자연 대류관
21 : 상부관
22 : 하부관
23 : 체결부
24 : 상부 고정수단
241 : 탭부, 242 : 캡 볼트, 243 : 내부 대류홀
25 : 하부 고정수단
251 : 나선부, 252 : 캡 너트, 253 : 내부 대류홀,
254 : 둘레 연결부, 255 : 둘레패킹, 256 : 체결부
3 : LED 전등부
31 : LED 기판
311 : 냉각 관통홀, 312 : LED
32 : LED 렌즈
33 : 기판
331 : 나선부
332 : 너트
4 : 전등갓
41 : 관통부
5 : 하부렌즈
6 : 진공 흡입수단
61 : 관통홀
62 : 공기 흡입관
621 : 마감부, 622 : 나선부, 623 : 캡 너트
63 : 공기 흡입장치
631 : 호스
7 : 내부공간

Claims (11)

  1. 중앙에 상부 고정수단(24)을 통해 자연 대류관(2)이 수직으로 관통 구비되어 있고 상부에 회로부(13)가 구비되어 있는 하판(11)과 상부를 덮는 상부커버(12)를 포함하는 회로 장착부(1)와,
    상기 회로 장착부(1)에서 하부로 돌출된 자연 대류관(2)의 외주연에 장착되고 상기 회로부(13)와 연결된 엘이디 전등부(3)와,
    상기 회로 장착부(1)의 외주연에 끼워지도록 중앙에 관통부(41)가 형성되고 내측면에서 빛을 반사시키는 반구형의 전등갓(4)과,
    상기 자연 대류관(2)이 관통되게 구비되고 하부 고정수단(25)을 통해 상기 전등갓(4)의 하단 둘레 밀착되어 빛을 확산시키는 하부렌즈(5)와,
    상기 회로 장착부(1)에 구비되어 공기 흡입장치(63)와 연결되는 진공 흡입수단(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흡입수단(6)은,
    상기 하판(11)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홀(61)과,
    상기 상부커버(12)에 구비되어 마감부(621)를 통해 선택적으로 막혀지며 상기 공기 흡입장치(63)와 연결되는 공기 흡입관(6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등.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621)는,
    공기 흡입관(62)의 상부 둘레에 형성된 나선부(622)와 나선부(622)에 체결되어 공기 흡입관을 막는 캡너트(6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부(13)는 전원선(131a)을 통해 상기 엘이디 전등부(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131)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부(131)는, 외부 조동에 따라 전원을 개폐하는 전원개폐 광감지부(132)나 세팅된 시간에 따라 전원을 개폐하는 전원개폐 타이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등.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 대류관(2)은 중간의 체결부(23)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상,하부관(21,22)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관(22)의 상부는 LED 전등부(3)의 하부를 받혀주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등.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LED 전등부(3)는,
    상기 상부관(21)의 외측에 기판 고정수단(33)을 통해 상부에서 하부로 점차 직경이 작아지게 구비되고 다수의 냉각 관통홀(311)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원판형의 LED 기판(31)과,
    상기 각 LED 기판(31)의 둘레에 내측면이 밀착되면서 상기 각 LED기판(31)에 구비된 LED(312)들을 둘러싸도록 상기 상부관(21)의 외주연에 구비되고 상기 각 LED기판(31)에 구비된 LED(312)들에서 발생되는 빛을 확산시키는 엘이디 렌즈(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 조명등.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고정수단(33)은,
    상기 자연 대류관(2)을 구성하는 상부관(21)의 외주연에 형성된 나선부(331)와,
    나선부(331)에 채결되어 상기 각각의 LED 전등부(3)를 다단으로 고정하는 다수의 너트(3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등.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수단(24)은,
    자연 대류관(2)의 상부 내부에 형성된 탭부(241)와,
    상기 탭부에 체결되어 상부커버(12)를 눌러주며 내부 대류홀(243)을 포함하는 캡 볼트(2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등.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수단(25)은,
    자연 대류관(2)의 하부 외주연에 구비된 나선부(251)와,
    상기 나선부(241,251,331,622)에 체결되어 하부렌즈(5)의 하면을 눌러주며 내부 대류홀(253)을 포함하는 캡너트(25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 명등.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고정수단(25)은, 전등갓(4)의 둘레와 하부렌즈(5)의 둘레를 상호 연결하는 둘레 연결부(254)를 더 포함하며;
    상기 둘레 연결부(254)는, 상기 전등갓(4)의 둘레와 하부렌즈(5)의 사이를 밀봉하는 둘레패킹(255)과, 전등갓(4)의 둘레와 하부렌즈(5)를 상호 연결하는 다수의 체결부(256)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등.
  11.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LED 조명등은,
    상기 회로 장착부(1)의 양측에 구비되어 조명등을 천정이나 벽에 고정하는 양 고정볼트(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조명등.
KR1020070126412A 2007-06-28 2007-12-06 엘이디 조명등 KR100844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412A KR100844501B1 (ko) 2007-12-06 2007-12-06 엘이디 조명등
PCT/KR2008/003203 WO2009002026A2 (en) 2007-06-28 2008-06-09 Naturally-cooled led ligh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6412A KR100844501B1 (ko) 2007-12-06 2007-12-06 엘이디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4501B1 true KR100844501B1 (ko) 2008-07-08

Family

ID=39823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6412A KR100844501B1 (ko) 2007-06-28 2007-12-06 엘이디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50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422B1 (ko) * 2008-10-20 2009-10-07 김성배 원형의 배광 분포를 갖는 파워 엘이디 램프
KR100945173B1 (ko) * 2009-06-17 2010-03-04 에스케이라이팅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KR100947598B1 (ko) * 2009-11-03 2010-03-15 주식회사 월드조명 방열 본체를 이용한 led 조명 기구
KR100947599B1 (ko) * 2009-11-03 2010-03-15 주식회사 월드조명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led 조명 기구
KR101006065B1 (ko) * 2008-11-11 2011-01-07 김연규 엘이디 조명장치
KR101173182B1 (ko) * 2010-03-10 2012-08-10 오종찬 멀티타입의 엘이디 전구 조명기구
KR101542528B1 (ko) * 2014-02-07 2015-08-11 주식회사 렌즈엘이디 확산렌즈를 적용한 엘이디 가로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532B1 (ko) * 2005-09-26 2007-03-16 김연규 엘이디를 이용한 확산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532B1 (ko) * 2005-09-26 2007-03-16 김연규 엘이디를 이용한 확산램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0422B1 (ko) * 2008-10-20 2009-10-07 김성배 원형의 배광 분포를 갖는 파워 엘이디 램프
KR101006065B1 (ko) * 2008-11-11 2011-01-07 김연규 엘이디 조명장치
KR100945173B1 (ko) * 2009-06-17 2010-03-04 에스케이라이팅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KR100947598B1 (ko) * 2009-11-03 2010-03-15 주식회사 월드조명 방열 본체를 이용한 led 조명 기구
KR100947599B1 (ko) * 2009-11-03 2010-03-15 주식회사 월드조명 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led 조명 기구
KR101173182B1 (ko) * 2010-03-10 2012-08-10 오종찬 멀티타입의 엘이디 전구 조명기구
KR101542528B1 (ko) * 2014-02-07 2015-08-11 주식회사 렌즈엘이디 확산렌즈를 적용한 엘이디 가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501B1 (ko) 엘이디 조명등
CA2933453C (en) Light fixture assembly and led assembly
KR200430022Y1 (ko) 고휘도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JP5549926B2 (ja) 口金付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KR20110108269A (ko) 엘이디 조명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명램프
JP2012160426A (ja) 照明器具
CA2562757A1 (en) High bay inductive lighting efficiency 1
KR20110101789A (ko) 에어 파이프를 갖는 조명 커버 및 이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장치
KR200446413Y1 (ko) Led 조명기구
KR101249386B1 (ko) 직류 및 교류전원을 공급토록 컨버터가 구비되는 엘이디 등기구
KR20130084936A (ko) Led 다운라이트
US20100002452A1 (en) Luminaire housing with separated lamp and ballast compartments
CN101761801B (zh) 泛光照明灯具
KR100995706B1 (ko) 조명기구
KR101420734B1 (ko) 엘이디 조명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엘이디 조명 램프
KR101116903B1 (ko) Led등기구
KR100822032B1 (ko) 자연 냉각형 엘이디 조명등
CN215570073U (zh) 一种基于七色贴片led光源的led吸顶灯
KR100945173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등
CN2893418Y (zh) Led壁灯
KR20120008446A (ko) 엘이디등
JP2003132704A (ja) 電球形蛍光ランプ
CN211600369U (zh) 一种大角度发光的led灯
KR20150052493A (ko) 매입형 led 조명장치
KR200334562Y1 (ko) 조명등기구의 반사갓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