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1198B1 -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1198B1
KR100901198B1 KR1020070059832A KR20070059832A KR100901198B1 KR 100901198 B1 KR100901198 B1 KR 100901198B1 KR 1020070059832 A KR1020070059832 A KR 1020070059832A KR 20070059832 A KR20070059832 A KR 20070059832A KR 100901198 B1 KR100901198 B1 KR 100901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ellowing
phenolic
weight
parts
polyureth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59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638A (ko
Inventor
정문균
변동병
이응호
Original Assignee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filed Critical 코오롱패션머티리얼 (주)
Priority to KR1020070059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1198B1/ko
Publication of KR20080111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1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11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8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transfer from the surfaces of elements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brushes, pads,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07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투습성, 방수성, 평활성, 슬립성, 형태 안정성 등이 우수하고 촉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페놀성 화합물 또는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BHT) 등과 산화질소의 반응에 의한 황변(yellowing)을 방지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투습성, 방수성, 평활성, 슬립성, 형태 안정성 등이 우수하고 촉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페놀성 화합물 또는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BHT) 등과 산화질소의 반응에 의한 황변(yellowing)을 방지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아웃도어용 원단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은 (a) 100% 모듈러스가 20∼150 ㎏f/㎠, 인장 강도가 100∼600 ㎏f/㎠, 신장율(연신율)이 250∼700%인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희석제(diluent) 및 용해제로 구성된 용액에 포화 고급지방산 또는 탄소수 6 이상의 지방족 카르복시산을 균질하게 분산·용해시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는 단계; (b) 상기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진공 탈포한 후, 콤마 오버 롤 코터(comma over roll coater)를 사용하여 이형지의 일면에 상기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100∼350 ㎛의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유기 용제, 희석제 및 용해제를 차례로 증발시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을 균질하게 성막시키는 단계; 및 (c) 이형지상에 균질하게 성막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을 각각 12∼24 시간 동안 건조 및 숙성한 후, 이형지로부터 페놀성 황 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을 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리우레탄 필름, 페놀성 황변(phenolic yellowing), 페놀성 화합물,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BHT), 산화질소, 포화 고급지방산 또는 탄소수 6 이상의 지방족 카르복시산, 투습성, 방수성, 평활성, 슬립성.

Description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A METHOD FOR PREPARATION OF AN ANTI-PHENOLIC YELLOWING POLYURETHANE FILM}
본 발명은 투습성, 방수성, 평활성, 슬립성, 형태 안정성 등이 우수하고 촉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페놀성 화합물 또는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BHT) 등과 산화질소의 반응에 의한 황변(yellowing)을 방지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 탄성체 수지 필름은 폴리올, 저분자량의 디올(쇄연장제), 디이소시아네이트 등 3가지 주원료의 부가중합 반응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되는데, 종래의 폴리우레탄 탄성체 수지 필름은 자외선, 질소 산화물과의 접촉 등에 의한 황변(yellowing)이 야기되는 문제가 있었다.
폴리우레탄 필름의 내황변성(耐黃變性)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소시아네이트로서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하는 방안이 제기되었지만,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는 가격이 비싸고 폴리우레탄 필름의 물성을 저하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587316호에는 「황변 현상을 방지하는 방향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메크로글리콜,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및 포스페이트계 산화방지제를 혼합하여 프리폴리머를 합성하는 단계, 메크로글리콜류, 디올류, 디아민류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쇄연장제에 포름아미딘 UV 흡수제를 첨가하는 단계, 상기 프리폴리머와 상기 포름아미딘 UV 흡수제가 첨가된 쇄연장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525352호에는 「에틸렌 옥사이드 함량이 0∼30 중량%이고 프로필렌 옥사이드 함량이 70∼100 중량%이며 분자량이 400∼7,000인 폴리에테르 폴리올에 옥틸산 주석과 디라우르산 디부틸주석의 혼합 촉매, 카르복실산 금속염 촉매, 디아자바이사이클로알켄 촉매를 동시에 사용한 레진 프리믹스(resin premix)를 이소시아네이트 인덱스 90∼130 범위로 하여 반응시켜 안정한 폼 구조를 가지면서 내황변성이 우수한 연질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으며;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582322호에는 「은(銀)계 항균 물질[예컨대, 은계 이온교환 물질(예: 은계 지르코늄 포스페이트), 은 이온, 은 원소, 은계 제올라이트, 은계 유리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여 항균성, 색상 등이 우수하고 갈변 및/또는 황변 현상이 적은 폴리우레탄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들에 언급되어 있는 폴리우레탄 필름은 자외선(UV)에 의한 황변 현상을 방지할 수는 있을지언정, 페놀성 화합물 또는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등이 산화 질소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니트로페놀 화합물 또는 스틸벤퀴논 등에 의한 황변 현상을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투습성, 방수성 등의 물성(物性)이 기대 수준 이하라는 단점이 있다.
종래에도 무황변 필름 제품의 개발을 위한 시도가 있었으나, 원재료 가격이 상승되고 안정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필름의 물성(物性)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한 끝에 포화 고급지방산 또는 탄소수 6 이상의 지방족 카르복시산(특히, 스테아르산)이 투습방수성 폴리우레탄 필름의 페놀성 황변에 대한 내성(耐性) 뿐만 아니라 평활성 및 슬립성의 향상에 크게 기여한다는 것을 밝혀 내었다.
본 발명은 투습성, 방수성, 평활성, 슬립성, 형태 안정성 등이 우수하고 촉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페놀성 화합물 또는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BHT) 등과 산화질소의 반응에 의한 황변(yellowing)을 방지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습성, 방수성, 평활성, 슬립성, 형태 안정성 등이 우수하고 촉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페놀성 화합물 또는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BHT) 등과 산화질소의 반응에 의한 황변(yellowing)을 방지할 수 있는,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아웃도어용 원단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a) 100% 모듈러스가 20∼150 ㎏f/㎠, 인장 강도가 100∼600 ㎏f/㎠, 신장율(연신율)이 250∼700%인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희석제(diluent) 및 용해제로 구성된 용액에 포 화 고급지방산 또는 탄소수 6 이상의 지방족 카르복시산을 균질하게 분산·용해시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는 단계; (b) 상기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진공 탈포한 후, 콤마 오버 롤 코터(comma over roll coater)를 사용하여 이형지의 일면에 상기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100∼350 ㎛의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유기 용제, 희석제 및 용해제를 차례로 증발시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을 균질하게 성막시키는 단계; 및 (c) 이형지상에 균질하게 성막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을 각각 12∼24 시간 동안 건조 및 숙성한 후, 이형지로부터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을 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a)에서 조제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의 함량이 100 중량부이고, 유기 용제의 함량이 40∼60 중량부(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함)이며, 희석제 및 용해제의 함량이 각각 3∼10 중량부(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함)이고, 포화 고급지방산 또는 탄소수 6 이상의 지방족 카르복시산의 함량이 0.3∼1.5 중량부(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함)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화 고급지방산 또는 탄소수 6 이상의 지방족 카르복시산은 페놀성 화합물 또는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 등이 산화 질소와 반응하여 생성되는 니트로페놀 화합물 또는 스틸벤퀴논 등에 의한 황변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미리스트산,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등이 바람직하고, 스테아르산이 가장 바람직하다.
유기 용제의 예로는 케톤계 유기 용제(예: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방향족계 유기 용제(예: 벤젠, 톨루엔, 키시렌), 에스테르계 유기 용제(예: 초산에틸, 초산부틸), 에테르계 유기 용제(예: 디에틸에테르), 아민계 유기 용제(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유기 용제는 비점이 낮고 표면장력이 작을수록 좋다. 희석제의 예로는 톨루엔, 자일렌, 벤젠 등을 들 수 있으며, 희석제는 표면장력이 작으면서 유기 용제보다 비점이 높은 것이 좋다. 용해제의 예로는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메틸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으며, 용해제는 희석제보다 비점이 높고 표면장력이 큰 것이 좋다. 상기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적당량의 이산화티탄계 백색 안료, 계면활성제(surfactant), 가교제(cross-linking agent), 안정제(stabilizer), 충전제(filler), 슬립제(slip agent)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실리카 충전제 0 중량부 초과 5 중량부 이하(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함), 슬립제 0 중량부 초과 3 중량부 이하(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함), 및 백색 토너 또는 백색 안료 0 중량부 초과 5 중량부 이하(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함)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형지"라 함은 이형성이 있는 시트지, 필름, 직물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단계 (b)에 사용되는 이형지는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표면장력이 크지만 용해제에 비하여 표면장력이 작은 이형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c)에서 숙성을 하는 이유는 반응성을 완전히 제거하여 필름의 블로킹(blocking) 등을 방지하고, 분자 구조를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함이다. 이형지로부 터 박리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은 두께가 약 15∼40 ㎛인 것이 바람직하며, 앞뒤 양면이 치밀하고 직경 0.1㎛ 이상의 미세공을 갖지 않으며, 필름의 단면도 직경 0.1㎛ 이상의 미세공을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아웃도어용 원단의 제조 방법으로서, 핫 멜트(hot melt) 접착제, 유기 용제 및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가 혼합된 접착 수지(바람직하게는, 접착제 말단에 NCO기를 가지는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계 핫 멜트 접착제 수지)를 사용하여 원단의 일면에 전술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핫 멜트(hot melt) 접착제, 유기 용제 및 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가 혼합된 접착 수지는 원단의 일면과 투습방수성 폴리우레탄 필름 사이에 나이프로 균일하게 전면 도포되거나 또는 그라비어를 사용하여 점상 또는 메쉬상으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핫 멜트 접착제의 예로는 폴리우레탄계 핫 멜트 접착제, 에틸렌계 핫 멜트 접착제, 초산비닐 공중합체계 핫 멜트 접착제 등을 들 수 있고, 유기 용제의 예로는 케톤계 유기 용제(예: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방향족계 유기 용제(예: 벤젠, 톨루엔, 키시렌), 에스테르계 유기 용제(예: 초산에틸, 초산부틸), 에테르계 유기 용제(예: 디에틸에테르), 아민계 유기 용제(디메틸포름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므로, 본 발명의 범주가 하기 실시 예에 국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른바 "당업자" 또는 "평균적 기술자")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으로부터 도출되는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하기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 수정 및 응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실시예 1
100% 모듈러스가 30 ㎏f/㎠, 인장 강도가 200 ㎏f/㎠, 신장율(연신율)이 600%인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55 중량부, 100% 모듈러스가 110 ㎏f/㎠, 인장 강도가 500 ㎏f/㎠, 신장율(연신율)이 300%인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10 중량부, 유기 용제 40 중량부(메틸에틸케톤 38 중량부, 디메틸포름아미드 2 중량부), 황변 방지제(스테아르산) 0.325 중량부, 실리카 2 중량부 및 이산화티탄계 백색 안료 3 중량부를 균질하게 분산시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상기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진공 탈포한 후, 콤마 오버 롤 코터(comma over roll coater)를 사용하여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 비하여 표면장력이 크지만 용해제에 비하여 표면장력이 작은 이형지의 일면에 상기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300 ㎛의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유기 용제, 희석제 및 용해제를 차례로 증발시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을 균질하게 성막시켰다. 이형지상에 균질하게 성막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을 각각 12 시간 동안 건조 및 숙성한 후, 이형지로부터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을 박리하였다.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에 대하여 코틀즈 방법(courtaulds method, KS K 0190)에 의한 황변성 시험(50℃, 16시간)을 한 결과, 황변성은 3.5급이었다.
실시예 2
황변 방지제(스테아르산) 0.65 중량부를 사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에 대하여 코틀즈 방법(courtaulds method, KS K 0190)에 의한 황변성 시험(50℃, 16시간)을 한 결과, 황변성은 4.5급이었다.
실시예 3
황변 방지제(스테아르산) 1.3 중량부를 사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에 대하여 코틀즈 방법(courtaulds method, KS K 0190)에 의한 황변성 시험(50℃, 16시간)을 한 결과, 황변성은 5.0급이었다.
실시예 4
100% 모듈러스가 30 ㎏f/㎠, 인장 강도가 200 ㎏f/㎠, 신장율(연신율)이 600%인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55 중량부와 100% 모듈러스가 110 ㎏f/㎠, 인장 강도가 500 ㎏f/㎠, 신장율(연신율)이 300%인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10 중량부 대신에 100% 모듈러스가 30 ㎏f/㎠, 인장 강도가 200 ㎏f/㎠, 신장율(연신율)이 600%인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65 중량부를 사용하였고, 황변 방지제(스테아르산) 0.5 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슬립제 0.8 중량부를 추가로 사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에 대하여 코틀즈 방법(courtaulds method, KS K 0190)에 의한 황변성 시험(50℃, 16시간)을 한 결과, 황변성은 4.5급이었다.
실시예 5
100% 모듈러스가 30 ㎏f/㎠, 인장 강도가 200 ㎏f/㎠, 신장율(연신율)이 600%인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55 중량부와 100% 모듈러스가 110 ㎏f/㎠, 인장 강도가 500 ㎏f/㎠, 신장율(연신율)이 300%인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10 중량부 대신에 100% 모듈러스가 50 ㎏f/㎠, 인장 강도가 400 ㎏f/㎠, 신장율(연신율)이 500%인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65 중량부를 사용하였고, 황변 방지제(스테아르산) 0.5 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슬립제 0.8 중량부를 추가로 사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에 대하여 코틀즈 방법(courtaulds method, KS K 0190)에 의한 황변성 시험(50℃, 16시간)을 한 결과, 황변성은 4.5급이었다.
한편, 실시예 1 내지 5의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은 내수압(ISO 0811 정수압에 의함)이 약 8,000∼12,000 ㎜·H2O 이상이었고, 투습도(ASTM E96 BW법에 의함)가 약 10,000∼12,000 g/㎡·24시간이었다.
비교예 1
100% 모듈러스가 30 ㎏f/㎠, 인장 강도가 200 ㎏f/㎠, 신장율(연신율)이 600%인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55 중량부와 100% 모듈러스가 110 ㎏f/㎠, 인장 강도가 500 ㎏f/㎠, 신장율(연신율)이 300%인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10 중량부 대신에 100% 모듈러스가 50 ㎏f/㎠, 인장 강도가 400 ㎏f/㎠, 신장율(연신율)이 500%인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65 중량부를 사용하였고, 메틸에틸케톤 38 중량부와 디메틸포름아미드 2 중량부 대신에 메틸에틸케톤 40 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슬립제 0.8 중량부를 추가로 사용하였지만, 황변 방지제를 사용하지 아니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폴리우레탄 필름에 대하여 코틀즈 방법(courtaulds method, KS K 0190)에 의한 황변성 시험(50℃, 16시간)을 한 결과, 황변성은 2.5급이었다.
비교예 2
메틸에틸케톤 38 중량부와 디메틸포름아미드 2 중량부 대신에 메틸에틸케톤 40 중량부를 사용하였고, 슬립제 0.8 중량부를 추가로 사용하였지만, 황변 방지제를 사용하지 아니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조하였다. 폴리우레탄 필름에 대하여 코틀즈 방법(courtaulds method, KS K 0190)에 의한 황변성 시험(50℃, 16시간)을 한 결과, 황변성은 2.5급이었다.
실시예 6
접착제 말단에 NCO기를 가지는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핫 멜트 접착제 수지를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원단과 실시예 1 내지 5의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 사이에 점상 또는 메쉬상으로 도포함으로써,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아웃도어용 원단을 제조하였다.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아웃도어용 원단은 촉감이 부드럽고 세탁 내구성 이 우수하였으며, 내수압(ISO 0811 정수압에 의함)이 약 10,000 ㎜·H2O이었고, 투습도(ASTM E96 BW법에 의함)가 약 9,000∼11,000 g/㎡·24시간이었다.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아웃도어용 나일론 원단과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아웃도어용 폴리에스테르 원단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물성 평가 방법 나일론 원단 폴리에스테르 원단
황변성(원단) 코틀즈 방법 (courtaulds method, KS K 0190) 4.5급 4.5급
황변성(필름) 코틀즈 방법 (courtaulds method, KS K 0190) 4.5급 4.5급
촉감 관능 평가 우수 양호
필름 두께(㎛) 후도게이지 20±1㎛ 20±1㎛
내수도(mm·H2O) ISO 0811 1,000㎜/분 10,000 mm·H2O 10,000 mm·H2O
가정 세탁(HL5) ISO 6330 1,000㎜/분 9,700 mm 수분 4,700∼5,300 mm 수분
세탁 내구 접착력 가정 세탁(HL-5) 양호 양호
발수도 KS K 0591 스프레이법 70 80
투습도(g/㎡·24시간) ASTM E-96 BW법 11,040 g/㎡·24시간 9,120 g/㎡·24시간
본 발명의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은 경제적이고 간편한 방법이고,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은 투습성, 방수성, 평활성, 슬립성, 형태 안정성 등이 우수하고 촉감이 좋을 뿐만 아니라, 페놀성 화합물 또는 부틸화 히드록시톨루엔(BHT) 등과 산화질소의 반응에 의한 황변(yellowing)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의 원재료 가격 상승이나 물성(物性) 저하를 초래하지 않으면서 페놀성 황변의 효과적인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신뢰도 및 기업 이미지의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6)

  1.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a) 100% 모듈러스가 20∼150 ㎏f/㎠, 인장 강도가 100∼600 ㎏f/㎠, 신장율(연신율)이 250∼700%인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희석제(diluent) 및 용해제로 구성된 용액에 황변 방지제(anti-yellowing agent)인 스테아르산, 미리스트산 또는 팔미트산을 균질하게 분산·용해시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는 단계;
    (b) 상기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진공 탈포한 후, 콤마 오버 롤 코터(comma over roll coater)를 사용하여 이형지의 일면에 상기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을 100∼350 ㎛의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열처리하여 유기 용제, 희석제 및 용해제를 차례로 증발시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을 균질하게 성막시키는 단계; 및
    (c) 이형지상에 균질하게 성막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을 각각 12∼24 시간 동안 건조 및 숙성한 후, 이형지로부터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을 박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의 함량이 100 중량부이고, 유기 용제의 함량이 40∼60 중량부(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함)이며, 희석제 및 용해제의 함량이 각각 3∼10 중량부(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함)이고, 스테아르산, 미리스트산 또는 팔미트산의 함량이 0.3∼1.5 중량부(1액형 폴리우레탄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은 실리카 0 중량부 초과 5 중량부 이하, 슬립제 0 중량부 초과 3 중량부 이하, 및 백색 토너 또는 백색 안료 0 중량부 초과 5 중량부 이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으로서,
    필름의 두께가 15∼40 ㎛이며, 앞뒤 양면이 치밀하고 직경 0.1㎛ 이상의 미세공을 갖지 않으며, 필름의 단면도 직경 0.1㎛ 이상의 미세공을 갖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
  5.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이 라미네이팅된 아웃도어용 원단의 제조 방법으로서,
    접착제 말단에 NCO기를 가지는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계 핫 멜트 접착제 수지를 사용하여 원단의 일면에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을 라미네이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말단에 NCO기를 가지는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계 핫 멜트 접착제 수지는 원단의 일면과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 사이에 나이프로 균일하게 전면 도포되거나, 또는 그라비어를 사용하여 점상 또는 메쉬상으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70059832A 2007-06-19 2007-06-19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KR100901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832A KR100901198B1 (ko) 2007-06-19 2007-06-19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59832A KR100901198B1 (ko) 2007-06-19 2007-06-19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638A KR20080111638A (ko) 2008-12-24
KR100901198B1 true KR100901198B1 (ko) 2009-06-08

Family

ID=4036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832A KR100901198B1 (ko) 2007-06-19 2007-06-19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11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3882B1 (ko) * 2013-06-18 2015-07-06 권경점 무기재 차광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11454421A (zh) * 2020-04-28 2020-07-28 浙江罗星实业有限公司 一种持久抗酚黄变的耐黄变聚氨酯树脂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2656A (ja) 1997-09-24 1999-04-06 Kuraray Co Ltd 耐黄変性に優れた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皮革様シート
US6187384B1 (en) 1995-09-15 2001-02-13 Basf Coatings Ag Aqueous binder dispersion useful for producing hardly yellowing, highly glossy coatings
KR20040037491A (ko) * 2002-10-28 2004-05-07 목동엽 황변 현상을 방지하는 방향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KR20070089626A (ko) * 2006-02-28 2007-08-31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용융가공성 폴리우레탄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7384B1 (en) 1995-09-15 2001-02-13 Basf Coatings Ag Aqueous binder dispersion useful for producing hardly yellowing, highly glossy coatings
JPH1192656A (ja) 1997-09-24 1999-04-06 Kuraray Co Ltd 耐黄変性に優れたポリウレタン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皮革様シート
KR20040037491A (ko) * 2002-10-28 2004-05-07 목동엽 황변 현상을 방지하는 방향족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
KR20070089626A (ko) * 2006-02-28 2007-08-31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용융가공성 폴리우레탄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638A (ko)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3116B1 (en) Leather-like sheet
US5786070A (en) Cross-linked polyurethane resin sheet and laminated product employing it
KR20080088628A (ko) 습기 경화성 폴리우레탄 핫멜트 접착제 및 이것을 사용한적층 시트
EP2540908B1 (en) Moisture-permeable water-proof fabric
KR102020547B1 (ko) 바닥재용 투명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KR101766013B1 (ko) 고탄성 수성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의 표면처리 방법
WO2021024812A1 (ja) ポリエーテルポリカーボネートジオ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30708B1 (ko) 바닥재용 투명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재
KR100901198B1 (ko) 페놀성 황변 방지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 방법
KR102251452B1 (ko) 텍스타일 코팅용 투습방수성 폴리우레탄 접착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코팅원단
KR101622621B1 (ko) 친환경 매트용 합성피혁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20094629A (ko) 페놀성 황변 방지 페인트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US20020013426A1 (en) Coating composition
KR102160542B1 (ko) 스크린 인쇄용 잉크 조성물
KR101999807B1 (ko) 무독성 디에틸포름아미드 용매를 사용한 한 장갑 코팅용 일액형 폴리우레탄 반응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60951B1 (ko) 무독성 디메틸술폭사이드 용매를 사용한 한 장갑 코팅용일액형 폴리우레탄 반응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코팅장갑
KR101255033B1 (ko) 표면처리코팅용 친수성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방법
KR20180020370A (ko) 바이오 폴리머 처리제로 코팅 형성된 표면코팅층을 포함하는 벽지
EP1520866A1 (en) Composite articles having an aesthetic visual surface for use in aqueous environments, and compositions suitable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2149955B1 (ko) 내황변성이 우수한 uv 경화성 코팅 조성물, 이를 이용한 데코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KR102444382B1 (ko) 우수한 세탁 내구성과 투습도를 갖는 섬유코팅용 폴리우레탄 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섬유코팅 원단
CN115427501B (zh) 氟树脂组合物、固化被膜、层叠膜及结构体
JP4917826B2 (ja) 壁紙用防汚フィルム
WO2022158146A1 (ja) 粘着剤層付フィルム
US20240059824A1 (en) Polyurethane resi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