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533B1 -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533B1
KR100900533B1 KR1020080098111A KR20080098111A KR100900533B1 KR 100900533 B1 KR100900533 B1 KR 100900533B1 KR 1020080098111 A KR1020080098111 A KR 1020080098111A KR 20080098111 A KR20080098111 A KR 20080098111A KR 100900533 B1 KR100900533 B1 KR 100900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humbnail
capsule endoscope
tim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8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Priority to KR1020080098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533B1/ko
Priority to US12/572,537 priority patent/US874423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3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character code sig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61B1/0005Display arrangement combining images e.g. side-by-side, superimposed or ti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41Capsule endoscopes for imag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5Constructional details for picking-up images in sites, inaccessible due to their dimensions or hazardous conditions, e.g. endoscopes or bore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 내시경 영상의 전체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타임 바와 사용자에 의해 캡쳐된 영상을 제공하는 썸네일 영상을 표시함과 아울러 타임 바 슬라이드와 썸네일 영상 각각의 이동을 서로 연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진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은 생체 내에 투입된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제공된 촬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캡슐 내시경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체 캡슐 내시경 영상에 대응되는 타임 바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캡슐 내시경 영상을 진단 화면에 마련된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캡슐 내시경 영상을 캡쳐하여 썸네일 영상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썸네일 영상을 상기 진단 화면에 마련된 썸네일 영상 표시부의 썸네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타임 바 상에 위치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썸네일 영역에 표시된 상기 썸네일 영상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캡슐 내시경, 썸네일, 타임 바, 슬라이더, 캡쳐

Description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METHOD FOR DISPLAYING SCREEN OF CAPSULE ENDOSCOPE IMAGE, AND RECORD MEDIA RECODED PROGRAM FOR IMPLEMENT THEREOF}
본 발명은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캡슐 내시경 영상의 전체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타임 바와 사용자에 의해 캡쳐된 영상을 제공하는 썸네일 영상을 표시함과 아울러 타임 바 슬라이드와 썸네일 영상 각각의 이동을 서로 연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진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통 없이 생체의 체내를 관찰할 수 있는 캡슐 내시경(Capsule Endoscope)이 개발되어 의료 현장에서 여러 가지 질병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캡슐 내시경은 생체의 구강을 통해 체내로 삼켜진 후, 체외로 배출될 때까지 위, 소장, 대장 등과 같은 장기 내부를 일정 시간 단위로 촬상하게 된다.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얻어진 영상은 수신기를 거쳐 워크 스테이션으로 업로드된다. 그리고, 진단자는 워크 스테이션에 설치된 진단 소프트웨어를 통해 디스플 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을 진단하여 보고서(진단서)를 작성하게 된다. 이때, 진단 소프트웨어는 캡슐 내시경 영상을 촬상된 시간 순서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일정 간격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진단자는 생체의 체내에서 체외로 배출될 때까지 촬상된 방대한 매수의 캡슐 내시경 영상을 모두 진단하여 보고서(진단서)를 작성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에서는 진단자가 장시간 촬상된 방대한 캡슐 내시경 영상으로부터 원하는 캡슐 내시경 영상을 검색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이 전체적인 촬상 시간 중 어느 시점에 해당하는지 등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캡슐 내시경 영상의 전체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타임 바와 사용자에 의해 캡쳐된 영상을 제공하는 썸네일 영상을 표시함과 아울러 타임 바 슬라이드와 썸네일 영상 각각의 이동을 서로 연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진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은 생체 내에 투입된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제공된 촬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캡슐 내시경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체 캡슐 내시경 영상에 대응되는 타임 바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캡슐 내시경 영상을 진단 화면에 마련된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캡슐 내시경 영상을 캡쳐하여 썸네일 영상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썸네일 영상을 상기 진단 화면에 마련된 썸네일 영상 표시부의 썸네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타임 바 상에 위치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썸네일 영역에 표시된 상기 썸네일 영상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썸네일 영상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동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위치에 대응되는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시간에 인접한 촬상 시간을 가지는 썸네일 영상들이 상기 썸네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썸네일 영상들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은 생체 내에 투입된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제공된 촬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캡슐 내시경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체 캡슐 내시경 영상에 대응되는 타임 바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캡슐 내시경 영상을 진단 화면에 마련된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캡슐 내시경 영상을 캡쳐하여 썸네일 영상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썸네일 영상을 상기 진단 화면에 마련된 썸네일 영상 표시부의 썸네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썸네일 영상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타임 바 상에 위치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임 바 슬라이더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동된 썸네일 영상들 중 기준 썸네일 영상의 촬상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기준 썸네일 영상의 촬상 시간에 대응되도록 상기 타임 바 상의 타임 바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은 생체 내에 투입된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제공된 촬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캡슐 내시경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체 캡슐 내시경 영상에 대응되는 타임 바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캡슐 내시경 영상을 진단 화면에 마련된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캡슐 내시경 영상을 캡쳐하여 썸네일 영상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진단 화면에 마련된 썸네일 영상 표시부의 기본 썸네일 영역에 상기 저장된 썸네일 영상을 촬상 시간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기본 썸네일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들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확대된 썸네일 영역의 크기를 상기 기본 썸네일 영역의 크기로 축소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들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확대된 썸네일 영역에 표시되는 썸네일 영상들은 매트릭스 형태를 가지도록 촬상 시간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썸네일 영상들 중 첫 번째 열에는 각 행에서 가장 빠른 촬상 시간을 가지는 썸네일 영상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썸네일 영상들 중 첫 번째 행에는 각 열에서 가장 빠른 촬상 시간을 가지는 썸네일 영상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은 상기 캡쳐된 썸네일 영상에 대한 진단 정보를 추가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썸네일 영상을 상기 진단 화면에 마련된 썸네일 영상 표시부의 썸네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진단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은 생체 내에 투입된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제공된 촬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캡슐 내시경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체 캡슐 내시경 영상에 대응되는 타 임 바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캡슐 내시경 영상을 진단 화면에 마련된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캡슐 내시경 영상을 캡쳐하여 썸네일 영상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캡쳐된 썸네일 영상에 대한 진단 정보를 추가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썸네일 영상을 상기 진단 화면에 마련된 썸네일 영상 표시부의 썸네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진단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단 정보를 포함하는 썸네일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썸네일 영상; 및 상기 썸네일 영상에 대응되는 상기 진단 정보에 대한 진단 정보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단 정보 아이콘은 상기 사용자의 진단 결과에 대한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진단 정보 아이콘; 및 상기 썸네일 영상의 소리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진단 정보 아이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단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 1 진단 정보 아이콘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별도의 팝업창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 2 진단 정보 아이콘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은 상기 타임 바 상에 위치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썸네일 영역에 표시된 상기 썸네일 영상을 이 동시키는 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썸네일 영상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동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위치에 대응되는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시간에 인접한 촬상 시간을 가지는 썸네일 영상들이 상기 썸네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썸네일 영상들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은 상기 썸네일 영상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타임 바 상에 위치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임 바 슬라이더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동된 썸네일 영상들 중 기준 썸네일 영상의 촬상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기준 썸네일 영상의 촬상 시간에 대응되도록 상기 타임 바 상의 타임 바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캡슐 내시경 영상의 전체 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타임 바와 사용자에 의해 캡쳐된 영상을 제공하는 썸네일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진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타임 바 슬라이더의 이동에 연동하여 썸네일 영상을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관심 위치에 대응되는 썸네일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진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썸네일 영상의 이동에 연동하여 타임 바 슬라이더의 위치를 이동시켜 이동되는 썸네일 영상에 대응되는 시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진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썸네일 영역을 확대하여 더 많은 썸네일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진단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썸네일 영상의 진단 결과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 또는 썸네일 영상의 소리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보고서 작성 시간 및 진단 내용의 검토 시간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진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생체 내에 투입된 캡슐 내시경(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된 촬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캡슐 내시경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체 캡슐 내시경 영상에 대응되는 타임 바(Time Bar)를 생성한다(S100). 여기서, 촬상 데이터는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전송되는 촬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통해 워크 스테이션(미도시)의 저장장치(미도시)에 저장되어 제공되거나, 수신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미도시)에 표시되는 진단 화면(100)에 생성된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표시한다(S110).
여기서, 진단 화면(100)은 프로그램 도구 메뉴부(110); 뷰(View)/모드 메뉴부(120); 영상 표시부(130); 내시경 위치 표시부(140); 비교 영상 표시부(150); 재생 메뉴부(160); 타임 바 표시부(170); 및 썸네일(Thumbnail) 영상 표시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그램 도구 메뉴부(110)는 수신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 피검자 데이터 화면으로 전환; 선택된 피검자의 캡슐 내시경 영상을 검토하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 선택된 피검자의 보고서를 작성하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 선택된 피검자의 내시경 영상을 추출하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 및 선택된 피검자의 내시경 영상을 백업하기 위한 화면으로 전환 등의 메뉴를 포함한다.
뷰/모드 메뉴부(120)는 2D/3D 모드 선택; 내시경 영상을 1개로 표시; 내시경 영상을 2개로 표시; 내시경 영상을 4개로 표시; 내시경 영상을 확대; 내시경 영상을 모두 재생; 내시경 영상을 선택적으로 재생; 및 혈흔 의심구간 재생 등의 메뉴를 포함한다.
영상 표시부(130)는 생성된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표시한다. 이때, 영상 표시부(6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의 표시 속도는 사용자의 프레임 레이트의 설정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그리고, 캡슐 내시경 영상(EI)은 뷰/모드 메뉴부(120)의 선택 메뉴 중에 선택된 메뉴에 대응되도록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된다.
캡슐 위치 표시부(140)는 생체의 체내에서 이동하는 캡슐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비교 영상 표시부(150)는 현재 캡슐 내시경 영상과 기준 캡슐 내시경 영상을 비교 검토할 수 있도록 기준 캡슐 내시경 영상을 표시한다.
재생 메뉴부(160)는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의 프레임 속도 조정; 재생; 역 재생; 빠른 재생; 역 빠른 재생; 정지; 일시 정지; 이전 캡쳐 영상으로 이동; 이후 캡쳐 영상으로 이동; 현재 내시경 영상 캡쳐; 및 현재 내시경 영상에 랜드 마크 표시 등의 메뉴를 포함한다.
타임 바 표시부(170)는 전체 캡슐 내시경 영상(EI)의 시간 정보 및 거리 정보를 바(Bar) 형태로 표시하는 것으로,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현재 내시경 영상의 시간 정보 및 거리 정보에 대응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타임 바 슬라이더(S)를 포함한다. 타임 바 슬라이더(S)는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자유자재로 조정될 수 있으며, 타임 바 슬라이더(S)의 위치에 대응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은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된다.
썸네일 영상 표시부(180)는 사용자에 의해 캡쳐된 캡슐 내시경 영상을 표시한다. 즉, 사용자는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관찰하여 출혈(Bleeding); 암(Cancer); 폴립(Polyp); 얼써(Ulcer) 및 미란(Erosion) 등의 병증을 진단하고, 필요시 해당 영상(EI)을 캡쳐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캡쳐된 영상(EI)은 썸네일 영상으로 저장됨과 아울러 썸네일 영상 표시부(180)에 시계열적으로 표시된다.
또한, 썸네일 영상 표시부(180)에 표시되는 각 썸네일 영상(Ti)은 타임 바 표시부(170)의 타임 바에 링크됨으로써 사용자는 링크를 통해 각 썸네일 영상(Ti)의 촬상된 시간 정보를 파악하게 된다.
그리고, 썸네일 영상 표시부(180)의 일측에는 썸네일 영상(Ti)을 왼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1 이동버튼(LMB)이 표시되고, 썸네일 영상 표시부(180)의 타측에는 썸네일 영상(Ti)을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 2 이동버튼(RMB)이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제 1 또는 제 2 이동버튼(LMB, RMB)을 조작하여 썸네일 영상 표시부(180)에 표시된 썸네일 영상(Ti)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에서,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에 대한 사용자의 캡쳐 여부를 확인한다(S120).
만약, 상술한 S120 단계에서 사용자가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캡쳐할 경우(S120의 "예"),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캡쳐하고, 캡쳐된 캡쳐 영상을 썸네일 영상(Ti)으로 저장한다(S130).
한편, 상술한 S120 단계에서 사용자가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캡쳐하지 않을 경우(S120의 "아니오"), 상술한 S110 단계를 통해 다음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어, 저장된 썸네일 영상(Ti)을 썸네일 영상 표시부(180)의 썸네일 영역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한다(S140).
이어, 사용자가 타임 바 슬라이더(S)를 이동시켰는지를 확인한다(S150).
만약, 상술한 S150 단계에서 사용자가 타임 바 슬라이더(S)를 이동시킬 경우(S150의 "예"), 이동된 타임 바 슬라이더(S)의 위치에 대응되는 시간을 검출한다(S160).
이어, 검출된 타임 바 슬라이더(S)의 시간을 기준으로 썸네일 영상(Ti)을 정렬하여 표시한다(S170).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타임 바 슬라이더(S)를 타임 바의 제 1 지점(A)에서 제 2 지점(B)으로 이동시킬 경우, 썸네일 영상 표시부(180)에 표시된 썸네일 영상(Ti)은 타임 바 슬라이더(S)의 이동에 연동되어 왼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썸네일 영상 표시부(180)에는 이동된 타임 바 슬라이더(S)의 시간에 인접한 썸네일 영상(Ti)들이 정렬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이동된 타임 바 슬라이더(S)의 위치가 제 24 썸네일 영상(Ti24)에 대응될 경우, 썸네일 영상 표시부(180)의 중앙부에는 제 24 썸네일 영상(Ti24)이 표시되고, 제 24 썸네일 영상(Ti24)을 기준으로 이전 및 이후 썸네일 영상(Ti)들이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타임 바 슬라이더(S)를 타임 바의 제 2 지점(B)에서 제 1 지점(C)으로 이동시킬 경우, 썸네일 영상 표시부(180)에 표시된 썸네일 영상(Ti)은 타임 바 슬라이더(S)의 이동에 연동되어 오른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썸네일 영상 표시부(180)에는 이동된 타임 바 슬라이더(S)의 시간에 인접한 썸네일 영상(Ti)들이 정렬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이 동된 타임 바 슬라이더(S)의 위치가 제 19 썸네일 영상(Ti19)에 대응될 경우, 썸네일 영상 표시부(180)의 중앙부에는 제 19 썸네일 영상(Ti19)이 표시되고, 제 19 썸네일 영상(Ti19)을 기준으로 이전 및 이후 썸네일 영상(Ti)들이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이어, 캡슐 내시경 영상(EI)에 대한 사용자의 진단 종료 여부를 확인한다(S180).
만약, 상술한 S180 단계에서 진단이 종료될 경우, 캡슐 내시경 영상(EI)에 대한 사용자 진단을 종료한다.
한편, 상술한 S180 단계에서 진단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진단이 종료될 때까지 상술한 S110 단계 내지 S17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다른 한편, 상술한 S150 단계에서 사용자가 타임 바 슬라이더(S)를 이동시키지 않을 경우(S150의 "아니오"), 상술한 S180 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은 사용자에 의한 타임 바 슬라이더(S)의 이동에 연동하여 썸네일 영상(Ti)을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관심 위치에 대응되는 썸네일 영상(Ti)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의 진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생체 내에 투입된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제공된 촬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캡슐 내시경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체 캡슐 내시경 영상에 대응되는 타임 바를 생성한다(S200). 여기서, 촬상 데이터는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전송되는 촬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통해 워크 스테이션의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제공되거나, 수신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진단 화면(200)에 생성된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표시한다(S210).
여기서, 진단 화면(200)은 프로그램 도구 메뉴부(110); 뷰(View)/모드 메뉴부(120); 영상 표시부(130); 내시경 위치 표시부(140); 비교 영상 표시부(150); 재생 메뉴부(160); 타임 바 표시부(170); 및 썸네일 영상 표시부(2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진단 화면(200)은 썸네일 영상 표시부(280)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 1 실시 예의 진단 화면(1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썸네일 영상 표시부(28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캡쳐된 썸네일 영상(Ti)이 타임 바(170)에 링크되도록 표시된다.
또한, 썸네일 영상 표시부(280)는 썸네일 영상(Ti)들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썸네일 스크롤 바(Thumbnail Scroll Bar)(28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썸네일 스크롤 바(282)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시켜 원하는 썸네일 영상(Ti)을 관찰할 수 있다.
도 4에서,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에 대한 사용 자의 캡쳐 여부를 확인한다(S220).
만약, 상술한 S220 단계에서 사용자가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캡쳐할 경우(S220의 "예"),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캡쳐하고, 캡쳐된 캡쳐 영상을 썸네일 영상(Ti)으로 저장한다(S230).
한편, 상술한 S220 단계에서 사용자가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캡쳐하지 않을 경우(S220의 "아니오"), 상술한 S210 단계를 통해 다음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어, 저장된 썸네일 영상(Ti)을 썸네일 영상 표시부(280)의 썸네일 영역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한다(S240).
이어, 사용자가 썸네일 스크롤 바(282)를 이동시켰는지를 확인한다(S250).
만약, 사용자가 썸네일 스크롤 바(282)를 이동시킬 경우(S250의 "예"), 썸네일 영상 표시부(280)의 기준 위치에 표시된 기준 썸네일 영상(Ti)의 촬상 시간을 검출한다(S260). 여기서, 썸네일 영상 표시부(280)의 기준 위치는 중앙부가 될 수 있다.
이어, 검출된 썸네일 영상(Ti)의 촬상 시간을 기준으로 타임 바 슬라이더(S)의 위치를 이동시킨다(S270).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썸네일 스크롤 바(282)를 제 1 지점(A)에서 제 2 지점(B)으로 이동시킬 경우, 타임 바 슬라이더(S)는 썸네일 스크롤 바(282)의 이동에 연동되어 오른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썸네 일 영상 표시부(180)에 표시된 기준 썸네일 영상(Ti)의 촬상 시간에 대응되는 타임 바 상의 위치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썸네일 스크롤 바(282)의 스크롤에 따라 기준 썸네일 영상(Ti)이 제 24 썸네일 영상(Ti24)일 경우, 타임 바 슬라이더(S)는 제 24 썸네일 영상(Ti24)의 촬상 시간에 대응되는 타임 바 상의 시점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썸네일 스크롤 바(282)를 제 2 지점(B)에서 제 3 지점(C)으로 이동시킬 경우, 타임 바 슬라이더(S)는 썸네일 스크롤 바(282)의 이동에 연동되어 오른쪽으로 이동됨으로써 썸네일 영상 표시부(180)에 표시된 기준 썸네일 영상(Ti)의 촬상 시간에 대응되는 타임 바 상의 위치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썸네일 스크롤 바(282)의 스크롤에 따라 기준 썸네일 영상(Ti)이 제 6 썸네일 영상(Ti6)일 경우, 타임 바 슬라이더(S)는 제 6 썸네일 영상(Ti6)의 촬상 시간에 대응되는 타임 바 상의 시점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어, 캡슐 내시경 영상(EI)에 대한 사용자의 진단 종료 여부를 확인한다(S280).
만약, 상술한 S280 단계에서 진단이 종료될 경우, 캡슐 내시경 영상(EI)에 대한 사용자 진단을 종료한다.
한편, 상술한 S280 단계에서 진단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진단이 종료될 때까지 상술한 S210 단계 내지 S27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다른 한편, 상술한 S250 단계에서 사용자가 썸네일 스크롤 바(282)를 이동시키지 않을 경우(S150의 "아니오"), 상술한 S280 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은 사용자에 의한 캡쳐된 썸네일 영상(Ti)의 이동에 연동하여 타임 바 슬라이더(S)를 이동시켜 이동되는 썸네일 영상(Ti)에 대응되는 시간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진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에서는 진단 화면(200)의 썸네일 영상 표시부(280)에 구성된 썸네일 스크롤 바(282)의 이동에 연동하여 타임 바 슬라이더(S)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썸네일 영상(Ti)의 이동에 연동하여 타임 바 슬라이더(S)를 이동시킬 수도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썸네일 영상 표시부(180)에 구성된 제 1 또는 제 2 이동버튼(LMB, RMB)의 조작에 따른 썸네일 영상(Ti)의 이동에 연동하여 타임 바 슬라이더(S)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생체 내에 투입된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제공된 촬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캡슐 내시경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체 캡슐 내시경 영상에 대응되는 타임 바를 생성한다(S300). 여기서, 촬상 데이터는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전송되는 촬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통해 워크 스테이션의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제공되거나, 수신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진단 화면(300)에 생성된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표시한다(S310).
여기서, 진단 화면(300)은 프로그램 도구 메뉴부(110); 뷰(View)/모드 메뉴부(120); 영상 표시부(130); 내시경 위치 표시부(140); 비교 영상 표시부(150); 재생 메뉴부(160); 타임 바 표시부(170); 및 썸네일 영상 표시부(3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진단 화면(300)은 썸네일 영상 표시부(380)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 1 실시 예의 진단 화면(1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썸네일 영상 표시부(38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캡쳐된 썸네일 영상(Ti)이 타임 바(170)에 링크되도록 표시된다.
또한, 썸네일 영상 표시부(380)는 썸네일 영상(Ti)들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썸네일 스크롤 바(Thumbnail Scroll Bar)(382); 및 일측에 표시된 확대/축소 버튼(38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썸네일 스크롤 바(382)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썸네일 영상(Ti)들은 썸네일 스크롤 바(382)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된다.
확대/축소 버튼(384)은 사용자 조작에 응답하여 썸네일 영상 표시부(380)의 썸네일 영역을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키기 위한 메뉴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확대/축소 버튼(384)을 조작하여 썸네일 영역의 크기를 확대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도 7에서,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에 대한 사용자의 캡쳐 여부를 확인한다(S320).
만약, 상술한 S320 단계에서 사용자가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캡쳐할 경우(S320의 "예"),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캡쳐하고, 캡쳐된 캡쳐 영상을 썸네일 영상(Ti)으로 저장한다(S330).
한편, 상술한 S320 단계에서 사용자가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캡쳐하지 않을 경우(S320의 "아니오"), 상술한 S310 단계를 통해 다음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어, 저장된 썸네일 영상(Ti)을 썸네일 영상 표시부(380)의 썸네일 영역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한다(S340).
이어, 사용자가 썸네일 영상 표시부(380)의 썸네일 영역을 축소시키거나 확대시켰는지를 확인한다(S350).
만약, 상술한 S350 단계에서 사용자가 썸네일 영역을 썸네일 영역을 축소시키거나 확대시켰을 경우(S350의 "예"), 썸네일 영역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썸네일 영상(Ti)을 정렬하여 표시한다(S360).
이어, 캡슐 내시경 영상(EI)에 대한 사용자의 진단 종료 여부를 확인한다(S370).
만약, 상술한 S370 단계에서 진단이 종료될 경우, 캡슐 내시경 영상(EI)에 대한 사용자 진단을 종료한다.
한편, 상술한 S370 단계에서 진단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진단이 종료될 때까지 상술한 S310 단계 내지 S36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S350 단계에서 사용자가 썸네일 영역을 썸네일 영역을 축소시키거나 확대시키지 않았을 경우(S350의 "아니오"), 상술한 S370 단계를 수행한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썸네일 영역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썸네일 영상을 정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를 도 7 및 도 8과 결부하여 썸네일 영역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썸네일 영상을 정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썸네일 영상 표시부(380)가 기본 썸네일 영역인지를 확인한다(S361).
만약, 상술한 S350 단계에서 썸네일 영상 표시부(380)가 기본 썸네일 영역(즉, 축소된 상태)일 경우(S361의 "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썸네일 영역에 썸네일 영상(Ti)을 시계열적으로 정렬하여 표시함과 아울러 썸네일 영상 표시부(380)에 표시된 기준 썸네일 영상(Ti8)의 촬상 시간에 대응되도록 타임 바 슬라이더(S)의 위치를 이동시킨다(S362).
이어, 사용자가 확대/축소 버튼(384)을 조작하여 썸네일 영역을 확대했는지를 확인한다(S363).
만약, 상술한 S363 단계에서, 사용자가 썸네일 영역을 확대했을 경우(S363의 "예"),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소된 기분 썸네일 영역을 확대시킨다(S364).
이어, 확대된 썸네일 영역의 크기를 검출함과 아울러 사용자에 의해 캡쳐되어 저장된 썸네일 영상들의 전체 개수를 검출한다(S365).
이어, 확대된 썸네일 영역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썸네일 영상(Ti)들을 시간 순으로 정렬하여 매트릭스 형태로 표시함과 아울러 타임 바 상의 타임 바 슬라이더(S)를 정렬된 썸네일 영상(Ti) 중 기준 썸네일 영상(Ti)의 촬상 시간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S366). 여기서, 기준 썸네일 영상(Ti)은 썸네일 영상 표시부(380)에 매트릭스 형태로 표시된 썸네일 영상(Ti)들 중 최상측 중앙부에 표시된 썸네일 영상(Ti)이 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S363 단계에서, 사용자가 썸네일 영역을 확대하지 않았을 경우(S363의 "아니오"), 도 7에 도시된 S370 단계를 수행한다.
이어, 사용자가 확대/축소 버튼(384)을 조작하여 썸네일 영역을 축소했는지를 확인한다(S367).
만약, 상술한 S367 단계에서, 사용자가 썸네일 영역을 축소했을 경우(S367의 "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된 기분 썸네일 영역을 축소시킨(S368) 후, 상술한 S362 단계 내지 S367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S367 단계에서, 사용자가 썸네일 영역을 축소하지 않았을 경우(S367의 "아니오"), 도 7에 도시된 S370 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썸네일 영역을 확대하여 썸네일 영상 표시부(380)에 더 많은 썸네일 영상(Ti)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진단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있어서, 확대된 썸네일 영역에 표시 되는 썸네일 영상(Ti)들은 다양한 형태로 정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확대된 썸네일 영역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썸네일 영상(Ti1 내지 Tin)의 개수에 따라 썸네일 영상(Ti1 내지 Tin)이 N×M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배열 순서는 썸네일 영상(Ti1 내지 Tin)의 촬상 시간 순서에 따라 행 방향 단위로 배열한다. 이때, 첫 번째 열에는 각 행에서 가장 빠른 촬상 시간을 가지는 썸네일 영상(Ti1, Ti10, Ti19, Ti28)이 배열된다. 예를 들어, 썸네일 영상(Ti1 내지 Tin)들은 4×9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확대된 썸네일 영역에는,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썸네일 영상(Ti1 내지 Tin)의 개수에 따라 N×M 형태로 배열될 수 있으며, 배열 순서는 썸네일 영상(Ti1 내지 Tin)의 촬상 시간 순서에 따라 열 방향 단위로 배열된다. 이때, 첫 번째 행에는 각 열에서 가장 빠른 촬상 시간을 가지는 썸네일 영상(Ti1, Ti3, Ti5, Ti7,...)이 배열된다. 예를 들어, 썸네일 영상(Ti1 내지 Tin)들은 2×9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썸네일 영상(Ti1 내지 Tin)들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9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으며,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9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생체 내에 투입된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제공된 촬상 데이터를 이용하 여 캡슐 내시경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체 캡슐 내시경 영상에 대응되는 타임 바를 생성한다(S400). 여기서, 촬상 데이터는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전송되는 촬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통해 워크 스테이션의 저장장치에 저장되어 제공되거나, 수신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진단 화면(300)에 생성된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표시한다(S410).
이어,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에 대한 사용자의 캡쳐 여부를 확인한다(S420).
만약, 상술한 S420 단계에서 사용자가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캡쳐할 경우(S420의 "예"),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캡쳐하고, 캡쳐된 캡쳐 영상을 썸네일 영상(Ti)으로 저장한다(S430).
한편, 상술한 S420 단계에서 사용자가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캡쳐하지 않을 경우(S420의 "아니오"), 상술한 S410 단계를 통해 다음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어, 저장된 썸네일 영상(Ti)을 썸네일 영상 표시부(380)의 썸네일 영역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한다(S440).
이어, 캡슐 내시경 영상(EI)에 대한 사용자의 진단 종료 여부를 확인한다(S450).
만약, 상술한 S450 단계에서 진단이 종료될 경우, 캡슐 내시경 영상(EI)에 대한 사용자 진단을 종료한다.
한편, 상술한 S450 단계에서 진단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진단이 종료될 때까지 상술한 S410 단계 내지 S44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썸네일 영역에 썸네일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을 도 12 및 도 8과 결부하여 썸네일 영역에 썸네일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장된 썸네일 영상(Ti)을 썸네일 영상 표시부(380)의 기본 썸네일 영역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한다(S441).
이어, 사용자가 타임 바 슬라이더(S)를 이동시켰는지를 확인한다(S442).
만약, 상술한 S442 단계에서 사용자가 타임 바 슬라이더(S)를 이동시킬 경우(S442의 "예"), 이동된 타임 바 슬라이더(S)의 위치에 대응되는 시간을 검출하고, 검출된 타임 바 슬라이더(S)의 시간을 기준으로 썸네일 영상(Ti)을 이동시킴으로써 검출된 타임 바 슬라이더(S)의 시간에 인접한 썸네일 영상(Ti)들이 기본 썸네일 영역에 정렬되어 표시되도록 한다(S443).
이어, 사용자가 확대/축소 버튼(384)을 조작하여 썸네일 영역을 확대했는지를 확인한다(S444).
만약, 상술한 S444 단계에서, 사용자가 썸네일 영역을 확대했을 경우(S444의 "예"), 도 10 내지 도 11c 중 어느 하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소된 기분 썸네일 영역을 확대시키고, 확대된 썸네일 영역의 크기를 검출함과 아울러 저장된 썸네일 영상(Ti)들의 전체 개수를 검출하고, 확대된 썸네일 영역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썸 네일 영상(Ti)들을 시간 순으로 정렬하여 매트릭스 형태로 표시함과 아울러 타임 바 상의 타임 바 슬라이더(S)를 정렬된 썸네일 영상(Ti) 중 기준 썸네일 영상(Ti)의 촬상 시간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S445).
한편, 상술한 S442 단계에서 사용자가 타임 바 슬라이더(S)를 이동시키지 않았을 경우(S442의 "아니오"), 사용자가 썸네일 스크롤 바(382)를 이동시켜 썸네일 영상(Ti)을 이동시켰는지를 확인한다(S446).
만약, 사용자가 썸네일 스크롤 바(382)를 이동시킬 경우(S446의 "예"), 상술한 S443 단계를 통해 썸네일 영상 표시부(380)의 기준 위치에 표시된 기준 썸네일 영상(Ti)의 촬상 시간을 검출하고, 검출된 썸네일 영상(Ti)의 촬상 시간을 기준으로 타임 바 슬라이더(S)의 위치를 이동시킨다(S443).
한편, 사용자가 썸네일 스크롤 바(382)를 이동시키지 않았을 경우(S446의 "아니오"), 상술한 S444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S444 단계에서, 사용자가 썸네일 영역을 확대하지 않았을 경우(S444의 "아니오"), 도 12에 도시된 S450 단계를 수행한다.
이어, 사용자가 확대/축소 버튼(384)을 조작하여 썸네일 영역을 축소했는지를 확인한다(S447).
만약, 상술한 S447 단계에서, 사용자가 썸네일 영역을 축소했을 경우(S447의 "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된 기분 썸네일 영역을 축소시킨(S448) 후, 상술한 S441 단계 내지 S447 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S447 단계에서, 사용자가 썸네일 영역을 축소하지 않았을 경 우(S447의 "아니오"), 도 12에 도시된 S450 단계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은 사용자에 의한 타임 바 슬라이더(S)의 이동 또는 썸네일 영상의 이동에 따라 타임 바 슬라이더(S)와 썸네일 영상의 이동을 연동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썸네일 영역을 확대하여 썸네일 영상 표시부(380)에 더 많은 썸네일 영상(Ti)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진단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생체 내에 투입된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제공된 촬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캡슐 내시경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체 캡슐 내시경 영상에 대응되는 타임 바를 생성한다(S500). 여기서, 촬상 데이터는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전송되는 촬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장치를 통해 워크 스테이션(미도시)의 저장장치(미도시)에 저장되어 제공되거나, 수신장치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장치(미도시)에 표시되는 진단 화면(400)에 생성된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표시한다(S410).
여기서, 진단 화면(400)은 프로그램 도구 메뉴부(110); 뷰(View)/모드 메뉴부(120); 영상 표시부(130); 내시경 위치 표시부(140); 비교 영상 표시부(150); 재생 메뉴부(160); 타임 바 표시부(170); 및 썸네일(Thumbnail) 영상 표시부(4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진단 화면(400)은 썸네일 영상 표시부(480)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제 2 실시 예의 진단 화면(20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썸네일 영상 표시부(48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캡쳐된 썸네일 영상(Ti)이 타임 바(170)에 링크되도록 표시된다.
또한, 썸네일 영상 표시부(480)는 썸네일 영상(Ti)들을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썸네일 스크롤 바(482); 및 각 썸네일 영상(Ti)의 상부에 표시되는 제 1 및 제 2 진단 정보 아이콘(Ic1, Ic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썸네일 스크롤 바(482)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썸네일 영상(Ti)들은 썸네일 스크롤 바(382)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되거나, 타임 바 슬라이더(S)의 이동에 연동하여 이동된다.
제 1 진단 정보 아이콘(Ic1)은 각 썸네일 영상(Ti)에 대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병증, 출혈, 장기 종류 등의 텍스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메뉴이다.
제 2 진단 정보 아이콘(Ic2)은 각 썸네일 영상(Ti)에 대응되는 소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메뉴이다.
도 14에서,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에 대한 사용자의 캡쳐 여부를 확인한다(S520).
만약, 상술한 S520 단계에서 사용자가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캡쳐할 경우(S520의 "예"),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캡쳐하고, 캡쳐된 캡쳐 영상을 썸네일 영상(Ti)으로 저장한 다(S530).
한편, 상술한 S520 단계에서 사용자가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캡쳐하지 않을 경우(S520의 "아니오"), 상술한 S510 단계를 통해 다음 캡슐 내시경 영상(EI)을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이어, 사용자가 캡쳐된 영상의 진단 결과에 대응되는 진단 정보를 입력했는지를 확인하다(S540).
만약, 사용자가 캡쳐된 영상의 진단 정보를 입력했을 경우(S540의 "예"), 저장된 해당 썸네일 영상에 입력된 진단 정보를 저장한다(S550). 여기서, 캡쳐된 영상에 대한 진단 정보는 병증, 출혈, 장기 종류 등의 텍스트 정보(C) 및 소리 정보(S)가 될 수 있다.
이어, 저장된 썸네일 영상(Ti)과 진단 정보에 대응되는 제 1 및 제 2 진단 정보 아이콘(Ic1, Ic2)를 썸네일 영상 표시부(180)의 썸네일 영역에 시계열적으로 표시한다(S560). 여기서, 제 1 및 제 2 진단 정보 아이콘(Ic1, Ic2) 각각은 해당 썸네일 영상(Ti)에 대한 텍스트 정보(C) 및 소리 정보(S)가 존재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 상태로 표시된다.
한편, 사용자가 캡쳐된 영상의 진단 정보를 입력하지 않았을 경우(S540의 "아니오"), S560 단계를 통해 S530 단계에 의해 저장된 썸네일 영상(Ti)을 썸네일 영역에 표시한다(S560). 여기서, 제 1 및 제 2 진단 정보 아이콘(Ic1, Ic2) 각각은 해당 썸네일 영상(Ti)에 대한 텍스트 정보(C) 및 소리 정보(S)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활성화 상태 로 표시된다.
이어, 사용자가 썸네일 영역에 표시된 썸네일 영상(Ti)에 대응되는 진단 정보를 선택하였는지를 확인한다(S570).
만약, 상술한 S570 단계에서, 사용자가 썸네일 영역에 표시된 썸네일 영상(Ti)에 대응되는 진단 정보를 선택했을 경우(S570의 "예"), 선택된 진단 정보를 진단 화면(400)에 표시한다(S580).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이용해 해당 썸네일 영상(Ti1)의 활성화된 제 1 진단 정보 아이콘(Ic1)을 선택(T)했을 경우, 해당 썸네일 영상(Ti1)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C)를 영상 표시부(130)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이용해 해당 썸네일 영상(Ti1)의 활성화된 제 1 진단 정보 아이콘(Ic1)을 선택(T)했을 경우, 해당 썸네일 영상(Ti1)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C)를 별도의 팝업창(485)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이용해 해당 썸네일 영상(Ti1)의 활성화된 제 2 진단 정보 아이콘(Ic2)을 선택(T)했을 경우, 해당 썸네일 영상(Ti1)에 대응되는 소리 정보(S)를 출력할 수 있다.
이어, 캡슐 내시경 영상(EI)에 대한 사용자의 진단 종료 여부를 확인한다(S590).
만약, 상술한 S590 단계에서 진단이 종료될 경우, 캡슐 내시경 영상(EI)에 대한 사용자 진단을 종료한다.
한편, 상술한 S590 단계에서 진단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진단이 종료될 때까지 상술한 S510 단계 내지 S580 단계를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은 썸네일 영상(Ti)에 대한 텍스트 정보(C) 또는 소리 정보(S)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보고서 작성 시간 및 진단 내용의 검토 시간을 감소시켜 사용자의 진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있어서, 상술한 S560 단계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S441 단계 내지 S448 단계를 통해 사용자에 의한 타임 바 슬라이더(S)의 이동 또는 썸네일 영상의 이동에 따라 타임 바 슬라이더(S)와 썸네일 영상의 이동을 연동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썸네일 영역을 확대하여 썸네일 영상 표시부(380)에 더 많은 썸네일 영상(Ti)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데, 이때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 CD-ROM, DVD, 롬(ROM), 램, 또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컴퓨터로 판독할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에 있어서, 진단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에 있어서, 썸네일 영상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에 있어서, 진단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에 있어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위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에 있어서, 진단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썸네일 영역에 썸네일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 에 있어서, 썸네일 영역의 확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a 내지 도 11c는 도 10에 도시된 확대된 썸네일 영역에 썸네일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썸네일 영역에 썸네일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에 있어서, 진단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a 내지 도 16c는 도 14에 도시된 진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200, 300, 400: 진단 화면 110: 프로그램 도구 메뉴부
120: 뷰(View)/모드 메뉴부 130: 영상 표시부
140: 내시경 위치 표시부 150: 비교 영상 표시부
160: 재생 메뉴부 170: 타임 바 표시부
180, 280, 380, 480: 썸네일 영상 표시부 282, 382: 썸네일 스크롤 바
384 : 확대/축소 버튼 485: 팝업창

Claims (18)

  1. 생체 내에 투입된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제공된 촬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캡슐 내시경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체 캡슐 내시경 영상에 대응되는 타임 바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캡슐 내시경 영상을 진단 화면에 마련된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캡슐 내시경 영상을 캡쳐하여 썸네일 영상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썸네일 영상의 촬상 시간에 해당되는 상기 타임 바 상의 시간에 링크되도록 상기 썸네일 영상을 상기 진단 화면에 마련된 썸네일 영상 표시부의 썸네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타임 바 상에 위치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썸네일 영역에 표시된 상기 썸네일 영상을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이동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위치에 대응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을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썸네일 영상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동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위치에 대응되는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시간에 인접한 촬상 시간을 가지는 썸네일 영상들이 상기 썸네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썸네일 영상들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
  2. 삭제
  3. 생체 내에 투입된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제공된 촬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캡슐 내시경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체 캡슐 내시경 영상에 대응되는 타임 바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캡슐 내시경 영상을 진단 화면에 마련된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캡슐 내시경 영상을 캡쳐하여 썸네일 영상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썸네일 영상의 촬상 시간에 해당되는 상기 타임 바 상의 시간에 링크되도록 상기 썸네일 영상을 상기 진단 화면에 마련된 썸네일 영상 표시부의 썸네일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썸네일 영상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타임 바 상에 위치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위치를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이동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위치에 대응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을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타임 바 슬라이더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동된 썸네일 영상들 중 기준 썸네일 영상의 촬상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기준 썸네일 영상의 촬상 시간에 대응되도록 상기 타임 바 상의 타임 바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
  4. 삭제
  5. 생체 내에 투입된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제공된 촬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캡슐 내시경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체 캡슐 내시경 영상에 대응되는 타임 바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캡슐 내시경 영상을 진단 화면에 마련된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캡슐 내시경 영상을 캡쳐하여 썸네일 영상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썸네일 영상의 촬상 시간에 해당되는 상기 타임 바 상의 시점에 링크되도록 상기 썸네일 영상을 상기 진단 화면에 마련된 썸네일 영상 표시부의 기본 썸네일 영역에 상기 저장된 썸네일 영상을 촬상 시간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표시하는 단계;
    상기 썸네일 영상 표시부의 일측에 상기 기본 썸네일 영역을 확대시키거나 확대된 썸네일 영역을 축소시키기 위한 확대/축소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확대/축소 버튼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기본 썸네일 영역의 크기를 확대하고, 확대된 썸네일 영역의 크기를 검출함과 아울러 저장된 썸네일 영상의 개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 결과에 따라 확대된 썸네일 영역에 상기 썸네일 영상들을 매트릭스 형태를 가지도록 촬상 시간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확대/축소 버튼을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확대된 썸네일 영역의 크기를 상기 기본 썸네일 영역의 크기로 축소하여 상기 썸네일 영상들을 일렬로 배열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썸네일 영상들 중 첫 번째 열에는 각 행에서 가장 빠른 촬상 시간을 가지는 썸네일 영상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썸네일 영상들 중 첫 번째 행에는 각 열에서 가장 빠른 촬상 시간을 가지는 썸네일 영상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된 썸네일 영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진단 결과에 대한 텍스트 정보와 상기 썸네일 영상의 소리 정보를 추가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표시된 썸네일 영상의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진단 정보 아이콘 및 상기 소리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진단 정보 아이콘을 상기 표시된 썸네일 영상에 인접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기 진단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진단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 1 진단 정보 아이콘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별도의 팝업창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 2 진단 정보 아이콘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
  10. 생체 내에 투입된 캡슐 내시경으로부터 제공된 촬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캡슐 내시경 영상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체 캡슐 내시경 영상에 대응되는 타임 바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캡슐 내시경 영상을 진단 화면에 마련된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캡슐 내시경 영상을 캡쳐하여 썸네일 영상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캡쳐된 썸네일 영상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진단 결과에 대한 텍스트 정보와 상기 썸네일 영상의 소리 정보를 추가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썸네일 영상의 촬상 시간에 해당되는 상기 타임 바 상의 시간에 링크되도록 상기 썸네일 영상을 상기 진단 화면에 마련된 썸네일 영상 표시부의 썸네일 영역에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표시된 썸네일 영상의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제 1 진단 정보 아이콘 및 상기 소리 정보에 대응되는 제 2 진단 정보 아이콘을 상기 표시된 썸네일 영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한 제 1 진단 정보 아이콘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텍스트 정보를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거나 별도의 팝업창에 표시하거나, 상기 사용자에 의한 제 2 진단 정보 아이콘의 선택에 응답하여 상기 소리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5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바 상에 위치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썸네일 영역에 표시된 상기 썸네일 영상을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이동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위치에 대응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을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영상을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동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위치에 대응되는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시간에 인접한 촬상 시간을 가지는 썸네일 영상들이 상기 썸네일 영역에 표시되도록 상기 썸네일 영상들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
  16. 제 5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영상의 이동에 연동하여 상기 타임 바 상에 위치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위치를 이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이동된 타임 바 슬라이더의 위치에 대응되는 캡슐 내시경 영상을 상기 영상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 바 슬라이더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이동된 썸네일 영상들 중 기준 썸네일 영상의 촬상 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기준 썸네일 영상의 촬상 시간에 대응되도록 상기 타임 바 상의 타임 바 슬라이더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
  18. 제 1 항, 제 3 항, 제 5 항,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80098111A 2008-10-07 2008-10-07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900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111A KR100900533B1 (ko) 2008-10-07 2008-10-07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12/572,537 US8744231B2 (en) 2008-10-07 2009-10-02 Method of displaying image taken by capsule endoscope and record media of storing program for carrying out that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8111A KR100900533B1 (ko) 2008-10-07 2008-10-07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0533B1 true KR100900533B1 (ko) 2009-06-02

Family

ID=40982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8111A KR100900533B1 (ko) 2008-10-07 2008-10-07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5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062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포인바이오닉스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캡슐형 내시경 영상에서 병변을 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16171A (ko) 2019-08-01 2021-02-1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영상을 이용한 질환정보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1603A (ja) 2003-04-25 2004-11-18 Olympus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07307397A (ja) 2003-04-25 2007-11-29 Olympus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07307395A (ja) * 2003-04-25 2007-11-29 Olympus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07307396A (ja) 2003-04-25 2007-11-29 Olympus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1603A (ja) 2003-04-25 2004-11-18 Olympus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07307397A (ja) 2003-04-25 2007-11-29 Olympus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07307395A (ja) * 2003-04-25 2007-11-29 Olympus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2007307396A (ja) 2003-04-25 2007-11-29 Olympus Corp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0062A (ko) * 2018-12-07 2020-06-17 주식회사 포인바이오닉스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캡슐형 내시경 영상에서 병변을 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287364B1 (ko) 2018-12-07 2021-08-06 주식회사 포인바이오닉스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캡슐형 내시경 영상에서 병변을 감지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16171A (ko) 2019-08-01 2021-02-15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영상을 이용한 질환정보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5138B2 (ja) 画像処理装置、該動作方法及び該プログラム
CN101669807B (zh) 图像显示装置、图像显示方法和图像显示程序
US201601711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Annotated Capsule Images
US8744231B2 (en) Method of displaying image taken by capsule endoscope and record media of storing program for carrying out that method
EP2177149A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program
CN113015476A (zh) 用于生成和显示体内图像流的研究的系统和方法
JP5625083B2 (ja) カプセル内視鏡システム
US20090131746A1 (en) Capsule endoscope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image data thereof
JP5379442B2 (ja) 画像表示装置
JP2006006915A (ja) 医用画像表示装置及び医用画像表示方法
WO2007119784A1 (ja) 画像表示装置
JP2008295490A (ja) カプセル内視鏡画像表示装置
CN101005794A (zh) 图像显示装置、图像显示方法和图像显示程序
JP5769277B2 (ja) 入力装置、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374169B2 (ja) 画像表示装置
KR100900533B1 (ko) 캡슐 내시경 영상의 화면 표시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WO2005041763A1 (ja) 画像表示装置
JP4575216B2 (ja) 医用画像表示装置
JP4964572B2 (ja) 動画記録再生装置
JP7127779B2 (ja) 診断支援システム、及び診断支援用プログラム
JP5756939B1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画像表示プログラム
US20070016018A1 (en) Review mode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an ultrasound imaging system
KR100946203B1 (ko) 캡슐내시경 시스템 및 그의 영상데이터 처리 방법
KR102411600B1 (ko) 초음파 진단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WO2018043585A1 (ja) 内視鏡装置、内視鏡装置の記録・再生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