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0051B1 - 낚싯대용 받침기구 - Google Patents

낚싯대용 받침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0051B1
KR100900051B1 KR1020070076845A KR20070076845A KR100900051B1 KR 100900051 B1 KR100900051 B1 KR 100900051B1 KR 1020070076845 A KR1020070076845 A KR 1020070076845A KR 20070076845 A KR20070076845 A KR 20070076845A KR 100900051 B1 KR100900051 B1 KR 100900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shing rod
fixing
ho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744A (ko
Inventor
김충열
Original Assignee
김충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열 filed Critical 김충열
Priority to KR1020070076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0051B1/ko
Publication of KR20090012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0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0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7Work holder for fishing f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1/00Tools
    • Y10S81/01Tool-support adjun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낚싯대의 받침기능과 각도조절기능을 위한 구성부품의 간소화로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어 구입시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전체 사이즈를 작게하여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며, 여러 대의 낚싯대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조립 및 분리가 간단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좌대 또는 지면이 불규칙한 땅 등의 사용 장소에 관계없이 낚싯대를 설치할 수 있어 호환성을 가지는 낚싯대용 받침기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낚싯대용 받침기구는, 낚싯대의 앞받침대를 끼워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멍을 수평축선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장착구멍의 후방측에 상기 수평축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방형구멍을 형성한 받침몸체; 상기 받침몸체의 장방형구멍으로 관통되어 수평축선에 대하여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받침몸체에 설치되고, 상부 끝단면에 낚싯대의 뒷받침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가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회전축선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몸체의 후단부에서 장방형구멍으로 관통하여 수평축선방향으로 나사맞춤된 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나사부의 끝단이 지지대의 바깥둘레면에 접촉가능하게 된 각도조절부재; 및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낚싯대용 받침기구{Supporting Apparatus for 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싯대용 받침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싯대를 받쳐 지지하는 기능과 낚싯대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간단한 구성에 의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여러 대의 낚싯대를 간편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낚싯대용 받침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싯대를 받쳐 지지하기 위한 도구로서, 땅에 경사지게 꽂는 길이가 긴 앞받침대와, 땅에 수직으로 꽂는 길이가 짧은 뒷받침대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낚싯대 받침도구는, 낚싯대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땅에 꽂은 앞받침대와 뒷받침대를 뽑아 다시 꽂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설치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 각도조절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더욱이 좌대에서는 낚싯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종래에도 낚싯대의 각도를 조절함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번거로움과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68140호, 제20-275844호 및 제20-361742호등과 같이 각도조절이 가능한 낚싯대용 받침기구들을 많이 제안하고 있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모두 낚싯대를 받쳐 지지하는 기능과, 낚싯대의 각도 조절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앞받침대를 장착하기 위한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브라켓과, 상기 회전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나사와, 상기 고정브라켓을 지면 또는 좌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구성이 복잡하고 사이즈가 크다.
따라서 각 구성부품의 제조에 어려움이 있고, 또한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구입하기에 경제적인 부담을 가지는 단점이 있으며, 사이즈가 커서 휴대하거나 보관하는 것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5844호 및 제20-361742호의 구성은 1대의 낚싯대를 받쳐 지지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여러 대의 낚싯대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68140호 및 제20-275844호의 구성은 좌대용으로서 받침기구를 지면이 불규칙한 땅에 꽂아 사용하는 것은 곤란하여 호환성이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낚싯대를 받쳐 지지하기가 용이함과 동시에, 낚싯대의 설치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여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하고, 낚싯대의 받침기능과 각도조절기능을 위한 구성부품의 간소화로 제작이 용이하고 제작비용이 절감되어 구입시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전체 사이즈를 작게하여 휴대 및 보관을 용이하게 하는 낚싯대용 받침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여러 대의 낚싯대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고, 조립 및 분리가 간단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좌대 또는 지면이 불규칙한 땅 등의 사용 장소에 관계없이 낚싯대를 설치할 수 있어 호환성을 가지는 낚싯대용 받침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낚싯대의 중간부분을 받쳐 지지하는 앞받침대를 끼워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멍을 수평축선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장착구멍의 후방측에 상기 수평축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방형구멍을 형성한 받침몸체; 상기 받침몸체의 장방형구멍으로 관통되어 수평축선에 대하여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받침몸체에 설치되고, 상부 끝단면에 낚싯대의 손잡이부분을 받쳐 지지하는 뒷받침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가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회전축선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몸체의 후단부에서 장방형구멍으로 관통하여 수평축선방향으로 나사맞춤된 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나사부의 끝단이 지지대의 바깥둘레면에 접촉가능하게 된 각도조절부재; 및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대를 포함하는 낚싯대용 받침기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대는, 길이가 길고 그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된 고정바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바와 지지대의 착탈구성은 상기 지지대의 끝단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고정바의 끝단면에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맞춤되는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낚싯대용 받침기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의 하단이 끼워져 장착되는 제1 연결구멍과, 상기 제1 연결구멍의 형성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가 끼워져 장착되는 제2 연결구멍을 형성한 연결부재를 더욱 포함하는 낚싯대용 받침기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대는, 상기 지지대의 하단이 끼워져 장착되는 제1 연결구멍 및 상기 제1 연결구멍의 형성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연결구멍을 형성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제2 연결구멍에 끝단부를 끼워 양쪽으로 두 개의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연결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그 끝단이 뾰족한 고정바를 일체로 형성한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낚싯대용 받침기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대는, 상기 지지대의 하단이 끼워져 장착되는 제1 연결구멍 및 상기 제1 연결구멍의 형성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연결구멍을 형성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제2 연결구멍에 끝단부를 끼워 양쪽으로 두 개의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연결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그 끝단이 뾰족한 고정바를 일체로 형성한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낚싯대용 받침기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대는, 상기 지지대의 하단이 끼워져 장착되는 제1 및 제2 연결구멍을 서로 직각방향으로 형성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 연결구멍에 직교하고 상기 제2 연결구멍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그 끝단이 뾰족한 고정바를 포함하는 낚싯대용 받침기구에 특징이 있 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바는 납작하고 위방향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의 단면구조를 가지는 낚싯대용 받침기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바의 상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복수개의 조립구멍을 형성한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조립구멍을 통해 고정바의 암나사부와 나사맞춤되는 연결나사를 더욱 포함하는 낚싯대용 받침기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대는, 상기 연결부재의 제1 또는 제2 고정구멍에 일단이 끼워져 장착되는 장착봉과, 상기 지지대를 위에서 끼워 장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 고정부 및 상기 장착봉을 아래에서 끼워 장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받침판을 더욱 포함하는 낚싯대용 받침기구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고정대는, 상기 받침판에 구비된 떡밥용 용기를 더욱 포함하는 낚시대용 받침기구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기구에 의하면, 낚싯대를 받쳐 지지하는 기능과 낚싯대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및 이들의 결합구조가 간소화된 구성의 받침몸체, 지지대, 각도조절부재 및 받침대에 의해 이루어짐에 따라 각 구성부품의 제조가 용이하여 제조단가를 나출 수 있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구입시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전체 사이즈가 작아짐에 따라 무게 및 부피가 감소되어 휴대하거나 보관할 때 매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기구의 조립 및 분리가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져 사용이 편리하고, 연결부품을 조합하여 조립하게 되면, 단일의 낚싯대를 독립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여러 대의 낚싯대를 연결하여 함께 설치할 수도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받침기구를 조립하는 방법에 따라 낚싯대를 지면이 불규칙한 땅에 설치하거나 좌대에 설치할 수 있어 호환성을 가지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및 사용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싯대용 받침기구는 낚싯대(F1)의 중간부분을 받쳐 지지하는 앞받침대(F2)가 장착되는 받침몸체(10)와, 낚싯대(F1)의 손잡이부분을 받쳐 지지하는 뒷받침대(F3)를 장착하기 위한 지지대(20)와, 상기 지지대(20)를 지면 또는 좌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대(30)와, 상기 지지대(20)에 대하여 받침몸체(10)를 회전시켜 낚싯대(F1)의 설치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재(40)를 구비한다.
받침몸체(10)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받침몸체(10)의 일단면으로부터 수평축선(X-X)방향으로 앞받침대(F2)를 끼워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멍(11)을 형성하고 있다. 이때 받침몸체(10)에는 장착구멍(11)으로 관통하는 고정나사(12)를 설치하여 장착구멍(11)에 끼워 넣어진 앞받침대(F2)를 고정나사(12)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장착구멍(11)의 후방측에는 수평축선(X-X)에 대하여 수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방형구멍(13)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방형구멍(13)에 지지대(20)가 설치된다.
지지대(20)는 짧은 원형봉으로 형성되고, 상기 받침몸체(10)의 장방형구멍(13)으로 관통되어 양끝단이 상,하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되며, 수평축선(X-X)에 대하여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회전축선(Y-Y)을 중심으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받침몸체(10)에 회전축(21)으로 연결되어 각도조절부재(40)의 회전조작에 의해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20)의 상부 끝단면에는 낚싯대(F1)의 손잡이부분을 받쳐 지지하는 뒷받침대(F3)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장착부(22)는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뒷받침대(F3)와 착탈가능한 대응구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장착부(22)의 구성을 뒷받침대(F3)에 형성한 암나사부에 대응하여 나사맞춤 가능한 수나사부를 형성한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뒷받침대(F3)의 끝단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삽입구멍을 형성하여도 좋다.
각도조절부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의 회전축선(Y-Y)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몸체(10)의 후단부에서 장방형구멍(13)으로 관통하여 수평축선(X-X)방향으로 나사맞춤된 나사부(41)를 구비하며, 상기 나사부(41)의 끝단이 지지대(20)의 바깥둘레면에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재(40)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받침몸체(10)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낚싯대(F1)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고정대(30)는 상기 지지대(20)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받침기구를 지면에 설치하거나 그 외의 고정체에 설치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끝이 뾰족하고 기다란 고정바(31)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바(31)와 지지대(20)의 착탈구성은 지지대(20)의 끝단면에 암나사부(20a)를 형성하고, 고정바(31)의 끝단면에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맞춤되는 수나사부(31a)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받침몸체(10), 지지대(20) 및 고정대(30)는 구조적 강도가 높고 가벼운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하여 중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금속재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물에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제1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낚싯대용 받침기구에 의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F1)를 지면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대(30)인 고정바(31)를 땅에 수직방향으로 깊이 꽂아 고정하고, 받침몸체(10)의 장착구멍(11)에 앞받침대(F2)를 끼워 고정나사(12)로 고정하여 장착함과 동시에, 지지대(20)의 장착부(22)인 수나사부에 뒷받침대(F3)의 암나사부를 나사맞춤하여 장착함으로써 간단하게 낚싯대(F1)를 받쳐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서, 낚싯대(F1)의 설치각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각도조절부재(40)를 예를 들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부(41)를 낚싯대(F1) 설치방향으로 전진시키게 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0)의 바깥둘레면에 끝단이 접촉하고 있는 나사부(41)가 지지대(20)를 밀게 되며, 지지대(20)는 땅에 고정된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받침몸체(10)가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낚싯대(F1)를 위방향으로 소정각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각도조절부 재(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부(41)를 낚싯대(F1) 설치방향에 대하여 후진시키게 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41)의 끝단이 지지대(20)의 바깥둘레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받침몸체(10)에는 낚싯대(F1) 및 앞받침대(F2)의 하중이 작용하고 있는 것이므로, 이 하중에 의해 받침몸체(10)는 회전축(21)을 중심으로 아래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낚싯대(F1)를 아래방향으로 소정각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받침기구는, 낚싯대(F1)를 받쳐 지지하고, 낚싯대(F1)의 설치각도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이 편리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각도조절부재(40)의 나사부(41)에 의해 미세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낚싯대(F1)의 사용이 매우 편리하며, 낚싯대(F1)의 받침기능 및 각도조절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이 매우 간소화되어 제작이 용이하고, 전체 사이즈가 작아 휴대 및 보관이 매우 편리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의 하단이 끼워져 장착되는 제1 연결구멍(32a)과, 상기 제1 연결구멍(32a)의 형성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31)가 끼워져 장착되는 제2 연결구멍(32b)을 형성한 연결부재(32)를 더욱 포함하는 구성이다.
이때 연결부재(32)에는 제1 연결구멍(32a)과 제2 연결구멍(32b)으로 관통하는 제1 연결나사(33a)와 제2 연결나사(33b)를 설치하여 제1 연결구멍(32a)과 제2 연결구멍(32b)에 끼워 넣어진 지지대(20)와 고정바(31)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 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연결부재(32)의 재질은 다른 구성과 마찬가지로 구조적 강도가 높고 가벼운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제작한다.
그 외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구성 및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낚싯대용 받침기구에 의하면, 연결부재(32)의 제1 연결구멍(32a)에 지지대(20)를 끼워 제1 연결나사(33a)로 고정하고, 제2 연결구멍(32b)에 고정바(31)를 끼워 제2 연결나사(33b)로 고정하면, 고정바(31)를 수평방향으로 위치시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31)를 낚싯대(F1) 설치방향으로 향하게 하거나, 낚싯대(F1) 설치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낚시터에 마련된 좌대(B1)의 고정밴드(B2)에 끼워 받침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받침기구를 지면에 설치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연결부재(32)를 분리하고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고정바(31)를 지지대(20)에 직접 결합하게 되면, 고정바(31)를 땅에 꽂아 사용할 수 있어 선택적으로 지면 또는 좌대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연결부재(32)에 의해 간단하게 조립 및 분리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고정대(30)의 구성을, 상기 지지대(20)의 하단이 끼워져 장착되는 제1 연결구멍(132a) 및 상기 제1 연결구멍(132a)의 형성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연결구멍(132b)을 형성한 연결부 재(132)와, 상기 연결부재(132)의 제2 연결구멍(132b)에 끝단부를 각각 끼워 두 개의 연결부재(132)를 연결하는 연결바(131a) 및 상기 연결바(131a)의 연결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그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된 고정바(131b)를 연결바(131a)에 일체로 형성한 고정부재(131)로 구성한 것이다.
이때 연결부재(132)에는 제1 연결구멍(132a)과 제2 연결구멍(132b)으로 관통하는 제1 연결나사(133a)와 제2 연결나사(133b)를 설치하여 제1 연결구멍(132a)과 제2 연결구멍(132b)에 끼워 넣어진 지지대(20)와 고정부재(131)의 연결바(131a)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구성 및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제3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낚싯대용 받침기구에 의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연결부재(132)를 사용하여 연결부재(132)의 제1 연결구멍(132a)에 지지대(20)를 각각 끼워 제1 연결나사(133a)로 고정하고, 고정부재(131)의 연결바(131a) 양끝단에 양쪽 연결부재(132)의 제2 연결구멍(132b)을 끼워 제2 연결나사(133b)로 각각 고정하면, 2대의 낚싯대(F1)를 간단하게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바(131b)를 낚싯대(F1) 설치방향으로 향하게 하거나, 낚싯대(F1) 설치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조립하게 되면, 낚시터에 마련된 좌대의 고정밴드에 끼워 받침기구를 설치할 수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고정바(131b)를 수직방향으로 향하게 조립하게 되면, 고정바(131b)를 땅에 꽂 아 지면에서도 받침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고정대(30)의 구성을 상기 지지대(20)의 하단이 끼워져 장착되는 제1 및 제2 연결구멍(232a,232b)을 서로 직각방향으로 형성한 연결부재(232)와, 상기 제1 연결구멍(232a)에 직교하고 상기 제2 연결구멍(232b)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그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재(232)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바(231)로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고정바(231)는 납작하고 위방향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의 단면구조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결부재(232)에는 제1 연결구멍(232a) 또는 제2 연결구멍(232b)으로 관통하는 연결나사(233)를 설치하여 제1 연결구멍(232a) 또는 제2 연결구멍(232b)에 선택적으로 끼워 넣어진 지지대(20)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구성 및 작용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제4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낚싯대용 받침기구에 의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32)의 제2 연결구멍(232b)에 지지대(20)를 끼워 연결나사(233)로 고정하게 되면, 고정바(231)를 간단하게 수직방향으로 위치시켜 조립할 수 있고, 이로써 고정바(231)를 땅에 꽂아 고정함으로써 받침기구를 지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32)의 제1 연결구멍(232a)에 지지 대(20)를 끼워 연결나사(233)로 고정하게 되면, 고정바(231)를 간단하게 수평방향으로 위치시켜 조립할 수 있고, 이로써 고정바(231)를 낚싯대(F1) 설치방향으로 향하게 하거나, 낚싯대(F1) 설치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낚시터에 마련된 좌대의 고정밴드에 끼워 받침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지면 또는 좌대에서 사용할 수 있고, 연결부재(232)에 의해 간단하게 조립 및 분리되어 사용이 편리하고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다.
또한 고정바(231)의 단면구조가 납작하고 위방향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이므로, 좌대의 고정밴드에 꽂거나 땅에 꽂은 상태에서 좌우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부재(232)의 제2 연결구멍(232b)에 대신하여 제1 실시예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31)의 암나사부에 나사맞춤되는 수나사부(31a)를 형성하여도 연결부재(232)를 지지대(20)에 수직방향으로 위치시켜 받침기구를 지면에 설치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전술한 제4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231)의 상면에 암나사부(231a)를 형성하며, 복수개의 조립구멍(234a,234b,234c)을 형성한 연결바(234)와, 상기 연결바(234)의 조립구멍(234a,234b,234c)을 통해 고정바(231)의 암나사부(231a)와 나사맞춤되는 연결나사(235)를 더욱 포함시켜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연결바(234)의 조립구멍(234a,234b,234c)은 원형 또는 장방형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본 실시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형 또는 장방형 구멍을 조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32), 고정바(231) 및 연결바(234)는 다른 구성과 마찬가지로 구조적 강도가 높고 가벼운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5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낚싯대용 받침기구에 의하면,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바(234)의 조립구멍(234a,234b,234c)으로 연결나사(235)를 관통시켜 고정바(231)의 암나사부(231a)에 나사맞춤시키는 것에 의해 2개 또는 3개의 연결부재(232)를 연결할 수 있고, 이로써 연결부재(232)의 제1 연결구멍(232a)에 지지대(20)를 각각 장착함으로써 2대 또는 3대의 낚싯대(F1)를 간단하게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바(231)를 낚싯대(F1) 설치방향으로 향하게 하거나, 낚싯대(F1) 설치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낚시터에 마련된 좌대의 고정밴드에 끼워 받침기구를 설치할 수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지대(20)를 연결부재(232)의 제2 연결구멍(232b)에 장착하는 경우 고정바(231)를 수직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받침기구를 지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기구를 나타낸 것으로, 전술한 제4 실시예의 구성에 있어서, 고정대(30)의 구성에 더하여, 상기 연결부재(232)의 제1 또는 제2 연결구멍(232a,232b)에 일단이 끼워져 장착되는 장착봉(236)과, 상기 지지대(20)를 위에서 끼워 장착하기 위한 고정구멍(241a)을 형성한 복수개의 제1 고정부(241) 및 상기 장착봉(236)을 아래에서 끼워 장착하기 위한 고정구멍(242a)을 형성한 복수개의 제2 고정부(242)를 구비하는 받침판(240)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받침판(240)에는 떡밥용 용기(243)를 더욱 구비한 구성이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제1 및 제2 고정부(241,242)에는 고정구멍(241a,242a)으로 관통하는 제1 및 제2 고정나사(241b,242b)를 설치하여 제1 및 제2 고정구멍(241a,242a)으로 끼워 넣어진 지지대(20) 및 장착봉(236)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떡밥용 용기(243)는 상단에 걸림턱(243a)을 형성하고, 받침판(240)에는 상기 걸림턱(243a)이 걸림유지되는 용기장착구멍(244)을 형성하여 떡밥용 용기(243)를 받침판(240)에 분리가능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받침판(240)과 떡밥용 용기(243)의 재질은 다른 구성과 마찬가지로 구조적 강도가 높고 가벼운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한다.
이러한 제6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낚싯대용 받침기구에 의하면,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240)에 복수개 구비된 제1 고정부(241)의 고정구멍(241a)에 지지대(20)를 꽂아 제1 고정나사(241b)로 고정하게 되면 복수대의 낚싯대(F1)를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복수개의 제1 고정부(241)에는 릴대(F4)를 꽂아 낚싯대(F1)와 릴대(F4)를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고정부(242)에 고정된 장착봉(236)을 연결부재(232)의 제1 연결구멍(232a)에 고정하여 고정바(231)를 수평방향으로 위치시키면 낚시터에 마련된 좌대(B1)의 고정밴드(B2)에 끼워 받침기구를 설치할 수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장착봉(236)을 연결부재(232)의 제2 연결구멍(232b)에 장착하는 경우, 고정바(231)를 수직방향으로 향하게 할 수 있어 고정바(231)를 땅에 꽂아 받침기구를 지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기구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기구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기구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기구의 사용상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기구의 조립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기구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기구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낚싯대용 받침기구의 사용상태 정면도.

Claims (10)

  1. 낚싯대의 중간부분을 받쳐 지지하는 앞받침대를 끼워 장착하기 위한 장착구멍을 수평축선방향으로 형성하고, 상기 장착구멍의 후방측에 상기 수평축선에 대하여 수직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하는 장방형구멍을 형성한 받침몸체;
    상기 받침몸체의 장방형구멍으로 관통되어 수평축선에 대하여 수평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대회전 가능하게 받침몸체에 설치되고, 상부 끝단면에 낚싯대의 손잡이부분을 받쳐 지지하는 뒷받침대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가 형성된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회전축선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몸체의 후단부에서 장방형구멍으로 관통하여 수평축선방향으로 나사맞춤된 나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나사부의 끝단이 지지대의 바깥둘레면에 접촉가능하게 된 각도조절부재; 및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길이가 길고 그 끝단이 뾰족하게 형성된 고정바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바와 지지대의 착탈구성은 상기 지지대의 끝단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고정바의 끝단면에 상기 암나사부에 나사맞춤되는 수나사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단이 끼워져 장착되는 제1 연결구멍과, 상기 제1 연결구멍의 형성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바가 끼워져 장착되는 제2 연결구멍을 형성한 연결부재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상기 지지대의 하단이 끼워져 장착되는 제1 연결구멍 및 상기 제1 연결구멍의 형성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연결구멍을 형성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제2 연결구멍에 끝단부를 끼워 양쪽으로 두 개의 연결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의 연결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그 끝단이 뾰족한 고정바를 일체로 형성한 고정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기구.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상기 지지대의 하단이 끼워져 장착되는 제1 및 제2 연결구멍을 서로 직각방향으로 형성한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 연결구멍에 직교하고 상기 제2 연결구멍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며 그 끝단이 뾰족한 고정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는 납작하고 위방향으로 볼록한 원호형상의 단면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기구.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바의 상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복수개의 조립구멍을 형성한 연결바와,
    상기 연결바의 조립구멍을 통해 고정바의 암나사부와 나사맞춤되는 연결나사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기구.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상기 연결부재의 제1 또는 제2 고정구멍에 일단이 끼워져 장착되는 장착봉 과,
    상기 지지대를 위에서 끼워 장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 고정부 및 상기 장착봉을 아래에서 끼워 장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2 고정부를 구비하는 받침판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기구.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상기 받침판에 구비된 떡밥용 용기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용 받침기구.
KR1020070076845A 2007-07-31 2007-07-31 낚싯대용 받침기구 KR100900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845A KR100900051B1 (ko) 2007-07-31 2007-07-31 낚싯대용 받침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6845A KR100900051B1 (ko) 2007-07-31 2007-07-31 낚싯대용 받침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744A KR20090012744A (ko) 2009-02-04
KR100900051B1 true KR100900051B1 (ko) 2009-05-28

Family

ID=4068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845A KR100900051B1 (ko) 2007-07-31 2007-07-31 낚싯대용 받침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00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201Y1 (ko) * 2018-08-17 2020-08-26 금성원 낚시대용 고정장치
KR102172775B1 (ko) 2018-12-27 2020-11-02 최승조 3조식 버블 자동 세척기
KR200490705Y1 (ko) * 2019-01-30 2019-12-18 이형철 낚싯대 거치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438Y1 (ko) * 1986-08-18 1989-07-05 이우섭 절첩식 낚시대 받침틀
KR0137498Y1 (ko) * 1996-04-29 1999-02-01 안병희 낚시대용 받침대
KR200235416Y1 (ko) 2001-02-02 2001-10-25 이병후 낚시받침대 고정세트
KR200285678Y1 (ko) 2002-05-07 2002-08-13 홍기호 낚싯대용 받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438Y1 (ko) * 1986-08-18 1989-07-05 이우섭 절첩식 낚시대 받침틀
KR0137498Y1 (ko) * 1996-04-29 1999-02-01 안병희 낚시대용 받침대
KR200235416Y1 (ko) 2001-02-02 2001-10-25 이병후 낚시받침대 고정세트
KR200285678Y1 (ko) 2002-05-07 2002-08-13 홍기호 낚싯대용 받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744A (ko) 2009-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7815A (en) Rod rest supporting device
CN101680595B (zh) 平板显示器支撑器
KR101859664B1 (ko) 낚시받침대 고정구
US20050151039A1 (en) Multifunctional holder
KR100900051B1 (ko) 낚싯대용 받침기구
WO2015073776A1 (en) Swivel base for a training aid
US7237931B2 (en) Orientation adjustable lamp
KR20170095001A (ko) 낚싯대 거치장치
KR101946819B1 (ko) 앞받침대와 낚시대받침구가 일체로 구비된 관절형 낚시받침대
US20110302750A1 (en) No Tools Quick Assembly Surface Fastening System
KR20220041423A (ko) 실내외 겸용 낚시좌대
KR101288634B1 (ko) 낚시대 받침지주의 회전 록킹구조
KR20130063389A (ko) 지그형 낚시용 거치대
KR200327124Y1 (ko) 낚싯대 받침구
KR20240066637A (ko) 랜턴 거치대용 회전 연결구
KR200307727Y1 (ko) 각도 조절장치가 구비된 낚싯대 받침
KR101796149B1 (ko) 조립식 흔들의자
KR200235409Y1 (ko) 낚싯대 지지장치
CN217279220U (zh) 一种直播灯齿盘咬合旋转连接结构
CN210319531U (zh) 一种调节式照明灯具支撑装置
JP3043703U (ja) 釣竿用スタンド
CN218603510U (zh) 一种新型三角手机支架
CN217333079U (zh) 一种可快速拆装的直播灯
CN217603764U (zh) 一种可调角度的运动相机座
CN220037969U (zh) 调节装置、支架及显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